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25303B1 - 와이어 하네스용 커넥터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와이어 하네스용 커넥터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25303B1
KR101925303B1 KR1020170108040A KR20170108040A KR101925303B1 KR 101925303 B1 KR101925303 B1 KR 101925303B1 KR 1020170108040 A KR1020170108040 A KR 1020170108040A KR 20170108040 A KR20170108040 A KR 20170108040A KR 101925303 B1 KR101925303 B1 KR 1019253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terminal
connector
guide block
oil pa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080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창훈
노의동
김동우
김문학
박준효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니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니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니크
Priority to KR10201701080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2530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53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53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01R43/16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manufacturing contact members, e.g. by punching and by ben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07Wire harness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2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70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 H01R13/703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operated by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dual-continuity coupling part
    • H01R13/7031Shorting, shunting or bussing of different terminals interrupted or effected on engagement of coupling part, e.g. for ESD protection, line continu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오일 팬의 내부에 설치된 솔레노이드 밸브와 오일 팬의 외부를 연결하기 위한 와이어 하네스용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오일 팬의 내부에 설치된 솔레노이드 밸브에 연결된 한 쌍의 제1와이어와, 상기 오일 팬의 외부에 연결된 한 쌍의 제2와이어와, 상기 제1와이어와 상기 제2와이어가 양단에 각각 접합되는 한 쌍의 터미널과, 상기 터미널의 일단 접합부위를 감싸고 상기 터미널의 일단 사이를 이격 및 고정시키는 제1가이드블록과, 상기 터미널의 타단 접합부위를 감싸며 상기 터미널의 타단 사이를 이격 및 고정시키는 제2가이드블록과, 상기 터미널 상에 설치되고 상기 제1 및 제2가이드블록 사이를 밀봉하는 밀봉부재와, 상기 터미널, 상기 제1 및 제2가이드블록, 상기 밀봉부재를 감싸는 커넥터 하우징과, 상기 커넥터 하우징을 상기 오일 팬에 고정하는 브라켓과, 상기 커넥터와 상기 오일 팬 사이를 밀봉하는 오링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와이어 하네스용 커넥터 및 그 제조방법{CONNECTOR FOR WIRE HARNES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REOF}
본 발명은 와이어 하네스용 커넥터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오일 팬의 내부에 설치된 솔레노이드 밸브와 오일 팬의 외부를 연결하기 위한 와이어 하네스용 커넥터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솔레노이드 밸브는 자동차의 엔진을 포함하는 파워트레인(power train)에 설치되어 연료, 오일 등 유체의 흐름을 단속하거나 압력을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연료계통에서는 연료의 공급 및 분사를 제어하고, 냉각계통에서는 윤활 및 냉각을 위한 순환을 제어하며, 동력전달계통에서는 압력을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상술한 압력 조절용 솔레노이드 밸브는 내부 구조에 따라 스풀 타입 솔레노이드 밸브, 볼 타입 솔레노이드 밸브, 포핏 타입 솔레노이드 밸브로 구분될 수 있다. 이 중에서 스풀 타입 솔레노이드 밸브는 그 구조가 간단하고 압력 조절이 용이하여 널리 사용되고 있다.
대한민국등록특허공보 제10-1663714호(2016.09.30.)에는 스풀 타입 솔레노이드 밸브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는, 솔레노이드의 외부로 돌출된 절연블록과, 상기 절연블록의 내부에 마련되고 상기 솔레노이드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전원단자와, 상기 전원단자에 연결되고 상기 절연블록의 외부로 연장된 리드 와이어와, 상기 리드 와이어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는 와이어 튜브와, 상기 리드 와이어의 단부에 마련된 커넥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런데 상술한 솔레노이드 밸브에 마련된 커넥터의 경우 제작과정 중 와이어 또는/및 터미널이 커넥터의 내부에서 서로 접촉되어 전원 인가 시 쇼트 등을 야기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게 되었다.
대한민국등록특허공보 제10-1093452호(2011.12.07.)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전원 공급을 위한 와이어 및 터미널을 고정시켜 쇼트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와이어 하네스용 커넥터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와이어 하네스용 커넥터는, 오일 팬의 내부에 설치된 솔레노이드 밸브에 연결된 한 쌍의 제1와이어와, 상기 오일 팬의 외부에 연결된 한 쌍의 제2와이어와, 상기 제1와이어와 상기 제2와이어가 양단에 각각 접합되는 한 쌍의 터미널과, 상기 터미널의 일단 접합부위를 감싸고 상기 터미널의 일단 사이를 이격 및 고정시키는 제1가이드블록과, 상기 터미널의 타단 접합부위를 감싸며 상기 터미널의 타단 사이를 이격 및 고정시키는 제2가이드블록과, 상기 터미널 상에 설치되고 상기 제1 및 제2가이드블록 사이를 밀봉하는 밀봉부재와, 상기 터미널, 상기 제1 및 제2가이드블록, 상기 밀봉부재를 감싸는 커넥터 하우징과, 상기 커넥터 하우징을 상기 오일 팬에 고정하는 브라켓과, 상기 커넥터와 상기 오일 팬 사이를 밀봉하는 오링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와이어 하네스용 커넥터의 제조방법은, 한 쌍의 터미널 상에 밀봉부재를 인서트 사출하는 단계와, 상기 터미널의 양단에 제1와이어와 제2와이어를 각각 접합하는 단계와, 상기 터미널의 일단 접합부위를 감싸도록 제1가이드블록을 인서트 사출하는 단계와, 상기 터미널의 타단 접합부위를 감싸도록 제2가이드블록을 인서트 사출하는 단계와, 상기 터미널, 상기 제1 및 제2가이드블록, 상기 밀봉부재를 감싸도록 커넥터 하우징을 성형하는 단계와, 상기 커넥터 하우징의 둘레에 오링을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터미널의 양단 사이를 이격 및 고정시키는 제1 및 제2가이드블록이 마련되어, 전원 공급을 위한 와이어 및 터미널을 고정시켜 쇼트를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하네스용 커넥터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하네스용 커넥터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하네스용 커넥터의 제조과정의 순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하네스용 커넥터의 제조과정을 도시한 도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그리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부가하였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하네스용 커넥터(100)는 오일 팬(미도시)의 내부에 설치된 솔레노이드 밸브(200)를 오일 팬의 외부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커넥터이다.
그 구성을 살펴보면, 솔레노이드 밸브(200)에 연결된 와이어(110)와 오일 팬의 외부에 연결된 제2와이어(120)를 연결하는 터미널(130)과, 터미널(130)의 일단에 설치된 제1가이드블록(140)과, 터미널(130)의 타단에 설치된 제1가이드블록(150)과, 터미널(130)의 중단에 설치된 밀봉부재(160)와, 와이어 하네스용 커넥터(100)의 외형을 이루는 커넥터 하우징(170)을 포함한다.
상술한 와이어 하네스용 커넥터(100)의 각 구성요소(110~170)에 대해 좀 더 상세히 살펴보도록 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와이어(110)는 커넥터 하우징(170)의 일단 측에서 연장되어 솔레노이드 밸브(200)에 연결되고, 제2와이어(120)는 커넥터 하우징(170)의 타단 측에서 연장되어 오일 팬의 외부에 연결된다. 이때, 제1와이어(110)와 제2와이어(120)는 솔레노이드 밸브(200)를 효과적으로 작동 또는/및 제어하기 위하여 한 쌍씩 구성된다.
터미널(130)은 두 쌍의 와이어(110,120) 사이를 기계 및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수단이다. 즉, 제1와이어(110)는 터미널(130)의 일단에 접합되고, 제2와이어(120)는 터미널(130)의 타단에 접합되어, 두 쌍의 와이어(110,120)를 기계 및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와이어(110,120)가 접합되는 터미널(130)의 양 단부(이하, '접합부위'라 함)에는 제1가이드블록(140)과 제2가이드블록(150)이 마련된다. 제1 및 제2가이드블록(140,150)은 와이어(110,120)가 접합된 한 쌍의 터미널(130) 사이를 이격 및 고정시킴으로써, 커넥터 하우징(170)의 내부에서 와이어(110,120) 또는/및 터미널(130)이 변형되거나 접촉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를 통하여 커넥터 하우징(170)의 내부에서 쇼트 등의 문제가 발생하지 않도록 한다.
가이드블록(140,150)은 와이어(110,120)가 접합된 한 쌍의 터미널(130)을 감싸도록 인서트 사출 성형된다. 성형된 가이드블록(140,150)은 육면체 형상을 갖되, 그 표면에는 다수의 요철(142,152)이 형성된다. 가이드블록(140,150)의 표면에 형성된 다수의 요철(142,152)은 가이드블록(140,150)을 감싸도록 사출 형성되는 커넥터 하우징(170)과의 접합을 위한 것이다.
상술한 가이드블록(140)에는 연장부(144,154)가 형성된다. 연장부(144,154)는 한 쌍의 와이어(110 또는 120) 사이를 이격 및 고정시키는 수단으로서, 한 쌍의 제1와이어(110) 사이를 이격 및 고정시키는 제1연장부(144)와, 한 쌍의 제2와이어(120) 사이를 이격 및 고정시키는 제2연장부(154)로 이루어진다.
제1연장부(144)는 제1가이드블록(140)의 일측에서 제1와이어(110)의 길이방향과 평행하게 배치되어, 커넥터 하우징(170)의 일단 측에서 연장된 제1와이어(110)를 ㄱ자 형태로 굴절시킬 수 있다. 반면, 제2연장부(154)는 제2가이드블록(140)의 타측에서 제2와이어(120)의 길이방향과 직각으로 배치되어, 커넥터 하우징(170)의 타단 측에서 연장된 제2와이어(120)가 평행하게 연장될 수 있다.
밀봉부재(160)는 터미널(130)의 중단에 설치되어 제1가이드블록(140)과 제2가이드블록(150) 사이를 밀봉한다. 즉, 제1와이어(110)와 제2와이어(120)를 연결하는 터미널(130)을 통해 수분 등의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커넥터 하우징(170)은 제1와이어(110)와 제2와이어(120)를 연결하는 터미널(130), 제1가이드블록(140)과 제2가이드블록(150), 밀봉부재(160)를 감싸도록 성형된다. 다시 말해, 커넥터 하우징(170)은 와이어(110,120), 터미널(130), 가이드블록(140,150), 밀봉부재(160)가 인서트되도록 사출 성형된다.
이와 같이, 커넥터 하우징(170)을 사출 성형할 경우 다양한 형상을 구현할 수 있고, 제작공정을 단순화할 수 있다.
한편, 커넥터 하우징(170)에는 브라켓(180)과 오링(190)이 설치된다. 브라켓(180)은 와이어 하네스용 커넥터(100)를 오일 팬에 고정하기 위한 수단이고, 오링(190)은 와이어 하네스용 커넥터(100)와 오일 팬 사이를 밀봉하여 수분 등의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수단이다.
도 3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하네스용 커넥터(100)의 제조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하네스용 커넥터(100)의 제조과정은, 한 쌍의 터미널(130) 상에 밀봉부재(160)를 인서트 사출하는 단계(S10)와, 터미널(130)의 양단에 제1와이어(110)와 제2와이어(120)를 각각 접합하는 단계(S20)와, 터미널(130)의 일단 접합부위를 감싸도록 제1가이드블록(140)을 인서트 사출하는 단계(S30)와, 터미널(130)의 타단 접합부위를 감싸도록 제2가이드블록(150)을 인서트 사출하는 단계(S40)와, 터미널(130), 제1 및 제2가이드블록(140,150), 밀봉부재(160)를 감싸도록 커넥터 하우징(170)을 성형하는 단계(S50)와, 커넥터 하우징(170)의 둘레에 오링(190)을 설치하는 단계(S60)를 포함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터미널(130)을 평행하게 배치하고, 각 터미널(130)의 중단에 밀봉부재(160)를 인서트 사출 성형한다.
밀봉부재(160)가 성형된 터미널(130)의 양단에 제1와이어(110)와 제2와이어(120)를 각각 접합한 후 접합부위를 감싸도록 제1가이드블록(140)과 제2가이드블록(150)을 인서트 사출 성형한다. 이때, 제1가이드블록(140)에는 제1연장부(144)가 형성되어 커넥터 하우징(170)의 일단 측에서 연장된 제1와이어(110)를 ㄱ자 형태로 굴절되고, 제2가이드블록(140)에는 제2연장부(154)가 형성되어 커넥터 하우징(170)의 타단 측에서 연장된 제2와이어(120)가 평행하게 연장된다.
가이드블록(140)의 성형이 완료되면, 터미널(130), 가이드블록(140,150) 및 밀봉부재(160)를 감싸도록 커넥터 하우징(170)을 성형한다. 이때, 커넥터 하우징(170)은 브라켓(180)이 고정될 수 있도록 인서트 사출 성형하고, 성형이 완료된 커넥터 하우징(170)의 둘레에 오링(190)을 설치하여 완료한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설명하였는데, 상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가 가능함은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특정 실시예가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적 사상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커넥터 110: 제1와이어
120: 제2와이어 130: 터미널
140: 제1가이드블록 150: 제2가이드블록
160: 밀봉부재 170: 커넥터 하우징
180: 브라켓 190: 오링

Claims (8)

  1. 오일 팬의 내부에 설치된 솔레노이드 밸브를 오일 팬의 외부와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와이어 하네스용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에 연결된 한 쌍의 제1와이어;
    상기 오일 팬의 외부에 연결된 한 쌍의 제2와이어;
    상기 제1와이어와 상기 제2와이어가 양단에 각각 접합되는 한 쌍의 터미널;
    상기 터미널의 일단 접합부위를 감싸고, 상기 터미널의 일단 사이를 이격 및 고정시키는 제1가이드블록;
    상기 터미널의 타단 접합부위를 감싸며, 상기 터미널의 타단 사이를 이격 및 고정시키는 제2가이드블록;
    상기 터미널 상에 설치되고 상기 제1 및 제2가이드블록 사이를 밀봉하는 밀봉부재;
    상기 터미널, 상기 제1 및 제2가이드블록, 상기 밀봉부재를 감싸는 커넥터 하우징;
    상기 커넥터 하우징을 상기 오일 팬에 고정하는 브라켓; 및
    상기 커넥터와 상기 오일 팬 사이를 밀봉하는 오링을 포함하되,
    상기 제1가이드블록에는 상기 제1와이어 사이를 이격 및 고정시키는 제1연장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가이드블록에는 상기 제2와이어 사이를 이격 및 고정시키는 제2연장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1연장부는 상기 제1가이드블록의 일측에서 상기 제1와이어의 길이방향과 평행하게 배치되어 상기 커넥터 하우징의 일단 측에서 연장된 상기 제1와이어를 ㄱ자 형상으로 굴절시키고,
    상기 제2연장부는 상기 제2가이드블록의 타측에서 상기 제2와이어의 길이방향과 직각으로 배치되어 상기 커넥터 하우징의 타단 측에서 연장된 제2와이어가 평행하게 연장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하네스용 커넥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청구항 1에 따른 와이어 하네스용 커넥터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한 쌍의 터미널 상에 밀봉부재를 인서트 사출하는 단계;
    상기 터미널의 양단에 제1와이어와 제2와이어를 각각 접합하는 단계;
    상기 터미널의 일단 접합부위를 감싸도록 제1가이드블록을 인서트 사출하는 단계;
    상기 터미널의 타단 접합부위를 감싸도록 제2가이드블록을 인서트 사출하는 단계;
    상기 터미널, 상기 제1 및 제2가이드블록, 상기 밀봉부재를 감싸도록 커넥터 하우징을 성형하는 단계; 및
    상기 커넥터 하우징의 둘레에 오링을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하네스용 커넥터의 제조방법.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하우징은 브라켓이 인서트되도록 사출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하네스용 커넥터의 제조방법.
KR1020170108040A 2017-08-25 2017-08-25 와이어 하네스용 커넥터 및 그 제조방법 KR1019253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8040A KR101925303B1 (ko) 2017-08-25 2017-08-25 와이어 하네스용 커넥터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8040A KR101925303B1 (ko) 2017-08-25 2017-08-25 와이어 하네스용 커넥터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25303B1 true KR101925303B1 (ko) 2018-12-06

Family

ID=646715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08040A KR101925303B1 (ko) 2017-08-25 2017-08-25 와이어 하네스용 커넥터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2530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87874B1 (ko) 2020-10-22 2021-08-09 (주)지성테크 전선 하네스 제조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87874B1 (ko) 2020-10-22 2021-08-09 (주)지성테크 전선 하네스 제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916394B1 (en) Connector
JP5727525B2 (ja) 壁貫通型の密閉電気接続部の製造装置
KR102291673B1 (ko) 솔레노이드 코일 및/또는 센서 소자를 연결하기 위한 플러그형 전기 장치
US20140120763A1 (en) Connector
EP1005109A2 (en) Electronic control unit with electrical connector
CN103974579B (zh) 控制器
KR20110076978A (ko) 몰딩된 전기 소켓
US10355395B2 (en) Wire with terminal
US8338708B2 (en) Electric junction box joint structure
US8870229B2 (en) System for connecting hose lines
KR20180093066A (ko) 내연 엔진에 연료를 분사하기 위한 장형 분사기
KR101925303B1 (ko) 와이어 하네스용 커넥터 및 그 제조방법
US20190157776A1 (en) Pass-through cable connector assembly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EP3619782B1 (en) Spliced shielded wire cabl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US7507118B2 (en) Connector assembly
JP5976944B2 (ja) 電気コネクタ
US11205865B2 (en) Multi-part wire terminal with sealing member
JP5720590B2 (ja) コネクタ
US4924031A (en) Water-tight structure for multicore cable
KR20200133207A (ko) 연결부 형성 장치, 그리고 배열체
US10687392B2 (en) Waterproofing structure including a lead wire and a wire heater
KR101289380B1 (ko) 커넥터용 방수씰
US8490602B2 (en) Sealed wire interface
US20130140082A1 (en) Wire connector assembly including splice elements for fluid environments and method of making same
KR101626371B1 (ko) 카메라용 케이블 조립체 및 카메라용 케이블 조립체의 제작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