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79172B1 - 바벨이나 무게추를 사용하지 않고 장력수단을 사용하는 다기능 운동기구 - Google Patents

바벨이나 무게추를 사용하지 않고 장력수단을 사용하는 다기능 운동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79172B1
KR101479172B1 KR20140106299A KR20140106299A KR101479172B1 KR 101479172 B1 KR101479172 B1 KR 101479172B1 KR 20140106299 A KR20140106299 A KR 20140106299A KR 20140106299 A KR20140106299 A KR 20140106299A KR 101479172 B1 KR101479172 B1 KR 1014791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rtical
vertical axis
spring coil
exercise
exercise equip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01062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기성
Original Assignee
김기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기성 filed Critical 김기성
Priority to KR201401062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7917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791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791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6User-manipulated weights
    • A63B21/072Dumb-bells, bar-bells or the like, e.g. weight discs having an integral peripheral handle
    • A63B21/0724Bar-bells; Hand ba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2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lient force-resisters
    • A63B21/04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lient force-resisters attached to static foundation, e.g. a user
    • A63B21/0407Anchored at two end points, e.g. installed within an apparatus
    • A63B21/0414Anchored at two end points, e.g. installed within an apparatus with both ends stationary during the actual exercise, i.e. moving only at intermediate locations

Abstract

본원은 간단하고 실플한 구조로서 역도형태의 운동기구를 제공하되, 별도의 무거운 바벨 등의 중량추를 사용하지 않아서 손잡이(쇠막대)를 놓치는 경우에도 위해가 없이 안전성을 높이고, 공원이나 다중 이용시설 등의 야외에 설치되는 경우에도 분실의 위험성이 제거된 운동기구를 제공하고자 하는 발명이다.
본원에서 제공되는 운동기구는 지면에 연결되는 바닥면은 양측으로 높이조절장치를 갖고 높이조절장치는 양측으로 세로수직축과 연계되는 구조를 이루되, 세로수직축의 중심부에는 인장력을 갖는 스프링코일이 내장되고 스프링코일의 양단이 세로수직축의 상단 및 하단 위치에 각각 고정되는 구조를 이루며 세로수직축 상단 위치에서는 스프링코일의 연결단부가 손잡이 수평축까지 연장되어 일체로 고정되는 구조를 이루어서 사용자가 수평축을 잡고 스프링코일의 장력을 이용하여 역도의 용상형태를 구현하도록 적용하거나 수평축에 어깨를 대고 들어올리고 내림을 반복하며 허리 및 하체운동기구로 적용하거나, 수평봉 운동기구로 활용할 수 있도록 다기능 운동기구로 제공되어 사용자가 원하는 운동에 따라 높이를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Description

바벨이나 무게추를 사용하지 않고 장력수단을 사용하는 다기능 운동기구{A multi-purposed health sporting equipment}
본 발명은 역도(力道)와 같이 바벨(barbell)이나 중량추를 사용하지 않고 안전성을 확보한 장력수단을 이용하는 다기능 운동기구에 관한 것이다.
역도(力道)란 무거운 중량체를 들어올리는지 그 중량을 비교하는 체급 경기로 용상(聳上), 인상(引上) 두 종목이 있으며, 바벨(barbell)은 역도나 근육 단련 훈련에 사용되는 강철로 이루어진 무게추로서 중심부의 손잡이(쇠막대) 양쪽에 원반형상의 쇳덩이가 매달려 있는 형태로 제공되어 역도란 운동으로 적용되어 왔다.
본원은 종래 역도에서 사용되는 바벨 등과 같은 중량추(무게추)가 별도로 사용되지 않고 탄성 및 장력을 제공하는 스프링을 수직축으로 제공되는 원형파이프 내부에 내장시켜 일측은 고정시키고 일측은 상하로 이동할 수 있는 구조의 장력수단이 양쪽으로 배열시키고 양쪽 장력수단의 중심부에 손잡이(쇠막대)가 수평축으로 배열되어 안전성이 확보된 형태로 역도 형상을 이루고 사용자가 중심부의 손잡이(쇠막대)인 수평축을 잡고 역도의 용상형태를 구현하거나 또는 수평축에 어깨를 대고 들어올리고 내림을 반복하며 허리나 하체근육 발달 운동기구로 적용하거나, 또는 수평축을 손으로 잡고 일반 수평봉 운동과 같이 적용할 때 사용자의 키 높이에 따라 수평봉의 높이를 조절하며 운동할 수 있는 다기능 운동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종래의 역도경기는 얼마만큼의 무거운 중량체를 들어올리는지 그 중량을 비교하는 체급 경기로 용상(聳上), 인상(引上) 두 종목이 있으며, 바벨(barbell)은 역도나 근육 단련 훈련에 사용되는 강철로 이루어진 무게추로서 중심부의 손잡이(쇠막대) 양쪽에 원반형상의 쇳덩이가 매달려 있는 형태로 적용되어 왔다.
종래기술에서 역도 형태로 상체 근력운동에 사용되는 운동기구의 적용예를 살표보면, 등록특허 제1115444호에서는 중량체만 용이하게 교체가능할 수 있도록 개발된 역도기구가 제시되어 있는바, 기존의 역도기구는 바벨원판을 교체하기 위하여 가장 바깥쪽에 있던 바벨원판부터 순차적으로 빼낸 다음 다시 순서대로 끼워서 넣어야 했던 불편함을 줄일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교체하고자하는 중량체만 용이하게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제공되는 역도기구가 제시되어 있다.
또한 공개번호 2011년 제118442호에서는 '무게 조절이 가능한 덤벨'로서, 덤벨의 외형은 동일하게 유지하면서 덤벨의 무게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동일한 공간에서 운동하는 사람들 간의 심리적 열등감을 해소할 수 있고 소수의 덤벨만으로 사용자가 다양한 무게의 덤벨로 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하는 무게 조절이 가능한 덤벨구조를 제시하고 있다.
상기와 같이 종래의 역도방식 유형으로 제공되는 운동기구는 바벨 등의 무거운 중량추가 손잡이(쇠막대)의 양단에 걸쳐지고 사람이 벤치프레스에 누워 역기를 들어올리고 내리는 동작을 반복할 때 운동 중에 역기를 놓치거나 힘이 빠져서 역기가 가슴 위로 떨어지는 사고가 발생할 우려가 있고 바벨 등의 부품을 별도로 관리하지 않으면 분실의 위험을 갖는다.
역도와 유사한 운동기구로서, 벤치프레스의 일종으로 상체 근력운동을 위하여 해머벤치 또는 체스트 프레스 등이 사용되는바, 해머벤치는 손잡이 부분에 바벨을 끼운 후 손잡이를 올렸다 내렸다 하는 웨이트 트레이닝 기구로서 해머벤치 역시 바벨을 별도로 관리하여야 하는 불편함과 바벨을 손잡이에 끼우기 위해 이리 저리 옮기다가 발등에 떨어뜨려 사고가 발생할 위험을 언제나 내포하고 있어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또한 체스트 프레스는 별도의 무게추가 손잡이와 와이어 등을 통해 연결되어 있고, 손잡이를 올렸다 내렸다 하며 상체 운동을 하는 웨이트 트레이닝 기구로서 체스트 프레스는 손잡이에 무게추가 연결되어 있고 손잡이와 와이어 등으로 연결되어 있는 무게추를 위한 별도의 공간이 필요하다는 점에서 넓은 공간을 필요로 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원은 간단하고 심플한 구조로서 역도형태의 운동기구를 제공하되, 별도의 무거운 바벨 등의 중량추를 사용하지 않아서 운동자가 손잡이(쇠막대)를 놓치는 경우에도 중량추에 대한 위해가 없으므로 사용자의 신체 안전성을 높일 수 있고, 야외 공원이나 학교나 군부대시설, 다중 이용시설 등에 설치되는 경우에도 분실의 위험성이 제거된 운동기구를 제공하고자 하는 목적을 갖는다.
본원은 장력을 갖는 스프링을 원형파이프 내측에 내장시켜 일측은 고정되고 일측은 상하로 이동할 수 있는 구조로 장력수단을 이용하는 세로수직축이 운동기구의 양쪽으로 배열되고 양쪽 장력수단의 중심부에 손잡이(쇠막대) 기능을 갖는 수평축이 배열되어 사용자가 중심부의 수평축을 손으로 잡고 역도의 용상 운동 형태를 구현하거나 또는 수평축에 어깨를 대고 들어올리고 내림을 반복하며 허리나 하체근육 단련기구로 활용하거나, 또는 사용자의 키 높이에 따라 수평봉의 높이를 조절하여 철봉운동을 즐길 수 있는 구조의 다기능 운동기구를 제공하고자 하는 목적을 갖는다.
본원에서 제공되는 운동기구는 지면에 연결되어 일정높이를 갖도록 제공되어 역도 형태로 사용되도록 손잡이(수평축)를 잡고 신체 근육운동을 단련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운동기구류에 적용될 수 있는 기술이다.
본원에서 개시되는 운동기구는 지면에 연결되는 바닥면은 양측으로 높이조절장치를 갖고 높이조절장치는 양측으로 세로수직축과 연계되는 구조를 이루되, 세로수직축의 중심부에는 인장력을 갖는 스프링코일이 내장되고 스프링코일의 양단이 세로수직축의 상단 및 하단 위치에 각각 고정되는 구조를 이루며 세로수직축의 상단 위치에서는 스프링코일의 연결단부가 손잡이 수평축까지 연장되어 일체로 고정되는 구조를 이루어서 사용자가 수평축을 잡고 스프링코일의 장력을 이용하여 역도의 용상 형태 운동을 구현하도록 적용하거나 수평축에 어깨를 대고 들어올리고 내림을 반복하며 허리 및 하체 운동을 하도록 적용하거나, 수평축을 잡고 수평봉 운동기구로 활용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본원에서 제공되는 다기능 운동기구의 높이조절장치는 수직축으로 제공되되, 수직축의 일측으로는 돌출밀음바가 끼워지는 다수개의 걸음구멍이 마련되고 수직축이 세로수직축과 접하는 부위는 레일이 설치되고, 세로수직축 쪽에는 레일홀더가 설치되어 수직축으로 제공되는 높이조절장치와 세로수직축이 결합되며 고정될 때 레일의 일측 외연을 레일홀더가 감싸 상.하로 이동하는 구조를 이루며 수직축은 바닥면에 연하여 고정된 구조를 이루고, 수직축과 연계된 세로수직축은 원하는 높이의 수직축 측면에 마련된 걸음구멍에 돌출밀음바가 끼워져서 사용자가 원하는 높이로 세로수직축이 조절되는 구조를 갖도록 제공되어 사용자가 원하는 운동의 종류에 따라 손잡이 수평축 높이를 조절하며 사용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원에서 제공되는 다기능 운동기구의 세로수직축 하단부 외연으로는 스프링코일의 일측단부와 연계되는 장력조절수단을 갖고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장력이 조절된 후 사용되도록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원에서 개시되는 운동기구는 지면에 연결되는 지지부재 상부에서 일정높이를 갖고 수평으로 제공되는 손잡이를 잡고 신체 근육운동을 단련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다기능 운동기구의 이용방법으로서, 지면에 연결되는 바닥면의 양측으로 높이조절장치를 갖고 높이조절장치는 양측으로 세로수직축을 갖되, 세로수직축의 중심부에는 인장력을 갖는 스프링코일이 내장되고 스프링코일의 양단이 세로수직축의 상단 및 하단 위치에 각각 고정되는 구조를 이루며 세로수직축 상단 위치에서는 스프링코일의 연결단부가 손잡이 수평축까지 연장되어 일체로 고정되는 구조를 이루어서 사용자가 수평축을 잡고 스프링코일의 장력을 이용하여 역도의 용상운동 형태를 구현하도록 적용하거나 수평축에 어깨를 대고 들어올리고 내림을 반복하며 허리 및 하체 근육 운동기구로 적용하거나, 수평축을 잡고 수평봉 운동을 구현할 수 있는 운동기구를 제공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신체단련 운동을 실시하도록 적용되는 다기능 운동기구의 이용방법이 개시된다.
본원의 기술사상이 구체적으로 구현되는 실시양태는 하기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란 기재에서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설명된다.
본원에서 제공되는 운동기구는 양 측면의 세로축 상단부 위치에 가로축이 일체로 연결되는 구조를 이루고 사용자가 가로축을 잡고 스프링코일의 장력에 의해 들어올리고 내림을 반복하며 신체를 단련할 수 있도록 제공됨으로 종래의 역기류 운동기구가 별도의 무거운 바벨 등의 중량추를 사용하고 있어서 만약에 손잡이(쇠막대)를 놓치는 경우, 또는 힘에 부치게 과도하게 올리고 내림을 시도하다가 위해가 발생할 수 있어서 늘 두려운 마음을 갖던 문제점을 해소하고 안전성을 높인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종래의 역도류 운동기구는 일반 시민이나 등산객을 위해 산의 중간 휴게소 등에 설치하고 싶어도 바벨이나 철봉 등이 쇠뭉치가 모두 각각 분리될 수 있는 구조로 제공되어 있어서 부품별로 분실되는 문제점이 많아서 지방자치단체 등에서 관리 감독에 어려움이 있었으나 본원에서 개시되는 운동기구는 간단하고 심플한 구조이며 세로축 및 세로축이 모두 결합되어 있는 구조이므로 특별히 용접기 등을 갖고 와서 분해하여 도난당하는 경우 외에는 분실의 위험성이 제거된 운동기구로 제공될 수 있으므로 공원이나 다중 이용시설 등의 야외에 설치되는 경우에도 분실의 위험성이 제거된 운동기구를 제공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종래의 역도류 운동기구는 별도의 무게추가 손잡이와 와이어 등을 통해 연결되어 있고, 손잡이를 올렸다 내렸다 하며 상체 운동을 하는 웨이트 트레이닝 기구 등은 손잡이와 와이어, 무게추가 연결되는 구조를 이루기 위해 별도의 넓은 공간이 필요한데 본원에서 제공되는 운동기구는 학교나 군부대의 휴식공간 좁은 공간터에 얼마든지 설치 가능하고 위험성이 없다는 장점을 갖는다.
도 1 : 본원의 기술사상이 적용되어 제공되는 다기능 운동기구의 일 적용예시도.
도 2 : 본원의 운동기구에 내장되는 세로수직축과 높이조절장치의 연계구조를 나타내기 위한 분해사시도 및 부분단면도.
도 3은 본원의 기술사상이 적용되는 운동기구가 다기능으로 적용되는 실시양태 예시도.
본원은 간단하고 심플한 구조로서 공원이나 다중 이용시설 등의 야외에 설치되는 경우에도 분실의 위험성이 제거된 운동기구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으로, 지면에 연결되는 지지부재 상부에서 일정높이를 갖고 수평으로 제공되는 손잡이를 잡고 신체 근육운동을 단련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운동기구가 개시된다.
이하 본원의 기술사상이 적용되는 구현되는 운동기구의 일 적용예를 도면을 제시하여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본원의 기술사상이 적용되어 사용자가 역도의 용상 운동을 수행하는 형태로 사용되도록 구현되는 운동기구의 일 적용예시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2는 본원의 운동기구에 내장되는 세로수직축(20) 및 높이조절장치(40)의 내부구조를 나타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3은 본원의 기술사상이 적용되는 운동기구가 체력단련용으로 적용되는 실시양태를 예시도로 나타낸 것이다.
도 1에 제시되는 역도형태의 운동기구(100)는 지면(G.L)에 지지되는 받침대(50)의 양 측부로 높이조절장치(40)를 갖고 높이조절장치의 몸체(41) 외측으로 세로수직축(20)을 가지며 세로수직축(20)의 상단부에는 손잡이부 기능을 하는 수평축(30)이 놓이며 일체로 결합되는 구조를 갖는 운동기구(100)로 적용될 수 있음을 나타낸 것이다.
본원에서 제공되는 운동기구(100)는 도 1과 같이 단순한 구조로 받침대(50)의 양 측부로 높이조절수단과 세로수직축(20)이 연계된 구조를 이루고 세로수직축(20) 상단에 수평축(30)이 항상 고정되어 결합되어 있는 구조로 제공되는 특징을 갖는바 이는 종래의 역도류 운동기구는 바벨이나 철봉 등의 쇠뭉치가 모두 각각 분리될 수 있는 구조로 제공되어 부품별로 분실되는 사고가 발생하여 유지관리가 어려웠던 문제점을 해소하여 본원에서 제공되는 운동기구는 산의 등산코스 중간위치의 쉼터나 산의 정상, 또는 학교, 군부대 다중이용시설 등 야외에 설치되는 경우에도 부품별로 분실되는 사고가 방지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도 1에 제시되는 운동기구(100)의 바닥부 받침대(50)에는 고무패킹 등의 지지부재(51)를 갖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를 L자 형으로 꺽어서 지면(G.L)에 콘크리트 타설하여 고정하는 경우 눈에 드러나는 부분은 받침대(50)와 높이조절장치(40)와 세로수직축(20)와 수평축(30)이 모두 결합되어 분리되지 않는 구조를 이루게 됨으로 일부러 용접기나 스패너 등을 갖고 와서 본격적으로 분해하거나 절단하지 않고서는 운동기구를 해체하기 어려운 구조이며, 또한 종래의 역도류 운동기구는 사용자가 혼자서 역기 운동을 하고 싶을 때에도 바벨 등의 중량추 하중에 위협을 느낌으로 인해서 팔 힘이 빠지기 전에 중간에서 운동을 정지하게 되거나 회피하게 되었던 점과 비교하여 본원에서 제공되는 운동기구는 중량추가 사용되지 않고 항상 세로수직축(20) 내부에 내장된 스프링코일(10)의 연결단부가 수평축(30)을 장력을 갖고 붙잡아주고 있으므로 사용자가 수평축을 놓는 경우에도 하중에 의해 위해를 당하지 않고 사용자가 운동 중 팔 힘이 빠지면 수평축을 놓는 단순 동작으로 신체의 위협을 근본적으로 해소하는 효과를 갖고 운동을 즐길 수 있도록 종래 역기류 제품과 차별화되는 구조를 갖는다.
도 2는 도 1에 제시된 운동기구에 사용되는 세로수직축(20)과 높이조절장치(40)의 요부를 이루는 내부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도 2a에서는 분해사시도 형태로 나타낸 것이고, 도 2b에서는 세로수직축(20)과 높이조절장치(40)의 조립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먼저, 본원에서 제공되는 운동기구에 스프링의 장력을 이용하여 높,낮이 조절기능을 갖도록 기능하는 세로수직축(20)에는 장력을 제공하는 스프링코일(10)이 내장되도록 적용되는바, 스프링코일(10)의 양단부로는 상단고정축(11)과 하단고정축(12)으로 구분되고, 스프링코일과 상단고정축(11) 및 하단고정축(12)의 외형은 내통파이프(15) 및 외통파이프(16)로 감싸지는 구조로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한바, 이는 본원의 운동기구에서 세로수직축(20)을 이루는 내통파이프(15) 및 외통파이프(16) 중 하나가 고정되고 하나는 상,하로 이동하면서 스프링코일이나 스프링코일의 단부에 결합된 상단고정축(11) 및 하단고정축(12)이 외부로 보이지 않도록 적용되어 외관의 미관을 도모하고 외통파이프(16) 및 내통파이프(15) 만이 상하로 이동하는 구성으로 제공되는 것이 외관상 보기에 좋기 때문이다.
도 2a에 제시되는 바와 같이, 스프링코일(10)의 양단부에 고정되는 상단고정축(11)이나 하단고정축(12)은 나사형을 이루며 볼트에 의해 결합되는 구조를 이루도록 적용될 수 있고, 상단고정축(11)이나 하단고정축(12)은 고정축을 이루는 나사의 헤드부(11a,12a)를 스프링코일(10)의 단부가 감싸 장력을 유지하도록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하단고정축(12)은 하단고정체결부(13)를 가지며 하단고정체결부(13)의 일측은 내통파이프(15)와 연결되기 위한 숫나사부(13a)가 형성되고 내통파이프(15)의 일측단부의 내경에는 암나사부(15a)가 형성되는 구조를 이루어서 하단고정체결부(13)의 숫나사부(13a)와 내통파이프(15)의 암나사부(15a)가 연계되어 체결됨으로 일측이 고정되는 구조를 이루고, 이와 같은 대응구조로 상단고정체결부(17)의 일측에도 숫나사부(17a)가 형성되고 외통파이프(16)의 일측 단부 내경에도 암나사부(16a)가 형성되는 구조를 이루어서 상단고정체결부(17)의 숫나사부(17a)가 외통파이프(16)의 암나사부(16a)와 연계되어 체결되는 구조를 이루면서 내통파이프(15)의 외연이 외통파이프(16)로 감싸지는 구조를 이룰 때 상단고정축(11)의 상단부(11b) 길이가 내통파이프(15) 및 외통파이프(16) 길이보다 길어서 상단고정축(11)의 상단부(11b)가 상단고정체결부(17)의 중심공(17b)를 관통하여 외부로 돌출되고 상단고정체결부(17)의 상부로 수평축(30)이 놓여질 때 수평축(30)에도 관통홀(30a)이 형성되고 상단고정축(11)의 상단부(11b)가 수평축(30)의 관통홀(30a)을 경유하여 외부로 돌출된 후 고정캡(18)에 의해 체결됨으로 일측의 세로수직축(20) 상단에 수평축(30)이 결합되어 완성되는 구조를 이루도록 적용될 수 있고, 상기 구성으로 좌우 양쪽으로 양립하는 세로수직축(20)의 상단부에서는 수평축(30)과 결합되며 고정되는 구조를 갖게 됨으로써 사용자가 수평축(30)을 잡고 스프링코일(10)의 장력을 받는 수평축(30)을 손으로 잡고 용상 형태의 운동을 구현하거나 또는 수평축(30)의 높이를 낮추도록 적용될 수 있다.
본원의 운동기구에 사용되는 코일스프링의 특성(강, 약)은 스프링 상수 또는 스프링 율(spring rate)로 표시될 수 있고 스프링 상수(c)는 스프링에 작용하는 힘(F)과 스프링의 변형량(ℓ)의 비로 표시하고 스프링의 장력을 시험하거나 비교하기 위해서는 스프링에 힘(F)을 가하고 스프링의 변형량(ℓ)을 측정하는 수단이 이용되고 있는바, 변형량이 증가하여도 스프링 상수가 일정한 스프링, 예를 들면 탄성 영역 내에서 후크(Hook)의 법칙을 만족하는 보통의 코일스프링에서는 힘(F)과 변형량(ℓ)의 관계가 직선으로 나타나므로 스프링의 장력을 원하는 탄성강도로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며, 본원 발명자(무술10단)가 본원의 운동기구를 만들어 실제적으로 적용 가능성을 첵크 및 실험하기 위해 일 실험예로 적용한 코일스프링은 직경 2.2㎜ 굵기의 코일사로 코일의 외경이 20㎜로, 길이를 200㎜ 정도로 감아서 만든 코일스프링이 적용되면 도 3c의 형태와 같이 사용자의 어깨 상단을 수평축에 밀착시키고 장력을 받는 수평축(30)을 들어올리고 내림을 반복하는 형태로 허리운동 또는 하체 근육운동을 반복하는데 적합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스프링코일(10)의 강도를 더욱 높여 역도의 용상 연습을 하기 원하는 경우 직경 2.7㎜ 굵기의 코일사로 27㎜ 굵기로 250㎜의 길이로 감아서 만든 코일스프링은 도 3b 형태로 역도의 용상형태의 운동에 적합하도록 적용할 수 있었으나, 이는 사용자의 기본 체력과 운동량의 원하는 강도에 따라서 운동기구의 세로수직축(20,20')의 하단부 또는 상단부 외연 일측으로 스프링코일의 일측단부와 연계되는 장력조절수단(14)을 이용하여 스프링코일(10) 양단부가 팽팽하게 벌이도록 하여 장력을 높여주거나 또는 양단부를 좁혀주는 수단 등으로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장력이 조절된 후 사용되도록 적용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 있어서 자명하다 할 것이다.
또한 본원에서 상기 세로수직축(20)과 연계되어 본원에서 제공되는 운동기구의 높낮이를 조절하기 위한 높이조절장치(40)는 수직축 형태의 몸체(41)로 제공되되, 몸체(41)의 일측으로는 레일(42)이 설치되며 레일의 일측면으로는 돌출밀음바(23)가 끼워지는 다수개의 끼움구멍(43)을 갖는 구조로 제공되고, 높이조절장치(40)와 연계되는 세로수직축(20)은 레일홀더(22)가 ┑자형 높이조절프레임(21) 및 연결구(24)를 중간에 끼워지며 고정된 구조로 높이조절장치(40)와 결합되는 구조를 이룰 때 ┑자형 높이조절프레임(21)의 내측에 위치한 레일홀더(22)가 높이조절장치 몸체(41)의 측부에 고정된 레일(42)의 일측 외연 1/2 정도를 감싸는 구성으로 연결되어 고정된 레일(42)을 따라 레일홀더(22)가 상하로 이동하며 고정되기 원할 때 ┑자형 높이조절프레임(21)에 마련된 밀음돌출바(23)가 높이조절장치(40) 몸체(41) 일측에 마련된 끼움구멍(43)에 일치되는 위치로 이동하여 밀음돌출바(23)를 삽입시키는 구성으로 세로수직축(20)를 원하는 높이로 고정할 수 있고, 또 다시 다른 운동을 구현하기 원할 때는 ┑자형 높이조절프레임(21)의 밀음돌출바(23)를 빼내고 세로수직축(20)을 상부 또는 하부로 이동시키고 ┑자형 높이조절프레임(21)의 밀음돌출바(23)를 이용하여 고정시켜 사용하는 구조로 적용될 수 있음을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원의 기술사상으로 제공되는 운동기구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적용할 수 있는 운동의 실시 적용양태를 나타내고자 한 것으로, 도 3a에서는 사용자가 바닥면의 받침대(50)에 상부에 서서 높이조절장치(40)를 이용하여 세로수직축(20)에 연결과 수평축(30)이 자신이 원하는 높이에 위치하도록 적용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고, 도 3b에서는 사용자가 바닥면의 받침대(50)에 상부에 서서 역도의 용상 형태의 연습을 실시하거나 또는 세로수직축(20) 안쪽에 내장된 스프링코일(10)의 장력을 받는 수평축(30)을 손으로 잡고 들어 올리고 내리는 동작을 반복하여 어깨 및 팔근육의 강화훈련을 수행할 수 있음을 나타낸 것이다.
상기 도 3b에서는 높이조절용 ┑자형 높이조절프레임(21)이 상부에 위치하여 바로 선 자세로 운동할 수 있도록 적용됨에 비하여 도 3c에서는 높이조절용 ┑자형 높이조절프레임(21)이 중간 하부로 이동하여 고정되므로 약간 앉은 자세로 어깨 상부에 수평축(30)을 올려놓고 상체로 수평축(30)을 들어올리고 내림을 반복하는 형태로 하체운동이나 허리운동에 이용하도록 적용될 수 있음을 나타낸 것으로, 도 3c의 도면 상태는 허리를 완전히 펴서 상부에 이른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따라서 본원에서 제공되는 운동기구(100)는 역도의 세로수직축(20) 내부에 내장된 스프링코일(10)의 장력을 이용하여 수평축(30)을 들어올리고 내림을 반복하는 형태로 역도의 용상경기의 무게에 대응하는 형태로 장력조절수단(14)을 이용하여 강도를 조절하며 자신의 체형에 맞는 강도로 용상훈련을 하는 운동기구로 적용될 수 있고, 또는 도면으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도 3b의 상태 이상으로 수평축(30)을 올려주는 경우 철봉을 이용하여 수평운동을 하는 운동기구로 이용하여 수평축(30)을 잡고 온 몸의 회전시키는 운동기구로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본원에서 제공되는 운동기구는 간단하면서 고장발생 우려가 없으며 신체단련 운동기구의 세로축 하단부 외연으로는 스프링코일의 단부와 연계되는 장력조절수단(14)을 갖고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장력이 조절된 후 사용되도록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도 1에서 제시되는 도면의 받침대(50) 저부로 바퀴가 설치되어 원하는 장소로 쉽게 이동시키는 구성으로 적용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기술사상이 구현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 적용예의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도면 내용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내용의 기술사상을 기본 개념으로 하여 이를 이용하여 당업자가 여러 변형이나 개량 형태로 적용할 수 있을 것인바, 본원의 청구범위에 준하는 균등물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호되어야 할 것이다.
10 : 스프링코일 11 : 상단고정축
12 : 하단고정축 13 : 하단고정체결부
14 : 장력조절수단 15 : 내통파이프
16 : 외통파이프 17 : 상단고정체결부
20 : 세로수직축 21 : ┑자형 높이조절프레임
22 : 레일홀더 23 : 밀음돌출바
24 : 연결구 30 : 수평축
31 : 수평축 단부커버 40 : 높이조절장치
41 : 몸체 42 : 레일
43 : 끼움구멍 50 : 받침대 51 : 지지부재 100 : 운동기구

Claims (4)

  1. 지면에 연결되는 바닥면 상부에서 일정높이를 이루며 수평으로 제공되는 손잡이 수평축을 잡고 신체를 단련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운동기구에 있어서,
    지면에 연결되는 바닥면은 양측으로 높이조절장치를 갖고 높이조절장치는 양측으로 세로수직축과 연계되는 구조를 이루되, 세로수직축의 중심부에는 인장력을 갖는 스프링코일이 내장되고 스프링코일의 양단이 세로수직축의 상단 및 하단 위치에 각각 고정되는 구조를 이루며 세로수직축의 상단 위치에서는 스프링코일의 연결단부가 손잡이 수평축까지 연장되어 일체로 고정되는 구조를 이루어서 사용자가 수평축을 잡고 스프링코일의 장력을 이용하여 역도의 용상 형태 운동을 구현하도록 적용하거나 수평축에 어깨를 대고 들어올리고 내림을 반복하며 허리 및 하체 운동을 하도록 적용하거나, 수평축을 잡고 수평봉 운동기구로 활용할 수 있도록 제공되고,
    상기 높이조절장치는 수직축으로 제공되되, 수직축의 일측으로는 돌출밀음바가 끼워지는 다수개의 끼움구멍이 마련되고 수직축이 세로수직축과 접하는 부위는 레일이 설치되고, 세로수직축 쪽에는 레일홀더가 설치되어 이들이 고정될 때 레일의 일측 외연을 레일홀더가 감싸 상.하로 이동하는 구조를 이루며 수직축은 고정된 구조를 이루고 세로수직축은 원하는 높이의 수직축 끼움구멍에 돌출밀음바가 끼워져서 사용자가 원하는 운동에 따라 높이를 조절하며 사용되도록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운동기구.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기능 운동기구의 세로수직축 하단부 외연으로 스프링코일의 일측단부와 연계되는 장력조절수단을 갖고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장력이 조절된 후 사용되도록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운동기구.
  4. 지면에 연결되는 지지부재 상부에서 일정높이를 갖고 수평으로 제공되는 손잡이를 잡고 신체 근육운동을 단련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다기능 운동기구의 이용방법에 있어서,
    지면에 연결되는 바닥면의 양측으로 높이조절장치를 갖고 높이조절장치는 양측으로 세로수직축을 갖되, 세로수직축의 중심부에는 인장력을 갖는 스프링코일이 내장되고 스프링코일의 양단이 세로수직축의 상단 및 하단 위치에 각각 고정되는 구조를 이루며 세로수직축 상단 위치에서는 스프링코일의 연결단부가 손잡이 수평축까지 연장되어 일체로 고정되는 구조를 이루어서 사용자가 수평축을 잡고 스프링코일의 장력을 이용하여 역도의 용상운동 형태를 구현하도록 적용하거나 수평축에 어깨를 대고 들어올리고 내림을 반복하며 허리 및 하체 근육 운동기구로 적용하거나, 수평축을 잡고 수평봉 운동을 구현할 수 있는 운동기구를 제공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운동을 하도록 제공되고,
    상기 높이조절장치는 수직축으로 제공되되, 수직축의 일측으로는 돌출밀음바가 끼워지는 다수개의 끼움구멍이 마련되고 수직축이 세로수직축과 접하는 부위는 레일이 설치되고, 세로수직축 쪽에는 레일홀더가 설치되어 이들이 고정될 때 레일의 일측 외연을 레일홀더가 감싸 상.하로 이동하는 구조를 이루며 수직축은 고정된 구조를 이루고 세로수직축은 원하는 높이의 수직축 끼움구멍에 돌출밀음바가 끼워져서 사용자가 원하는 운동에 따라 높이를 조절하며 사용되도록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운동기구의 이용방법.
KR20140106299A 2014-08-14 2014-08-14 바벨이나 무게추를 사용하지 않고 장력수단을 사용하는 다기능 운동기구 KR1014791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106299A KR101479172B1 (ko) 2014-08-14 2014-08-14 바벨이나 무게추를 사용하지 않고 장력수단을 사용하는 다기능 운동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106299A KR101479172B1 (ko) 2014-08-14 2014-08-14 바벨이나 무게추를 사용하지 않고 장력수단을 사용하는 다기능 운동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79172B1 true KR101479172B1 (ko) 2015-01-05

Family

ID=525878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40106299A KR101479172B1 (ko) 2014-08-14 2014-08-14 바벨이나 무게추를 사용하지 않고 장력수단을 사용하는 다기능 운동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79172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1899B1 (ko) * 2015-11-06 2016-06-20 주식회사 동아스포츠 허리지지대가 구비된 런닝머신
CN107469277A (zh) * 2017-07-08 2017-12-15 唐山师范学院 一种户外双位举重器
CN108144250A (zh) * 2018-01-09 2018-06-12 成都黑贝智能科技有限公司 基于阻尼技术的健身设备
KR102071821B1 (ko) 2019-04-18 2020-01-30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자동 운동 보조 및 근력 측정을 위한 운동 기구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5366Y1 (ko) 2001-10-12 2002-02-25 오준택 근육강화용 운동기구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5366Y1 (ko) 2001-10-12 2002-02-25 오준택 근육강화용 운동기구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1899B1 (ko) * 2015-11-06 2016-06-20 주식회사 동아스포츠 허리지지대가 구비된 런닝머신
CN107469277A (zh) * 2017-07-08 2017-12-15 唐山师范学院 一种户外双位举重器
CN108144250A (zh) * 2018-01-09 2018-06-12 成都黑贝智能科技有限公司 基于阻尼技术的健身设备
KR102071821B1 (ko) 2019-04-18 2020-01-30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자동 운동 보조 및 근력 측정을 위한 운동 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875676A (en) Weight lifting machine for safe free-bar bench press exercising
KR101518197B1 (ko) 웨이트 운동기구
US20170036057A1 (en) Exercise Machine Handle System
KR101479172B1 (ko) 바벨이나 무게추를 사용하지 않고 장력수단을 사용하는 다기능 운동기구
EA021697B1 (ru) Устройство-тренажер изменения направления и способ тренировки для него
KR200484175Y1 (ko) 재활운동기구
KR20140060130A (ko) 악력완력기
US8961375B2 (en) Squat exercise apparatus
US9586075B2 (en) Exercise device for performing dips
CN109821199A (zh) 一种蹲起训练附带锻炼手臂肌肉的训练装置及使用方法
WO2017165596A1 (en) Multi-functional exercise device
KR200486552Y1 (ko) 철봉 운동기구
JP2007130368A (ja) 機能回復訓練装置
KR101057316B1 (ko) 줄 당기기 운동기구
CN206852991U (zh) 一种健身座椅
KR101244716B1 (ko) 허리운동이 가능한 회전판형 트위스트 스텝퍼
KR200451767Y1 (ko) 휴대 가능한 하체운동기구
KR102476500B1 (ko) 리포머 운동기구
KR101479171B1 (ko) 바벨(barbell)이나 무게추를 사용하지 않고 장력수단을 사용하는 상체근육 단련 운동기구
KR200485865Y1 (ko) 안전장치가 구비된 실내용 운동기구
KR20080000998U (ko) 실내용 평행봉 운동기구
CN104080519A (zh) 用于臂屈伸运动和扭转训练的健身器
KR101419187B1 (ko) 회선근개 운동기구
KR101266149B1 (ko) 운동기구
HU183464B (en) Physical training gea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24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