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29278Y1 - 완력기 - Google Patents

완력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29278Y1
KR200429278Y1 KR2020060020304U KR20060020304U KR200429278Y1 KR 200429278 Y1 KR200429278 Y1 KR 200429278Y1 KR 2020060020304 U KR2020060020304 U KR 2020060020304U KR 20060020304 U KR20060020304 U KR 20060020304U KR 200429278 Y1 KR200429278 Y1 KR 20042927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ir
handle
sliding
elastic member
press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2030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원기
Original Assignee
유원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원기 filed Critical 유원기
Priority to KR202006002030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2927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2927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2927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0058Mechanical means for varying the resistance
    • A63B21/00069Setting or adjusting the resistance level; Compensating for a preload prior to use, e.g. changing length of resistance or adjusting a valv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2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lient force-resisters
    • A63B21/023Wound spring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2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lient force-resisters
    • A63B21/04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lient force-resisters attached to static foundation, e.g. a user
    • A63B21/0407Anchored at two end points, e.g. installed within an apparatus
    • A63B21/0414Anchored at two end points, e.g. installed within an apparatus with both ends stationary during the actual exercise, i.e. moving only at intermediate lo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2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lient force-resisters
    • A63B21/055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lient force-resisters extension element typ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 A63B23/12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upper limbs or related muscles, e.g. chest, upper back or shoulder muscl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한쌍의 핸들부 간의 간격이 완력기의 압력의 증가/감소에 관계없이 항상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는 완력기에 관한 것이다.
상기 본 고안은 브라켓과 브라켓 하측에 연장 형성된 원통부를 갖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원통부 내에서 상호 슬라이딩 가능하게 길이방향으로 결합된 한쌍의 슬라이딩부와, 상기 한쌍의 슬라이딩부 사이에 배치된 탄성부재와, 상기 슬라이딩부 중 어느 하나를 슬라이딩 이동시켜 탄성부재를 가압하기 위한 조절볼트를 갖는 압력조절기; 및 일단에 형성된 링크편의 일단이 상기 하우징의 브라켓 양측에 각각 힌지 결합되고, 상기 각각의 링크편의 타단이 상기 압력조절기의 슬라이딩부 중 나머지 하나의 일단에 함께 연결되어, 상호 접근 및 이격되도록 선회하면서 압력조절기의 탄성부재를 가압 및 가압해제하는 한쌍의 핸들부;를 포함하며, 상기 한쌍의 핸들부는 상기 압력조절기의 압력 증가 또는 감소 조절 시, 상기 한쌍의 핸들부의 간의 간격이 변동없이 일정하게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완력기, 쇽 옵서버, 압축스프링, 핸들부, 아암, 손잡이

Description

완력기{Muscle Trainer}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완력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완력기를 나타내는 분리사시도,
도 3 및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압력조절부의 압력을 증가시키기 전과 후의 상태를 각각 나타내는 단면도,
도 5는 도 2에 도시된 A-A선을 따라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도 2에 도시된 핸들부와 손잡이가 분리된 상태의 일부사시도,
도 7 및 8은 본 고안의 완력기의 한쌍의 핸들부를 상호 이격시킨 상태와 근접시킨 상태를 각각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면 내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 하우징 11: 브라켓
17: 원통부 20,30: 핸들부
25,35: 손잡이 60: 압력조절기
61: 상 슬라이딩부 63: 하 슬라이딩부
65: 탄성부재 67: 조절볼트
본 고안은 완력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한쌍의 핸들부 간의 간격이 완력기의 압력의 증가/감소에 관계없이 항상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는 완력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완력기는 소정 간격으로 이격된 플레이트의 좌우측에 각각 대칭하게 축설된 지지대 및 핸들부를 다수의 스프링으로 연결하여 사용자가 핸들부의 양측을 손으로 잡고 스프링의 탄성력을 이용하여 이완함으로서 팔이나 가슴의 근육을 단련하는 것으로 사용되었다.
그런데 종래의 압력 조절이 가능한 종래의 완력기는 압력을 증가시킬 수록 한쌍의 핸들부 간의 간격이 좁혀지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압력이 증가된 상태에서 한쌍의 핸들부 간의 간격이 좁아질 경우,사용자는 한쌍의 핸들부를 잡은 상태의 팔 간격이 대략 어깨 넓이 정도의 간격으로 유지한 상태에서 한쌍의 핸들부를 서로 접근시키도록 선회하여야 하는데, 이때, 한쌍의 핸들부의 선회 거리가 매우 짧기 때문에 사용자가 핸들부를 가압하기 위해 팔에 힘을 가하기 위한 팔 넓이를 확보하지 못해 핸들부를 가압하는 것이 어려워 결국, 완력기를 이용한 근력운동을 제대로 행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고안은 완력기의 압력의 증가/감소 조절에 영향을 받지 않으면서, 한쌍의 핸들부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는 완력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브라켓과 브라켓 하측에 연장 형성된 원통부를 갖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원통부 내에서 상호 슬라이딩 가능하게 길이방향으로 결합된 한쌍의 슬라이딩부와, 상기 한쌍의 슬라이딩부 사이에 배치된 탄성부재와, 상기 슬라이딩부 중 어느 하나를 슬라이딩 이동시켜 탄성부재를 가압하기 위한 조절볼트를 갖는 압력조절기; 및 일단에 형성된 링크편의 일단이 상기 하우징의 브라켓 양측에 각각 힌지 결합되고, 상기 각각의 링크편의 타단이 상기 압력조절기의 슬라이딩부 중 나머지 하나의 일단에 함께 연결되어, 상호 접근 및 이격되도록 선회하면서 압력조절기의 탄성부재를 가압 및 가압해제하는 한쌍의 핸들부;를 포함하며, 상기 한쌍의 핸들부는 상기 압력조절기의 압력 증가 또는 감소 조절 시, 상기 한쌍의 핸들부의 간의 간격이 변동없이 일정하게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력기를 제공한다.
상기 한쌍의 링크편의 타측과 함께 연결된 슬라이딩부는 결합볼트에 의해 상호 힌지 연결되며, 상기 브라켓은 상기 결합볼트를 가이드함과 동시에 상기 결합볼트의 이동구간을 제한하여, 상기 한쌍의 링크편과 함께 연결된 슬라이딩부가 상기 조절볼트 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제한하는 가이드구멍을 형성한다.
상기 한쌍의 핸들부는 타단에 각각 길이 조절가능하게 결합되는 손잡이;를 더 포함한다. 이 경우, 상기 한쌍의 손잡이는 일주면에 손잡이의 길이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다수의 삽입구멍이 형성되며, 상기 한쌍의 핸들부 타단에는 각각 상기 삽입구멍에 삽입되는 걸림돌기가 관통 배치되며, 상기 걸림돌기를 탄력지지하는 스 프링이 상기 한쌍의 핸들부 내측에 각각 배치된다.
상기 한쌍의 슬라이딩부 중 상기 조절볼트와 연결된 슬라이딩부는 일주면에 간격을 두고 상기 탄성부재의 탄성력에 대응하는 압력을 표시한 다수의 표시부가 상기 슬라이딩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표시되고, 상기 하우징의 실린더부는 상기 다수의 표시부 중 어느 하나가 외부로 보여질 수 있는 확인구멍을 형성하며, 상기 조절볼트의 조절과 함께 이에 해당하는 압력 정도를 상기 확인구멍을 통해 보여지는 표시부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고안에 따른 완력기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 1 내지 도 6은 본 실시예의 완력기를 도시한 것으로,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완력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완력기를 나타내는 분리사시도, 도 3 및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압력조절부의 압력을 증가시키기 전과 후의 상태를 각각 나타내는 단면도, 도 5는 도 2에 도시된 A-A선을 따라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도 2에 도시된 핸들부와 손잡이가 분리된 상태의 일부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완력기(1)는 하우징(10), 한쌍의 핸들부(20,30), 한쌍의 손잡이(25,35) 및, 압력조절기(60)를 포함한다.
하우징(10)은 브라켓(11)과 브라켓(11) 하측 중앙에 하측방향으로 연장형성된 원통부(17)가 형성된다. 상단이 상호 연결된 브라켓(11)은, 서로 소정 간격을 갖도록 대응배치된 한쌍의 판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양측으로는 제1 및 제2 결합구멍(13a,13b)이 형성되며, 중앙에는 장공형태의 가이드구멍(15)이 형성된다. 또한, 브라켓(11)은 제1 및 제2 결합구멍(13a,13b)과 후술하는 한쌍의 핸들부(20,30) 각각의 링크편(21,31)의 제1 연결구멍(21a,31a)을 순차적으로 관통하는 제1 및 제2 연결볼트(71a,71b)에 의해 한쌍의 핸들부(20,30)가 선회가능하게 결합된다. 이 경우, 브라켓(11)의 가이드구멍(15)에는 후술하는 한쌍의 핸들부(20,30)의 각각의 링크편(21,31)의 제2 연결구멍(21b,31b)을 동시에 관통하는 결합볼트(73)가 체결된다. 이때, 제2 연결구멍(21b,31b)은 도 2와 같이, 한쌍의 링크편(21,31)의 선회에 의해 결합볼트(73)가 가이드구멍(15)을 따라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한쌍의 링크편(21,31)의 선회각을 고려하여 장공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브라켓(11)에 힌지 결합된 한쌍의 핸들부(20,30)를 상호 근접 및 이격되도록 선회시킬 경우, 상기 결합볼트(73)는 가이드구멍(15)을 따라 상/하로 가이드됨과 동시에, 결합볼트(73)의 이동구간이 가이드구멍(15)의 길이로 제한되어, 한쌍의 링크편(21,31)과 함께 연결된 하기의 제2 슬라이딩부(63)가 상기 조절볼트(65) 측으로 일정레벨 이하로 이동하는 것을 제한한다(도 7 및 도 8 참조).
한편, 원통부(17)는 내측에 압력조절기(60)가 설치되며, 하단에 하기의 조절볼트(65)의 돌출부(65b)가 삽입된 상태로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다.
한쌍의 핸들부(20,30)는 각각 소정 길이로 이루어지며, 일단에는 각각 상기 링크편(21,31)이 소정 각도로 고정되고, 이 경우, 한쌍의 핸들부(20,30)는 압력조절기(60)에 의해 탄력상태로 상기 제1 및 제2 연결볼트(71a,71b)를 중심으로 상호 접근 및 이격 선회한다. 또한, 한쌍의 핸들부(20,30)는 한쌍의 링크편(21,31)의 반대편에 각각 길이조절이 가능한 한쌍이 손잡이(25,35)가 결합된다.
한쌍의 손잡이(25,35)는 핸들부(20,30)에 각각 동일한 구성으로 결합되며, 여기서는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한쌍의 손잡이(25,35) 중 하나의 손잡이(25)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손잡이(25)는 도 3과 같이, 핸들부(20)의 일단에 연장형성된 연장부(23)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 경우, 도 4와 같이, 연장부(23)에 설치된 스냅고정부재(40)는 연장부(23)에 대한 손잡이(25)의 결합 위치를 설정함에 따라, 연장부(23)로부터 손잡이(25)를 늘리거나 줄일 수 있다. 상기 스냅고정부재(40)는 고정핀(41), 지지부(42) 및 스프링(43)으로 이루어진다. 고정핀(40)은 상부가 연장부(23)의 관통구멍(23a) 및 손잡이(25)의 위치설정구멍(25a)에 삽입된다. 지지부(42)는 고정핀(41) 하단에 연장형성되며, 연장부의 관통구멍(23a)의 지름보다 더 크게 형성되어 고정핀(41)이 연장부(23)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스프링(43)은 연장부(23) 내측에 설치되며 일단이 상기 지지부(42)를 탄력적으로 지지함에 따라 고정핀(41)의 상부가 항상 연장부의 관통구멍(23a)으로 돌출되도록 지지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완력기(1) 사용 시 자신의 어깨넓이 또는 팔 길이 등을 고려하여 적절히 손잡이(25,35)의 길이를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다.
압력조절기(60)는 도 5와 같이, 상/하 슬라이딩부(61,63), 탄성부재(65) 및 조절볼트(67)를 구비한다. 상/하 슬라이딩부(61,63)는 하우징(10)의 원통부(17) 내에서 상호 슬라이딩 가능하게 길이방향으로 결합된다. 상 슬라이딩부(61)는 상단이 결합볼트(73)에 의해 브라켓(11)에 이동 가능하게 체결되고, 하 슬라이딩부(63)는 하단이 하기에 설명하는 조절볼트(67)의 볼트부(67c)와 체결된다. 탄성부재(65)는 예를 들면, 쇽 옵서버(shock absorber) 또는 압축스프링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 며, 본 실시예에서는 쇽 옵서버를 예로 설명한다. 이러한 탄성부재(65)는 상/하 슬라이딩부(61,63) 내측에 배치됨과 동시에 상/하 슬라이딩부(61,63)의 슬라이딩 이동에 따라 압축 및 압축해제된다. 조절볼트(67)는 노브(67a), 돌출부(67b) 및 볼트부(67c)로 이루어진다. 노브(67a)는 하우징(10)의 원통부(17) 외경보다 크거나 같은 직경을 갖으며, 원통부(17) 외부로 노출되도록 원통부(17)의 하단에 배치된다. 돌출부(67b)는 원통부(17)에 삽입되도록 노브(67a) 상측에 돌출형성되고, 돌출부(67b)의 직경은 원통부(17)의 내경에 대응하도록 형성됨에 따라 노브(67a)를 자연스럽게 하우징(17)의 중심에 센터링시킬 수 있다. 볼트부(67c)는 돌출부(67b)의 상단에 수직하게 형성되며, 하 슬라이딩부(63) 하단의 체결구멍(61a)에 나사결합된다.
이와 같은 압력조절기(60)는 완력기(1)의 압축 정도를 증가시킬 경우, 도 5와 같이 초기상태에서 노브(67a)를 파지한 상태로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볼트부(67c)가 나사결합된 체결구멍(61a) 내에서 노브(67a)와 동일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하 슬라이딩부(63)를 밀어올려 도 6과 같이, 하 슬라이딩부(63)가 원통부(17) 내에서 상승하게 되고, 이와 동시에 쇽 옵서버(67)는 상/하 슬라이딩부(63)에 의해 압축되면서 소정치 압력이 증가하게 된다. 이때, 원통부(17)에는 소정 위치에 확인구멍(17a, 도 1 참조)을 형성하고 하 슬라이딩부(63)에는 압력을 나타내는 표시부(N, 도 2 참조)를 마킹함에 따라, 사용자는 확인구멍(17a)을 통해 현재 조절되는 압력이 어느정도인지 손쉽게 파악할 수 있다. 이러한 표시부(N)는 숫자, 기호, 또는 색상을 달리하여 다양하게 표현할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에 따른 완력기(1)는 압력을 증가시키기 전(도 5 참조)과 증가시킨 후(도 6 참조)의 한쌍의 핸들부(20,30)의 상호 간격은, 변하지 않고 일정한 상태를 유지한다. 이 처럼 본 고안은 종래와 달리, 압력의 증감 조절에 관계없이 항상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는 한쌍의 핸들부(20,30)를 통해 사용자가 완력기(1)의 압력을 증가시킨 경우라도 팔을 충분히 벌린상태에서 어깨힘을 이용하여 완력기(1)를 사용할 수 있으므로 운동효과를 극대화 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완력기(1)의 작동을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 7 및 8은 본 고안의 완력기의 한쌍의 핸들부를 상호 이격시킨 상태와 근접시킨 상태를 각각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먼저, 사용자는 조절볼트(67)을 일방향 또는 그 역방향으로 회전시켜 원하는 압력으로 셋팅한다. 이 경우, 완력기(1)의 압력 증감에 관계없이 한쌍의 핸들부(20,30)는 도 7과 같은 동일한 간격을 유지한다.
원하는 압력을 셋팅한 후, 사용자는 한쌍의 손잡이부(25,35)를 각각 양손으로 파지한 상태에서, 하우징(17)의 원통부(17)를 향해 한쌍의 핸들부(20,30)를 가압한다.
이에 따라, 한쌍의 핸들부(20,30)는 제1 및 제2 연결볼트(71a,71b)를 중심으로 선회하게 되고, 이와 동시에 한쌍의 링크편(21,31)도 제1 및 제2 연결볼트(71a,71b)를 중심으로 선회하면서, 도 8과 같이, 결합볼트(73)가 가이드구멍(15)을 따라 상승한다. 이와 함께 압축조절기(60)의 상 슬라이딩부(61)는 결합볼트(73)의 이동거리만큼 상승하면서 쇽 업소버(67)를 압축시킨다.
사용자는 상기와 같은 과정을 반복하면서 어깨 및 팔의 근력운동을 행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완력기(1)의 압력조절에 상관없이 한쌍의 핸들부(20,30)는 항상 일정한 간격을 유지함에 따라 항상 양팔을 충분히 벌린상태에서 어깨 힘을 이용하여 효과적으로 완력기(1)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한 본 고안에 있어서는, 완력기의 압력 증감조절에 관계없이 한쌍의 핸들부 간의 간격이 좁혀지지 않고 일정한 간격을 유지함에 따라, 사용자는 완력기 사용 시 양팔을 넓게 벌려 조절된 다양한 압력 하에서 효과적인 근력운동을 행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이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Claims (6)

  1. 브라켓과 브라켓 하측에 연장 형성된 원통부를 갖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원통부 내에서 상호 슬라이딩 가능하게 길이방향으로 결합된 한쌍의 슬라이딩부와, 상기 한쌍의 슬라이딩부 사이에 배치된 탄성부재와, 상기 슬라이딩부 중 어느 하나를 슬라이딩 이동시켜 탄성부재를 가압하기 위한 조절볼트를 갖는 압력조절기; 및
    일단에 형성된 링크편의 일단이 상기 하우징의 브라켓 양측에 각각 힌지 결합되고, 상기 각각의 링크편의 타단이 상기 압력조절기의 슬라이딩부 중 나머지 하나의 일단에 함께 연결되어, 상호 접근 및 이격되도록 선회하면서 압력조절기의 탄성부재를 가압 및 가압해제하는 한쌍의 핸들부;를 포함하며,
    상기 한쌍의 핸들부는 상기 압력조절기의 압력 증가 또는 감소 조절 시, 상기 한쌍의 핸들부의 간의 간격이 변동없이 일정하게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력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쌍의 링크편의 타측과 함께 연결된 슬라이딩부는 결합볼트에 의해 상호 힌지 연결되며,
    상기 브라켓은 상기 결합볼트를 가이드함과 동시에 상기 결합볼트의 이동구간을 제한하여, 상기 한쌍의 링크편과 함께 연결된 슬라이딩부가 상기 조절볼트 측 으로 이동하는 것을 제한하는 가이드구멍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력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쌍의 핸들부는 타단에 각각 길이 조절가능하게 결합되는 손잡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력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한쌍의 손잡이는 일주면에 손잡이의 길이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다수의 삽입구멍이 형성되며,
    상기 한쌍의 핸들부 타단에는 각각 상기 삽입구멍에 삽입되는 걸림돌기가 관통 배치되며, 상기 걸림돌기를 탄력지지하는 스프링이 상기 한쌍의 핸들부 내측에 각각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력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쌍의 슬라이딩부 중 상기 조절볼트와 연결된 슬라이딩부는 일주면에 간격을 두고 상기 탄성부재의 탄성력에 대응하는 압력을 표시한 다수의 표시부가 상기 슬라이딩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표시되고, 상기 하우징의 원통부는 상기 다수의 표시부 중 어느 하나가 외부로 보여질 수 있는 확인구멍을 형성하며,
    상기 조절볼트의 조절과 함께 이에 해당하는 상기 압력조절기의 압력 정도를 상기 확인구멍을 통해 보여지는 표시부를 통해 확인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력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쇽 업소버인 또는 압축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력기.
KR2020060020304U 2006-07-27 2006-07-27 완력기 KR20042927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0304U KR200429278Y1 (ko) 2006-07-27 2006-07-27 완력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0304U KR200429278Y1 (ko) 2006-07-27 2006-07-27 완력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29278Y1 true KR200429278Y1 (ko) 2006-10-20

Family

ID=417776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20304U KR200429278Y1 (ko) 2006-07-27 2006-07-27 완력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29278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5740Y1 (ko) 2008-08-26 2009-08-28 유원기 완력기
KR200490128Y1 (ko) * 2018-03-30 2019-09-27 주식회사 이고진 완력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5740Y1 (ko) 2008-08-26 2009-08-28 유원기 완력기
KR200490128Y1 (ko) * 2018-03-30 2019-09-27 주식회사 이고진 완력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19066B1 (ko) 완력기
KR200478887Y1 (ko) 헬스기구
US7708243B2 (en) Height-adjustable stand
JPS62500431A (ja) 複数のプ−リ間にケ−ブルを巻き掛けた弾性張力トレ−ニング装置
CA2550791A1 (en) Treadmill deck support
JP3221114U (ja) 支持フレーム
US20070099760A1 (en) Arm exerciser
KR200429278Y1 (ko) 완력기
US20160271440A1 (en) Stepper
US20170007872A1 (en) Elastic torsion device
JP6552623B2 (ja) 筋肉運動用装置
CN103140884B (zh) 胸部按压人体模型
KR100374400B1 (ko) 판 스프링을 이용한 탄성 조절가능 뜀뛰기 운동기구
WO2005102137B1 (en) Slow closing mechanism for toilet covers
KR20220159242A (ko) 허리 베개 지지력 조절 구조 및 시트
US4654928A (en) Adjustable friction block and tackle window balance system
KR20100107923A (ko) 휴대용 팔씨름 단련기
KR200480802Y1 (ko) 자전거 운동 기구
KR200445740Y1 (ko) 완력기
KR20070006256A (ko) 완력기
KR20200002033U (ko) 다리 안마기기의 신축 장치
KR101044262B1 (ko) 판스프링을 이용한 완력기
CN107621364B (zh) 一种测试装置
CN104857667A (zh) 拉力健身板
CN209422840U (zh) 助力座椅调节机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013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