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32658A - 운동 기구 - Google Patents
운동 기구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50132658A KR20150132658A KR1020140058376A KR20140058376A KR20150132658A KR 20150132658 A KR20150132658 A KR 20150132658A KR 1020140058376 A KR1020140058376 A KR 1020140058376A KR 20140058376 A KR20140058376 A KR 20140058376A KR 20150132658 A KR20150132658 A KR 20150132658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rame
- vertical
- exercise device
- wire
- fixing portion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2—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lient force-resisters
- A63B21/055—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lient force-resisters extension element type
- A63B21/0552—Elastic ropes or bands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15—Arrangements for force transmissions
- A63B21/151—Using flexible elements for reciprocating movements, e.g. ropes or chains
- A63B21/153—Using flexible elements for reciprocating movements, e.g. ropes or chains wound-up and unwound during exercise, e.g. from a reel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운동 기구에 관한 것으로, 특히 탄성을 가진 로프를 프레임에 다단으로 설치하여 사용자의 키 높이에 관계없이 전신의 스트레칭은 물론 근력 강화 운동을 근육과 관절에 무리가 가지 않도록 할 수 있는 운동기구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서 본 발명의 운동 기구는 수직으로 세워진 복수의 수직 프레임; 상기 복수의 수직 프레임 사이에서 상측에서부터 하측까지 다단으로 연결되는 탄성을 가진 로프가 구비되고, 상기 수직 프레임의 측면에 상하방향으로 연결된 탄성을 가진 수직손잡이 로프가 구비되고, 상기 수직 프레임의 상측 즉, 사용자의 머리 위에 위치하며 사용자의 키 높이에 맞추어 높이 조절이 가능하면서 탄성력을 가진 견인바가 구비되며, 상기 수직프레임이 세워진 내측 공간에는 구동수단에 의해 구동되는 발판이 구비된다.
이를 위해서 본 발명의 운동 기구는 수직으로 세워진 복수의 수직 프레임; 상기 복수의 수직 프레임 사이에서 상측에서부터 하측까지 다단으로 연결되는 탄성을 가진 로프가 구비되고, 상기 수직 프레임의 측면에 상하방향으로 연결된 탄성을 가진 수직손잡이 로프가 구비되고, 상기 수직 프레임의 상측 즉, 사용자의 머리 위에 위치하며 사용자의 키 높이에 맞추어 높이 조절이 가능하면서 탄성력을 가진 견인바가 구비되며, 상기 수직프레임이 세워진 내측 공간에는 구동수단에 의해 구동되는 발판이 구비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운동 기구에 관한 것으로, 특히 사용자가 다양한 자세를 취할 수 있도록 탄성로프를 다단으로 설치하여 몸에 무리를 주지 않고 상하체 전신 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한 운동 기구에 관한 것이다.
공개특허 제10-2013-0096368호에는 와이어로프로 연결된 중량체를 끌어올림으로써 운동을 가능하게 하는 것으로, 중량체와 연결된 와이어로프의 다른 끝단을 베이스판에 고정시켜 와이어로프를 잡아당겨 중량체를 끌어올리는 것뿐 아니라 와이어로프를 밀거나 끌어당기는 응용 동작을 가능하게 한 야외용 상체 운동 기구가 공개되어 있다.
그 구조로서는 도1에 도시한 바와같이, 내부에 중량체(14)와 본체 하우징에 고정되어 중량체(14)를 감싸며 수직 방향으로 길을 안내하는 중량체 하우징(11)과, 그 중량체 하우징(11) 상부를 관통하여 중량체(14)와 수직으로 연결되는 연결부재(13)와, 그 연결부재(13) 상단의 연결고리(12)에 와이어로프(7)가 묶여 연결되고, 상기한 와이어 로프(7)는 본체 하우징(1) 내부 상단의 내부 가이드 롤러(6)와 상부 헤드 프레임(4) 끝단에 설치된 외부 가이드 롤러(5)에 안내되어 수직으로 하부 베이스판(2)에 고정 결합되고, 여기서 상기한 와이어로프(7)에 다수의 손잡이(8)가 고정 부착되는 구조를 갖는다.
따라서 와이어로프(7)를 손으로 끌어 당기거나 밀게 되면, 중량체(14)에 의해 상체 근력운동이 가능하게 된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상체 운동기구는 상체의 근력운동을 위한 구조일 뿐 전신운동을 위한 구조가 아니고, 또한 노약자나 몸이 불편한 사람에게는 중량체에 의해 근육과 관절에 무리가 따르게 되어 자칫 부상의 위험이 있다.
이와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여 본 발명에서는, 탄성을 가진 로프를 프레임에 다단으로 설치하여 사용자의 키 높이에 관계없이 전신의 스트레칭은 물론 근력 강화 운동을 근육과 관절에 무리가 가지 않도록 할 수 있는 운동기구를 제안한다.
이를 위해서 본 발명의 운동 기구는
간격을 가지면서 수직으로 세워진 복수의 수직 프레임;
상기 복수의 수직 프레임 사이에서 다단으로 연결되는 탄성을 가진 로프;로 구성되며,
상기 수직 프레임은
전방에서 간격을 가지면서 위치하는 한 쌍의 전방 프레임;
상기 전방 프레임의 후방에서 간격을 가지면서 위치하는 한 쌍의 후방 프레임;으로 구성된다.
상기 각 전방 프레임과 후방 프레임의 사이에는 상하방향 또는 사선방향으로 탄성을 가진 수직손잡이 로프;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수직 프레임의 상측을 가로질러 보조 프레임이 설치되고, 상기 보조 프레임에는 사용자의 키 높이에 맞추어 높이 조절이 가능하면서 탄성로프에 연결되어 탄성력을 가진 견인바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전방 프레임과 후방 프레임 사이의 내측 공간에는 구동수단에 의해 구동되는 발판이 구비된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가 상측에서 하측까지 다단으로 구비된 탄성을 가진 로프, 사용자의 머리 위에 구비된 탄성력을 가진 견인바, 사용자의 측면에서 수직으로 구비된 탄성을 가진 로프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몸에 무리를 주지 않고 다양한 자세를 취하여 전신의 스트레칭 및 근육강화운동이 가능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1은 종래의 운동 기구의 구조를 보인 도.
도2는 본 발명에 의한 운동 기구를 구조를 보인 도.
도3은 보조 프레임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구조를 보인 도.
도4는 견인바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구조를 보인 도.
도5는 본 발명에 앉거나 발을 올려놓기 위한 의자가 설치된 구조를 보인 도.
도2는 본 발명에 의한 운동 기구를 구조를 보인 도.
도3은 보조 프레임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구조를 보인 도.
도4는 견인바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구조를 보인 도.
도5는 본 발명에 앉거나 발을 올려놓기 위한 의자가 설치된 구조를 보인 도.
이와 같은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을 첨부한 도면2부터 도면 5까지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은 베이스(100)와, 베이스(100)의 상측에 설치된 발판(110)의 구조를 가지게 되는데, 하나의 예로서 등록특허 제10-0763879호에 공개된 바와같이 발판(110)은 그 내측에 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편심캠과, 편심캠의 외측에 설치된 링체와, 링체와 발판 사이를 연결하는 수평아암으로 된 구동수단이 설치되는 구조를 가져서 발판이 수평방향으로 왕복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또 다른 방안으로 등록특허 제10-0763879호의 구조를 변경하여 발판(110)을 상하방향으로 왕복 이동시키는 구동 수단을 가질 수 있는데, 이는 수평아암을 세워서 발판(110)과 연결함으로써 편심캠의 회전에 의해 발판(110)이 상하방향으로 진동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상하방향 진동을 위한 구조는 수평아암을 상하방향으로 세워서 발판(110)과 연결하는 구조이므로, 등록특허 제10-0763879호에서 단순 변형한 구조이며, 이는 등록특허 제10-0763879호는 물론 공개특허 제10-2005-0094368호(진동운동기구) 등에서 이미 공지된 기술로 볼 수 있으므로 자세한 구조에 대한 설명은 하지 않는다.
또한, 일반적인 트레드 밀 또는 발판(110)을 좌우 왕복 회전 운동시키는 다양한 형태의 공지의 구동기구를 가질 수 있을 것이다.
사각의 판체 형태의 베이스(100)에는 발판(110)을 가운데 두고 모서리 부분에 각각 수직 프레임(210,220,230,240)이 세워져 고정되는데, 이러한 수직 프레임(210,220,230,240)은 최소한 200cm 이상의 높이를 가지면서, 그 상단이 상부 프레임(250)에 의해 연결되어 고정된다.
상기 수직 프레임(210,220,230,240)은 전방에서 간격을 가지면서 세워지는 한 쌍의 전방 프레임(210,240)과 전방 프레임(210,240)의 후방에서 서로 간격을 가지면서 세워지는 후방 프레임(220,230)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전방 프레임(210,240) 사이에는 상측부터 하측까지 탄성을 가진 전방 로프(300)가 다단으로 간격을 가지면서 연결되며, 또한 전방 프레임(210)과 후방 프레임(220), 그리고 전방 프레임(240)과 후방 프레임(230) 사이에도 각각 탄성을 가진 측방 로프(310,320)가 다단으로 간격을 가지면서 연결된다.
이러한 로프(300,310,320)는 각 단에서 하나의 로프에 의해 측방과 전방을 모두 연결할 수 있도록 로프(300,310,320)가 설치될 위치에서 전방 프레임(210,240)과 후방 프레임(220,230)에는 고리부(500)가 설치된다.
고리부(500)는 고리 형태의 몸체로부터 돌출된 나사부(510)를 가져서 수직 프레임(210,220,230,240)에서 상하 방향으로 간격을 가지면서 나사결합된다.
따라서 로프의 일단을 후방 프레임(230)의 고리부에 묶은 다음 한 쌍의 전방 프레임(210,240)의 고리부를 거쳐서 다시 후방 프레임(220)에 그 타단을 묶음으로써 하나의 단을 형성할 수 있다.
이때, 로프(300,310,320)의 상하간격은 약 20~25cm의 간격을 가지는 것이 좋다.
수직 프레임 즉, 전방 프레임(210,240)과 후방 프레임(220,230)이 견고히 세워질 수 있도록 각 프레임의 상단은 상부 프레임(250)에 의해 연결된다.
한편, 상기 각 전방 프레임(210,240)과 후방 프레임(220,230)의 사이에는 상단이 상부 프레임(250)에 지지되고, 하단이 베이스(100)에 지지되는 탄성을 가진 수직 손잡이 로프(600,610)가 구비된다.
또한 이러한 수직 손잡이(600,610)는 직선의 바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또는 'S'자 형태가 연속하여 이어져 굴곡의 가진 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는데 이 경우 사용자가 손으로 쥘 때 쉽게 미끄러지지 않고 안정적으로 잡을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수직 손잡이(600,610)는 상하 수직방향으로 세워지거나 또는 사선방향으로 설치될 수 있을 것이다.
상부 프레임(250)의 상측으로는 보조 프레임(260)에 위치하여 그 양단이 상부 프레임(250)에 높낮이가 조절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는데, 이러한 보조 프레임(260)은 전방 프레임(210,240)과 후방 프레임(220,230)을 사선방향으로 가로질러 설치될 수도 있다.
도면에서는 상부 프레임(250)에 설치된 형태를 예로 들어 도시하였다,
보조 프레임(260)은 도3에 도시한 바와같이 '' 형태를 가진 프레임으로서, 그 양단 수직 부위에는 복수의 볼트공(261)이 일정한 간격을 가지고 형성되어 있으며, 또한, 상부 프레임(250)의 양측에도 상부로 세워지면서 고정공(252,255)이 형성된 고정부(251,254)가 형성되어 있어서 볼트(253,256)의 의해 보조 프레임(260)과 체결되어 높낮이의 조절이 가능하게 된다.
이는 설치할 위치의 천장 높이에 따라서 견인바(700)의 높이를 최고 높이로 조절하기 위함이다.
상기 보조 프레임(260)에는 제1롤러(710)가 구비되어 와이어(800)의 일측이 제1롤러(710)를 통해 보조 프레임(260)의 하측으로 연결되고, 그 단부에는 견인바(700)가 고정된다.
이때, 와이어(800)의 끝단과 견인바(700) 사이를 탄성로프(801)에 의해 연결하여 그 탄성로프에 의하여 견인바(700)도 탄성을 가질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견인바(700)는 사람의 머리와 공간을 두기 위해서 아치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와이어(800)의 타측은 전방 프레임(240)의 상단에 구비되는 제2롤러(720)를 거쳐서 수직프레임(240)의 상단에서 내측으로 안내되어 인입되는데, 도4에 도시한 바와같이 전방 프레임(240)은 내부가 비어있는 파이프 형태로서, 와이어(800)가 전방 프레임(240)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인입된다.
상기 와이어(800)가 인입되는 프레임은 꼭 전방 프레임(240) 뿐만 아니라 또 다른 전방 프레임(210)이나 후방 프레임(220,230)이어도 무방하다
전방 프레임(240)의 측부에는 내부까지 관통된 홈 형태의 와이어 고정부(241)가 형성되어 있는데, 이러한 와이어 고정부(241)는 상하방향으로 다단으로 형성되며, 일측이 상향 절곡되면서 타측은 상하방향 직선으로 연속하여 연결된 형태를 가지게 된다.
또한, 고정부(241)가 형성된 위치에서 와이어(800)에는 고정부(241)에 고정되기 위한 고정구(810)가 고정되어 체결되는데, 그 고정구(810)는 와이어(800)에 압박되거나 용접 또는 묶임에 의해 고정되는 고정부(811)와, 그 고정부(811)로부터 수직프레임(240)의 외측방향으로 돌출되는 돌출간(812)이 구비되며, 그 돌출간(812)의 단부에는 고정부(241)의 폭 즉 홈의 너비보다 크게 이탈방지구(813)가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
따라서 돌출간(812)이 고정부(241)의 상향 절곡된 부위에 삽입되면, 그 위치에서 고정구(810)가 고정됨으로써 견인바(700)의 높이가 결정되는 것이다.
즉, 고정구(810)가 낮은 곳의 고정부(241)에 위치하면, 견인바(700)는 상승하여 높은 곳에 위치할 것이고, 반대로 고정구(810)가 높은 곳의 고정부(241)에 위치하면, 견인바(700)가 하강하여 낮은 곳에 위치할 것이다.
와이어(800)를 고정하는 구조로서, 고정부(241) 대신 핸드기어윈치를 사용할 수 있으며, 다양한 형태의 와이어 고정 구조물을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자신의 키에 맞게 견인바(700)의 위치를 조절한 다음, 탄성력을 가진 견인바(700)를 양손으로 잡고 다리를 하측에 위치한 전방 탄성로프(300) 또는 측방 탄성로프(310,320)에 거치하여 몸에 무리를 주지 않고 스트레칭 또는 근육 강화 운동을 할 수 있으며, 또한, 양 손으로 상측 또는 하측에 위치한 탄성로프(300,310,320)를 잡고서 다양한 응용 동작으로 운동을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수직 손잡이 탄성로프(600,610)를 잡고서도 다양한 응용 동작으로 운동이 가능하다.
그리고 탄성을 가진 로프(300,310,320,600,610)를 팔 또는 다리를 이용하여 상하방향 또는 수평방향으로 밀거나 당기는 경우 그 탄성력에 의하여 스트레칭은 물론 근육이 강화되는 운동 효과를 가지며, 그 밖에 다양한 운동 자세를 취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는 자신의 자세에 맞는 최적의 위치에서 탄성로프(300,310,320), 수직 손잡이 탄성로프(600,610), 높이가 조절되고 탄성력을 가진 견인바(700) 등을 손으로 잡거나 다리를 거치하여 운동을 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은 다양한 자세로 운동 시 발판(110)이 상하 또는 전후방향으로 진동하게 되면, 그 버팀력과 탄성로프(300,310,320,600,610)의 탄성력에 의해 몸에 무리를 주지 않으면서도 운동효과는 더욱 강화된다.
한편, 도5에서와 같이 보조 프레임(260)에는 나란히 레일(270)이 구비되고, 그 레일(270)에는 슬라이딩 이동하는 이동체(271)가 구비되며, 이동체(271)에는 하측으로 줄(280)이 연결되어 그 줄(280)에는 의자(290)가 그네 형태로 설치된다.
이러한 이동체(271)는 단순한 고리 형태이거나 또는 슬라이더 또는 롤러 형태를 가질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하체의 피로를 풀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가 의자(290)에 앉아서 발판(110) 위에 다리를 올려놓고 다리의 피로를 풀면서 휴식도 취할 수 있게 된다.
100 : 베이스
110 : 발판
210,220,230,240 : 수직프레임
250 : 상부프레임
260 : 보조프레임
290 : 의자
310,320,330 : 탄성 로프
600,610 : 수직 손잡이 탄성 로프
700 : 견인바
710,720 : 롤러
800 : 와이어
801 : 탄성 로프
110 : 발판
210,220,230,240 : 수직프레임
250 : 상부프레임
260 : 보조프레임
290 : 의자
310,320,330 : 탄성 로프
600,610 : 수직 손잡이 탄성 로프
700 : 견인바
710,720 : 롤러
800 : 와이어
801 : 탄성 로프
Claims (15)
- 간격을 가지면서 수직으로 세워진 복수의 수직 프레임;
상기 복수의 수직 프레임 사이에서 상측부터 하측까지 다단으로 연결되는 탄성을 가진 로프;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기구.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 프레임은
전방에서 간격을 가지면서 위치하는 한 쌍의 전방 프레임;
상기 전방 프레임의 후방에서 간격을 가지면서 위치하는 한 쌍의 후방 프레임;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 기구.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 프레임에는 상하방향으로 간격을 유지하면서 복수의 고리부가 형성되고, 탄성로프가 고리부에 끼워져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기구.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 프레임 사이에는 상하방향 또는 사선방향으로 탄성을 가진 로프로 형성된 수직 손잡이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기구.
- 제4항에 있어서, 수직 손잡이는 직선의 봉 형상 또는 'S'자 형태의 굴곡이 반복되는 형태의 봉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기구.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프레임과 후방 프레임의 상측은 상부 프레임에 의해 서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기구.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 프레임 또는 상부 프레임의 상측을 가로질러 보조 프레임이 설치되고, 상기 보조 프레임에는 와이어에 의해 연결된 견인바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기구.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견인바와 와이어 사이는 탄성을 가진 로프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기구.
- 제1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는 롤러를 통해 수직 프레임의 내측으로 안내되고, 고정핀이 와이어에 고정되어 고정부를 통해 수직 프레임의 외측으로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기구.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수직 프레임에서 다단으로 구비되며, 상기 와이어 상에는 고정구가 구비되어 상기 고정부에 걸리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기구.
- 제9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수직 프레임에 형성된 구멍 형태로서 일측이 상향 절곡되면서 상하방향으로 다단으로 형성되고, 타측은 서로 연속하여 연결된 형태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기구.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프레임은 높낮이가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기구.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프레임의 수직방향 프레임에는 수직방향으로 복수의 볼트공이 형성되고, 상부 프레임에는 상측으로 세워지면서 고정공을 가진 고정부가 설치되어 보조 프레임과 고정부가 볼트에 의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기구.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프레임에는 레일이 설치되고, 상기 레일에는 이동체가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이동체에는 줄이 연결되며, 줄의 하단에는 의자가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기구.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 프레임이 세워진 내측 공간에는 구동수단에 의해 구동되는 발판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기구.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058376A KR20150132658A (ko) | 2014-05-15 | 2014-05-15 | 운동 기구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058376A KR20150132658A (ko) | 2014-05-15 | 2014-05-15 | 운동 기구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132658A true KR20150132658A (ko) | 2015-11-26 |
Family
ID=548472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058376A KR20150132658A (ko) | 2014-05-15 | 2014-05-15 | 운동 기구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50132658A (ko)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8143730A3 (ko) * | 2017-02-02 | 2018-10-04 | (주)드림헬스 | 하체 운동 기구 |
KR102196720B1 (ko) * | 2020-06-11 | 2020-12-30 | 주식회사 좋은운동장 | 장애인용 다목적 홈트레이닝 장치 |
KR20230077882A (ko) | 2021-11-26 | 2023-06-02 | 권봉수 | 위치기반의 중고물품 거래 서버 및 방법 |
-
2014
- 2014-05-15 KR KR1020140058376A patent/KR20150132658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8143730A3 (ko) * | 2017-02-02 | 2018-10-04 | (주)드림헬스 | 하체 운동 기구 |
KR102196720B1 (ko) * | 2020-06-11 | 2020-12-30 | 주식회사 좋은운동장 | 장애인용 다목적 홈트레이닝 장치 |
KR20230077882A (ko) | 2021-11-26 | 2023-06-02 | 권봉수 | 위치기반의 중고물품 거래 서버 및 방법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4286782A (en) | Multi-purpose exercise enhancing device | |
US4198044A (en) | Exercise board | |
KR101506419B1 (ko) | 다리 찢기 운동기구 | |
KR101518197B1 (ko) | 웨이트 운동기구 | |
KR20140045763A (ko) | 케이블 운동기구 | |
KR200486552Y1 (ko) | 철봉 운동기구 | |
KR101952162B1 (ko) | 요가용 어셈블리 | |
CN106267695B (zh) | 牵引式复健装置 | |
KR20150132658A (ko) | 운동 기구 | |
KR101057316B1 (ko) | 줄 당기기 운동기구 | |
US8105216B2 (en) | Exercise device for stomach muscles | |
US7674210B2 (en) | Exercise device | |
KR20090094588A (ko) | 하지재활 운동기구를 이용한 시각적 운동기구 | |
JP5116064B2 (ja) | ベンチプレス・フルスクワット・懸垂装置 | |
US9327157B1 (en) | Manually controlled and driven resistance exercise machine | |
KR101600627B1 (ko) | 탄력밴드를 이용한 스트레칭 및 근력강화기구 | |
CN211328001U (zh) | 一种普拉提运动训练器 | |
KR102476500B1 (ko) | 리포머 운동기구 | |
KR102037024B1 (ko) | 의자를 이용한 상체운동기구 | |
KR101801918B1 (ko) | 코어 운동능력 향상 기구 | |
KR20190002555U (ko) | 다기능 운동기구 | |
CN114377354A (zh) | 一种护理康复锻炼装置 | |
JP3220804U (ja) | 腹筋トレーニング器具 | |
CN210125132U (zh) | 一种用于康复器械或健身器械的可调式拉力装置 | |
KR101791455B1 (ko) | 진동 근막이완 스트레칭 운동기구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WITN |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