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43065A - 슬라이드 힌지 모듈 - Google Patents

슬라이드 힌지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43065A
KR20060043065A KR1020050014515A KR20050014515A KR20060043065A KR 20060043065 A KR20060043065 A KR 20060043065A KR 1020050014515 A KR1020050014515 A KR 1020050014515A KR 20050014515 A KR20050014515 A KR 20050014515A KR 20060043065 A KR20060043065 A KR 200600430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ide
guide
cam
link
main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145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63226B1 (ko
Inventor
정길석
서보현
전병기
노치열
Original Assignee
정길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길석 filed Critical 정길석
Publication of KR200600430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430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632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632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5Slidable or telescopic telephones, i.e. with a relative translation movement of the body parts; Telephones using a combination of translation and other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7Sliding mechanism with one degree of freedo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메인 바디상에서 단말기의 길이 방향으로 일정 길이만큼 개폐되도록 슬라이드 바디가 설치되는 슬라이드 타입 휴대용 무선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바디상에 설치 고정되는 슬라이드 플레이트와, 상기 슬라이드 플레이트상에서 단말기의 길이 방향으로 가이드되도록 상기 메인 바디상에 설치되는 메인 플레이트와, 상기 메인 플레이트와 슬라이드 플레이트를 상호 연동되도록 가이드 하는 가이드 수단과, 상기 슬라이드 플레이트에 일단이 회전축으로써 고정되며, 타단은 메인 플레이트에 형성되는 일정 길이의 가이드 슬릿에 가이드되는 소정의 가이드 핀 어셈블리에 고정됨으로써 상기 메인 플레이트의 유동에 따라 일단은 슬라이드 플레이트상에서 회전하고 타단은 메인 플레이트의 가이드 슬릿상에서 가이드되도록 설치되는 링크와, 상기 링크의 회전축과 동축상에서 함께 회전하도록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의 변곡 부분 갖는 일정 형상의 캠 및 상기 캠을 가압하기 위한 가압 수단을 포함하여, 상기 가압 수단이 캠의 각 변곡 부분의 전후를 가압함으로써, 상기 슬라이드 바디가 메인 바디상에서 일정 개폐 위치에 따라 가압력의 방향이 바뀌도록 구성된다.
Figure 112005009302564-PAT00001
단말기, 링크, 푸쉬 블록, 캠, 가이드 슬릿, 가이드 샤프트, 와셔

Description

슬라이드 힌지 모듈{SLIDE HINGE MODUL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드 힌지 모듈의 구성을 도시한 결합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도 1의 슬라이드 힌지 모듈의 후면 사시도,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가이드 수단의 구성을 도시한 메인 플레이트의 요부단면도,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도 3b의 평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의 슬라이드 바디가 완전히 폐쇄된 상태일 때의 슬라이드 힌지 모듈의 동작을 도시한 작동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의 슬라이드 바디가 완전히 개방된 상태일 때의 슬라이드 힌지 모듈의 동작을 도시한 작동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 힌지 모듈의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전면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 힌지 모듈이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후면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링크의 형상을 도시한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메인 바디상에서 링크의 일단을 가이드 하기 위한 가이드 핀 어셈블리의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도 9의 요부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가이드 수단을 도시한 요부 사시도; 및
도 12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도 11의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요부단면도.
본 발명은 메인 바디상에서 슬라이드 바디가 단말기의 길이 방향을 일정 거리만큼 개폐되도록 구성되는 슬라이드 타입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힌지 모듈에 관한 것으로서, 슬라이드 바디의 개폐 방향의 변곡점 설정을 용이하게 하고, 오랜 기간 동작하여도 제품의 신뢰성이 저하되지 않도록 구성되는 슬라이드 타입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슬라이드 힌지 모듈에 관한 것이다.
전세계적으로 휴대용 무선단말기가 점차 보급되어감에 따라 사용자의 욕구에 부응하기 위한 다양한 기능과 디자인의 단말기가 출시되고 있다. 상기 단말기들은 일반 바 타입(bar type) 단말기에서부터 플립 타입(flip type) 단말기, 플립 업 타입(flip-up type) 단말기, 폴더 타입(folder type) 단말기등으로 발전해 오고 있으며, 최근들어, 상기 폴더 타입 단말기가 주류를 이루고 있다. 이는 폴더 타입 단말기가 디스플레이 장치로 와이드 엘씨디 모듈을 채택할 만큼 공간적인 여유가 충분 하며, 반으로 접어서 휴대하기 때문에 휴대성 또한 타 단말기보다 우수하기 때문이다.
한편, 상술한 폴더 타입 단말기와 유사한 크기의 와이드 엘씨디 모듈을 구비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가질 수 있으며, 이와 동시에 단말기의 소형화에 이바지할 수 있는 타입의 단말기가 등장하고 있다. 이는 소정의 메인 바디상에서 서브 바디(이하 '슬라이드 바디'라 함)가 단말기의 길이 방향으로 일정 길이 만큼 슬라이딩되어 개방되는 형태의 슬라이드 타입 단말기로써, 기존의 폴더 타입 단말기에 비해 사용자의 변해가는 다양한 기호(PDA 겸용으로 사용가능)에 부응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상기 슬라이드 타입 단말기는 메인 바디를 기준으로 볼 때, 슬라이드 바디가 상기 메인 바디 길이의 약 1/2정도까지 하측 또는 상측으로 슬라이딩 되어 개방되는 상태로 구성될 수 있다.(이는 단말기의 동작 안정성을 위하여 1/2로 제한되나 그 이상 개방될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메인 바디에 3×4 키패드 어셈블리가 설치될 수 있으며, 슬라이드 바디 전면상에 디스플레이 장치를 설치할 수 있다.
상술한 슬라이드 바디는 메인 바디상에서 소정의 가이드 수단에 의해 가이드될 수 있는데, 일반적으로 슬라이드 바디와 메인 바디상에 상호 연동되어 동작하는 슬라이드 플레이트와 메인 플레이트를 설치하고 있는 추세이다.
본원 출원인이 2004년 08월 27일에 실용신안등록출원 제2004-24588호로 출원한 '슬라이드 힌지 모듈'에서는 단말기의 메인 바디에서 슬라이드 바디를 일정 변곡점을 중심으로 개방 또는 폐쇄되는 방향으로 가압받는 힌지 모듈을 개시하고 있 다. 상술한 힌지 모듈은 소정의 캠의 변곡점 좌우를 넘나드는 구조로써 링크를 적용하고 있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이, 슬라이드 플레이트의 상, 하 유동에 의해 링크가 원활히 동작하도록 안내하는 가이드 슬릿이 링크에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 슬릿에 가이드되는 가이드 핀이 메인 플레이트에 설치됨으로써 단말기의 잦은 슬라이드 동작에 의해 푸쉬 블록에 전달되는 힘으로 인해 모멘트가 발생하고 이로 인하여 상기 링크가 파손되는 경우가 발생되며, 더욱이 단말기의 작동력이 소실됨으로써 단말기의 전체적인 슬라이딩 동작이 원활하지 못한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슬라이드 바디가 메인 바디상에서 개방 또는 폐쇄되는 방향으로 가압력의 방향이 변화하는 변곡점을 용이하게 설정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슬라이드 힌지 모듈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단말기를 오랜 기간 사용하여도 힌지 모듈 중 링크의 파손이 발생되지 않도록 구성되는 슬라이드 힌지 모듈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슬라이드 동작 발생시 링크에 모멘트가 발생되지 않는 구조로 설계하여 단말기의 원활한 동작을 도모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슬라이드 힌지 모듈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더욱 더 다른 목적은 단말기의 오랜 기간 동작중에도 제품의 신뢰 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슬라이드 힌지 모듈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술한 목적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메인 바디상에서 단말기의 길이 방향으로 일정 길이만큼 개폐되도록 슬라이드 바디가 설치되는 슬라이드 타입 휴대용 무선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바디상에 설치 고정되는 슬라이드 플레이트와, 상기 슬라이드 플레이트상에서 단말기의 길이 방향으로 가이드되도록 상기 메인 바디상에 설치되는 메인 플레이트와, 상기 메인 플레이트와 슬라이드 플레이트를 상호 연동되도록 가이드 하는 가이드 수단과, 상기 슬라이드 플레이트에 일단이 회전축으로써 고정되며, 타단은 메인 플레이트에 형성되는 일정 길이의 가이드 슬릿에 가이드되는 소정의 가이드 핀 어셈블리에 고정됨으로써 상기 메인 플레이트의 유동에 따라 일단은 슬라이드 플레이트상에서 회전하고 타단은 메인 플레이트의 가이드 슬릿상에서 가이드되도록 설치되는 링크와, 상기 링크의 회전축과 동축상에서 함께 회전하도록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의 변곡 부분 갖는 일정 형상의 캠 및 상기 캠을 가압하기 위한 가압 수단을 포함하여, 상기 가압 수단이 캠의 각 변곡 부분의 전후를 가압함으로써, 상기 슬라이드 바디가 메인 바디상에서 일정 개폐 위치에 따라 가압력의 방향이 바뀌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드 힌지 모듈의 구성을 도시한 결합 사시도이 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도 1의 슬라이드 힌지 모듈의 후면 사시도로써,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드 힌지 모듈(100)은 슬라이드 바디에 고정되는 슬라이드 플레이트(10)와 메인 바디에 고정되어 상기 슬라이드 플레이트(10)상에서 단말기의 길이 방향으로 가이드되는 메인 플레이트(20)를 포함한다. 그러나 이에 국한되지 않으며, 설치 공간이 허용된다면, 메인 플레이트(20)와 슬라이드 플레이트(10) 없이 단말기의 메인 바디와 슬라이드 바디의 서로 마주보는 면상에 직접 설치할 수도 있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슬라이드 바디상에 설치되는 슬라이드 플레이트(10)와 메인 바디상에 설치되는 메인 플레이트(20)가 서로 연동되어 가이드되도록 설치된다. 상기 슬라이드 플레이트(10)의 상하 양단에는 상기 메인 플레이트(20)의 가이드 동작을 제한하기 위한 스토퍼(11, 12)가 각각 설치된다. 상기 스토퍼(11, 12)는 슬라이드 플레이트 사출시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슬라이드 플레이트(10)의 상하 단부에는 적어도 하나의 댐퍼(13)가 설치되어 슬라이드 바디가 메인 바디상에서 최대 개방 또는 폐쇄 위치에 도달시 완충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댐퍼(13)는 러버 재질로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슬라이드 플레이트(10)의 중앙 적소에는 소정의 하우징(30)이 설치 또는 형성된다. 상기 하우징(30)의 내부에는 적어도 하나의 압축 코일 스프링(32)에 의해 가압 받는 푸쉬 블록(31)이 설치된다. 상기 푸쉬 블록(31)은 상기 하우징(30)에 형성된 가이드 슬릿(미도시됨)에 의해 가이드받아 동작 안정성을 도모하고 있다. 상기 푸쉬 블록(31)의 상단에는 상기 푸쉬 블록(31)과 접하여 가압받는 소정의 캠(33)이 설치된다. 상기 캠(33)은 상대적으로 주변보다 돌출된 변곡 부분(33-1)이 존재하며, 이 변곡 부분(33-1)을 상기 푸쉬 블록(31)이 가압하게 된다. 상기 캠(33)은 소정의 회전축(A)을 가지고 있는데, 상기 회전축(A)과 동축으로 일정 길이의 링크(35)가 상기 슬라이드 플레이트(10)상에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도 1의 회전축 A는 캠(33)의 회전축임과 동시에 링크(35)의 회전축이 된다. 즉, 상기 푸쉬 블록(31)의 가압에 의해 캠(33)이 일정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상기 링크(35) 역시 회전하게 되는 것이다. 바꾸어 말하면, 상기 링크(35)를 회전시키게 되면, 상기 캠(33)의 상대적으로 돌출된 변곡 부분(33-1)이 푸쉬 블록(31)을 가압함으로써, 상기 캠(33)과 링크(35)는 원래의 위치로 복원되기 위한 복원력이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하우징(30)은 외관이 미려하도록 최종적으로 소정의 커버(미도시됨)를 설치하여 마감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 바람직하게도, 상기 캠과 접하는 푸쉬 블록의 상부면은 상방으로 돌출되는 곡형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캠 작동시 상기 푸쉬 츨록에 전달되는 힘으로 인한 불필요한 모멘트를 미연에 차단시킬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상기 링크(35)의 회전축과 반대되는 단부는 메인 플레이트(20)에 폭 방향으로 형성되는 일정 길이의 가이드 슬릿(21)에 의해 가이드 받는다. 즉, 상기 링크(35)의 회전축 A와 반대되는 단부는 상기 메인 플레이트(20)의 가이드 슬릿(21)에 삽입되어 가이드 받는 소정의 가이드 핀(37)에 고정된다. 따라서, 상기 메인 플레이트(20)가 슬라이드 플레이트(10)를 타고 상, 하 방향으로 유동하면, 상기 링크(35)는 회전축 A를 중심으로 회전되고, 이와 동시에 상기 링크(35)에 고정된 가이드 핀(16)이 상기 메인 플레이트(10)에 형성된 가이드 슬릿(21)을 타고 좌, 우로 가이드되는 것이다. 이와 동시에 상기 링크(35)의 회전에 따라 상기 캠(33)이 푸쉬 블록(31)의 상부면을 가압하면서 함께 회전하는 것이다.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가이드 수단의 구성을 도시한 메인 플레이트의 요부단면도이고,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도 3b의 평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메인 플레이트(20)와 슬라이드 플레이트(10)간의 상호 연동 동작을 유도하는 가이드 수단은 도 3a 및 도 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메인 플레이트(20)의 좌우에 형성되는 중공형 가이드부(22)와, 상기 슬라이드 플레이트(10)의 길이와 같은 길이로 양측에 설치되어 상기 가이드부(22)의 중공 부분(23)에 관통하여 안내하는 가이드 샤프트(16) 및 상기 메인 플레이트(20)의 가이드부(22)의 상, 하 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가이드 샤프트(16)의 외주면과 접촉하도록 설치되는 중공형 와셔(25)를 포함한다. 상기 가이드 샤프트(16)는 금속 재질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가이드부(22)는 상기 메인 플레이트(20) 형성시, 함께 사출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와셔(25)는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하여 상기 가이드 샤프트(16)의 외주면과 접촉시 마찰을 최소화할 수 있다. 상기 와셔(25)는 공지의 오일 베어링등으로 대체하여도 무방하다. 더욱이, 상기 와셔(25)의 중공 부분은 상기 가이드 샤프트(16)의 횡단면 면적보다 크도록 형성하여 원활한 가이드 동작을 도모하도록 구성하였다. 또한, 상기 와셔(25)의 외주면은 원형이 아닌 장공의 형태로 형성시키고, 이에 삽입되는 가이드부의 중공 부분 역시 이와 상응하도록 형성시켜 조립성 및 작동성의 향상을 도모하였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의 슬라이드 바디가 완전히 폐쇄된 상태일 때의 슬라이드 힌지 모듈의 동작을 도시한 작동도로써, 캠(33)의 변곡 부분(33-1)을 지나 링크(35)를 회전시켰기 때문에 상기 푸쉬 블록(31)은 상기 캠(33)을 변곡 부분이 아닌 방향으로 회전시키려 하고 이로 인하여 링크(35)는 자연적으로 가이드 핀(37)이 메인 바디의 가이드 슬릿(21)의 최단부에 의해 제한받는 위치까지 자동으로 동작시키게 된다. 즉, 이러한 경우를 단말기의 동작에서 살펴보면, 사용자가 슬라이드 바디를 폐쇄시키게 되면(일반적으로 전체 폐쇄 길이의 1/2만큼 폐쇄시키게 되면) 사용자에 의한 추가 폐쇄력을 가하지 않더라도 자연적으로 슬라이드 바디의 완전 폐쇄 상태를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의 슬라이드 바디가 완전히 개방된 상태일 때의 슬라이드 힌지 모듈의 동작을 도시한 작동도로써, 도 4의 경우와 반대 방향으로 캠(33)의 변곡 부분(33-1)을 지나 링크(35)를 회전시켰기 때문에 상기 푸쉬 블록(31)은 상기 캠(33)을 변곡 부분이 아닌 방향으로 회전시키려 하고 이로 인하여 링크(35)는 자연적으로 가이드 핀(37)이 메인 플레이트(20)의 가이드 슬릿(21)의 최단부에 의해 제한받는 위치까지 자동으로 동작시키게 된다. 즉, 이러한 경우를 단말기의 동작에서 살펴보면, 사용자가 슬라이드 바디를 일정 길이만큼 개방시키게 되면(일반적으로 전체 개방 길이의 1/2만큼 개방시키게 되면) 사용자에 의한 추가 개방력을 가하지 않더라도 자연적으로 슬라이드 바디의 완전 개방된 휴대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 힌지 모듈의 결합된 상태를 도 시한 전면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 힌지 모듈이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후면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는 좀더 개선된 가이드수단과 링크와 메인 플레이트의 가이드 슬릿이 원활히 연동될 수 있는 가이드 핀 어셈블리 및 효율적인 링크의 형상을 개선시켰다. 따라서, 도 1 내지 도 5에 도시하고 기술한 메인 플레이트와 슬라이드 플레이트간의 푸쉬블록과 캠간의 상호 연동 동작을 같기 때문에 생략하기로 한다.
도 6 및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슬라이드 플레이트(50)의 상, 하 스토퍼(51, 52)에는 요철 구조로 조립되는 댐퍼(53)를 갖는다. 상기 댐퍼(53)는 역시 러버 재질로 형성시킬 수 있다. 상술한 푸쉬 블록 및 압축 코일 스프링과 상기 푸쉬 블록에 의해 가압 받는 캠이 순차적으로 수납되는 하우징은 소정의 커버(59)를 사용하여 마감함으로써 외관을 미려하게 구성하였다. 상기 커버(59)는 상부 또는 상부 및 하부에 후크 및 걸림 돌기를 갖는 공지의 스냅핏(snap-fit) 구조로 결합시킬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링크(70)의 일단에 동축으로 함께 회전하도록 구비되는 캠(73)을 상기 링크(70)와 함께 사출하여 일체로 형성하였다. 더욱이, 상기 캠(73)과 링크(70) 사이에 소정의 와셔(72)를 개제시키는 인서트 몰딩을 수행함으로써 좀더 원활한 링크 동작 수행을 도모하였다. 또한, 상기 링크(70)의 타단에는 후술될 가이드 핀 어셈블리(80)의 링크 샤프트(81)가 삽입되기 위한 고정 구멍(71)이 형성된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메인 바디상에서 링크의 일단을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 핀 어셈블리의 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도 9의 요부단면도로써, 좀더 원활한 링크 및 가이드 슬릿간의 연동 동작을 위하여 가이드 핀 어셈블리를 도입하였다.
상기 가이드 핀 어셈블리(80)는 메인 플레이트(60)의 가이드 슬릿(61)을 관통하여 링크(70)의 고정구멍(71)에 링크 샤프트(81)가 삽입되며, 상기 가이드 슬릿(61)의 폭보다 큰 직경을 갖도록 형성되는 베어링(82) 및 상기 베어링(82)과 가이드 슬릿(61) 사이에 개재시켜 상대 마찰을 최소화하기 위한 베어링 하우징(83)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도, 상기 메인 플레이트(61)와 링크(70) 사이에는 일정 직경을 갖는 미끄럼성이 우수한 와셔(85)를 개재시킴으로써 링크 동작성을 향상시켰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가이드 수단을 도시한 요부 사시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도 11의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요부단면도이다.
상기 가이드 수단은 상기 슬라이드 플레이트(50)의 양단에 길이 방향으로 설치되는 가이드 샤프트(56)와, 상기 메인 플레이트(60)의 양단에 설치하되, 상기 가이드 샤프트(56)에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어 안내되는 요홈(67)이 형성되는 부시 가이드(65)를 포함한다. 상기 부시 가이드(65)는 상기 메인 플레이트(60)의 양단에 일부가 삽입된 후 구멍들(64, 68)을 통해 스크류, 또는 리벳등의 공지 체결 수단에 의해 고정될 수 있을 것이다. 바람직하게도, 상기 부시 가이드(65)는 상기 메인 플레이트(60)의 양단에 'ㄷ'자로 형성되는 홈(63)상에 삽입되어 적어도 두 개의 부분 에서 소정의 핀(미도시 됨)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부시 가이드(65)는 합성 수지 재질로 형성할 수 있을 것이다.
분명히, 청구항들의 범위내에 있으면서 이러한 실시예들을 변형할 수 있는 많은 방식들이 있다. 다시 말하면, 이하 청구항들의 범위를 벗어남 없이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는 많은 다른 방식들이 있을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드 힌지 모듈은 링크를 가이드하는 가이드 슬릿을 메인 바디에 형성시켰기 때문에 링크의 잦은 회전 동작에 의한 파손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단말기의 작동 신뢰성 보장을 도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9)

  1. 메인 바디상에서 단말기의 길이 방향으로 일정 길이만큼 개폐되도록 슬라이드 바디가 설치되는 슬라이드 타입 휴대용 무선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바디상에 설치 고정되는 슬라이드 플레이트;
    상기 슬라이드 플레이트상에서 단말기의 길이 방향으로 가이드되도록 상기 메인 바디상에 설치되는 메인 플레이트;
    상기 메인 플레이트와 슬라이드 플레이트를 상호 연동되도록 가이드 하는 가이드 수단;
    상기 슬라이드 플레이트에 일단이 회전축으로써 고정되며, 타단은 메인 플레이트에 형성되는 일정 길이의 가이드 슬릿에 가이드되는 소정의 가이드 핀 어셈블리에 고정됨으로써 상기 메인 플레이트의 유동에 따라 일단은 슬라이드 플레이트상에서 회전하고 타단은 메인 플레이트의 가이드 슬릿상에서 가이드되도록 설치되는 링크;
    상기 링크의 회전축과 동축상에서 함께 회전하도록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의 변곡 부분 갖는 일정 형상의 캠;
    상기 캠을 가압하기 위한 가압 수단을 포함하여, 상기 가압 수단이 캠의 각 변곡 부분의 전후를 가압함으로써, 상기 슬라이드 바디가 메인 바디상에서 일정 개폐 위치에 따라 가압력의 방향이 바뀌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힌지 모듈.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 수단은,
    소정의 하우징;
    상기 하우징내에서 일정 길이 만큼 가이드되도록 설치되는 푸쉬 블록; 및
    상기 푸쉬 블록을 가압하는 적어도 하나의 압축 코일 스프링을 포함하며, 상기 푸쉬 블록에 의해 상기 캠을 가압하도록 설치함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힌지 모듈.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푸쉬 블록의 캠과 접하는 상부면은 상방으로 돌출되는 곡형으로 형성하여, 캠 작동시 변곡점 부근에서 힘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고 변곡점 부근의 사점 발생 구간을 짧게 줄여 단말기를 열 때 정지하는 구간을 없애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힌지 모듈.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는 상기 하우징의 외부에 고정하되,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돌출되 는 캠축과 동축을 이루도록 고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힌지 모듈.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는 푸쉬 블록과 상기 푸쉬 블록을 가압하는 압축코일 스프링 및 상기 푸쉬 블록과 연동되는 캠이 수납된 후 소정의 커버에 의해 마감됨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힌지 모듈.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상기 하우징과 후크 및 걸림홈에 의해 고정되는 스냅핏(snap-fit) 구조로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힌지 모듈.
  7.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캠은 링크와 일체로 사출됨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힌지 모듈.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와 캠을 사출하기 전에 상기 링크와 캠 사이에 미끄럼성이 우수한 와셔를 삽입하는 인서트 몰딩 방식으로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힌지 모듈.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핀 어셈블리는,
    메인 플레이트를 관통하여 상기 링크의 타단에 형성된 고정 구멍에 고정되는 링크 샤프트;
    상기 링크 샤프트를 삽입시켜 지지함과 동시에 상기 가이드 슬릿의 폭보다 큰 직경을 갖도록 형성되는 베어링; 및
    상기 베어링과 가이드 슬릿의 접촉면 사이에 개재되는 소정의 베어링 하우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힌지 모듈.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와 메인 플레이트 사이에는 원활한 동작을 위한 미끄럼성이 우수한 와셔가 개재됨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힌지 모듈.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수단은,
    상기 메인 플레이트의 좌우에 형성되는 중공형 가이드부;
    상기 중공형 가이드부의 중공 부분을 관통하되, 상기 슬라이드 플레이트의 양측에 각각 설치되는 가이드 샤프트; 및
    상기 메인 플레이트의 가이드부의 상, 하 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가이드 샤프트의 외주면과 접촉하도록 설치되는 중공형 와셔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힌지 모듈.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와셔는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하되, 상기 와셔의 중공 부분은 상기 가이드 샤프트의 횡단면 면적보다 크도록 형성하여 원활한 가이드 동작을 도모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힌지 모듈.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와셔의 외주면은 원형이 아닌 장공의 형태로 형성하고, 상기 와셔가 삽입되는 가이드부의 중공 부분 역시 상기 와셔의 외주면과 상응한 형상으로 형성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힌지 모듈.
  1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수단은,
    상기 슬라이드 플레이트의 양단에 길이 방향으로 설치되는 가이드 샤프트;
    상기 메인 플레이트의 양단에 설치하되, 상기 가이드 샤프트에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어 안내되는 요홈이 형성되는 부시 가이드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힌지 모듈.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부시 가이드는 상기 메인 플레이트의 양단에 'ㄷ'자로 형성되는 홈상에 삽입되어 적어도 두 개의 부분에서 소정의 핀에 의해 고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힌지 모듈.
  16.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부시 가이드는 합성 수지 재질로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힌지 모듈.
  1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플레이트가 슬라이드 플레이트의 최대 이동 거리를 제한하기 위한 정지 수단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힌지 모듈.
  18.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정지 수단은 상기 슬라이드 플레이트의 상하 양단에 가이드 샤프트를 따라 유동하는 메인 플레이트의 폭과 같이 설치 또는 형성되는 스토퍼임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힌지 모듈.
  19.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의 상부에는 이동하는 메인 플레이트의 충격을 완충시키기 위한 러버 재질의 댐퍼를 더 설치함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힌지 모듈.
KR1020050014515A 2004-10-21 2005-02-22 슬라이드 힌지 모듈 KR10066322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9729 2004-10-21
KR20-2004-0029729U KR200372903Y1 (ko) 2004-10-21 2004-10-21 슬라이드 힌지 모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43065A true KR20060043065A (ko) 2006-05-15
KR100663226B1 KR100663226B1 (ko) 2007-01-02

Family

ID=37148682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29729U KR200372903Y1 (ko) 2004-10-21 2004-10-21 슬라이드 힌지 모듈
KR1020050014515A KR100663226B1 (ko) 2004-10-21 2005-02-22 슬라이드 힌지 모듈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29729U KR200372903Y1 (ko) 2004-10-21 2004-10-21 슬라이드 힌지 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0372903Y1 (ko)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7601B1 (ko) * 2006-07-06 2007-06-14 주식회사 엠투시스 탄성력을 증가시킨 휴대 단말기용 개폐장치
WO2009051448A2 (en) * 2007-10-19 2009-04-23 Laird Technologies Map Co., Ltd. Slider mechanism for opening and closing a portable terminal
KR100899741B1 (ko) * 2007-05-02 2009-05-27 삼성전자주식회사 슬라이딩형 휴대용 단말기
WO2009051444A3 (en) * 2007-10-18 2009-06-04 Laird Technologies Map Co Ltd Slider mechanism for opening and closing a portable terminal
KR100905318B1 (ko) * 2008-12-04 2009-07-02 (주) 프렉코 휴대 단말기용 슬라이드식 힌지장치
WO2010076902A1 (en) * 2008-12-19 2010-07-08 Jeong Bae Kim Mobile electronic device having shaft type slide module
KR20100098935A (ko) * 2009-03-02 2010-09-10 삼성전자주식회사 슬라이드형 휴대용 통신 장치의 슬라이딩 모듈
KR101008701B1 (ko) * 2009-04-16 2011-01-17 암페놀피닉스 유한회사 휴대 기기용 슬라이딩 장치
US7953465B2 (en) 2006-10-12 2011-05-31 Lg Electronics Inc.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101038930B1 (ko) * 2008-06-17 2011-06-03 주식회사 케이에이치바텍 슬라이드타입의 휴대단말기용 힌지모듈
KR101119114B1 (ko) * 2006-10-12 2012-03-1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
US8195255B2 (en) 2007-05-02 2012-06-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Sliding-type portable terminal
WO2022239879A1 (ko) * 2021-05-10 2022-11-1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08395B1 (ko) * 2005-01-14 2005-08-17 (주)쉘-라인 슬라이드 힌지장치, 개인휴대단말기 및 힌지장치의 제조방법
KR100662664B1 (ko) 2005-04-12 2007-01-02 (주)제이엠씨 슬라이딩 구조를 갖는 슬라이딩 파트 및 이를 구비한슬라이딩 타입 휴대폰
KR100770829B1 (ko) 2006-05-08 2007-10-26 삼성전자주식회사 자기 거치 기능을 구비한 슬라이딩 타입 휴대 단말기, 그의 슬라이딩 가이드 모듈 및 슬라이딩 가이드 모듈의 장착 장치
KR100843584B1 (ko) 2007-04-10 2008-07-03 암페놀피닉스 주식회사 휴대전화기용 슬라이드형 개폐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4732B1 (ko) * 2002-11-19 2005-04-22 삼성전자주식회사 슬라이딩 타입 휴대용 무선 단말기
KR200353334Y1 (ko) 2004-03-22 2004-06-14 (주) 프렉코 휴대단말기용 슬라이드장치
KR20050108671A (ko) * 2004-05-12 2005-11-17 (주)지엔씨 탄성적으로 슬라이딩이 제어되는 슬라이드 부가 있는 휴대폰
KR200365393Y1 (ko) 2004-07-20 2004-10-22 주식회사 대성텔레콤 휴대용 단말기의 슬라이드 힌지구조

Cited B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7601B1 (ko) * 2006-07-06 2007-06-14 주식회사 엠투시스 탄성력을 증가시킨 휴대 단말기용 개폐장치
US7953465B2 (en) 2006-10-12 2011-05-31 Lg Electronics Inc.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101119114B1 (ko) * 2006-10-12 2012-03-1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
KR100899741B1 (ko) * 2007-05-02 2009-05-27 삼성전자주식회사 슬라이딩형 휴대용 단말기
US8195255B2 (en) 2007-05-02 2012-06-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Sliding-type portable terminal
WO2009051444A3 (en) * 2007-10-18 2009-06-04 Laird Technologies Map Co Ltd Slider mechanism for opening and closing a portable terminal
US8243439B2 (en) 2007-10-18 2012-08-14 Chung Keun Yoo Slider mechanism for opening and closing a portable terminal
WO2009051448A2 (en) * 2007-10-19 2009-04-23 Laird Technologies Map Co., Ltd. Slider mechanism for opening and closing a portable terminal
WO2009051448A3 (en) * 2007-10-19 2009-06-11 Laird Technologies Map Co Ltd Slider mechanism for opening and closing a portable terminal
KR100924465B1 (ko) * 2007-10-19 2009-11-03 (주)엘티엠에이피 휴대 단말기용 슬라이딩 개폐장치
KR101038930B1 (ko) * 2008-06-17 2011-06-03 주식회사 케이에이치바텍 슬라이드타입의 휴대단말기용 힌지모듈
WO2010064751A1 (en) * 2008-12-04 2010-06-10 Prexco Co., Ltd Sliding type hinge device of mobile phone
KR100905318B1 (ko) * 2008-12-04 2009-07-02 (주) 프렉코 휴대 단말기용 슬라이드식 힌지장치
WO2010076902A1 (en) * 2008-12-19 2010-07-08 Jeong Bae Kim Mobile electronic device having shaft type slide module
KR20100098935A (ko) * 2009-03-02 2010-09-10 삼성전자주식회사 슬라이드형 휴대용 통신 장치의 슬라이딩 모듈
KR101008701B1 (ko) * 2009-04-16 2011-01-17 암페놀피닉스 유한회사 휴대 기기용 슬라이딩 장치
WO2022239879A1 (ko) * 2021-05-10 2022-11-1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72903Y1 (ko) 2005-01-21
KR100663226B1 (ko) 2007-0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63226B1 (ko) 슬라이드 힌지 모듈
KR100753884B1 (ko) 슬라이드 힌지 모듈
JP4509182B2 (ja) スライド型携帯電話用のスライダー組立体及びスライド型携帯電話
CN103092024A (zh) 原稿压合板开阖装置及事务机器
KR20070027576A (ko) 휴대 장치용 평행 평판 회전 힌지
US8805460B2 (en) Slide-type portable electronic device
KR100844434B1 (ko) 휴대 단말기용 슬라이드 힌지 모듈
KR20090061101A (ko) 슬라이드 힌지 모듈
KR20100009708U (ko) 슬라이드 힌지 모듈
KR100571045B1 (ko) 휴대용 단말기의 슬라이딩 방식 개폐장치
KR200421868Y1 (ko) 작동복귀도어용 댐퍼힌지장치
KR200382516Y1 (ko) 휴대용 단말기의 슬라이딩 방식 개폐장치
KR100738569B1 (ko) 탄성력을 증가시킨 휴대 단말기용 개폐장치
KR100573452B1 (ko) 슬라이딩 타입 휴대 단말기의 슬라이딩 장치
KR100570724B1 (ko) 휴대용 단말기의 슬라이딩 방식 개폐장치
KR200350698Y1 (ko) 슬라이드타입 무선단말기의 바디 구동장치
KR101016523B1 (ko) 휴대용 단말기의 슬라이드 개폐장치
KR200387453Y1 (ko) 슬라이딩 타입 휴대폰의 바디 구동장치
KR200326418Y1 (ko)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의 슬라이드 이동수단
KR200367836Y1 (ko) 슬라이드 힌지 모듈
KR200350760Y1 (ko) 슬라이딩 타입 휴대폰의 바디 구동장치
KR20070008202A (ko) 반자동 스윙힌지모듈
KR101019679B1 (ko) 휴대폰용 슬라이드 힌지 모듈
KR20050083531A (ko) 슬라이딩 타입 휴대폰의 바디 구동장치
KR100714230B1 (ko) 휴대폰용 더블 슬라이드 힌지 모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004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