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17429A - 운동장치 - Google Patents

운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17429A
KR20160017429A KR1020140100904A KR20140100904A KR20160017429A KR 20160017429 A KR20160017429 A KR 20160017429A KR 1020140100904 A KR1020140100904 A KR 1020140100904A KR 20140100904 A KR20140100904 A KR 20140100904A KR 20160017429 A KR20160017429 A KR 201600174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pe
opening
main body
pulley
m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009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77088B1 (ko
Inventor
최철수
Original Assignee
최철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철수 filed Critical 최철수
Priority to KR10201401009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77088B1/ko
Publication of KR201600174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174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770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770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15Arrangements for force transmissions
    • A63B21/151Using flexible elements for reciprocating movements, e.g. ropes or chains
    • A63B21/153Using flexible elements for reciprocating movements, e.g. ropes or chains wound-up and unwound during exercise, e.g. from a reel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0058Mechanical means for varying the resistance
    • A63B21/00065Mechanical means for varying the resistance by increasing or reducing the number of resistance unit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15Arrangements for force transmissions
    • A63B21/151Using flexible elements for reciprocating movements, e.g. ropes or chains
    • A63B21/154Using flexible elements for reciprocating movements, e.g. ropes or chains using special pulley-assemblies

Abstract

본 발명은 단일의 로프를 사용하여 제1결합부 및 제2결합부를 동시에 균형있게 승강시키고, 이에 따라, 환자가 균형잡힌 상태에서 운동을 진행하여 운동 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는 운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운동장치는 양 측방에 형성된 제1개구부 및 제2개구부와, 하방에 형성된 제3개구부를 포함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내부를 관통하도록 배치되며, 보조장치가 결합되는 로프와, 상기 본체 내부에서 상기 제1개구부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상기 로프를 지지하는 제1메인풀리와, 상기 본체 내부에서 상기 제2개구부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상기 로프를 지지하는 제2메인풀리 및 상기 본체 내부에서 상기 제3개구부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운동모드에 따라 상기 로프를 지지하는 서브풀리를 포함하고, 상기 로프는 상기 로프의 일단에 형성되며, 상기 제1개구부를 통해 상기 본체 외부로 노출되는 제1결합부와, 상기 로프의 타단에 형성되며, 상기 제2개구부를 통해 상기 본체 외부로 노출되는 제2결합부와, 상기 제1결합부와 상기 제2결합부의 사이에 형성되는 조절부를 포함하고, 상기 로프는 단일의 줄로 형성되어 상기 제1결합부, 상기 제2결합부 및 상기 조절부가 모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Description

운동장치{APPARATUS FOR EXERCISING}
본 발명은 로프를 이용한 운동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간단한 구조를 가지는 운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흔들리는 줄을 이용하여 환자 스스로 능동적인 운동을 시행함으로써 손상 부위를 치료하고 건강을 도모하는 슬링 운동 방법이 고안되어 적용되고 있다. 근력이 약한 환자 또는 노인도 중력 및 기타 부하의 영향 없이 운동을 할 수 있기 때문에 치료의 방법으로도 슬링 운동 방법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슬링 운동 치료에 사용되는 운동장치를 슬링이라고 한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운동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기술에 따른 운동장치(1)는 외형을 형성하는 본체(2)와, 상기 본체(2)를 관통하도록 배치되는 2개의 로프(3, 4)와, 상기 로프(3, 4)를 지지 및 가이드하도록 상기 본체(2)의 내부에 배치되는 4개의 풀리(5)로 구성된다.
상기 풀리(5)는 상기 로프(3, 4)의 방향을 가이드한다. 1개의 로프(3, 4)는 각각 2개의 풀리(5)에 의해 지지 및 가이드된다 .
2개의 로프(3, 4)는 풀리(5)에 의해 가이드되어 상기 본체(2)를 관통한다. 2개의 로프(3, 4)는 상기 본체(2)의 중심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되도록 배치된다.
상기 로프(3, 4)의 제1단(6, 6')에는 각종 보조장치가 결합된다. 보조장치는 환자를 지탱하는 각종 홀더, 손잡이 등을 포함한다.
상기 로프(3, 4)의 제2단(7, 7')은 치료사 또는 운동 보조자(이하 '치료사'라 함)가 잡는 부분이다. 치료사는 상기 제2단(7, 7')을 잡고 힘을 가함으로써, 상기 제1단(6, 6')이 승강하게 한다. 즉, 치료사는 상기 제2단(7, 7')을 조절하여 상기 제1단(6, 6')에 지지된 환자 또는 환자의 신체 일부를 승강시키게 된다.
위와 같은 종래기술에 따른 운동장치(1)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문제가 발생한다.
첫째, 2개의 로프(3, 4)는 치료사가 별도로 존재하는 각각의 제2단(7, 7')을 조절하여 각각의 제1단(6, 6')을 승강시키게 된다. 이때 2개의 제1단(6, 6')의 균형은 온전히 치료사의 감각에만 의존할 수밖에 없다. 예를 들어, 2개의 제1단(6, 6')에는 환자의 양 팔이 각각 지지되는 경우, 치료 및 운동을 위해서는 양팔이 동일하게 승강하여 균형을 유지할 필요가 있다. 이때, 종래기술에 따른 운동장치(1)에 의하면 2개의 로프(3, 4)는 분리되어 있고 서로 연동하지 않기 때문에 2개의 제1단(6, 6') 역시 별개로 움직이게 된다. 이때, 치료사는 감각 특히, 시각을 이용하여 환자의 양팔의 균형을 맞추지만, 이는 환자를 보는 각도와 시선의 높이 등에 따라서 달라지는 것이기 때문에 정확한 균형을 맞추기 어려워 문제가 된다.
슬링 운동 방법은 근력이 약한 환자 또는 노인에게 적용되는 것으로서 균형이 잡히지 않은 상태에서 수행하면, 운동 효과가 저하되고, 심하게는 오히려 환자의 상태를 악화시킬 수 있어 문제가 된다.
둘째, 치료 방법에 따라서는 2개의 로프(3, 4)를 모두 사용하지 않고, 하나의 로프만 사용하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어, 환자의 한쪽의 어깨만 운동하는 경우 하나의 로프(3)만 사용하여 운동을 수행하게 된다. 이때, 다른 로프(4)는 사용되지 않지만, 제거할 수는 없기 때문에 운동하는 환자를 방해하게 된다. 즉, 환자가 편안한 환경에서 운동할 수 없어 문제가 된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로프를 균형 있게 조절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진 운동장치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하나의 로프만 사용하는 운동 시에도 다른 로프 및 보조장치에 의해 방해받지 않고 운동이 가능한 운동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하기와 같은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운동장치는 양 측방에 형성된 제1개구부 및 제2개구부와, 하방에 형성된 제3개구부를 포함하는 본체; 상기 본체의 내부를 관통하도록 배치되며, 보조장치가 결합되는 로프; 상기 본체 내부에서 상기 제1개구부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상기 로프를 지지하는 제1메인풀리; 상기 본체 내부에서 상기 제2개구부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상기 로프를 지지하는 제2메인풀리; 및 상기 본체 내부에서 상기 제3개구부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운동모드에 따라 상기 로프를 지지하는 서브풀리를 포함하고, 상기 로프는 상기 로프의 일단에 형성되며, 상기 제1개구부를 통해 상기 본체 외부로 노출되는 제1결합부; 상기 로프의 타단에 형성되며, 상기 제2개구부를 통해 상기 본체 외부로 노출되는 제2결합부; 상기 제1결합부와 상기 제2결합부의 사이에 형성되는 조절부를 포함하고, 상기 로프는 단일의 줄로 형성되어 상기 제1결합부, 상기 제2결합부 및 상기 조절부가 모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조절부를 조절하여 상기 제1결합부와 상기 제2결합부의 위치를 승강시키는 제1모드에서는 상기 조절부는 상기 본체 외부로 노출되고, 상기 제1결합부와 상기 제2결합부가 서로 연동하여 위치가 조절되는 제2모드에서는 상기 조절부는 상기 본체 내부로 삽입되어 상기 서브풀리에 지지될 수 있다.
상기 제1메인풀리와 상기 제2메인풀리는 상기 로프의 아래쪽에 위치하고, 상기 서브풀리는 상기 로프의 위쪽에 위치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운동장치는 상기 조절부에 균일한 힘을 가하도록 상기 조절부에 연결되는 부하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운동장치는 상기 제1결합부와 상기 제2결합부 중 적어도 하나에 결합되는 부하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로프는 상기 로프의 중심에 형성된 제1표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표시부에 힘을 가감하면 상기 제1결합부와 상기 제2결합부는 동일하게 승강할 수 있다.
상기 로프는 상기 제1표시부와 이격되어 상기 로프에 형성된 제2표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표시부에 힘을 가감하면 상기 제1결합부와 상기 제2결합부는 서로 다르게 승강하게 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운동장치는 상기 조절부를 일정한 위치에서 조절하도록 상기 조절부에 결합되는 연장로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메인풀리는 상기 제1개구부에 인접하게 위치하는 제1외측풀리와, 상기 제1외측풀리보다 상기 본체의 중심부에 인접하게 위치하는 제1내측풀리를 포함하고, 상기 제2메인풀리는 상기 제2개구부에 인접하게 위치하는 제2외측풀리와, 상기 제2외측풀리보다 상기 본체의 중심부에 인접하게 위치하는 제2내측풀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운동장치는 양 측방에 형성된 제1개구부 및 제2개구부와, 하방에 형성된 제3개구부를 포함하는 본체; 상기 본체의 내부를 관통하도록 배치되며, 보조장치가 결합되는 로프; 및 상기 본체 내부에서 상기 제3개구부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운동모드에 따라 상기 로프를 지지하는 서브풀리를 포함하고, 상기 로프는 상기 로프의 일단에 형성되며, 상기 제1개구부를 통해 상기 본체 외부로 노출되는 제1결합부; 상기 로프의 타단에 형성되며, 상기 제2개구부를 통해 상기 본체 외부로 노출되는 제2결합부; 상기 제1결합부와 상기 제2결합부의 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제3개구부를 통해 상기 본체 외부로 노출되는 조절부를 포함하고, 상기 로프는 상기 제1결합부, 상기 제2결합부 및 상기 조절부가 모두 연결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운동장치는 양 측방에 형성된 제1개구부 및 제2개구부와, 하방에 형성된 제3개구부를 포함하는 본체; 상기 본체의 내부를 관통하도록 배치되며, 단일 줄로 형성된 로프; 상기 본체 내부에서 상기 제1개구부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상기 로프를 지지하는 제1메인풀리; 상기 본체 내부에서 상기 제2개구부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상기 로프를 지지하는 제2메인풀리; 및 상기 본체 내부에서 상기 제3개구부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운동모드에 따라 상기 로프를 지지하는 서브풀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운동장치에 의하면, 단일의 로프를 사용하여 제1결합부 및 제2결합부를 동시에 균형있게 승강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환자의 신체가 균형잡힌 상태에서 운동을 진행하여 운동 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운동장치에 의하면, 1개의 로프만이 사용되는 운동 시에 조절부가 본체 내부에 추가적으로 구비된 서브풀리에 지지되면서 환자가 다른 구성에 의해 방해받지 않고 편안한 환경에서 운동할 수 있게 한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운동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동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3 및 도 4는 운동모드에 따른 동작을 설명하기 위해 도 2에서 제1메인풀리, 제2메인풀리, 서브풀리 및 로프만을 도시한 도면.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동장치의 제2모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동장치가 포함하는 부하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동장치가 포함하는 연장로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하여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쉽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에 불과하며, 이로 인해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그리고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한 기술적 특징을 갖는 구성요소에 대하여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기로 한다.
도 2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동장치(10)는 본체(100), 로프(200), 제1메인풀리(300), 제2메인풀리(400) 및 서브풀리(500)를 포함한다.
본체(10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동장치(10)의 외형을 형성한다. 본체(100)의 내부에는 제1메인풀리(300), 제2메인풀리(400) 및 서브풀리(500)가 배치된다.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본체(100)는 천장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즉, 천장에는 본체(100)의 이동을 하는 가이드유닛(미도시) 설치되고, 가이드유닛에 본체(100)가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본체(100)는 전면부(100a)와 후면부(100b)를 포함한다. 전면부(100a)와 후면부(100b)는 서로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는 본체(100)의 내부에 풀리들을 용이하게 설치하기 위한 것이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체(100)는 일체로 형성된 하나의 구성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3개 이상의 구성이 서로 조립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본체(100)는 전체적으로 'T'자 형상과 유사한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형상은 본체(100) 내부에 배치되는 각종 구성을 모두 덮으면서 본체(100)의 크기를 최소로 형성할 수 있게 한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체(100)는 직사각형, 타원형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체(100)의 양 측방에는 제1개구부(110) 및 제2개구부(120)가 형성된다. 제1개구부(110) 및 제2개구부(120)는 본체(100)의 일부가 개방되어 형성된다. 제1개구부(110) 및 제2개구부(120)를 통해 본체(100)의 내부와 외부가 연결된다.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제1개구부(110) 및 제2개구부(120)는 본체(100)의 양 측방에서 아래쪽을 향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는 제1개구부(110) 및 제2개구부(120)를 관통하는 로프(200)가 용이하게 아래쪽을 향해 연장될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본체(100)의 하방에는 제3개구부(130)가 형성된다. 제3개구부(130)는 본체(100)의 하방에서 중심부에 위치한다. 제3개구부(130) 역시 본체(100)의 일부가 개방되어 형성된다.
도 2를 참고하면, 로프(200)는 본체(100)의 내부를 관통하도록 배치된다. 즉, 로프(200)의 일부는 본체(100)의 외부에 배치되고, 나머지는 본체(100)의 내부에 배치된다.
로프(200)는 하나의 줄로 형성되어 있다. 로프(200)는 제1결합부(210), 제2결합부(220) 및 조절부(230)를 포함한다. 로프(200)는 하나의 줄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제1결합부(210), 제2결합부(220) 및 조절부(230)는 모두 연결되어 있다.
제1결합부(210)는 로프(200)의 일단에 형성된다. 제1결합부(210)는 제1개구부(110)를 통해 본체(100)의 외부로 노출된다. 즉, 제1결합부(210)는 로프(200)에서 제1개구부(110)를 통해 본체(100)의 외부로 노출된 부분을 말한다. 제1결합부(210)에는 보조장치(20)가 결합될 수 있다. 도면에는 보조장치(20) 중 환자의 다리 내지 팔을 걸 수 있는 홀더가 도시되어 있다. 보조장치(20)는 이와 같은 홀더 외에도 발목이나 손목을 걸 수 있는 홀더, 허리를 받칠 수 있는 홀더, 탄력을 가진 탄력로프, 탄력이 없는 비탄력로프 등을 포함한다.
제2결합부(220)는 로프(200)의 타단에 형성된다. 제2결합부(220)는 로프(200)의 단부 중에서 제1결합부(210)가 형성된 단부의 반대쪽 단부에 형성된다. 제2결합부(220)는 제2개구부(120)를 통해 본체(100)의 외부로 노출된다. 제2결합부(220)는 로프(200)에서 제2개구부(120)를 통해 외부로 노출된 부분을 말한다. 제2결합부(220)에는 보조장치(20)가 결합될 수 있다.
조절부(230)는 제1결합부(210)와 제2결합부(220) 사이에 형성된다. 조절부(230)는 운동모드에 따라 제3개구부(130)를 통해 본체(100)의 외부로 노출되거나, 본체(100)의 내부로 삽입된다.
치료사는 조절부(230)를 조절하여 제1결합부(210)와 제2결합부(220)를 승강시킨다. 치료사가 조절부(230)를 잡고 당기거나, 조절부(230)에 가하던 힘을 줄이면 제1결합부(210)와 제2결합부(220)가 승강된다. 즉, 치료사는 조절부(230)를 조절함에 따라 제1결합부(210) 및 제2결합부(220)에 결합된 보조장치(20)에 걸린 환자의 신체의 일부를 승강시킬 수 있다. 또는, 치료사는 조절부(230)를 조절함에 따라 보조장치(20)에 걸린 환자의 신체의 일부에 가해지는 중력 또는 기타 부하를 제거할 수 있다.
치료사는 조절부(230)를 조절하여 제1결합부(210)와 제2결합부(220)를 동시에 승강시킬 수 있다. 치료사가 조절부(230)를 잡고 당기는 하나의 동작만으로 제1결합부(210)와 제2결합부(220)를 한번에 승강시킬 수 있기 때문에, 제1결합부(210)와 제2결합부(220)가 균형을 유지하면서 승강할 수 있다. 즉, 치료사가 조절부(230)를 조절하는 것에 의해 환자가 균형을 유지한 채로 운동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도 3을 참고하면, 로프(200)는 로프(200)의 중심에 형성된 제1표시부(240)를 포함한다. 제1표시부(240)는 제1표시부(240)가 형성된 위치가 로프(200)의 중심이라는 것을 나타낸다. 제1표시부(240)는 로프(200)에서 조절부(230)에 형성된다. 치료사가 조절부(230)에서 제1표시부(240)가 형성된 부분을 잡고 조절부(230)를 조절하면, 제1결합부(210)와 제2결합부(220)는 균형을 유지한 채로 동시에 승강하게 된다.
제1표시부(240)에 의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동장치(10)를 사용할 때마다 로프(200)의 중심을 파악할 필요없이 쉽게 제1결합부(210)와 제2결합부(220)의 균형을 유지한채 운동을 진행할 수 있게 된다.
도 3을 참고하면, 로프(200)는 제1표시부(240)와 이격되어 형성된 복수개의 제2표시부(250)를 포함한다. 제2표시부(250)는 로프(200)에서 제1표시부(240)와 일정한 거리 이격된 위치마다 표시된다. 제2표시부(250)는 로프(200)의 중심부에서 벗어난 위치에 표시된다.
환자에 따라 오른팔(또는 오른다리)과 왼팔(또는 왼다리)의 무게가 다르거나, 허리가 한쪽으로 휘어진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제1결합부(210)와 제2결합부(220)를 동시에 승강시키면, 오히려 환자의 입장에서는 균형을 잃을 수 있다. 이러한 때를 대비하여, 제1결합부(210)와 제2결합부(220)가 서로 다르게 승강하게 하는 위치에 제2표시부(250)를 마련한다. 제2표시부(250)에 치료사가 힘을 가감할 경우, 제1결합부(210)와 제2결합부(220)는 서로 다르게 승강하지만, 환자의 입장에서는 균형을 유지한 채 운동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제2표시부(250)가 없을 경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동장치(10)를 사용할 때마다, 환자가 균형을 유지할 수 있는 위치를 파악해야 하므로 문제가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동장치(10)에 제2표시부(250)를 마련하여 한번 환자가 균형을 유지할 수 있는 위치를 파악했으면 계속하여 그 위치에 있는 제2표시부(250)에 힘을 가감하여 일정한 운동효과를 나타낼 수 있게 한다.
도 2를 참고하면, 제1메인풀리(300)는 본체(100)의 내부에 설치된다. 제1메인풀리(300)는 본체(100)의 내부에서 제1개구부(110)에 인접하게 배치된다. 제1메인풀리(300)는 로프(200)를 지지 및 가이드한다. 제1메인풀리(300)는 제1개구부(110)를 통해 본체(100) 내부로 연장된 로프(200)를 가이드하여, 로프(200)가 제3개구부(130)를 향하게 한다.
제1메인풀리(300)는 로프(200)의 아래쪽에 배치된다. 제1메인풀리(300)는 로프(200)의 아래쪽에서 위치하여 로프(200)를 지지 및 가이드한다.
제1메인풀리(300)는 제1개구부(110)에 인접하게 위치하는 제1외측풀리(310)와, 제1외측풀리(310)보다 본체(100)의 중심부에 인접하게 위치하는 제1내측풀리(320)를 포함한다. 제1메인풀리(300)는 2개의 풀리로 구성되어 제1개구부(110)를 통해 본체(100) 내부로 연장된 로프(200)가 완만하게 제3개구부(130)를 향할 수 있게 한다. 도면에서 제1메인풀리(300)는 제1외측풀리(310) 및 제1내측풀리(320)로 구성되어 있으나, 1개의 풀리로만 구성되거나 3개 이상의 풀리로 구성될 수도 있다.
도 2를 참고하면, 제2메인풀리(400)는 본체(100)의 내부에 설치된다. 제2메인풀리(400)는 본체(100)의 내부에서 제2개구부(120)에 인접하게 배치된다. 제2메인풀리(400)는 로프(200)를 지지 및 가이드한다. 제2메인풀리(400)는 제2개구부(120)를 통해 본체(100) 내부로 연장된 로프(200)를 가이드하여, 로프(200)가 제2개구부(120)를 향하게 한다.
제2메인풀리(400)는 로프(200)의 아래쪽에 배치된다. 제2메인풀리(400)는 로프(200)의 아래쪽에 위치하여 로프(200)를 지지 및 가이드한다.
제2메인풀리(400)는 제2개구부(120)에 인접하게 위치하는 제2외측풀리(410)와, 제2외측풀리(410)보다 본체(100)의 중심부에 인접하게 위치하는 제2내측풀리(420)를 포함한다. 제2메인풀리(400)는 2개의 풀리로 구성되어 제2개구부(120)를 통해 본체(100) 내부로 연장된 로프(200)가 완만하게 제3개구부(130)를 향할 수 있게 한다. 도면에서 제2메인풀리(400)는 제2외측풀리(410) 및 제2내측풀리(420)로 구성되어 있으나, 1개의 풀리로만 구성되거나 3개 이상의 풀리로 구성될 수도 있다.
도 2를 참고하면, 서브풀리(500)는 본체(100)의 내부에 설치된다 .서브풀리(500)는 본체(100)의 내부에서 제3개구부(130)에 인접하게 배치된다. 서브풀리(500)는 일부가 제3개구부(130)를 통해 노출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서브풀리(500) 전체가 본체(100) 내부에 위치할 수도 있다.
서브풀리(500)는 운동모드에 따라 로프(200)를 지지한다. 서브풀리(500)는 운동모드에 따라 로프(200)를 지지하여 로프(200)가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게 한다.
서브풀리(500)는 로프(200), 특히 조절부(230)의 위쪽에 배치된다. 서브풀리(500)는 운동모드에 따라 조절부(230)를 지지한다.
이하에서는 도 3 내지 도 5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동장치(10)가 가지는 2개의 운동모드에 대해 설명한다.
도 3을 참고하면, 제1모드는 치료사가 조절부(230)를 조절하여 제1결합부(210) 및 제2결합부(220)를 승강시키는 운동모드이다. 제1모드는 치료사의 조력 하에 환자의 양 팔 또는 양 다리를 동시에 운동하는 경우, 환자의 허리 또는 목을 지탱한 채로 운동하는 경우에 사용된다.
제1모드에서는 조절부(230)가 본체(100)의 외부로 노출되어 있으며, 로프(200)가 서브풀리(500)에 지지되지 않는다. 즉, 서브풀리(500)와 로프(200)는 서로 이격된다. 조절부(230)가 본체(100)의 외부로 노출되어 있기 때문에, 치료사가 조절부(230)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도 4 내지 도 6을 참고하면, 제2모드는 제1결합부(210)와 제2결합부(220)만을 이용하여 운동을 하는 운동모드이다.
제2모드에서는 조절부(230)가 본체(100)의 내부로 삽입되고, 서브풀리(500)에 지지된다. 서브풀리(500)의 일부가 제3개구부(130)를 통해 본체(100) 밖으로 노출된 경우에는 조절부(230) 전체가 본체(100)의 내부로 삽입되지는 않으나, 서브풀리(500)에 지지되는 것은 동일하다.
제2모드에서는 조절부(230)가 서브풀리(500)에 지지되면서 본체(100)의 내부로 삽입되기 때문에 조절부(230)가 환자의 운동을 방해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환자가 한쪽의 어깨 운동을 하는 경우 제2모드가 사용될 수 있다. 이때, 환자는 제1결합부(210)와 제2결합부(220) 중 하나만을 잡고 운동을 하게 된다. 이때, 치료사가 다른 결합부를 조절하여 환자의 운동을 도와줄 수 있다. 또는, 다른 결합부에는 부하부(600)가 결합될 수도 있다.
또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환자가 양 어깨를 한번에 운동하는 경우에 제2모드가 사용될 수 있다. 이때, 환자는 제1결합부(210)와 제2결합부(220) 모두를 잡고 운동을 하게 된다. 이와 같은 경우에는 환자는 치료사의 도움 없이 운동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도 7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동장치(10)는 조절부(230)에 연결되는 부하부(600)를 포함할 수 있다. 부하부(600)는 조절부(230)에 균일한 힘을 가하게 된다. 부하부(600)는 조절부(230)에 연결되어, 운동 시마다 균일한 힘, 균일한 하중으로 운동을 수행할 수 있게 한다. 종래에는 치료사의 감각에 따라서 조절부(230)에 힘을 가감하기 때문에 운동을 할 때마다 환자에게 적용되는 힘이 일정하지 않을 수 있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동장치(10)는 조절부(230)에 균일한 힘을 가할 수 있는 부하부(600)를 마련하여 운동을 할 때마다 환자에 일정한 힘을 가할 수 있게 한다. 부하부(600)는 일정한 힘을 가할 수 있는 추와 같은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도 7에 부하부(600)의 하나의 예를 도시하였다. 부하부(600)는 소정의 무게를 가지는 웨이트(610)와, 웨이트(610)를 조절부(230)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620)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부(620)는 웨이트(610)가 고정되는 지지봉과 지지봉을 지지하면서 조절부(230)에 결합되는 프레임으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형태를 가진 고정부(620)에 의하면 웨이트(610)를 안정적으로 조절부(230)에 결합시킬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따르면, 환자가 운동을 할 때 웨이트가 이탈되면서 환자가 부상을 입게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만, 고정부(620)의 형상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웨이트(610)를 고정할 수 있는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8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동장치(10)는 제1결합부(210)와 제2결합부(220) 중 하나에 결합되는 부하부(600)를 포함할 수 있다. 부하부(600)는 제1결합부(210)와 제2결합부(220) 중 하나에 일정한 힘을 가하게 된다. 이에 따라, 환자가 제2모드로 운동을 수행할 때마다 균일한 힘, 균일한 하중으로 운동을 수행할 수 있게 한다.
부하부(600)는 일종의 추와 같은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고,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은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부하부(600)의 형상은 앞서 설명한 것과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9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동장치(10)는 조절부(230)의 정확한 위치에 힘을 가할 수 있게 하는 연장로프(700)를 포함한다. 조절부(230)에 앞서 설명한 제1표시부(240)와 제2표시부(250)가 있는 경우라도 치료사의 손으로만 조절부(230)를 조절하면 정확하고 일정한 위치에서 조절부(230)를 조절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조절부(230)에 결합되는 연장로프(700)를 마련하여, 조절부(230)를 일정한 위치에서 정확하게 조절할 수 있게 한다.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연장로프(700)는 조절부(230)에 쉽게 탈착될 수 있는 결합구조를 구비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하게 변형 실시할 수 있을 것으로 이해된다.
10 : 운동장치 20 : 보조장치
100 : 본체 110 : 제1개구부
120 : 제2개구부 130 : 제3개구부
200 : 로프
210 : 제1결합부 220 : 제2결합부
230 : 조절부 240 : 제1표시부
250 : 제2표시부
300 : 제1메인풀리
310 : 제1외측풀리 320 : 제2외측풀리
400 : 제2메인풀리
410 : 제2외측풀리 420 : 제2내측풀리
500 : 서브풀리
600 : 부하부 700 : 연장로프

Claims (11)

  1. 양 측방에 형성된 제1개구부 및 제2개구부와, 하방에 형성된 제3개구부를 포함하는 본체;
    상기 본체의 내부를 관통하도록 배치되며, 보조장치가 결합되는 로프;
    상기 본체 내부에서 상기 제1개구부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상기 로프를 지지하는 제1메인풀리;
    상기 본체 내부에서 상기 제2개구부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상기 로프를 지지하는 제2메인풀리; 및
    상기 본체 내부에서 상기 제3개구부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운동모드에 따라 상기 로프를 지지하는 서브풀리를 포함하고,
    상기 로프는,
    상기 로프의 일단에 형성되며, 상기 제1개구부를 통해 상기 본체 외부로 노출되는 제1결합부;
    상기 로프의 타단에 형성되며, 상기 제2개구부를 통해 상기 본체 외부로 노출되는 제2결합부;
    상기 제1결합부와 상기 제2결합부의 사이에 형성되는 조절부를 포함하고,
    상기 로프는 단일의 줄로 형성되어 상기 제1결합부, 상기 제2결합부 및 상기 조절부가 모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부를 조절하여 상기 제1결합부와 상기 제2결합부의 위치를 승강시키는 제1모드에서는 상기 조절부는 상기 본체 외부로 노출되고,
    상기 제1결합부와 상기 제2결합부가 서로 연동하여 위치가 조절되는 제2모드에서는 상기 조절부는 상기 본체 내부로 삽입되어 상기 서브풀리에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메인풀리와 상기 제2메인풀리는 상기 로프의 아래쪽에 위치하고,
    상기 서브풀리는 상기 로프의 위쪽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부에 균일한 힘을 가하도록 상기 조절부에 연결되는 부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결합부와 상기 제2결합부 중 적어도 하나에 결합되는 부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로프는 상기 로프의 중심에 형성된 제1표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표시부에 힘을 가감하면 상기 제1결합부와 상기 제2결합부는 동일하게 승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로프는 상기 제1표시부와 이격되어 상기 로프에 형성된 제2표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표시부에 힘을 가감하면 상기 제1결합부와 상기 제2결합부는 서로 다르게 승강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부를 일정한 위치에서 조절하도록 상기 조절부에 결합되는 연장로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메인풀리는 상기 제1개구부에 인접하게 위치하는 제1외측풀리와, 상기 제1외측풀리보다 상기 본체의 중심부에 인접하게 위치하는 제1내측풀리를 포함하고,
    상기 제2메인풀리는 상기 제2개구부에 인접하게 위치하는 제2외측풀리와, 상기 제2외측풀리보다 상기 본체의 중심부에 인접하게 위치하는 제2내측풀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장치.
  10. 양 측방에 형성된 제1개구부 및 제2개구부와, 하방에 형성된 제3개구부를 포함하는 본체;
    상기 본체의 내부를 관통하도록 배치되며, 보조장치가 결합되는 로프; 및
    상기 본체 내부에서 상기 제3개구부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운동모드에 따라 상기 로프를 지지하는 서브풀리를 포함하고,
    상기 로프는,
    상기 로프의 일단에 형성되며, 상기 제1개구부를 통해 상기 본체 외부로 노출되는 제1결합부;
    상기 로프의 타단에 형성되며, 상기 제2개구부를 통해 상기 본체 외부로 노출되는 제2결합부;
    상기 제1결합부와 상기 제2결합부의 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제3개구부를 통해 상기 본체 외부로 노출되는 조절부를 포함하고,
    상기 로프는 상기 제1결합부, 상기 제2결합부 및 상기 조절부가 모두 연결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장치.
  11. 양 측방에 형성된 제1개구부 및 제2개구부와, 하방에 형성된 제3개구부를 포함하는 본체;
    상기 본체의 내부를 관통하도록 배치되며, 단일 줄로 형성된 로프;
    상기 본체 내부에서 상기 제1개구부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상기 로프를 지지하는 제1메인풀리;
    상기 본체 내부에서 상기 제2개구부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상기 로프를 지지하는 제2메인풀리; 및
    상기 본체 내부에서 상기 제3개구부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운동모드에 따라 상기 로프를 지지하는 서브풀리를 포함하는 운동장치.
KR1020140100904A 2014-08-06 2014-08-06 운동장치 KR1016770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0904A KR101677088B1 (ko) 2014-08-06 2014-08-06 운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0904A KR101677088B1 (ko) 2014-08-06 2014-08-06 운동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7429A true KR20160017429A (ko) 2016-02-16
KR101677088B1 KR101677088B1 (ko) 2016-11-17

Family

ID=554479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00904A KR101677088B1 (ko) 2014-08-06 2014-08-06 운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7708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8572B1 (ko) * 2019-08-21 2020-11-13 정부환 재활 운동 장치의 슬링 바
KR102429472B1 (ko) * 2021-10-21 2022-08-04 주식회사 티앤돌프 서보 모터를 이용한 근력 운동 기구
KR20230018269A (ko) 2021-07-29 2023-02-07 (주)위니즈 슬링 바의 로프 잠금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48741A (en) * 1987-05-18 1989-07-18 Hermanson Carl Gustaf Device for application of dynamic force and simulation of movements
US5048825A (en) * 1990-09-14 1991-09-17 Kelly Peggy L Portable doorway and floor stand excerciser for use by wheelchair occupants.
KR100493142B1 (ko) * 2003-05-02 2005-06-02 (주)세우 로우프를 구비한 근육운동장치
KR20100026719A (ko) * 2008-09-01 2010-03-10 박광서 조립형 줄다리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48741A (en) * 1987-05-18 1989-07-18 Hermanson Carl Gustaf Device for application of dynamic force and simulation of movements
US5048825A (en) * 1990-09-14 1991-09-17 Kelly Peggy L Portable doorway and floor stand excerciser for use by wheelchair occupants.
KR100493142B1 (ko) * 2003-05-02 2005-06-02 (주)세우 로우프를 구비한 근육운동장치
KR20100026719A (ko) * 2008-09-01 2010-03-10 박광서 조립형 줄다리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8572B1 (ko) * 2019-08-21 2020-11-13 정부환 재활 운동 장치의 슬링 바
KR20230018269A (ko) 2021-07-29 2023-02-07 (주)위니즈 슬링 바의 로프 잠금장치
KR102429472B1 (ko) * 2021-10-21 2022-08-04 주식회사 티앤돌프 서보 모터를 이용한 근력 운동 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77088B1 (ko) 2016-1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40045B2 (en) Sit-to-stand apparatus including pulley, handle, and leg brace mounted above supporting structure on adjacent, differing height vertical members
US20190046828A1 (en) Monocolumn unweighting systems
KR101518197B1 (ko) 웨이트 운동기구
KR101330532B1 (ko) 고관절 재활훈련장치
CN209611466U (zh) 脊柱侧凸三维矫正治疗仪
AU2006233505B2 (en) Walking aid for a mechanically driven treadmill
US20190160331A1 (en) Training Device for Simulating Vertical Climbing
KR101677088B1 (ko) 운동장치
KR200484175Y1 (ko) 재활운동기구
WO2014138228A1 (en) Curved resilient member unweighting systems
US20120264573A1 (en) Treadmill for physiotherapy and method of training patient's legs on the treadmill
US20200094099A1 (en) Free weight belt squat machine
KR20180042820A (ko) 다양한 자세 또는 위치가 가능한 효과적인 도수치료장치
CN203235195U (zh) 一种双肩平衡减重悬挂训练装置
US11357693B2 (en) Relief system for at least partially relieving the body weight of a person
CN103055470A (zh) 双肩平衡减重悬挂训练装置
EA026532B1 (ru) Тренажер для обучения ходьбе
KR20180050032A (ko) 손잡이조절장치가 구비된 상체운동기구
CN206499631U (zh) 康复训练机器人
RU180810U1 (ru) Пристенный спортивный тренажер
US20220218553A1 (en) Fitness devices
CN208302040U (zh) 一种体育教学用体能训练装置
KR102037024B1 (ko) 의자를 이용한 상체운동기구
TW201330841A (zh) 步態復健設備
CN103830881B (zh) 双肩平衡减重悬挂训练装置及减重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