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05070A - 백스트레칭 운동장치 - Google Patents

백스트레칭 운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05070A
KR20050005070A KR1020030044202A KR20030044202A KR20050005070A KR 20050005070 A KR20050005070 A KR 20050005070A KR 1020030044202 A KR1020030044202 A KR 1020030044202A KR 20030044202 A KR20030044202 A KR 20030044202A KR 20050005070 A KR20050005070 A KR 200500050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pper body
frame
arm mechanism
exercise device
ar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442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81274B1 (ko
Inventor
허영백
Original Assignee
허영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허영백 filed Critical 허영백
Priority to KR10200300442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81274B1/ko
Publication of KR200500050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050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812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81274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2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the abdomen, the spinal column or the torso muscles related to shoulders (e.g. chest muscles)
    • A63B23/0233Muscles of the back, e.g. by an extension of the body against a resistance, reverse crunch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023/006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stretching exercis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13/00Exercising combined with therap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eurolog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Pulmo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등부위 대항근의 길항작용을 정상적인 운동근의 수축작용으로 전환하여 뭉친 근육을 이완시키고 정상적으로 복귀시키는 재활운동용 백스트레칭 운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서 있거나 앉아 있는 자세에서 근골격계 재활을 목적으로 상체프레임에 상체고정부를 갖추고 한 쪽 팔 또는 양 팔을 동시에 신장하거나 신축할 수 있는 구조를 갖도록 하여 신체의 자세를 유지하고 지탱하는 대항근으로부터 근길이가 변화하지 않고 긴장되어 발생되는 문제를 운동근과 대항근의 원리를 역이용하여 해결하고 대항근의 운동근 작용으로 전환 및 개선이 이루어지도록 하는데 그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백스트레칭 운동장치{Back Stretching Machine}
본 발명은 등부위 대항근의 길항작용을 정상적인 운동근의 수축작용으로 전환하여 뭉친 근육을 이완시키고 정상적으로 복귀시키는 재활운동용 백스트레칭 운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산업화 첨단기술화 되면서 일상적으로 오십견이라고 하는 어깨결림, VDT증후군 등으로 불리는 신경 근골격계 질환이 증대하고 있는 상황이나 이에 대한 정확한 치료방법이나 보다 효과적인 치료방법이 아직 개발되어 있지 아니한 형편이다.
물론, 가벼운 정도의 증상은 맨몸 스트레칭이나 단순한 약물요법으로도 빠른 시간내에 회복이 이루어지나, 근육피로가 반복되거나 과도한 긴장으로 발생되는 통증은 근육이완제로도 쉽사리 풀리지 않을 뿐만 아니라 자칫 신체적 활동상 제약을 유발하게 된다.
이러한 이유는 몸을 경계로 팔을 들어 움직이는 신경운동근과 그 자세를 유지하고 지탱하려는 반사적인 대항근 사이에는 신경과 근작용상 상당한 차이가 있고, 팔 부위의 운동신경근은 원활한 수축 및 이완에 의하여 발달이 쉽게 이루어지나 등부위에 위치하는 대항근은 근길이가 변화하지 않는 길항상태로 긴장 상태가 지속되고 반복될수록 신경피로가 누적되어 적응력이 저하되며, 결국 신경과 근육간의 공조에 차질을 발생시키고 통증으로 이어지고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은 이러한 등부위 대항근의 길항작용을 정상적인 운동근의 수축작용으로 전환하여 뭉쳐있던 근육을 장치를 활용하여 즉각적으로 이완시키고 정상상태로 회복시킬수 있도록 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본 발명인 장치가 서 있거나 앉아 있는 자세에서 근골격계 재활을 목적으로 상체프레임에 상체고정부를 갖추고 한 쪽 팔 또는 양 팔을 동시에 신장하거나 신축할 수 있는 구조를 갖도록 하여 신체의 자세를 유지하고 지탱하는 대항근으로부터 근길이가 변화하지 않고 긴장되어 발생되는 문제를 운동근과 대항근의 원리를 역이용하여 해결하고 대항근의 운동근 작용으로 전환 및 개선이 이루어지도록 하고자 하는데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일부 생략하여 보여주는 사시도,
도2는 도1에 있어서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일부 생략 및 절결 사시도,
도3은 본 발명에 있어서 채택 활용하는 손잡이기구만을 분리하여 나타낸 일부 생략 사시도,
도4는 본 발명에 있어서 채택 활용하는 유압잭부위를 중심으로 나타낸 일부 생략 사시도,
도5는 본 발명에 있어서 좌우스윙운동이 이루어짐을 나타내기 위한 평면도,
도6은 본 발명에 있어서 상,하 각도변위가 이루어짐을 나타내기 위한 측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상체프레임, 2: 상체고정부,
3: 팔기구, 4: 하체프레임,
5: 강제인장기구, 20, 50: 힌지부,
30, 30: 손잡이, 60: 회동부
본 발명은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서 있거나 앉아 있는 자세에서 운동을 행하는 상부등근 골격계의 재활 운동장치에 있어서, 상체프레임에 상체고정부를 갖추고, 한 쪽 팔이나 양 팔을 동시에 신장 또는 신축할 수 있도록 팔기구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백스트레칭 운동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팔기구의 최대 신장 상태에서 고정된 손잡이를 잡아 당기는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더욱 신장시키는 강제인장기구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백스트레칭 운동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상체프레임이 신,굴절 운동 및 좌우 스윙 작동이 가능하게 이루어지는 백스트레칭 운동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상체프레임 팔기구의 높낮이를 상,하로 각도 변위하여 운동할 수 있게 이루어지는 백스트레칭 운동장치를 제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인 운동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근거로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도1 내지 도6에 예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인 운동장치의 경우에는 공통적으로 다음과 같이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서 있거나 앉아 있는 자세에서 운동을 행하는 상부 등근육 골격계의 재활 운동장치에 있어서, 상체프레임(1)에 상체고정부(2)를 갖추고, 한 쪽 팔이나 양 팔을 동시에 신장 또는 신축할 수 있도록 팔기구(3)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앉은 자세에서 운동을 행하는 경우에는 하체프레임(4)의 상부 일측에는 좌판을 형성하여 활용하게 되고, 상기 상체프레임(1)은 상기 하체프레임(4)의 일측에 결합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체고정부(2)는 운동시에 상체를 굽혀지지 않도록 잡아 주고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채택하는 것으로서, 예를 들면 도시한 바와 같이 상체프레임(1)의 상부에 힌지부(20,20)를 중심으로 상,하향으로 움직일 수 있고 어깨부위를 감싸면서 팔과 몸통의 사이를 경유 일시적으로 고정시켜 상체를 고정시키기 위한 형태로 그 구성이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활용되는 상기 팔기구(3)는 선단부에 손잡이(30,30)가 각각 위치하고 중간 부위가 분리되어 서로 끼우거나 빼서 신축이 가능하게 이루어져 신,굴절 운동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진다.
예를 들면 도1 내지 도3에 예시한 바와 같이 상체프레임(1)에 내장되는 상태로 설치되어지되, 상체프레임(1)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부재(32)의 양측에 유압실린더(34,34)를 각각 설치하고, 이들 유압실린더(34,34)의 각 왕복 피스톤로드는 손잡이(30,30)가 각각 설치된 가동부재(36,36)와 함께 연동이 가능하게 설치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팔기구(3)의 최대 신장 상태에서 고정된 손잡이(30,30)를 잡아 당기는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더욱 신장시키는 강제인장기구(5)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강제인장기구(5)는 예를 들면, 도1 내지 도4에 예시한 바와 같이, 힌지부(50)를 중심으로 레버(52)를 승하강 반복 작동에 의하여 가압 작동시키면서 유압을 발생시키는 유압잭(54)과 이 유압잭(54)과 유압라인이 서로 연결 설치되는 상기 유압실린더(34,34)에 의하여 손잡이(30,30)가 전진하도록 상기 팔기구(3)와 함께 작동이 이루어지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다음, 본 발명은 상기 상체프레임(1)이 좌우 스윙 작동이 가능하게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상체프레임(1)이 좌우 방향으로 스윙작동이 이루어지기 위하여는 서거나 앉은 자세에서 회동부(60)를 중심으로 전체가 회전이 가능하게 구성하되, 앉은 자세에서 작동되도록 하는 경우에는 상기 상체프레임(1)은 좌판이 마련되는 상기 하체프레임(4)의 일측에 내측으로 척추의 위치에 해당하는 부위로서 상체프레임(1)과 연결 설치되는 컬럼(6)의 내향고정부재(62)와 상기 하체프레임(4)을 서로 결합하는 부위에 상기 회동부(60)를 마련함이 바람직하다.
물론, 상체프레임(1)이 적정 위치에서 위치고정이 이루어져 스윙작동이 이루어지지 않고 이와 같이 위치고정이 이루어진 상태에서 필요한 작동을 수행할 수 있도록 상기 회동부(60)와 인접된 위치에 스윙작동을 단속하기 위한 별도의 단속기구를 설치하여 활용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단속기구의 형태는 통상적인 것으로서 별도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상체프레임(1) 팔기구(3)의 높낮이를 상,하로 각도를 변위하여 운동이 가능하게 이루어진다.
손잡이(30,30)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방식은 여러가지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경우에는 팔기구(3)를 포함하는 상체프레임(1)을 상,하향으로 각도변환이 가능하게 컬럼(6)과 연결 결합 설치하되, 상체프레임(1)의 후부로서 상기 컬럼(6)에 고정 설치되고 다수의 결합통공(72)이 형성된 각도조절용 다공판(70)과 상기 팔기구(3)의 고정부재(32)의 중심 후부에 마련한 로크기구(38)를 마련하여 로크기구(38)의 작동중 상기 결합통공(72)중 어느 곳에서 로크결합이 되느냐에 따라 상체프레임(1)의 상,하향 각도 조절이 이루어져 상기 상체프레임(1)과 함께 움직이게 되는 팔기구(3)의 설치 각도에 따라 손잡이(30,30)의 설치위치를 상향으로부터 하향에 이르기까지 다양하게 그 설치 위치를 변화시켜 활용이 가능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미설명 부호로서 7은 상체프레임(1)에 설치되는 머리받침을 나타내고, 56은 유압잭(54)의 유압매체용 탱크를 나타낸다.
다음은, 전술한 바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대하여 그 작동관계를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우선 본 발명의 주요기능이라고 할 수 있는 백 스트레칭(Back Stretching) 운동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좌판에 앉거나 아니면 서 있는 자세에서 상체고정부(2)는 힌지부(20)를 중심으로 상향으로 움직여 개방시킨 상태에서 상체를 상체프레임(1)의 내측에 위치하도록 하고 다시 상체고정부(2)를 힌지부(20)를 중심으로 하향으로 움직여 몸통과 팔사이를 경유 상체고정부(2)를 상체프레임(1)에 고정시켜 상체가 확실하게 상체프레임(1)과 밀착 고정시킨 상태를 유지시킨다.
다음, 손으로 손잡이(30,30)를 잡고 등부위 근육을 자유롭게 움직여 워밍 업 시킨 다음에 손잡이(30,30)에 전방으로 가압, 밀어 당겨 가동부재(36.36)를 고정부재(32)로부터 전진 신장시키고 최대한 전진시켜 팔과 척추로 이어지는 골격근을 최대한 신장시킨 상태에서 멈추고 고정 상태를 유지하고, 이 상태에서 반대 방향으로 손잡이(30,30)를 당겨, 팔에서 척추로 연결된 근육을 충분하게 수축시키는 동시에 강제인장기구(5)에 의한 강제 인장작동을 수행시키되, 강제인장기구(5)는 레버(52)를 힌지부(50)를 중심으로 한 상,하 작동으로 유압잭(54)의 작동을 강제적으로 시키게 되면 유압실린더(34,34)는 더욱 신장되는 반대 작동이 동시에 이루어지면서 등부위에 뭉쳐진 근육의 이완작동이 이루어지면서 정상상태로 변화시키게 되는 백스트레칭 운동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와 같은 백스트레칭 운동은 반드시 손잡이(30,30)를 양 손으로 잡고 하느냐 아니면 한 손만을 잡고 하느냐에 따라 양 손 또는 한 손 모든 경우에 따라 이용하여 행할 수 있다.
다음, 전,후 방향 신전 및 굴절운동을 행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유압잭(54)은 작동시키지 아니하고 유압실린더(34,34)에 가해지는 부하력을 임의로 조절하거나 아니면 자유운동 상태에서 손으로 손잡이(30,30)를 잡고 고정부재(32)로부터 가동부재(36,36)의 신장 또는 수축이 이루어지는 반복적인 작동에 따라 신,굴절의 운동이 가능하게 된다.
더우기, 단속기구에 의하여 회동부(60)를 활용하여 상체고정부(2)와 팔기구(3)를 포함한 상체프레임(1) 전체를 상체가 고정된 상태에서 좌, 우 어느방향으로나 회전이 이루어지는 척추를 중심으로 한 스윙운동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로크기구(38)와 다공판(70)의 설정된 위치에 따라 팔기구(3)의 손잡이(30,30)의 위치가 상부, 중간부, 하부 등의 초기 설치위치를 조절하여 각각의 경우에 따라 필요한 운동위치를 선택하여 전술한 신,굴절 운동이나 스윙운동이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인 운동장치에 의하면 백스트레칭운동시엔 등부위 대항근의 길항작용을 정상적인 운동근의 수축작용으로 전환하여 뭉쳐있던 근육을 장치를 활용하여 즉각적으로 이완시키고 정상상태로 회복시킬수 있게 되며, 서 있거나 앉아 있는 자세에서 근골격계 재활을 목적으로 상체프레임에 상체고정부를 갖추고 한 쪽 팔 또는 양 팔을 동시에 신장하거나 신축할 수 있는 구조를 갖도록 하여 신체의 자세를 유지하고 지탱하는 대항근으로부터 근길이가 변화하지 않고 긴장되어 발생되는 문제를 운동근과 대항근의 원리를 역이용하여 해결하고 대항근의 운동근 작용으로 전환 및 개선이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손잡이(30,30)의 위치를 선택적으로 조절하되, 초기 설치위치를 각각의 경우에 따라 필요한 운동위치를 선택하여 다양한 형태의 신,굴절 운동이나 스윙운동이 이루어질 수 있는 등의 우수한 효과를 갖게 되는 것이다.

Claims (5)

  1. 서 있거나 앉아 있는 자세에서 운동을 행하는 상부등근 골격계의 재활 운동장치에 있어서,
    상체프레임에 상체고정부를 갖추고, 한 쪽 팔이나 양 팔을 동시에 신장 또는 신축할 수 있도록 팔기구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스트레칭 운동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팔기구의 최대 신장 상태에서 고정된 손잡이를 잡아 당기는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더욱 신장시키는 강제인장기구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스트레칭 운동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체프레임이 신,굴절 운동 및 좌우 스윙 작동이 가능하게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스트레칭 운동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상체프레임에 설치되는 상기 팔기구는 선단부에 손잡이가 각각 위치하고 중간 부위가 분리되어 서로 끼우거나 빼서 신축이 가능하게 이루어져 신,굴절운동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스트레칭 운동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체프레임 팔기구의 높낮이를 상,하로 각도 변위하여 운동할 수 있게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스트레칭 운동장치.
KR1020030044202A 2003-07-01 2003-07-01 백스트레칭 운동장치 KR1005812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44202A KR100581274B1 (ko) 2003-07-01 2003-07-01 백스트레칭 운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44202A KR100581274B1 (ko) 2003-07-01 2003-07-01 백스트레칭 운동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05070A true KR20050005070A (ko) 2005-01-13
KR100581274B1 KR100581274B1 (ko) 2006-05-17

Family

ID=372195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44202A KR100581274B1 (ko) 2003-07-01 2003-07-01 백스트레칭 운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8127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4723B1 (ko) 2006-11-29 2008-02-19 창명제어기술 (주) 좌,우수 변환이 용이한 어깨관절치료기
KR100758996B1 (ko) 2006-11-29 2007-09-19 창명제어기술 (주) 수평왕복운동이 가능한 어깨관절치료기
KR101065892B1 (ko) * 2009-01-23 2011-09-19 허영백 재활운동장치
KR101222770B1 (ko) 2011-07-15 2013-01-15 주식회사 케이엘에스 키크는 운동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81274B1 (ko) 2006-05-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176601A (en) Exercising apparatus
KR101732925B1 (ko) 목운동 기능이 구비된 의자
KR101028787B1 (ko) 윗몸일으키기 운동기구
EP1911374A1 (de) Personensitz mit ergonomischen Lahnenteil
KR20110090020A (ko) 완력기
KR20050005070A (ko) 백스트레칭 운동장치
ITBO970427A1 (it) Macchina ginnica con regolazione dell&#39;assetto.
KR101090536B1 (ko) 운동기능을 갖는 의자
JP4302395B2 (ja) 運動用器具
CN216754923U (zh) 一种可调式患者康复用训练外骨骼
ITUB20154760A1 (it) Sellino sdoppiato per bicicletta.
CN216023004U (zh) 康复护理用移动辅助设备
CN215995493U (zh) 一种能调节位移的踏板结构及椭圆机
KR20220055961A (ko) 완력기
CN111659073A (zh) 神经内科病人康复用训练器
CN215459881U (zh) 一种中医颈肩拉伸康复装置
CN217854378U (zh) 综合康复训练平台
CN114681871B (zh) 一种基于神经内科运动障碍训练设备
CN209645366U (zh) 一种助行器的座椅机构以及包含该座椅机构的助行器
CN114247098B (zh) 一种戏剧影视形体训练装置
CN215916393U (zh) 儿童用增高辅助训练器
KR200319057Y1 (ko) 페달을 이용한 운동기구
CN215310038U (zh) 一种老年护理腿部锻炼装置
CN215231886U (zh) 一种运用于划船机的锁固手柄
CN112370303B (zh) 一种脑和脊髓的神经系统疾病一体化康复医疗装置及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1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7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0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