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73581B1 - 완력기 - Google Patents

완력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73581B1
KR100673581B1 KR1020050061413A KR20050061413A KR100673581B1 KR 100673581 B1 KR100673581 B1 KR 100673581B1 KR 1020050061413 A KR1020050061413 A KR 1020050061413A KR 20050061413 A KR20050061413 A KR 20050061413A KR 100673581 B1 KR100673581 B1 KR 1006735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m
compression spring
spring
coil spring
p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614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06256A (ko
Inventor
안태진
Original Assignee
안태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태진 filed Critical 안태진
Priority to KR10200500614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73581B1/ko
Publication of KR200700062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062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735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735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2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lient force-resisters
    • A63B21/023Wound spring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0058Mechanical means for varying the resistance
    • A63B21/00069Setting or adjusting the resistance level; Compensating for a preload prior to use, e.g. changing length of resistance or adjusting a valve

Abstract

본 발명은 일 실시예로서, 회동부에 의해 상호간의 접근 및 이격 운동이 가능하게 연결되는 한 쌍의 작동아암, 상기 한 쌍의 작동아암 사이에 경사진 방향으로 배치되며 상기 작동아암이 서로 접근할 때 길이가 수축하는 압축 변형에 의해 상기 작동아암이 서로 이격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도록 구성된 압축 스프링, 및 상기 한 쌍의 작동아암 중 어느 하나의 작동아암의 상측으로 설치되어 상기 압축 스프링의 일단이 타단을 중심으로 하는 가상의 원호상에 인접하여 상기 작동아암을 따라 상하 이동가능하게 함으로써 상기 압축 스프링이 제공하는 탄성력을 강약을 조절가능하게 하는 강약 조절부를 포함하는 완력기에 대해 개시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완력기에 탄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로서 압축 스프링이 사용되어 스프링 연결부에 응력이 집중되는 파단되는 문제점을 개선하고 내구성이 있는 완력기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며, 사용자가 임의대로 탄성력의 강약을 조절할 수 있으며, 작동아암 사이의 거리를 임의대로 조절가능하여 사용할 수 있는 완력기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완력기

Description

완력기{CHEST EXPANDER}
도 1 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완력기의 정면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완력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완력기의 정단면도이다.
도 4 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 압축 스프링의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 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완력기의 강약 조절시 동작도이다.
도 6 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완력기의 거리 조절시 동작도이다.
도 7 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완력기의 사시도이다.
도 8 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완력기의 부분 분해 사시도이다.
도 9 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완력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0 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완력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1 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완력기의 단면도이다.
도 12 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완력기의 거리 조절시 동작도이다.
본 발명은 완력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완력기란 팔이나 어깨의 근력을 단련하기 위해 사용하는 운동기기의 일종이다. 이러한 완력기는 사용자가 양손으로 한 쌍의 작동아암에 마련된 파지부를 각각 잡은 다음, 한 쌍의 작동아암이 상호 접근하도록 가압함으로써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팔이나 어깨에 근력이 부여되도록 하여 다시 힘을 풀어 한 쌍의 손잡이부를 상호 이격시키게 되면 원 상태로 복귀하면서 팔이나 어깨의 근력이 이완되도록 하는 원리로 작용한다. 사용자는 이와 같은 동작을 반복함으로써 팔 및 어깨의 근력이 향상되도록 할 수 있게 된다.
그런데 이러한 완력기에 있어서, 종래의 완력기는 탄성력을 제공하기 위해 인장 코일 스프링을 사용하고 있다. 힌지결합부를 중심으로 서로 접근 및 이격 운동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작동아암과, 상기 작동아암의 상측에서 힌지결합부의 수평방향으로 연장된 가로부재 사이에 코일 스프링 설치되어 사용자가 작동아암을 파지하고 서로 접근시킬 때 코일 스프링이 늘어나면서 탄성력을 제공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코일 스프링의 인장시 발휘되는 탄성력을 이용하는 종래의 완력기는 작동아암이 서로 접근할 때 코일 인장 스프링의 연결부에 응력이 집중되어 코일 스프링의 연결부가 쉽게 파단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완력기의 내구성이 코일 스프링의 연결부의 강성에 의존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종래의 완력기는 작동아암 사이의 거리가 고정되어 자신의 체격에 맞는 완력기를 이용하여 운동을 하는 것이 불가능한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완력기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부재를 압축식으로 개선하여 스프링 연결부가 파단되는 문제점을 해결하면서도 사용자가 자신의 힘에 맞게 완력기에 제공되는 탄성력의 강약을 조절할 수 있는 완력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용자의 체격에 맞게 완력기의 작동아암 사이의 거리를 조절가능한 완력기를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회동부에 의해 상호간의 접근 및 이격 운동이 가능하게 연결되는 한 쌍의 작동아암; 상기 한 쌍의 작동아암 사이에 경사진 방향으로 배치되며 상기 작동아암이 서로 접근할 때 길이가 수축하는 압축 변형에 의해 상기 작동아암이 서로 이격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도록 구성된 압축 스프링; 및 상기 한 쌍의 작동아암 중 어느 하나의 작동아암의 상측으로 설치되어 상기 압축 스프링의 일단이 타단을 중심으로 하는 가상의 원호상에 인접하여 상기 작동아암을 따라 상하 이동가능하게 함으로써 상기 압축 스프링이 제공하는 탄성력을 강약을 조절가능하게 하는 강약 조절부를 포함하는 완력기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압축 스프링은, 압축가능한 가스를 내부에 수용하고 튜브 연결부가 구비된 원통형의 튜브와, 상기 튜브 내부에 일단부가 위치하여 상기 튜브 내부에 의해 이동이 안내되면서 승하강하고 상기 튜브 연결부의 대향측으로 로드 연결부가 구비된 로드로 구성된 가스 스프링으로 이루어져, 상기 가스 스프링의 길이 수축시 상기 가스가 압축되면서 탄성력을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압축 스프링은 코일 스프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코일 스프링은, 상기 코일 스프링을 일단을 지지하며 상기 한 쌍의 작동아암 중 어느 하나와 연결되는 제1 바디와, 상기 제1 바디에서 상기 코일 스프링의 연장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안내홈이 형성된 제1 안내봉을 구비한 제1 안내부재와; 코일 스프링의 타단을 지지하며 상기 한 쌍의 작동아암 중 다른 하나와 연결되는 제2 바디와, 상기 제2 바디에서 상기 코일 스프링의 연장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상기 안내홈 삽입되어 상기 안내홈의 연장경로를 따라 이동하는 제2 안내봉을 구비한 제2 안내부재에 사이에 개재되어 길이방향의 변형 방향이 안내되어지도록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은 회동부의 양측단으로 상호간의 접근 및 이격 운동이 가능하게 회동결합되는 한 쌍의 작동아암; 상기 회동부에 설치되되 상하 방향으로 이동가능한 이동체를 포함하는 강약 조절부; 상기 한 쌍의 작동아암 각각에 일단이 지지되고 타단은 상기 이동체에 지지되며, 상기 작동아암이 서로 접근할 때 길이가 수축하는 압축 변형에 의해 상기 작동아암이 서로 이격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도록 구성된 한 쌍의 압축 스프링을 포함하여 구성된 완력기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압축 스프링은, 압축가능한 가스를 내부에 수용하고 상기 이동체에 연결되는 튜브 연결부가 구비된 원통형의 튜브와, 상기 튜브 내부에 일단부가 위치하여 상기 튜브 내부에 의해 이동이 안내되면서 승하강되고 상기 튜브 연결부의 대향측으로 상기 작동아암 각각에 연결되는 로드 연결부가 구비된 로 드를 포함하여, 길이 수축시 상기 가스가 압축되면서 제공하는 탄성력에 의해 상기 한 쌍의 작동아암이 상호 이격되는 방향으로 힘을 제공하는 가스 스프링으로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압축 스프링은 코일 스프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코일 스프링은, 상기 코일 스프링을 일단을 지지하며 상기 한 쌍의 작동아암 중 어느 하나와 연결되는 제1 바디와, 상기 제1 바디에서 상기 코일 스프링의 연장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안내홈이 형성된 제1 안내봉을 구비한 제1 안내부재와; 코일 스프링의 타단을 지지하며 상기 한 쌍의 작동아암 중 다른 하나와 연결되는 제2 바디와, 상기 제2 바디에서 상기 코일 스프링의 연장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상기 안내홈 삽입되어 상기 안내홈의 연장경로를 따라 이동하는 제2 안내봉을 구비한 제2 안내부재에 사이에 개재되어 길이방향의 변형 방향이 안내되어지도록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은, 회동부의 양측단으로 상호간의 접근 및 이격 운동이 가능하게 회동결합되는 한 쌍의 작동아암; 양단이 일측방향으로 위치하고 중간부분이 굴곡되어 만곡부를 가진 활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상측으로 위치하는 일단부가 상기 회동부에 의해 지지되며 상기 회동부와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부는 상기 작동아암과 교차방향으로 연장되면서 결합되는 곡선암; 상기 곡선암의 만곡부와 상기 회동부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한쌍의 작동아암이 상호 이격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압축 스프링; 및 상기 회동부에 설치되되 상기 압축 스프링의 일 단부를 지지하여 상하 이동가능하게 함으로써 상기 압축 스프링의 제공하는 탄성력의 강약을 조절하게 하는 강약 조절부를 포함하는 완력기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곡선암의 타단부와 상기 작동아암의 결합위치를 변경가능하게 하여 상기 작동아암 사이의 이격거리를 조절가능하게 하는 거리 조절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된 도 1 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완력기의 정면도이고, 도 2 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완력기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3 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다른 완력기의 정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 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완력기는 회동부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작동아암(10,30)과, 한 쌍의 작동아암 사이에서 상기 작동아암(10,30)이 상호 이격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압축 스프링인 가스 스프링(50)과, 상기 가스 스프링(50)에 제공되는 탄력의 강약을 조절하는 강약 조절부(70)를 포함하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작동아암 간의 이격거리를 변경가능하게 하는 거리 조절부(9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작동아암(10,30)은 긴 사각형상의 봉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각각의 말단에는 사용자가 파지하기 위한 파지부(10a,30a)가 마련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파지부(10a,30a)는 미끌림을 방지하는 미끌림 방지패드(미도시)가 부착된 형태로 이루어지며, 미끌림 방지패드는 일반적으로 고무패드가 사용되며 사용자의 손가락이 용이하게 배치될 수 있도록 파지홈(미도시)이 형성된 구조로 형성된다.
작동아암(10,30)은 회동부에 의해 상호간의 접근 및 이격 운동이 가능하도록 회동가능하게 결합된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긴 봉상으로 이루어진 제1 작동아암(10)의 상단에는 핀공(12)이 형성된 힌지부(14)가 구비된다. 긴 봉상으로 이루어진 제2 작동아암(30)의 상단에는 회동부(35)가 구비되며, 회동부(35)의 측단으로 핀공(32)이 형성된 힌지 브라켓(34)이 형성된다. 제1 작동아암(10)의 힌지부(14)가 제2 작동아암(30)의 힌지브라켓(34)에 삽입되고 핀공(12,32)을 통해 힌지핀(2)이 고정되어 제1 작동아암(10) 및 제2 작동아암(30)은 상호간의 접근 및 이격운동이 가능하도록 회동가능하게 결합된다.
제1 작동아암(10)과 제2 작동아암(30) 사이에는 이격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가스 스프링(50)이 경사지게 배치된다. 가스 스프링(50)은 로드(52)의 이동에 따른 튜브(54) 내부의 압축가능한 가스 체적 변화를 이용하여 탄성력을 발휘하며, 로드(52)의 일단부가 상기 튜브(54) 내에 위치하여 이동함으로 로드(52)는 튜브 내부에 의해 이동이 안내되면서 승하강된다. 이로 인해 가스 스프링(50)은 긴 길이로 형성되는 경우에도 일측방향으로 구부러짐 없이 길이가 수축 및 인장되면서 탄성력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가스 스프링의 로드(52) 및 튜브(54)의 단부에는 핀공(53',55')이 형성된 연결부(53,55)가 형성되어 강약 조절부(70) 및 거리 조절부(90)의 슬라이더(75,95)의 힌지브라켓(76,96)에 삽입되어 회동핀(4,4')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결합된다.
도 1 내지 도 3 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는 압축 스프링으로서 가스 스프링(50)을 사용한 경우를 도시하고 있으나, 압축 코일 스프링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며, 이 경우 바람직하게는 도 4 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압축 코일 스프링의 구부러짐을 방지할 수 있는 안내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 를 참조하면, 코일 스프링(57)의 일단을 지지하며 상기 한 쌍의 작동아암 중 어느 하나와 연결되는 제1 바디(58a)와 상기 제1 바디(58a)에서 상기 코일 스프링의 연장방향으로 따라 연장되고 안내홈(58c)이 형성된 제1안내봉(58b)를 구비한 제1 안내부재(58)와 코일 스프링(57)의 타단을 지지하며 상기 한 쌍의 작동아암 중 다른 하나와 연결되는 제2 바디(59a)와, 상기 제2 바디(59a)에서 상기 코일 스프링(57)의 연장방향으로 따라 연장되고 상기 안내홈(58c)에 삽입되어 상기 안내홈(58c)의 연장경로를 따라 이동하는 제2 안내봉(59b)를 포함하는 제2 안내부재(59)를 포함하여 상기 코일 스프링(57)이 제1 안내부재(58) 및 제2 안내부재(59)에 의해 유지되면서 길이방향의 변형이 안내되어지도록 구성된다.
다시 도 1 내지 도 3 을 참조하면, 제1 작동아암(10)의 하측으로 형성되는 거리 조절부(90)는, 제1 작동아암(10)의 하측 내부에 정역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회전축볼트(92)와, 회전축볼트(92)와 일체로 결합되어 회전축볼트(92)의 정역회전을 조절가능하고 일부가 개구부를 통해 제1 작동아암(10)의 외부로 노출되어 사용자가 회전축볼트(92)의 회전을 조절할 수 있게 하는 회전노브(94)와, 회전축볼트(92)에 체결되어 회전축볼트의 정역회전에 의해 상하 이동하는 슬라이더(95)를 포함한다. 슬라이더(95)의 측면으로 핀공(96')이 형성된 힌지브라켓(96)이 형성되어, 힌지브라켓(96)은 제1 작동아암(10)의 측면으로 돌출되어 가스 스프링(50)의 로드(52)의 단부에 형성된 연결부(53)가 삽입되어 회동핀(4)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결합된다. 제1 작동아암(10)의 내부에는 회전축볼트(92) 의 끝단을 지지하는 고정블럭(20)이 설치되며, 제1 작동아암(10)의 판면에 형성된 핀블럭관통공(21)들에는 핀블럭(23)이 삽입배치되어 회전축볼트(92)가 정위치에서 회전할 수 있게 한다.
제2 작동아암(30)의 상측으로 형성되는 강약 조절부(70)는 제2 작동아암(30)의 상측 내부에 정역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회전축볼트(72)와, 회전축볼트(72)와 일체로 결합되어 회전축볼트(72)의 정역회전을 조절가능하고 일부가 개구부(36)를 통해 제2 작동아암(30)의 외부로 노출되어 사용자가 회전축볼트(72)의 회전을 조절할 수 있게 하는 회전노브(74)와, 회전축볼트(72)에 체결되어 회전축볼트의 정역회전에 의해 상하 이동하는 슬라이더(75)를 포함한다. 슬라이더(75)의 측면으로 핀공(76')이 형성된 힌지브라켓(76)이 돌출되며, 힌지브라켓(76)은 제2 작동아암(30)의 측면으로 돌출되어 가스 스프링(50)의 튜브(54)의 단부에 형성된 연결부(55)가 삽입되어 회동핀(4')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결합된다. 제2 작동아암(10)의 내부에는 회전축볼트(72)의 끝단을 지지하는 고정블럭(31)이 설치되며, 제1 작동아암(30)의 판면에 형성된 핀블럭관통공(33)들에는 핀블럭(37)이 삽입배치되어 회전축볼트(72)가 정위치에서 회전할 수 있게 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완력기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 5 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완력기의 강약 조절의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점선으로 도시된 상태에서 근력이 약한 어린이와 같은 사용자가 자신의 힘에 맞도록 점선상태로 강약을 조절하기 위해서는 강약 조 절부(70)의 회전노브(74)를 일측으로 회전시켜 슬라이더(75)를 상측으로 이동시킨다. 강약 조절부(70)는 제2 작동아암(30)의 상측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거리 조절부(90)와 가스 스프링(50)의 결합 부분인 회동핀(4)을 중심으로 살펴보면, 슬라이더(75)의 이동경로는 작동아암(10,30)이 서로 이격된 상태에서 가스 스프링(50)의 타단의 회전경로와 근사하다. 따라서 회전노브(74)를 회전시키면 슬라이더(75)가 상측으로 이동하면서 가스 스프링(50)의 타단이 회동핀(4)을 중심으로 하는 회전경로 상에 근사하게 위치하는 강약 조절부(70)의 회전축볼트(72)를 따라 상향으로 이동한다. 완력기에 제공하는 탄력의 강약은 작동아암(10,30)이 서로 이격된 상태에서 근접하게 될 때 제공되는 탄력의 강약으로써 결론적으로 가스 스프링(50)의 변위량에 따라 결정한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강약 조절부(70)의 회전축볼트(72)를 따라 가스 스프링(50)의 타단이 상향 이동하는 경우, 이는 작동아암(10,30)이 서로 근접할 때 가스 스프링(50)이 압축되는 변위량의 변경을 가져오고, 결론적으로 완력기를 이용한 운동시 필요한 힘이 작아지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완력기에 의하면 사용자는 자신의 힘에 맞게 완력기의 탄력을 조절하여 운동을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는 이와 같이 완력기에 제공되는 탄력이 조절가능하면서도 완력기에 제공되는 탄력을 스프링의 압축 변위량을 이용하여 제공되게 된다. 완력기에 압축 코일 스프링이 사용되는 경우 코일 스프링의 수축 및 복원 과정에서 코일 스프링이 측면 방향으로 굽힘력을 받아 구부러짐으로써 탄성력을 제공하지 못하게 되는 경우가 발생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의하면 튜브 내부에 삽입된 로드의 단부가 튜브 내면에 의해 안내되면서 길이 방향의 이동이 안내됨으로 구부러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탄성력 제공방법으로 가스 스프링의 길이 수축 즉, 로드가 튜브 내의 가스를 압축할 때 발생하는 탄성력을 이용하게 됨으로 스프링 연결부가 파손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6 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완력기의 거리 조절의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실선으로 도시된 상태에서, 팔 길이, 어깨 너비등이 짧은 체격이 작은 어린이와 같은 사용자가 자신의 체격에 맞도록 점선상태로 작동아암의 거리를 조절하기 위해서는 거리 조절부(90)의 회전노브(94)를 일측으로 회전시켜 슬라이더(95)를 하측으로 이동시킨다. 거리 조절부(90)는 제1 작동아암(10)의 하측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강약 조절부(70)와 가스 스프링(50)의 힌지 결합 부분인 회동핀(4')을 중심으로 살펴보면, 슬라이더(95)의 이동경로는 가스 스프링(50)의 일단의 회전경로와 교차한다. 따라서 회전노브(94)를 회전시킴에 따라 슬라이더(95)가 이동하게 되면 가스 스프링(50)의 일단이 위치가 변경되고 이는 제2 작동아암(30)을 기준으로 볼 때 제1 작동아암(10)이 멀어지거나 가까워지는 결과를 초래하게 된다. 따라서, 거리 조절부(90)의 회전노브(94)를 일측으로 회전시켜 슬라이더(95)를 하측으로 회전시키면, 제2 작동아암(30)을 기준으로 볼 때 제1 작동아암(10)이 제2 작동아암(30)에 가까워지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완력기에 의하면 사용자는 자신의 팔길이 및 어깨 너비 등을 고려하여 자신의 체격에 맞게 완력기의 작동아암의 거리를 조절하여 운동을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완력기는 강약 및 작동아암간의 거리를 조절하여 사용자의 체격 및 근력에 맞추어 사용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완력기는 접힌 상태에서 "ㄷ"자 형상으로 부피가 작아 휴대의 편의성이 확보된다.
도 7 및 도 8 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완력기의 사시도들이고, 도 9 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부분 분해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는 두개의 압축 스프링을 사용하여 완력기를 구성한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7 내지 도 9 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완력기는 회동부(110)와, 회동부의 양 측단으로 서로 접근 및 이격 운동이 가능하도록 회동결합하는 한 쌍의 작동아암(120, 130)과, 회동부(110)에 설치된 강약 조절부(140)와, 상기 한 쌍의 작동아암(120,130)과 강약 조절부(140) 사이에 설치되는 압축 스프링인 가스 스프링(160)을 포함하고, 바람직하게는 거리 조절부(17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가스 스프링(160)은 로드의 이동에 따른 튜브 내부의 압축가능한 가스의 체적 변화를 이용하여 탄성력을 발휘하며, 로드의 일단부가 상기 튜브 내에 위치하여 이동함으로 로드는 튜브 내부에 의해 이동이 안내되면서 승하강된다. 이로 인해 가스 스프링(160)은 긴 길이로 형성되는 경우에도 일측방향으로 구부러짐 없이 길이가 수축 및 인장되면서 탄성력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7 내지 도 9 의 실시예는 압축 스프링으로서 가스 스프링(160)을 사용한 경우를 도시하고 있으나, 압축 코일 스프링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며, 이 경우 바람직하게는 도 4 에 도시된 구 성과 동동일하게 코일 스프링이 제1 안내부재 및 제 2 안내부재에 의해 유지되면서 길이방향의 변형이 안내되어지도록 구성된다.
작동아암(120,130)은 사각형상의 긴 봉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각각의 말단에는 파지부(122,132)가 마련되고, 파지부에는 사용자의 손가락이 용이하게 배치될 수 있도록 파지홈이 형성된 미끄럼 패드(미도시)가 부착가능하다.
작동아암(120,130)의 상단에는 핀공(123,133)이 형성된 힌지부(122,132)가 형성되어, 회동부(110)의 양 측단으로 형성된 힌지결합부(112,114)와 회동핀(101,102)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결합된다.
회동부(110)는 몸체(111) 양단으로 핀공이 형성된 힌지결합부(112,114)를 포함하며, 힌지결합부(112,114)와 작동아암(120,130)의 힌지부(122,132)가 회동핀(101,102)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회동결합부를 이룬다. 회동결합부를 연결하는 가상의 선 하측으로 강약 조절부(140)가 구비된다.
강약 조절부(140)는 일단이 작동아암(120,130)에 고정된 가스 스프링(160)의 타단을 지지하여 상하 이동가능하게 구성됨으로 압축 스프링의 강약을 조절하게 된다. 가스 스프링(160)은 로드(162)의 이동에 따른 튜브(166) 내부의 가스 체적 변화를 이용하여 탄성력을 발휘하며, 가스 스프링(160)의 로드(162) 및 튜브(166)의 단부에는 핀공(163',167')이 형성된 연결부(163,167)가 형성되어 있다. 로드(162) 및 튜브(166)의 연결부(163,167)는 작동아암(120,130) 및 강약 조절부(140)와 결합된다.
도 7 내지 도 9 에 도시된 실시예에 의하면, 강약 조절부(140)는 가스 스프 링(160)의 튜브(166)의 연결부(167)를 지지하여 상하 이동되는 이동체(142)를 포함한다. 이동체(142)의 하단으로 핀공(141)이 형성된 한 쌍의 고정편(144)이 형성되어 있다. 고정편(144) 사이에 가스 스프링(160)의 타단의 튜브(166) 연결부(167) 가 삽입되고, 고정편(144)의 핀공(141)을 통해 삽입되는 회전핀(169)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이동체(142)의 몸체에는 조절노브(146)가 설치되는 설치홈(143)이 관통하여 형성되어 있다. 회동부(110)의 몸체(111)에는 상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홈(152)이 형성되고, 이동홈(152)의 연장경로를 따라 다수개의 고정홈(154)이 형성되어 있다. 조절노브(146)는 몸체(111)의 이동홈(152) 및 설치홈(143)을 통해 설치되는 데, 원형축(147)과 그 단부에 부착된 손잡이부(149)를 포함한다. 원형축(147)의 양측으로 상기 이동홈(152)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대향면 각각에 노치(148)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손잡이부(149)를 돌려 세우면 원형축(147)에 형성된 노치(148)가 길이방향으로 세워지고 원형축(147)이 이동홈(152)을 따라 이동가능하다. 이에 따라 조절노브(146)가 설치된 상태의 이동체(142)의 상하 이동이 가능하게 되며, 원하는 탄력을 제공하는 고정홈(154)에서 손잡이부(149)를 돌리면 노치(148)가 세로 방향으로 위치하면서 원형축(147)이 고정홈(154)에 고정되어 이동체(142) 상하이동이 규제된다.
가스 스프링(160)의 로드(162)의 연결부(163)은 작동아암(120,130)의 하측으로 결합된다. 경사지게 배치되는 가스 스프링(160)의 로드(162)의 연결부(163)가 결합되는 작동아암(120,130)의 하측부에는 길이방향으로 따라 다수개이 고정공(172)이 형성된다. 가스 스프링(160)의 로드(162)의 단부에 형성된 연결부(163)는 상기 고정공(172) 및 연결부(163)의 핀공(163')을 관통하는 고정핀(175)에 의해 고정되는 데, 연결부(163)와 결합되는 고정공(172)이 변경됨에 따라 작동아암(120,130) 사이의 이격 거리를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작용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다른 완력기는 두개의 압축 스프링을 이용하여 구성된 완력기이며, 압축 스프링은 가스 스프링(160)이 사용된 경우를 예시하고 있다. 따라서 완력기의 작동아암(120,130)을 파지하고 접근 및 이격시키면서 운동을 할 때 완력기에 제공되는 탄력을 압축 스프링의 압축 변위량에 의존한다. 따라서 스프링 연결부에 응력이 집중되어 파단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도 8 및 도 9 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완력기의 강약 조절 동작을 살펴보면, 압축 스프링(160)으로 사용된 가스 스프링의 튜브(166)의 연결부(167)가 회전핀(169)에 의해 이동체(142)에 회전자유롭게 고정된 상태에서 이동체(142)를 따라 하향 이동하는 경우 탄력의 세기가 증대되고, 상향 이동하는 경우 탄력의 세기가 약해진다. 이동체(142)의 이동 동작을 살펴보면, 먼저 조절노브(146)의 손잡이부(149)를 돌려 원형축(147)의 양측으로 형성된 노치(148)가 이동홈(152)의 연장방향과 나란하게 하고 손잡이부(149)를 잡고 이동체를 하향 또는 상향으로 이동시킨다. 이동홈(152)의 양측단이 노치(148)에 의해 안내됨으로 이동체(142)의 이동이 가능하다. 탄력을 의도대로 조절한 후에는 고정홈(154)이 형성된 위치에서 손잡이부(149)를 잡고 조절노브(146)를 돌린다. 원형축(147)이 회전하면 노치(148)는 이동홈(152)의 연장방향과 교차하게 됨으로 이동홈(152)을 따라 원형축(147)을 이동하는 것이 불가능하게 되고, 이동체(142)는 고정홈(154) 위치에서 지지된다.
한편, 작동아암(120,130)의 이격 거리 조절과정을 살펴보면, 고정핀(175)을 탈거한 후 로드(162)의 연결부(163)를 작동아암(120,130)으로부터 이탈시킨 후 탈거 전 연결부(163)와 결합된 고정공(172) 보다 하측에 위치하는 고정공(172)으로 연결부(163)로 이동한 후 고정핀(175)을 다시 결합된다. 이와 같이 로드(162)의 연결부(163)와 결합되는 작동아암(110,130)의 고정공(172) 중에서 그 위치가 하측으로 이동하면 작동아암(120,130) 사이의 거리를 좁혀지고, 반대로 위치가 상측으로 이동하는 경우 작동아암(120,130) 간의 거리는 넓어진다.
이상에서 설명된 방식에 따라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완력기의 사용자는 강약 및 작동아암의 거리를 자신의 근력 및 체격에 맞추어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도 10 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완력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며, 도11 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완력기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는 두 개의 압축 스프링을 사용하여 완력기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10 및 도 11 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완력기는 회동부(210)와, 회동부(210)의 양 측단으로 서로 접근 및 이격 운동이 가능하도록 회동결합하는 한 쌍의 작동아암(220) 및 곡선암(240), 회동부(210)에 설치된 강약 조절부(260)와, 강약 조절부(260)와 작동아암(209) 사이에 설치되는 압축 스프링(28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작동아암(220)은 긴 봉상의 이루어져 있으며, 작동아암(220)의 말단에는 파 지부(221)가 마련되고, 파지부(221)에는 사용자의 손가락이 용이하게 배치될 수 있도록 파지홈이 형성된 미끄럼 방지패드(미도시)가 부착 가능하다.
작동아암(220)의 상단에는 핀공(223)이 형성된 힌지부(222)가 형성되고, 회동부(210)의 양 측단으로 형성된 힌지브라켓(214)에 회동핀(201)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결합된다.
회동부(210)는 양단으로 핀공(212)이 형성된 힌지결합부(214) 및 고정부재(215)를 가진 몸체(216)로 구성되며, 고정부재(215)의 하측으로는 강약 조절부(260)가 설치된다.
곡선암(240)은 양단이 일측방향으로 위치하고 중간 부분이 굴곡된 활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상측으로 위치하는 일단부(241)는 고정부재(215)의 상면에 접하여 지지되고, 그 측면으로 핀공(242')이 형성된 힌지결합부(242)가 형성된다. 작동아암(220)의 힌지부(222)와, 회동부(210)의 힌지결합부(214) 및 곡선암(240)의 힌지결합부(242)가 서로 겹쳐진 상태로 회동핀(201)이 결합되어 조립된다.
곡선암(240)은 일측으로 연장되다가 중간 부분이 굴곡되어 만곡부(245)를 이루고 방향이 전환되어 다시 일측방향으로 연장되는데, 타측 연장부는 작동아암(220)에 형성된 원호형 받침부(225)에 대응하여 원호형으로 연장된다. 곡선암(240) 타측에 형성된 원호형 연장부(246)에는 다수개의 고정공(247)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고정공(247)과 작동아암(220)의 받침부(225)의 상측으로 형성된 고정공(227)을 관통하여 고정핀(204)이 결합됨으로써 곡선암(240)이 작동아암(220)에 의해 지지되도록 구성된다. 하기에서 자세히 설명되지만 고정핀(204)에 의해 결합되는 원호형 연장부(246)의 고정공(247)의 위치에 따라 작동아암(220)의 사이의 거리를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곡선암(240)의 연장부(246)와 작동아암(220)과의 결합은 본 실시예에서는 고정핀(204)을 이용한 방식을 예로 하여 설명되어 있으나, 이에 제한됨이 없이 슬라이딩 방식으로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은 당연히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됨이 자명하다.
회동부(210)에 형성되는 강약 조절부(260)는 고정부재(215)에 상단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회전축볼트(262)와, 회전축볼트(262)의 하단으로 고정적으로 결합되어 회전축볼트(262)의 정역회전을 조절가능하게 하고, 몸체(216)의 하단으로 외부에 노출되어 사용자가 회전축볼트(262)의 회전을 조절할 수 있게 하는 회전노브(264)와 회전축볼트(262)와 체결되어 회전축볼트(262)의 정역회전에 따라 상하 이동하는 슬라이더(265)를 포함한다. 회전축볼트(262)는 핀블럭(302)에 의해 정위치에서 회전가능하도록 지지된다.
슬라이더(265)와 곡선암(240) 사이에 압축 스프링(280)이 설치되고, 압축 스프링(280)의 일단이 슬라이더(265)에 의해 지지되어 슬라이더(265)의 이동에 따라 압축 스프링(280)의 일단이 상하 이동되면서 완력기의 강약이 조절된다.
압축 스프링(280)으로는 가스 스프링, 코일형으로 권선된 코일 스프링(285) 등이 사용가능한 데, 가스 스프링은 압축가능한 가스를 내부에 수용하고 튜브 연결부가 구비된 원통형의 튜브와, 상기 튜브 내부에 일단부가 위치하여 상기 튜브 내부에 의해 이동이 안내되면서 승하강하고 상기 튜브 연결부의 대향측으로 로드 연결부가 구비된 로드로 구성된다. 그리고 코일 스프링(285)이 압축 스프링(280)으로 이용되는 경우에는 바람직하게는 코일 스프링(285)의 압축 방향을 안내하는 안내부재(290)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안내부재(290)는 일단이 반구형으로 형성된 만곡부(245)에 면접하여 습동 회전가능하고 타단이 권선된 코일 스프링(285)의 일단으로 지지하도록 형성된 제1 바디(295)와 상기 제1 바디(295)의 타단으로부터 코일 스프링(285)의 내측으로 연장되고 중심부에 제2 안내봉(308)이 안내되면서 이동가능한 안내홈(296)이 형성된 제1 안내봉(298)으로 형성된 제1 안내부재(291)와, 일단이 슬라이더(265)의 측면으로 형성된 만곡부(266)에 면접하여 습동 회전가능하고 타단이 코일 스프링(285)의 타단을 지지하는 제2 바디(305)와 상기 제2 바디(305)의 타단으로부터 코일 스프링(285)의 내측으로 연장되며 제 1 안내봉(298)의 안내홈(296)에 삽입되어 이동하는 제2 안내봉(308)으로 구성된 제2 안내부재(301)로 구성되어 제1 바디(295) 및 제2 바디(305)에 코일 스프링(285)이 지지되도록 설치된다.
완력기에 탄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로서 압축 스프링을 사용하는 경우 인장시 양단 연결부에 응력이 집중되어 파단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그러나 압축 스프링으로 코일 스프링(285)이 사용되는 경우 완력기에서 작동아암이 접근 및 이격을 반복할 때 코일 스프링(285)이 압축되면서 일측으로 구부려지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와 같이 안내부재(290)를 이동하는 경우 코일 스프링(285)의 변형이 안내부재(290)에 의해 안내되기 때문에 코일 스프링(285)이 구부려지는 문제점을 근본적으로 해결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11 및 도 12 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완력기의 동작을 설명한다.
먼저, 도 11 을 참조하여 비교적 근력이 약한 이용자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완력기를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 도 9 에 도시된 회전축볼트(262)의 회전노브(264)를 일측으로 회전시켜 슬라이더(265)를 상측으로 이동시킨다. 슬라이더(265)가 상측으로 이동하면 코일 스프링(285)의 일단이 상측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에 따라 완력기에 작용하는 탄력의 세기를 크게 할 수 있다.
한편, 비교적 근력이 센 이용자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완력기를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 회전축볼트(267)의 회전노브를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켜 슬라이더(265)를 하측으로 이동시킨다. 슬라이더(265)가 하측으로 이동하면 코일 스프링(285)의 일단이 하측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에 따라 완력기에 작용하는 탄력의 세기를 작게 할 수 있다.
도 12 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완력기의 거리조절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실선은 작동아암(220) 사이의 이격거리가 긴 경우를 도시하고 있으며, 점섬은 작동아암(220) 사이의 이격거리가 짧은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
팔길이가 길고 어깨사이의 거리가 넓은 체격이 큰 이용자가 완력기를 이용하고 자 하는 경우 실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작동아암 사이의 이격 거리가 긴 상태에서 완력기를 이용할 수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완력기의 작동아암 사이의 거리를 좁게 하려면, 먼저 곡선암(240)의 연장부(246)와 작동아암(220)을 고정하고 있는 고정핀(204)을 탈거한다. 그 후 곡선암(240)의 외측 고정공(227)과 작동아암(220)의 고정공(227)을 일치시킨 후 고정핀(204)으로 고정한다. 이와 같이 조절하면 점 선과 같이 작동아암(220) 사이의 이격거리가 작아서 체격이 작은 사람도 편안하게 완력기를 이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은 특정된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범위를 벗어남이 다양한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첨부된 청구항들은 전술한 실시예 뿐만 아니라 이러한 다양한 변형예들을 포함하기 위해 의도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완력기에 탄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로서 압축 스프링이 사용가능한 구조로 개선된다. 이로 인해 스프링 연결부에 응력이 집중되는 파단되는 문제점을 개선할 수 있게 되어 내구성이 있는 완력기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사용자가 임의대로 탄력의 세기를 조절할 수 있으며, 작동아암 사이의 거리를 임의대로 조절가능하여 자신의 체격에 맞게 작동 아암의 거리를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는 완력기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Claims (17)

  1. 회동부에 의해 상호간의 접근 및 이격 운동이 가능하게 연결되는 한 쌍의 작동아암;
    상기 한 쌍의 작동아암 사이에 경사진 방향으로 배치되며 상기 작동아암이 서로 접근할 때 길이가 수축하는 압축 변형에 의해 상기 작동아암이 서로 이격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도록 구성된 압축 스프링; 및
    상기 한 쌍의 작동아암 중 어느 하나의 작동아암의 상측으로 설치되어, 상기 압축 스프링의 일단의 상기 작동 아암을 따라 상하 이동시켜 상기 압축 스프링의 강약을 조절하게 하는 강약 조절부를 포함하며,
    상기 강약 조절부는,
    상기 작동아암 내에 수용되어 일정 위치에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축 볼트; 상기 회전축볼트와 일체로 결합되고, 적어도 일부가 조작가능하게 노출되며, 회전에 의해 상기 회전축볼트의 회전시키는 회전노브; 및 상기 압축 스프링의 일단이 힌지 결합되는 힌지 브라켓을 구비하고, 상기 회전축 볼트에 나사체결되어 상기 회전축 볼트의 회전에 따라 상하 이동하는 슬라이더를 포함하되,
    상기 슬라이더는 상기 압축 스프링의 일단을, 상기 다른 작동아암의 하측으로 연결된 상기 압축 스프링의 타단을 중심을 중심으로 하는 가상의 원호상에 인접하여 이동시켜 상기 압축 스프링의 탄성력의 강약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력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 스프링은,
    압축가능한 가스를 내부에 수용하고 튜브 연결부가 구비된 원통형의 튜브와, 상기 튜브 내부에 일단부가 위치하여 상기 튜브 내부에 의해 이동이 안내되면서 승하강하고 상기 튜브 연결부의 대향측으로 로드 연결부가 구비된 로드로 구성된 가스 스프링으로 이루어져,
    상기 가스 스프링의 길이 수축시 상기 가스가 압축되면서 탄성력을 제공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력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 스프링은 코일 스프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코일 스프링은,
    상기 코일 스프링을 일단을 지지하며 상기 한 쌍의 작동아암 중 어느 하나와 연결되는 제1 바디와, 상기 제1 바디에서 상기 코일 스프링의 연장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안내홈이 형성된 제1 안내봉을 구비한 제1 안내부재와;
    코일 스프링의 타단을 지지하며 상기 한 쌍의 작동아암 중 다른 하나와 연결되는 제2 바디와, 상기 제2 바디에서 상기 코일 스프링의 연장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상기 안내홈 삽입되어 상기 안내홈의 연장경로를 따라 이동하는 제2 안내봉을 구비한 제2 안내부재에 사이에 개재되어 길이방향의 변형 방향이 안내되어지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력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작동아암 중 다른 하나의 아암의 하측으로 설치되고, 상기 압축 스프링의 타단을 지지하여 상하 이동가능하여,
    상기 한 쌍의 작동아암 상의 거리를 조절가능하게 하는 거리 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력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거리 조절부는,
    상기 작동아암 내에 수용되어 일정 위치에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축볼트;
    상기 회전축볼트와 일체로 결합되고, 적어도 일부가 노출되어 조작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회전축볼트의 회전을 조절가능하게 하는 회전노브; 및
    상기 회전축볼트에 나사 체결되어 상기 회전축볼트의 회전에 따라 상하 이동되며, 상기 가스 스프링의 튜브 연결부 또는 로드 연결부가 회동핀에 의해 결합되는 힌지브라켓을 구비한 슬라이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력기.
  6. 회동부의 양측단으로 상호간의 접근 및 이격 운동이 가능하게 회동결합되는 한 쌍의 작동아암;
    상기 회동부에 설치되되 상하 방향으로 이동가능한 이동체를 포함하는 강약 조절부;
    상기 한 쌍의 작동아암 각각에 일단이 지지되고 타단은 상기 이동체에 지지되며, 상기 작동아암이 서로 접근할 때 길이가 수축하는 압축 변형에 의해 상기 작동아암이 서로 이격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도록 구성된 한 쌍의 압축 스프링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력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 스프링은,
    압축가능한 가스를 내부에 수용하고 상기 이동체에 연결되는 튜브 연결부가 구비된 원통형의 튜브와, 상기 튜브 내부에 일단부가 위치하여 상기 튜브 내부에 의해 이동이 안내되면서 승하강되고 상기 튜브 연결부의 대향측으로 상기 작동아암 각각에 연결되는 로드 연결부가 구비된 로드를 포함하여, 길이 수축시 상기 가스가 압축되면서 제공하는 탄성력에 의해 상기 한 쌍의 작동아암이 상호 이격되는 방향으로 힘을 제공하는 가스 스프링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력기.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 스프링은 코일 스프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코일 스프링은,
    상기 코일 스프링을 일단을 지지하며 상기 한 쌍의 작동아암 중 어느 하나와 연결되는 제1 바디와, 상기 제1 바디에서 상기 코일 스프링의 연장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안내홈이 형성된 제1 안내봉을 구비한 제1 안내부재와;
    코일 스프링의 타단을 지지하며 상기 한 쌍의 작동아암 중 다른 하나와 연결되는 제2 바디와, 상기 제2 바디에서 상기 코일 스프링의 연장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상기 안내홈 삽입되어 상기 안내홈의 연장경로를 따라 이동하는 제2 안내봉을 구비한 제2 안내부재에 사이에 개재되어 길이방향의 변형 방향이 안내되어지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력기.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강약 조절부는
    상기 회동부의 몸체의 상하 길이방향으로 따라 형성되는 이동홈과 상기 이동홈을 연장경로를 따라 다수개 형성되는 고정홈을 가지며;
    상기 이동체는 하단으로 형성된 고정편에 상기 가스 스프링의 튜브 연결부가 회전자유롭게 지지되어 상하 이동가능하게 하고, 설치홈이 관통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몸체의 이동홈 및 상기 이동체의 설치홈을 관통하여 연장되고 양측으로 상기 이동홈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하는 노치가 형성된 원형축과 상기 원형축의 끝단으로 형성된 손잡이부를 포함하는 조절노브를 포함하여,
    상기 조절노브의 손잡이부의 회전에 따라 상기 원형축이 상기 이동체를 견인한 상태로 상기 이동홈을 따라 상하 이동가능하며 상기 고정홈에서 고정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력기.
  10.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 스프링의 일단은
    상기 작동아암에 설치되어, 상기 작동아암을 따라 상기 압축 스프링 일단의 위치를 상하 조절가능하게는 거리 조절부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력기.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거리 조절부는 상기 작동아암의 길이방향으로 따라 다수개 형성되는 고 정공과, 상기 고정공 중 어느 하나와 상기 가스 스프링의 로드 연결부를 회전자유롭게 결합시키는 고정핀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력기.
  12. 삭제
  13. 회동부의 양측단으로 상호간의 접근 및 이격 운동이 가능하게 회동결합되는 한 쌍의 작동아암;
    양단이 일측방향으로 위치하고 중간부분이 굴곡되어 만곡부를 가진 활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상측으로 위치하는 일단부가 상기 회동부에 의해 지지되며 상기 회동부와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부는 상기 작동아암과 교차방향으로 연장되면서 결합되는 곡선암;
    상기 곡선암의 만곡부와 상기 회동부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한쌍의 작동아암이 상호 이격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압축 스프링; 및
    상기 회동부에 설치되되 상기 압축 스프링의 일 단부를 지지하여 상하 이동가능하게 함으로써 상기 압축 스프링의 제공하는 탄성력의 강약을 조절하게 하는 강약 조절부를 포함하되,
    상기 강약 조절부는,
    상기 회동부에 상기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축볼트;
    상기 회동부의 회전축볼트와 일체로 결합되어 상기 회전축볼트의 회전을 조절가능하게 하는 회전노브;
    상기 회전축볼트에 나사 체결되어 상기 회전노브의 회동에 따라 상하 이동가능하며 상기 압축 스프링의 일단을 지지하는 슬라이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력기.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곡선암의 만곡부와 상기 강약 조절부의 슬라이더 사이에 설치되는 압축 스프링은 코일 스프링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코일 스프링은,
    상기 곡선암의 만곡부에 일단이 회전자유롭게 지지되고 타단은 코일 스프링을 일단을 지지하는 제1 바디와, 상기 바디에서 상기 코일 스프링의 연장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안내홈이 형성된 제1 안내봉을 구비한 제1 안내부재와; 상기 슬라이더의 측면으로 형성된 만곡부에 일단이 회전자유롭게 지지되고, 타단은 코일 스프링의 타단을 지지하는 제2 바디와, 상기 바디에서 상기 코일 스프링의 연장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상기 안내홈 삽입되어 상기 안내홈의 연장경로를 따라 이동하는 제2 안내봉을 구비한 제2 안내부재에 의해 안내되어 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력기.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 스프링은
    압축가능한 가스를 내부에 수용하고 튜브 연결부가 구비된 원통형의 튜브와, 상기 튜브 내부에 일단부가 위치하여 상기 튜브 내부에 의해 이동이 안내되면서 승하강하고 상기 튜브 연결부의 대향측으로 로드 연결부가 구비된 로드로 구성된 가스 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력기.
  16.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곡선암의 타단부와 상기 작동아암의 결합위치를 변경가능하게 하여 상기 작동아암 사이의 이격거리를 조절가능하게 하는 거리 조절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력기.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거리 조절부는,
    상기 곡선암의 타단을 이루며 연장되는 원호형 연장부에 연장방향으로 따라 다수개 형성된 고정공과, 상기 작동아암에 상기 원호형 연장부에 대응하여 형성되는 고정공과, 상기 원호형 연장부의 고정공 중 어느 하나와 상기 작동아암의 고정공을 관통하여 고정되는 고정핀으로 구성되어,
    상기 작동아암의 고정공에 상기 고정핀에 의해 결합되는 상기 원호형 연장부의 고정공의 위치에 따라 상기 작동아암 사이의 거리를 조절가능하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력기.
KR1020050061413A 2005-07-07 2005-07-07 완력기 KR1006735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61413A KR100673581B1 (ko) 2005-07-07 2005-07-07 완력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61413A KR100673581B1 (ko) 2005-07-07 2005-07-07 완력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06256A KR20070006256A (ko) 2007-01-11
KR100673581B1 true KR100673581B1 (ko) 2007-01-24

Family

ID=378715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61413A KR100673581B1 (ko) 2005-07-07 2005-07-07 완력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7358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973931A (zh) * 2019-05-22 2020-11-24 安泰振 握力器
CN112007319A (zh) * 2019-05-31 2020-12-01 安泰振 臂力器
JP2022070826A (ja) * 2020-10-27 2022-05-13 ジーディー アイエヌディー コーポレーション 腕力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309537B (zh) * 2018-03-29 2023-07-21 北京大学第三医院 一种肩关节支具及肩关节支具制作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67929A (en) * 1992-09-23 1993-12-07 Chen Chyuan C Portable hand/leg exerciser
KR20020039880A (ko) * 2000-11-22 2002-05-30 안태진 완력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67929A (en) * 1992-09-23 1993-12-07 Chen Chyuan C Portable hand/leg exerciser
KR20020039880A (ko) * 2000-11-22 2002-05-30 안태진 완력기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973931A (zh) * 2019-05-22 2020-11-24 安泰振 握力器
CN112007319A (zh) * 2019-05-31 2020-12-01 安泰振 臂力器
US11458359B2 (en) 2019-05-31 2022-10-04 Tae Jin An Chest expander
JP2022070826A (ja) * 2020-10-27 2022-05-13 ジーディー アイエヌディー コーポレーション 腕力器
CN114470613A (zh) * 2020-10-27 2022-05-13 Gd Ind股份有限公司 臂力器
JP7231805B2 (ja) 2020-10-27 2023-03-02 ジーディー アイエヌディー コーポレーション 腕力器
US11771952B2 (en) 2020-10-27 2023-10-03 GD IND Corp. Chest expand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06256A (ko) 2007-0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645200A (en) Isometric exercising device
US6602171B1 (en) Abdominal exerciser
JP3923013B2 (ja) 握力器
JP2005237662A (ja) マッサージユニット及び該ユニットを具えた椅子型マッサージ機
PT81233B (pt) Aparelho de exercicio com tensao alastica com multiplas roldanas de passagem de um cabo
US4726580A (en) Exercise apparatus
KR100673581B1 (ko) 완력기
WO2015024852A1 (en) Hand motion exercising device
US6364816B1 (en) Arm-building device
KR101957191B1 (ko) 손가락 운동기구
US5989159A (en) Exercise device
US7935028B2 (en) Exercise device and its arm rest
US6824505B1 (en) Buffer of a damping mechanism of an exercise machine
KR102501783B1 (ko) 무게추 조절장치
US6368257B1 (en) Exercise assembly
US11771952B2 (en) Chest expander
KR101223194B1 (ko) 운동기구
KR100395890B1 (ko) 악력기
US9776031B2 (en) Torsion based exerciser
KR101794687B1 (ko) 재활운동기구용 핸들구조체
KR100491950B1 (ko) 완력기
US7223208B1 (en) Exercise machine comprising two hand grips which are provided with a damping device
JP3079449U (ja) 運動装置
KR101300228B1 (ko) 지압기능을 갖는 줄 돌리기 운동기구
KR200490128Y1 (ko) 완력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104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