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0128Y1 - 완력기 - Google Patents

완력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0128Y1
KR200490128Y1 KR2020180001383U KR20180001383U KR200490128Y1 KR 200490128 Y1 KR200490128 Y1 KR 200490128Y1 KR 2020180001383 U KR2020180001383 U KR 2020180001383U KR 20180001383 U KR20180001383 U KR 20180001383U KR 200490128 Y1 KR200490128 Y1 KR 20049012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nsion
elastic body
handle
pair
control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8000138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종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고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고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고진
Priority to KR202018000138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012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012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012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2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lient force-resisters
    • A63B21/04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lient force-resisters attached to static foundation, e.g. a user
    • A63B21/0407Anchored at two end points, e.g. installed within an apparatu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004Exercising devices moving as a whole during exercis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2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lient force-resisters
    • A63B21/05Linearly-compressed 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40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 A63B21/4027Specific exercise interfaces
    • A63B21/4033Handles, pedals, bars or platforms
    • A63B21/4035Handles, pedals, bars or platforms for operation by hand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5/00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 A63B2225/09Adjustable dimens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완력기에 관한 것으로, 손잡이부재 및 장력조절부재가 설치되도록 소정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고정브래킷부재; 상기 고정브래킷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손잡이부재; 상기 고정브래킷부재에 설치되는 결합부재; 상기 한 쌍의 손잡이부재의 회전에 따라 상기 장력조절부재의 장력이 전달되도록 상기 한 쌍의 손잡이부재 사이에 연결되는 와이어부재; 상기 한 쌍의 손잡이부재의 회전에 따라 탄성체의 장력이 부여되도록 상기 결합부재에 설치되는 장력조절부재;를 마련하여 탄성체조절구를 회전시켜 탄성체의 탄성력에 의한 장력을 조절할 수 있고, 장력조절부재를 회전시켜 탄성체의 장력이 와이어부재에 전달되게 할 수 있으며, 장력조절부재의 회전으로 탄성체의 장력을 간편하게 해지시킬 수 있으며, 장력이 해제된 상태에서 완력기를 간편하게 접어서 보관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Description

완력기{Fitness Equipment}
본 고안은 완력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탄성체의 강도를 조절하여 팔 근력 및 가슴 근력 운동을 할 수 있는 완력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완력기는 사용자가 양손으로 좌우 암을 각각 잡은 다음 힘을 가하여 암들이 최대로 근접한 위치에 해당하는 접힘 위치를 향하여 이동시키고, 힘을 풀면 암이 완력기에 구비된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암들이 이격된 본래의 운동 시작 위치로 복귀하는 운동기구이다.
이러한 암의 반복 동작에 의해 팔, 어깨의 근력이 부여되도록 하는 운동기구이다. 완력기는 한 손으로 잡을 수 있도록 소형으로 제작되는 것이 가능하며, 이 경우 악력을 향상시키는 운동기구로 사용된다.
종래의 완력기는 사용자가 한 쌍의 암을 상호 접근 이동시킬 때 암의 이동을 방해하여 근력이 향상되도록 하는 힘의 제공하는 제공수단으로써 인장 코일스프링을 사용하고 있다.
즉, 암이 서로 접근할 때 인장 코일스프링이 늘어나면서 탄성력을 제공한다.
그러나 인장 코일스프링을 사용하는 경우에 말단의 고리부에 응력이 집중되어 상기 고리부가 쉽게 파단되는 문제점이 있어 소비자에게 불만을 주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암이 상호 접근하는 동작을 링크 연결을 통해 헤드부에 설치된 코일스프링의 압축 동작으로 연결하는 방식의 완력기가 개시되어 있다.
한편 완력기에 의한 운동이 최대의 효율을 나타내기 위해서는 사용자의 완력에 맞는 사용자의 완력에 맞는 세기의 탄성력이 제공되는 것이 필요하다.
즉, 스프링에서 탄성력이 발생하지 않은 암의 본래 위치인 운동 시작 위치로부터 암이 최대로 근접하는 위치로 이동한 위치인 접힘 위치로 이동할 때, 접힘 위치에서 제공되는 탄성력의 세기가 운동자의 완력 운동에 가장 맞는 상태에서 최적의 운동 효과를 나타낸다.
탄성력의 세기가 너무 센 경우에는 근육에 무리를 줄 수 있으며, 탄성력의 세기가 너무 약한 경우에는 운동 효과를 기대할 수 없다.
그러나 사용자마다 완력의 세기가 상이하므로, 완력기에는 사용자가 의도하는 세기로 탄성력이 조절될 수 있도록 탄성력 조절 수단을 구비하는 것이 필요하다.
예를 들어, 하기 특허문헌 1에는 '완력기'가 개시되어 있다.
하기 특허문헌 1에 따른 완력기는 바닥면에 관통공이 형성된 중공형 통체, 상기 중공형 통체의 양 측면으로 형성된 암 연결부를 포함하는 헤드부, 상기 암 연결부에 각각 피벗 연결되는 한 쌍의 암, 상기 각 암에 일단이 연결되고 경사지게 아래로 연장되는 한 쌍의 링크, 상기 중공형 통체에 상하 방향으로 설치되는 코일스프링, 상기 코일스프링의 상단을 지지하는 가압편이 상단으로 연결되고 상기 코일스프링을 관통하여 상기 관통공을 지나 하부로 연장되며, 하부에 걸림부가 형성된 래크 부분이 구비된 로드를 포함한다.
상기 헤드부의 아래에 이격되어 배치되며, 상기 각 링크의 타단이 양 측면으로 피벗 연결되고 내부에는 상기 래크 부분이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관통홀이 구비된 커버, 상기 커버에 장착되고 외부로 노출되어 사용자의 조작이 가능한 누름부, 상기 누름부의 조작에 의해 상기 래크 부분의 걸림부와 걸림 및 걸림 해제 가능한 맞물림 걸림부를 구비한 후크를 구비하는 탄성력 조절부를 포함한다.
하기 특허문헌 2에는 '완력기'가 개시되어 있다.
하기 특허문헌 2에 따른 완력기는 탄성 부재, 상기 탄성 부재의 일측 말단부가 연결되는 제 1 완력 가변 부재, 상기 탄성 부재의 타측 말단부가 연결되는 제 2 완력 가변 부재, 상기 제 1 완력 가변 부재가 결합되는 제 1 가변 부재 삽입체와 상기 제 1 가변 부재 삽입체의 외측으로 연장되어 사용자가 손으로 잡을 수 있는 제 1 외력 인가부와, 상기 제 1 가변 부재 삽입체의 내측으로 연장되는 제1 연결체를 포함하는 제 1 완력기 몸체 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제 2 완력 가변 부재가 결합되는 제 2 가변 부재 삽입체와 상기 제 2 가변 부재 삽입체의 외측으로 연장되어 사용자가 손으로 잡을 수 있는 제 2 외력 인가부와 상기 제 2 가변 부재 삽입체의 내측으로 연장되는 제2 연결체를 포함하는 제 2 완력기 몸체 부재 및 상기 제 1 연결체와 상기 제 2 연결체의 각 말단을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연결 조인트를 포함한다.
대한민국 특허 공개번호 제10-2011-0090020호 대한민국 실용신안 공개번호 제20-2014-0000351호 대한민국 실용신안 등록번호 제20-0445740호 대한민국 실용신안 공개번호 제20-2013-0000323호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사용자의 신체 조건에 맞도록 탄성체의 장력을 조절하여 근력 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완력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사용자의 신체 조건에 맞도록 탄성체의 강성 및 탄성체의 압축 길이를 조절하여 근력 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완력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완력기는 손잡이부재 및 장력조절부재가 설치되도록 소정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고정브래킷부재; 상기 고정브래킷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손잡이부재; 상기 고정브래킷부재에 설치되는 결합부재; 상기 한 쌍의 손잡이부재의 회전에 따라 상기 장력조절부재의 장력이 전달되도록 상기 한 쌍의 손잡이부재 사이에 연결되는 와이어부재; 상기 한 쌍의 손잡이부재의 회전에 따라 탄성체의 장력이 부여되도록 상기 결합부재에 설치되는 장력조절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결합부재는 중공의 원통체로 이루어진 원형케이스; 상기 장력조절부재의 장력을 조절하도록 상기 원형케이스의 저면에 형성되는 장력홈부; 상기 장력조절부재의 장력이 해제되도록 상기 원형케이스의 저면에 형성되는 장력해제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손잡이부재는 손으로 파지할 수 있도록 소정의 길이로 형성되는 손잡이; 상기 고정브래킷부재에 결합되도록 상기 손잡이의 일측에 설치되는 고정힌지; 상기 장력조절부재의 장력을 전달하는 상기 와이어부재가 연결되도록 상기 한 쌍의 손잡이에 각각 형성되는 와이어 연결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장력조절부재는 탄성체가 내장되도록 중공의 원통형으로 형성된 중공케이스; 상기 한 쌍의 손잡이부재에 장력을 부여하도록 상기 중공케이스 내부에 설치되는 탄성체; 상기 탄성체의 장력을 조절하도록 상기 중공케이스의 하부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탄성체조절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장력조절부재는 상기 탄성체의 장력을 해제시키도록 상기 중공케이스의 상부에 형성되는 슬릿홈부; 상기 장력조절부재가 상기 결합부재에 형성된 장력홈부 또는 장력해제홈부에 걸리도록 상기 슬릿홈부에 설치되는 각도조절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완력기에 의하면, 탄성체조절구를 회전시켜 탄성체의 탄성력에 의한 장력을 조절할 수 있고, 장력조절부재를 회전시켜 탄성체의 장력이 와이어부재에 전달되게 할 수 있으며, 장력조절부재의 회전으로 탄성체의 장력을 간편하게 해지시킬 수 있으며, 장력이 해제된 상태에서 완력기를 간편하게 접어서 보관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완력기를 도시한 입체도,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완력기를 도시한 분해 입체도,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완력기의 장력조절부재를 도시한 분해 입체도,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완력기를 도시한 단면 입체도,
도 5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완력기를 도시한 단면 입체도,
도 6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완력기가 접힌 상태를 도시한 입체도,
도 7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완력기가 접힌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8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완력기가 펼쳐진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완력기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완력기는 손잡이부재(20) 및 장력조절부재(50)가 설치되도록 소정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고정브래킷부재(10), 상기 고정브래킷부재(1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손잡이부재(20), 상기 고정브래킷부재(10)에 설치되는 결합부재(30), 상기 한 쌍의 손잡이부재(20)의 회전에 따라 상기 장력조절부재(50)의 장력이 전달되도록 상기 한 쌍의 손잡이부재(20) 사이에 연결되는 와이어부재(40), 상기 한 쌍의 손잡이부재(20)의 회전에 따라 탄성체(58)의 장력이 부여되도록 상기 결합부재(30)에 설치되는 장력조절부재(50)를 포함한다.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완력기는 탄성체의 장력이 부여되도록 장력조절부재(50)를 간단하게 회전시켜 탄성체의 장력이 가해지도록 함으로써 근력 운동을 하고, 미 사용시에는 손잡이부재(20)를 해제시켜 간편하게 접어둘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완력기를 도시한 입체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완력기를 도시한 분해 입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완력기의 장력조절부재를 도시한 분해 입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완력기는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는 고정브래킷부재(1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손잡이부재(20), 상기 고정브래킷부재(10)에 설치되는 결합부재(30), 상기 한 쌍의 손잡이부재(20) 사이에 연결되는 와이어부재(40) 및 상기 한 쌍의 손잡이부재(20)에 장력이 가해지도록 상기 결합부재(30)에 설치되는 장력조절부재(50)로 이루어진다.
상기 고정브래킷부재(10)는 한 쌍의 손잡이부재(20) 및 결합부재(30)가 설치되도록 대략 '∩'자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고정브래킷부재(10)에는 한 쌍의 손잡이부재(20)가 설치되도록 양측에 힌지구멍(11)이 형성된다.
또한 고정브래킷부재(10)에는 결합부재(30)가 설치되도록 고정구멍(12)이 형성된다.
상기 손잡이부재(20)는 손으로 파지할 수 있도록 소정의 길이로 형성되는 손잡이(21), 상기 고정브래킷부재(10)에 결합되도록 상기 손잡이(21)의 일측에 설치되는 고정힌지(22), 상기 장력조절부재(50)의 장력을 전달하는 상기 와이어부재(40)가 연결되도록 상기 한 쌍의 손잡이(21)에 각각 형성되는 와이어 연결구(23)를 포함한다.
상기 손잡이(21)는 소정의 길이로 형성되며, 상기 손잡이(21)의 일측에는 고정브래킷부재(1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도록 고정힌지(22)가 결합되며, 상기 고정힌지(22)는 고정브래킷부재(10)의 힌지구멍(1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손잡이(21)에는 장력조절부재(50)의 장력이 가해지도록 와이어 연결구(23)가 형성된다. 상기 와이어 연결구(23)는 와이어부재(40)가 연결되도록 형성되며, 한 쌍의 손잡이(21)에 형성된 와이어 연결구(23)는 서로 마주보게 설치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결합부재(30)는 중공의 원통체로 이루어진 원형케이스(31), 상기 장력조절부재(50)의 장력을 조절하도록 상기 원형케이스(31)의 저면에 형성되는 장력홈부(32), 상기 장력조절부재(50)의 장력이 해제되도록 상기 원형케이스(31)의 저면에 형성되는 장력해제홈부(33)를 포함한다.
상기 결합부재(30)는 장력조절부재(50)가 설치되도록 한 쌍의 손잡이부재(20) 사이에 설치된다. 즉, 결합부재(30)는 장력조절부재(50)가 고정브래킷부재(10)에 설치되게 한다.
상기 결합부재(30)는 고정브래킷부재(10)에 설치되도록 중공의 원형케이스(31)로 이루어지며, 상기 원형케이스(31)의 저면에는 장력조절부재(50)의 장력이 가해지도록 형성되는 장력홈부(32)와 장력조절부재(50)의 장력이 해제되도록 형성되는 장력해제홈부(33)가 형성된다.
상기 장력홈부(32)는 원형케이스(31)의 저면 양측에 형성되고, 상기 장력해제홈부(33)는 장력홈부(32)와 교차되는 방향으로 원형케이스(31)의 저면 양측에 형성된다.
아울러 장력홈부(32)는 장력조절부재(50)의 장력이 가해지도록 장력해제홈부(33)에 비하여 비교적 짧게 형성되고, 상기 장력해제홈부(33)는 장력조절부재(50)의 장력이 해제되도록 장력홈부(32)에 비하여 비교적 길게 형성된다.
즉, 장력해제홈부(33)는 장력조절부재(50)가 결합부재(30)의 내측으로 인입되어 와이어부재(40)가 한 쌍의 손잡이부재(20) 사이에 느슨하게 연결되게 한다.
상기 와이어부재(40)는 한 쌍의 손잡이부재(20)에 연결되어 장력조절부재(50)를 반복적으로 당겨줌으로써, 가슴 근력 및 팔 근력 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와이어부재(40)는 손잡이부재(20)의 와이어 연결구(23)에 양단이 각각 결속된다. 상기 와이어 연결구(40)의 일단은 한 쌍 손잡이(21) 중 하나의 와이어 연결구(23)에 결속되고, 상기 와이어 연결구(40)의 타단은 다른 하나의 손잡이(21)에 형성된 와이어 연결구(23)에 결속된다.
상기 장력조절부재(50)는 탄성체(58)가 내장되도록 중공의 원통형으로 형성된 중공케이스(51), 상기 한 쌍의 손잡이부재(20)에 장력을 부여하도록 상기 중공케이스(51) 내부에 설치되는 탄성체(58), 상기 탄성체(58)의 장력을 조절하도록 상기 중공케이스(51)의 하부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탄성체조절구(59)를 포함한다.
상기 장력조절부재(50)는 한 쌍의 손잡이부재(20)에 의해 당겨지는 와이어부재(40)에 장력을 부여하여 줌으로써, 근력 운동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장력조절부재(50)는 각도조절구(57)에 의해 와이어부재(40)에 장력을 부여하는 상태로 회전되거나 상기 각도조절구(57)에 의해 와이어부재(40)에 장력이 부여되지 않도록 한다.
상기 장력조절부재(50)는 일정 길이를 갖는 중공케이스(51)와 상기 중공케이스(51) 내부에 설치되어 탄성력에 의한 장력을 발생시키는 탄성체(58)와 상기 탄성체(58)의 위치를 가변시켜 탄성체(58)의 장력을 조절하는 탄성체조절구(59)로 이루어진다.
상기 중공케이스(51)는 내부가 빈 중공의 원통체로 이루어지며, 상기 중공케이스(51)의 상면에는 상판(52)이 고정된다. 상기 상판(52)의 상면에는 와이어부재(40)가 연결되도록 걸림고리(53)가 형성되고, 상기 걸림고리(53)에는 와이어부재(40)가 관통되도록 관통구멍(54)이 형성된다.
상기 장력조절부재(50)는 상기 탄성체(58)의 장력을 해제시키도록 상기 중공케이스(51)의 상부에 형성되는 슬릿홈부(56), 상기 장력조절부재(50)가 상기 결합부재(30)에 형성된 장력홈부(32) 또는 장력해제홈부(33)에 걸리도록 상기 슬릿홈부(56)에 설치되는 각도조절구(57)를 포함한다.
아울러 상판(52)의 저면에는 중공케이스(51) 내부에 삽입되는 고정봉(55)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봉(55)의 하부에는 소정의 길이만큼 나사부(55a)가 형성된다.
또 중공케이스(51)의 상부에는 각도조절구(57)가 끼워지는 슬릿홈부(56)가 형성된다. 상기 슬릿홈부(56)에는 각도조절구(57)가 끼워진다.
상기 중공케이스(51) 내부에는 장력을 부여하는 탄성체(59)가 설치되며, 상기 고정봉(55)의 나사부(55a)에는 탄성체조절구(59)가 체결된다. 상기 탄성체조절구(59)는 나사부(55a)에 체결되어 탄성체(58)의 탄성렴을 조절하게 된다.
즉, 상판(52)과 탄성체조절구(59)와의 간격을 좁히게 되면 탄성체(58)의 탄성력이 감소하게 되고, 상판(52)과 탄성체조절구(59)와의 간격을 넓히게 되면 탄성체(58)의 탄성력이 증가하게 된다.
상기 탄성체조절구(59)에는 탄성체조절구(59)의 저면에 결합되는 앤드캡(60)이 구비된다.
다음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완력기의 결합관계를 설명한다.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완력기를 도시한 단면 입체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완력기를 도시한 단면 입체도이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완력기는 고정브래킷부재(10)의 힌지구멍(11)에 손잡이부재(20)를 결합한다. 상기 손잡이부재(20)는 고정브래킷부재(10)의 내측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고정힌지(22)를 결합시켜 손잡이(21)를 회전 가능하게 결합한다.
상기 고정브래킷부재(10)의 고정구멍(13)에는 결합부재(30)를 고정한다. 상기 결합부재(30)는 한 쌍의 손잡이부재(20) 사이의 고정브래킷부재(10)에 설치된다.
상기 결합부재(30)에는 장력조절부재(50)를 설치한다. 상기 중공케이스(51)의 슬릿홈부(56)에는 장력조절부재(50)의 회전 각도를 조절하는 각도조절구(57)를 삽입하고, 상기 중공케이스(51)의 상면에는 관통구멍(54)이 형성된 걸림고리(53)를 고정한다.
아울러 중공케이스(51)의 내부에는 탄성체(58)를 삽입하며, 상기 고정봉(55)은 각도조절구(57) 및 탄성체(58)를 관통되게 설치한다.
상기 슬릿홈부(56)에 각도조절구(57)가 설치되는 장력조절부재(50)는 중공케이스(51)를 회전시킴에 따라 탄성체(58)의 장력이 발생되도록 한다 즉, 사용자는 중공케이스(51)의 각도조절구(57)를 장력홈부(32)에 끼워 결합함으로써, 탄성체(58)의 장력이 발생되게 하고, 중공케이스(51)의 각도조절구(57)를 장력해제홈부(33)에 끼워 결합함으로써, 탄성체(58)의 장력을 해제시킬 수 있게 된다.
또 고정봉(55)의 나사부(55a)에는 탄성체(58)의 장력을 조절하는 탄성체조절구(59)를 체결하며, 상기 탄성체조절구(59)의 저면에는 앤드캡(60)을 결합한다.
한편 한 쌍의 손잡이부재(20)에는 와이어부재(40)가 연결되는데, 상기 와이어부재(40)의 일단은 하나의 와이어 연결구(23)에 결속되고, 상기 와이어부재(40)를 걸림고리(53)의 관통구멍(54)에 관통시킨 다음 와이어 연결구(23)의 타단을 다른 하나의 와이어 연결구(23)에 결속하게 된다.
이러한 와이어부재(40)는 강성을 갖는 금속 재질 또는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져도 무방하다.
다음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완력기의 작동방법을 설명한다.
도 6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완력기가 접힌 상태를 도시한 입체도이고, 도 7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완력기가 접힌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8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완력기가 펼쳐진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완력기는 한 쌍의 손잡이부재(20)를 파지한 상태에서 손잡이(21)를 회전시켜 가슴 근력 운동 및 팔 근력 운동을 하게 된다.
근력 운동을 하기 위하여 사용자는 장력조절부재(50)를 조절하게 되는데, 상기 장력조절부재(50)의 각도조절구(57)를 결합부재(30)의 장력홈부(32)에 위치되도록 회전시킨다.
상기 각도조절구(57)가 장력홈부(32)에 위치되게 회전시킨 상태에서 손잡이(21)를 회전시키게 되면, 중공케이스(51)에 결합된 탄성체조절구(59)가 당겨지게 된다.
이에 탄성체조절구(59)는 상승하면서 탄성체(58)를 가압하게 되고, 탄성체조절구(59)는 상판(52)의 걸림고리(53)가 상승되면서 손잡이(21)에 탄성체(58)의 장력이 가해지게 된다.
즉, 손잡이(21)는 와이어부재(40)가 연결된 걸림고리(53)를 결합부재(30)의 상측으로 끌어올리게 되고, 이때 탄성체조절구(59)에는 탄성체(58)의 탄성력에 대응되는 반발력이 가해지게 된다.
이와 같이 와이어부재(40)에는 한 쌍의 손잡이부재(20)가 잡아당기는 힘에 비례하여 탄성체(58)의 탄성력에 의한 장력이 전달되고, 사용자는 탄성체(58)의 장력에 대응되는 근력을 반복적으로 사용하게 된다.
한편 사용자는 탄성체(58)의 장력을 줄이고자 하는 경우, 탄성체조절구(59)를 회전시켜 상판(52)과 탄성체조절구(59)와의 간격을 좁게 하고, 탄성체(58)의 장력을 증가시키고자 하는 경우, 탄성체조절구(59)를 역회전시켜 상판(52)과 탄성체조절구(59)와의 간격을 길게 한다.
또한 사용자는 근력 운동을 하지 않고자 하는 경우, 완력기를 간편하게 접어서 보관하게 된다.
이때 사용자는 장력조절부재(50)의 중공케이스(51)를 파지한 상태에서 상기 각도조절구(57)를 장력홈부(32)에서 장력해제홈부(33)로 회전시킨다.
이에 각도조절구(57)는 장력홈부(32)에서 길이가 길게 형성된 장력해제홈부(33)로 이동되어 와이어부재(40)를 느슨하게 한다.
도 8에서와 같이, 상기 장력조절부재(50)는 결합부재(30)의 원형케이스(31) 내측으로 상승되어 탄성체(58)의 탄성력이 가해지지 않게 되고, 상기 와이어부재(40)는 와이어 연결구(23) 사이에 느슨하게 풀린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에 사용자는 한 쌍의 손잡이(21)를 장력조절부재(50) 쪽으로 회전시켜 완력기를 접게 된다.
이상 본 고안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고안을 상기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10: 고정브래킷부재 11: 힌지구멍
12: 고정구멍
20: 손잡이부재 21: 손잡이
22: 고정힌지 23: 와이어 연결구
30: 결합부재 31: 원형케이스
32: 장력홈부 33: 장력해제홈부
34: 고정구멍 40: 와이어부재
50: 장력조절부재 51: 중공케이스
52: 걸림고리 53: 관통구멍
54: 슬릿홈부 55: 각도조절구
56: 받침대 57: 탄성체
58: 탄성체 조절구 59: 앤드캡

Claims (5)

  1. 손잡이부재 및 장력조절부재가 설치되도록 소정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고정브래킷부재;
    상기 고정브래킷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손잡이부재;
    상기 고정브래킷부재에 설치되는 것으로, 중공의 원통체로 이루어진 원형케이스, 장력조절부재의 장력을 조절하도록 원형케이스의 저면에 형성되는 장력홈부, 장력조절부재의 장력이 해제되도록 원형케이스의 저면에 형성되는 장력해제홈부로 구성되는 결합부재;
    상기 한 쌍의 손잡이부재의 회전에 따라 상기 장력조절부재의 장력이 전달되도록 상기 한 쌍의 손잡이부재 사이에 연결되는 와이어부재;
    상기 한 쌍의 손잡이부재의 회전에 따라 탄성체의 장력이 부여되도록 상기 결합부재에 설치되는 장력조절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력기.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재는 손으로 파지할 수 있도록 소정의 길이로 형성되는 손잡이;
    상기 고정브래킷부재에 결합되도록 상기 손잡이의 일측에 설치되는 고정힌지;
    상기 장력조절부재의 장력을 전달하는 상기 와이어부재가 연결되도록 상기 한 쌍의 손잡이에 각각 형성되는 와이어 연결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력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력조절부재는 탄성체가 내장되도록 중공의 원통형으로 형성된 중공케이스;
    상기 한 쌍의 손잡이부재에 장력을 부여하도록 상기 중공케이스 내부에 설치되는 탄성체;
    상기 탄성체의 장력을 조절하도록 상기 중공케이스의 하부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탄성체조절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력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장력조절부재는 상기 탄성체의 장력을 해제시키도록 상기 중공케이스의 상부에 형성되는 슬릿홈부;
    상기 장력조절부재가 상기 결합부재에 형성된 장력홈부 또는 장력해제홈부에 걸리도록 상기 슬릿홈부에 설치되는 각도조절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력기.
KR2020180001383U 2018-03-30 2018-03-30 완력기 KR20049012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1383U KR200490128Y1 (ko) 2018-03-30 2018-03-30 완력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1383U KR200490128Y1 (ko) 2018-03-30 2018-03-30 완력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0128Y1 true KR200490128Y1 (ko) 2019-09-27

Family

ID=680840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80001383U KR200490128Y1 (ko) 2018-03-30 2018-03-30 완력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0128Y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9278Y1 (ko) * 2006-07-27 2006-10-20 유원기 완력기
KR100719066B1 (ko) * 2006-04-11 2007-05-18 안태진 완력기
KR200445740Y1 (ko) 2008-08-26 2009-08-28 유원기 완력기
KR20110090020A (ko) 2010-02-02 2011-08-10 안태진 완력기
KR20130000323U (ko) 2011-07-05 2013-01-15 이중철 완력기
KR20140000351U (ko) 2012-07-05 2014-01-16 김지혜 완력기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9066B1 (ko) * 2006-04-11 2007-05-18 안태진 완력기
KR200429278Y1 (ko) * 2006-07-27 2006-10-20 유원기 완력기
KR200445740Y1 (ko) 2008-08-26 2009-08-28 유원기 완력기
KR20110090020A (ko) 2010-02-02 2011-08-10 안태진 완력기
KR20130000323U (ko) 2011-07-05 2013-01-15 이중철 완력기
KR20140000351U (ko) 2012-07-05 2014-01-16 김지혜 완력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19066B1 (ko) 완력기
US4093211A (en) Combination jump rope and flexible exerciser
US7090627B1 (en) Device for exercising abdominal muscles
US5533952A (en) Hand grip assembly for cross-country exerciser or similarly-gripped exercise equipment
KR101094584B1 (ko) 완력기
CN110180139B (zh) 握力器
US20160082314A1 (en) Multi-functional exercise shaft device
KR200467778Y1 (ko) 완력기
KR200490128Y1 (ko) 완력기
KR20150077894A (ko) 탄성밴드를 이용한 다기능 운동기구
KR101576738B1 (ko) 완력기
US7935028B2 (en) Exercise device and its arm rest
KR100673581B1 (ko) 완력기
KR200451841Y1 (ko) 다기능 로우프 밴드 운동기구
KR101223194B1 (ko) 운동기구
US6672995B2 (en) Variable resistance hand gripper device
KR101108673B1 (ko) 휴대용 팔씨름 단련기
US20150165255A1 (en) Seated walker
KR200463831Y1 (ko) 손잡이조절장치가 구비된 상체운동기구
KR101527865B1 (ko) 운동기구
JP2008079722A (ja) 歩行訓練器具
KR101641776B1 (ko) 운동기구
KR100825178B1 (ko) 완력기
KR101165155B1 (ko) 길이 조절이 용이한 완력기
KR200454896Y1 (ko) 팔씨름용 팔 운동 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