KR20230096611A - 걷기 훈련 장치의 주행 잠금장치 - Google Patents

걷기 훈련 장치의 주행 잠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96611A
KR20230096611A KR1020210186259A KR20210186259A KR20230096611A KR 20230096611 A KR20230096611 A KR 20230096611A KR 1020210186259 A KR1020210186259 A KR 1020210186259A KR 20210186259 A KR20210186259 A KR 20210186259A KR 20230096611 A KR20230096611 A KR 202300966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spring
walking training
unit
train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862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부환
최영철
Original Assignee
(주)위니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위니즈 filed Critical (주)위니즈
Priority to KR10202101862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96611A/ko
Publication of KR202300966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9661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 A61H1/0218Drawing-out devices
    • A61H1/0229Drawing-out devices by reducing gravity forces normally applied to the body, e.g. by lifting or hanging the body or part of i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10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special adaptations of hoists thereto
    • A61G7/1013Lifting of patients b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10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special adaptations of hoists thereto
    • A61G7/104Devices carried or supported by
    • A61G7/1042Rail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10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special adaptations of hoists thereto
    • A61G7/1073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 A61H1/0237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for the lower limbs
    • A61H1/0255Both knee and hip of a patient, e.g. in supine or sitting position, the feet being moved in a plane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body-symmetrical-plane
    • A61H1/0262Walking movement; Appliances for aiding disabled persons to wal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00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 A61H3/008Using suspension devices for supporting the body in an upright walking or standing position, e.g. harnes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2203/0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 A61G2203/7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with special adaptations, e.g. for safety or comfor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2203/0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 A61G2203/7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with special adaptations, e.g. for safety or comfort
    • A61G2203/78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with special adaptations, e.g. for safety or comfort for clamp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3/00Additional characteristics concerning the patient
    • A61H2203/04Position of the patient
    • A61H2203/0406Standing on the fee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0Devices f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10Le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Nursing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걷기 훈련 장치의 주행 잠금장치는, 공중에 설치되는 레일(10); 레일(10)을 따라 주행하는 휠 유닛(20); 휠 유닛(20)에 설치되고, 스프링 플레이트(32)가 형성된 케이싱(30); 케이싱(30)에 제1 위치(41)의 아래쪽에 제2 위치(42)가 형성되고, 제2 위치(42)의 옆쪽으로 제3 위치(43)가 형성된 엘 가이드(40); 케이싱(30)에 배치되어 승강 운동하고, 상승 위치일 때 레일(10)에 잠금 되고, 하강 위치일 때 잠금 해제되는 리프트 유닛(50); 한쪽은 스프링 플레이트(32)에 설치되고, 다른 한쪽은 리프트 유닛(50)에 설치되며, 리프트 유닛(50)이 레일(10) 쪽으로 이동하도록 복원력을 작용하는 스프링(60); 및 제1 위치(41)에 위치하면 스프링(60)을 이완시키고, 제2 위치(42)에 위치하면 스프링(60)을 압축시키며, 제3 위치(43)에 위치하면 스프링(60)의 압축 상태를 유지하는 로크 레버 유닛(70)을 포함한다.

Description

걷기 훈련 장치의 주행 잠금장치{Driving lock of walking training device}
본 발명은 공중에 설치된 레일을 따라 휠 유닛을 이동시키고, 휠 유닛에 매달린 상태에서 걷기 훈련을 하다가 제자리에 멈추고 싶을 때 휠 유닛을 레일에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걷기 훈련 장치의 주행 잠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걷기 훈련 장치는 레일을 천장 또는 구조물에 설치하고, 레일에 휠 유닛을 설치하여 이동할 수 있게 하며, 휠 유닛에 멜빵(harness)이 매달리며 환자는 멜빵을 착용할 수 있다.
환자는 멜빵을 착용하여 휠 유닛에 매달린 상태에서 걷기 운동을 할 수 있다. 이로써 환자가 걷기 훈련하는 동안에 다리에 힘이 풀리거나 힘없이 주저앉더라도 환자는 매달린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다치지 않을 수 있고 걷기 훈련할 수 있다.
한편으로 걷기 훈련을 하는 동안에 휴식을 취하거나 걷기 훈련을 종료하고자 할 때, 휠 유닛은 주행이 멈추어야 한다.
그러나 종래에 알려진 걷기 훈련 장치에서 주행을 멈출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 미흡하거나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예를 들면, 당김 줄을 당겨서 휠 유닛을 잠금 설정하거나 잠금 해제할 수 있고, 잠금 설정 때의 당김 줄의 높이와 잠금 해제 때의 당김 줄의 높이가 다를 수 있다.
잠금 설정 또는 잠금 해제를 위하여 당김 줄을 고정하여야 하고, 당김 줄을 고정하지 않으면 의도와 다르게 잠금 해제에서 잠금 설정으로 전환되거나 반대로 잠금 설정에서 잠금 해제로 전환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당김 줄이 어느 높이에서 고정되었는지 주의를 기울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고, 당김 줄이 소망하는 제대로 고정되었는지 확인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KR 10-2162069 B1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사용자는 당김 줄을 당겼다 젖히는 단순한 행동을 하여 잠금 설정하거나, 사용자는 당김 줄을 젖혔다가 놓는 단순한 행동을 하여 잠금 해제할 수 있도록 하는 걷기 훈련 장치의 주행 잠금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걷기 훈련 장치의 주행 잠금장치는, 공중에 설치되는 레일(10); 상기 레일(10)을 따라 주행하는 휠 유닛(20); 상기 휠 유닛(20)에 설치되고, 스프링 플레이트(32)가 형성된 케이싱(30); 상기 케이싱(30)에 제1 위치(41)의 아래쪽에 제2 위치(42)가 형성되고, 상기 제2 위치(42)의 옆쪽으로 제3 위치(43)가 형성된 엘 가이드(40); 상기 케이싱(30)에 배치되어 승강 운동하고, 상승 위치일 때 상기 레일(10)에 잠금 되고, 하강 위치일 때 잠금 해제되는 리프트 유닛(50); 한쪽은 상기 스프링 플레이트(32)에 설치되고, 다른 한쪽은 상기 리프트 유닛(50)에 설치되며, 상기 리프트 유닛(50)이 상기 레일(10) 쪽으로 이동하도록 복원력을 작용하는 스프링(60); 및 상기 제1 위치(41)에 위치하면 상기 스프링(60)을 이완시키고, 상기 제2 위치(42)에 위치하면 상기 스프링(60)을 압축시키며, 상기 제3 위치(43)에 위치하면 상기 스프링(60)의 압축 상태를 유지하는 로크 레버 유닛(70); 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걷기 훈련 장치의 주행 잠금장치는, 상기 스프링 플레이트(32) 또는 상기 케이싱(30)에 형성되어 상기 리프트 유닛(50)이 직선으로 승강 운동하도록 안내하는 제1 가이드(34) 또는 제2 가이드(36)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걷기 훈련 장치의 주행 잠금장치는, 상기 케이싱(30)의 겉을 둘러쌓도록 배치된 아웃터 케이스(38)를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고, 상기 아웃터 케이스(38)는 상기 엘 가이드(40)와 닮은꼴의 다른 엘 가이드(40a)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걷기 훈련 장치의 주행 잠금장치의 상기 리프트 유닛(50)은, 상기 제1 가이드(34) 또는 상기 제2 가이드(36)를 따라 승강하는 섕크(52); 상기 섕크(52)에 형성되어 상기 스프링(60)이 걸쳐져 설치되는 스프링 스텝(54); 및 상기 레일(10)의 로크 홀(16)에 끼워지는 인서트(56)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걷기 훈련 장치의 주행 잠금장치의 상기 리프트 유닛(50)은, 상기 제1 가이드(34) 또는 상기 제2 가이드(36)를 따라 승강하는 섕크(52); 상기 섕크(52)에 형성되어 상기 스프링(60)이 걸쳐져 설치되는 스프링 스텝(54); 상기 스텝(54)의 상측에 형성된 인서트(56); 및 상기 인서트(56)의 상측에 형성되어 상측 위치일 때 상기 레일(10)에 밀착되어 잠금 되는 마찰 패드(58)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걷기 훈련 장치의 주행 잠금장치는, 상기 로크 레버 유닛(70)은, 상기 인서트(56)에 끼워져 상기 인서트(56)에서 회전 운동하는 바렐(72); 및 상기 바렐(72)에 형성되어 상기 엘 가이드(40)를 관통하는 로드(74)를 포함하여 구성하며, 상기 로크 레버 유닛(70)이 하강 운동하면 상기 바렐(72)이 상기 스프링 스텝(54)을 눌러서 상기 리프트 유닛(50)을 하강 운동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걷기 훈련 장치의 주행 잠금장치는, 레버 유닛(90)을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고, 상기 레버 유닛(90)은, 레버(95)와 상기 케이싱(30)에 축 결합하는 제1 축(91); 상기 섕크(52)와 상기 레버(95)에 축 결합하는 제2 축(92); 및 상기 레버(95)와 축 결합하는 제3 축(93)을 포함하여 구성하고, 상기 로크 레버 유닛(70)은, 바렐(72)에 형성되고 상기 엘 가이드(40)를 관통하는 로드(74)를 포함하여 구성하며, 상기 로크 레버 유닛(70)이 하강 운동하면 상기 바렐(72)이 상기 제3 축(93)을 눌러서 상기 리프트 유닛(50)을 하강 운동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걷기 훈련 장치의 주행 잠금장치는, 상기 리프트 유닛(50)이 승강 운동하는 운동 방향과 나란하게 상기 케이싱(30)에 설치된 가이드 샤프트(100)를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고, 상기 제3 축(93)은 링크 가이드(94)가 형성되며, 상기 바렐(72)과 상기 링크 가이드(94)는 상기 가이드 샤프트(100)를 따라 승강 운동이 안내될 수 있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걷기 훈련 장치의 주행 잠금장치는, 사용자가 당김 줄을 당겼다 젖히는 단순한 행동을 함으로써 주행 잠금장치를 잠금 설정할 수 있고, 사용자가 당김 줄을 젖혔다가 놓는 단순한 행동을 함으로써 잠금 해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걷기 훈련 장치의 주행 잠금장치는, 당김 줄이 제대로 고정되었는지 주의 깊게 살피지 않더라도 되므로 사용자의 편의를 증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걷기 훈련 장치의 주행 잠금장치는, 잠금 설정 작동 또는 잠금 해제 작동의 정확성을 담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걷기 훈련 장치의 주행 잠금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걷기 훈련 장치의 주행 잠금장치에서 주요 구성을 발췌하여 보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걷기 훈련 장치의 주행 잠금장치에서 주요 구성을 분해하여 보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걷기 훈련 장치의 주행 잠금장치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할 도면으로써 잠금 설정된 상태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걷기 훈련 장치의 주행 잠금장치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써, 잠금 해제된 상태이고, 도 5의 (a)는 아래쪽에서 올려다본 투시도이고, 도 5의 (b)는 정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걷기 훈련 장치의 주행 잠금장치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써, 잠금 해제가 유지된 상태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걷기 훈련 장치의 주행 잠금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걷기 훈련 장치의 주행 잠금장치에서 주요 구성을 발췌하여 보인 도면이다.
도 10과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걷기 훈련 장치의 주행 잠금장치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할 도면으로써 잠금 설정된 상태를 보인 정면 단면도와 측면도이다.
도 12와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걷기 훈련 장치의 주행 잠금장치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써, 잠금 해제된 상태이고, 도 12는 아래쪽에서 올려다본 투시도이고, 도 13은 측면 단면도이다.
도 14와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걷기 훈련 장치의 주행 잠금장치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써, 잠금 해제가 유지된 상태이고, 도 14는 아래쪽에서 올려다본 투시도이고, 도 15는 측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걷기 훈련 장치의 주행 잠금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걷기 훈련 장치의 주행 잠금장치에서 주요 구성을 발췌하여 보인 도면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걷기 훈련 장치의 주행 잠금장치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할 도면으로써 잠금 설정된 상태를 보인 측면 단면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걷기 훈련 장치의 주행 잠금장치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써, 잠금 해제된 상태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걷기 훈련 장치의 주행 잠금장치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써, 잠금 해제가 유지된 상태이고, 아래쪽에서 올려다본 투시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걷기 훈련 장치의 주행 잠금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2와 도 2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걷기 훈련 장치의 주행 잠금장치에서 주요 구성을 발췌하여 보인 도면이다.
도 2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걷기 훈련 장치의 주행 잠금장치에서 주요 구성을 분해하여 보인 도면이다.
도 2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걷기 훈련 장치의 주행 잠금장치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할 도면으로써 잠금 설정된 상태를 보인 정면도이다.
도 2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걷기 훈련 장치의 주행 잠금장치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써, 잠금 해제된 상태이다.
도 27과 도 2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걷기 훈련 장치의 주행 잠금장치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써, 잠금 해제가 유지된 상태이고, 도 27은 아래쪽에서 올려다본 투시도이며, 도 28은 정면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이며,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와 다르게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하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요소에 대한 자세한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 및 구체적인 도시를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실제 축척대로 도시한 것이 아니라 일부 구성요소의 크기가 과장되게 도시할 수 있다.
한편,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 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다른 한편,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설정된 용어로서 이는 생산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제1 실시예>
이하, 도 1부터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걷기 훈련 장치의 주행 잠금장치에 관해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걷기 훈련 장치의 주행 잠금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걷기 훈련 장치의 주행 잠금장치에서 주요 구성을 발췌하여 보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걷기 훈련 장치의 주행 잠금장치에서 주요 구성을 분해하여 보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걷기 훈련 장치의 주행 잠금장치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할 도면으로써 잠금 설정된 상태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걷기 훈련 장치의 주행 잠금장치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써, 잠금 해제된 상태이고, 도 5의 (a)는 아래쪽에서 올려다본 투시도이고, 도 5의 (b)는 정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걷기 훈련 장치의 주행 잠금장치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써, 잠금 해제가 유지된 상태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걷기 훈련 장치의 주행 잠금장치는, 레일(10), 휠 유닛(20), 케이싱(30), 엘 가이드(40), 리프트 유닛(50), 스프링(60) 및 로크 레버 유닛(70)을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레일(10)은 공중에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레일(10)은 천장에 설치되거나 구조물에 매달리는 형태로 설치될 수 있다. 구조물은 천장이나 벽체에 고정된 고정식 구조물일 수 있고, 바닥에 휠이 설치되어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이동식 구조물일 수 있다.
상기 레일(10)은 제1 면(12)과 제2 면(14)을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제1 면(12)은 레일(10)의 바닥면을 형성하는 면일 수 있다. 제2 면(14)은 상부체와 하부체를 구획하는 면일 수 있다.
상기 제1 면(12)은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로크 홀(16)이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
휠 유닛(20)은 상기 레일(10)을 따라 주행할 수 있다. 좀 더 상세하게는 상기 휠 유닛(20)은 제1 면(12)과 제2 면(14)의 사이에 설치되고 제1 면(12)의 위쪽 면을 따라 주행할 수 있다.
상기 휠 유닛(20)은 브래킷에 복수의 휠이 설치된 구성일 수 있다.
케이싱(30)은 상기 휠 유닛(20)에 설치될 수 있고, 내부 또는 한쪽에 스프링 플레이트(32)가 형성될 수 있다.
엘 가이드(40)는 상기 케이싱(30)에 영문자 L 자 형상으로 뚫려 형성될 수 있다. 엘 가이드(40)는 좀 더 구체적으로는 제1 위치(41)의 아래쪽에 제2 위치(42)가 형성되고, 상기 제2 위치(42)의 옆쪽으로 제3 위치(43)가 형성된다.
리프트 유닛(50)은 상기 케이싱(30)에 배치되어 승강 운동할 수 있다. 리프트 유닛(50)은 상승 위치일 때 상기 레일(10)에 잠금 되고, 하강 위치일 때 잠금 해제된다.
스프링(60)은 한쪽이 상기 스프링 플레이트(32)에 설치될 수 있고, 다른 한쪽은 상기 리프트 유닛(50)에 설치될 수 있다. 스프링(60)은 상기 리프트 유닛(50)이 상기 레일(10) 쪽으로 이동하도록 복원력을 작용한다.
스프링(60)은 압축 스프링이라면 리프트 유닛(50)을 밀어 올리는 방향으로 복원력을 작용하고, 인장 스프링이라면 리프트 유닛(50)을 끌어당기는 방향으로 복원력을 작용할 수 있다.
즉, 스프링(60)은 리프트 유닛(50)에 대한 상대 높낮이 위치에 따라 압축 스프링 또는 인장 스프링을 적용할 수 있다.
로크 레버 유닛(70)은 상기 제1 위치(41)에 위치하면 상기 스프링(60)을 이완시킨다. 로크 레버 유닛(70)은 상기 제2 위치(42)에 위치하면 상기 스프링(60)을 압축시킨다. 로크 레버 유닛(70)은 상기 제3 위치(43)에 위치하면 상기 스프링(60)의 압축 상태를 유지한다.
한편으로,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케이싱(30)에 행거 커넥터(22)가 설치될 수 있고, 행거 커넥터(22)에 멜빵이 설치될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도 1과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로크 레버 유닛(70)에 당김 줄(80)이 묶일 수 있다.
도 1과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로크 레버 유닛(70)이 엘 가이드(40)의 제1 위치(41)에 있으면, 스프링(60)은 확장되면서 리프트 유닛(50)을 밀어 올리고 이완된다. 리프트 유닛(50)은 상측 일부가 제1 면(12)에 형성된 로크 홀(16)에 끼워진다.
또한, 스프링(60)은 리프트 유닛(50)을 상승시키는 방향으로 복원력을 작용함으로써 리프트 유닛(50)이 임의로 하강하지 않는다.
이로써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걷기 훈련 장치의 주행 잠금장치는, 잠금 설정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걷기 훈련 장치의 주행 잠금장치는, 잠금 해제하고자 할 때,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당김 줄(80)을 잡아당기면 로크 레버 유닛(70)은 제1 위치(41)에서 제2 위치(42)로 하강 이동하고, 리프트 유닛(50)을 끌어 내릴 수 있다.
리프트 유닛(50)의 일부는 레일(10)에서 완전하게 벗어나고 이로써 잠금 해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걷기 훈련 장치의 주행 잠금장치는, 잠금 해제를 유지하고자 할 때,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당김 줄(80)을 옆쪽으로 잡아당기면 로크 레버 유닛(70)은 제2 위치(42)에서 제3 위치(43)로 이동한다.
로크 레버 유닛(70)이 제3 위치(43)로 이동하면 스프링(60)의 복원력과 상관없이 리프트 유닛(50)의 높이 위치가 고정된다.
즉, 리프트 유닛(50)은 하강 위치를 유지함으로써 잠금 해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이 상태에서 휠 유닛(20)이 자유롭게 주행할 수 있다.
사용자가 특정 위치에서 멈추고자 할 때는 로크 레버 유닛(70)을 제3 위치(43)에서 제2 위치(42)로 이동시키고, 이어서 제2 위치(42)에서 제1 위치(41)로 이동시킨다.
로크 레버 유닛(70)을 제3 위치(43)에서 제2 위치(42)로 이동시킬 때는 당김 줄(80)을 제2 위치(42)가 있는 쪽으로 당긴다.
로크 레버 유닛(70)을 제2 위치(42)에서 제1 위치(41)로 이동시킬 때는 당김 줄(80)을 놓는다. 당김 줄(80)을 놓으면 스프링(60)의 복원력으로 리프트 유닛(50)을 레일(10) 쪽으로 밀어 올린다.
다만, 리프트 유닛(50)이 상승하더라도 로크 홀(16)과 위치가 맞지 않아서 끼워지지 않을 수 있지만, 이러하면 휠 유닛(20)을 좀 더 전진 주행하거나 좀 더 후진 주행하면 리프트 유닛(50)과 로크 홀(16)을 일치시킬 수 있다.
리프트 유닛(50)과 로크 홀(16)이 일치되면, 리프트 유닛(50)의 일부가 로크 홀(16)에 끼워져 잠금 설정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걷기 훈련 장치의 주행 잠금장치는, 사용자가 당김 줄(80)을 당겼다 젖히는 단순한 행동을 함으로써 주행 잠금장치를 잠금 설정할 수 있고, 사용자가 당김 줄(80)을 젖혔다가 놓는 단순한 행동을 함으로써 잠금 해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걷기 훈련 장치의 주행 잠금장치는, 당김 줄(80)이 제대로 고정되었는지 주의 깊게 살피지 않더라도 되므로 사용자의 편의를 증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걷기 훈련 장치의 주행 잠금장치는, 잠금 설정 작동 또는 잠금 해제 작동의 정확성을 담보할 수 있다.
한편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걷기 훈련 장치의 주행 잠금장치는, 상기 스프링 플레이트(32)에 제1 가이드(34)를 형성할 수 있고, 또는 상기 케이싱(30)에 제2 가이드(36)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1 가이드(34)는 도 3과 도 4에 표현되어 있고, 상기 제2 가이드(36)는 도 2와 도 4에 표현되어 있다.
상기 리프트 유닛(50)은 상기 제1, 2 가이드(34, 36)에 안내되어 직선으로 승강 운동할 수 있다.
이로써 리프트 유닛(50)은 케이싱(30)에서 임의로 흔들리지 않고, 임의로 뒤틀리지 않으며, 곧은 자세를 유지하면서 승강 운동할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도 1, 도 5 및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걷기 훈련 장치의 주행 잠금장치는, 아웃터 케이스(38)를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아웃터 케이스(38)는 상기 케이싱(30)의 겉을 둘러쌓도록 배치되고, 이로써 주요 구성요소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고 가려지도록 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걷기 훈련 장치의 주행 잠금장치의 주요 구성이 외부 충격으로부터 훼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외관을 미려하게 장식할 수 있다.
상기 아웃터 케이스(38)는 상기 엘 가이드(40)와 닮은꼴의 다른 엘 가이드(40a)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엘 가이드(40a)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로크 레버 유닛(70)이 관통하여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리프트 유닛(50)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섕크(52), 스프링 스텝(54) 및 인서트(56)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섕크(52)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제1 가이드(34)를 따라 승강할 수 있다. 또한, 섕크(52)는 상기 제2 가이드(36)를 따라 승강할 수 있다.
스프링 스텝(54)은 상기 섕크(52)에 형성되어 상기 스프링(60)이 걸쳐져 설치되도록 구성한다.
도 3에 표현된 스프링 스텝(54)은 섕크(52)의 외주연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프링(60)이 걸쳐질 수 있고, 이로써 스프링(60)이 확장하면 스프링 스텝(54)은 밀려날 수 있다. 반대로, 리프트 유닛(50)이 하강하면, 스프링 스텝(54)은 스프링(60)을 압축할 수 있다.
인서트(56)는 리프트 유닛(50)의 상측 일부분이고, 리프트 유닛(50)이 상승 위치일 때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레일(10)의 로크 홀(16)에 끼워진다.
상기 로크 레버 유닛(70)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바렐(72) 및 로드(74)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바렐(72)은 원통 형상으로 제공되고 상기 인서트(56)에 끼워져 설치될 수 있다. 즉, 바렐(72)은 상기 인서트(56)에서 회전 운동할 수 있다.
로드(74)는 상기 바렐(72)에 형성되어 상기 엘 가이드(40)를 관통하는 구성이다.
상기 로크 레버 유닛(70)이 하강 운동하면 상기 바렐(72)이 상기 스프링 스텝(54)을 누를 수 있고, 이로써 상기 리프트 유닛(50)을 하강 운동시킬 수 있다.
로드(74)의 바깥 끝부분에는 링(76)을 구성할 수 있고, 링(76)에 당김 줄(80)이 묶일 수 있다.
즉, 당김 줄(80)을 밑으로 당기면 로크 레버 유닛(70)은 제1 위치(41)에서 제2 위치(42)로 이동할 수 있고, 이어서 당김 줄(80)을 옆쪽으로 젖혀서 당기면 로크 레버 유닛(70)은 리프트 유닛(50)의 인서트(56)에서 회전함과 아울러 제2 위치(42)에서 제3 위치(43)로 이동할 수 있다.
반대로, 당김 줄(80)을 젖히며 당기면 제3 위치(43)에서 제2 위치(42)로 이동시킬 수 있고, 로크 레버 유닛(70)은 리프트 유닛(50)의 인서트(56)에서 회전할 수 있다. 이후 당김 줄(80)을 놓으면 스프링(60)은 리프트 유닛(50)을 상승시키고, 리프트 유닛(50)은 로크 레버 유닛(70)을 상승시키고, 제2 위치(42)에서 제1 위치(41)로 이동시킨다.
즉, 로크 레버 유닛(70)은 회전 운동과 승강 운동을 복합적으로 구현할 수 있게 한다.
<제2 실시예>
이하, 도 7부터 도 1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걷기 훈련 장치의 주행 잠금장치에 관해서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걷기 훈련 장치의 주행 잠금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걷기 훈련 장치의 주행 잠금장치에서 주요 구성을 발췌하여 보인 도면이다. 도 10과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걷기 훈련 장치의 주행 잠금장치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할 도면으로써 잠금 설정된 상태를 보인 정면 단면도와 측면도이다. 도 12와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걷기 훈련 장치의 주행 잠금장치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써, 잠금 해제된 상태이고, 도 12는 아래쪽에서 올려다본 투시도이고, 도 13은 측면 단면도이다. 도 14와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걷기 훈련 장치의 주행 잠금장치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써, 잠금 해제가 유지된 상태이고, 도 14는 아래쪽에서 올려다본 투시도이고, 도 15는 측면도이다.
제2 실시예는 제1 실시예의 리프트 유닛(50)을 설계 변경한 것이 차이점이다. 좀 더 상세하게는, 제1 실시예의 리프트 유닛(50)은 인서트(56)가 1개이고, 제2 실시예의 리프트 유닛(50)은 인서트(56)가 복수이다.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걷기 훈련 장치의 주행 잠금장치는, 휠 유닛(20)에 행거 커넥터(22)가 설치될 수 있고, 휠 유닛(20)의 측면에 리프트 유닛(50)이 배치될 수 있다.
사용자의 체중은 행거 커넥터(22)에 작용할 것이고, 행거 커넥터(22)는 휠 유닛(20)에 설치되게 구성함으로써 사용자의 체중이 휠 유닛(20)을 통하여 레일(10)에 전달될 수 있으며, 이로써 사용자의 체중이 다소 무겁더라도 멈춤 장치에 고장을 일으킬 우려를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걷기 훈련 장치의 주행 잠금장치의 리프트 유닛(50)은 인서트(56)가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부연 설명하면, 레일(10)은 휠 유닛(20)의 휠이 주행할 수 있는 구성을 단수 또는 복수로 구성할 수 있고, 인서트(56)는 복수의 휠이 주행할 수 있는 구성에 대응하는 개수로 형성한 것이다.
또한, 레일(10)은 도 10과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로크 홀(16)이 제2 면(14)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걷기 훈련 장치의 주행 잠금장치는, 복수의 위치에서 인서트(56)가 로크 홀(16)에 끼워질 수 있고, 이로써 잠금 설정 효과를 현저하게 향상할 수 있다.
제2 실시예에 설명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걷기 훈련 장치의 주행 잠금장치는, 당김 줄(80)을 당긴 후 젖히거나, 젖힌 상태로 당겨서 놓는 것이고, 로크 레버 유닛(70)이 회전하고 승강하는 작용 및 리프트 유닛(50)이 오르내리며, 이러한 작동은 제1 실시예의 설명에 기재된 사항과 같으므로 중복된 설명을 피하고자 생략한다.
<제3 실시예>
이하, 도 16부터 도 2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걷기 훈련 장치의 주행 잠금장치에 관해서 설명한다. 도 1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걷기 훈련 장치의 주행 잠금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걷기 훈련 장치의 주행 잠금장치에서 주요 구성을 발췌하여 보인 도면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걷기 훈련 장치의 주행 잠금장치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할 도면으로써 잠금 설정된 상태를 보인 측면 단면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걷기 훈련 장치의 주행 잠금장치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써, 잠금 해제된 상태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걷기 훈련 장치의 주행 잠금장치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써, 잠금 해제가 유지된 상태이고, 아래쪽에서 올려다본 투시도이다.
본 발명의 또 실시예에 따른 걷기 훈련 장치의 주행 잠금장치는, 리프트 유닛(50)의 상측에 마찰 패드(58)를 구성한 것이다.
도 1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리프트 유닛(50)은, 섕크(52), 스프링 스텝(54), 인서트(56) 및 마찰 패드(58)을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섕크(52)는 도 1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가이드(34)에 설치되어 승강 운동할 수 있다.
한편으로, 스프링(60)이 인장 스프링으로 적용되면, 섕크(52)는 케이싱(30)에 형성된 제2 가이드(36)를 따라 승강할 수 있다.
스프링 스텝(54)은 상기 섕크(52)에 형성되어 상기 스프링(60)이 걸쳐져 설치될 수 있다.
인서트(56)는 상기 스텝(54)의 상측에 형성될 수 있고, 인서트(56)는 상기 제2 가이드(36)를 따라 승강할 수 있다.
마찰 패드(58)는 도 1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인서트(56)의 상측에 형성되어 상측 위치일 때 상기 레일(10)에 밀착되어 잠금 될 수 있다.
마찰 패드(58)는 마찰 계수가 높은 재질일 수 있고, 예를 들면, 표면이 거칠게 가공된 금속일 수 있고, 고무 패드일 수 있으며, 가죽 또는 인조 가죽이 덧대어 구성될 수 있다.
제3 실시예에 설명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걷기 훈련 장치의 주행 잠금장치는, 레일(10)의 임의 위치에서 휠 유닛(20)의 주행을 멈추어 세울 수 있다.
또한, 제3 실시예는 제1, 2 실시예처럼 레일(10)에 로크 홀(16)을 가공하지 않음으로써 제작이 간소화되어 제작비용을 아낄 수 있다.
<제4 실시예>
이하, 도 21부터 도 2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걷기 훈련 장치의 주행 잠금장치에 관해서 설명한다. 도 2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걷기 훈련 장치의 주행 잠금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2와 도 2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걷기 훈련 장치의 주행 잠금장치에서 주요 구성을 발췌하여 보인 도면이다. 도 2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걷기 훈련 장치의 주행 잠금장치에서 주요 구성을 분해하여 보인 도면이다. 도 2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걷기 훈련 장치의 주행 잠금장치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할 도면으로써 잠금 설정된 상태를 보인 정면도이다. 도 2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걷기 훈련 장치의 주행 잠금장치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써, 잠금 해제된 상태이다. 도 27과 도 2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걷기 훈련 장치의 주행 잠금장치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써, 잠금 해제가 유지된 상태이고, 도 27은 아래쪽에서 올려다본 투시도이며, 도 28은 정면도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걷기 훈련 장치의 주행 잠금장치는, 도 2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레버 유닛(90)을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레버 유닛(90)은, 제1, 2, 3 축(91, 92, 93) 및 레버(95)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제1 축(91)은 도 2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레버(95)와 상기 케이싱(30)에 축 결합할 수 있다. 제2 축(92)은 상기 섕크(52)와 상기 레버(95)에 축 결합할 수 있다. 제3 축(93)은 상기 레버(95)와 축 결합할 수 있다.
제4 실시예는 상기 로크 레버 유닛(70)이 하강 운동하면 상기 제3 축(93)을 눌러서 상기 리프트 유닛(50)을 하강 운동시킬 수 있다.
제4 실시예에 설명된 로크 레버 유닛(70)은 앞서 설명된 제1 실시예의 로크 레버 유닛(70)의 구성과 같으므로 중복 설명을 피하고자 생략한다.
도 2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로크 레버 유닛(70)이 상승 위치이면 스프링(60)의 복원력이 리프트 유닛(50)을 밀어 올리고, 리프트 유닛(50)이 올라가면 제2 축(92)이 올라가고, 이로써 레버(95)는 제1 축(91)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제3 축(93)을 상승시킨다. 제3 축(93)은 로크 레버 유닛(70)을 상승 위치로 이동시킨다.
한편으로, 도 2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리프트 유닛(50)이 상승 위치이면 인서트(56)는 레일(10)의 로크 홀(16)에 끼워져 잠금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인서트(56)에 마찰 패드(58)가 갖춰져 있는 구성이라면 마찰 패드(58)가 레일(10)에 밀착되어 잠금 설정될 수 있다.
이후, 당김 줄(80)을 당기면 로크 레버 유닛(70)은 제3 축(93)을 누르고, 이로써 레버(95)는 제1 축(91)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제2 축(92)을 내린다. 제2 축(92)은 리프트 유닛(50)을 눌러 내리고, 이로써 스프링(60)은 압축되고 아울러 인서트(56)는 레일(10)의 로크 홀(16)에서 벗어나 잠금 해제된다.
이후, 당김 줄(80)을 제2 위치(42)에서 제3 위치(43) 쪽으로 젖히면서 당기면 도 27과 도 2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로크 레버 유닛(70)이 회전하고, 로크 레버 유닛(70)의 로드(74)는 엘 가이드(40a)의 제3 위(43)로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제4 실시예에 설명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걷기 훈련 장치의 주행 잠금장치는, 레버 유닛(90)을 이용함으로써 지렛대 원리를 이용할 수 있다.
스프링(60)의 장력은 레일(10)에 휠 유닛(20)의 주행을 억제하도록 강한 힘으로 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걷기 훈련 장치의 주행 잠금장치에 지렛대 원리가 적용된 것에 관하여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레버(95)는 제1 축(91)을 중심으로 회전하고, 제2 축(92)은 제3 축(93)보다 제1 축(91)에 가깝게 배치된다. 이로써 제3 축(93)에 작은 힘을 작용하더라도 제2 축(92)에는 큰 힘이 작용할 수 있다.
따라서 제4 실시예에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걷기 훈련 장치의 주행 잠금장치는, 다소 적은 힘으로 스프링(60)의 장력을 극복하여 작동시킬 수 있고, 스프링(60)은 큰 장력으로 작용할 것이므로 휠 유닛(20)의 주행을 더 강한 힘으로 억제하여 잠금 설정을 더욱 견고하게 구현할 수 있다.
한편으로, 도 22부터 도 2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4 실시예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걷기 훈련 장치의 주행 잠금장치는, 가이드 샤프트(100)를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가이드 샤프트(100)는 상기 리프트 유닛(50)이 승강 운동하는 운동 방향과 나란하게 상기 케이싱(30)에 설치될 수 있다.
한편으로, 상기 제3 축(93)은 도 2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링크 가이드(94)가 형성될 수 있다.
도 23과 도 2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바렐(72)과 상기 링크 가이드(94)는 상기 가이드 샤프트(100)에 설치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바렐(72)과 상기 링크 가이드(94)는 상기 가이드 샤프트(100)를 따라 승강 운동이 안내될 수 있다.
사용자는 당김 줄(80)을 잡아당겨 로크 레버 유닛(70)을 이동시킬 때, 로크 레버 유닛(70)은 가이드 샤프트(100)에 종속되어 직선으로 승강 운동할 수 있다.
즉, 레버(95)가 제1 축(91)을 중심으로 회전 운동하더라도 제3 축(93)과 로크 레버 유닛(70)은 임의로 흔들림 없이 안정되게 수직 방향으로 승강 운동할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상기 레버(95)는 제2 축(92)과 결합하도록 하는 구멍(95a)이 도 2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 축(92)의 지름보다 훨씬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레버(95)는 제3 축(93)과 결합하도록 하는 다른 구멍(95b)이 도 2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3 축(93)의 지름보다 훨씬 크게 형성될 수 있다.
구멍(95a, 95b)을 크게 형성함으로써 레버(95)의 자세 각도가 변하더라도 레버(95)와 제2, 3 축(92, 93)은 끼임 현상이 없이 작동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해당 업계 종사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걷기 훈련 장치의 주행 잠금장치는, 공중에 설치된 레일을 따라 휠 유닛을 이동시키고, 휠 유닛에 매달린 상태에서 걷기 훈련을 하다가 제자리에 멈추고 싶을 때 휠 유닛을 레일에 고정하는 데에 이용할 수 있다.
10: 레일
12, 14: 제1, 2 면 16: 로크 홀
20: 휠 유닛 22: 행거 커넥터
30: 케이싱 32: 스프링 플레이트
34, 36: 제1, 2 가이드 38: 아웃터 케이스
40: 엘 가이드 41, 42, 43: 제1, 2, 3 위치
50: 리프트 유닛 52: 섕크
54: 스프링 스텝 56: 인서트
58: 마찰 패드 59: 홀
60: 스프링
70: 로크 레버 유닛 72: 바렐
74: 로드 76: 링
80: 당김 줄 90: 레버 유닛
91, 92, 93: 제1, 2, 3 축 94: 링크 가이드
95: 레버 100: 가이드 샤프트

Claims (8)

  1. 공중에 설치되는 레일(10);
    상기 레일(10)을 따라 주행하는 휠 유닛(20);
    상기 휠 유닛(20)에 설치되고, 스프링 플레이트(32)가 형성된 케이싱(30);
    상기 케이싱(30)에 제1 위치(41)의 아래쪽에 제2 위치(42)가 형성되고, 상기 제2 위치(42)의 옆쪽으로 제3 위치(43)가 형성된 엘 가이드(40);
    상기 케이싱(30)에 배치되어 승강 운동하고, 상승 위치일 때 상기 레일(10)에 잠금 되고, 하강 위치일 때 잠금 해제되는 리프트 유닛(50);
    한쪽은 상기 스프링 플레이트(32)에 설치되고, 다른 한쪽은 상기 리프트 유닛(50)에 설치되며, 상기 리프트 유닛(50)이 상기 레일(10) 쪽으로 이동하도록 복원력을 작용하는 스프링(60); 및
    상기 제1 위치(41)에 위치하면 상기 스프링(60)을 이완시키고, 상기 제2 위치(42)에 위치하면 상기 스프링(60)을 압축시키며, 상기 제3 위치(43)에 위치하면 상기 스프링(60)의 압축 상태를 유지하는 로크 레버 유닛(70);
    을 포함하는 걷기 훈련 장치의 주행 잠금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플레이트(32) 또는 상기 케이싱(30)에 형성되어 상기 리프트 유닛(50)이 직선으로 승강 운동하도록 안내하는 제1 가이드(34) 또는 제2 가이드(36);
    를 포함하는 걷기 훈련 장치의 주행 잠금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30)의 겉을 둘러쌓도록 배치된 아웃터 케이스(38)를 더 포함하고,
    상기 아웃터 케이스(38)는 상기 엘 가이드(40)와 닮은꼴의 다른 엘 가이드(40a)가 형성된 것
    을 포함하는 걷기 훈련 장치의 주행 잠금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트 유닛(50)은,
    상기 제1 가이드(34) 또는 상기 제2 가이드(36)를 따라 승강하는 섕크(52);
    상기 섕크(52)에 형성되어 상기 스프링(60)이 걸쳐져 설치되는 스프링 스텝(54); 및
    상기 레일(10)의 로크 홀(16)에 끼워지는 인서트(56);
    를 포함하는 걷기 훈련 장치의 주행 잠금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트 유닛(50)은,
    상기 제1 가이드(34) 또는 상기 제2 가이드(36)를 따라 승강하는 섕크(52);
    상기 섕크(52)에 형성되어 상기 스프링(60)이 걸쳐져 설치되는 스프링 스텝(54);
    상기 스텝(54)의 상측에 형성된 인서트(56); 및
    상기 인서트(56)의 상측에 형성되어 상측 위치일 때 상기 레일(10)에 밀착되어 잠금 되는 마찰 패드(58);
    를 포함하는 걷기 훈련 장치의 주행 잠금장치.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로크 레버 유닛(70)은, 상기 인서트(56)에 끼워져 상기 인서트(56)에서 회전 운동하는 바렐(72); 및 상기 바렐(72)에 형성되어 상기 엘 가이드(40)를 관통하는 로드(74)를 포함하여 구성하며,
    상기 로크 레버 유닛(70)이 하강 운동하면 상기 바렐(72)이 상기 스프링 스텝(54)을 눌러서 상기 리프트 유닛(50)을 하강 운동시키는 것
    을 포함하는 걷기 훈련 장치의 주행 잠금장치.
  7.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레버 유닛(90)을 더 포함하고,
    상기 레버 유닛(90)은, 레버(95)와 상기 케이싱(30)에 축 결합하는 제1 축(91); 상기 섕크(52)와 상기 레버(95)에 축 결합하는 제2 축(92); 및 상기 레버(95)와 축 결합하는 제3 축(93)을 포함하여 구성하고,
    상기 로크 레버 유닛(70)은, 바렐(72)에 형성되고 상기 엘 가이드(40)를 관통하는 로드(74)를 포함하여 구성하며,
    상기 로크 레버 유닛(70)이 하강 운동하면 상기 바렐(72)이 상기 제3 축(93)을 눌러서 상기 리프트 유닛(50)을 하강 운동시키는 것
    을 포함하는 걷기 훈련 장치의 주행 잠금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트 유닛(50)이 승강 운동하는 운동 방향과 나란하게 상기 케이싱(30)에 설치된 가이드 샤프트(100);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3 축(93)은 링크 가이드(94)가 형성되며,
    상기 바렐(72)과 상기 링크 가이드(94)는 상기 가이드 샤프트(100)를 따라 승강 운동이 안내되는 것
    을 포함하는 걷기 훈련 장치의 주행 잠금장치.
KR1020210186259A 2021-12-23 2021-12-23 걷기 훈련 장치의 주행 잠금장치 KR2023009661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6259A KR20230096611A (ko) 2021-12-23 2021-12-23 걷기 훈련 장치의 주행 잠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6259A KR20230096611A (ko) 2021-12-23 2021-12-23 걷기 훈련 장치의 주행 잠금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96611A true KR20230096611A (ko) 2023-06-30

Family

ID=869598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86259A KR20230096611A (ko) 2021-12-23 2021-12-23 걷기 훈련 장치의 주행 잠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96611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2069B1 (ko) 2019-05-09 2020-10-06 김세곤 위치 고정이 가능한 이송트롤리를 구비한 보행 보조용 이송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2069B1 (ko) 2019-05-09 2020-10-06 김세곤 위치 고정이 가능한 이송트롤리를 구비한 보행 보조용 이송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839555A (zh) 儿童安全座椅支撑座
CN102946946B (zh) 紧急逃生装置
JP2007521177A (ja) 乗り物の伸縮自在なステム用の停止装置
JP5098040B2 (ja) 4車輪付きのバッグ
US6273112B1 (en) Extendable stick
JP5945646B1 (ja) 階段の昇降補助装置
US4289244A (en) Supporting apparatus for medical bottles and the like
US8632442B2 (en) Weight control apparatus for a weight training machine
KR20230096611A (ko) 걷기 훈련 장치의 주행 잠금장치
CN106580603A (zh) 卧床人员辅助搬抬机
US9700111B2 (en) Extendable sled device and method for its use
JP4127564B2 (ja) 降下装置
JP2015528084A (ja) クランプ装置
JP6868509B2 (ja) 避難装置
KR102483933B1 (ko) 걷기 훈련 장치의 주행 잠금장치
JP2008272316A (ja) 4車輪付きのバッグ
CN106422216B (zh) 一种管式锁板攀登器
CN207776305U (zh) 一种滑道楼梯
JP7054533B2 (ja) 物置棚構造
KR102572334B1 (ko) 물리치료 슬링을 위한 이동 잠금장치
KR200312156Y1 (ko) 운동용 프레스의 높낮이 조절장치
JP2007159735A (ja) キャスター付の鞄
US244388A (en) giffoed
CN101433745B (zh) 开合式滑索器
US1174684A (en) Fire-escap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