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97738B1 - 릴레이 구조 - Google Patents

릴레이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97738B1
KR100497738B1 KR10-2003-0057707A KR20030057707A KR100497738B1 KR 100497738 B1 KR100497738 B1 KR 100497738B1 KR 20030057707 A KR20030057707 A KR 20030057707A KR 100497738 B1 KR100497738 B1 KR 1004977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bbin
relay
coil
terminal
input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577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20060A (ko
Inventor
강은병
Original Assignee
한국오므론전장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오므론전장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오므론전장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577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97738B1/ko
Publication of KR200500200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200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977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97738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16Magnetic circuit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16Magnetic circuit arrangements
    • H01H50/36Stationary parts of magnetic circuit, e.g. yok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54Contact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44Magnetic coils or windings
    • H01H2050/446Details of the insulating support of the coil, e.g. spool, bobbin, forme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lectromagne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 및 기타 산업용 기기에 광범위하게 적용되는 릴레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코일을 자동으로 감을 수 있도록 구조를 개선하여 작업 공정을 줄이면서도 전체 릴레이 구조를 단순화시켜 내구성이 크고 동작 안정성이 높은 고신뢰성의 릴레이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릴레이 보빈부는 코일이 감기는 보빈, 상기 보빈 외부의 일 측면 및 상면을 감싸며 상기 보빈부를 하부의 상기 베이스부에 결합시키는 요크, 상기 요크와 판스프링으로 연결되어 상기 보빈의 타 측면에 위치하는 가동철편 및 상기 보빈의 일 측면에 양쪽으로 구비된 한 쌍의 중계단자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베이스부는 상기 중계단자와 접촉하는 한 쌍의 입력단자, 상기 요크와 접촉하는 공통단자 및 상기 가동철편과 접촉하는 출력단자를 포함하여 구성되도록 한다.
코일의 자동권선을 방해하지 않는 중계단자를 구비하므로써, 본 발명은 코일의 권선공정, 코일 끝부분을 솔더부에 묶는 공정 및 솔더링 공정을 모두 한 번에 자동으로 수행하도록 하여 공정을 단순화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중계단자의 형상이 입력단자와 손쉽게 결합될 수 있도록 하므로써, 공정을 단순히 하기 위한 중계단자를 도입하면서도 입력단자로부터 코일로의 전기 전달의 역할을 충분히 수행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Description

릴레이 구조 {Relay Assembly}
본 발명은 자동차 및 기타 산업용 기기에 광범위하게 적용되는 릴레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코일을 자동으로 감을 수 있도록 구조를 개선하여 작업 공정을 줄이면서도 전체 릴레이 구조를 단순화시켜 내구성이 크고 동작 안정성이 높은 고신뢰성의 릴레이를 제공하는 것이다.
릴레이(Relay)는 입력이 어떤 값에 도달했을 때 작동하여 다른 회로를 개폐하는 장치로서, 접점이 있는 릴레이 또는 접점이 없는 무접점 릴레이 및 압력, 온도, 광 릴레이 등이 있다. 이 중 접점이 있는 일반적인 릴레이의 구조가 도 1에 개시되어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일반적으로 접점이 있는 릴레이는 보빈 및 다수의 접점단자들을 고정하는 보빈부(1)와 보빈부(1)의 하측에 결합되는 베이스부(2)로 구성되어 있으며, 보빈부(1) 외측에 장착되어 보빈(5)을 보빈부(1)에 지지, 결합 시키는 동시에 보빈부(1)와 베이스부(2)를 결합하는 요크(3)와, 코일(4)이 감겨져 있는 원기둥 상태로 요크(3)에 고정되는 보빈(5)과, 보빈(5)을 관통하는 형태로 보빈부(1)와 요크(3)에 장착되어 보빈(5)에 감겨진 코일(4)에 인가되는 전원 통전에 따라 자화되는 철심(5a)과, 요크(3)의 일측에 결합되어 있으면서 철심(5a)의 자기력에 의해 움직이는 가동철편(7)과, 가동철편(7)을 요크(3)에 연결 시키면서 가동철편(7)에 작용되는 자기력에 따라 가동철편(7)의 가동을 탄력적으로 제어하는 판스프링(6)으로 이루어 진다.
그리고 판스프링(6)의 끝단에는 접촉단자(8)와 만나는 접점(미도시)이 있고, 코일(4)에 전원을 인가하는 단자(9)들이 있다. 상기 릴레이는 보빈(5)에 감긴 코일(4)에 전류를 인가시키면 기전력이 발생되므로 철심(5a)은 자화되어 전자석이 된다.
이에 따라 철심(5a)이 일측에 위치된 가동철편(7)을 흡인하게 되므로 가동철편(7)은 판스프링(6)을 안쪽 방향으로 변형 시키면서 회전하여 판스프링(6)에 붙어 있는 접촉단자(8)를 접점(미도시)과 접촉시킨다. 즉, 보빈(5)에 감겨진 코일(4)에 전원을 통전시키면 철심(5a)에 자력이 발생하면서 접속용 철판과 흡착하게 됨으로서 철판에 부착된 통전용 판스프링(6)이 접점과 연결 되면서 끊겨진 한쪽선을 접속, 전원을 통전 시킨다.
반대로 코일(4)에 흐르는 전원을 끊어주면 철심(5a)의 자력이 없어지면서 통전용 판스프링(6)의 복원력에 의해 접속용 철판이 철심(5a)과 떨어지게 되고 이때 다시 전원을 끊어준다.
이러한 일반적인 릴레이 구조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한 종래의 릴레이 구조는 도 2에 개시되어 있다. 도 2는 종래의 릴레이 구조의 보빈부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및 평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보빈부(10)는 내부에 관통하는 철심(15)을 포함하고 있는 보빈(12), 보빈(12)의 일측과 연결되면서, 보빈부(10) 외부의 일면 및 상면을 감싸고 있는 금속재의 요크(14), 보빈(12)에 감기게 되는 코일(16), 보빈부(10)의 일 측면에 결합되어 하측으로 길게 돌출된 입력단자(18), 입력단자(18)에 형성되어 전기소자를 끼울 수 있도록 되어 있는 전기소자홈(20)을 포함하고 있다.
입력단자(18)는 보빈부(10)의 일측에 하방으로 돌출되도록 결합되며, 보빈(12)에 감기는 코일(16)의 끝부분은 입력단자의 솔더부(22; 도 3)에 감도록 되어 있어, 입력단자(18) 하측으로부터 입력된 전기가 코일(16)로 흐르도록 한다.
입력단자(18)는 납작한 판재를 적절한 형태로 굽혀서 형성하며, 하측으로는 전기를 입력받아, 상측의 솔더부(22)를 통해 코일(16)로 전기를 전달한다. 입력단자(18)의 일측에는 전기소자를 끼울 수 있도록 전기소자홈(20)을 형성하여 놓는 것이 바람직하다.
릴레이의 제작시에는 먼저 보빈(12)에 코일(16)을 감고, 하측의 베이스부(30; 도 5)와 결합하게 된다. 이러한 코일(16)은 수 백에서 수 천회 감기게 되므로, 자동으로 코일을 감는 장치가 필요하며, 보빈부(10)는 이러한 코일 자동권선 장치에 용이하게 장착되어, 코일 권선 공정이 수행될 수 있어야 한다.
그런데 종래의 릴레이 구조는 보빈부(10)에 솔더부(22)를 구비한 입력단자(18)가 연결되어 있어, 코일(16)의 자동권선에 문제가 있었다. 자동권선 장치에 보빈부(10)를 용이하게 장착하고, 권선 공정을 용이하게 수행하기 위해서는 보빈부(10)의 형상이 간단하여야 하고, 외부로 돌출된 형태의 구성이나 복잡한 구성이 없어야 한다.
또한 코일이 감기는 부분(도 2의 A-A'선과 B-B'선 사이의 공간)의 주변에 보빈(12)의 회전운동을 방해할만한 구성이 없어야 한다(보빈 내 A-A'선과 B-B'선 사이의 공간을 상하로 연장한 사이 공간을 "코일이 감기는 부분"이라고 명한다).
그런데 종래의 릴레이 구조에는 보빈부(10)에 입력단자(18)가 결합되고, 입력단자(18)가 외부로 길게 돌출되어 있어, 자동권선을 위한 공정시 회전이 용이하게 되지 않아, 작업이 불편하고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입력단자(18)가 코일(16)이 감기는 부분인 A-A'선과 B-B'선 사이의 공간에 위치해 있어, 코일(16)을 감는 경우 입력단자(18)로 인해 방해를 받는 문제점이 있었다.
결국, 종래의 릴레이 구조에서는 솔더부(22)가 구비된 입력단자(18)를 결합시킨 상태에서는 보빈(12)에 코일(16)을 자동권선 할 수 없었다. 따라서 자동권선시에는 보빈(12)으로부터 입력단자(18)를 제거한 후, 권선 공정을 진행한 후, 권선이 끝나면 입력단자(18)를 결합시키고, 솔더부(22)에 코일(16)의 끝부분을 수작업으로 묶어 주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게 된다.
이는 자동권선 장치를 이용해 보빈(12)에 코일(16)을 감는 공정은 물론, 솔더부(22)에 코일(16)을 묶고, 솔더부(22)에 납으로 솔더링하는 공정을 자동으로 수행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자동권선 시에는 솔더부(22)가 구비된 입력단자(18)를 결합해 놓을 수 없어, 자동권선 후 별도로 입력단자(18)를 끼우고 수작업으로 솔더부(22)에 코일(16)의 끝부분을 묶고, 솔더부(22)를 솔더링 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이러한 공정상의 번거로움으로 인해, 자동권선 장치에 용이하게 장착된 상태에서 자동권선 공정 자체도 어려움 없이 수행되고, 솔더부에 코일을 묶는 공정 및 솔더링 공정까지도 자동권선 장치에 의해 자동적으로 처리할 수 있도록 하는 간단한 형태의 보빈부를 갖는 릴레이 구조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었다. 특히 코일이 묶여지는 솔더부가 형성된 입력단자의 형상으로 인해 자동권선 공정을 수행하기 어렵게 되는 문제점을 해결할 필요성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입력단자가 보빈부에 결합되어 설치되지 않도록 하여, 보빈부가 자동권선에 적합하도록 간단한 형상을 갖도록 하는 릴레이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솔더부를 입력단자에 형성하지 않고 별도의 중계단자에 형성하여, 코일을 보빈에 감고, 솔더부에 묶이는 공정이 자동권선 장치에 의해 별도의 수작업 없이도 자동으로 가능하게 하는 릴레이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보빈부에 중계단자를 구비하여, 베이스부의 입력단자에 탄성적으로 용이하게 결합되게 하도록 하여, 보빈부와 베이스부의 결합이 용이도록 하는 릴레이 구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보빈부는 코일이 감기는 보빈, 상기 보빈 외부의 일 측면 및 상면을 감싸며 상기 보빈부를 하부의 상기 베이스부에 결합시키는 요크, 상기 요크와 판스프링으로 연결되어 상기 보빈의 타 측면에 위치하는 가동철편 및 상기 보빈의 일 측면에 양쪽으로 구비된 한 쌍의 중계단자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베이스부는 상기 중계단자와 접촉하는 한 쌍의 입력단자, 상기 요크와 접촉하는 공통단자 및 상기 가동철편과 접촉하는 출력단자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릴레이 구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상기 보빈부와 상기 베이스부는 각각 분리된 구성이며, 상기 보빈부를 상기 베이스부의 상측에 끼워 결합하는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보빈부의 상기 중계단자는 상기 베이스부의 상기 입력단자 상측의 삽입부에 끼워지는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중계단자는 상기 보빈부에 끼워져 고정되기 위한 결합부, 상기 결합부의 반대편에 돌출되어 상기 보빈에 감기는 코일의 단부가 묶여지는 솔더부 및 하방으로 소정의 길이만큼 돌출된 판재의 형상으로 상기 입력단자의 상기 삽입부에 끼워지는 삽입판을 포함하는 일체형 판재 구조인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중계단자는 알파벳 T자 형의 납작한 일체형 판재로서, 상기 결합부를 통해 상기 보빈의 일 측면에 끼워지면 상기 보빈의 측면과 동일 평면상에서 돌출되는 부분이 없도록 코일이 감기는 부분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하되, 상기 솔더부는 상기 평면상에서 구부려 돌출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삽입부는 상측으로 돌출된 한 쌍의 핑거부가 대향하여 형성되어 상기 입력단자의 상부에 위치하고, 하부는 전원을 입력받기 위한 입력단조부와 연결되는 일체형 판재 구조인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입력단자는 상기 베이스부의 수평방향 고정판에 상하로 돌출되도록 고정되며, 상기 삽입부는 상기 고정판의 상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입력단조부는 상기 고정판의 하측으로 돌출되는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입력단자는 상측으로 돌출된 한 쌍의 핑거부가 대향하여 형성되는 전기소자홈을 상부에 더 포함하는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입력단자는 상기 베이스부의 수평방향 고정판에 상하로 돌출되도록 고정되며, 상기 삽입부 및 상기 전기소자홈은 상기 고정판의 상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입력단조부는 상기 고정판의 하측으로 돌출되는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
이하, 종래의 릴레이 구조의 자세한 구성 및 본 발명의 실시례를,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과의 차이점을 비교하기 위한 종래의 릴레이 보빈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보빈부(10)의 일 측면에는 입력단자(18)가 결합된다. 도 3의 (a) 및 (c)는 보빈부(10)를 양 측면에서 바라본 도면인데, 입력단자(18)가 보빈부(10)에 결합됨으로 인해 보빈부(10)가 보빈(12)과 그 하측으로 길게 돌출된 입력단자(18)의 형상으로 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입력단자(18)에는 전기소자홈(20)과 솔더부(22)가 형성된다. 전기소자홈(20)에는 한 쌍의 입력단자(18)에 접촉되는 전기소자(24)가 삽입된다. 솔더부(22)는 보빈(12)에 감기는 코일(16)의 끝부분을 묶는 부분으로서, 입력단자(18)로부터 입력된 전기를 코일(16)로 흐르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코일(16)을 감을 때는, 자동권선 장치를 사용하는데, 보빈부(10)에 입력단자(18)와 같이 외부로 길게 돌출되거나, 코일(16)이 감기는 A-A'선과 B-B'선 사이의 공간으로 돌출되는 구성이 있는 경우에는 자동권선이 불가능하게 된다. 즉, 자동권선을 위해 보빈부(10)를 회전시켜야 하는데, 보빈부(10)에 외부로 길게 돌출된 입력단자(18)가 결합되어 있어 보빈부(10)의 코일(16)을 감는 것이 불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보빈(12)에 코일(16)을 감기 위해서는 입력단자(18)를 결합시키지 않은 상태에서 자동권선하고, 그 후에 입력단자(18)를 결합하고, 솔더부(22)에 수작업으로 코일(16)의 끝부분을 묶어 납으로 솔더링해야 한다.
결국, 자동권선 장치가 권선 공정, 솔더부에 코일 끝부분을 묶는 공정 및 솔더링 공정을 한 번에 자동으로 수행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종래의 릴레이 구조에 따른 제조시에는 권선 후에 입력단자(18)를 결합하고 수동으로 솔더부(22)에 코일(16)을 묶고, 별도로 솔더링을 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도 4는 종래의 릴레이 보빈부에 결합되는 입력단자의 형상을 측면 및 정면에서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입력단자(18)의 하부는 판재의 플러그 형상으로 전기를 입력받는 부분으로 입력단조부(19)라 한다. 입력단자(18)의 상부에는 보빈부(10)와 결합되기 위한 결합부(26)가 형성되어 있고, 결합부(26)는 보빈(12)의 일 측면에 형성된 한 쌍의 홈에 삽입되어 결합된다.
솔더부(22)는 측방으로 돌출된 막대 형상이며, 보빈(12)에 감기는 코일(16)의 끝부분이 감기게 된다. 코일(16)이 감긴 솔더부(22)에는 전기접속을 확실히 하기 위해 납으로 솔더링하게 된다.
이러한 솔더부(22)는 입력단자(18)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어, 자동권선시부터 보빈부(10)에 결합시켜 놓지 못하게 된다. 따라서 보빈(12)에의 자동권선, 솔더부(22)에의 코일 끝부분 묶음, 솔더부(22)의 납 솔더링의 공정이 자동권선 장치에 의해 하나의 자동 공정으로 수행될 수 없으며, 보빈(12)에의 자동권선 후에 입력단자(18)를 보빈(12)에 별도로 결합시키고, 솔더부(22)에의 코일 끝부분 묶음, 솔더부(22)의 납 솔더링의 공정을 별도의 수작업을 통해 수행하여야 한다.
도 5는 종래의 릴레이 보빈부와 베이스부가 결합되는 형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보빈부(10)는 하측방향의 베이스부(30)와 결합되어 일체가 된다. 베이스부(30)에는 보빈부(10)의 입력단자(18)가 삽입될 수 있도록 수평방향의 고정판(34)에 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공통단자(32)와 출력단자(미도시)가 고정되어 있다.
공통단자(32)는 상측으로 길게 돌출되어 요크(14)와 연결되며, 출력단자(미도시)는 가동철편(미도시)의 판스프링(미도시)와 마주보며 접촉될 수 있게 된다. 보빈부(10)가 베이스부(30)에 삽입되면서 요크(14)의 하측 단부가 베이스부(30)에 끼워져 결합을 견고하게 한다.
도 6은 종래의 릴레이 보빈부와 베이스부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보빈부(10)와 베이스부(30)는 일체로 결합되며, 보빈부(10)는 코일(16)이 감긴 보빈(12), 그 내부의 철심(15) 및 하방으로 돌출된 입력단자(18)를 포함하고 있다.
베이스부(30)는 상측으로부터 끼워지는 입력단자(18)를 수평방향의 고정판(34)이 수용하며, 상부로 길게 돌출되어 보빈부(10)의 요크(14)와 연결되는 공통단자(32), 출력단자(미도시)가 고정되어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중계단자를 갖는 개선된 보빈부의 측면 및 정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보빈부(40)에는 종래와 같이 하방으로 길게 돌출된 입력단자가 일체로 결합되어 있지 않으며, 대신에 소형의 중계단자(48)가 결합되어 있다. 중계단자(48)의 형상은 알파벳 T와 유사한 형상으로, 상부의 일측은 보빈(42)에 결합되기 위한 결합부(50)이며, 타측은 코일(46)을 묶기 위한 솔더부(52)이다.
중계단자(48)의 하부는 입력단자와 같이 길게 돌출된 것이 아니라, 약간 돌출된 삽입판(54)으로 구성되며, 삽입판(54)은 베이스부(60; 도 8)의 입력단자(66; 도 8) 상측의 삽입부(70; 도 8)에 끼워진다.
중계단자(48)는 알파벳 T자형의 일체형 판재구조로서, 도 7의 (a)에서 보듯이 보빈(42)의 일 측면에 결합한 경우 코일이 감기는 A-A'선과 B-B'사이의 공간으로 돌출되는 부분이 없다. 또한 하측으로 길게 돌출되지도 않도록 한다. 즉, 도 7의 (c)와 같이 솔더부(52)를 굽히기 전까지는 중계단자(48)는 보빈(42)의 일 측면과 동일 평면 이상으로 코일을 감는 부분 쪽으로 돌출되지 않기 때문에, 보빈(42)에 코일(46)을 감는데 걸리거나, 방해가 되지 않는다.
이와 관련하여, 도 3에 나타나는 종래의 입력단자(18)는 입력단자(18)가 하측으로 길게 돌출될 뿐만 아니라 코일이 감기는 부분(A-A'선과 B-B'선 사이의 공간)까지 돌출되어 있으며, 솔더부(22)도 마찬가지로 돌출되어 있다. 따라서 종래의 릴레이 구조에서는 입력단자(18)가 결합된 상태에서는 코일의 자동권선이 불가능하였다.
본 발명의 중계단자(48)는 보빈부(40)에 끼워지고, 보빈부(40)는 중계단자(48)가 결합된 상태에서 코일(46)의 자동권선 공정을 수행한다. 중계단자(48)는 종래의 입력단자와 같이 코일이 감기는 부분으로 돌출된 것이 없으므로, 자동권선 공정시에 결합되어 있어도 아무런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다.
자동권선 공정이 종료하면, 자동권선 장치는 코일의 끝부분을 자동으로 솔더부(52)에 묶고, 납으로 솔더링을 하게 된다. 솔더링을 한 후에는 솔더부(52)를 굽혀서 솔더부(52)가 결합부(50) 및 삽입판(54)과 수직이 되도록 한다. 도 7의 (a), (b)는 솔더부(52)를 굽히기 전의 모습이며, 도 7의 (c)는 솔더부(52)를 굽힌 후의 모습이다.
결국, 코일(46)의 끝부분을 묶기 위한 솔더부(52)가 보빈부(40)와 분리되지 않은 상태에서 자동권선 공정을 수행하므로써, 그 이후의 코일(46) 끝부분을 묶는 공정 및 솔더링 공정을 하나의 자동 공정으로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보빈부와 베이스부가 결합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보빈부(40)는 하측방향의 베이스부(60)와 결합되어 일체가 된다. 베이스부(60)에는 보빈부(40)의 중계단자(48)와 끼워질 수 있도록 입력단자(66) 상부에 삽입부(70)를 형성하고 있다. 삽입부(70)는 두 개의 접촉핑거부(미표시)가 서로 마주보게 형성되며, 마주보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베이스부(60)에 결합되어 있는 입력단자(66)는 수평방향의 고정판(64)에 고정되어 있으며, 상측으로는 중계단자(48)와 접촉하기 위한 삽입부(70)를 구비하고 있으며, 하측으로는 납작한 판 형상의 입력단조부(68)를 구비하고 있다.
삽입부(70)에는 중계단자(48)의 삽입판(54)이 끼워지며, 삽입판(54)을 양쪽의 접촉핑거부가 탄성력에 의해 압박을 하며 접촉하게 된다. 이러한 원리는 통상의 전기커넥터에서 사용되는 접촉자의 원리와 동일하다.
입력단자(66)의 상측에는 전기소자홈(72)을 형성하여, 전기소자(미도시)를 끼워넣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기소자홈(72)의 형상 및 접촉원리는 삽입부(70)의 형상 및 접촉원리와 같다.
수평방향의 고정판(64)에는 입력단자(66), 공통단자(62)와 출력단자(미도시)가 관통하여 고정되어 있다. 공통단자(62)는 상측으로 길게 돌출되어 요크(44)와 연결되며, 출력단자(미도시)는 가동철편(미도시)의 판스프링(미도시)과 마주보며 접촉될 수 있게 된다. 보빈부(40)의 요크(44)는 일측 하방의 길게 돌출된 부분을 통하여 고정판(64)에 지지되어, 보빈부(40)와 베이스부(60)를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이 보빈부(40)에 입력단자 대신에 중계단자(48)를 두어, 입력단자(70)와 결합되도록 하는 개선된 보빈부(40)는 중계단자(48)에 구비된 솔더부(52)가 자동권선 공정시 일체로 결합되어 있을 수 있음으로 인해, 솔더부(52)에 코일(46) 끝부분을 묶는 공정 및 솔더링 공정을 자동으로 한 번에 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공정을 상기한 종래기술의 공정과 비교하면 다음과 같다.
종래기술 : 보빈에 코일 권선(자동) → 입력단자 조립 → 코일을 입력단자의 솔더부에 묶음(수동) → 솔더링(수동) → 베이스부와의 결합
본 발명 : 보빈에 중계단자 조립 → 보빈에서 코일 권선, 코일을 중계단자의 솔더부에 묶음, 솔더링(자동) → 베이스부와의 결합
도 9는 본 발명의 보빈부와 베이스부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중계단자(48)의 삽입판(54)은 입력단자(66)의 삽입부(70)에 끼워져, 양쪽의 대향하는 접촉핑거부(미표시)에 의해 가압되며 접촉되고 있다. 삽입부(70) 측방에는 전기소자홈(72)이 형성되어, 전기소자(미표시)가 끼워지게 된다.
본 발명은 코일의 자동권선을 방해하지 않으면서도 입력단자와 접촉되어 코일로의 전기 전달을 가능하게 하는 중계단자를 구비하여, 코일의 권선공정, 코일 끝부분을 솔더부에 묶는 공정 및 솔더링 공정을 자동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하여 공정을 단순화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중계단자의 형상이 입력단자와 손쉽게 결합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공정을 단순히 하기 위한 중계단자를 도입하면서도 입력단자로부터 코일로의 전기 전달의 역할을 충분히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일반적인 릴레이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종래의 릴레이 보빈부의 측단면 및 평면을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종래의 릴레이 보빈부의 측면 및 정면을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종래의 릴레이 보빈부에 결합되는 입력단자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종래의 릴레이 보빈부와 베이스부가 결합되는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종래의 릴레이 보빈부와 베이스부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릴레이 보빈부의 측면 및 정면을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릴레이 보빈부와 베이스부가 결합되는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릴레이 보빈부와 베이스부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도 1과 관련하여)
1: 보빈부 2: 베이스부
3: 요크 4: 코일
5: 보빈 5a: 철심
6: 판스프링 7: 가동철편
8: 접촉단자 9: 단자
(도 2 내지 도 6과 관련하여)
10: 보빈부 12: 보빈
14: 요크 15: 철심
16: 코일 18: 입력단자
19: 입력단조부 20: 전기소자홈
22: 솔더부 24: 전기소자
26: 결합부 30: 베이스부
32: 공통단자 34: 고정판
(도 7 내지 도 9와 관련하여)
40: 보빈부 42: 보빈
44: 요크 46: 코일
48: 중계단자 50: 결합부
52: 솔더부 54: 삽입판
60: 베이스부 62: 공통단자
64: 고정판 66: 입력단자
68: 입력단조부 70: 삽입부
72: 전기소자홈

Claims (9)

  1. 코일이 감기는 보빈부와 상기 보빈부의 하측에 결합되는 베이스부를 포함하는 릴레이 구조에 있어서,
    상기 보빈부는
    코일이 감기는 보빈,
    상기 보빈 외부의 일 측면 및 상면을 감싸며 상기 보빈부를 하부의 상기 베이스부에 결합시키는 요크,
    상기 요크와 판스프링으로 연결되어 상기 보빈의 타 측면에 위치하는 가동철편 및
    상기 보빈의 일 측면에 양쪽으로 구비된 한 쌍의 중계단자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베이스부는
    상기 중계단자와 접촉하는 한 쌍의 입력단자,
    상기 요크와 접촉하는 공통단자 및
    상기 가동철편과 접촉하는 출력단자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레이 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빈부와 상기 베이스부는 각각 분리된 구성이며,
    상기 보빈부를 상기 베이스부의 상측에 끼워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레이 구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보빈부의 상기 중계단자는 상기 베이스부의 상기 입력단자 상측의 삽입부에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레이 구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중계단자는
    상기 보빈부에 끼워져 고정되기 위한 결합부,
    상기 결합부의 반대편에 돌출되어 상기 보빈에 감기는 코일의 단부가 묶여지는 솔더부 및
    하방으로 소정의 길이만큼 돌출된 판재의 형상으로 상기 입력단자의 상기 삽입부에 끼워지는 삽입판을 포함하는 일체형 판재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레이 구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중계단자는
    알파벳 T자 형의 납작한 일체형 판재로서, 상기 결합부를 통해 상기 보빈의 일 측면에 끼워지면 상기 보빈의 코일이 감기는 부분 쪽으로 돌출되는 부분이 없도록 하되,
    상기 솔더부는 굽혀질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레이 구조.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는
    상측으로 돌출된 한 쌍의 핑거부가 대향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레이 구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단자는
    상기 베이스부의 수평방향 고정판에 상하로 돌출되도록 고정되며,
    상기 삽입부는 상기 고정판의 상측으로 돌출되고,
    전원을 입력받는 입력단조부는 상기 고정판의 하측으로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레이 구조.
  8. 제 3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단자는
    상측으로 돌출된 한 쌍의 핑거부가 대향하여 형성되는 전기소자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레이 구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단자는
    상기 베이스부의 수평방향 고정판에 상하로 돌출되도록 고정되며,
    상기 삽입부 및 상기 전기소자홈은 상기 고정판의 상측으로 돌출되고,
    전원을 입력받는 입력단조부는 상기 고정판의 하측으로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레이 구조.
KR10-2003-0057707A 2003-08-20 2003-08-20 릴레이 구조 KR1004977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57707A KR100497738B1 (ko) 2003-08-20 2003-08-20 릴레이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57707A KR100497738B1 (ko) 2003-08-20 2003-08-20 릴레이 구조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26794U Division KR200332879Y1 (ko) 2003-08-20 2003-08-20 릴레이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20060A KR20050020060A (ko) 2005-03-04
KR100497738B1 true KR100497738B1 (ko) 2005-06-29

Family

ID=372290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57707A KR100497738B1 (ko) 2003-08-20 2003-08-20 릴레이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9773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4011Y1 (ko) 2010-03-11 2011-06-13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릴레이
KR101062121B1 (ko) * 2010-03-22 2011-09-02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릴레이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4011Y1 (ko) 2010-03-11 2011-06-13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릴레이
KR101062121B1 (ko) * 2010-03-22 2011-09-02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릴레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20060A (ko) 2005-03-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719806B2 (ja) 回路基板用接続端子
JP4706742B2 (ja) 電磁接触器のコイルユニットおよびその組立方法
EP1404007A1 (en) Device and method of connecting a resolver
JP5004243B2 (ja) 電磁継電器
CN103579791B (zh) 电端子
JP4693927B2 (ja) 電磁継電器
JPH0625945Y2 (ja) エンジンの点火コイル
KR100683986B1 (ko) 마이카 보드 전기 저항선 가열기, 부분 조립체 부품, 및조립체 제조방법
KR100497738B1 (ko) 릴레이 구조
WO2018173378A1 (ja) コイル装置並びにそれを用いた電動弁及び電磁弁
KR200332879Y1 (ko) 릴레이 구조
JP4645663B2 (ja) リレー
JPH11162318A (ja) 電気的なコンポーネントを電磁リレーに接続するための構造及び方法
JP2625975B2 (ja) 電磁継電器
JP2973629B2 (ja) 油圧ソレノイド
JPH0225022Y2 (ko)
JP4056632B2 (ja) 電磁継電器とその製造方法
JP3937483B2 (ja) 電磁継電器
JP2000260284A (ja) 電磁リレー及びその組立て方法
JP4789053B2 (ja) インダクタンス素子の取付構造
WO2006125361A1 (fr) Bobine de relais electromagnetique
JPH05128953A (ja) 電磁接触器
JP4047921B2 (ja) ピックアップコイルのターミナル接続構造
JP2001307927A (ja) コイル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JPH0379827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0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1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9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14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19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