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26371B1 - 카메라용 케이블 조립체 및 카메라용 케이블 조립체의 제작방법 - Google Patents

카메라용 케이블 조립체 및 카메라용 케이블 조립체의 제작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26371B1
KR101626371B1 KR1020140131499A KR20140131499A KR101626371B1 KR 101626371 B1 KR101626371 B1 KR 101626371B1 KR 1020140131499 A KR1020140131499 A KR 1020140131499A KR 20140131499 A KR20140131499 A KR 20140131499A KR 101626371 B1 KR101626371 B1 KR 1016263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connection
coupled
groove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314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38425A (ko
Inventor
권종만
김용태
김현수
Original Assignee
한국프레틀(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프레틀(주) filed Critical 한국프레틀(주)
Priority to KR10201401314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26371B1/ko
Publication of KR201600384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384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63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63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2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 H01R13/5202Sealing means between parts of housing or between housing part and a wall, e.g. sealing ring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2Bodies
    • G03B17/08Waterproof bodies or hous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01R43/18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manufacturing bases or cases for contact memb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에 장착되는 카메라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카메라용 케이블 조립체로서, 특히 방수성능이 우수하고 제작이 용이한 카메라용 케이블 조립체 및 카메라용 케이블 조립체의 제작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카메라용 케이블 조립체는, 내부에 카메라모듈이 장착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에 장착되는 제1 연결부와, 상기 제1 연결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 연결부와, 차량의 전원부와 상기 제2 연결부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카메라모듈에 전력을 공급하는 케이블을 포함하는 것으로서, 상기 케이블은 다수의 도선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연결부는 상기 카메라모듈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 단자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연결부는, 다수의 상기 도선 중 어느 하나의 도선이 각각 연결되고 상기 제1 단자부와 접촉하는 다수의 제2 단자부와, 상기 제2 단자부가 결합되는 다수의 단자홈이 형성되어 있는 고정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카메라용 케이블 조립체 및 카메라용 케이블 조립체의 제작방법{Cable assembly for camera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차량에 장착되는 카메라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카메라용 케이블 조립체로서, 특히 방수성능이 우수하고 제작이 용이한 카메라용 케이블 조립체 및 카메라용 케이블 조립체의 제작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차량을 운행함에 있어서 여러 보조적인 장치들이 장착되어 이용되고 있다. 이 중, 외부 감시나 주차보조 기능을 위하여 많은 차량에 카메라가 장착되어 있다. 차량에 장착되는 카메라는 차량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는다. 그러나 전력을 공급하는 차량의 전력 공급원 및 전력 공급원으로부터 연장되는 케이블은 규격화되어 있고, 차량에 장착되는 카메라는 그 크기가 점점 소형화되고 있기 때문에 차량의 전력 공급원으로부터 연장된 케이블과 카메라를 직접 연결하기 용이하지 않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등록특허 제10-1276467호에는 전력 공급원으로부터 연장된 케이블을 별도의 연결 부위를 형성함이 없이 카메라에 연결할 수 있는 카메라모듈용 케이블 연결구가 개시되어 있다. 종래의 카메라모듈용 케이블 연결구는, 케이블(100), 도선 지지 부재(200), 핀 삽입구(210), 하우징(300)을 포함하는 케이블 연결부(A)와, 후면 하우징(610), FPCB(410), 핀(420)을 포함하는 FPCB연결부(B)로 이루어진다.
케이블(100)에는 복수의 도선이 서로 절연된 상태로 삽입되고, 도선 지지 부재(200)에는 도선과 동일한 개수의 홀이 평행하게 형성되며, 핀 삽입구(210)는 도선 지지 부재의 홀에 장착되어 도선과 도전적으로 연결된다. 그리고 하우징(610)은 도선 지지 부재를 둘러싸도록 형성되어 도선 지지 부재를 케이블과 일체로 방수 밀봉시킨다.
후면 하우징(610)은 카메라 모듈의 후면이 되고, FPCB(410)는 후면 하우징에 장착된 FPCB커넥터를 포함한다. 그리고 핀(420)은 FPCB커넥터 상에 세로로 도전적으로 형성되어 핀 삽입구에 도전적으로 삽입될 수 있다.
한편, 도선 지지 부재(200) 형성되어 있는 홀에 삽입되는 복수의 도선은 연결되어야할 위치가 정해져 있다. 이는 차종 및 카메라의 종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도선을 정해진 위치에 연결하려면 그 위치에 따라 도선이 복잡하게 꼬이게 되며, 정해진 위치에 따라 복수의 도선을 배열하기 매우 불편하다. 또한, 복수의 도선을 각각 정해진 위치의 홀에 삽입한 후 납땜하여 도선 지지 부재에 고정시켜야 하지만, 납땜이 이루어지기 전에 도선의 위치가 고정되지 않기 때문에 납땜작업도 용이하지 않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제작 및 조립이 용이한 카메라용 케이블 조립체 및 카메라용 케이블 조립체의 제작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카메라용 케이블 조립체는, 내부에 카메라모듈이 장착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에 장착되는 제1 연결부와, 상기 제1 연결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 연결부와, 차량의 전원부와 상기 제2 연결부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카메라모듈에 전력을 공급하는 케이블을 포함하는 것으로서, 상기 케이블은 다수의 도선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연결부는 상기 카메라모듈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 단자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연결부는, 다수의 상기 도선 중 어느 하나의 도선이 각각 연결되고 상기 제1 단자부와 접촉하는 다수의 제2 단자부와, 상기 제2 단자부가 결합되는 다수의 단자홈이 형성되어 있는 고정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고정부는 두 개로 분리되어 상호 결합한다.
그리고 두 개의 상기 고정부에는 각각 조립홈 및 조립돌기가 모두 형성되어 있고, 어느 하나의 고정부에 형성되어 있는 조립돌기는 다른 하나의 고정부에 형성되어 있는 조립홈에 삽입된다.
그리고 상기 제2 단자부는 전방의 일단이 갈고리 형상으로 절곡 형성되고 후방의 타단에 상기 도선이 연결되며, 상기 단자홈은 상기 고정부의 전방 및 측면에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2 단자부가 걸려 삽입된다.
또한, 본 발명의 카메라용 케이블 조립체는, 상기 제1 연결부는 상기 제1 단자부가 결합되고 상기 고정부 및 제2 단자부가 삽입되는 결합홈이 형성되어 있는 제1 단자결합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제2 연결부는 상기 고정부 및 제2 단자부가 결합되는 제2 단자결합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제2 단자결합부의 전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결합홈에 삽입되며, 상기 고정부에는 상기 제2 단자결합부에 결합된 상기 고정부의 후방 이동을 제한하는 결합돌기와 상기 고정부의 전방 돌출길이를 제한하는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연결부는 상기 제1 단자결합부의 전방에 결합되는 커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커버 및 케이스 중 어느 하나에는 제1 가이드돌기가 형성되며, 다른 하나에는 상기 제1 가이드돌기가 삽입되어 상기 케이스의 내부로 삽입되는 상기 제1 연결부의 전후방향 이동을 안내하는 제1 가이드홈이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카메라용 케이블 조립체는, 상기 제2 연결부는 상기 제2 단자결합부를 감싸는 하우징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케이스의 후방에는 상기 하우징의 전방 일단이 삽입되는 삽입홈이 형성되며, 상기 케이스 및 상기 하우징 중 어느 하나에는 제2 가이드돌기가 형성되고, 다른 하나에는 상기 제2 가이드돌기가 삽입되어 상기 제2 연결부의 전후방향 이동을 안내하는 제2 가이드홈이 형성된다.
한편, 본 발명의 카메라용 케이블 조립체의 제작방법은, 내부에 카메라모듈이 장착되는 케이스가 결합되고 상기 카메라모듈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 단자부를 포함하는 제1 연결부와, 차량의 전원부와 연결되는 케이블이 연결되고 상기 제1 단자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 단자부 및 상기 제2 단자부가 결합되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제2 연결부를 각각 제작하여 조립하는 것으로서, 상기 제2 연결부를 제작하는 단계는, 다수의 도선으로 분리되도록 상기 케이블 일단의 피복을 제거하는 케이블을 준비하는 단계와, 상기 도선에 각각 상기 제2 단자부를 연결하는 단계와, 상기 제2 단자부를 고정부에 형성되어 있는 다수의 단자홈 중 미리 정해진 위치에 맞춰 배열한 후 상기 위치에 있는 단자홈에 결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제2 단자부는 일단이 갈고리 형상으로 절곡 형성되고 타단에 상기 도선이 연결되어 상기 고정부의 전방에 걸려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부는 두 개로 분리되어 서로 결합되고, 상기 제2 단자부는 분리되어 있는 두 개의 고정부에 각각 결합되며, 분리되어 있는 두 개의 고정부에 상기 제2 단자부를 각각 결합시킨 후에 두 개의 상기 고정부를 결합시킨다.
또한, 본 발명의 카메라용 케이블 조립체 제작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2 연결부를 제작하는 단계는, 상기 제2 단자부를 상기 고정부에 결합시킨 후에, 서로 연결되어 있는 상기 제2 단자부와 도선이 연결홈에 배치되도록 고정부를 제2 단자결합부에 결합시키는 고정부 결합단계와, 서로 연결되어 있는 상기 제2 단자부와 도선의 주위를 감싸도록 상기 연결홈에 수지를 충전하는 단계와, 상기 제2 단자결합부 및 수지 주위에 인서트사출 방식으로 하우징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의 카메라용 케이블 조립체 제작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부를 제작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단자부를 제1 단자결합부에 결합시키는 단계와, 상기 제1 단자부를 덮도록 상기 제1 단자결합부의 전방에 커버를 결합시키는 단계와, 서로 결합된 상기 제1 단자부, 제1 단자결합부 및 커버를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삽입하여 상기 케이스의 후방에 형성되어 있는 장착구에 장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커버를 상기 제1 단자결합부에 결합시키기 전 또는 후에 상기 커버에 형성되어 있는 실링홈에 제1 실링부를 삽입하며, 상기 커버를 상기 장착구에 장착하면 상기 케이스에 형성되어 있는 가압돌기가 상기 실링홈에 삽입되어 상기 제1 실링부를 가압한다.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용 케이블 조립체 및 카메라용 케이블 조립체의 제작방법은, 도선의 연결위치와 무관하게 각각의 도선을 제2 단자부에 납땜하여 연결한 후, 도선이 연결되어 있는 제2 단자부를 그 위치에 맞게 고정부에 결합시킴으로써 제작 및 조립이 용이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카메라모듈용 케이블 연결구의 케이블 연결부와 FPCB연결부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용 케이블 조립체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용 케이블 조립체의 일반향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용 케이블 조립체의 타방향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케이스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기 위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연결부 및 제1 실링부의 일방향 분해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연결부 및 제1 실링부의 타방향 분해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2 연결부 및 케이블의 일방향 분해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2 연결부 및 케이블의 타방향 분해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2 단자결합부 및 고정부의 결합방법을 나타내기 위한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정부 및 제2 단자부의 결합방법을 나타내기 위한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2 연결부 및 케이블의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용 케이블 조립체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용 케이블 조립체를 정면에서 바라본 일반향 분해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용 케이블 조립체를 후방에서 바라본 타방향 분해사시도이고, 도 5(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케이스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기 위한 케이스의 단면도이며, 도 5(b)는 케이스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기 위하여 케이스의 전방에서 케이스의 내부를 바라본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연결부 및 제1 실링부를 전방에서 바라본 일방향 분해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연결부 및 제1 실링부를 후방에서 바라본 타방향 분해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2 연결부 및 케이블을 전방에서 바라본 일방향 분해사시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2 연결부 및 케이블을 후방에서 바라본 타방향 분해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2 단자결합부 및 고정부의 결합방법을 나타내기 위한 제2 단자결합부와 고정부 및 케이블의 단면도이며, 도 11(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정부 및 제2 단자부의 결합방법을 나타내기 위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11(b)는 하나의 제2 단자부를 별도로 도시한 도면이며, 도 12(a)는 제2 단자결합부와 고정부가 결합된 상태의 단면도이고, 도 12(b)는 도 12(a)에서 하우징 및 제2 실링부가 형성되어 있는 제2 연결부의 단면도이다. 이하, 도면에서 좌우를 구분함에 있어서 좌측을 전방이라하고 우측을 후방이라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용 케이블 조립체는 도 2 내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10), 제1 연결부(20), 제1 실링부(30), 제2 연결부(40), 케이블(50), 제2 실링부(60) 및 제3 실링부(70)로 이루어진다.
케이스(10)의 내부에는 카메라모듈(미도시)이 장착되고, 카메라모듈에 의해 케이스(10)의 전방을 촬영하게 된다. 케이스(10)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며 후방에 장착구(11)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케이스(10)의 후방에는 삽입홈(12)이 형성되어 있다.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착구(11)와 삽입홈(12)은 서로 연통되며, 장착구(11)는 삽입홈(12)의 전방에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케이스(10)의 후방 내측면에는 장착구(11)의 둘레에 가압돌기(13)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가압돌기(13)는 대략 타원형의 고리 형상으로 형성되며 제1 연결부(20)에 형성되어 있는 실링홈(222)에 삽입된다. 그리고 케이스(10)의 내측면에는 제1 가이드홈(14)이 형성되어 있다. 제1 가이드홈(14)은 케이스(10)의 내부로 삽입되는 제1 연결부(20)의 전후 방향 이동을 안내한다. 또한, 삽입홈(12)에는 제2 가이드홈(15)이 형성되어 있다. 제2 가이드홈(15)은 삽입홈(12)으로 삽입되는 제2 연결부(40)의 전후 방향 이동을 안내한다. 한편, 카메라모듈은 케이스(10)의 내부에 삽입되어 도 5(b)에 도시되어 있는 연성회로기판(FPCB)에 의해 제1 연결부(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제1 연결부(20)는 장착구(11)에 장착되어 연성회로기판(F)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구체적으로 제1 연결부(20)는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단자결합부(210), 커버(220) 및 제1 단자부(230)로 이루어진다. 경우에 따라 전술한 케이스(10)는 제1 연결부(20)의 구성에 포함될 수도 있다.
제1 단자결합부(210)는 장착구(11)에 삽입 배치되고, 제1 단자결합부(210)의 후방에는 결합홈(211)이 형성되어 있다. 결합홈(211)에는 제2 연결부(40)의 고정부(420a,420b) 및 제2 단자부(430)가 삽입된다. 이러한 제1 단자결합부(210)는 커버(220)와 결합한다. 제1 단자결합부(210)는 커버(220)와 결합하기 위하여 외측 양면에 걸림턱(212)이 형성되어 있다. 걸림턱(212)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커버(220)와 함께 후술하도록 한다.
커버(220)는 전방에 연성회로기판이 장착되는 장착면(221)이 형성되고, 후방에 실링홈(222)이 형성되어 있다. 실링홈(222)에는 제1 실링부(30) 및 가압돌기(13)가 삽입된다. 그리고 커버(220)에는 전후 방향으로 커버(220)의 양면을 관통하는 관통공(223)이 형성되어 있다. 관통공(223)에는 제1 단자부(230)가 삽입된다. 또한, 커버(220)의 후방에는 실링홈(222)의 내측에 후방으로 돌출된 걸림돌기(224)가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커버(220)는 제1 단자결합부(210)의 전방에 결합되며, 걸림돌기(224)가 걸림턱(212)에 걸려 제1 단자결합부(210)와 커버(220)가 분리되지 않고 결합된 상태로 유지된다. 그리고 커버(220)의 외측면에는 제1 가이드돌기(225)가 돌출 형성된다. 제1 가이드돌기(225)는 서로 결합된 제1 단자결합부(210)와 커버(220)와 제1 단자부(230)를 케이스(10)의 내부로 삽입할 때, 제1 가이드홈(14)에 삽입되어 제1 가이드홈(14)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 이와 같이 제1 연결부(20)는 케이스(10)의 내부로 삽입될 때 제1 가이드홈(14)에 의해 안내됨으로써, 케이스(10)의 내부에 틀어짐 없이 바르게 삽입되어 케이스(10)와 제1 연결부(20)의 결합상태에서 제1 실링부(30)가 가압돌기(13)에 의해 균일한 압력을 받을 수 있도록 한다. 케이스(10)와 커버(220)를 제작함에 있어서, 제1 가이드홈(14)과 제1 가이드돌기(225)는 그 형성 위치를 변경할 수도 있다.
제1 단자부(230)는 일단이 관통공(223)에 삽입되고 타단이 결합홈(211)으로 노출된다. 즉 제1 단자부(230)는 전방의 일단이 관통공(223)에 삽입되어 연성회로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후방의 타단이 제1 단자결합부(210)에 삽입되어 결합홈(211)으로 노출됨으로써 제1 연결부(20)와 제2 연결부(40)의 결합시에 제2 연결부(40)의 제2 단자부(430)와 접촉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구체적으로 제1 단자부(230)는 6개로 이루어지고 2개씩 서로 마주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제1 단자부(230)는 제1 단자결합부(210)에 삽입되는 후방 일단이 절곡 형성되고, 서로 마주하는 2개의 제1 단자부(230)는 서로 마주하는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다. 그리고 서로 마주하는 2개의 제1 단자부(230)는 그 사이의 거리가 결합홈(211)의 폭보다 좁게 배치되며 탄성을 갖는다. 이에 따라 제1 단자부(230)는 결합홈(211)에 삽입되는 제2 단자부(430)를 가압하여 접촉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한편, 연성회로기판(F)은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착성 수지에 의해 장착면(221)에 장착되어 관통공(223)을 덮고 제1 단자부(230)와 접촉한다. 그리고 다수의 제1 단자부(230)는 각각 납땜(S)하여 연성회로기판(F)에 고정됨과 동시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에 따라 커버(220)에 형성되어 있는 관통공(223)은 연성회로기판(F)을 장착면(221)에 장착하기 위한 접착성 수지와 납땜(S)에 의해 차단되어 관통공(223)을 통해 수분이 유입되지 않는다.
제1 실링부(30)는 케이스(10)와 제1 연결부(20) 사이에 배치되어 케이스(10)의 내부로 수분이 유입되지 않도록 케이스(10)와 제1 연결부(20) 사이의 공간을 차단한다. 이러한 제1 실링부(3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링홈(222)에 삽입되고, 가압돌기(13)에 의해 가압됨에 따라 케이스(10)와 제1 연결부(20) 사이의 공간을 완전히 차단한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연결부(20)가 제1 가이드홈(14)을 따라 케이스(10)의 내부로 삽입됨으로써, 제1 실링부(30)가 가압돌기(13)에 의해 균일한게 가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케이스(10), 제1 연결부(20) 및 제2 연결부(40)가 결합된 상태 뿐만 아니라 제2 연결부(40)가 분리된 상태에서도 우수한 방수성능을 유지하여 카메라모듈이 장착되어 있는 케이스(10)의 내부로 수분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제2 연결부(40)는 제1 연결부(20)와 결합하여 제1 연결부(20)로 전력을 전달한다. 이러한 제2 연결부(40)는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단자결합부(410), 고정부(420a,420b), 제2 단자부(430) 및 하우징(440)으로 이루어진다.
제2 단자결합부(410)는 도 1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후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어 고정부(420a,420b) 및 제2 단자부(430)가 삽입되며,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방에 케이블(50)의 일단이 삽입되는 연결홈(411)이 형성되어 있다. 연결홈(411)의 내측면에는 양측에 경사면(412)이 형성되고, 서로 마주하는 경사면(412)은 전방으로 갈수록 그 사이의 거리가 점점 가까워지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경사면(412)의 전방에는 고정홈(413)이 형성된다. 고정홈(413)은 고정부(420a,420b)가 제2 단자결합부(410)에 삽입되어 제2 단자부(430)의 전방으로 돌출될 때 고정부(420a,420b)가 제2 단자결합부(410)로부터 돌출되는 거리를 제한한다. 또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연결부(40)의 전방에는 제2 단자결합부(410)와 고정부(420a,420b)의 결합을 위한 걸림홈(414)이 형성되어 있다. 걸림홈(414)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고정부(420a,420b)와 함게 후술하도록 한다. 그리고 제2 단자결합부(410)는 제1 연결부(20)와 제2 연결부(40)의 결합시에 삽입홈(12)에 삽입된다.
고정부(420a,420b)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홈(411)으로 삽입되어 제2 단자결합부(410)의 전방으로 돌출된다. 고정부(420a,420b)의 측면에는 돌출부(421)가 돌출 형성되고, 고정부(420a,420b)가 연결홈(411)에 삽입될 때 돌출부(421)는 경사면(412)을 따라 전방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돌출부(421)는 고정홈(413)에 삽입되어 고정부(420a,420b)가 제2 단자결합부(410)의 전방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고정부(420a,420b)의 이동을 제한한다. 또한, 고정부(420a,420b)의 외측면에는 도 1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돌기(422)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결합돌기(422)는 고정부(420a,420b)가 연결홈(411)으로 삽입되어 제2 단자결합부(410)의 전방으로 돌출될 때 걸림홈(414)에 삽입되어 고정부(420a,420b)를 제2 단자결합부(410)에 결합시킨다. 즉 고정부(420a,420b)는 돌출부(421)가 고정홈(413)에 삽입되고 결합돌기(422)가 걸림홈(414)에 삽입됨으로써, 돌출부(421)와 결합돌기(422)에 의해 전후 방향으로 고정되어 제2 단자결합부(410)에 결합된다. 이러한 고정부(420a,420b)는 2개로 이루어져 서로 결합한다. 2개의 고정부(420a,420b)에는 각각 서로 마주하는 면에 조립홈(423)과 조립돌기(424)가 모두 형성되고, 조립홈(423)에 조립돌기(424)가 삽입되어 2개의 고정부(420a,420b)가 서로 결합한다. 고정부(420a,420b)의 전방 및 외측면에는 다수의 단자홈(425)이 형성되고, 단자홈(425)에는 각각 제2 단자부(430)가 결합된다. 그리고 단자홈(425)에는 리브홈(426)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고정부(420a,420b)는 제1 연결부(20)와 제2 연결부(40)의 결합시에 결합홈(211)에 삽입된다.
제2 단자부(430)는 케이블(50)과 제1 단자부(230)를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전력을 전달한다. 구체적으로 제2 단자부(430)는 고정부(420a,420b)에 결합되어 전방의 일단이 제2 단자결합부(410)의 전방으로 돌출되고 후방의 타단이 연결홈(411)에 배치되어 케이블(50)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더욱 구체적으로 제2 단자부(430)는 6개로 이루어져 각각 단자홈(425)에 결합된다. 이러한 제2 단자부(430)는 도 1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 일단이 갈고리 형상으로 절곡되어, 도 1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부(420a,420b)의 전방에 형성된 단자홈(425)에 걸리게 된다. 그리고 도 1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단자부(430)에는 제2 단자부(430)의 길이방향을 따라 양측에 보강리브(431)가 형성된다. 보강리브(431)는 고정부(420a,420b) 방향으로 돌출되고 리브홈(426)에 삽입된다. 제2 단자부(430)는 제1 연결부(20)와 제2 연결부(40)의 결합시에 제1 단자부(230)와 접촉하여 제1 연결부(20)로 전력을 전달한다. 이때, 제2 단자부(430)는 결합홈(211)의 내측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는 제1 단자부(230)에 의해 가압됨으로써 전력을 전달하기 위한 접촉이 유지된다. 그런데 제2 단자부(430)가 제1 단자부(230)에 의한 가압력이나 기타 외부적 요인에 의해 휨 변형되면 제1 단자부(230)와의 접촉이 불안정하게 되어 전력의 전달이 제대로 이루어질 수 없다. 이러한 문제를 예방하기 위하여 제2 단자부(430)에 보강리브(431)를 형성하여 제2 단자부(430)의 형상이 변형되지 않도록 하였다.
하우징(440)은 도 1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단자결합부(410) 및 케이블(50)의 일단을 감싸도록 형성되고 케이스(10)에 결합된다. 이러한 하우징(440)은 제1 연결부(20)와 제2 연결부(40)의 조립시에 삽입홈(12)에 삽입된다. 그리고 하우징(440)의 외측면에는 도 8 또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가이드돌기(441)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제2 가이드돌기(441)는 하우징(440)이 삽입홈(12)에 삽일될 때 제2 가이드홈(15)을 따라 이동하여 하우징(440)의 이동을 안내한다. 이러한 하우징(440)은 인서트사출 방식으로 제2 단자결합부(410)의 외부에 형성될 수 있다.
케이블(50)은 차량의 전원부와 제2 연결부(40)에 각각 연결되어 카메라모듈에 전력을 공급한다. 구체적으로 케이블(50)은 제2 단자부(430)에 대응되도록 다수의 도선으로 이루어진다. 본 실시예에서 케이블(50)은 6개의 도선으로 이루어지며, 제1 단자부(230)와 제2 단자부(430) 역시 각각의 도선에 대응되도록 다수로 이루어진다. 케이블(50)을 구성하는 도선의 수는 본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으면 경우에 따라 그 수가 달라질 수도 있다.
제2 실링부(60)는 도 1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연결부(40)와 케이블(50)의 연결 부분을 감싸 수분의 유입 및 유출을 차단한다. 구체적으로 제2 실링부(60)는 열가소성수지(수지)로서 연결홈(411)에 충전되어 케이블(50)의 일단과 제2 단자부(430)의 타단의 주위를 감싸 밀폐시킨다. 이러한 제2 실링부(60)는 제2 연결부(40)와 케이블(50)의 연결부분을 밀폐시켜 수분의 유입 및 유출을 차단함과 동시에 제2 연결부(40)와 케이블(50)의 연결부분을 감싸 고정한다.
제3 실링부(70)는 케이스(10)와 제2 연결부(40) 사이에 배치되어 결합홈(211)으로 수분이 유입되지 않도록 케이스(10)와 제2 연결부(40) 사이의 공간을 차단한다. 이에 따라 케이스(10), 제1 연결부(20) 및 제2 연결부(40)가 결합된 상태에서 방수 성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전술한 제1 실링부(30) 및 제3 실링부(70)는 O-링이며 그 단면의 형상은 다양하게 선택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용 케이블 조립체의 제작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카메라용 케이블 조립체는 도 3 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제1 연결부(20)와 제2 연결부(40)를 각각 제작하여 조립한다.
먼저, 제1 연결부(20)의 제작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연결부(20)는 제1 단자결합부(210), 커버(220) 및 제1 단자부(230)로 이루어진다. 제1 단자부(230)는 후방 일단이 결합홈(211)으로 노출되도록 제1 단자결합부(210)에 결합시킨다. 그리고 커버(220)를 제1 단자결합부(210)의 전방에 결합시킨다. 커버(220)에는 걸림돌기(224)가 돌출 형성되어 있고, 제1 단자결합부(210)에는 걸림돌기(224)에 대응되는 위치에 걸림턱(212)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제1 단자결합부(210)와 커버(220)를 결합시키면 걸림돌기(224)가 걸림턱(212)에 걸려 임의로 분리되지 않는다. 이때, 제1 단자부(230)의 전방 일단은 커버(220)에 형성되어 있는 관통공(223)에 삽입된다. 그리고 커버(220)에 형성되어 있는 장착면(221)에 연성회로기판을 장착한다. 연성회로기판(F)은 접착성 수지 등에 의해 장착면(221)에 장착되며 관통공(223)을 덮는다. 그리고 납땜으로 관통공(223)에 삽입된 제1 단자부(230)의 전방 일단과 연성회로기판(F)을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이와 같이 접착성 수지 및 납땜을 이용하여 연성회로기판(F)을 장착면(221)에 장착하고 제1 단자부(230)와 전기적으로 연결함과 동시에, 관통공(223)을 차단하여 관통공(223)을 통해 수분이 유입되지 않도록 한다. 연성회로기판(F)을 커버(220)에 장착한 후에는 납땜상태를 검사한다.
연성회로기판(F)을 커버(220)에 장착한 후에는 제1 연결부(20)와 케이스(10)를 결합시킨다. 구체적으로 커버(220)에 형성되어 있는 실링홈(222)에 제1 실링부(30)를 삽입한 후 제1 연결부(20)를 케이스(10)의 전방을 통해 후방으로 삽입한다. 이때, 제1 가이드돌기(225)가 제1 가이드홈(14)에 삽입됨으로써 제1 연결부(20)의 이동을 안내한다. 이와 같이 제1 연결부(20)를 커버(220)의 내부로 삽입하면, 제1 단자결합부(210)가 장착구(11)에 삽입되고, 가압돌기(13)가 실링홈(222)에 삽입되어 제1 실링부(30)를 가압한다. 그리고 스크류 등을 이용하여 서로 결합된 케이스(10)와 제1 연결부(20)를 고정한다. 이에 따라 결합홈(211)은 케이스(10)의 후방으로 노출되고, 케이스(10)와 제1 연결부(20) 사이의 틈은 완전히 차단되어 케이스(10)의 내부로 수분이 유입되지 않도록 한다.
그리고 장착면(221)에 장착되어 있는 연성회로기판에 에폭시를 도포한 후, 통전, 절연 및 누수검사를 실시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케이스(10)에는 카메라모듈이 장착되며, 카메라모듈은 연성회로기판에 의해 제1 단자부(23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카메라모듈과 제1 단자부(230)를 연결하기 위하여 연성회로기판이 아닌 도선(wire)를 이용할 경우 도선의 유연선이 좋지 않기 때문에 도선과 카메라모듈의 간섭현상이 발생하여 카메라모듈의 조립이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연성회로기판을 이용하여 카메라모듈과 제1 단자부(230)를 연결함으로써 기존의 도선과 카메라모듈의 간섭현상을 개선하였다. 또한, 차종마다 도선의 길이 및 핀맵(pin map)이 다양하여 오조립 및 사양의 구분이 어려웠던 사항을 핀맵을 일원화하여 조립 작업성 및 생산성을 향상시켰다.
다음은 제2 연결부(40)의 제작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연결부(40)는 제2 단자결합부(410), 고정부(420a,420b), 제2 단자부(430) 및 하우징(440)으로 이루어지며 케이블(50)이 연결된다. 먼저 적정 길이로 케이블(50)을 절단하고 케이블(50) 일단의 외피를 벗겨 도선(W)이 노출되도록 하여 도선의 피복을 벗겨낸다.
그리고 제2 단자부(430)의 전방 일단을 갈고리 형상으로 절곡시킨다. 이러한 제2 단자부(430)는 도 1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방 일단에 도선(W)을 납땜하여 연결한다. 이와 같이 6개의 제2 단자부(430)에 각각 도선(W)을 연결하고, 2개로 분리되어 있는 고정부(420a,420b)에 제2 단자부(430)를 결합시킨다. 하나의 고정부(420a,420b)에는 3개의 제2 단자부(430)가 결합된다. 제2 단자부(430)는 단자홈(425)에 삽입되고, 보강리브(431)는 리브홈(426)에 삽입된다. 제2 단자부(430)는 갈고리 형상으로 절곡되어 있기 때문에 고정부(420a,420b)의 전방에 걸려 결합된다. 모든 제2 단자부(430)를 고정부(420a,420b)에 결합시킨 후, 2개의 고정부(420a,420b)를 서로 결합시킨다. 2개의 고정부(420a,420b)는 서로 마주하는 면에 조립돌기(424)와 조립홈(423)이 모두 형성되어 있으며, 어느 하나의 고정부(420a,420b)에 형성되어 있는 조립홈(423)에 다른 하나의 고정부(420a,420b)에 형성되어 있는 조립돌기(424)가 삽입되어 결합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케이블(50)의 도선(W)은 제2 단자부(430)에 각각 연결되어 제1 단자부(23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데, 각각의 도선(W)은 연결되는 위치가 정해져 있다. 이에 따라 도선을 직접 정해진 위치에 연결하려면 그 위치에 따라 도선(W)이 서로 꼬이기 때문에 각각의 도선(W)을 정위치에 연결하기 용이하지 않다. 이러한 문제점으로 인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도선(W)의 연결위치와 무관하게 각각의 도선(W)을 제2 단자부(430)에 납땜하여 연결한 후, 도선(W)이 연결되어 있는 제2 단자부(430)를 그 위치에 맞게 고정부(420a,420b)에 결합시킴으로써 도선(W)을 위치에 맞게 연결하기 용이하다.
이와 같이 제2 단자부(430)가 결합된 고정부(420a,420b)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단자결합부(410)의 연결홈(411)으로 삽입하여 제2 단자결합부(410)의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한다. 이때, 고정부(420a,420b)의 양측에 형성되어 있는 돌출부(421)는 제2 단자결합부(410)에 형성되어 있는 경사면(412)을 따라 전방으로 이동하고, 경사면(412)의 전방에 형성되어 있는 고정홈(413)에 삽입되어 고정부(420a,420b)의 이동을 제한한다. 그리고 고정부(420a,420b)에 형성되어 있는 결합돌기(422)가 제2 단자결합부(410)의 전방에 형성되어 있는 걸림홈(414)에 삽입됨으로써, 고정부(420a,420b)는 후방으로 이동하지 않고 제2 단자결합부(410)와 결합한다. 이에 따라 고정부(420a,420b)는 제2 단자부(430)의 전방으로 돌출된 상태로 고정되며, 제2 단자부(430)와 제2 단자부(430)에 연결되어 있는 케이블(50)의 일단은 연결홈(411)에 삽입 배치된다.
이후, 도 1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홈(411)에 제2 실링부(60)를 충전하여 케이블(50)의 일단과 제2 단자부(430)의 타단 주위를 감싸 밀폐시키고, 인서트사출 방식으로 제2 단자결합부(410)의 외부에 하우징(440)을 형성한다. 그리고 하우징(440)의 전방에는 제3 실링부(70)를 결합시킨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연결부(20)와 제2 연결부(40)를 제작한 후, 제1 연결부(20)와 제2 연결부(40)를 조립하여 통전 및 절연 검사를 실시한다. 구체적으로 하우징(440)을 케이스(10)에 형성되어 있는 삽입홈(12)에 삽입하면, 제2 가이드돌기(441)가 제2 가이드홈(15)에 삽입되어 제2 연결부(40)의 이동을 안내하고, 제2 단자결합부(410) 및 하우징(440)의 전방으로 돌출되어 있는 고정부(420a,420b)는 결합홈(211)에 삽입된다. 이에 따라 제1 단자부(230)와 제2 단자부(430)가 접촉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연성회로기판(F)을 통해 카메라모듈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그리고 케이스(10)와 하우징(440)은 스크류 등을 이용하여 서로 결합된 상태로 고정한다.
제1 연결부(20)와 제2 연결부(40)는 서로 분리된 상태에서 각각 우수한 방수성능을 유지하며, 서로 조립된 상태에서도 제1 내지 제3 실링부(70)에 의해 수분의 유입을 차단할 수 있다.
제1 연결부와 제2 연결부의 제작 순서는 앞서 설명한 순서로 한정할 필요는 없으며, 제1 연결부와 제2 연결부를 각각 제작한 후 서로 조립하거나 또는 분리된 상태로 제품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인 카메라용 케이블 조립체 및 카메라용 케이블 조립체의 제작방법은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이 허용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10 : 케이스, 11 : 장착구, 12 : 삽입홈(12), 13 : 가압돌기, 14 : 제1 가이드홈, 15 : 제2 가이드홈,
20 : 제1 연결부, 210 : 제1 단자결합부, 211 : 결합홈, 212 : 걸림턱, 220: 커버, 221 : 장착면, 222 : 실링홈, 223 : 관통공, 224 : 걸림돌기, 225 : 제1 가이드돌기, 230 : 제1 단자부,
30 : 제1 실링부,
40 : 제2 연결부, 410 : 제2 단자결합부, 411 : 연결홈, 412 : 경사면, 413 : 고정홈, 414 : 걸림홈, 420a,420b : 고정부, 421 : 돌출부, 422 : 결합돌기, 423 : 조립홈, 424 : 조립돌기, 425 : 단자홈, 426 : 리브홈, 430 : 제2 단자부, 431 : 보강리브, 440 : 하우징, 441 : 제2 가이드돌기,
50 : 케이블,
60 : 제2 실링부(수지),
70 : 제3 실링부,

Claims (12)

  1. 내부에 카메라모듈이 장착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에 장착되는 제1 연결부와, 상기 제1 연결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 연결부와, 차량의 전원부와 상기 제2 연결부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카메라모듈에 전력을 공급하는 케이블을 포함하는 카메라용 케이블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은 다수의 도선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연결부는,
    상기 카메라모듈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 단자부와,
    상기 제1 단자부가 결합되고 결합홈이 형성되어 있는 제1 단자결합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제2 연결부는,
    다수의 상기 도선 중 어느 하나의 도선이 각각 연결되고 상기 결합홈에 삽입되어 상기 제1 단자부와 접촉하는 다수의 제2 단자부와,
    상기 제2 단자부가 결합되는 다수의 단자홈이 형성되어 있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 및 제2 단자부가 결합되는 제2 단자결합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제2 단자결합부의 전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결합홈에 삽입되며,
    상기 고정부에는 상기 제2 단자결합부에 결합된 상기 고정부의 후방 이동을 제한하는 결합돌기와 상기 고정부의 전방 돌출길이를 제한하는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카메라용 케이블 조립체.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두 개로 분리되어 상호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용 케이블 조립체.
  3. 청구항 2에 있어서,
    두 개의 상기 고정부에는 각각 조립홈 및 조립돌기가 모두 형성되어 있고,
    어느 하나의 고정부에 형성되어 있는 조립돌기는 다른 하나의 고정부에 형성되어 있는 조립홈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용 케이블 조립체.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단자부는 전방의 일단이 갈고리 형상으로 절곡 형성되고 후방의 타단에 상기 도선이 연결되며,
    상기 단자홈은 상기 고정부의 전방 및 측면에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2 단자부가 걸려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용 케이블 조립체.
  5. 삭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부는 상기 제1 단자결합부의 전방에 결합되는 커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커버 및 케이스 중 어느 하나에는 제1 가이드돌기가 형성되며, 다른 하나에는 상기 제1 가이드돌기가 삽입되어 상기 케이스의 내부로 삽입되는 상기 제1 연결부의 전후방향 이동을 안내하는 제1 가이드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용 케이블 조립체.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2 연결부는 상기 제2 단자결합부를 감싸는 하우징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케이스의 후방에는 상기 하우징의 전방 일단이 삽입되는 삽입홈이 형성되며,
    상기 케이스 및 상기 하우징 중 어느 하나에는 제2 가이드돌기가 형성되고, 다른 하나에는 상기 제2 가이드돌기가 삽입되어 상기 제2 연결부의 전후방향 이동을 안내하는 제2 가이드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용 케이블 조립체.
  8. 내부에 카메라모듈이 장착되는 케이스가 결합되고 상기 카메라모듈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 단자부를 포함하는 제1 연결부와, 차량의 전원부와 연결되는 케이블이 연결되고 상기 제1 단자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 단자부 및 상기 제2 단자부가 결합되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제2 연결부를 각각 제작하여 조립하는 카메라용 케이블 조립체의 제작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2 연결부를 제작하는 단계는,
    다수의 도선으로 분리되도록 상기 케이블 일단의 피복을 제거하는 케이블을 준비하는 단계와,
    상기 도선에 각각 상기 제2 단자부를 연결하는 단계와,
    상기 제2 단자부를 고정부에 형성되어 있는 다수의 단자홈 중 미리 정해진 위치에 맞춰 배열한 후 상기 위치에 있는 단자홈에 결합시키는 단계와,
    상기 제2 단자부를 상기 고정부에 결합시킨 후에, 서로 연결되어 있는 상기 제2 단자부와 도선이 연결홈에 배치되도록 고정부를 제2 단자결합부에 결합시키는 고정부 결합단계와,
    서로 연결되어 있는 상기 제2 단자부와 도선의 주위를 감싸도록 상기 연결홈에 수지를 충전하는 단계와,
    상기 제2 단자결합부 및 수지 주위에 인서트사출 방식으로 하우징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용 케이블 조립체의 제작방법.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제2 단자부는 일단이 갈고리 형상으로 절곡 형성되고 타단에 상기 도선이 연결되어 상기 고정부의 전방에 걸려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용 케이블 조립체의 제작방법.
  10.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두 개로 분리되어 서로 결합되고,
    상기 제2 단자부는 분리되어 있는 두 개의 고정부에 각각 결합되며,
    분리되어 있는 두 개의 고정부에 상기 제2 단자부를 각각 결합시킨 후에 두 개의 상기 고정부를 결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용 케이블 조립체의 제작방법.
  11. 삭제
  12. 내부에 카메라모듈이 장착되는 케이스가 결합되고 상기 카메라모듈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 단자부를 포함하는 제1 연결부와, 차량의 전원부와 연결되는 케이블이 연결되고 상기 제1 단자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 단자부 및 상기 제2 단자부가 결합되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제2 연결부를 각각 제작하여 조립하는 카메라용 케이블 조립체의 제작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2 연결부를 제작하는 단계는,
    다수의 도선으로 분리되도록 상기 케이블 일단의 피복을 제거하는 케이블을 준비하는 단계와,
    상기 도선에 각각 상기 제2 단자부를 연결하는 단계와,
    상기 제2 단자부를 고정부에 형성되어 있는 다수의 단자홈 중 미리 정해진 위치에 맞춰 배열한 후 상기 위치에 있는 단자홈에 결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제1 연결부를 제작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단자부를 제1 단자결합부에 결합시키는 단계와,
    상기 제1 단자부를 덮도록 상기 제1 단자결합부의 전방에 커버를 결합시키는 단계와,
    서로 결합된 상기 제1 단자부, 제1 단자결합부 및 커버를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삽입하여 상기 케이스의 후방에 형성되어 있는 장착구에 장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커버를 상기 제1 단자결합부에 결합시키기 전 또는 후에 상기 커버에 형성되어 있는 실링홈에 제1 실링부를 삽입하며,
    상기 커버를 상기 장착구에 장착하면 상기 케이스에 형성되어 있는 가압돌기가 상기 실링홈에 삽입되어 상기 제1 실링부를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용 케이블 조립체의 제작방법.
KR1020140131499A 2014-09-30 2014-09-30 카메라용 케이블 조립체 및 카메라용 케이블 조립체의 제작방법 KR1016263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1499A KR101626371B1 (ko) 2014-09-30 2014-09-30 카메라용 케이블 조립체 및 카메라용 케이블 조립체의 제작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1499A KR101626371B1 (ko) 2014-09-30 2014-09-30 카메라용 케이블 조립체 및 카메라용 케이블 조립체의 제작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38425A KR20160038425A (ko) 2016-04-07
KR101626371B1 true KR101626371B1 (ko) 2016-06-01

Family

ID=557896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31499A KR101626371B1 (ko) 2014-09-30 2014-09-30 카메라용 케이블 조립체 및 카메라용 케이블 조립체의 제작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2637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382725B2 (en) 2016-09-26 2019-08-13 Hanwha Techwin Co., Ltd. Camera for indoor/outdoor us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54463B1 (ko) * 2017-04-19 2019-12-10 해성옵틱스(주) 차량의 자율주행용 감지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601485B2 (ja) 2004-05-07 2010-12-22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電気機器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267162B2 (ja) * 2009-01-29 2013-08-21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防水ジョイントコネクタ
KR101110426B1 (ko) * 2010-03-30 2012-02-24 케이유엠 주식회사 암커넥터 조립체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601485B2 (ja) 2004-05-07 2010-12-22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電気機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382725B2 (en) 2016-09-26 2019-08-13 Hanwha Techwin Co., Ltd. Camera for indoor/outdoor us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38425A (ko) 2016-04-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68902B2 (en) Connector
US9472893B1 (en) Connector
US9819120B2 (en) Connector
KR102647718B1 (ko) 콘택 캐리어, 전기 콘택 유닛 및 기성품 케이블을 생성하는 방법
KR101288689B1 (ko) 커넥터 하우징의 방수구조
US20100261364A1 (en) Fluidproof connector and assembling method therefor
US9592775B2 (en) Wiring harness protector fixing structure
US9270049B2 (en) Waterproof connector
CN110495053B (zh) 内导体端子及屏蔽连接器
US9653843B2 (en) Connector
CN113196585B (zh) 连接器及连接器结构体
KR101546318B1 (ko) 기기 연결용 커넥터 및 기기 연결용 커넥터 제조 방법
KR101920454B1 (ko) 스프링 구조를 가진 도전핀을 이용한 전자기기 및 케이블 접속구조
KR101550994B1 (ko) 플랫 케이블용 커넥터
WO2020137732A1 (ja) 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構造体
JP2008176977A (ja) 防水コネクタおよ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コネクタの防水構造
KR101626371B1 (ko) 카메라용 케이블 조립체 및 카메라용 케이블 조립체의 제작방법
JP4590467B2 (ja) コネクタ
JP5720590B2 (ja) コネクタ
JP2004119294A (ja) シール材の固定構造
JP2011060426A (ja) コネクタ
KR101616546B1 (ko) 방수구조를 갖는 카메라용 케이블 조립체
JP7038005B2 (ja) 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アセンブリ
KR101790602B1 (ko) 통합형 케이블 어셈블리
JP2013016348A (ja) フラットケーブルの防水コネクタ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8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