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94584B1 - 완력기 - Google Patents

완력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94584B1
KR101094584B1 KR1020100009575A KR20100009575A KR101094584B1 KR 101094584 B1 KR101094584 B1 KR 101094584B1 KR 1020100009575 A KR1020100009575 A KR 1020100009575A KR 20100009575 A KR20100009575 A KR 20100009575A KR 101094584 B1 KR101094584 B1 KR 1010945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ok
rack
elastic force
arm
engag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095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90020A (ko
Inventor
안태진
Original Assignee
안태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태진 filed Critical 안태진
Priority to KR10201000095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94584B1/ko
Priority to JP2011015737A priority patent/JP2011156358A/ja
Priority to CN2011100347051A priority patent/CN102139147A/zh
Publication of KR201100900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900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945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945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2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lient force-resisters
    • A63B21/023Wound spring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0058Mechanical means for varying the resistance
    • A63B21/00069Setting or adjusting the resistance level; Compensating for a preload prior to use, e.g. changing length of resistance or adjusting a valv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40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 A63B21/4041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movements of the interface
    • A63B21/4047Pivoting movement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완력기는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바닥면에 관통공이 형성된 중공형 통체와 상기 중공형 통체의 양 측면으로 암 연결부가 구비된 헤드부; 상기 암 연결부에 각각 피벗 연결되는 한 쌍의 암; 상기 각 암에 일단이 연결되고 경사지게 아래로 연장되는 한 쌍의 링크; 상기 중공형 통체에 상하 방향으로 설치되는 코일스프링; 상기 코일스프링의 상단을 지지하는 가압편이 상단으로 연결되고 상기 코일스프링을 관통하여 상기 관통공을 지나 하부로 연장되며, 하부에 걸림부가 형성된 래크 부분이 구비된 로드; 및 상기 헤드부의 아래에 이격되어 배치되며, 상기 각 링크의 타단이 양 측면으로 피벗 연결되고 내부에는 상기 래크 부분이 이동가능하게 삽입되는 관통홀이 구비된 커버와, 상기 커버에 장착되고 외부로 노출되어 사용자의 조작이 가능한 누름부와, 상기 누름부의 조작에 의해 상기 래크 부분의 걸림부와 걸림 및 걸림 해제가능한 맞물림 걸림부를 구비한 후크를 포함하는 탄성력 조절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완력기{EXPANDER}
본 발명은 완력기에 관한 것으로, 손, 팔, 어깨의 근력을 단련하기 위해 사용되는 운동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완력기는 사용자가 양손으로 좌우 암을 각각 잡은 다음 힘을 가하여, 암들이 최대로 근접한 위치에 해당하는 접힘 위치를 향하여 이동시키고, 힘을 풀면 암이 완력기에 구비된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암들이 이격된 본래의 운동 시작 위치로 복귀하는 운동기구로서, 이러한 암의 반복 동작에 의해 팔, 어깨의 근력이 부여되도록 하는 운동기구이다. 완력기는 한 손으로 잡을 수 있도록 소형으로 제작되는 것이 가능하며, 이 경우 악력을 향상시키는 운동기구로 사용된다.
종래의 완력기는 사용자가 한 쌍의 암을 상호 접근 이동시킬 때 암의 이동을 방해하여 근력이 향상되도록 하는 힘의 제공하는 제공수단으로써 인장 코일스프링을 사용하고 있다. 즉, 암이 서로 접근할 때 인장 코일스프링이 늘어나면서 탄성력을 제공한다.
그러나 인장 코일스프링을 사용하는 경우에 말단의 고리부에 응력이 집중되어 상기 고리부가 쉽게 파단되는 문제점이 있어 소비자에게 불만을 주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암이 상호 접근하는 동작을 링크 연결을 통해 헤드부에 설치된 코일스프링의 압축 동작으로 연결하는 방식의 완력기가 개시되어 있다.
한편, 완력기에 의한 운동이 최대의 효율을 나타내기 위해서는 사용자의 완력에 맞는 사용자의 완력에 맞는 세기의 탄성력이 제공되는 것이 필요하다. 즉, 스프링에서 탄성력이 발생하지 않은 암의 본래 위치인 운동 시작 위치로부터 암이 최대로 근접하는 위치로 이동한 위치인 접힘 위치로 이동할 때, 접힘 위치에서 제공되는 탄성력의 세기가 운동자의 완력 운동에 가장 맞는 상태에서 최적의 운동 효과를 나타낸다. 탄성력의 세기가 너무 센 경우에는 근육에 무리를 줄 수 있으며, 탄성력의 세기가 너무 약한 경우에는 운동 효과를 기대할 수 없다.
그러나 사용자마다 완력의 세기가 상이하므로, 완력기에는 사용자가 의도하는 세기로 탄성력이 조절될 수 있도록 탄성력 조절 수단을 구비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안출된 것으로서, 완력기의 탄성력 세기 조절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구조의 완력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보관시 간단히 암이 완전히 접힌 상태로 보관하는 것이 가능한 완력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완력기는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바닥면에 관통공이 형성되는 중공형 통체와 상기 중공형 통체의 양 측면으로 암 연결부가 구비된 헤드부; 상기 암 연결부에 각각 피벗 연결되는 한 쌍의 암; 상기 각 암에 일단이 연결되고 경사지게 아래로 연장되는 한 쌍의 링크; 상기 중공형 통체에 상하 방향으로 설치되는 코일스프링; 상기 코일스프링의 상단을 지지하는 가압편이 상단으로 연결되고 상기 코일스프링을 관통하여 상기 관통공을 지나 하부로 연장되며, 하부에 걸림부가 형성된 래크 부분이 구비된 로드; 및 상기 헤드부의 아래에 이격되어 배치되며, 상기 각 링크의 타단이 양 측면으로 피벗 연결되고 내부에는 상기 래크 부분이 이동가능하게 삽입되는 관통홀이 구비된 커버와, 상기 커버에 장착되고 외부로 노출되어 사용자의 조작이 가능한 누름부와, 상기 누름부의 조작에 의해 상기 래크 부분의 걸림부와 걸림 및 걸림 해제가능한 맞물림 걸림부를 구비한 후크를 포함하는 탄성력 조절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래크 부분의 걸림부는 치형을 이루는 홈이 아래로 경사진 래크 치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후크의 맞물림 걸림부는 상기 래크 치형에 맞물림되는 대응 치형을 구비한 형태로 형성되어, 걸림부와 맞물림 걸림부가 치형 결합된 상태에서 래크 부분을 아래쪽으로 미는 힘이 작용할 때는 힘이 전달되고, 후크가 래크 부분을 위쪽으로 당기는 힘이 작용할 때는 후크의 맞물림 걸림부가 걸림부 치형을 따라 슬립 이동이 일어나게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후크는 상기 탄성력 조절부의 커버 내부에 상기 관통홀의 측면으로 배치된 설치공간부에 중심부가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상단은 상기커버 외부로 연장되어 상기 누름부를 형성하고, 하단은 상기 래크 부분의 걸림부를 향하여 연장되어 맞물림되는 상기 맞물림 걸림부를 형성하며, 상기 후크에는 상기 누름부가 눌려지지 않은 상태에서는 상기 맞물림 걸림부가 상기 래크 부분의 걸림부와 맞물림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스프링이 설치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후크는 상기 탄성력 조절부의 전면으로 한 개가 설치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래크 부분의 표면에는 완력기의 탄성력의 세기를 나타낼 수 있는 숫자, 문자 또는 기호로 된 표시부가 구비되고, 상기 래크 부분에 표시된 상기 표시부가 상기 커버 외측으로 노출되는 상태에 따라 완력기의 조절된 탄성력 세기를 알 수 있게 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완력기의 탄성력 세기 조절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구조의 완력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탄성력 조절부의 누름부를 누르고 암의 위치를 조절하는 것에 의하여 암의 운동 시작 위치가 변경되고 누름부를 해제함으로써 암의 운동 시작 위치가 고정된다. 운동 시작 위치 변경시 암은 코일스프링의 힘이 작용하지 않는 무부하 상태이므로 조절이 용이하며, 좌우 암은 링크로 서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한쪽 암을 움직이는 동작에 의하여 좌우 암이 함께 이동하면서 위치 조절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더욱이, 운동 시작 위치에 해당하는 암 사이의 거리를 넓히고자 하는 경우 암을 잡고서 벌리는 동작에 의하여 적은 힘으로도 암의 운동 시작 위치가 조절된다.
또한, 본 발명은 보관시 간단히 암이 완전히 접힌 상태로 보관하는 것이 가능하며, 암이 완전히 접힌 보관 상태에서 암을 운동 시작 위치로 변경하는 것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완력기의 사시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완력기의 단면도이다.
도 3 은 도 2 의 A 부분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4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완력기에서 탄성력 세기를 알 수 있는 표시부를 구비한 형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 5 및 도 6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완력기에서 암의 운동 시작 위치를 조절하는 과정을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다.
도 7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완력기에서 암이 접힘 위치로 위치 변경된 것을 보여주는 것으로서 보관시 암의 위치를 보여준다.
도 8 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완력기의 정면도 및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완력기의 사시도이고,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완력기의 단면도이고, 도 3 은 도 2 의 A 부분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완력기는 헤드부(10), 한 쌍의 암(20), 코일스프링(30), 로드(40), 한 쌍의 링크(50) 및 탄성력 조절부(60)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헤드부(10)의 중심부에는 상단이 개방된 중공형 통체(11)가 형성된다. 중공형 통체(11)의 바닥면(13)에는 로드(40)가 통과하는 관통공(12)이 형성된다. 또한 관통공(12)을 통한 로드(40)의 이동을 가이드하기 위해 관통공(12)에 연통된 홀이 형성된 로드 가이드(15)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중공형 통체(11)의 상단에는 덮개(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중공형 통체(11)는 내부에 스프링이 설치되는 스프링 설치 공간을 형성하며, 후술하는 바와 같이 코일스프링(30)이 설치되어 압축 및 복원 동작을 한다.
헤드부(10)의 양 측면에는 좌우 암(20)의 상단이 피벗 연결되는 암 연결부(14)가 형성된다. 좌우 암 연결부(14) 각각에는 좌우 암(20)의 상단이 피벗 연결되며, 암(20)은 암 연결부(14)를 회전 중심으로 시계 방향 및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운동 시작 위치와 접힘 위치 사이에서 왕복 운동가능하다.
암(20)은 헤드부(10)의 중공형 통체(11)에 설치된 코일스프링(30)과 작동적으로 연결되는 데, 코일스프링(30)의 비압축 상태에 암의 위치에 대응하는 운동 시작 위치에서 사용자가 힘을 가하여 암을 접근 이동시키면 코일스프링(30)이 압축되면서 암의 이동을 방해하는 힘을 제공한다. 암이 최대로 근접한 위치에 해당하는 접힘 위치로 암이 이동된 후 사용자가 가해진 힘을 제거하면 암(20)은 코일스프링(30)의 복원력에 의하여 운동 시작 위치로 복귀한다. 사용자는 암을 운동 시작 위치와 접힘 위치 사이에서 반복적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운동이 이루어진다.
후술하지만 본 발명에 따르면 암의 운동 시작 위치 조절이 가능한데, 완력기에서 제공되는 힘은 암이 운동 시작 위치에서 접힘 위치로 이동될 때 코일스프링(30)에서 발생하는 탄성력이므로, 암의 운동 시작 위치에서 암 사이의 거리가 멀어질수록 즉, 암 사이의 각이 커질수록 완력운동시 제공되는 탄성력의 세기가 커진다. 본 발명은 완력기에서 운동 시작 위치에 해당하는 암 사이의 거리를 조절가능하게 함으로써 탄성력의 세기 조절이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중공형 통체(11)에는 코일스프링(30)이 설치된다. 코일스프링(30)의 하단은 중공형 통체(11)의 바닥면(13)에 의해 지지되며 상단은 가압편(45)에 의해 지지된다. 가압편(45)은 로드(40)에 연결되어 로드(40)가 아래로 당겨지면 코일스프링(30)을 아래로 가압하여 압축시킨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코일스프링(30)의 내측으로 추가의 코일스프링이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코일스프링(30)의 크기 및 중공형 통체(11)의 크기를 증가시키지 않으면서 추가의 코일스프링을 코일스프링(30) 내측으로 설치하는 것에 의해 완력기에서 제공 가능한 탄성력을 증가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로드(40)를 포함한다. 로드(40)는 가압편(45)에 상단이 연결되고 코일스프링(30)의 중심을 통해 아래로 연장되어 중공형 통체(11)의 바닥면(13)에 형성된 관통공(12)을 통해 아래로 연장된다. 로드(40)의 하부는 탄성력 조절부(60)의 관통홀(62)의 내측으로 삽입되도록 연장되며, 로드(40)의 하부 부분은 탄성력 조절부(60)와 작동적으로 연결되는 래크 부분(65)을 형성한다. 로드(40)는 래크 부분(65)을 포함하여 하나의 부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별개의 부재로 형성하여 일체로 동작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러한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암(20)과 탄성력 조절부(60) 사이에는 링크(50)가 설치된다. 링크(50)의 일단은 암 연결부(14)의 아래에서 암(20)에 피벗 연결되며 탄성력 조절부(60)을 향하여 아래로 경사지게 연장되어 타단이 탄성력 조절부(60)의 커버(61)에 피벗 연결된다. 따라서 암(20)의 접근 운동은 링크(50)에 의해 탄성력 조절부(60)로 전달되어 탄성력 조절부(60)의 하방 이동으로 연결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탄성력 조절부(60)는 상하 방향으로 관통홀(62)이 형성된 커버(61)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커버(61)는 전후면 커버가 고정나사 등에 의해 결합되어 형성된다.
로드(40)는 탄성력 조절부(60)의 관통홀(62)에 이동가능하게 삽입되며, 상술한 바와 같이 관통홀(62)에 삽입된 로드(40) 하부는 래크 부분(65)을 형성한다.
래크 부분(65)의 표면에는 걸림부(66)가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걸림부(66)는 다수의 래크 치형(67)을 구비한 치형부로 형성된다. 후크(70)의 맞물림 걸림부(72)에는 상기 래크 치형(67)과 맞물림되는 대응 치형(73)을 구비하고 있으며, 걸림부(66)는 맞물림 걸림부(72)와 치형 결합한다.
래크 치형(67)은 치형을 형성하는 홈이 아래로 경사진 형태로 형성되어, 후크(70)와 래크 부분(65)의 치형 결합시, 래크 부분(65)를 아래쪽으로 미는 힘이 작용할 때는 힘이 전달되어 래크 부분(65)가 아래로 이동하지만, 후크(70)가 래크 부분(65)를 위쪽으로 당기는 힘이 작용할 때는 소정 이상의 힘이 작용하면 후크(70)의 맞물림 걸림부(72)가 걸림부(66)의 치형을 따라 슬립 이동하면서 맞물림 걸림부(72)가 걸림부(66)를 따라 위쪽으로 이동한다. 즉, 후크(70)가 래크 부분(65)를 아래쪽으로 미는 힘은 그대로 전달되어 래크 부분(65)의 아래로 이동시키지만, 후크(70)가 래크 부분(65)를 당기는 힘에 대해서는 슬립 이동이 일어나면서 래크 부분(65)는 이동하지 않고 후크(70)가 상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탄성력 조절부(60)는 래크 부분(65)과 맞물림되는 후크(70)를 포함한다. 커버(61)의 내측 관통홀(62)의 양 측면으로 후크(70)가 설치되는 설치 공간부(63)가 형성되며 설치 공간부(63)에는 후크축(64)이 형성된다. 후크(70)는 중심부에 형성된 축홀(71)을 통해 상기 후크축(64)에 설치된다. 도 1 내지 도 3 에는 후크(70)가 서로 대향되게 한 쌍으로 설치된 형태를 도시하고 있으나, 도 8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후크(70)가 설치되는 변형예도 가능하며, 후크의 개수에 의하여 본 발명이 제한되지 않는다.
도 1 내지 도 3 을 참조하면, 후크(70)는 관통홀(62)의 양 측면으로 구비되는 데, 각 후크(70)는 중심부에 후크축(64)을 위해 형성된 축홀(71)을 구비하며, 하단으로 상기 래크 부분(65)의 측면으로 형성된 걸림부(66)에 걸림되어 코일스프링(30)이 압축되는 방향으로 힘의 전달이 가능한 맞물림 걸림부(72)가 구비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맞물림 걸림부(72)는 상술한 바와 같이 래크 부분(65)의 걸림부(66)에 형성된 래크 치형(67)에 맞물림되는 대응 치형(73)을 구비한다.
후크(70)의 상단은 커버(61)의 측면 방향으로 외측으로 돌출되게 배치되어 상단이 누름부(75)를 형성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후크(70)는 스프링(77)에는 의해 후크(70)의 맞물림 걸림부(72)가 래크 부분(65)의 걸림부(66)에 맞물림 상태를 유지하도록 탄성 지지된다. 따라서 누름부(75)가 눌려지지 않은 상태에서 래크 부분(65)의 걸림부(66)와 후크의 맞물림 걸림부(72)가 서로 맞물림 상태를 유지하며, 누름부(75)의 누름에 의하여 후크(70)가 후크축(64)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맞물림이 해제된다.
스프링(77)은 상기 설치 공간부(63) 내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은 후크(70)에 고정되어, 후크(70)의 누름부(75)가 눌려지지 않은 상태에서는 후크(70) 하단의 맞물림 걸림부(72)가 래크 부분(65)의 걸림부(66)와 맞물림 상태를 유지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한다.
사용자가 암(20)을 잡고서 암(20)을 운동 시작 위치에서 접힘 위치를 향하여 서로 근접하는 방향으로 힘을 가하는 경우 탄성력 조절부(60)는 링크(50)로부터 운동을 전달받아 아래로 이동하게 되는 데, 링크(50)와 탄성력 조절부(60)의 커버(61)의 결합에 의해 커버(61)에 전달된 힘은 후크축(64)에 고정된 후크(70)에 전달되고, 후크(70)의 맞물림 걸림부(72)와 래크 부분(65)의 걸림부(66)의 결합에 의해 힘이 래크 부분(65)에 전달되고, 이에 따라 래크 부분(65)이 아래로 이동한다. 래크 부분(65)과 함께 로드(40)가 아래로 당겨지면, 가압편(45)이 탄성 스프링(30)을 눌러 압축시키고, 이에 따라 탄성력이 발생한다.
한편, 도 8 을 참조하여 탄성력 조절부(60)의 전면으로 하나의 후크(70)가 설치된 실시예를 살펴보면, 래크 부분(65)의 전방 측면으로 걸림부(66)가 형성되며, 후크(70)는 커버(61)의 전방 측면 형성된 설치공간부(63)에 설치되어 있다. 후크(7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동일하게 커버(61)에 형성된 후크축(64)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하단은 래크 부분(65)의 전방 측면으로 형성된 걸림부(66)를 향하여 연장되고 래크 부분(65)의 걸림부(66)와 결합되는 맞물림 걸림부(72)를 형성하며 상단은 연장되어 커버(61) 외측에서 누름 조작이 가능한 누름부(75)를 형성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걸림부(66) 및 맞물림 걸림부(72)는 치형 결합한다. 도 8 의 우측 단면도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누름부(75)를 누르는 경우 후크(70)가 후크축(64)을 중심으로 회동하면서 맞대임 걸림부(72)가 걸림부(66)로부터 결합이 해제된다. 도 8 에 도시된 실시예는 후크(70)의 설치 위치 및 설치 개수가 차이가 있을 뿐, 도 1 내지 도 3 에 도시된 실시예와 동작 원리 및 기본 구조가 동일하다.
도 1 내지 도 3 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탄성력 조절부(60)의 양 측면으로 후크(70)가 각각 구비되는 데, 후크(70)의 맞물림 걸림부(72)와 래크 부분(65)의 걸림부(66)의 결합을 해제하기 위해서는 양측 후크(70)를 동시에 눌러주는 것이 필요하다. 그러나 도 8 에 도시된 실시예에 의할 경우, 하나의 후크(70)가 구비되므로 탄성력 조절부(60)의 조작시 하나의 후크(70)를 눌러주면 되므로 조작이 보다 용이하게 되는 장점이 있다.
도 5 및 도 6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완력기에서 탄성력 조절부의 누름부를 조작하여 암의 운동 시작 위치를 조절하는 과정을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다.
도 5 에 도시된 상태에서, 운동 시작 위치가 도 5 에 비해 가깝게 조절된 도 6 에 도시된 운동 시작 위치로, 암의 위치를 변경하고자 할 때에는 후크(70)의 누름부(75)를 눌러 후크(70)와 래크 부분(65)의 맞물림 상태를 해제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를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도 5 의 상태에서 암의 운동 시작 위치를 조절하려고 할 때에는 후크(70)의 누름부(75)를 눌러 후크(70)에 의한 래크 부분(65)의 고정을 해제함으로써 탄성력 조절부(60)가 래크 부분(65)에 대하여 자유로이 이동가능하게 한다. 누름부(75)를 누르면 후크(70)가 후크축(64)을 중심으로 맞물림 걸림부(72)가 래크 부분(65)의 걸림부(66)와 결합이 해제되도록 회전한다. 누름부(75)를 누룬 상태에서 암을 서로 접근하는 방향으로 움직여 암의 운동 시작 위치를 도 6 에 도시된 상태로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다. 암(20)에 대한 구속력이 해제되었기 때문에 암(20)의 위치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암(20)의 운동 시작 위치를 도 6 에 도시된 상태로 조절한 후 누름부(75)의 누름을 해제하면 조절된 위치에서 걸림부(66)와 맞물림 걸림부(72)가 서로 결합하면서, 조절된 위치로 암(20)의 운동 시작 위치가 고정된다.
한편, 암의 운동 시작 위치를 본래의 위치보다 넓히려고 하는 경우, 예컨대 도 6 에 도시된 위치에서 도 5 에 도시된 위치로 변경하고 자하는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이, 누름부(75)를 눌러 후크(70)와 래크 부분(65)의 맞물림 해제하여 암 사이의 거리를 넓힐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래크 부분(65)의 걸림부(66)와 후크(70)의 맞물림 걸림부(72)는 래크 치형 결합을 하므로, 보다 간편하게 암 사이의 거리를 넓힐 수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 따르면, 걸림부(66)와 맞물림 걸림부(72)가 치형 결합된 상태에서 래크 부분(65)를 아래쪽으로 미는 힘이 작용할 때는 힘이 전달되어 래크 부분(65)가 아래로 이동하지만, 후크(70)가 래크 부분(65)를 위쪽으로 당기는 힘이 작용할 때는 후크(70)의 맞물림 걸림부(72)가 걸림부(66)의 치형을 따라 슬립 이동하면서 맞물림 걸림부(72)가 걸림부(66)를 따라 위쪽으로 이동하도록 치형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운동 시작 위치에 해당하는 암 사이의 거리를 넓히기 위해서 암 사이의 거리를 벌리면, 누름부(75)를 누르지 않더라도, 소정 이상의 힘이 작용하면, 맞물림 걸림부(72)가 래크 부분(65)의 걸림부(66)의 래크 치형(67)을 타고 넘으면서 즉, 슬립 이동이 일어나면서 걸림부(66)에 대한 맞물림 치형부(72)의 결합 위치가 위쪽으로 용이하게 이동하고, 이에 따라 암(20)의 운동 시작 위치가 간편하게 넓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운동 시작 위치에 해당하는 암(20) 사이의 거리는 걸림부(66)와 맞물림 걸림부(72)의 결합 위치에 의해 조절되므로, 완력기의 보관 시에는 도 7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암을 완전히 접은 상태로 보관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보관 및 운반이 용이하게 된다.
또한 암이 완전히 접힌 상태에서 운동이 가능한 상태로 운동 시작 위치를 벌리려고 하는 경우 암을 벌리는 소정의 힘을 가하면 맞물림 걸림부(72)가 래크 부분(65)의 걸림부(66)를 따라 슬립 이동하면서 손쉽게 운동 가능한 운동 시작 위치로 이동되므로 보관 상태에서 운동 가능한 상태로의 변환이 용이하게 된다.
완력기 운동은 사용자가 암(20)을 잡고서 운동 시작 위치에서 힘을 가하여 접힘 위치로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 이루어지는 데, 운동 시작 위치에서 암 사이의 거리가 멀어질수록 즉, 암 사이의 각이 증가할수록 접힘 위치로 이동시키는 데 소요되는 힘이 증가한다. 따라서 암(20) 사이의 거리 조절은 완력기의 탄성력의 세기 조절을 수반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자신의 근력에 맞도록 완력기의 탄성력의 세기를 조절하여 운동을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도 4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완력기에서, 완력기의 탄성력 세기를 알 수 있는 표시부를 구비한 형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래크 부분(65)의 전방 표면에는 조절된 탄성력의 세기 상태를 단계적으로 표시한 숫자, 문자 또는 기호로 된 표시부(80)가 구비된다. 표시부(80)는 운동 시작 위치 변경에 따라 탄성력 조절부(60)의 커버(61)에 대한 래크 부분(65)의 삽입 길이가 변경됨에 따라 커버(61) 상부 외측으로 노출되는 부분의 길이가 변경된다. 도 4 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르면, 표시부(80)는 위쪽에서 아래 숫자로 6 부터 1이 역순으로 표시되어 있는 데, 각 숫자는 완력기에서 제공되는 탄성력이 세기를 상대적으로 표시한 것이다.
운동 시작 위치에 해당하는 암(20)의 사이의 거리가 멀수록 즉, 암(20) 간의 각이 클수록, 암을 운동 시작 위치에서 접힘 위치로 이동시키는데 필요한 힘 즉, 탄성력의 세기가 증가한다. 암(20)은 링크(50)를 통해 탄성력 조절부(60)에서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암(20)의 운동 시작 위치는 탄성력 조절부(60)에 삽입된 로드(40)의 길이와 관계된다. 운동 시작 위치에 해당하는 암(20) 사이의 거리가 멀어지면 탄성력 조절부(60)의 커버(61)의 위치로 상부로 이동하게 되며, 이에 따라 래크 부분(65)에 대한 후크(70)의 맞물림 위치는 아래로 이동하고 로드(40) 및 래크 부분(65)의 삽입길이는 증가한다. 따라서 래크 부분(65)의 표면에 탄성력의 세기를 표시하는 숫자들이 표시된 경우 노출되는 숫자로부터 조절된 탄성력의 세기를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암(20)이 접힌 상태로 보관 중 운동을 시작하려고 하는 경우 표시부(80)를 통해 원하는 탄성력의 세기에 제공하는 운동 시작 위치에 해당하는 거리로 암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탄성력 조절부(60)에 의해 암의 운동 시작 위치 및 이와 관련된 탄성력의 세기의 조절이 용이하며, 보관시에는 암(20)을 접힘 위치로 이동시킨 상태로 보관하여 휴대 및 보관이 용이하다.
10: 헤드부 11; 중공형 통체
14: 암 연결부 20: 암
30: 코일스프링 40: 로드
50: 링크 60: 탄성력 조절부
65: 래크 부분 70: 후크

Claims (5)

  1. 바닥면(13)에 관통공(12)이 형성된 중공형 통체(11)와, 상기 중공형 통체(11)의 양 측면으로 형성된 암 연결부(14)를 포함하는 헤드부(10);
    상기 암 연결부(14)에 각각 피벗 연결되는 한 쌍의 암(20);
    상기 각 암(20)에 일단이 연결되고 경사지게 아래로 연장되는 한 쌍의 링크(50);
    상기 중공형 통체(11)에 상하 방향으로 설치되는 코일스프링(30);
    상기 코일스프링(30)의 상단을 지지하는 가압편(45)이 상단으로 연결되고 상기 코일스프링(30)을 관통하여 상기 관통공(12)을 지나 하부로 연장되며, 하부에 걸림부(66)가 형성된 래크 부분(65)이 구비된 로드(40); 및
    상기 헤드부(10)의 아래에 이격되어 배치되며, 상기 각 링크(50)의 타단이 양 측면으로 피벗 연결되고 내부에는 상기 래크 부분(65)이 이동가능하게 삽입되는 관통홀(62)이 구비된 커버(61)와, 상기 커버(61)에 장착되고 외부로 노출되어 사용자의 조작이 가능한 누름부(75)와, 상기 누름부(75)의 조작에 의해 상기 래크 부분(65)의 걸림부(66)와 걸림 및 걸림 해제가능한 맞물림 걸림부(72)를 구비한 후크(70)를 포함하는 탄성력 조절부(6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력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래크 부분(65)의 걸림부(66)는 치형을 이루는 홈이 아래로 경사진 래크 치형(67)으로 형성되고,
    상기 후크(70)의 맞물림 걸림부(72)는 상기 래크 치형(67)에 맞물림되는 대응 치형(73)을 구비한 형태로 형성되어,
    걸림부(66)와 맞물림 걸림부(72)가 치형 결합된 상태에서 래크 부분(65)을 아래쪽으로 미는 힘이 작용할 때는 힘이 전달되고, 후크(70)가 래크 부분(65)을 위쪽으로 당기는 힘이 작용할 때는 후크(70)의 맞물림 걸림부(72)가 걸림부(66)의 치형을 따라 슬립 이동이 일어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력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후크(70)는 상기 탄성력 조절부(60)의 커버(61) 내부에 상기 관통홀(62)의 측면으로 배치된 설치공간부(63)에 중심부가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상단은 상기커버(61) 외부로 연장되어 상기 누름부(75)를 형성하고, 하단은 상기 래크 부분(65)의 걸림부(66)를 향하여 연장되어 맞물림되는 상기 맞물림 걸림부(72)를 형성하며,
    상기 후크(70)에는 상기 누름부(75)가 눌려지지 않은 상태에서는 상기 맞물림 걸림부(66)가 상기 래크 부분(65)의 걸림부(66)와 맞물림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스프링(77)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력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후크(70)는 상기 탄성력 조절부(60)의 전면으로 한 개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력기.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래크 부분(65)의 표면에는 완력기의 탄성력의 세기를 나타낼 수 있는 숫자, 문자 또는 기호로 된 표시부(80)가 구비되고,
    상기 래크 부분(65)에 표시된 상기 표시부(80)가 상기 커버(61) 외측으로 노출되는 상태에 따라 완력기의 조절된 탄성력 세기를 알 수 있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력기.
KR1020100009575A 2010-02-02 2010-02-02 완력기 KR1010945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9575A KR101094584B1 (ko) 2010-02-02 2010-02-02 완력기
JP2011015737A JP2011156358A (ja) 2010-02-02 2011-01-27 腕力器
CN2011100347051A CN102139147A (zh) 2010-02-02 2011-01-31 臂力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9575A KR101094584B1 (ko) 2010-02-02 2010-02-02 완력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90020A KR20110090020A (ko) 2011-08-10
KR101094584B1 true KR101094584B1 (ko) 2011-12-15

Family

ID=444070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09575A KR101094584B1 (ko) 2010-02-02 2010-02-02 완력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2011156358A (ko)
KR (1) KR101094584B1 (ko)
CN (1) CN10213914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76738B1 (ko) 2014-06-11 2015-12-10 안태진 완력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390387B (zh) * 2016-12-06 2018-06-19 哈尔滨理工大学 一种可调节式臂力器
CN107335188A (zh) * 2016-12-24 2017-11-10 重庆都英科技有限公司 一种凸轮液压能耗式安全臂力器
CN107335187A (zh) * 2016-12-24 2017-11-10 重庆都英科技有限公司 一种安全健身臂力器
KR200490128Y1 (ko) 2018-03-30 2019-09-27 주식회사 이고진 완력기
CN109011333B (zh) * 2018-09-25 2020-10-16 瑞安市合泰紧固件有限公司 一种液压缓冲式臂力器及其使用方法
KR102571429B1 (ko) 2020-10-27 2023-08-29 주식회사 지디아이앤디 완력기
CN114849139B (zh) * 2022-06-15 2023-12-26 西安航空学院 一种体育专业用安全性能好的臂力训练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78610B1 (ko) 2003-12-11 2006-05-10 최경선 완력기
KR100825178B1 (ko) 2007-05-04 2008-04-24 안태진 완력기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471359Y (zh) * 2001-03-12 2002-01-16 戴长志 臂力器
CN2605887Y (zh) * 2003-01-16 2004-03-10 乃兴车料(深圳)有限公司 可调扭力杆机构
CN2666489Y (zh) * 2003-08-08 2004-12-29 杨舜安 能调控力度的臂力器
KR100719066B1 (ko) * 2006-04-11 2007-05-18 안태진 완력기
CN201208270Y (zh) * 2008-06-05 2009-03-18 徐琰 腹股沟疝手术自动拉钩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78610B1 (ko) 2003-12-11 2006-05-10 최경선 완력기
KR100825178B1 (ko) 2007-05-04 2008-04-24 안태진 완력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76738B1 (ko) 2014-06-11 2015-12-10 안태진 완력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1156358A (ja) 2011-08-18
KR20110090020A (ko) 2011-08-10
CN102139147A (zh) 2011-08-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94584B1 (ko) 완력기
KR100719066B1 (ko) 완력기
US11806572B2 (en) Foot supports with fit enhancement features for an exercise machine
KR20150111346A (ko) 슬라이드 가능한 웨이트 바 조립체를 갖는 운동 기구
US4195834A (en) Vertical shoulder and lateral shoulder exercise machine
KR20150002915U (ko) 접이식 필라테스 운동 기구
KR200481799Y1 (ko) 턱걸이 운동기구
KR200467778Y1 (ko) 완력기
KR101558399B1 (ko) 다리 스트레칭 운동기구
KR101479172B1 (ko) 바벨이나 무게추를 사용하지 않고 장력수단을 사용하는 다기능 운동기구
KR200451841Y1 (ko) 다기능 로우프 밴드 운동기구
KR102571429B1 (ko) 완력기
KR101576738B1 (ko) 완력기
KR100984258B1 (ko) 운동 기구용 가변 부하 조절 장치
KR200490128Y1 (ko) 완력기
KR101223194B1 (ko) 운동기구
KR101771814B1 (ko) 승마용 운동기구
KR20070006256A (ko) 완력기
TWI272956B (en) Exercise equipment
KR200463239Y1 (ko) 밀고 당기는 식(式) 복부체조용구(腹部體操用具)
KR101794687B1 (ko) 재활운동기구용 핸들구조체
KR101351773B1 (ko) 완력기
KR101038544B1 (ko) 운동기구
CN109578461B (zh) 一种多功能传动装置
KR20050005070A (ko) 백스트레칭 운동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5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