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72923B1 - 코일 장치 및 그것을 이용한 전동밸브 및 전자밸브 - Google Patents

코일 장치 및 그것을 이용한 전동밸브 및 전자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72923B1
KR102172923B1 KR1020197022124A KR20197022124A KR102172923B1 KR 102172923 B1 KR102172923 B1 KR 102172923B1 KR 1020197022124 A KR1020197022124 A KR 1020197022124A KR 20197022124 A KR20197022124 A KR 20197022124A KR 102172923 B1 KR102172923 B1 KR 1021729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ing
terminal
magnet wire
coil device
val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221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04358A (ko
Inventor
유스케 아라이
Original Assignee
가부시기가이샤 후지고오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기가이샤 후지고오키 filed Critical 가부시기가이샤 후지고오키
Publication of KR201901043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43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29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29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3/00Details of windings
    • H02K3/46Fastening of windings on the stator or rotor structure
    • H02K3/52Fastening salient pole windings or connections thereto
    • H02K3/521Fastening salient pole windings or connections thereto applicable to stators only
    • H02K3/525Annular coils, e.g. for cores of the claw-pole typ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5/00Coils
    • H01F5/04Arrangements of electric connections to coils, e.g. lea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0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 F16K31/04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using a mot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0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 F16K31/06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using a magnet, e.g. diaphragm valves, cutting off by means of a liqui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0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 F16K31/06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using a magnet, e.g. diaphragm valves, cutting off by means of a liquid
    • F16K31/0603Multiple-way valves
    • F16K31/0606Multiple-way valves fluid passing through the solenoid coi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7/00Magnets
    • H01F7/06Electromagnets; Actuators including electromagnets
    • H01F7/08Electromagnets; Actuators including electromagnets with armatur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00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06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 H02K1/12Stationary part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14Stator cores with salient poles
    • H02K1/146Stator cores with salient poles consisting of a generally annular yoke with salient pol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3/00Details of windings
    • H02K3/46Fastening of windings on the stator or rotor structure
    • H02K3/52Fastening salient pole windings or connections thereto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37/00Motors with rotor rotating step by step and without interrupter or commutator driven by the rotor, e.g. stepping motors
    • H02K37/02Motors with rotor rotating step by step and without interrupter or commutator driven by the rotor, e.g. stepping motors of variable reluctance type
    • H02K37/04Motors with rotor rotating step by step and without interrupter or commutator driven by the rotor, e.g. stepping motors of variable reluctance type with rotors situated within the st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5/00Coils
    • H01F5/04Arrangements of electric connections to coils, e.g. leads
    • H01F2005/043Arrangements of electric connections to coils, e.g. leads having multiple pin terminals, e.g. arranged in two parallel lines at both sides of the coi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7/00Magnets
    • H01F7/06Electromagnets; Actuators including electromagnets
    • H01F2007/062Details of terminals or connectors for electromagne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02Soldered or welded connections
    • H01R4/023Soldered or welded connections between cables or wires and termin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02Soldered or welded connections
    • H01R4/027Soldered or welded connections comprising means for positioning or holding the parts to be soldered or welde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1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21/00Synchronous motors having permanent magnets; Synchronous generators having permanent magnets
    • H02K21/12Synchronous motors having permanent magnets; Synchronous generators having permanent magnets with stationary armatures and rotating magnets
    • H02K21/14Synchronous motors having permanent magnets; Synchronous generators having permanent magnets with stationary armatures and rotating magnets with magnets rotating within the armatures
    • H02K21/145Synchronous motors having permanent magnets; Synchronous generators having permanent magnets with stationary armatures and rotating magnets with magnets rotating within the armatures having an annular armature coil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2203/00Specific aspects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relating to the windings
    • H02K2203/09Machines characterised by wiring elements other than wires, e.g. bus rings, for connecting the winding termin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2203/00Specific aspects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relating to the windings
    • H02K2203/12Machines characterised by the bobbins for supporting the wind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lectromagnets (AREA)
  • Magnetically Actuated Valves (AREA)
  • Insulation, Fastening Of Motor, Generator Windings (AREA)
  • Electrically Driven Valve-Operating Means (AREA)

Abstract

제조 공수, 제조 비용 등을 대폭적으로 삭감할 수 있는 코일 장치 및 그것을 이용한 전동밸브 및 전자밸브를 제공한다. 마그넷 와이어(20)의 종단은, 당해 마그넷 와이어(20)의 종단이 묶여지는 선단 묶음부(21b)의 코킹 및/또는 퓨징에 의해 통전 단자(15b)에 고정된다.

Description

코일 장치 및 그것을 이용한 전동밸브 및 전자밸브
본 발명은, 코일 장치 및 그것을 이용한 전동밸브 및 전자밸브에 관한 것이다.
종래, 냉매와 같은 유체의 유량 제어에 사용하는 전동(電動) 유량 제어밸브로서, 예를 들면 밸브실에 연통하는 1차구(1次口) 및 2차구를 갖고서 2차구측 격벽의 연통 밸브구에 밸브시트를 마련한 밸브 본체와, 이 밸브 본체의 밸브시트에 접리하는 니들밸브를 선단에 갖는 밸브봉과, 그 밸브봉을 축방향으로 이동시켜서 니들밸브의 개폐 작동을 행하는 스테핑 모터를 구비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또한, 상기 종래의 전동 유량 제어밸브에서 사용되는 스테핑 모터의 스테이터 코일(코일 장치)로서, 복수의 자극치(磁極齒)를 내주연(內周緣)에 돌설한 제1·제2의 외(外)요크와, 이 외요크 내에 위치 결정 감합되는 제1·제2의 코일 권선 보빈(코일 보빈에 마그넷 와이어로 이루어지는 코일을 권장한 것)과, 제1 외요크 및 제2 외요크의 자극치와 동수의 자극치가 내주연에 돌설되어 제1·제2 외요크의 개구부에 위치 결정 감합되는 제1·제2의 내(內)요크와, 제1 내요크와 제2 내요크 사이에 몰드 수지의 유입 간극을 확보하는 간극 유지 수단과, 상기 간극과 자극치 사이의 간극 및 보빈 코일 공간부를 몰드하여 외요크의 외측을 덮도록 수지 성형되는 외곽체로 구성되고, 당해 외곽체의 외주부에, 통형상의 소켓부로서의 커넥터가 일체로 돌설되도록 구성된 것이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하기 특허문헌 1, 2 참조).
그런데, 근래, 이런 종류의 코일 장치에서는, 내열성 향상을 목적으로 하여, 코일 보빈에 권장(卷裝)하는 마그넷 와이어에 고내열(高耐熱) 마그넷 와이어를 사용한 것이 제안되어 있다. 그러나, 이 고내열 마그넷 와이어의 피복에는, 폴리이미드 등의 내열성이 높은 소재가 사용되기 때문에, 솔더링에 의한 통전 단자와의 결선이 곤란하다.
그래서, 상기 고내열 마그넷 와이어를 사용한 코일 장치에서는, 일반적으로, 고내열 마그넷 와이어와 통전 단자와의 결선에, 저항용접을 이용한 퓨징이라고 불리는 수법이 이용된다. 이 퓨징은, 통전 단자에 마련된 돌기 등으로 마그넷 와이어를 끼우고, 저항용접시의 발열에 의해 마그넷 와이어의 피복을 녹이면서 마그넷 와이어와 통전 단자와의 결선을 행하는 수법이다. 또한, 이 퓨징에서, 마그넷 와이어를 돌기로 확실하게 끼워넣기 위해, 그 돌기의 전후에서 마그넷 와이어를 확실하게 위치 결정하여 고정할 필요가 있어서, 그 돌기의 전후에서는 통전 단자에 마그넷 와이어를 휘감는 「묶음」이 행하여지는 것이 일반적이다(예를 들면, 하기 특허문헌 3 참조).
일본 특개평 8-65994호 공보 일본 특개2015-204433호 공보 일본 특허 제3868200호 공보
그렇지만, 상기한 마그넷 와이어의 묶음부는, 퓨징 후(즉, 마그넷 와이어와 통전 단자와의 결선 후)는 불필요하게 된다. 특히 마그넷 와이어의 종단이 휘감겨지는 묶음부에서는, 몰드 수지 성형시의 수지 흐름이나 압력 등에 의한 「묶음」의 풀어짐에 기인하는 단락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퓨징 후에 제거할 필요가 있는데 이 묶음부의 제거 작업은, 마그넷 와이어를 코일 보빈 등에 자동으로 휘감는 자동 권선기에서의 대응이 곤란하기 때문에, 제조 공수, 제조 비용 등이 대폭적으로 증가하여 버린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고, 그 목적으로 하는 바는, 제조 공수, 제조 비용 등을 대폭적으로 삭감할 수 있는 코일 장치 및 그것을 이용한 전동밸브 및 전자밸브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관한 코일 장치는, 기본적으로, 권시측(卷始側) 통전 단자 및 권종측(卷終側) 통전 단자가 마련된 코일 보빈과, 그 코일 보빈에 권장됨과 함께, 시단(始端)이 상기 권시측 통전 단자에 묶여져서 고정되고, 종단(終端)이 상기 권종측 통전 단자에 묶여져서 고정되는 마그넷 와이어와, 그 마그넷 와이어의 외주부를 덮는 몰드 수지를 구비하는 코일 장치로서, 상기 권종측 통전 단자에는, 기단측(基端側)부터 상기 마그넷 와이어가 묶여지는 권종측 기단 묶음부와 권종측 선단 묶음부가 마련됨과 함께, 상기 권종측 기단 묶음부와 상기 권종측 선단 묶음부 사이에서 상기 마그넷 와이어를 상기 권종측 통전 단자에 결선하는 권종측 결선부가 마련되고, 상기 마그넷 와이어의 종단은, 상기 권종측 선단 묶음부의 코킹 및/또는 퓨징에 의해 상기 권종측 통전 단자에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바람직한 양태에서는, 상기 권종측 선단 묶음부는, 상기 권종측 통전 단자로부터 돌설되어 상기 마그넷 와이어가 묶여지는 비교적 폭이 좁은 휘감김부와, 그 휘감김부로부터 돌설되어 상기 권종측 통전 단자에 당접시켜지는 비교적 폭이 넓은 당접부를 갖는다.
더욱 바람직한 양태에서는, 상기 권종측 선단 묶음부의 상기 휘감김부와 상기 권종측 결선부는 같은 폭으로 형성된다.
다른 바람직한 양태에서는, 상기 권종측 통전 단자는 단면(斷面) 사각형을 가지며, 상기 권종측 선단 묶음부와 상기 권종측 결선부는, 상기 권종측 통전 단자에서의 같은 면에 대면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권시측 통전 단자에는, 선단측부터 상기 마그넷 와이어가 묶여지는 권시측 선단 묶음부와 권시측 기단 묶음부가 마련됨과 함께, 상기 권시측 선단 묶음부와 상기 권시측 기단 묶음부 사이에서 상기 마그넷 와이어를 상기 권시측 통전 단자에 결선하는 권시측 결선부가 마련된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전동밸브는, 상기 코일 장치를 갖는 스테핑 모터와, 밸브구(弁口)를 갖는 밸브 본체와, 상기 스테핑 모터에의 통전에 의해 발생하는 구동력에 의해 구동되어 상기 밸브구를 개폐하는 밸브축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전자밸브는, 상기 코일 장치와, 밸브구를 갖는 밸브 본체와, 상기 코일 장치에의 통전에 의해 발생하는 자력에 의해 구동되어 상기 밸브구를 개폐하는 밸브축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코일 보빈에 권장되는 마그넷 와이어의 종단은, 당해 마그넷 와이어의 종단이 묶여지는 권종측 선단 묶음부의 코킹 및/또는 퓨징에 의해 권종측 통전 단자에 고정되기 때문에, 상기 권종측 선단 묶음부를 이용하여 마그넷 와이어의 종단을 권종측 통전 단자에 확실하게 고정할 수 있음과 함께, 상기 권종측 선단 묶음부의 제거 작업이 불필요하게 되기 때문에, 제조 공수, 제조 비용 등을 대폭적으로 삭감할 수 있다.
또한, 권종측 통전 단자의 권종측 선단 묶음부와 권종측 결선부는, 당해 권종측 통전 단자에서의 같은 면에 대면하도록 형성되기 때문에, 마그넷 와이어를 권종측 통전 단자에 결선하는 작업과 권종측 통전 단자에 고정하는 작업을 용이하게 행할 수가 있어서, 제조 공정을 간소화할 수 있다.
도 1a는 본 발명에 관한 코일 장치의 한 실시 형태의 주요부를 도시하는 상방 사시도.
도 1b는 본 발명에 관한 코일 장치의 한 실시 형태의 주요부를 도시하는 하방 사시도.
도 2는 도 1a, b에 도시되는 코일 장치의 일부 노치 상면도.
도 3은 도 1a, b에 도시되는 코일 장치의 주요부 확대도 부착 하면도.
도 4는 도 3의 U-U 화살표 단면도.
도 5는 도 1a, b에 도시되는 코일 장치를 이용한 스테이터 코일의 조립 공정(조립 도중 상태 1)을 설명하는 사시도.
도 6은 도 1a, b에 도시되는 코일 장치를 이용한 스테이터 코일의 조립 공정(조립 도중 상태 2)을 설명하는 사시도.
도 7은 도 1a, b에 도시되는 코일 장치를 이용한 스테이터 코일의 조립 공정(조립 도중 상태 3)을 설명하는 사시도.
도 8은 도 1a, b에 도시되는 코일 장치를 이용한 스테이터 코일의 조립 공정(조립 완료 상태)을 설명하는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a, b는, 본 발명에 관한 코일 장치의 한 실시 형태의 주요부를 도시하는 사시도로서, 도 1a는 상방 사시도, 도 1b는 하방 사시도이다. 또한, 도 2는, 도 1a, b에 도시되는 코일 장치의 일부 노치 상면도, 도 3은, 도 1a, b에 도시되는 코일 장치의 주요부 확대도 부착 하면도, 도 4는, 도 3의 U-U 화살표 단면도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상하, 좌우, 전후 등의 위치, 방향을 나타내는 기술(記述)은, 설명이 번잡하게 되는 것을 피하기 위해 도면에 따라 편의상 붙여진 것이고, 실제의 사용 상태에서의 위치, 방향을 가리킨다고는 한하지 않는다.
도시한 실시 형태의 코일 장치(1)는, 주로, 통전 단자(15a, 15b)(권시측 통전 단자(15a), 권종측 통전 단자(15b))가 마련된 예를 들면 수지제의 코일 보빈(10)과, 코일 보빈(10)의 주위에 권장된 마그넷 와이어(20)를 구비하고 있다.
코일 보빈(10)의 하단 외주에는, 평면시(平面視) 개략 사각형의 단자 접속부(11)가 돌설되고, 그 단자 접속부(11)의 하면에, 통전 단자(15a, 15b)를 압입(壓入) 고정하기 위한 삽입구멍(13a, 13b)이 마련된 지지고정부(12a, 12b)가 일체적으로 형성(돌설)되어 있다. 도시례에서는, 사각형상의 2개의 지지고정부(12a, 12b)가 단자 접속부(11)의 외연에 따라 가로로 나열하여 형성됨과 함께, 각 지지고정부(12a, 12b)의 개략 중앙에, 단면(斷面) 사각형의 삽입구멍(13a, 13b)이 마련되어 있다.
또한, 단자 접속부(11)의 상면 외연(상세하게는, 하면측에 마련된 각 지지고정부(12a, 12b)의 상측)에는, 지지고정부(12a)에 지지 고정되는 통전 단자(15a)(의 기단 묶음부(22a))에 휘감겨진(묶여진) 마그넷 와이어(20)를 코일 보빈(10)에 대해 위치 결정하여 안내하기 위한 경사면으로 이루어지는 가이드부(14a)와, 코일 보빈(10)에 권장된 마그넷 와이어(20)를 지지고정부(12b)에 지지 고정되는 통전 단자(15b)(의 기단 묶음부(22b))에 대해 위치 결정하고 안내하기 위한 경사면으로 이루어지는 가이드부(14b)가 (가로로 나열하여) 형성되어 있다.
상기 단자 접속부(11)(의 각 지지고정부(12a, 12b))의 각 삽입구멍(13a, 13b)에는, 예를 들면, 단면 사각형의 선재나 판재로 제작된 통전 단자(15a, 15b)(의 기단부)가 압입되어 지지 고정되어 있다.
각 통전 단자(15a, 15b)는, 선단측이 후술하는 몰드 수지(5)(도 6, 7 참조)로부터 돌출하는 단면 개략 정방형의 단자부(16a, 16b)가 되고, 기단측이 몰드 수지(5)로 몰드된 약간 가로로 길다란 편평형상(환언하면, 단면 개략 장방형)의 도통부(17a, 17b)가 된다. 각 통전 단자(15a, 15b)의 도통부(17a, 17b)에는 각각, 마그넷 와이어(20)가 고착되어 전기적으로 접속(결선)된 결선부로서의 퓨징부(23a, 23b)가 마련됨과 함께, 그 퓨징부(23a, 23b)의 선단측 및 기단측에, 마그넷 와이어(20)가 묶여지는 선단 묶음부(21a, 21b) 및 기단 묶음부(22a, 22b)가 마련되어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통전 단자(권시측 통전 단자)(15a)에서, 도통부(17a)의 선단측 및 기단측(근원 부근)에, 일측부가 약간 패여진 형상의 폭협부로 이루어지는 선단 묶음부(권시측 선단 묶음부)(21a) 및 기단 묶음부(권시측 기단 묶음부)(22a)가 마련됨과 함께, 그 선단 묶음부(21a)와 기단 묶음부(22a)의 개략 중간에, 당해 통전 단자(15a)의 타측부(상기 일측부와는 반대측의 측부)로부터 횡방향으로 돌설됨과 함께 선단 부분이 당해 통전 단자(15a)의 하면에 대면하도록 반대측을 향하여 절곡하여 형성된(즉, 약 180°의 절곡 가공에 의해 제작된) 개략 사각형상의 훅형상 돌기로 이루어지는 퓨징부(권시측 결선부)(23a)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통전 단자(15a)(의 상기 타측부)에서, 선단 묶음부(21a)와 퓨징부(23a) 사이(도시례에서는, 선단 묶음부(21a)의 근방) 및 퓨징부(23a)와 기단 묶음부(22a) 사이(도시례에서는, 기단 묶음부(22a)의 근방)에는, 퓨징부(23a)에서의 마그넷 와이어(20)의 위치 결정을 행하기 위한 위치 결정 볼록부(24a, 25a)가 각각 돌설되어 있다.
한편, 통전 단자(권종측 통전 단자)(15b)에서, 도통부(17b)의 기단측(근원 부근)에는, 상기 통전 단자(권시측 통전 단자)(15a)측의 기단 묶음부(22a)와 같은(단, 기단 묶음부(22a)보다 길이 방향에서 약간 짧은 폭협부로 이루어지는) 기단 묶음부(권종측 기단 묶음부)(22b)가 마련됨과 함께, 도통부(17b)의 선단측에, 당해 통전 단자(15b)의 측부로부터 횡방향으로 돌설됨과 함께 선단 부분이 당해 통전 단자(15b)의 하면에 대면하도록 반대측을 향하여 절곡하여 형성된(즉, 약 180°의 절곡 가공에 의해 제작된) 단(段)이 있는 개략 사각형상의 훅형상 돌기로 이루어지는 선단 묶음부(권종측 선단 묶음부)(21b)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기단 묶음부(22b)와 선단 묶음부(21b)의 개략 중간에는, 상기 통전 단자(권시측 통전 단자)(15a)측의 퓨징부(23a)와 개략 동형상의 퓨징부(권종측 결선부)(23b)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통전 단자(15b)에서의 선단 묶음부(21b)는, 본 예에서는, 통전 단자(15b)로부터 돌설된 비교적 폭이 좁은 휘감김부(21ba)와, 그 휘감김부(21ba)로부터 돌설된 비교적 폭이 넓은 당접부(21bb)와의 단이 있게 구성되어 있고, 상기 휘감김부(21ba)의 (통전 단자(15b)의 길이 방향의) 폭은, 당해 통전 단자(15b)에서의 퓨징부(23b)나 상기 통전 단자(15a)에서의 퓨징부(23a)의 (통전 단자(15b)나 통전 단자(15a)의 길이 방향의) 폭과 개략 같게 설정되어 있다(특히, 도 3 참조).
또한, 통전 단자(15b)(의 상기 측부)에서, 기단 묶음부(22b)와 퓨징부(23b) 사이(도시례에서는, 기단 묶음부(22b)의 근방)에는, 퓨징부(23b)에서의 마그넷 와이어(20)의 위치 결정을 행하기 위한 위치 결정 볼록부(25b)가 돌설되어 있다.
마그넷 와이어(20)는, 소정의 인장력을 부여하면서, 그 시단측이 상기 통전 단자(15a)의 선단 묶음부(21a)에 몇 회 묶여지고, 위치 결정 볼록부(24a)를 통하여 위치 결정되어 퓨징부(23a)(구체적으로는, 통전 단자(15a)와 퓨징 전의 훅형상의 퓨징부(23a) 사이의 간극)를 통과되고, 위치 결정 볼록부(25a)를 통하여 근원 부근의 기단 묶음부(22a)에 묶여 진 후, 단자 접속부(11)의 가이드부(경사면)(14a)를 통하여(즉, 가이드부(14a)에 따라 안내되어) 코일 보빈(10)의 주위에 권장된다. 코일 보빈(10)에 권장된 마그넷 와이어(20)의 종단측은, 단자 접속부(11)의 가이드부(경사면)(14b)를 통하여(즉, 가이드부(14b)에 따라 안내되어) 상기 통전 단자(15b)의 근원 부근의 기단 묶음부(22b)에 묶여지고, 위치 결정 볼록부(25b)를 통하여 위치 결정되어 퓨징부(23b)(구체적으로는, 통전 단자(15b)와 퓨징 전의 훅형상의 퓨징부(23b) 사이)를 통과되어, 선단 묶음부(21b)에서의 휘감김부(21ba)에 몇 회 묶여 진 후, 그 마그넷 와이어(20)의 시단 및 종단은, 각 통전 단자(15a, 15b)의 모서리부(角部)를 이용하여 소정의 개소에서 절단된다. 그리고, 마그넷 와이어(20)(의 시단측 및 종단측)는, 각 통전 단자(15a, 15b)의 퓨징부(23a, 23b)에서의 (하면측부터의) 퓨징에 의해(상세하게는, 각 통전 단자(15a, 15b)에 돌설된 퓨징부(23a, 23b)에서 마그넷 와이어(20)를 끼워 넣고) 각 통전 단자(15a, 15b)에 고착되어 전기적으로 접속(도통)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 퓨징부(23a, 23b)에서의 퓨징 후에, 선단 묶음부(21b)에서의 비교적 폭이 넓은 당접부(21bb)를 통전 단자(15b)에 압접하여(꽉눌러서 당접시켜서), 당해 선단 묶음부(21b)를 (하면측부터) 코킹 또는 퓨징 또는 그 양쪽을 행함에 의해, 마그넷 와이어(20)의 종단(통전 단자(15b)의 선단 묶음부(21b)에 묶여진 부분)이 통전 단자(15b)에 고정(고착)되게 된다.
또한, 마그넷 와이어(20)의 종단의 통전 단자(15b)에의 고정은, 상기 퓨징부(23a, 23b)에서의 퓨징 전에 행하여도 좋고, 상기 퓨징부(23a, 23b)에서의 퓨징과 함께 행하여도 좋다.
그리고, 상기 코일 장치(1)에서의 마그넷 와이어(20)의 외주부나 코일 보빈(10)의 단자 접속부(11), 그 단자 접속부(11)에 고정된 통전 단자(15a, 15b)의 도통부(17a, 17b)의 외측 등을 덮도록 몰드 수지(도 1a, b 등에서는 부도시이지만, 도 6, 7에 도시)가 성형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코일 장치(1)는, 예를 들면, 당해 코일 장치(1)로 구성되는 스테이터 코일을 구비한 스테핑 모터와, 밸브구를 갖는 밸브 본체와, 상기 스테핑 모터에의 통전에 의해 발생하는 구동력에 의해 구동되어 상기 밸브구를 개폐하는 밸브축을 구비하는 전동밸브(예를 들면 냉동 사이클이나 히트 펌프식 냉난방 시스템 등에 사용되는 전동밸브)에 이용된다(상세 구조에 관해서는, 상기 특허문헌 1등 참조).
상기 코일 장치(1)로 구성되는 스테이터 코일의 조립 방법의 한 예를 도 5∼도 8을 참조하면서 개설(槪說)하면, 우선, 상기한 구성의 코일 장치(1)(몰드 수지 성형 전의 상태)를 복수(본 예에서는, 2개) 준비하고(이하, 코일 장치(1, 2)라고 한다), 복수의 자극치가 내주연에 돌설된 내요크(3, 4)를 각 코일 장치(1, 2)에 장착한 상태에서, 각 코일 장치(1, 2)를 등(背中)(도 1a, b의 하면)을 맞추어서 배치한다. 이때, 각 코일 장치(1, 2)(의 단자 접속부(11))에 고정된 (4개의) 통전 단자(15a, 15b)는 횡방향(동일 평면상)에 나열되도록 배치된다(도 5에 도시되는 상태).
뒤이어, 각 코일 장치(1, 2)의 마그넷 와이어(20)의 외주부나 코일 보빈(10)의 단자 접속부(11), 그 단자 접속부(11)에 고정된 통전 단자(15a, 15b)의 근원 부분(도통부(17a, 17b))의 외측을 덮도록, 또한, 통전 단자(15a, 15b)의 선단 부분(단자부(16a, 16b))가 노출하도록, 몰드 수지(5)를 성형하고(도 6에 도시되는 상태), 그 상하에, 내요크(3, 4)의 자극치와 동수의 자극치가 내주연에 돌설된 외요크(6, 7)를 (내요크(3, 4)의 자극치 사이에 외요크(6, 7)의 자극치가 위치 결정된 상태에서) 장착한다(도 7에 도시되는 상태). 여기서, 외요크(6, 7)끼리의 사이에는, 내부에 수지를 도입하기 위한 개구(8)가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자극치 사이의 간극이나 외요크(6, 7)의 외측 등을 덮도록, 또한, 통전 단자(15a, 15b)의 선단 부분(단자부(16a, 16b))가 커넥터(9a) 내에 배치되도록, 수지 성형된 외곽체(9)(여기서는, 통형상의 커넥터(9a)가 일체로 형성된 외곽체(9))를 형성한다(도 8에 도시되는 상태). 이에 의해, 전동밸브용의 스테핑 모터를 구성하는 스테이터 코일이 조립된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코일 장치(1)는, 당해 코일 장치(1)로 이루어지는 솔레노이드 코일과, 밸브구를 갖는 밸브 본체와, 상기 솔레노이드 코일에의 통전에 의해 발생하는 자력에 의해 구동되어 상기 밸브구를 개폐하는 밸브축을 구비하는 전자밸브(예를 들면 냉동 사이클이나 멀티 에어컨 시스템 등의 유체 시스템에 사용되는 전자밸브) 등에도 이용되는 것은 상세히 기술할 것도 없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는, 코일 보빈(10)에 권장되는 마그넷 와이어(20)의 종단은, 당해 마그넷 와이어(20)의 종단이 묶여지는 선단 묶음부(권종측 선단 묶음부)(21b)의 코킹 및/또는 퓨징에 의해 통전 단자(권종측 통전 단자15b)에 고정되기 때문에, 상기 선단 묶음부(21b)를 이용하여 마그넷 와이어(20)의 종단을 통전 단자(15b)에 확실하게 고정할 수 있음과 함께, 상기 선단 묶음부(21b)의 제거 작업이 불필요하게 되기 때문에, 제조 공수, 제조 비용 등을 대폭적으로 삭감할 수 있다.
또한, 통전 단자(15b)의 선단 묶음부(권종측 선단 묶음부)(21b)와 퓨징부(권종측 결선부)(23b)는, 당해 통전 단자(15b)에서의 같은 면(본 실시 형태에서는, 하면)에 대면하도록 형성되기 때문에, 마그넷 와이어(20)를 통전 단자(15b)에 결선하는 작업과 통전 단자(15b)에 고정하는 작업을 용이하게 행할 수가 있어서 제조 공정을 간소화할 수 있다.
또한, 통전 단자(15b)의 선단 묶음부(권종측 선단 묶음부)(21b)가 비교적 폭이 좁은 휘감김부(21ba)와 비교적 폭이 넓은 당접부(21bb)로 구성되고, 그 휘감김부(선단 묶음부(21b)의 코킹이나 퓨징에 의해 굽힘 변형하는 부분에 상당)(21ba)와 퓨징부(권종측 결선부)(23b)가 개략 같은 폭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이에 의해서도, 마그넷 와이어(20)를 통전 단자(15b)에 결선하는 작업과 통전 단자(15b)에 고정하는 작업을 간편하게 행할 수 있고, 제조 공정을 간소화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마그넷 와이어(20)에 내열 마그넷 와이어를 사용한 경우를 상정하여, 각 통전 단자(15a, 15b)에 대한 마그넷 와이어(20)의 고정·도통(결선)를 퓨징에 의해 행하는 것으로 하고 있지만, 마그넷 와이어의 종류 등에 응하여, 예를 들면, 걸기(hooking), 솔더링 등의 그 밖의 결선 수법에 의해 결선하여도 좋음은 물론이다
1 : 코일 장치
10 : 코일 보빈
11 : 단자 접속부
12a, 12b : 지지고정부
13a, 13b : 삽입구멍
14a, 14b : 가이드부
15a, 15b : 통전 단자
16a, 16b : 단자부
17a, 17b : 도통부
20 : 마그넷 와이어
21a, 21b : 선단 묶음부(권시측 선단 묶음부, 권종측 선단 묶음부)
21ba : 휘감김부
22bb : 당접부
22a, 22b : 기단 묶음부(권시측 기단 묶음부, 권종측 기단 묶음부)
23a, 23b : 퓨징부(권시측 결선부, 권종측 결선부)
24a, 25a, 25b : 위치 결정 볼록부

Claims (7)

  1. 권시측 통전 단자 및 권종측 통전 단자가 마련된 코일 보빈과, 그 코일 보빈에 권장됨과 함께, 시단이 상기 권시측 통전 단자에 묶여져서 고정되고, 종단이 상기 권종측 통전 단자에 묶여져서 고정되는 마그넷 와이어와, 그 마그넷 와이어의 외주부를 덮는 몰드 수지를 구비하는 코일 장치로서,
    상기 권종측 통전 단자에는, 기단측부터 상기 마그넷 와이어가 묶여지는 권종측 기단 묶음부와 권종측 선단 묶음부가 마련됨과 함께, 상기 권종측 기단 묶음부와 상기 권종측 선단 묶음부 사이에서 상기 마그넷 와이어를 상기 권종측 통전 단자에 결선하는 권종측 결선부가 마련되고,
    상기 마그넷 와이어의 종단은, 상기 권종측 선단 묶음부의 코킹 및/또는 퓨징에 의해 상기 권종측 통전 단자에 고정되고,
    상기 권종측 선단 묶음부는, 상기 권종측 통전 단자로부터 돌설되어 상기 마그넷 와이어가 묶여지는 휘감김부와, 그 휘감김부로부터 돌설되어 상기 권종측 통전 단자에 당접시켜지는 당접부를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권종측 통전 단자의 길이 방향에서 상기 휘감김부의 폭은, 상기 권종측 통전 단자의 길이 방향에서 상기 당접부의 폭과 비교하여 좁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권종측 선단 묶음부의 상기 휘감김부와 상기 권종측 결선부는 같은 폭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 장치.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권종측 통전 단자는 단면 사각형을 가지며, 상기 권종측 선단 묶음부와 상기 권종측 결선부는, 상기 권종측 통전 단자에서의 같은 면에 대면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 장치.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권시측 통전 단자에는, 선단측부터 상기 마그넷 와이어가 묶여지는 권시측 선단 묶음부와 권시측 기단 묶음부가 마련됨과 함께, 상기 권시측 선단 묶음부와 상기 권시측 기단 묶음부 사이에서 상기 마그넷 와이어를 상기 권시측 통전 단자에 결선하는 권시측 결선부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 장치.
  6. 제1항 또는 제2항에 기재된 코일 장치를 갖는 스테핑 모터와, 밸브구를 갖는 밸브 본체와, 상기 스테핑 모터에의 통전에 의해 발생하는 구동력에 의해 구동되어 상기 밸브구를 개폐하는 밸브축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밸브.
  7. 제1항 또는 제2항에 기재된 코일 장치와, 밸브구를 갖는 밸브 본체와, 상기 코일 장치에의 통전에 의해 발생하는 자력에 의해 구동되어 상기 밸브구를 개폐하는 밸브축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밸브.
KR1020197022124A 2017-03-21 2017-12-05 코일 장치 및 그것을 이용한 전동밸브 및 전자밸브 KR10217292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7-054362 2017-03-21
JP2017054362A JP6774681B2 (ja) 2017-03-21 2017-03-21 コイル装置並びにそれを用いた電動弁及び電磁弁
PCT/JP2017/043612 WO2018173378A1 (ja) 2017-03-21 2017-12-05 コイル装置並びにそれを用いた電動弁及び電磁弁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4358A KR20190104358A (ko) 2019-09-09
KR102172923B1 true KR102172923B1 (ko) 2020-11-02

Family

ID=635864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22124A KR102172923B1 (ko) 2017-03-21 2017-12-05 코일 장치 및 그것을 이용한 전동밸브 및 전자밸브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393613B2 (ko)
EP (1) EP3605799B1 (ko)
JP (1) JP6774681B2 (ko)
KR (1) KR102172923B1 (ko)
CN (1) CN110462985B (ko)
WO (1) WO2018173378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79770B1 (ko) * 2021-10-11 2022-12-21 칸비시 코퍼레이션 전자기 코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591031B1 (ja) * 2018-12-06 2019-10-16 三菱電機株式会社 コイル装置
KR102236789B1 (ko) * 2019-09-04 2021-04-06 주식회사 신라공업 전기 자동차의 후륜 구동용 클러치 시스템의 스테이터 및 그 제조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204433A (ja) * 2014-04-16 2015-11-16 株式会社不二工機 電磁的駆動コイル装置及びその成形方法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228937A (ja) * 1987-03-16 1988-09-22 Mitsubishi Electric Corp ブラシレスモ−タの端子装置
JP3415281B2 (ja) 1994-08-18 2003-06-09 株式会社不二工機 電動流量制御弁
JPH11186023A (ja) * 1997-12-25 1999-07-09 Honda Lock Mfg Co Ltd コイル装置
JP3868200B2 (ja) 2000-10-06 2007-01-17 三菱電機株式会社 電動機の固定子及び電動機及び空気調和機
JP4784676B2 (ja) 2009-03-31 2011-10-05 株式会社デンソー コイル装置のターミナル構造
JP2012156188A (ja) * 2011-01-24 2012-08-16 Saginomiya Seisakusho Inc コイルおよびコイルを用いた電磁弁
CN202632925U (zh) 2012-06-27 2012-12-26 阿米斯科自动化元件(深圳)有限公司 线圈及其接线端子
JP6486667B2 (ja) * 2014-11-28 2019-03-20 株式会社ユーシン コイル装置の結線構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204433A (ja) * 2014-04-16 2015-11-16 株式会社不二工機 電磁的駆動コイル装置及びその成形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79770B1 (ko) * 2021-10-11 2022-12-21 칸비시 코퍼레이션 전자기 코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393613B2 (en) 2022-07-19
JP6774681B2 (ja) 2020-10-28
KR20190104358A (ko) 2019-09-09
EP3605799A1 (en) 2020-02-05
US20200043640A1 (en) 2020-02-06
CN110462985B (zh) 2021-10-29
EP3605799B1 (en) 2022-02-23
CN110462985A (zh) 2019-11-15
JP2018157720A (ja) 2018-10-04
EP3605799A4 (en) 2020-12-23
WO2018173378A1 (ja) 2018-09-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72923B1 (ko) 코일 장치 및 그것을 이용한 전동밸브 및 전자밸브
CN103368305B (zh) 马达结构
JP4487558B2 (ja) コイルブロック
KR101784789B1 (ko) 필드 코일 어셈블리
CN113196424B (zh) 模制线圈及其制造方法
US9312056B2 (en) Coil assembly
JP7186446B2 (ja) 樹脂モールド電磁コイルおよびそれを備えた電磁弁
US8587397B2 (en) Solenoid with a connection region
JP6552757B2 (ja) コイル装置並びにそれを用いた電動弁及び電磁弁
JP4056632B2 (ja) 電磁継電器とその製造方法
JP7136986B1 (ja) 電磁コイル
JP4169179B2 (ja) コイル部材
KR101921634B1 (ko) 압축기 클러치용 필드코일 어셈블리
JP2604346Y2 (ja) 電磁継電器
KR102428489B1 (ko) 코일 장치 및 그것을 이용한 전동 밸브 및 전자 밸브
JP2000260284A (ja) 電磁リレー及びその組立て方法
KR101152019B1 (ko) 압축기용 전자클러치의 필드코일 어셈블리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497738B1 (ko) 릴레이 구조
KR20060088141A (ko) 압축기용 전자클러치의 필드코일 조립체
KR200332879Y1 (ko) 릴레이 구조
JP5959380B2 (ja) 電動機の製造方法
JP2606460Y2 (ja) 電磁継電器
JP2018107070A (ja) 電磁継電器
JPH06325676A (ja) リードリレー
JPH11232982A (ja) 電磁継電器およ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