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25178B1 - 완력기 - Google Patents

완력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25178B1
KR100825178B1 KR1020070043618A KR20070043618A KR100825178B1 KR 100825178 B1 KR100825178 B1 KR 100825178B1 KR 1020070043618 A KR1020070043618 A KR 1020070043618A KR 20070043618 A KR20070043618 A KR 20070043618A KR 100825178 B1 KR100825178 B1 KR 1008251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k
rod
arm
connecting portion
coil sp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436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태진
Original Assignee
안태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태진 filed Critical 안태진
Priority to KR10200700436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2517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251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251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2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lient force-resisters
    • A63B21/023Wound spring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0058Mechanical means for varying the resistance
    • A63B21/00069Setting or adjusting the resistance level; Compensating for a preload prior to use, e.g. changing length of resistance or adjusting a valv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40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 A63B21/4041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movements of the interface
    • A63B21/4047Pivoting movement

Abstract

본 발명은, 하단이 막힌 중공 형상의 중공형 통체와 상기 중공형 통체의 양 측면으로 각각 형성된 암 연결부를 구비한 본체; 상기 암 연결부에 각각 피벗 연결되는 한 쌍의 암; 상기 중공형 통체에 상하 방향으로 설치되는 코일 스프링; 상기 코일 스프링의 상단을 지지하며 상기 코일 스프링의 상단을 압축가능하게 지지하는 상부 커버; 상기 상부 커버에 상단이 연결되고 상기 코일 스프링의 중심을 통해 아래로 연장되며 상기 중공형 통체의 하단을 관통하여 연장되는 로드; 상기 본체의 아래에서 상기 로드에 구비되는 링크 연결부; 일단은 상기 링크 연결부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암 각각에 연결되되 상기 일단이 상기 타단 보다 아래쪽으로 위치하게 배치되며, 상기 암의 동작을 상기 링크 연결부의 상하방 동작으로 전환하는 한 쌍의 링크; 및 상기 링크 연결부와 상기 본체 하단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링크 연결부의 위치를 지지하는 압축 스프링을 포함하며, 상기 암 사이의 이격 거리를 조절가능하도록 상기 링크 연결부가 승강 가능하게 구성된 완력기에 대해 개시하고 있다.
완력기

Description

완력기{CHEST EXPANDER}
도 1 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완력기의 외관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완력기의 부분 단면도.
도 3 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완력기의 동작도.
도 4a 및 도 4b 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 링크의 결합 방식에 따른 완력기 작동의 차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 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완력기의 변형예를 보여주는 도면.
도 6 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완력기의 부분 단면도.
도 7 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의 변형예에 따른 완력기의 단면도.
도 8 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완력기를 도시한 부분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본체 12: 중공형 통체
16: 상부 커버 30: 암
35: 코일 스프링 40: 로드
43: 조절 나사 45: 링크 연결부
46: 너트 50: 링크
49: 압축 스프링 149: 인장 스프링
본 발명은 완력기에 관한 것으로, 완력기는 팔이나 어깨의 근력을 단련하기 위해 사용하는 운동 기기의 일종이다. 완력기는 사용자가 양손으로 한 쌍의 암에 하단부에 마련된 파지부를 각각 잡은 다음 한 쌍의 암이 상호 접근하도록 힘을 가하여 팔이나 어깨에 근력이 부여되도록 하고, 다시 힘을 풀어 한 쌍의 암을 원래의 이격 상태로 복귀시키면서 팔이나 어깨의 근력이 이완되도록 하는 원리로 작용한다. 사용자는 이와 같은 동작을 반복함으로써 팔 및 어깨의 근력이 향상된다.
종래의 완력기는 사용자가 한 쌍의 암을 상호 접근시킬 때 팔이나 어깨의 근력을 사용되도록 인장 코일 스프링을 사용하고 있다. 즉, 암이 서로 접근할 때 코일 스프링이 늘어나면서 운동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힘을 작용시켜 근력 향상 운동이 될 수 있도록 한다.
그러나 인장 코일 스프링을 사용한 완력기의 경우 암과 인장 코일 스프링을 연결하는 인장 스프링 말단의 고리부에 응력이 집중되어 상기 고리부가 쉽게 파단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로 인해 완력기의 내구성 및 수명이 저하되어 소비자에게 불만을 주고 있다. 또한, 종래의 완력기의 경우 각 암이 별개의 인장 코일 스프링으로 지지되므로 부품이 증가하고, 양측 암에 작용하는 힘의 분배를 균일하게 하기 위해 인장 코일 스프링의 탄성력이 정확히 조절되어야 하는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완력기의 각 암에 의해 가해지는 힘의 합산력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설치된 코일 스프링이 압축되면서 탄성력을 제공하도록 함으로써 각 암의 분배되는 탄성력을 단순한 구조로 균등화시키는 것이 가능하고, 용이하게 강약을 조절할 수 있는 완력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완력기는, 하단이 막힌 중공 형상의 중공형 통체와 상기 중공형 통체의 양 측면으로 각각 형성된 암 연결부를 구비한 본체; 상기 암 연결부에 각각 피벗 연결되는 한 쌍의 암; 상기 중공형 통체에 상하 방향으로 설치되는 코일 스프링; 상기 코일 스프링의 상단을 지지하며 상기 코일 스프링의 상단을 압축가능하게 지지하는 상부 커버; 상기 상부 커버에 상단이 연결되고 상기 코일 스프링의 중심을 통해 아래로 연장되며 상기 중공형 통체의 하단을 관통하여 연장되는 로드; 상기 본체의 아래에서 상기 로드에 구비되는 링크 연결부; 일단은 상기 링크 연결부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암 각각에 연결되되 상기 일단이 상기 타단 보다 아래쪽으로 위치하게 배치되며, 상기 암의 동작을 상기 링크 연결부의 상하방 동작으로 전환하는 한 쌍의 링크; 및 상기 링크 연결부와 상기 본체 하단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링크 연결부의 위치를 지지하는 압축 스프링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완력기는 상기 암 사이의 이격 거리를 조절가능하도록 상기 링크 연결부가 승강 가능하게 구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의한 완력기는, 하단이 개방되고 상단이 막힌 중공형 통체와 상기 중공형 통체의 양 측면으로 각각 형성된 암 연결부를 구비한 본체; 상기 암 연결부에 각각 피벗 연결되는 한 쌍의 암; 상기 중공형 통체에 상하 방향으로 설치되는 코일 스프링; 상기 코일 스프링의 하단을 지지하며 상기 코일 스프링의 하단을 압축가능하게 지지하는 하부 커버; 상기 하부 커버를 나사 체결된 상태로 관통하여 상부로 연장되되, 상기 중공형 통체 상단에 구비된 가이드에 의해 승강 가능하게 지지되며, 상기 하부 커버의 회전에 따라 승강 되는 로드; 상기 본체 하부로 상기 로드에 구비되며 상기 로드의 승강에 따라 함께 승강 되는 링크 연결부; 일단은 상기 링크 연결부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암 각각에 연결되되 상기 타단이 상기 일단 보다 아래쪽으로 위치하게 배치되며, 상기 암의 동작을 상기 링크 연결부의 상하방 동작으로 전환하는 한 쌍의 링크; 및 상기 링크 각각을 상기 암 쪽으로 당기는 힘을 제공하여 상기 링크 연결부의 위치를 지지하는 인장 스프링을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 은 각각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완력기의 사시도, 단면도 및 동작도이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완력기는 본체(10), 암(30), 코일 스프 링(35), 상부 커버(16), 로드(40), 링크 연결부(45), 링크(50) 및 압축 스프링(49)을 포함한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완력기의 본체(10)는 상단이 개방되고 하단이 막힌 중공형 통체(12)를 포함하는 데, 중공형 통체(12)는, 도 1 내지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형으로 형성됨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원통형 형상에 한정됨이 없이, 복수 개의 원통형의 중공이 측면이 개방된 상태로 접한 형태와 같이, 설치되는 코일 스프링의 개수에 따라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본체(10)에는 한 쌍의 암(30)이 연결되는 암 연결부(20)가 중공형 통체(12)의 양 측면으로 형성된다. 암 연결부(20) 각각에서 좌, 우 암(30) 각각의 상단이 피벗 연결되어 연결점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상기 중공형 통체(12)에는 상하 방향으로 코일 스프링(35)이 설치된다. 코일 스프링(35)은 나선형으로 수회 권취된 형상의 스프링으로서, 한 쌍의 암(30)이 서로 접근하는 완력기 운동이 일어날 때 압축되면서 한 쌍의 암(30)의 접근 운동에 반대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한다. 이러한 탄성력을 이기면서 한 쌍의 암(30)을 접근시키는 운동에 의해 근력이 향상된다.
상기 코일 스프링(35)은 중공형 통체(12)에 설치되므로, 코일 스프링(35)의 하단은 중공형 통체(12)의 막힌 하단(14)에 의해 지지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코일 스프링(35)의 상단을 압축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하여 상부 커버(16)가 구비된다. 도 1 내지 도 3 에 도시된 실시예에 의하면, 상부 커버(16)는 중공형 통체(12)의 상단 테두리와 이격되어 위치하고, 이로 인해 코일 스프링(35)의 일부가 외부로 노출된 형태로 형성된다. 따라서 육안으로 코일 스프링(35)이 압축되는 모습을 운동자가 볼 수 있도록 함으로써 만족감을 줄 수 있으며, 코일 스프링(35)을 다양한 색채 등으로 코팅하는 것에 의해 수려한 미감을 형성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그러나 중공형 통체(12)의 길이가 상부로 연장되어 코일 스프링(35)을 내부로 수용하는 경우, 상부 커버(16)는 중공형 통체(12)의 내주면을 따라 승강 가능하게 구성될 것이다. 상부 커버(16)는 코일 스프링(35)의 상단을 아래로 눌러 압축시키는 기능을 한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르면 코일 스프링(35) 내측으로 추가의 코일 스프링(36)을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완력기에 제공될 탄성력의 크기를 설정하는 것이 상대적으로 자유롭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르면 상부 커버(16)와 결합하는 로드(40)가 하나의 강성 부재로 형성되므로 코일 스프링(35)의 내측 공간의 확보가 유리하여 추가의 코일 스프링(36) 설치가 용이하다. 이는 완력기의 설계 자유도를 향상시킨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는 상부 커버(16)에 상단(41)이 연결되고 상기 코일 스프링(35)의 중심을 통해 아래로 연장되며, 상기 중공형 통체(12)의 하단(14)을 관통하여 연장되는 로드(40)를 포함한다.
로드(40)에는 본체(10) 아래의 위치에 링크 연결부(45)가 구비된다. 링크 연결부(45)와 좌우 암(30) 각각의 사이에는 좌우 링크(50)가 연결되는 데, 링크 연결부(45)와 연결된 링크(50)의 일단은, 암(30)과 연결된 링크(50)의 타단 보다 아래 쪽에 위치하게 연결된다. 따라서 암(30)의 접근 운동은 링크(50)에 의해 링크 연결부(45)로 전달되어 링크 연결부(45)의 하방 이동을 초래하고, 이에 의해 로드(40)가 아래로 당겨지면서 상부 커버(16)를 아래로 당기게 된다. 그리고 상부 커버(16)의 하방 이동은 코일 스프링(35)을 압축시키게 된다.
코일 스프링(35)의 압축량은 암(30)의 상호 접근에 의해 상부 커버(16)가 아래로 이동하는 거리 즉, 상부 커버(16)가 중공형 통체(12)의 하단을 향해 이동한 거리에 의해 결정된다. 좌우 암(30) 간의 거리가 멀면 최대 근접 위치로 오기 위해 접근하는 길이가 길어지므로 상부 커버(16)의 하방 이동량을 증대시키고, 반대로 좌우 암(30) 간의 거리가 가까우면, 암들이 최대 근접 위치로 오기 위해 이동하는 길이가 짧아지므로 상부 커버(16)의 하방 이동량이 감소한다. 암(30)의 이동은 링크(50)를 통해 링크 연결부(45)로 전달되므로 링크 연결부(45)의 위치에 영향을 주기 때문에, 암(30) 사이의 거리는 링크 연결부(45)와 상부 커버(16) 사이의 거리에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상부 커버(16)와 링크 연결부(45)의 거리가 상대적으로 짧은 경우는 링크 연결부(45)의 위치가 상대적으로 상부로 위치하는 경우로서, 구성요소들 간의 기구적 연결 구조에 의해 암(30) 사이의 이격 거리(암 사이의 벌어진 정도를 의미함)는 더욱 증대된다. 이로 인해 한 쌍의 암(30)이 최대로 근접하기 위한 코일 스프링(35)의 압축량은 상대적으로 증가한다. 반대로 링크 연결부(45)와 상부 커버(16) 사이의 거리가 상대적으로 긴 경우는 링크 연결부(45)가 상대적으로 하부로 위치하는 경우로서, 구성요소들 간의 기구적 연결구조에 의해 암(30) 사이의 이격 거리는 상대적으로 좁아진다. 따라서 한 쌍의 암(30)이 최대로 근접되기 위한 코일 스프링(35)의 압축량은 상대적으로 작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코일 스프링(35)에 의해 제공가능한 탄성력의 제기 즉, 완력기의 강약을 조절할 수 있도록 링크 연결부(45)가 로드(40)를 따라 상하부로 이동가능하게 구성된다. 이를 위해 로드(40)는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체결부(42)를 구비하며, 링크 연결부(45)의 하부로 상기 로드(40)의 체결부(42)에 조절나사(43)가 나사체결되어 링크 연결부(45)를 지지한다. 따라서 조절나사(43)에 의해 링크 연결부(45)의 위치가 지지되고 상하로 이동 조절된다. 조절 나사(43)의 일측으로 회전하여 링크 연결부(45)가 상부로 이동되면 암(30) 사이의 거리가 멀어지고 링크 연결부(45)와 상부 커버(16) 사이의 거리가 가까워진다. 반대로 조절 나사(43)가 타측으로 회전하여 링크 연결부(45)가 하부로 이동되면, 암(30) 사이의 거리가 가까워지고 링크 연결부(45)와 상부 커버(16) 사이의 거리가 멀어진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의하면 조절 나사(43)의 회전 조작에 의해 간단한 방식으로 완력기의 강약을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운동자는 자신의 근력의 정도에 맞게 완력기의 강약을 조절하여 운동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링크 연결부(45)의 본체(10) 하단 사이의 로드(40)에는 압축 스프링(49)이 설치되어 링크 연결부(45)를 하방으로 지지한다. 따라서 링크 연결부(45)는 조절나사(43) 쪽으로 누르는 힘에 의해 지지된다.
한편,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는 조절나사(43)에 의해 완력기의 보관 및 운반의 용이성이 제공된다. 조절나사(43)에 의해 링크 연결부(45)의 하방 이동이 허용되는 경우에, 링크 연결부(45)의 하방 이동은 암들의(30) 근접 이동을 초래하게 되므로, 암(30)이 서로 최대로 근접한 위치까지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이것은 완력기에서 암(30)이 완전히 접힌 상태가 되므로, 완력기의 암(30)을 접은 상태로 용이하게 보관 및 운반이 가능함을 의미한다.
한편,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르면 링크(50)는 링크 연결부(45)와 결합된 일단과 암(30)과 결합된 타단 사이에 내측을 향해 돌출된 형태로 절곡된 절곡 부분을 구비하고, 상기 암(30)과 링크(50) 타단의 연결지점인 링크(50) 타단의 회전축(a)과 상기 암의 연결지점(암의 회전축(b))을 이은 연장선 L1에 의해 형성되는 각 θ1 보다 상기 암의 연장선 L2에 의해 형성되는 각 θ2 가 더 예각이 되도록 구성된다(도 4a 참조). θ1 > θ2 인 경우(도 4a 참조)를 θ1 = θ2 즉, 회전축(b)이 연장선 L2 에 위치하는 경우(도 4b 참조)와 대비할 때, 도 4a의 경우에는 암들(30)이 최대 근접 위치까지 이동한 지점 즉, 암들(30)이 완전히 접혀지는 지점 근방에서도 코일 스프링(35)이 제공하는 탄성력이 저하되지 않고 균등하게 유지되도록 한다. 따라서 완력기 운동 시 암들을 최대 근접 위치로 이동할 때까지 지속적인 근력 운동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도 5 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의 변형예이다. 도 5 에 도시된 변형예를 참조하면, 로드(40)에는 링크 연결부(45)의 상부로 중공형 통체(12)의 하단면 과의 사이에 상부 커버(16)의 상승 정도를 조절할 수 있는 너트(46)가 설치된다. 너트(46)가 없다면 암들(30)이 이격되는 경우에 코일 스프링(35)이 자유단 상태가 될 때까지 상부 커버(16)가 상승하고, 이에 따라 암들(30)이 이격된다. 그러나 도 5 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너트(46)를 구비하는 경우 너트(46)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정도에 따라 로드(40) 및 로드의 상단에 설치된 상부 커버(16)의 상승 정도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상부 커버(16)의 상승은 압축된 코일 스프링(35)의 복원에 관계되므로, 너트(46)가 구비된 경우 상부 커버(16)는 너트(46)가 중공형 통체(12)의 하단면과 접촉할 때 까지만 상승할 수 있다. 너트(46)에 의해 상부 커버(16)의 상승이 제한되어 압축된 코일 스프링(35)이 자유단 상태로 복원되지 않은 상태에서 암들(30)의 이격 운동이 정지된다면, 암들(30)을 접근 이동에 의한 코일 스프링(35)의 압축은 소정량이 이미 압축된 상태에서 시작하게 되므로 코일 스프링(35)의 압축을 위해 소요되는 힘 즉, 완력기의 암들(30)을 서로 접근시키기 위해 소요되는 힘이 증가된다. 따라서 너트(46)는 완력기의 강약을 조절할 수 있게 한다. 위에서 상술한 조절나사(43)와 너트(46)를 동시에 조절하는 경우, 완력기의 암들(30) 사이의 거리를 일정하게 유지하면서 완력기의 강약을 조절할 수 있게 한다.
변형예에서는 로드(40)에 설치되는 압축 스프링(49)은 너트(46)와 링크 연결부(45) 사이에 설치된다.
도 6 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완력기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 에 도시된 제 1 실시예와 비교하면, 링크 연결부(45')와 상부 커버(16')를 통해 암(30) 사이의 이격 거리를 조절하는 조절 나사의 기능이 상부 커버(16')에 일체로 형성된다. 상부 커버(16')는 로드(40')와 나사 체결된 체결부(17')를 구비하여, 상부 커버(16')의 회전에 의해 로드(40')가 승강 되도록 구성 된다. 체결부(17')는 상부 커버(16')의 아래로 연장된 중공의 원통형으로 형성되며, 내부에 너트(18')를 구비한다. 따라서 외주면에 나사산이 체결된 로드(40')가 너트(18')에 체결되어 상부 커버(16')의 회전에 의해 승강 되며. 구성요소들 간의 기구적 연결구조에 의해 암(30) 사이의 거리가 조절된다.
도 6 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서는, 링크 연결부(45')가 로드(40')의 하단에 형성된 링크 연결홀 형태로 형성되며, 좌우 링크(50) 각각의 일단들이 핀(44')에 의해 연결된다.
도 7 은 도 6 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의 변형예를 보여준다. 도 7 에 도시된 변형 실시예에서는 중공형 통체(12'')가 3개의 중공형 원통이 측면이 개구된 형태로 접하여 형성된 형태를 구비하고 각각의 중공의 원통형 부분에 코일 스프링이 구비된다. 3개의 코일 스프링이 상부 커버에 의해 일체로 압축되도록 상부 커버와 코일 스프링들의 상단 사이에는 상부 커버에 의해 눌려지는 블록(13'')이 구비된다.
도 8 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체(110)를 구성하는 중공형 통체(11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와 달리 하단이 개방되고 상단이 막힌 형태로 형성되며, 하부 커버(116)가 구비되어 코일 스프링(35)의 하단을 압축 가능하게 지지한다.
또한, 하단에 링크 연결부(145)를 구비한 로드(140)는 상기 하부 커버(116)에 나사 체결된 상태로 관통하여 상부로 연장되되, 상기 중공형 통체(112) 상단(112') 부분의 가이드(113)에 의해 승강 가능하게 지지된다. 따라서 하부 커 버(116)의 회전에 의해 로드(140)가 승강 된다.
한 쌍의 링크(150)는 링크 연결부(145)에 연결된 일단이 암(30)에 연결된 타단 보다 상부로 위치하도록 각각 연결되며, 링크(150)와 암(30) 사이에는 링크(150)를 암(30)에 대해 당기는 힘을 제공하는 인장 스프링(149)이 설치된다.
따라서 한 쌍의 암을 상호 접근 이동시키는 경우 기구적 연결 구조에 의해 링크 연결부(145)가 상방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에 따라 로드(140)가 상부로 이동하면서 로드와 체결된 하부 커버(160)를 상부로 밀어 올리면서 코일 스프링(35)이 압축된다.
한편, 하부 커버(116)가 회전하면 하부 커버(116)와 나사체결된 로드(140)가 상승 또는 하강 이동한다. 이에 의해 암(30) 사이의 이격 거리가 조절되어 완력기의 강약이 조절된다. 도 8 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중공형 통체(112)에 형성된 가이드(114)가 중공의 가이드 부재를 구비한 형태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러한 별도의 가이드 부재 없이 로드(140)가 중공형 통체(112) 상단을 관통하여 연장되는 가이드 홀이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따라서 가이드의 형태는 로드를 승강 가능하게 지지하는 것으로 충분하다.
본 발명에 따른 완력기는 단순한 구조로 암 사이의 접근 동작을 코일 스프링의 압축 동작으로 전환하여 탄성력을 운동자에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완력기를 구성하는 부품 수의 줄이면서도 내구성이 향상된 완력기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완력기의 보다 강약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게 하며, 운반 및 보관의 편의성을 제공한다.

Claims (7)

  1. 하단이 막힌 중공 형상의 중공형 통체와 상기 중공형 통체의 양 측면으로 각각 형성된 암 연결부를 구비한 본체;
    상기 암 연결부에 각각 피벗 연결되는 한 쌍의 암;
    상기 중공형 통체에 상하 방향으로 설치되는 코일 스프링;
    상기 코일 스프링의 상단을 지지하며 상기 코일 스프링의 상단을 압축가능하게 지지하는 상부 커버;
    상기 상부 커버에 상단이 연결되고 상기 코일 스프링의 중심을 통해 아래로 연장되며 상기 중공형 통체의 하단을 관통하여 연장되는 로드;
    상기 본체의 아래에서 상기 로드에 구비되는 링크 연결부;
    일단은 상기 링크 연결부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암 각각에 연결되되 상기 일단이 상기 타단 보다 아래쪽으로 위치하게 배치되며, 상기 암의 동작을 상기 링크 연결부의 상하방 동작으로 전환하는 한 쌍의 링크; 및
    상기 로드에, 상기 링크 연결부와 상기 중공형 통체의 하단면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링크 연결부의 위치를 지지하는 압축 스프링을 포함하는 완력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암 사이의 이격 거리를 조절가능하도록 상기 링크 연결부가 승강 가능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력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 연결부의 하부로 상기 로드에 나사 체결되어 상기 링크 연결부를 지지하는 조절 나사를 구비하여, 상기 조절 나사의 회전에 의해 상기 링크 연결부가 상하부로 이동되는 완력기.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로드에는 상기 링크 연결부의 상부로 체결되는 너트를 더 포함하여, 상기 너트가 상기 중공형 통체의 하단면에 접촉하는 것에 의해 상기 상부 커버의 상승 정도가 제한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력기.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암과 상기 링크 타단의 연결지점인 링크 타단의 회전축과 상기 암의 회전축을 이은 연장선에 의해 형성되는 각 보다, 상기 암의 연장선에 의해 형성되는 각이 더 예각을 이루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력기.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커버는 상기 로드와 나사체결된 체결부를 구비하며, 상기 링크 연결부는 상기 로드에 고정적으로 형성되어, 상기 상부 커버의 회전에 따라 상기 로드와 상기 링크 연결부가 함께 승강 되도록 구성한 완력기.
  7. 하단이 개방되고 상단이 막힌 중공형 통체와 상기 중공형 통체의 양 측면으로 각각 형성된 암 연결부를 구비한 본체;
    상기 암 연결부에 각각 피벗 연결되는 한 쌍의 암;
    상기 중공형 통체에 상하 방향으로 설치되는 코일 스프링;
    상기 코일 스프링의 하단을 지지하며 상기 코일 스프링의 하단을 압축가능하게 지지하는 하부 커버;
    상기 하부 커버를 나사 체결된 상태로 관통하여 상부로 연장되되, 상기 중공형 통체 상단에 구비된 가이드에 의해 승강 가능하게 지지되며, 상기 하부 커버의 회전에 따라 승강 되는 로드;
    상기 본체 하부로 상기 로드에 구비되며 상기 로드의 승강에 따라 함께 승강 되는 링크 연결부;
    일단은 상기 링크 연결부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암 각각에 연결되되 상기 타단이 상기 일단 보다 아래쪽으로 위치하게 배치되며, 상기 암의 동작을 상기 링크 연결부의 상하방 동작으로 전환하는 한 쌍의 링크; 및
    상기 링크 각각을 상기 암 쪽으로 당기는 힘을 제공하여 상기 링크 연결부의 위치를 지지하는 인장 스프링을 포함하는 완력기.
KR1020070043618A 2007-05-04 2007-05-04 완력기 KR1008251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3618A KR100825178B1 (ko) 2007-05-04 2007-05-04 완력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3618A KR100825178B1 (ko) 2007-05-04 2007-05-04 완력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25178B1 true KR100825178B1 (ko) 2008-04-24

Family

ID=395725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43618A KR100825178B1 (ko) 2007-05-04 2007-05-04 완력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2517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139147A (zh) * 2010-02-02 2011-08-03 安泰振 臂力器
KR101221694B1 (ko) * 2010-06-07 2013-01-11 최경선 완 력 기
KR101576738B1 (ko) 2014-06-11 2015-12-10 안태진 완력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07890A (ko) * 2002-07-11 2004-01-28 안태진 완력기
KR100719066B1 (ko) 2006-04-11 2007-05-18 안태진 완력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07890A (ko) * 2002-07-11 2004-01-28 안태진 완력기
KR100719066B1 (ko) 2006-04-11 2007-05-18 안태진 완력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139147A (zh) * 2010-02-02 2011-08-03 安泰振 臂力器
KR101094584B1 (ko) 2010-02-02 2011-12-15 안태진 완력기
KR101221694B1 (ko) * 2010-06-07 2013-01-11 최경선 완 력 기
KR101576738B1 (ko) 2014-06-11 2015-12-10 안태진 완력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19066B1 (ko) 완력기
KR101323939B1 (ko) 문 개폐용 스테이
US7440712B2 (en) Original cover closer and office equipment including original cover closer
KR100825178B1 (ko) 완력기
JP2008506299A (ja) スライド型携帯電話用のスライダー組立体及びスライド型携帯電話
EP1764557B1 (en) Compact hinge device for a door
WO2011135705A1 (ja) 駆動力伝達装置とその調節方法
KR20060043065A (ko) 슬라이드 힌지 모듈
KR101094584B1 (ko) 완력기
EP3255234B1 (en) Hinge having damping effect, and apparatus having said hinge
US7887019B2 (en) Support mechanism
KR20210089692A (ko) 사용자의 적어도 하나의 팔을 지지하기 위한 장치
CN213521515U (zh) 一种洗衣机用的稳定型电机
EP2250925A1 (en) Adjustable table support comprising a spring actuator
CN205516330U (zh) 调整型兵乓球桌
KR101576738B1 (ko) 완력기
KR100913368B1 (ko) 슬라이드 힌지모듈의 동작스프링
KR200416094Y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슬라이드장치
JP5588652B2 (ja) 引き戸クローザ
KR200445740Y1 (ko) 완력기
RU2741678C1 (ru) Грузовой бокс для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CN205494875U (zh) 紧凑型兵乓球桌
KR200490128Y1 (ko) 완력기
KR100622134B1 (ko) 완력기
CN106402139A (zh) 一种连杆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1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0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1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6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8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