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21634B1 - 압축기 클러치용 필드코일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압축기 클러치용 필드코일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21634B1
KR101921634B1 KR1020170031544A KR20170031544A KR101921634B1 KR 101921634 B1 KR101921634 B1 KR 101921634B1 KR 1020170031544 A KR1020170031544 A KR 1020170031544A KR 20170031544 A KR20170031544 A KR 20170031544A KR 101921634 B1 KR101921634 B1 KR 1019216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der
copper wire
field coil
clip terminal
lead w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315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04812A (ko
Inventor
고인규
신창민
박재성
Original Assignee
(주) 한국정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한국정공 filed Critical (주) 한국정공
Priority to KR10201700315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21634B1/ko
Publication of KR201801048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048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16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16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7/00Magnetically- or electrically- actuated clutches; Control or electric circuits therefor
    • F16D27/14Det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7/00Magnetically- or electrically- actuated clutches; Control or electric circuits therefor
    • F16D27/10Magnetically- or electrically- actuated clutches; Control or electric circuits therefor with an electromagnet not rotating with a clutching member, i.e. without collecting 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2Cooling devices
    • B60H1/3204Cooling devices using compression
    • B60H1/3222Cooling devices using compression characterised by the compressor driving arrangements, e.g. clutches, transmissions or multiple dri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7/00Magnetically- or electrically- actuated clutches; Control or electric circuits therefor
    • F16D2027/001Means for electric connection of the coils of the electromagnetic clutch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mpressor (AREA)
  • Compressors, Vaccum Pumps And Other Relevant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압축기 클러치용 필드코일 어셈블리에 관한 발명으로, 필드코일을 내부에 권취하는 코어(110)의 일측에서 필드코일에 전원을 인가하도록 구비하는 압축기 클러치용 필드코일 어셈블리(100)에 있어서, 코어(110)를 커버하는 하우징(120)과; 하우징(120)의 일측에서 코어(110)의 커넥터(111)와 일체로 결합하고, 필드코일의 동선와이어(112)와 전원 공급용 리드와이어(130)를 내부로 인입하는 홀더(140)와; 홀더(140) 내부에 한 쌍을 상호 대칭하도록 장착하여 동선와이어(112)와 다이오드(150)와 리드와이어(130)를 상호 접속하는 클립터미널(160)과; 홀더(140) 일측에 장착하여 홀더(140) 내부로 인입하는 리드와이어(130)를 고정하는 고정캡(170)을 포함하고; 홀더(140)는, 클립터미널(160)과 고정캡(170)을 장착한 상태에서 코어(110) 및 하우징(120)과 일체로 인서트 사출 성형하는 것을 포함하여 구성함에 따라 필드코일 어셈블리의 내부 구조를 간소화하여 조립성 및 접속관계가 현지히 개선된 필드코일 어셈블리를 구성하는 것이 특징이다.

Description

압축기 클러치용 필드코일 어셈블리{FIELD COIL ASSEMBLY FOR COMPRESSOR CLUTCHES}
본 발명은 압축기 클러치용 필드코일 어셈블리에 관한 발명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자동차의 압축기 클러치에 구비되어 전원을 인가받아 코일에 의해 자기장을 발생시키는 필드코일 어셈블리에 있어서 코어의 동선와이어와 다이오드와 전원을 공급하는 리드와이어를 접속하는 구성 일체의 조립구조를 개선하여 퓨징불량을 배제하고 조립성이 우수한 필드코일 어셈블리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반적으로, 자동차 공조장치의 냉방시스템의 압축기는 차량 엔진의 동력을 전달하는 클러치의 구동에 의해 작동이 제어된다.
압축기 클러치에는 전원 인가에 의해 자기장을 발생하는 필드코일 어셈블리가 구비된다. 즉, 필드코일 어셈블리에서 발생한 자속은 압축기의 구동축의 디스크에 흡인되고 엔진의 동력에 의해 구동하는 풀리와 디스크의 마찰에 의해 동력을 전달함으로써 압축기의 작동을 제어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필드코일 어셈블리는 내부에 구비되는 코일에 전원을 인가하여 전자기 유도에 의해 자기장을 발생한다. 코일의 전원 인가 여부에 따라서 상기 압축기 클러치의 동력을 단속하여 냉방시스템의 작동을 제어하도록 한다.
통상적인 필드코일 어셈블리에 관한 기술의 일례로서 공개특허 제 10 - 2004 - 0006357 호에 공지된 기술을 개략적으로 살펴보면, 하우징에 내장되며 일측에 상기 하우징에 대해 돌출되는 돌출접속부를 가지는 보빈과, 상기 보빈 내에 수용되며 그 양단은 상기 보빈의 돌출접속부에 고정되는 코일과, 상기 코일에 전류를 인가하기 위한 외부리드선이 형성된 슬리브를 구비하고, 상기 슬리브의 내부에 역기 전류를 방지할 수 있는 다이오드를 구비하고, 상기 다이오드는 터미널 사이에 확보된 공간부에 안착되고 그 양단의 리드선은 상기 터미널 각각에 납땜 고정되는 필드코일 조립체를 구성한다.
또 다른 예로서, 등록실용신안 제 20 - 0309792 호에 공지된 자동차 에어콘용 필드 코일 조립체 구성을 개략적으로 살펴보면, 동심으로 배치된 내측 및 외측의 중공 원통으로 이루어지며 그 일단부가 서로 연결되어 막혀있는 하우징과, 상기 내측 및 외측의 중공 원통 사이에 수납되며 그 외주면의 일측 또는 양측에 플랜지가 형성된 보빈과, 상기 보빈의 외주면에 감기며 그 양단이 하우징의 외부로 인출된 리드선에 연결되는 코일을 포함하여 구성하고, 코일에는 퓨즈 고정부에 구비하는 퓨즈를 용접에 의해 연결하여 전원을 인가하도록 구성한다.
공개특허 제 10 - 2004 - 0006357 호 (2004.01.24) 등록실용신안 제 20 - 0309792 호 (2003.04.11) 등록특허 제 10 - 1588138 호 (2016.01.25) 등록특허 제 10 - 1099115 호 (2011.12.27)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이 적용되는 필드코일 어셈블리는 내부에 복수의 퓨징 터미널을 구비하고 코일 및 다이오드의 리드선 및 전원을 인가하는 리드선 등을 각각의 퓨징 터미널에 용접 및 납땜하여 접속하도록 구성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터미널은 코일의 리드선을 감싸 납땜 고정하는 터미널과, 전원을 인가하는 전원선을 납땜 고정하는 터미널, 및 다이오드 단자를 납땜 고정하는 터미널 등으로 이루어지고 이들 퓨징 터미널은 용접에 의해 조립하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종래 기술의 필드코일 어셈블리는 다수의 부품을 퓨징하여 조립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므로 그 내부구조가 매우 복잡한 단점이 있다.
특히, 낮은 조립성으로 인해 퓨징 불량의 발생빈도가 높을 뿐만 아니라 용접 및 납땜 작업으로 인한 작업효율의 저하, 및 각종 유해물질의 발생에 의한 작업환경의 악화를 초래하는 문제를 내포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한 것으로서,
필드코일을 내부에 권취하는 코어(110)의 일측에서 필드코일에 전원을 인가하도록 구비하는 압축기 클러치용 필드코일 어셈블리(100)에 있어서,
상기 코어(110)를 커버하는 하우징(120)과;
상기 하우징(120)의 일측에서 코어(110)의 커넥터(111)와 일체로 결합하고, 필드코일의 동선와이어(112)와 전원 공급용 리드와이어(130)를 내부로 인입하는 홀더(140)와;
상기 홀더(140) 내부에 한 쌍을 상호 대칭하도록 장착하여 동선와이어(112)와 다이오드(150)와 리드와이어(130)를 상호 접속하는 클립터미널(160)과;
상기 홀더(140) 일측에 장착하여 홀더(140) 내부로 인입하는 리드와이어(130)를 고정하는 고정캡(170)을 포함하고;
상기 홀더(140)는, 클립터미널(160)과 고정캡(170)을 장착한 상태에서 코어(110) 및 하우징(120)과 일체로 인서트 사출 성형하여 구성한다.
또한, 상기 홀더(140)는, 커넥터(111)로부터 인출되는 한 쌍의 동선와이어(112)를 수직으로 인입하는 인입구(141)와, 인입구(141)의 일측에서 수평 방향으로 일정 길이로 형성하는 반호형의 안착홈(142)으로 이루어져 동선와이어(112)를 절곡하여 수평으로 안착하는 동선와이어고정부(143)와; 상기 동선와이어고정부(143) 상에서 안착홈(142)에 교차하는 복수의 홈을 안착홈(142)보다 깊게 형성하는 클립터미널고정부(145)와; 상기 동선와이어고정부(143)의 일측에서 상향 돌출하는 다이오드보호벽(146)의 타측에서 다이오드(150)와 리드와이어(130)와 클립터미널(160)을 수용하는 수용부(147)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또한, 상기 클립터미널(160)은, '∩'자 형상으로 이루어져 각 단을 홀더(140)의 클립터미널고정부(145)에 삽입하고, 각 단에는 하단이 개구되는 접속장공(161)을 형성하는 동선와이어탈피부(162)와; 상기 동선와이어탈피부(162)의 상단에서 연장하는 브릿지(163)상에서 상향 형성하고 중심에는 상단이 개구되어 다이오드(150) 단자를 조립하는 조립장공(164)을 형성하는 다이오드조립부(165)와; 상기 다이오드조립부(165)의 하단에서 연장하는 브릿지(163)상에서 'V'자 형상으로 상향 형성하고 내측에는 복수의 압착홈(166)을 구비하는 리드와이어압착부(167)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또한, 상기 홀더(140)에는, 수용부(147)의 일측에서 절곡 형성하고 리드와이어(130)의 하측을 수용하여 안내하는 한 쌍의 하측안내홈(148)을 형성하는 리드와이어안내부(149)를 구비하고; 상기 리드와이어안내부(149)에 장착하는 고정캡(170)에는, 상기 하측안내홈(148)에 상응하는 한 쌍의 상측안내홈(171)을 형성하여 리드와이어(130)를 고정하도록 구성한다.
따라서, 내부 구조를 간소화하면서 조립성 및 작업성, 성능이 우수한 압축기 클러치용 필드코일 어셈블리를 구성할 수 있는 목적 달성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압축기 클러치용 필드코일 어셈블리는 필드코일 어셈블리의 구성을 크게 홀더, 클립터미널, 고정캡으로 구성함으로써 내부 구조를 매우 간소화하면서 조립성 및 작업성을 향상하는 이점이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상기 구성들의 조립에 의해 코일의 동선와이어 및 다이오드, 전원 공급용 리드와이어를 효과적으로 접속하도록 구성하므로, 종래 기술에서와 같은 복수의 퓨징 터미널을 용접이나 납땜에 의해 조립, 퓨징하는 것과 같은 공정을 배제하는 이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 기술과 대비하여 부품수를 최소화하고 공정을 간소화하여 원가 및 비용을 절감하는 경제적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특히, 용접이나 납땜 공정 시 발생하는 유해물질에 의한 작업환경 악화를 배제하고, 각종 리드선의 피복 절개와 같은 부수적인 작업 역시 배제하여 작업효율을 증진할 수 있는 등의 다양한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압축기 클러치용 필드코일 어셈블리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압축기 클러치용 필드코일 어셈블리의 분해 사시도.
도 3 내지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압축기 클러치용 필드코일 어셈블리의 요부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압축기 클러치용 필드코일 어셈블리의 홀더(140)를 도시한 평면도(a)와 측면도(b) 및 B-B선을 따라서 취한 단면도(c).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압축기 클러치용 필드코일 어셈블리의 클립터미널(160)을 도시한 평면도(a)와 측면도(b) 및 정면도(c).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압축기 클러치용 필드코일 어셈블리의 고정캡(170)을 도시한 평면도(a)와 측면도(b) 및 정면도(c)와 저부 사시도(d).
도 8은 도 3의 A-A선을 따라서 취한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압축기 클러치용 필드코일 어셈블리의 예시도.
이하, 본 발명의 압축기 클러치용 필드코일 어셈블리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구성과 작용을 첨부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압축기 클러치용 필드코일 어셈블리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압축기 클러치용 필드코일 어셈블리의 분해 사시도, 도 3 내지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압축기 클러치용 필드코일 어셈블리의 요부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압축기 클러치용 필드코일 어셈블리의 홀더(140)를 도시한 평면도(a)와 측면도(b) 및 B-B선을 따라서 취한 단면도(c),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압축기 클러치용 필드코일 어셈블리의 클립터미널(160)을 도시한 평면도(a)와 측면도(b) 및 정면도(c),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압축기 클러치용 필드코일 어셈블리의 고정캡(170)을 도시한 평면도(a)와 측면도(b) 및 정면도(c)와 저부 사시도(d), 도 8은 도 3의 A-A선을 따라서 취한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압축기 클러치용 필드코일 어셈블리의 예시도로서 함께 설명한다.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되는 압축기 클러치용 필드코일 어셈블리는 자동차 공조장치의 압축기 클러치에 구비되어 전원을 인가받아 코일에 의해 자기장을 발생시키는 필드코일 어셈블리에 있어서 코어(110)의 동선와이어(112)와 다이오드(150) 및 전원을 공급하는 리드와이어를 접속하는 구성 일체의 조립구조를 개선하여 부품의 간소화 및 작업성, 조립성을 향상하는 필드코일 어셈블리에 관한 것임을 주지한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의 압축기 클러치용 필드코일 어셈블리(100)는 도 1 내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필드코일을 내부에 권취하는 코어(110)의 일측에서 필드코일에 전원을 인가하도록 구비하는 압축기 클러치용 필드코일 어셈블리(100)를 구성하며, 구체적으로는 하기와 같다.
본 발명의 필드코일 어셈블리(100)는 필드코일을 내장하는 코어(110)와, 코어(110)를 커버하는 하우징(120)과, 하우징(120)의 일측에서 코어(110)의 커넥터(111)에 결합하는 홀더(140)를 포함한다.
상기 코어(110)는 필드코일을 권취하는 몸체의 일측으로 커넥터(111)를 구비하여 동선와이어(112)를 인출한다. 필드코일은 동선와이어(112)를 통해 전원을 인가받아 자기장을 발생하며, 이에 관해서는 전술한 배경기술을 통해 살펴본바,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코어(110)는 하우징(120)에 의해 커버하되 상기 커넥터(111)는 하우징(120) 외부로 구비하여 전원 인가 구조를 탑재하는 홀더(140)와 결합한다.
상기 홀더(140)는 하우징(120)의 일측에서 코어(110)의 커넥터(111)와 일체로 결합하고, 필드코일의 동선와이어(112)와 전원 공급용 리드와이어(130)를 내부로 인입한다.
상기 홀더(140)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후술하게 될 클립터미널(160)과 고정캡(170)을 장착한 상태에서 코어(110) 및 하우징(120)과 일체로 인서트 사출 성형하여 도 9의 예시도에서와 같이 구비한다.
도 4 또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홀더(140)는 크게 커넥터(111)로부터 인출하는 동선와이어(112)를 고정하는 동선와이어고정부(143)와, 클립터미널(160)을 고정하는 클립터미널고정부(145)와, 다이오드(150) 및 클립터미널(160)을 수용하는 수용부(147)로 구성한다.
상기 동선와이어고정부(143)는 커넥터(111)로부터 인출되는 한 쌍의 동선와이어(112)를 수직으로 인입하는 인입구(141)와, 인입구(141)의 일측에서 수평 방향으로 일정 길이로 형성하는 반호형의 안착홈(142)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인입구(141)는 동선와이어고정부(143)의 심부 하측에서 상향 형성한다. 본 발명에서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형의 인입구(141)를 통과한 동선와이어(112)의 경로를 안착홈(142)의 위치까지 수직 방향으로 유지하도록 인입구(141)로부터 반호 형상의 인입경로(미부호)를 상향 연장하여 구성한다.
상기 안착홈(142)은 상기 인입구(141)로부터 수직으로 연장하는 인입경로의 말단에서 일측 수평방향으로 반호 형상으로 형성한다. 따라서 상기 코어(110)의 커넥터(111)로부터 홀더(140)의 인입구(141)를 통해 동선와이어(112)를 수직 인입하고, 안착홈(142)을 통해 동선와이어(112)를 절곡하여 수평으로 안착한다.
상기 클립터미널고정부(145)는 동선와이어고정부(143) 상에서 안착홈(142)에 교차하는 복수의 홈을 안착홈(142)보다 깊게 형성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서는 상기 클립터미널고정부(145)를 안착홈(142)의 양측 2개소에 형성하여 홀더(140) 상에 4개소를 구비함으로써 클립터미널(160)에 한 쌍으로 구비되는 동선와이어탈피부(162)를 고정하고, 동시에 클립터미널(160)을 홀더(140)에 안정적으로 장착한다.
상기 수용부(147)는 동선와이어고정부(143)의 일측에서 상향 돌출하는 다이오드보호벽(146)의 타측에서 다이오드(150)와 리드와이어(130)와 클립터미널(160)을 수용한다.
상기 다이오드보호벽(146)은 동선와이어고정부(143)와 수용부(147)의 경계를 형성함과 동시에 홀더(140)를 사출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고열, 고압에 의한 영향을 차단하여 다이오드(150)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다이오드(150)는 수용부(147)에 장착하는 클립터미널(160)에 의해 필드코일의 동선와이어(112) 및 리드와이어(130)와 접속하여 전원을 인가한다.
따라서, 상기 수용부(147)에는 다이오드보호벽(146)의 타측 저부에 소정의 홈(미부호)를 형성하여 다이오드(150)의 이탈 및 유동을 방지하도록 구성한다.
도 4 또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클립터미널(160)은 상기 홀더(140) 내부에 한 쌍을 상호 대칭하도록 장착하여 동선와이어(112)와 다이오드(150)와 리드와이어(130)를 상호 접속한다.
상기 클립터미널(160)은 크게 상기 홀더(140)의 클립터미널고정부(145)에 고정하는 동선와이어탈피부(162)와, 다이오드(150)를 조립하는 다이오드조립부(165)와, 외부 전원을 인가하는 리드와이어압착부(167)로 구성한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동선와이어탈피부(162)는 '∩'자 형상으로 이루어져 각 단을 상기 홀더(140)의 클립터미널고정부(145)에 삽입한다.
즉, 상기 동선와이어탈피부(162)의 양단은 홀더(140)의 안착홈(142)에 교차하여 형성하는 클립터미널고정부(145)에 삽입하여 안착홈(142)에 안착된 동선와이어(112)를 클립터미널(160)에 접속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동선와이어탈피부(162)의 각 단에는 하단이 개구되는 접속장공(161)을 형성하되, 클립터미널고정부(145)의 안착홈(142)의 중심에 상응하도록 형성한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도 6의 (b)에서와 같이 상기 접속장공(161)을 동선와이어(112)의 외경에 상응하는 하단에 비해 상부의 폭을 좁게 형성한다. 따라서, 도 8의 단면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클립터미널(160)을 클립터미널고정부(145)에 장착하여 동선와이어탈피부(162)가 동선와이어고정부(143)로 삽입되는 과정에서 접속장공(161)의 내측으로 동선와이어(112)가 접촉하면서 피복 절개 및 접속이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종래 기술에서와같이 상기 동선와이어(112)의 피복을 수작업으로 일일이 탈피하는 고충을 배제하고 탈피 과정에서 단자를 손상하여 퓨징 불량을 야기하는 문제 역시 배제할 수 있다.
상기 다이오드조립부(165)는 동선와이어탈피부(162)의 상단에서 연장하는 브릿지(163)상에서 상향 형성하고 중심에는 상단이 개구되어 다이오드(150) 단자를 조립하는 조립장공(164)을 형성한다.
상기 다이오드(150)는 2단자 소자로 이루어지므로 홀더(140)의 수용부(147)에 한 쌍을 장착하는 클립터미널(160) 각각에 형성하는 다이오드조립부(165)에 다이오드(150)의 양단을 조립하여 접속한다. 따라서, 상기한 동선와이어(112)와 다이오드(150)는 클립터미널(160)에 의해 병렬 회로를 형성하게 된다.
도 6의 (b)에서와 같이, 상기 다이오드조립부(165)에 형성하는 조립장공(164)의 상단은 확관된 형태로 개구하여 단자의 조립을 원활히 하되, 하단에는 소정의 턱(미부호)을 돌출하여 다이오드(150)가 조립된 상태에서 이탈하지 않도록 단속한다.
상기 리드와이어압착부(167)는 다이오드조립부(165)의 하단에서 연장하는 브릿지(163)상에서 'V'자 형상으로 상향 형성하고 내측에는 복수의 압착홈(166)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상기 홀더(140)에는 수용부(147)의 일측에서 후술하게 될 리드와이어안내부(149)를 절곡 형성하여 한 쌍의 리드와이어(130)를 인입하도록 구성하는 바, 상기 리드와이어압착부(167)는 인입된 리드와이어(130)의 단부를 압착홈(166)의 내측으로 압착하여 클립터미널(160)에 접속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홀더(140)에 장착하는 한 쌍의 상기 클립터미널(160)에 의해 동선와이어(112)와, 다이오드(150)와, 리드와이어(130)를 동시에 접속할 수 있다.
한편, 도 3 또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고정캡(170)은 홀더(140)의 일측에 장착하여 홀더(140) 내부로 인입하는 리드와이어(130)를 고정한다.
즉, 상기 홀더(140)에는 수용부(147)의 일측에서 절곡 형성하고 리드와이어(130)의 하측을 수용하여 안내하는 한 쌍의 하측안내홈(148)을 형성하는 리드와이어안내부(149)를 구비한다. 따라서 리드와이어(130)를 클립터미널(160)의 리드와이어압착부(167)에 이르기까지 안정적으로 위치를 유지하면서 안내한다.
상기 리드와이어안내부(149)에는 소정의 결합돌부(미부호)를 형성하고 리드와이어안내부(149)의 상측을 마감하는 상기 고정캡(170)에는 결합돌부가 결합하는 소정의 결합홀을 형성하여 상호 정위치에서 체결되도록 구성한다.
따라서, 상기 리드와이어안내부(149)에 장착하는 고정캡(170)에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하측안내홈(148)에 상응하는 한 쌍의 상측안내홈(171)을 형성하여 리드와이어(130)를 고정하도록 구성한다.
아울러, 상술하였듯이 본 발명의 필드코일 어셈블리(100)는 상기 홀더(140)에 클립터미널(160)과 고정캡(170)을 장착한 상태에서 코어(110) 및 하우징(120)과 일체로 인서트 사출 성형하여 도 9에 예시한 바와 같이 구성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코어(110) 및 하우징(120)과 홀더(140), 및 홀더(140) 내에 장착하는 클립터미널(160) 및 고정캡(170)의 조립 관계에서 용접을 배제하고, 아울러, 상기 클립터미널(160)에 장착하는 동선와이어(112), 다이오드(150), 리드와이어(130)의 접속 관계에서도 납땜을 배제하도록 구성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압축기 클러치용 필드코일 어셈블리(100)의 사용상태를 개략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코어(110)에 내장된 필드코일에서 인출되는 한 쌍의 동선와이어(112)는 커넥터(111)를 통해 상기 홀더(140)로 인입된다.
상기 홀더(140)에 형성된 한 쌍의 인입구(141)를 통해 수직으로 인입하는 동선와이어(112)는 각각의 일측으로 절곡되어 안착홈(142)에 수평으로 안착한다.
상기 한 쌍의 클립터미널(160)을 홀더(140)의 클립터미널고정부(145)에 장착한다. 따라서 상기 클립터미널은 별도의 용접을 배제한 상태로 홀더에 내장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클립터미널(160)의 동선와이어탈피부(162)를 상기 안착홈(142)에 교차하도록 형성된 클립터미널고정부(145)를 향해 삽입하여 장착한다. 이때 동선와이어탈피부(162)의 삽입 방향을 따라서 형성된 접속장공(161)을 통해 동선와이어(112)가 진입한다.
상기 접속장공(161)은 하단에서 상단으로 갈수록 폭을 좁게 형성하며, 필요에 따라 첨예부를 구비한다. 따라서 상기 동선와이어탈피부(162)를 클립터미널고정부(145)에 삽입하는 과정에서 접속장공(161)의 하단에서 상단으로 진입하는 동선와이어(112)의 피복이 접촉에 의해 탈피되면서 클립터미널(160)에 동선와이어(112)가 접속된다.
한편, 상기 홀더(140) 내에 좌우 한 쌍을 장착하는 클립터미널(160)에는 각각의 다이오드조립부(165)를 구비하며, 양측 클립터미널(160)의 다이오드조립부(165)에 형성된 조립장공(164)에 다이오드(150)의 양측 단자를 접속한다.
아울러, 상기 홀더(140)의 동선와이어고정부(143)와 수용부(147) 상간에 형성된 다이오드보호벽(146) 및 그 저부에 형성된 소정의 홈(미부호)에 의해 다이오드(150)의 유동이 방지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클립터미널(160)에는 동선와이어(112)와 다이오드(150)가 병렬 회로로 연결된 상태로 구비된다.
한편, 상기 홀더(140)의 수용부(147)의 일측에 마련된 리드와이어안내부(149)를 통해 전원 공급용 리드와이어(130) 한 쌍을 인입한다. 리드와이어(130)의 단부는 상기 클립터미널(160)의 리드와이어압착부(167)에 형성된 압착홈(166)에 의해 긴밀하게 접속된다.
따라서, 상기 클립터미널(160)에는 별도의 납땜을 배제한 상태로 한 쌍의 동선와이어(112)와 다이오드(150)의 양측 단자 및 한 쌍의 리드와이어(130)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또한, 상기 리드와이어안내부(149)의 상측에는 고정캡(170)을 체결, 마감하여 리드와이어(130)의 위치를 안정적으로 유지하며, 상기 고정캡(170) 역시 별도의 용접을 배제한 상태로 홀더(140)에 장착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필드코일 어셈블리(100)는 클립터미널(160) 및 고정캡(170)을 장착한 상태의 홀더(140)를 코어(110) 및 코어(110)를 커버하는 하우징(120)의 일측에 일체로 사출성형하여 예컨대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비한다.
따라서, 외부 전원을 상기 리드와이어(130)를 통해 필드코일 어셈블리(100)에 인가하면 클립터미널(160)에 의해 다이오드(150) 및 동선와이어(112)와 코어(110)의 커넥터(111)를 거쳐 필드코어에 인가되어 자기장을 발생시키며, 압축기의 구동축의 디스크에 자속이 흡인되고 엔진의 동력에 의해 구동하는 풀리와 디스크의 마찰에 의해 동력을 전달함으로써 압축기의 작동을 제어하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따른 압축기 클러치용 필드코일 어셈블리(100)는 코어(110) 및 하우징(120)과 클립터미널(160), 고정캡(170)을 장착하는 홀더(140)로 이루어진 필드코일 어셈블리(100) 구성함으로써 부품수를 최소화하고 내부 구조를 매우 간소화하는 이점이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종래 기술에서와 같은 복수의 퓨징 터미널을 용접이나 납땜에 의해 조립, 퓨징하는 것과 같은 공정을 배제하고 상기 구성들의 간편한 장착, 및 조립에 의해 코일의 동선와이어(112) 및 다이오드(150), 전원 공급용 리드와이어(130)를 효과적으로 접속한다.
따라서, 종래 기술과 같이 용접이나 납땜 공정 시 발생하는 유해물질에 의한 작업환경 악화를 배제하고, 각종 리드선의 피복 절개와 같은 부수적인 작업 역시 배제할 수 있다.
그러므로, 조립성 및 작업성 향상에 따른 작업효율을 증진하고 원가 및 비용을 절감하는 등의 경제적 효과를 도모할 수 있으므로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매우 클 것으로 기대된다.
100: 필드코일 어셈블리 110: 코어
111: 커넥터 112: 동선와이어
120: 하우징 130: 리드와이어
140: 홀더 141: 인입구
142: 안착홈 143: 동선와이어고정부
145: 클립터미널고정부 146: 다이오드보호벽
147: 수용부 148: 하측안내홈
149: 리드와이어안내부 150: 다이오드
160: 클립터미널 161: 접속장공
162: 동선와이어탈피부 163: 브릿지
164: 조립장공 165: 다이오드조립부
166: 압착홈 167: 리드와이어압착부
170: 고정캡 171: 상측안내홈

Claims (4)

  1. 필드코일을 내부에 권취하는 코어(110)의 일측에서 필드코일에 전원을 인가하도록 구비하는 압축기 클러치용 필드코일 어셈블리(100)에 있어서,
    상기 코어(110)를 커버하는 하우징(120);
    상기 하우징(120)의 일측에서 코어(110)의 커넥터(111)와 일체로 결합하고, 동선와이어(112)와 리드와이어(130)를 인입하는 홀더(140);
    상기 홀더(140) 내부에 한 쌍을 좌, 우 대칭하도록 장착하여 동선와이어(112), 다이오드(150), 리드와이어(130)를 접속하는 클립터미널(160);을 포함하고,
    상기 홀더(140)는,
    커넥터(111)에서 인출되는 한 쌍의 동선와이어(112)를 수직으로 인입하는 인입구(141)와, 인입구(141)의 일측에서 절곡하여 수평 방향으로 형성하는 반호형의 안착홈(142)을 구비하는 동선와이어고정부(143);
    상기 동선와이어고정부(143) 상에서 안착홈(142)에 교차하는 복수의 홈을 안착홈(142)보다 깊게 형성하는 클립터미널고정부(145);
    상기 동선와이어고정부(143)의 일측에서 상향 돌출하는 다이오드보호벽(146)을 경계로 타측에서 다이오드(150), 리드와이어(130), 클립터미널(160)을 수용하는 수용부(147);
    상기 수용부(147)의 일측에서 상향 절곡 형성하고, 절곡면을 따라서 한 쌍의 하측안내홈(148)을 형성하여 리드와이어(130)의 하측을 수용하는 리드와이어안내부(149);를 구비하고,
    상기 클립터미널(160)은,
    '∩'자 형상으로 하향 구비하여 홀더(140)의 클립터미널고정부(145)에 삽입하고, 각 단에는 하단이 개구되는 접속장공(161)을 형성하는 동선와이어탈피부(162);
    상기 동선와이어탈피부(162)의 상측에서 연장하는 평판형의 브릿지(163)상에서 상향 구비하고, 중심에는 상단이 개구되어 다이오드(150) 단자를 조립하는 조립장공(164)을 형성하는 다이오드조립부(165);
    상기 다이오드조립부(165)에서 연장하는 브릿지(163)상에서 'V'자 형상으로 상향 구비하고 내측에는 복수의 압착홈(166)을 형성하는 리드와이어압착부(167);를 구비하고,
    상기 홀더(140)의 리드와이어안내부(149)의 상측에는, 리드와이어안내부(149)와 동일 각도로 상향 절곡 형성하고, 절곡면을 따라서 하측안내홈(148)에 상응하는 한 쌍의 상측안내홈(171)을 형성하는 고정캡(170)을 장착하고,
    상기 홀더(140)는, 클립터미널(160)과 고정캡(170)을 장착한 상태에서 상기 코어(110) 및 하우징(120)과 일체로 인서트 사출 성형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 클러치용 필드코일 어셈블리.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클립터미널(160)의 동선와이어탈피부(162)에 형성된 접속장공(161)은 클립터미널고정부(145)의 안착홈(142)의 중심에 상응하도록 형성하되, 동선와이어(112)의 외경에 상응하는 하단에 비해 상부의 폭을 좁게 형성하여 동선와이어탈피부(162)가 클립터미널고정부(145)에 삽입 시 동선와이어(112)의 피복 절개 및 접속이 동시에 이루어지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 클러치용 필드코일 어셈블리.
  4. 삭제
KR1020170031544A 2017-03-14 2017-03-14 압축기 클러치용 필드코일 어셈블리 KR1019216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1544A KR101921634B1 (ko) 2017-03-14 2017-03-14 압축기 클러치용 필드코일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1544A KR101921634B1 (ko) 2017-03-14 2017-03-14 압축기 클러치용 필드코일 어셈블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4812A KR20180104812A (ko) 2018-09-27
KR101921634B1 true KR101921634B1 (ko) 2018-11-26

Family

ID=637193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31544A KR101921634B1 (ko) 2017-03-14 2017-03-14 압축기 클러치용 필드코일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21634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2051B1 (ko) 2007-11-16 2012-06-08 우리산업 주식회사 압축기용 전자클러치의 슬리브 제조방법
KR101470073B1 (ko) 2012-06-21 2014-12-15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전자클러치의 필드코일 어셈블리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2051B1 (ko) 2007-11-16 2012-06-08 우리산업 주식회사 압축기용 전자클러치의 슬리브 제조방법
KR101470073B1 (ko) 2012-06-21 2014-12-15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전자클러치의 필드코일 어셈블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4812A (ko) 2018-09-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435471B (zh) 用于制造压缩机的电磁离合器的连接器的方法
US7224253B2 (en) Assembling structure of field coil
KR101067249B1 (ko) 압축기용 전자클러치의 필드코일 조립체
US10431374B2 (en) Manufacturing method of a filter structure
TW201710728A (zh) 嵌入成型之鏡頭驅動裝置
KR102172923B1 (ko) 코일 장치 및 그것을 이용한 전동밸브 및 전자밸브
US8797134B2 (en) Field coil assembly of electromagnetic clutch for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1921634B1 (ko) 압축기 클러치용 필드코일 어셈블리
KR101241641B1 (ko) 압축기용 전자클러치의 필드코일 어셈블리
CA2470712A1 (en) Electric motor
KR200470694Y1 (ko) 압축기용 전자클러치의 필드코일 어셈블리
KR101784789B1 (ko) 필드 코일 어셈블리
KR101162057B1 (ko) 압축기용 전자클러치의 필드코일 조립체
JP2007060900A (ja) リード線結線構造及びその形成方法
JP2005183554A (ja) コイルブロック
US6707365B2 (en) Electromagnetic coupling apparatus
CN110545510B (zh) 发声装置的插座装置以及发声装置
CN113196424B (zh) 模制线圈及其制造方法
KR101925303B1 (ko) 와이어 하네스용 커넥터 및 그 제조방법
US6504465B2 (en) Electromagnetic coil assembly for electromagnetic apparatus
KR101152019B1 (ko) 압축기용 전자클러치의 필드코일 어셈블리 및 이의 제조방법
JP2005237059A (ja) 電機子巻線冷却構造
KR101965177B1 (ko) 필드코일 어셈블리의 커넥터-터미널 장치
KR100788343B1 (ko) 필드코일 어셈블리의 리드선 연결구조
KR101398966B1 (ko) 팬 모터용 브러시 홀더 스테이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