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67743B1 - 신체용 장신구 - Google Patents

신체용 장신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67743B1
KR102167743B1 KR1020197009388A KR20197009388A KR102167743B1 KR 102167743 B1 KR102167743 B1 KR 102167743B1 KR 1020197009388 A KR1020197009388 A KR 1020197009388A KR 20197009388 A KR20197009388 A KR 20197009388A KR 102167743 B1 KR102167743 B1 KR 1021677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hole
frame
decorative member
support
line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093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43595A (ko
Inventor
정민 김
Original Assignee
카부시키카이샤 이 & 제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카부시키카이샤 이 & 제이 filed Critical 카부시키카이샤 이 & 제이
Publication of KR201900435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435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77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77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17/00Gems or the like
    • A44C17/02Settings for holding gems or the like, e.g. for ornaments or decorations
    • A44C17/0275Settings for holding gems or the like, e.g. for ornaments or decorations in an oscillating way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17/00Gems or the like
    • A44C17/02Settings for holding gems or the like, e.g. for ornaments or decorations
    • A44C17/0241Settings for holding gems or the like, e.g. for ornaments or decorations slidably arranged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25/00Miscellaneous fancy ware for personal wear, e.g. pendants, crosses, crucifixes, charm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25/00Miscellaneous fancy ware for personal wear, e.g. pendants, crosses, crucifixes, charms
    • A44C25/001Pendants

Landscapes

  • Adornments (AREA)

Abstract

장식부품을 프레임에 지지시키기 위한 작업을 간단하게 한다. 또한, 프레임에 대한 장식부품의 요동을 충분히 얻을 수 있도록 한다. 본발명의 신체용 장신구는 프레임(5)과, 상기 프레임(5)의 내측공간에 배치되는 장식부품(2)과, 상기 장식 부품(2)에 관통된 지지홀(7)과, 상기 지지홀(7)에 삽통되어 양끝이 상기 프레임(5)에 고정되는 선형의 지지부재(10)을 구비한다. 상기 지지홀(7)의 전체길이에 걸쳐 지지홀(7)의 꼭대기부(7c)에 선접촉하는 상기 선형의 지지 부재(10)에 의해 상기 장식부품(2)를 상기 프레임(5)에 대하여 요동가능하게 지지한다.

Description

신체용 장신구
본 발명은, 다이아몬드 등의 보석이 프레임에 대해 요동가능하게 지지된 신체용 장신구에 관한 것이다.
종래, 다이아몬드 등의 보석이 요동가능하게 지지된 신체용 장신구로서, 예컨대, 특허문헌 1 및 특허문헌 2에 기재된 펜던트 톱이 알려져 있다. 이러한 펜던트 톱은 다이아몬드 등의 보석과 이 보석을 올려놓는 받침대부로 이루어지는 장식부재를 프레임의 중심에 배치하고, 장식부재의 양측에 설치한 둥근고리와 프레임측에 설치한 둥근고리를 연결함으로써 장식부재를 프레임에 대해 요동가능하게 지지하는 것이었다.
특허문헌1: 일본등록특허 제5424435호 공보 특허문헌2: 일본실용신안등록 제3175111호 공보
상기 종래의 펜던트 톱의 경우에는, 장식부재의 양측에 설치한 둥근고리와 프레임측에 설치한 둥근고리를 연결할 때, 한쪽의 둥근 고리의 일부를 절개하고, 그 절개된 부분에서 다른쪽의 둥근고리로 통하게 한 후, 절개된 부분을 경납땜하여 다시 둥근고리로 돌려놓는 작업을 필요로 하였다.
그러나, 상기의 둥근고리가 작은 부재이기 때문에, 절개된 부분을 경납땜하여 다시 원래의 둥근 고리로 돌려놓는 작업에 숙련을 필요로 함과 동시에, 경납땜한 둥근 고리에 뒤틀림이 남아 좌우의 둥근고리형상이 약간이라도 달라져 있으면, 장식부재가 충분히 요동하지 않을 우려가 있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장식부재를 프레임에 지지시키기 위해 숙련을 요했던 작업을 단순하게 하는 동시에, 프레임에 대한 장식부재의 요동을 충분히 얻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관한 신체용 장신구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내부 공간에 배치되어 보석과, 이 보석을 고정하는 받침대를 구비하는 장식부재와, 상기 장식부재의 받침대에 관통된 지지홀과, 상기 지지홀에 삽통된 양끝이 상기 프레임에 고정되는 선형의 지지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지지홀의 전체 길이에 걸쳐 지지홀의 꼭대기부에 선접촉하는 상기 선형의 지지부재에 의해 상기 장식부재를 상기 프레임에 대해 요동가능하게 지지한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신체용 장신구는, 상기 지지홀의 단면 형상이 전체길이에 걸쳐 동일한 원형이고, 상기 선형의 지지부재의 단면 형상이 상기 지지홀의 꼭대기부를 향해 테이퍼 형상이 되고, 그 선단에 지지홀의 꼭대기부에 선접촉하는 뾰족부를 가지고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신체용 장신구는, 상기 지지홀이 장식부재의 중심점을 통과하는 연직선상에 있으며, 또한 상기 중심점과 장식부재의 상단부와의 사이에 설치되어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 관한 신체용 장신구는, 상기 프레임이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한 쌍의 링부재와, 이들 한 쌍의 링부재를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한 쌍의 링부재에 다른 디자인 장식이 되어있다.
본 발명에 관한 신체용 장신구에 의할 때, 프레임의 내측 공간에 배치되는 장식부재에 지지홀을 관통시켜, 이 지지홀에 선형의 지지부재를 삽통시키고, 이 지지부재를 상기 지지홀의 전체길이에 걸쳐 지지홀의 꼭대기부에 선접촉시켜 장식부재를 요동가능하게 지지하도록 했기 때문에, 종래와 같은 장식부재와 프레임을 둥근고리로 연결하는 작업이 필요 없어 작업이 매우 간단하고 쉬운 일이 됨과 함께 프레임에 대한 장식부재의 요동을 충분히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신체용 장신구에 의할 때, 지지홀의 단면 형상을 전체길이에 걸쳐 동일한 원형으로 함과 동시에 선형의 지지부재의 단면 형상을 상기 지지홀의 꼭대기부를 향해 테이퍼 형상으로 하고, 그 선단에 마련한 뾰족부를 지지홀의 꼭대기부에 선접촉시켜 지지하도록 했기 때문에, 장식부재 전체에 걸쳐 균등하게 지지됨으로써 정면을 향한 섬세한 요동을 얻을 수 있음과 함께 장식부재의 좌우측이 앞뒤로 흔들리는 것을 억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신체용 장신구에 의할 때, 장식부품에 마련되는 지지홀이 장식부재의 중심점을 통과하는 연직선상에 있으며, 또한 상기 중심점과 장식부재의 상단부 사이에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장식부재를 정면을 향해 똑바로 수직으로 유지할 수 있어, 장식부재의 미세한 요동을 얻기 쉬워진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신체용 장신구에 의할 때, 프레임을 구성하는 한 쌍의 링부재에 각각 다른 디자인 장식이 되어 있기 때문에, 프레임의 앞뒤를 반대로 함으로써 신체용 장신구를 양면으로 즐길 수 있다 .
도1은 신체용 장신구의 사시도.
도2는 상기 신체용 장신구의 정면도.
도3은 도2의 III-III 단면도.
도4는 상기 신체용 장신구 장식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5는 상기 장식부재의 측면도.
도6은 도5의 VI-VI 단면도.
도7은(a), (b)는 장식부재가 요동할 때의 좌우측의 앞뒤의 요동을 나타내는 상기 장식부재의 평면도.
도8은 상기 신체용 장신구 프레임의 앞뒤를 반대로 한 사시도.
도9는 상기 장식부재의 양측 부근에 스토퍼를 배치했을 때의 정면도.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관한 신체용 장신구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1 내지 도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펜던트 톱(1)을 나타내고 있다.
이 펜던트 톱(1)은, 보석의 일례로서 컷 다이아몬드(3)와 이 컷 다이아몬드(3)를 적재하는 받침대(4)를 갖는 장식부재(2)와, 이 장식부재(2)의 주위를 둘러싸도록 배치되는 링 형상의 프레임(5)를 구비하고, 상기 장식부재(2)가 프레임(5)에 대해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상기 프레임(5)는 서로 이격되어 배치된 동일한 링 형상의 앞면 링 부재(5a) 및 이면 링 부재(5b)와 이들 한 쌍의 링 부재(5a), (5b)를 연결하는 연결부재(5c)를 구비한다.
연결부재(5c)는 상기 한 쌍의 링 부재(5a), (5b)의 원주상에 따라 등간격으로 복수 배치되어, 앞면 링 부재(5a)와 이면 링 부재(5b) 사이에 소정의 폭 공간(5d)를 마련하고 있다.
상기 장식부재(2)는 이 폭 공간(5d) 내에서 앞뒤로 요동한다. 또한, 프레임(5)의 상단연결부재(5c')에는 펜던트 톱(1)을 매달아 내리기 위한 체인(6)이 걸려있다.
상기 한 쌍의 링 부재(5a), (5b)에는 다른 디자인 장식이 되어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앞면 링 부재(5a)에는 원주상에 따라 배열된 다수의 알보석(5e)에 의한 디자인 장식이 실시되고, 이면 링 부재(5b)에는 원주상에 따라 다수의 하트 모양의 펀칭부(5f)에 의한 디자인 장식이 되어있다.
이와 같이, 한 쌍의 링 부재(5a), (5b)에 각각 다른 디자인 장식을 함으로써 도8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프레임(5)의 앞과 이면을 반대로하여 펜던트 톱(1)을 뒤집어서 즐길 수 있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5)은 한 쌍의 원형 링 부재(5a), (5b)에 의해 구성되어 있지만, 반드시 이 형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링의 일부가 빠져도 좋고, 또한 프레임은 사각 형상이어도 좋다.
상기 장식부재(2)는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프레임(5)를 정면에서 보았을 때 내측 공간(5g)의 거의 중앙부에 배치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장식부재(2)는 컷 다이아몬드(3) 등의 보석과 이 보석을 고정하는 받침대(4)를 갖는다.
받침대(4)는 도2 및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면에서 보았을 때의 외형이 대략 역삼각형 모양을 하고 있으며, 그 안쪽에 컷 다이아몬드(3)의 파빌리온(3a)를 수용할 절구 모양의 오목부(4a)가 형성되어있다.
또한, 받침대(4)의 세 꼭지점 부근에는 손톱부(4b), (4c), (4d)가 각각 설치되고, 이 손톱부(4b), (4c), (4d)를 컷 다이아몬드(3)의 거들부(3b) 및 크라운(3d)에 걸리게 함으로써, 받침대(4)에 컷 다이아몬드(3)가 고정된다.
또한, 도2 내지 도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받침대(4)의 상부에는 받침대(4)의 내부를 좌우 방향으로 관통하는 지지홀(7)이 설치되어 있다.
이 지지홀(7)은 수평 방향으로 연장된 터널 모양의 구멍으로 전체길이에 걸쳐 동일한 단면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받침대(4)의 좌우 측면에는 상기 지지홀(7)의 좌우의 개방단(7a), (7b)이 설치되고, 이 개방단(7a), (7b)는 도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받침대(4)에 설치된 한 쌍의 손톱부(4b), (4c)의 후방 부근에 위치하고 있다.
상기 지지홀(7)의 개설 위치는 도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받침대(4)에 컷 다이아몬드(3)을 고정했을 때의 양자의 중심점 P를 통과하는 연직선(8)상 이며, 또한 중심점 P와 받침대(4)의 상단부(4e)의 위치와의 사이에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위치에 설정됨으로써, 장식부재(2)를 정면을 향하게 똑바로 수직으로 유지할 수 있고, 장식부재의 미세한 요동이 얻기 쉬워진다.
또한 장식부재(2)가 요동하지 않을 때는 컷 다이아몬드(3)의 테이블면(3c) 및 크라운(3d)가 상하로 기울지 않고 똑바로 정면을 향한다.
또한, 도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받침대(4)의 상부의 형상이 배면에서 좌우의 측면을 향해 곡면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지지홀(7) 좌우의 개방단(7a), (7b)이 컷 다이아몬드(3)의 정면측에서 보이지 않고 (도2 참조), 볼품이 손상되지 않는다.
상기 지지홀(7)의 단면 형상은 원형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단면 형상이 진원형으로되어 있지만, 타원형이어도 작용 효과는 거의 동일하다.
지지홀(7)의 단면 형상을 원형으로 함으로써 후술하는 선형의 지지부재(10)가 항상 지지홀(7)의 꼭대기부(7c)에서 장식부재(2)를 지지할 수 있다.
상기 받침대(4)에 마련된 지지홀(7)에는 선형의 지지부재(10)가 삽통된다.
이 지지부재 (10)는 와이어 및 피아노선 등의 가는 금속선 혹은 낚싯줄에 사용되는 것과 같은 수지제 실을 이용할 수 있다.
재질 및 직경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지지부재(10)가 휘지않고 팽팽하게 당겨진 상태로 장식부재(2)를 지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도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지지부재(10)는 상기 지지홀(7)의 전체길이에 걸쳐 직선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지지홀(7)의 꼭대기부(7c)에 확실하게 선접촉한다.
이와 같이, 받침대(4)에 관통시킨 지지홀(7)의 전체길이에 걸쳐 그 꼭대기부(7c)에 선형의 지지부재(10)를 선접촉시키고, 지지부재(10)의 선접촉에 의해 장식부재(2)를 요동가능하게 지지하고 있다.
때문에 종래와 같은 둥근 고리에 의한 섬세한 연결 작업이 불필요해져, 조립 작업이 매우 간단하게 된다.
또한, 지지부재 (10)의 선접촉에 의해 장식부재(2)가 전체에 걸쳐 균등하게 지지된다. 그 결과 프레임에 대한 장식부재의 미세한 요동을 충분히 얻을 수 있게 된다.
상기 지지부재(10)를 프레임과 동일한 재질의 금속 와이어로 형성한 경우에는 지지부재(10)의 양끝(10a), (10b)를 레이저 용접에 의해 프레임(5)에 고정시킬 수 있다.
지지부재(10)의 양끝(10a), (10b)는 한 쌍의 링 부재(5a), (5b)를 연결하는 연결부재(5c)에 고정되지만, 이 실시예에서는 복수의 연결부재(5c) 중에서도 도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프레임(5)의 중앙부에 위치하는 좌우의 중앙연결부재(5c'')에 각각 고정된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장식부재(2)가 앞면 링 부재(5a) 및 이면 링 부재(5b)에서 돌출되지 않도록, 중앙연결부재(5c'')의 길이 방향의 거의 중앙 위치에 고정되어 있다.
이 실시예에서, 상기 선형의 지지부재(10)는 도5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그 단면형상이 지지홀(7)의 꼭대기부(7c)를 향해 테이퍼 형상으로 되어 있고, 그 선단부에 지지홀(7)의 꼭대기부(7c)에 접촉하는 뾰족부(10c)를 가지고있다.
이 뾰족부(10c)는 지지부재(10)의 전체길이에 걸쳐 형성되어 있고, 도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지지홀(7)의 한쪽 개방단(7a)에서 다른쪽 개방단(7b)까지 전체길이에 걸쳐 지지홀(7)의 꼭대기부(7c)에 선접촉하고 있다.
이와 같이, 지지홀(7)의 전체 길이에 걸쳐 지지홀(7)의 꼭대기부(7c)에 지지부재(10)의 뾰족부(10c)가 선접촉한 상태로 장식부재(2)를 요동가능하게 지지한다.
그 때문에 장식부재는 전체에 걸쳐 균등하게 지지되게 되며, 정면을 향해 섬세한 요동을 얻기 쉬워진다.
또한, 도 7(a), (b)에 이점쇄선으로 도시 된 바와 같이, 장식부재(2)가 요동할 때에는 장식부재(2)의 좌우측이 앞뒤로 흔들리는 것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때문에 컷 다이아몬드(3)의 테이블면(3c)이 항상 정면을 향한 상태로 장식부재(2)를 요동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장식부재(2)는 선형의 지지부재(10)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그래서 도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장식부재(2)의 슬라이드를 규제하기 위한 스토퍼(11a), (11b)를 상기 장식부재(2)의 양측 부근에 배치해도 된다.
1 펜던트 톱 (신체용 장신구)
2 장식부재
3 컷 다이아몬드 (보석)
3a 파빌리온
3b 테이블면
3d 크라운
4 받침대
4a 오목부
4b, 4c, 4d 손톱부
4e 상단부
5 프레임
5a 앞면 링 부재
5b 이면 링 부재
5c 연결부재
5c' 상단연결부재
5c'' 중앙연결부재
5d 폭공간
5e 알보석
5f 펀칭부
5g 내측공간
6 체인
7 지지홀
7a, 7b 개구단
7c 꼭대기부
8 연직선
10 선모양의 지지부재
10a, 10b 양끝
10c 뾰족부
11a, 11b 스토퍼
P 중심점

Claims (8)

  1.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내측 공간에 배치되고, 보석과 보석을 고정하는 받침대를 구비하는 장식부재;
    상기 장식부재의 받침대에 관통된 지지홀; 및
    상기 지지홀에 삽통되어 양끝이 상기 프레임에 고정되는 선형의 지지부재;를 구비하되,
    상기 지지홀의 전체길이에 걸쳐 지지홀의 꼭대기부에 선접촉하는 상기 선형의 지지부재에 의해 상기 장식부재를 상기 프레임에 대해 요동가능하게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체용 장신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홀은 전체길이에 걸쳐 단면형상이 동일한 원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체용 장신구.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선형의 지지부재는 상기 지지홀의 전체길이에 걸쳐 직선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지지홀의 꼭대기부에 선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체용 장신구.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선형의 지지부재는 그 단면형상이 상기 지지홀의 꼭대기부를 향해 테이퍼 형상이 되고, 그 선단에 지지홀의 꼭대기부에 선접촉하는 뾰족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체용 장신구.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홀은 상기 받침대를 수평방향으로 관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체용 장신구.
  6. 제 1 항, 제 2 항,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홀은 장식부재의 중심점을 통과하는 연직선상에 있으며, 또한 상기 중심점과 장식 부재의 상단부와의 사이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체용 장신구.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한 쌍의 링 부재와, 이들 한 쌍의 링 부재를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한 쌍의 링 부재에 다른 디자인 장식이 되어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체용 장신구.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장식부재는 지지부재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슬라이드를 규제하는 스토퍼가 상기 장식부재의 양측 부근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체용 장신구.

KR1020197009388A 2016-11-11 2017-10-27 신체용 장신구 KR10216774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6-220499 2016-11-11
JP2016220499A JP6124429B1 (ja) 2016-11-11 2016-11-11 身飾品
PCT/JP2017/038886 WO2018088246A1 (ja) 2016-11-11 2017-10-27 身飾品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3595A KR20190043595A (ko) 2019-04-26
KR102167743B1 true KR102167743B1 (ko) 2020-10-21

Family

ID=587047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09388A KR102167743B1 (ko) 2016-11-11 2017-10-27 신체용 장신구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190298014A1 (ko)
JP (1) JP6124429B1 (ko)
KR (1) KR102167743B1 (ko)
CN (1) CN210642854U (ko)
WO (1) WO201808824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983248A (zh) * 2017-05-24 2017-07-28 深圳市缘与美实业有限公司 一种自动摆动首饰装置及其镶嵌方法
JP6335382B1 (ja) * 2017-12-27 2018-05-30 株式会社クロスフォー 身飾品
WO2019159910A1 (ja) * 2018-02-13 2019-08-22 泰法 乾 複数軸心による可動装飾具
WO2019159911A1 (ja) * 2018-02-13 2019-08-22 泰法 乾 装飾品が揺動可能な装身具
USD943453S1 (en) * 2020-09-01 2022-02-15 Leiza Leanne Williams Spinning pendant
USD939378S1 (en) * 2020-09-18 2021-12-28 France Chloe Ducci Elegance Co., Limited Pendant
USD988918S1 (en) * 2020-10-23 2023-06-13 Yunfei Liu Bead
USD931755S1 (en) * 2020-12-08 2021-09-28 Guangzhou BaiShen Online Trading Co., Ltd Pendant
USD921523S1 (en) * 2020-12-08 2021-06-08 Guangzhou BaiShen Online Trading Co., Ltd Pendant
USD932336S1 (en) * 2020-12-08 2021-10-05 Guangzhou BaiShen Online Trading Co., Ltd Pendant
USD939377S1 (en) * 2020-12-08 2021-12-28 Guangzhou BaiShen Online Trading Co., Ltd Pendant
USD963510S1 (en) * 2021-07-26 2022-09-13 Gang Huang Pendant
JP7108338B1 (ja) * 2021-07-30 2022-07-28 株式会社トップジュエリー 二重装飾体による装身具
KR102629450B1 (ko) * 2021-11-12 2024-01-25 주식회사 메데이아 계속적으로 반짝이도록 하는 장신구 구조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03217B2 (ja) 1991-09-03 2000-10-30 キヤノン株式会社 走査型プローブ顕微鏡及びそれを用いて試料を観察する方法
JP3175111B2 (ja) 1991-10-29 2001-06-11 エヌケーケー条鋼株式会社 強靭直接パテンティング線材の製造方法
JP2007202721A (ja) 2006-01-31 2007-08-16 Gem Network:Kk 装身具用ペンダント
JP2013163039A (ja) 2010-12-20 2013-08-22 Crossfor:Kk 身飾品
JP2015054162A (ja) 2013-09-13 2015-03-23 株式会社クロスフォー 身飾品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77188A (en) 1975-12-23 1977-06-29 Toyobo Co Ltd Laminated polyester films
JP2001000217A (ja) * 1999-06-22 2001-01-09 Suehiro:Kk 指 輪
JP3103217U (ja) * 2004-02-06 2004-07-29 株式会社ティアラ 指輪
JP3132769U (ja) * 2007-03-30 2007-06-21 紀久代 栂 文字等用装飾体並びに文字等用装飾体を装着した愛玩動物用首輪、携帯品用ストラップおよび広告表示体
JP3175111U (ja) * 2012-02-09 2012-04-19 株式会社ラ・ベル エキップ 揺動装身具
JP3184406U (ja) * 2013-04-04 2013-06-27 株式会社カジ・インターナショナル 宝飾品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03217B2 (ja) 1991-09-03 2000-10-30 キヤノン株式会社 走査型プローブ顕微鏡及びそれを用いて試料を観察する方法
JP3175111B2 (ja) 1991-10-29 2001-06-11 エヌケーケー条鋼株式会社 強靭直接パテンティング線材の製造方法
JP2007202721A (ja) 2006-01-31 2007-08-16 Gem Network:Kk 装身具用ペンダント
JP2013163039A (ja) 2010-12-20 2013-08-22 Crossfor:Kk 身飾品
JP2015054162A (ja) 2013-09-13 2015-03-23 株式会社クロスフォー 身飾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088246A1 (ja) 2018-05-17
KR20190043595A (ko) 2019-04-26
JP6124429B1 (ja) 2017-05-10
US20190298014A1 (en) 2019-10-03
JP2018075288A (ja) 2018-05-17
CN210642854U (zh) 2020-06-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67743B1 (ko) 신체용 장신구
KR101559453B1 (ko) 장신구
KR101745303B1 (ko) 장신구
TWI655917B (zh) 人身飾品
JP5960336B1 (ja) 装身具
JP3738279B2 (ja) 装身具用ペンダント
JP2009268573A (ja) 装飾具
US20110302959A1 (en) Precious stone setting
JP2010046218A (ja) 揺動装身具
JP2017536890A (ja) カットされた宝石、及びそのような宝石を備える品物
JP5976248B1 (ja) 装身具
JP2009005938A (ja) 宝石用台座およびこの台座を使用した装身具用ペンダントの製造方法
JP5461966B2 (ja) 装身具用ペンダント
JP5173450B2 (ja) 装身具
JP3774815B2 (ja) 装身具用ペンダント
JP5659398B1 (ja) 装身具
JP2006223394A (ja) 装身具用ペンダント
KR101745300B1 (ko) 장신구
KR101638181B1 (ko) 형틀을 이용한 줄난 성형방법 및 줄난장신구
KR102031781B1 (ko) 장신구
KR102036460B1 (ko) 합성수지재 패킹에 고리가 장치되는 장식부재
JP3226189U (ja) ペンダント
JP4631101B2 (ja) 装身具における装飾物揺動保持機構
JP2005319324A (ja) 装身具用ペンダント
JP3077844U (ja) 装身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