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52051B1 - 압축기용 전자클러치의 슬리브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압축기용 전자클러치의 슬리브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52051B1
KR101152051B1 KR1020070117073A KR20070117073A KR101152051B1 KR 101152051 B1 KR101152051 B1 KR 101152051B1 KR 1020070117073 A KR1020070117073 A KR 1020070117073A KR 20070117073 A KR20070117073 A KR 20070117073A KR 101152051 B1 KR101152051 B1 KR 1011520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eeve
terminal
manufacturing
slot
compres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170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50561A (ko
Inventor
정석제
오성택
박대용
신화엽
Original Assignee
우리산업 주식회사
한라공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우리산업 주식회사, 한라공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우리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1170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52051B1/ko
Priority to US12/270,618 priority patent/US7823280B2/en
Priority to CN2008101763122A priority patent/CN101435471B/zh
Publication of KR200900505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505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520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520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7/00Magnetically- or electrically- actuated clutches; Control or electric circuits therefor
    • F16D27/14Det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7/00Magnetically- or electrically- actuated clutches; Control or electric circuit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4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7/00Magnetically- or electrically- actuated clutches; Control or electric circuits therefor
    • F16D27/10Magnetically- or electrically- actuated clutches; Control or electric circuits therefor with an electromagnet not rotating with a clutching member, i.e. without collecting r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0Sockets for co-operation with pins or blades
    • H01R13/11Resilient sockets
    • H01R13/112Resilient sockets forked sockets having two le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0Sockets for co-operation with pins or blades
    • H01R13/11Resilient sockets
    • H01R13/113Resilient sockets co-operating with pins or blades having a rectangular transverse sec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0Securing contact members in or to a base or case; Insulating of contact members
    • H01R13/405Securing in non-demountable manner, e.g. moulding, rivet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719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specially adapted for high frequency, e.g. with filters
    • H01R13/7197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specially adapted for high frequency, e.g. with filters with filters integral with or fitted onto contacts, e.g. tubular filt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1/00Coupling parts supported only by co-operation with counterpart
    • H01R31/06Intermediate parts for linking two coupling parts, e.g. adapt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1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 H01R4/18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by crimping
    • H01R4/183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by crimping for cylindrical elongated bodies, e.g. cables having circular cross-se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250/00Manufacturing; Assembl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002Electrical device making
    • Y10T29/4902Electromagnet, transformer or inductor
    • Y10T29/49071Electromagnet, transformer or inductor by winding or coil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002Electrical device making
    • Y10T29/49117Conductor or circuit manufacturing
    • Y10T29/49169Assembling electrical component directly to terminal or elongated conduct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002Electrical device making
    • Y10T29/49117Conductor or circuit manufacturing
    • Y10T29/49169Assembling electrical component directly to terminal or elongated conductor
    • Y10T29/49171Assembling electrical component directly to terminal or elongated conductor with encapsulat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002Electrical device making
    • Y10T29/49117Conductor or circuit manufacturing
    • Y10T29/49169Assembling electrical component directly to terminal or elongated conductor
    • Y10T29/49171Assembling electrical component directly to terminal or elongated conductor with encapsulating
    • Y10T29/49172Assembling electrical component directly to terminal or elongated conductor with encapsulating by molding of insulating materia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002Electrical device making
    • Y10T29/49117Conductor or circuit manufacturing
    • Y10T29/49174Assembling terminal to elongated conductor
    • Y10T29/49176Assembling terminal to elongated conductor with molding of electrically insulating materia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002Electrical device making
    • Y10T29/49117Conductor or circuit manufacturing
    • Y10T29/49204Contact or terminal manufacturing
    • Y10T29/49208Contact or terminal manufacturing by assembling plural parts
    • Y10T29/4922Contact or terminal manufacturing by assembling plural parts with molding of insulation

Abstract

본 발명은 압축기용 전자클러치의 슬리브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필드코일조립체를 구성하는 슬리브(30)의 내부에 설치되고 일측에는 결합슬롯(56)이 형성되는 터미널(50)에 서지흡수회로를 구성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방전소자(60) 또는 잔류자장제거소자(70)의 리드선(62,72)의 선단을 정렬하는 단계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슬롯브릿지(57)를 소성변형시켜 상기 결합슬롯(56)에 상기 리드선(62,72)을 고정하는 단계, 그리고 인서트사출을 통해 상기 터미널(50)과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방전소자(60) 또는 잔류자장제거소자(70)의 조립체가 고정된 상태로 상기 슬리브(30)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압축기, 전자클러치, 슬리브, 제조방법

Description

압축기용 전자클러치의 슬리브 제조방법{Menufacturing method of sleeve of field coil assembly of compressor electromagnetic clutch}
본 발명은 압축기용 전자 클러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압축기용 전자클러치에 구비되는 필드코일조립체를 구성하는 슬리브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압축기용 전자클러치는 전원 공급시 권선된 코일의 전자기 유도에 의해 자기장을 형성하고, 그에 따른 자기력으로 풀리의 마찰면측으로 압축기 구동축의 허브 디스크가 흡인되어 동력적으로 연결됨으로써, 엔진에 의해 회전하는 풀리의 구동력을 압축기 구동축의 허브 디스크에 전달하게 하는 전기장치이고, 상기 코일에 대한 전원의 인가 여부에 따라 압축기에 대한 동력을 단속하여 공조장치의 냉방시스템의 작동을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도 1에는 종래 기술에 따른 압축기용 전자클러치의 코일조립체의 구성이 분해사시도로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종래 기술에 의한 압축기용 전자클러치를 구성하는 슬리브의 요부구성이 평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압축기용 전자클러치는 엔진의 크랭크축에 구동벨트(미도시)에 의해 연결되 고 측면에 마찰면을 가지는 풀리(도시되지 않음)와, 상기 풀리에 내장되고 압축기의 하우징(도시되지 않음)에 지지됨과 아울러 전원인가에 의해 흡인자속을 발생시키는 필드코일조립체(1)와 상기 필드코일조립체(1)에 의하여 발생되는 흡인자속을 이용하여 디스크(도시되지 않음)가 상기 풀리의 마찰면에 흡착되어 엔진의 동력을 압축기의 구동축에 전달하는 디스크 및 허브조립체(미도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필드코일조립체(1)의 골격을 형성하는 몸체부(2)의 내부에는 링형으로 전자코일이 권선된다. 상기 몸체부(2)의 일측에는 돌출부(3)가 구비되고, 상기 돌출부(3)의 상면에는 커넥터부(5)가 결합된다. 상기 커넥터부(5)에는 터미널삽입홈(7)이 형성되는데, 이는 아래에서 설명될 슬리브(10)의 터미널(15)이 삽입되는 부분이다.
상기 몸체부(2)에는 슬리브(10)가 결합된다. 상기 슬리브(10)는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이를 터미널(15)을 통해 상기 몸체부(2)내부에 전달하여 상기 필드코일조립체(1)가 자기장을 형성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슬리브(10)의 외관 및 골격은 하우징(11)에 의해 형성된다. 상기 하우징(11)은 합성수지와 같은 절연성 재질로 만들어진다. 상기 하우징(11)의 일측에는 상대물과의 결합을 위해 결합부(13)가 형성되고, 상기 결합부(13)의 타단에는 상기 커넥터부(5)와 결합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터미널(15)이 구비된다.
이때, 도 2에서 보듯이, 상기 하우징(11)의 내부에는 다이오드(D) 및 저항(R)과 같은 전장물이 설치된다. 상기 다이오드(D) 및 저항(R)은 상기 슬리브(10) 내에서 서지흡수회로(surge absorbing circuit)를 형성하는 것으로, 상기 터미 널(15)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슬리브(10)가 제조되는 과정을 살펴보면, 우선 상기 터미널(15)이 상기 하우징(11)에 일체로 구비될 수 있도록 인서트사출한다. 즉, 금형조립체의 내부에 상기 터미널(15)을 삽입한 상태로 하우징(11)을 사출하여 하우징(11)에 터미널(15)이 고정된 상태로 제조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하우징(11)의 내부에 상기 다이오드(D) 및 저항(R)을 삽입한다. 이때, 상기 다이오드(D)와 저항(R)은 상기 터미널(15)의 일단과 연결되도록 조립된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11) 내부에 에폭시수지(E)와 같은 열경화성 수지를 주입하여 상기 다이오드(D) 및 저항(R)을 고정하게 된다.
하지만,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상기 다이오드(D) 및 저항(R)은 상기 터미널(15)에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에폭시수지(E)에 의해 상기 하우징(11) 내부에 고정된다. 즉, 상기 하우징(11)에 터미널(15)이 삽입된 상태로 인서트사출된 후에 상기 다이오드(D) 및 저항(R)이 하우징(11) 내부에 조립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 다이오드(D) 및 저항(R)을 조립하는 과정에서 에폭시수지(E)를 주입하는 과정이 별도로 필요하게 되므로 상기 슬리브(10)의 조립공수 및 제작비용이 증가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상기 에폭시수지(E)를 사용하여 상기 다이오드(D) 및 저항(R)을 고정하게 되면, 에폭시수지(E)가 고화되는 시간이 소요되므로 슬리브(10)의 전체 제작시간이 늘어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서지흡수회로를 구성하는 전장물 및 이에 연결되는 터미널이 인서트사출을 통해 슬리브내부에 조립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일측에 구비된 슬리브를 통해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고, 내부에 코일이 권선되어 흡인자속을 발생시키는 필드코일조립체에 구비된 슬리브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의 내부에 설치되고 일측에는 결합슬롯이 형성되는 터미널에 서지흡수회로를 구성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방전소자 또는 잔류자장제거소자의 리드선의 선단을 정렬하는 단계,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슬롯브릿지를 소성변형시켜 상기 결합슬롯에 상기 리드선을 고정하는 단계, 인서트사출을 통해 상기 터미널과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방전소자 또는 잔류자장제거소자의 조립체가 고정된 상태로 상기 슬리브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인서트사출과정에서 상기 서지흡수회로의 유동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슬리브의 외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사출홈이 형성된다.
본 발명에서는 압축기용 전자클러치를 구성하는 슬리브의 내부에 서지흡수회로가 인서트사출을 통해 조립된다. 이에 따라 슬리브 내부에 서지흡수회로를 고정 하기 위해 열경화성수지의 주입과 같이 별도의 공정이 필요하지 않게 되므로 슬리브의 조립공수가 줄어들고, 제작비용이 감소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슬리브를 제작하는 과정에서 열경화성수지를 고화하기 위한 시간이 필요치 않게 되므로, 슬리브의 제작시간이 줄어드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압축기용 전자클러치의 슬리브 제조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에는 본 발명에 의한 압축기용 전자클러치의 슬리브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슬리브의 구성이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고, 도 4에는 도 3에 도시된 슬리브의 내부구성이 투시도로 도시되어 있으며, 도 5 및 도 6에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슬리브의 내부에 설치되는 전장물의 리드선이 터미널의 결합슬롯에 정렬된 모습과 터미널의 슬롯브릿지가 소성변형되어 전장물의 리드선을 고정한 상태의 모습이 각각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이하에서는 필드코일조립체를 구성하는 몸체부 및 기타 부분에 대해서는 배경기술을 참조하고, 슬리브의 제조방법을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슬리브(30)의 외관 및 골격은 하우징(31)이 형성한다. 상기 하우징(31)은 합성수지와 같은 절연성재질로 만들어지는 것으로, 사출성형에 의해 형성된다.
상기 하우징(31)의 외면에는 사출홈(35)이 요입되게 형성된다. 상기 사출홈(35)은 상기 하우징(31)의 사출과정에서 그 내부에 조립되는, 아래에서 설명될 전장물(60,70)이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보다 정확하게는, 사출금형에는 상기 사출홈(35)을 형성하기 위한 코어(미도시)가 구비되어, 상기 코어에 의해 상기 전장물(60,70)의 위치가 고정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도 3에는 상기 사출홈(35)이 하나만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하우징(31)의 상면 및 하면에 다수개가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하우징(31)의 일측에는 고정돌기(37)가 구비된다. 상기 고정돌기(37)는 상기 슬리브(30)가 필드코일조립체(1)의 몸체부(2)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상기 고정돌기(37)는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31)의 후단에 쌍을 이루어 구비된다.
도 5에서 보듯이, 상기 하우징(31)의 내부에는 터미널(50)이 구비된다. 상기 터미널(50)은 외부의 전원을 필드코일조립체(1)의 내부에 권선된 코일에 전달하기 위한 것으로, 전기전도성이 좋은 금속재질로 만들어진다. 상기 터미널(50)은 상기 하우징(31) 내부에 쌍을 이루어 구비된다.
상기 터미널(50)의 골격은 바형상의 몸체(51)가 형성하고, 그 양단(52,55)은 각각 상대커넥터(도시되지 않음) 및 필드코일조립체(1)의 커넥터부(5)와 연결된다.
이때, 상기 터미널(50)의 몸체(51)에는 결합슬롯(56)이 형성된다. 상기 결합슬롯(56)은 몸체(51)의 일부가 절결되어 형성되는 것으로, 아래에서 설명될 전장물(60,70)의 리드선(62,72)이 결합되는 부분이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결합슬롯(56)은 상기 몸체(51)의 일부를 관통한 형태로 형성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즉, 상기 결합슬롯(56)의 일측에 해당하는 상기 몸체(51)의 일부가 절 결되어, 상기 결합슬롯(56)과 외부와 연통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결합슬롯(56)의 일측에는 슬롯브릿지(57)가 구비된다. 상기 슬롯브릿지(57)는 상기 결합슬롯(56)이 절결되는 과정에서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결합슬롯(56)을 가로질러 구비된다. 즉, 상기 결합슬롯(56)과 상기 슬롯브릿지(57) 사이에는 전장물(60,70)의 리드선(62,72)이 통과될 수 있는 소정의 공간이 형성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결합슬롯(56) 및 슬롯브릿지(57)는 다수개가 형성될 수도 있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결합슬롯(56) 및 슬롯브릿지(57)가 각각 한개씩만 형성되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결합슬롯(56) 및 슬롯브릿지(57)는 전장물(60,70)의 리드선(62,72)이 정렬되는 방향을 따라, 상기 터미널(50)의 몸체(51)에 다수개가 나란히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 이렇게 되면, 전장물(60,70)의 리드선(62,72)은 다수개의 결합슬롯(56)에 고정되므로, 상기 터미널(50)과 전장물(60,70) 사이가 보다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터미널(50)에는 전장물(60,70)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전장물(60,70)은 상기 슬리브(30)에 서지흡수회로를 구성하기 위한 것으로 방전소자(60)와 잔류자장제거소자(70)로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방전소자(60)와 잔류자장제거소자(70)는 각각 다이오드(60) 및 저항(70)으로 구성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또한, 상기 서지흡수회로는 다이오드(60)만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다이오드(60) 및 저항(70)은 각각 상기 쌍을 이루는 터미널(5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도 5 및 도 6에서 보듯이, 상기 다이오드(60)에는 리드선(62)이 구비된다. 상기 리드선(62)은 상기 터미널(50)과의 전기적인 연결을 위한 것으로, 일측으로 길게 연장되어 형성된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리드선(62)의 선단(65)이 상기 터미널(50)의 슬롯브릿지(57)에 의해 결합슬롯(56)에 고정됨으로써 상기 다이오드(60)와 터미널(50) 사이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이다.
상기 저항(70)에는 상기 다이오드(60)와 마찬가지로 리드선(72)이 구비된다. 상기 리드선(72)은 상기 터미널(50)과의 전기적인 연결을 위한 것으로, 일측으로 길게 연장되어 형성된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리드선(72)의 선단(75)이 상기 터미널(50)의 슬롯브릿지(57)에 의해 결합슬롯(56)에 고정됨으로써 상기 저항(70)과 터미널(50) 사이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압축기용 전자클러치의 슬리브 제조방법에 의해 슬리브가 제조되는 과정을 살펴보기로 한다.
우선, 상기 하우징(31)을 사출성형하기에 앞서 상기 터미널(50)과 서지흡수회로를 구성하는 전장물(60,70)을 결합한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다이오드(60)와 저항(70)의 리드선(62,72)을 각각 터미널(50)의 결합슬롯(56)에 정렬시킨다. 상기 결합슬롯(56)이 다수개가 형성되는 경우에는 상기 리드선(62,72)이 다수개의 결합슬롯(56)을 각각 가로지르도록 정렬시킨다. 이와 같은 모습이 도 5에 도시되어 있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터미널(50)의 슬롯브릿지(57)를 상기 리드선(62,72) 방향으로 가압하여 소성변형시킨다. 이때, 상기 슬롯브릿지(57)를 변형 시키는 공정은 프레스금형을 이용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슬롯브릿지(57)를 가압하여 소성변형시키면, 상기 리드선(62,72)은 상기 슬롯브릿지(57)와 결합슬롯(56) 사이에 압착되어 견고하게 고정된다. 이와 같은 모습이 도 6에 도시되어 있다.
다음으로, 상기 터미널(50)과 다이오드(60) 및 저항(70) 조립체를 사출금형 내부에 위치시킨 후에 인서트사출을 통해 상기 하우징(31)을 제조한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터미널(50) 및 서지흡수회로를 구성하는 전장물(60,70) 조립체를 상기 하우징(31)을 형성하기 위한 금형조립체 내의 캐비티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용융된 수지를 주입하여 상기 슬리브(30)를 제조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하우징(31)에는 사출홈(35)이 형성되므로, 상기 수지가 주입되어 캐비티 내부를 흐르는 과정에서 다이오드(60) 및 저항(70)이 하우징(31) 내부의 정확한 위치에 고정될 수 있다.
이렇게 되면, 상기 터미널(50)과 다이오드(60) 및 저항(70) 조립체는 상기 하우징(31)에 일체로 조립된 상태가 된다. 이는, 상기 다이오드(60) 및 저항(70)을 상기 하우징(31) 내부에 고정하기 위하여 열경화성수지를 주입하는 별도의 공정이 필요 없게 됨을 의미하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이와 같이 제조된 상기 슬리브(30)를 상기 필드코일조립체(1)의 몸체부(2)에 구비된 커넥터부(5)에 연결시킨다. 즉, 상기 터미널(50)의 선단을 상기 커넥터부(5)에 형성된 터미널삽입홈(7) 내부로 삽입시켜, 상기 슬리브(30)와 필드코일조립체(1)의 몸체부(2) 사이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압축기용 전자클러치의 필드코일조립체의 구성이 도시된 분해사시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의한 압축기용 전자클러치를 구성하는 슬리브의 요부구성이 도시된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압축기용 전자클러치의 슬리브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슬리브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슬리브의 내부구성을 보인 투시도.
도 5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슬리브의 내부에 설치되는 전장물의 리드선이 터미널의 결합슬롯에 정렬된 모습을 보인 사시도.
도 6은 도 5에서 터미널의 슬롯브릿지가 소성변형되어 전장물의 리드선을 고정한 상태를 보인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30: 슬리브 31: 하우징
35: 사출홈 37: 고정돌기
50: 터미널 51: 몸체
52,55: 선단 56: 결합슬롯
57: 슬롯브릿지 60: 다이오드
62: 리드선 70: 저항
72: 리드선

Claims (2)

  1. 일측에 구비된 슬리브(30)를 통해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고, 내부에 코일이 권선되어 흡인자속을 발생시키는 필드코일조립체의 슬리브 제조방법에 있어서,
    서지흡수회로를 구성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방전소자(60) 또는 잔류자장제거소자(70)의 리드선(62,72)의 선단(65,75)을 상기 슬리브(30)의 내부에 구비되는 터미널(50)의 일측에 형성되는 결합슬롯(56)에 정렬하는 단계,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슬롯브릿지(57)를 소성변형시켜 상기 결합슬롯(56)에 상기 리드선(62,72)을 고정하는 단계,
    인서트사출을 통해 상기 터미널(50)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방전소자(60) 또는 잔류자장제거소자(70)의 조립체가 고정된 상태로 상기 슬리브(30)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인서트사출에 의한 슬리브 제조 과정에서는 상기 서지흡수회로의 유동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슬리브(30)의 외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사출홈(35)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용 전자클러치의 슬리브 제조방법.
  2. 삭제
KR1020070117073A 2007-11-16 2007-11-16 압축기용 전자클러치의 슬리브 제조방법 KR1011520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7073A KR101152051B1 (ko) 2007-11-16 2007-11-16 압축기용 전자클러치의 슬리브 제조방법
US12/270,618 US7823280B2 (en) 2007-11-16 2008-11-13 Method for manufacturing connector of electronic clutch for compressor
CN2008101763122A CN101435471B (zh) 2007-11-16 2008-11-14 用于制造压缩机的电磁离合器的连接器的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7073A KR101152051B1 (ko) 2007-11-16 2007-11-16 압축기용 전자클러치의 슬리브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50561A KR20090050561A (ko) 2009-05-20
KR101152051B1 true KR101152051B1 (ko) 2012-06-08

Family

ID=406404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17073A KR101152051B1 (ko) 2007-11-16 2007-11-16 압축기용 전자클러치의 슬리브 제조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7823280B2 (ko)
KR (1) KR101152051B1 (ko)
CN (1) CN101435471B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6747B1 (ko) 2015-05-14 2016-10-17 주식회사 신라공업 자동차 차동장치의 클러치에 적용되는 솔레노이드용 코일 앗세이
KR101921634B1 (ko) 2017-03-14 2018-11-26 (주) 한국정공 압축기 클러치용 필드코일 어셈블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563207B2 (ja) * 2008-08-01 2014-07-30 スリーエム イノベイティブ プロパティズ カンパニー 終端コネクタ
KR101684440B1 (ko) * 2009-08-21 2016-12-08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전자클러치의 필드코일조립체
JP5522009B2 (ja) * 2010-12-02 2014-06-18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電動圧縮機
JP5942930B2 (ja) * 2013-02-05 2016-06-29 住友電装株式会社 電子部品付きコネクタおよびホルダ
KR101660593B1 (ko) * 2014-11-17 2016-09-27 주식회사 신라공업 자동차 에어컨 컴프레셔용 전자클러치 필드코일 어셈블리
JP2016103429A (ja) * 2014-11-28 2016-06-02 富士通コンポーネント株式会社 コネクタ
DE102015122342A1 (de) * 2015-12-21 2017-06-22 OET GmbH Kompressor
DE102016215553A1 (de) * 2016-08-18 2018-02-22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Elektromotor
EP3327868B1 (de) * 2016-11-23 2019-01-09 MD Elektronik GmbH Elektrischer steckverbinder für ein mehradriges elektrisches kabel
JP6845992B2 (ja) * 2018-03-22 2021-03-24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コネクタ付き機器
US10594089B2 (en) * 2018-06-28 2020-03-17 Delphi Technologies, Llc Connector with resistor-assembly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2246B1 (ko) * 2005-07-20 2006-12-01 우리산업 주식회사 자동차 컴프레서에 결합되는 마그네틱 클러치용 필드코일어셈블리의 전원 연결부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32446A (en) * 1980-06-28 1984-02-21 Nippondenso Co., Ltd. Electromagnetic coupling apparatus
US5508671A (en) * 1994-08-09 1996-04-16 Qgura Clutch Co., Ltd. Electromagnetic coupling device
JPH10318290A (ja) 1997-05-19 1998-12-02 Zexel Corp 電磁クラッチ
US7224253B2 (en) 2003-01-29 2007-05-29 Halla Climate Control Corporation Assembling structure of field coil
KR101104274B1 (ko) * 2004-10-08 2012-01-12 한라공조주식회사 압축기용 전자클러치의 필드코일 조립체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2246B1 (ko) * 2005-07-20 2006-12-01 우리산업 주식회사 자동차 컴프레서에 결합되는 마그네틱 클러치용 필드코일어셈블리의 전원 연결부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6747B1 (ko) 2015-05-14 2016-10-17 주식회사 신라공업 자동차 차동장치의 클러치에 적용되는 솔레노이드용 코일 앗세이
KR101921634B1 (ko) 2017-03-14 2018-11-26 (주) 한국정공 압축기 클러치용 필드코일 어셈블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90126185A1 (en) 2009-05-21
KR20090050561A (ko) 2009-05-20
CN101435471B (zh) 2011-04-20
US7823280B2 (en) 2010-11-02
CN101435471A (zh) 2009-05-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52051B1 (ko) 압축기용 전자클러치의 슬리브 제조방법
KR101152014B1 (ko) 압축기용 전자클러치의 필드코일 어셈블리 및 이의제조방법
KR100677736B1 (ko) 필드코일 어셈블리 구조
KR101104274B1 (ko) 압축기용 전자클러치의 필드코일 조립체
KR101316144B1 (ko) 모터
US10141649B2 (en) Antenna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antenna device
CN107453496B (zh) 马达以及泵装置
KR102331082B1 (ko) 모터
KR101229459B1 (ko) 차량용 센서 조립체 및 이의 제조 방법
US7507122B2 (en) Sleeve connector for electromagnetic clutch
CN107453556B (zh) 马达
CN109727748B (zh) 电抗器
US6994559B1 (en) Device for the electrical connection of contact pins to connecting pins of a plug-in connector formed from the device
JP5925330B2 (ja) 電動機、空気調和機、及び電動機の製造方法
CN114759692A (zh) 具有注射成型的定子的电动机
KR20090079051A (ko) 압축기용 전자클러치의 슬리브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952759B1 (ko) 전자클러치의 코일어셈블리
CN109074930B (zh) 电磁装置及其制造方法
JP2004186592A (ja) ソレノイド
KR101112600B1 (ko) 압축기용 전자클러치의 필드코일 조립체
US20120154078A1 (en) Solenoid with a connection region
JP2019220561A (ja) モールドコイル及び電気的駆動弁
EP1965420A2 (en) Compliant pin strip with integrated dam bar
KR101965177B1 (ko) 필드코일 어셈블리의 커넥터-터미널 장치
WO2020049631A1 (ja) ヒュージング用端子及び電動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7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