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76738B1 - 완력기 - Google Patents
완력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576738B1 KR101576738B1 KR1020140070955A KR20140070955A KR101576738B1 KR 101576738 B1 KR101576738 B1 KR 101576738B1 KR 1020140070955 A KR1020140070955 A KR 1020140070955A KR 20140070955 A KR20140070955 A KR 20140070955A KR 101576738 B1 KR101576738 B1 KR 10157673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pring
- support
- movable shaft
- head
- shaf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2—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lient force-resisters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2—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lient force-resisters
- A63B21/05—Linearly-compressed elements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 A63B23/12—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upper limbs or related muscles, e.g. chest, upper back or shoulder muscl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표면을 관통하여 스프링 공간부(11)가 형성된 판형 부재로 이루어지며, 하단부가 절개되어 상기 스프링 공간부(11)의 하면(12)에서 아래로 연장된 개구(14)가 형성된 헤드(10); 상기 헤드(10)의 하단부를 연결하여 고정하며, 가동 축(40)이 관통하여 지나면서 지지되는 관통 지지부를 형성하는 축 서포트(20); 상기 스프링 공간부(11) 내에 상단이 스프링 서포트(34)에 의해 지지되면서 길이 방향으로 설치되는 코일형 스프링(30); 상기 스프링 서포트(34)에 상단이 고정되고 상기 코일형 스프링(30)을 관통하여 상기 축 서포트(20) 및 상기 개구(14)를 지나 아래로 연장되는 가동 축(40); 상기 헤드(10)의 양 측면(16)에 각각 연결되는 한 쌍의 암(50); 상기 암(50)에 일단이 고정되고 상기 한 쌍의 암(50) 사이에 경사지게 아래로 연장되는 한 쌍의 링크(60); 상기 링크(60)의 타단 및 상기 가동 축(60)이 고정되는 동작 연결부(70)를 포함하는 완력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완력기에 관한 것으로, 스프링이 지지되는 헤드를 판형 부재로 제작한 완력기에 관한 것이다.
완력기는 팔, 어깨 등의 근력을 단련하기 위해 사용하는 운동기구로서, 스프링이 설치된 헤드와, 스프링과 작동적으로 연결된 한 쌍의 암을 포함한다.
완력기는 사용자가 양손으로 좌우 암을 각각 잡은 다음 양측 암이 서로 접근하도록 힘을 가하여 팔, 어깨 등에 근력이 부여되도록 하고, 힘을 풀어 양측 암을 원래의 이격 위치로 복귀시키면서 팔, 어깨 등의 근력이 이완되도록 하는 동작을 반복하면서 운동이 이루어진다.
종래의 완력기는 사용자가 한 쌍의 암을 접근 상호접근 이동시킬 때 암의 이동을 방해하여 근력이 향상되도록 하는 힘의 제공수단으로 인장 코일스프링을 사용하였다. 그러나 인장 코일스프링의 경우 변형시에 말단의 고리부에 응력이 집중되어 고리부가 쉽게 파단 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이러한 종래의 완력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암이 상호 접근하는 동작을 링크 연결을 통해 헤드부에 설치된 코일 스프링의 압축 동작으로 연결하는 방식의 완력기가 한국등록특허 제10-1094584호로 공지되어 있다.
본 발명은 완력 운동시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이 설치되는 헤드를 판형 부재를 이용하여 제작함으로써 제작이 용이하고, 내구성이 뛰어난 완력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보관을 용이하게 하는 걸이홈을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는 완력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표면을 관통하여 스프링 공간부가 형성된 판형 부재로 이루어지며, 하단부가 절개되어 상기 스프링 공간부의 하면에서 아래로 연장된 절개부 형태의 개구가 형성되는 헤드; 상기 헤드의 하단부를 연결하여 고정하며, 가동 축이 관통하여 지나면서 지지되는 관통 지지부를 형성하는 축 서포트; 상기 스프링 공간부 내에 상단이 스프링 서포트에 의해 지지되면서 길이 방향으로 설치되는 코일형 스프링; 상기 스프링 서포트에 상단이 고정되고 상기 코일형 스프링을 관통하여 상기 축 서포트 및 상기 개구를 지나 아래로 연장되는 가동 축; 상기 헤드의 양 측면에 각각 연결되는 한 쌍의 암; 상기 암에 일단이 고정되고 상기 한 쌍의 암 사이에 경사지게 아래로 연장되는 한 쌍의 링크; 및 상기 링크의 타단 및 상기 가동 축이 고정되는 동작 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스프링 공간부의 상기 하면에는 상기 개구 양측으로 걸림턱이 돌출 형성되고, 상기 축 서포트는 상기 스프링 공간부의 하면에 배치되는 판형 부재로 형성되고, 중심에는 상기 가동 축이 지나는 관통홀이 형성되어 상기 관통 지지부를 형성하며, 상기 관통홀의 측면으로 상기 걸림턱이 끼워지는 걸림홈이 형성되며, 상기 스프링 서포트는 양측에 상기 스프링 공간부의 양측면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지는 슬라이딩 홈이 형성되어 상기 스프링 공간부를 따라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장착된 완력기를 제공한다.
삭제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스프링 공간부의 상부측에는 측면으로 연장된 스프링 서포트 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스프링 서포트는 상기 스프링 서포트 삽입홈을 통해 상기 슬라이딩 홈이 형성된 확장편이 끼워져 상기 스프링 공간부 내에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헤드의 상기 스프링 공간부의 상부측에는 걸이홈이 형성되어 보관을 용이하게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동작 연결부는, 상기 각 링크의 타단이 연결되고, 상기 가동 축이 이동 가능하게 결합하여 상기 가동 축에 대하여 상하 방향으로 위치 조절이 가능한 바디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동작 연결부는, 상기 가동 축에 대하여 나사체결 방식으로 결합되어 회동에 따라 상기 가동 축에 대하여 위치가 조절되는 조절나사를 더 포함하여, 상기 조절나사의 위치 조절에 의해 상기 바디의 위치가 조절되면서 완력 운동시 제공되는 탄성력의 세기가 조절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가동 축에는 상기 헤드의 하단면에 접촉가능한 서포트 너트가 체결되고, 상기 서포트 너트는 상기 가동 축을 따라 위치가 조절되어 탄성력의 세기를 조절가능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암은 판형 부재로 이루어지며 하단부에 손잡이가 끼워지는 손잡이 암과, 상기 손잡이 암과 상기 헤드를 양측 단부에서 각각 개재하여 고정하는 서로 대면하는 판형 부재로 형성된 2 개의 연결암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완력 운동시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이 설치되는 헤드를 판형 부재를 이용하여 레이저 커팅 등의 방식으로 제작가능하다. 이로 인해 용이하고, 내구성이 뛰어난 완력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헤드에 보관을 용이하게 하는 걸이홈을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으며, 제작이 용이하고 보관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완력기의 사시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완력기의 분해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완력기의 설명하기 위한 일부 부품 조립도이다.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완력기의 일부 부품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a) 축 서포트 (b) 스프링 서포트, (c) 유격방지캡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완력기의 벽면 거치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완력기의 분해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완력기의 설명하기 위한 일부 부품 조립도이다.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완력기의 일부 부품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a) 축 서포트 (b) 스프링 서포트, (c) 유격방지캡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완력기의 벽면 거치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완력기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완력기의 사시도이고,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완력기의 분해도이며,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완력기의 설명하기 위한 일부 부품 조립도이며,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완력기의 일부 부품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a) 축 서포트 (b) 스프링 서포트, (c) 유격방지캡을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완력기의 벽면 거치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완력기는, 헤드(10), 축 서포트(20), 코일형 스프링(30), 가동 축(40), 암(50), 링크(60), 동작 연결부(70)를 포함한다.
헤드(10)는 중간에 표면을 관통하여 스프링 공간부(11)가 형성된 판형 부재로 이루어진다. 헤드(10)를 이루는 판형 부재의 하단부는 절개되어 스프링 공간부(11)의 하면(12)과 헤드(10)의 하단면(17)을 연결하는 개구(14)를 형성한다. 스프링 공간부(11)의 하면(12)에는 개구(14) 주변으로 걸림턱(15)이 돌출된다. 걸림턱(15)은 축 서포트(20)의 걸림홈(25)에 끼워진다.
헤드(10)의 스프링 공간부(11)의 상부측에는 측면으로 연장된 스프링 서포트 설치홈(18)이 형성된다. 스프링 서포트 설치홈(18)은 스프링 서포트(34)를 스프링 공간부(11) 상에 조립할 때 이용된다.
헤드(10)의 상부측에는 걸이홈(19)이 형성된다. 걸이홈(19)은 스프링 공간부(11)와 연통되어 상부로 연장된 형태로 형성된다. 걸이홈(19)은 완력기를 사용하지 않을 때 사용자가 벽면 등에 못 등으로 형성된 걸이부(90)에 완력기를 걸어 보관할 수 있게 함으로써 보관을 용이하게 하는 기능을 한다(도 5 참조).
본 발명에 의하면, 헤드(10)는 금속 판재와 같은 판형 부재를 레이저 커팅 등의 방식으로 커팅하여 제작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헤드(10)는 판형 부재로 제작되고 형상을 이루는 윤곽선들이 모두 이어지므로 제조가 용이하다. 또한 금속 판재를 이용하여 제작 가능하므로 충분한 내구성을 갖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코일형 스프링(30)은 스프링 공간부(11) 내에 상하 방향으로 설치된다. 코일형 스프링(30)은, 축 서포트(20)와 스프링 서포트(34) 사이에 개재되어 지지된다.
축 서포트(20)는 헤드(10)의 하단부를 연결하여 고정하며, 코일형 스프링(30)을 압축하는 동작을 하는 가동 축(40)이 관통하여 지나면서 지지되는 관통 지지부를 형성한다.
바람직하게는 축 서포트(20)는 스프링 공간부(11)의 폭에 대응되는 직경을 가진 원판형 부재로 이루어지며, 스프링 공간부(11)의 하면(12)에 설치된다. 가동 축 서포트(20)의 중심에는 가동 축(40)이 길이 방향으로 관통하여 지나는 관통홀(22)이 형성되며, 관통홀(22)의 양측으로 스프링 공간부(11)의 하면(12)에 돌출된 걸림턱(15)이 끼워지는 걸림홈(25)이 형성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헤드(10)가 판형 부재로 형성되므로, 절개부 형태인 개구(14)로부터 가동 축(40)이 이탈할 수 있다. 그러나 축 서포트(20)에 형성된 관통홀(22)이 관통 지지부를 형성하여, 가동 축(40)이 관통홀(22)을 지나면서 지지되므로 가동 축(40)이 이탈됨이 없이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허용한다.
또한, 스프링 공간부(11)의 하면에 형성된 걸림턱(15)이 축 서포트(20)의 걸림홈(25)에 끼워지는 방식으로 축 서포트(20)가 고정되는데, 축 서포트(20)는 헤드(10)의 하단부를 연결하여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헤드(10)에 과도한 외력이 가해지더라도 판형 헤드(10)가 개구(14)를 중심으로 변형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스프링 서포트(34)는 원판형 부재로 형성되며 코일형 스프링(30)의 상단을 지지하는 역할을 하며 가동 축(40)의 상단이 고정된다. 따라서 가동 축(40)이 아래로 이동하는 경우 코일형 스프링(30)의 상단을 눌러 아래로 압축시킨다. 스프링 서프트(34)의 중심에는 가동 축(40)이 끼워지는 홀이 형성되어 있다.
스프링 서포트(34)의 양측에는 스프링 공간부(11)의 폭 보다 넓게 확장된 확장편(35)이 구비된다. 확장편(35)에는 스프링 공간부(11)의 양측면(13)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지는 슬라이딩 지지홈(36)이 형성된다.
스프링 서포트(34)는 스프링 공간부(11)의 상부측에 형성된 스프링 서포트 설치홈(18)을 통해 확장편(35)이 끼워지는 방식으로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다. 스프링 서포트(34)는 스프링 공간부(12)의 양측면(13)에 의해 지지되면서 상하로 이동한다. 이로 인해 가동 축(40)에 의해 코일형 스프링(30)이 상하 방향으로 압축되고, 코일형 스프링(30)이 원래의 위치로 복귀하는 동작을 할 때 코일형 스프링(30)의 유격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코일형 스프링(30)의 내부에 보조 코일형 스프링(37)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내부에 설치된 보조 코일형 스프링(37)의 유격을 방지하기 위해 보조 코일형 스프링(37)의 상하단에 유격방지 캡(38)이 각각 설치될 수 있다. 유격방지캡(38)들은 보조 코일형 스프링(37)의 상하단을 각각 덮으며 높이 방향으로 연장된 플랜지(39)를 구비한다, 유격방지캡(38)의 플랜지(39)는 코일형 스프링(30)의 내주면과 보조 코일형 스프링(37)의 외주면 사이에 위치하여 보조 코일형 스프링(37)의 유격을 최소화시킨다.
가동 축(40)은 스프링 서포트(34)에 상단이 고정된 상태로 코일형 스프링(30)의 중심을 관통하여 아래로 연장되고 축 서포트(20)의 관통홀(22)을 관통하여 개구(14)를 지나 헤드(10)의 하단면(17) 아래로 연장된다.
가동 축(40)은 조절너트(65) 및 보조 조절 너트(70)가 나사체결 방식으로 체결될 수 있도록 적어도 부분적으로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형태로 형성된다.
가동 축(40)은 헤드(10)의 개구(14)를 지나지만, 개구(14)는 절개부 형태로서 전후면이 개방되어 있으며, 가동 축(40)은 축 서포트(20)에 의해 지지되므로, 가동 축(40)의 두께는 코일형 스프링(30) 등의 탄성력을 고려하여 판형 헤드(10)의 두께와 무관하게 선택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완력기는 한 쌍의 암(50)을 포함하며, 헤드(10)의 양 측면(16) 각각에는 암(50)이 회동가능하게 연결된다.
암(50)은 판형 부재로 형성되고 하측에 손잡이(54)가 고정되는 손잡이 암(52)과 손잡이 암(52)의 상단과 헤드(10)의 측면(16)을 연결하는 연결암부(56)를 포함한다. 연결암부(56)는 판형 부재로 형성되고 서로 대면하는 두 개의 연결암(57, 58)을 포함하여, 각 단부측에서 헤드(10)의 측면(16)과 손잡이 암(52)의 상단을 개재하여 고정된다. 연결암부(56)는 판형 헤드(10)의 측면(16)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손잡이 암(52)에 고정적으로 연결된다.
본 발명에 따른 완력기에 의하면 손잡이 암(52)과 연결암(57, 58)들을 판형 부재로 형성하므로, 금속 판재의 레이저 커팅 등을 통해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고, 서로 대면하는 판형부재로 이루어진 연결암(57, 58) 사이에 헤드(10)의 측면이 개재되는 방식으로 고정되므로, 연결암(57, 58)을 통해 연결 부분에 충분한 강성을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완력기는 한 쌍의 링크(60)를 포함한다. 각 링크(60)는 각 암 (50), 구체적으로 연결암(57, 58) 사이에 일단이 회동가능하게 고정되고, 양측 암(50) 사이 방향으로 경사지게 아래로 연장되어 동작 연결부(70)에 타단이 회동가능하게 연결된다. 링크(60)는 암(50)의 동작을 동작 연결부(70)에 전달하는 기능을 한다. 링크(60)는 판형 부재로 형성되므로, 금속 판재의 레이저 커팅 등을 통해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동작 연결부(70)가 헤드(10)의 하단면(17) 하측으로 구비된다. 동작 연결부(70)는 암(50)의 동작을 코일형 스프링(30)의 압축 동작으로 연결시키는 기능을 하는 것으로, 가동 축(40)과 링크(60)가 연결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동작 연결부(70)는 가동 축(40)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위치가 조절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동작 연결부(70)의 위치 조절에 의해 운동 시작 위치에서의 양측 암이 벌어진 각도와 완력 운동시 완력기에서 제공되는 탄성력의 세기가 조절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동작 연결부(70)는 링크(60)의 타단이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바디(72)를 포함한다. 또한 바디(72)에는 가동 축(40)이 이동가능하게 삽입되는 관통홀(73)이 형성되어 가동 축(40)이 삽입 연장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동작 연결부(70)에는 가동 축(40)이 지나고 조절너트(75)가 배치되는 조절너트홈(73)이 형성된다. 조절너트(75)는 가동 축(40)에 나사체결방식으로 결합되어 조절너트(75)의 조절을 통해 가동 축(40)에 대한 동작 연결부(70)의 위치를 상하로 조절할 수 있게 한다.
예컨대, 조절너트(75)를 가동 축(40)에 대해 상측으로 이동시키면, 동작 연결부(70)가 가동 축(40)에 대해 상측으로 이동하고, 동작 연결부(70)의 상측 이동은 동작 연결부(70)에 연결된 링크(60)의 하단 위치를 상측으로 이동시켜 링크(60)에 연결된 양측 암(50)이 서로에 대해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전, 즉 양측 암(50)이 서로에 대해 벌어지게 한다.
이와 같은 조절너트(75)의 동작으로 인해 운동시 제공되는 탄성력의 세기를 조절할 수 있다. 완력기는 암에 힘을 가하지 않은 상태인 운동 시작 위치에서 사용자가 암을 잡고서 힘을 가하여 서로 접근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킬 때 변형되는 코일형 스프링(30)의 탄성력을 이용한다. 따라서 운동 시작 위치에서 양측 암이 벌어진 각도가 커지면 최대 근접 위치로 이동시키는 데 소요되는 힘이 증가하게 된다. 즉, 운동 시작 위치에서의 양측 암의 벌어진 각도가 증가하면 최대 근접 위치에서 코일형 스프링(30)의 압축 변형량이 증가되므로 최대 근접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해 소요되는 힘이 증가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동작 연결부(70)는 운동시 완력기에서 제공되는 탄성력의 세기를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동작 연결부(70)는 도면에 도시된 구성에 제한되지 않고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예컨대, 동작 연결부(70)에 연결되는 가동 축(40)의 하단이 복수의 걸림부를 구비한 형태로 형성되고, 동작 연결부(70)의 바디(72)에 선택된 위치의 걸림부와 맞물림되는 후크를 포함할 수 있다. 후크와 맞물림되는 걸림부가 변경됨에 따라 동작 연결부(70)는 가동 축(40)에 대하여 상하로 위치 조절이 가능하고, 이에 따라 양측 암이 벌어지는 각도가 변경되고 완력 운동시 양측 암을 최대 근접 위치로 이동시키는 데 소용되는 힘이 변경된다.
본 발명에 따른 완력기는 헤드(10)의 하단면에 접촉되게 가동 축(40)에 체결된 서포트 너트(78)를 더 포함한다.
서포트 너트(78)는 암을 누르는 힘이 제거된 릴리즈 상태 즉, 운동 시작 위치에서 헤드(10)의 하단면(17)에 접촉하여, 릴리즈 상태에서 스프링 공간부(12) 내에 위치하는 가동 축(40)의 길이를 조절하는 기능을 한다. 서포트 너트(78)가 가동 축(40)을 따라 상방으로 위치 조절되는 경우 릴리즈 상태에서 스프링 공간부(12) 내에 위치하는 가동 축(40)의 길이가 짧아진다. 릴리즈 상태에서 스프링 공간부(12) 내에 위치하는 가동 축(40)의 길이가 코일형 스프링(30)의 길이보다 짧게 조절된 경우 운동 시작 위치에서 코일형 스프링(30)은 이미 압축된 상태를 유지한다. 따라서 서포트 너트(78)의 위치를 조절함으로써 코일형 스프링(22)이 제공하는 탄성력의 세기를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조절 너트(75)와 서포트 너트(78)의 위치를 동시에 조절하는 경우, 운동 시작 위치에서 암(50)들의 위치가 동일하더라도 운동시 제공되는 탄성력의 세기를 변경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조절너트(75)를 조절함으로써, 릴리즈 상태에서 암(50)들이 최대 근접 위치로 이동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즉, 조절너트(75)를 조절하여 동작 연결부(70)를 하측으로 이동시키는 경우 암(50)들에 힘을 가하지 않은 릴리즈 상태로 암(50)들이 최대 근접 위치로 이동하여 접혀진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는 도 5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걸이홈(19)을 이용하여 벽면에 형성된 걸이부(90)에 완력기를 걸어 보관하는 것이 가능하다. 보관 공간을 최소화하면서 벽면에 걸이 보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완력기는 금속 판재를 레이저 가공 또는 프레스 가공을 통해 커팅하는 방식으로 헤드, 손잡이 암, 연결암, 및 링크를 제작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방식은 금속 소재로 몰드를 이용하여 성형하는 방식에 비해 생산단가가 저렴하고 제작이 용이하며, 최적 설계로 경량으로 제조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플라스틱 소재의 부품을 이용한 사출 성형 방식에 비해서도 제작이 용이하고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한 다양한 변형 실시 또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Claims (8)
- 표면을 관통하여 스프링 공간부(11)가 형성된 판형 부재로 이루어지며, 하단부가 절개되어 상기 스프링 공간부(11)의 하면(12)에서 아래로 연장된 절개부 형태의 개구(14)가 형성되는 헤드(10);
상기 헤드(10)의 하단부를 연결하여 고정하며, 가동 축(40)이 관통하여 지나면서 지지되는 관통 지지부를 형성하는 축 서포트(20);
상기 스프링 공간부(11) 내에 상단이 스프링 서포트(34)에 의해 지지되면서 길이 방향으로 설치되는 코일형 스프링(30);
상기 스프링 서포트(34)에 상단이 고정되고 상기 코일형 스프링(30)을 관통하여 상기 축 서포트(20) 및 상기 개구(14)를 지나 아래로 연장되는 가동 축(40);
상기 헤드(10)의 양 측면(16)에 각각 연결되는 한 쌍의 암(50);
상기 암(50)에 일단이 고정되고 상기 한 쌍의 암(50) 사이에 경사지게 아래로 연장되는 한 쌍의 링크(60); 및
상기 링크(60)의 타단 및 상기 가동 축(60)이 고정되는 동작 연결부(70)를 포함하며,
상기 스프링 공간부(11)의 상기 하면(12)에는 상기 개구(14) 양측으로 걸림턱(15)이 돌출 형성되고,
상기 축 서포트(20)는 상기 스프링 공간부(11)의 하면에 배치되는 판형 부재로 형성되고, 중심에는 상기 가동 축(40)이 지나는 관통홀(22)이 형성되어 상기 관통 지지부를 형성하며, 상기 관통홀(22)의 측면으로 상기 걸림턱(15)이 끼워지는 걸림홈(25)이 형성되며,
상기 스프링 서포트(34)는 양측에 상기 스프링 공간부(11)의 양측면(13)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지는 슬라이딩 홈(36)이 형성되어 상기 스프링 공간부(11)를 따라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력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공간부(11)의 상부측에는 측면으로 연장된 스프링 서포트 삽입홈(18)이 형성되며,
상기 스프링 서포트(34)는 상기 스프링 서포트 삽입홈(18)을 통해 상기 슬라이딩 홈(36)이 형성된 확장편(35)이 끼워져 상기 스프링 공간부(11) 내에 설치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력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10)의 상기 스프링 공간부(11)의 상부측에는 걸이홈(19)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력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 연결부(70)는,
상기 각 링크(69)의 타단이 연결되고, 상기 가동 축(40)이 이동 가능하게 결합하여 상기 가동 축(40)에 대하여 상하 방향으로 위치 조절이 가능한 바디(7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력기.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 연결부(70)는,
상기 가동 축(40)에 대하여 나사체결 방식으로 결합되어 회동에 따라 상기 가동 축(40)에 대하여 위치가 조절되는 조절나사(75)를 더 포함하여, 상기 조절나사(75)의 위치 조절에 의해 상기 바디(72)의 위치가 조절되면서 완력 운동시 제공되는 탄성력의 세기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력기. - 제1항,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 축(40)에는 상기 헤드(10)의 하단면에 접촉가능한 서포트 너트(78)가 체결되고, 상기 서포트 너트(78)는 상기 가동 축(40)을 따라 위치가 조절되어 탄성력의 세기를 조절가능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력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암(50)은 판형 부재로 이루어지며 하단부에 손잡이(54)가 끼워지는 손잡이 암(52)과, 상기 손잡이 암(52)과 상기 헤드(10)를 양측 단부에서 각각 개재하여 고정하는 서로 대면하는 판형 부재로 형성된 2 개의 연결암(57. 58)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력기.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070955A KR101576738B1 (ko) | 2014-06-11 | 2014-06-11 | 완력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070955A KR101576738B1 (ko) | 2014-06-11 | 2014-06-11 | 완력기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576738B1 true KR101576738B1 (ko) | 2015-12-10 |
Family
ID=549793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070955A KR101576738B1 (ko) | 2014-06-11 | 2014-06-11 | 완력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576738B1 (ko)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70102833A (ko) * | 2016-07-28 | 2017-09-12 | 썬모닝주식회사 | 복합운동기구 |
KR20200137786A (ko) | 2019-05-31 | 2020-12-09 | 안태진 | 완력기 |
KR20220055961A (ko) | 2020-10-27 | 2022-05-04 | 주식회사 지디아이앤디 | 완력기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578610B1 (ko) | 2003-12-11 | 2006-05-10 | 최경선 | 완력기 |
KR100825178B1 (ko) | 2007-05-04 | 2008-04-24 | 안태진 | 완력기 |
KR101094584B1 (ko) | 2010-02-02 | 2011-12-15 | 안태진 | 완력기 |
-
2014
- 2014-06-11 KR KR1020140070955A patent/KR101576738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578610B1 (ko) | 2003-12-11 | 2006-05-10 | 최경선 | 완력기 |
KR100825178B1 (ko) | 2007-05-04 | 2008-04-24 | 안태진 | 완력기 |
KR101094584B1 (ko) | 2010-02-02 | 2011-12-15 | 안태진 | 완력기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70102833A (ko) * | 2016-07-28 | 2017-09-12 | 썬모닝주식회사 | 복합운동기구 |
KR20200137786A (ko) | 2019-05-31 | 2020-12-09 | 안태진 | 완력기 |
US11458359B2 (en) | 2019-05-31 | 2022-10-04 | Tae Jin An | Chest expander |
KR20220055961A (ko) | 2020-10-27 | 2022-05-04 | 주식회사 지디아이앤디 | 완력기 |
US11771952B2 (en) | 2020-10-27 | 2023-10-03 | GD IND Corp. | Chest expander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0940353B2 (en) | Trampoline | |
US10053890B2 (en) | Holder | |
CA2739931C (en) | Self adjusting toggle clamp | |
US8777820B2 (en) | Adjustable weight asssembly for weight training machine | |
KR101576738B1 (ko) | 완력기 | |
KR100719066B1 (ko) | 완력기 | |
JP5586747B2 (ja) | 整形外科装置 | |
US8887739B2 (en) | Hair iron | |
US20160138319A1 (en) | Secure Assembly Structure For Furniture Hinge Buffer Device | |
KR102194331B1 (ko) | 완력기 | |
US6409266B1 (en) | Device for adjusting lateral position of a chair armrest | |
US10499728B2 (en) | Furniture frame for securing a foldable furniture pillar | |
EP1959072A2 (en) | Tool | |
RU2015129539A (ru) | Выпрямитель волос | |
KR101094584B1 (ko) | 완력기 | |
CN106594054B (zh) | 一种可旋转自锁铰链及头戴设备 | |
CA2530822A1 (en) | Adjustable tensioner | |
EP2990170A1 (en) | Guide bar retention systems and techniques | |
BR112019023585B1 (pt) | Dobradiça com dispositivo de abertura para peças de mobiliário | |
EP2532485A2 (en) | Handle assembly for power tool | |
US11084699B2 (en) | Pry bar attachment having adjustable fulcrum | |
US11771952B2 (en) | Chest expander | |
KR102256111B1 (ko) | 악력기 | |
RU2018133770A (ru) | Рабочий элемент сельскохозяйственной машины, имеющий систему регулировки давления прижима | |
KR200490128Y1 (ko) | 완력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1002 Year of fee payment: 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