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66926B1 - 낚시형 경품게임장치 - Google Patents

낚시형 경품게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66926B1
KR102166926B1 KR1020180104678A KR20180104678A KR102166926B1 KR 102166926 B1 KR102166926 B1 KR 102166926B1 KR 1020180104678 A KR1020180104678 A KR 1020180104678A KR 20180104678 A KR20180104678 A KR 20180104678A KR 102166926 B1 KR102166926 B1 KR 1021669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capture
target
prize
sw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046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26568A (ko
Inventor
박진수
Original Assignee
박진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진수 filed Critical 박진수
Priority to KR10201801046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66926B1/ko
Publication of KR202000265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265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69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69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9/00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9/30Capturing games for grabbing or trapping objects, e.g. fishing games
    • A63F9/305Fishing game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7/00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 G07F17/32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for games, toys, sports, or amus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trol Of Vending Devices And Auxiliary Devices For Vend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진자 운동하는 표적유닛을 낚아채어 경품을 획득함으로써, 낚시 형태의 재미를 제공하기 위한 낚시형 경품게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낚시형 경품게임장치는 경품의 배출을 위해 둘 이상이 상호 이격된 상태로 상하 방향과 좌우 방향으로 배치되는 경품유닛과, 와이어를 매개로 경품유닛에 매달리는 표적유닛과, 표적유닛의 전후 방향 진자 운동을 구현하기 위해 와이어와 표적유닛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가압하는 표적구동유닛과, 경품유닛의 전방으로 이격 배치되고 와이어와 표적유닛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획하는 포획유닛과, 포획유닛을 상하 방향과 좌우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포획이동유닛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낚시형 경품게임장치{FISHING TYPE GIVEAWAY GAME DEVICE}
본 발명은 경품게임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진자 운동하는 표적유닛을 낚아채어 경품을 획득함으로써, 낚시 형태의 재미를 제공하기 위한 낚시형 경품게임장치에 관한 것이다.
고속도로 휴게소나 편의점 등에 고객을 대상으로 다양한 재미를 줄 수 있는 전자 오락 게임이나 인형뽑기와 같은 게임 장치가 최근에는 많이 제공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많이 설치되는 인형뽑기 게임 장치는 인형과 같은 경품이 내부에 수납되는 공간을 가지는 하우징이 마련된다. 하우징 내부에 조작바에 의하여 x축 및 y축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특정위치에서 사용자가 버튼을 작동시키는 경우 이동을 정지하고, z축 방향으로 그랩부가 하강한다. 하강하는 그랩부는 해당 하강위치에서 다시 상승하게 되는데, 상승하면서 그랩부가 경품을 움켜잡도록 구동하면서, 초기 위치 즉, 경품 배출구측으로 x,y축 이동을 한다.
이때, 그랩부가 경품을 견고하게 잡은 경우, 경품 배출구측으로 경품을 배출할 수 있는데, 그랩부가 경품을 견고하게 잡지 않은 경우, 경품을 들어올리지 못하는 구성을 가진다.
종래 게임 장치는 일종의 포크레인 방식의 게임장치로서, 오래 전부터 많이 사용되는 것이고, 색다른 재미감을 주는 것에 많은 한계가 있었으며, 그랩부가 경품을 잡은 경우, 그 잡은 상태에서 그랩부가 느슨하게 의도적으로 세팅해 놓아서 경품이 쉽게 잡히지 않도록 하여 재미감을 많이 반감시키고 있다.
또한, 그랩부의 x,y 및 z축으로 이동시키는 장치, 그랩부가 경품을 잡도록 하는 구성과 같이 복잡한 구성을 취하고 있어, 게임 장치가 제공하는 재미는 한정되어 있으나, 그 제조단가는 고비용이라는 것이 문제점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542550호 (발명의 명칭 : 낚시 게임 장치, 2015. 08. 05. 공고)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진자 운동하는 표적유닛을 낚아채어 경품을 획득함으로써, 낚시 형태의 재미를 제공하기 위한 낚시형 경품게임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낚시형 경품게임장치는, 경품의 배출을 위해 둘 이상이 상호 이격된 상태로 상하 방향과 좌우 방향으로 배치되는 경품유닛, 와이어를 매개로 상기 경품유닛에 매달리는 표적유닛, 상기 표적유닛의 전후 방향 진자 운동을 구현하기 위해 상기 와이어와 상기 표적유닛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가압하는 표적구동유닛, 상기 경품유닛의 전방으로 이격 배치되고, 상기 와이어와 상기 표적유닛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획하는 포획유닛, 및 상기 포획유닛을 상하 방향과 좌우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포획이동유닛을 포함한다.
상기 표적유닛에는, 상기 포획유닛의 단부가 끼움 결합되도록 표면으로부터 함몰 형성되는 표적걸림홈부, 상기 포획유닛의 단부가 통과되도록 중앙 부분에 관통 형성되는 표적포획홀부, 및 상기 포획유닛이 파지하도록 표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표적돌출부 중 어느 하나가 포함된다.
상기 표적구동유닛은, 상기 와이어 또는 상기 표적유닛으로부터 이격 배치되는 구동바디부, 상기 와이어와 상기 표적유닛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가압하기 위해 상기 구동바디부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스윙바디부, 상기 구동바디부를 기준으로 상기 스윙바디부를 탄성 지지하는 복귀탄성부, 상기 스윙바디부를 간헐적으로 가압하는 스윙캠부, 및 상기 스윙캠부를 회전시키는 스윙구동부를 포함한다.
상기 스윙바디부는, 상기 구동바디부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스윙슬라이더부, 및 상기 스윙캠부가 간헐적으로 가압하도록 상기 스윙슬라이더에 구비되는 스윙브라켓부를 포함한다.
상기 표적구동유닛은, 상기 스윙캠부의 회전 상태를 감지하는 스윙센싱부, 및 상기 스윙캠부에 의해 가압된 상기 스윙바디부를 지지하는 스윙제한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한다.
상기 스윙제한부는, 상기 구동바디부에 구비되는 고정브라켓부, 상기 고정브라켓부와 마주보는 상태로 이격 배치되는 제한브라켓부, 상기 고정브라켓부와 상기 제한브라켓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서 돌출 형성되는 제한로드부, 및 일측은 상기 고정브라켓부에 고정되고, 타측은 상기 제한브라켓부에 고정되며, 상기 제한로드부에 탄성 변형 가능하게 지지되어 탄성력에 의해 상기 제한브라켓부를 상기 고정브라켓부 쪽으로 잡아당기는 제한탄성부를 포함한다.
상기 포획유닛은, 상기 포획이동유닛에 결합되는 포획바디부, 상기 포획바디부에 구비되어 포획구동축부를 정역회전시키는 포획구동부, 상기 포획구동축부에 결합되어 상기 포획구동축부와 함께 회전되는 피벗로드부, 상기 피벗로드부와 교차되도록 상기 피벗로드부에 결합되는 포획로드부, 및 상기 포획로드부에 결합되어 상기 와이어 또는 상기 표적유닛을 포획하는 포획도구를 포함한다.
상기 포획도구에는, 상기 와이어가 삽입되는 포획포크부, 상기 표적유닛에 구비된 표적걸림홈부에 삽입되는 포획고리부, 상기 표적유닛에 구비된 표적포획홀부를 통과하는 포획바부, 상기 표적유닛을 감싸 지지하는 포획글로브부, 및 상기 와이어와, 상기 표적유닛과, 상기 표적유닛에 구비된 표적돌출부 중 어느 하나를 파지하는 포획집게부 중 어느 하나가 포함된다.
상기 경품유닛은, 피벗축부, 및 상기 피벗축부에 피벗 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경품레버를 포함하고, 상기 경품레버의 일측에는 상기 와이어를 매개로 상기 표적유닛이 매달리고, 상기 경품레버의 타측에는 경품이 매달리며, 상기 포획유닛은 상기 와이어 또는 상기 표적유닛을 포획하여 상기 경품레버를 회전시키고, 상기 경품레버가 회전되면, 경품이 상기 경품레버에서 분리되는 구조이다.
상기 경품유닛은, 피벗축부, 상기 피벗축부에 피벗 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경품레버, 및 상기 경품레버의 피벗 운동에 의해 경품의 배출 여부를 선택하는 경품스위치를 포함하고, 상기 경품레버의 일측에는 상기 와이어를 매개로 상기 표적유닛이 매달리고, 상기 경품레버의 타측에는, 상기 경품스위치가 이격 배치되며, 상기 포획유닛은 상기 와이어 또는 상기 표적유닛을 포획하여 상기 경품레버를 회전시키고, 상기 경품레버가 회전되면, 상기 경품레버가 상기 경품스위치를 온(ON)으로 동작시키는 구조이다.
본 발명에 따른 낚시형 경품게임장치에 따르면, 진자 운동하는 표적유닛을 낚아채어 경품을 획득함으로써, 종래 일률적인 포크레인 방식으로 인형, 쿠폰 등의 경품을 뽑을 수 있게 하였던 게임의 단순성을 극복하고, 사용자에게 낚시 형태의 재미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경품을 종횡으로 이격 배치할 수 있고, 낚시에서 수위에 따라 잡히는 물고기가 다르듯이 높이에 따라 경품 종류를 달리 배치하여 다양한 재미를 느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높이에 따라 적은 경품을 줄 수 있으나, 경품의 단가를 높이 책정하여 마치 수면이 낮은 곳에서는 작은 물고기가 잡히고 수면이 깊은 곳에서는 큰 물고기가 잡히는 것과 동일한 효과를 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단가가 큰 경품(큰 물고기와 대비)를 잡기가 더 어려운 현실의 낚시와 유사한 효과를 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경품유닛의 피벗 운동을 통해 경품 선택을 안정화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다양한 형태의 표적유닛을 통해 다양한 낚시 방식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표적구동유닛을 통해 와이어를 간헐적으로 밀어줌으로써, 표적유닛의 진자 운동을 간편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표적구동유닛의 세부 구성을 통해 구동바디부에서 스윙바디부의 슬라이드 이동을 안정화시키고, 구동바디부에서 스윙바디부의 슬라이드 이동량을 조절할 수 있으며, 스윙바디부가 와이어 또는 표적유닛을 타격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포획유닛을 통해 진자 운동하는 표적유닛 또는 와이어를 안정되게 포획할 수 있고, 다양한 포획도구를 간편하게 탈부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다양한 포획도구를 통해 다양한 낚시 방식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포획이동유닛을 통해 경품유닛의 전방에서 포획유닛의 상하 방향 및 좌우 방향 이동을 안정화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경품스위치를 통해 경품유닛에 경품을 연결하지 않더라도 해당 경품을 별도 보관할 수 있고, 경품이 훼손되는 것을 방지하며, 낚시형 경품게임장치에서 경품유닛과, 표적유닛과, 표적구동유닛과, 포획유닛과, 포획이동유닛이 설치되는 설치공간을 컴팩트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설치공간에서 경품이 낙하할 때, 낙하되는 경품이 경품유닛에 매달린 경품을 추가로 떨어뜨리는 문제점을 개선하였고, 경품 사이의 간섭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낚시형 경품게임장치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낚시형 경품게임장치를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낚시형 경품게임장치에서 경품유닛과 표적유닛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낚시형 경품게임장치에서 표적유닛의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낚시형 경품게임장치에서 표적구동유닛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품게임장치에서 포획유닛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품게임장치에서 포획도구의 다양한 형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낚시형 경품게임장치에서 포획이동유닛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낚시형 경품게임장치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때, 본 발명은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해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확하게 하기 위해 생략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낚시형 경품게임장치는 경품유닛(10)과, 표적유닛(30)과, 표적구동유닛(40)과, 포획유닛(50)과, 포획이동유닛(60)을 포함하고, 입력유닛(70)과, 제어유닛(80)과, 디스플레이유닛(90)과, 게임바디(1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경품유닛(10)은 경품의 선택을 위해 둘 이상이 상호 이격된 상태로 상하 방향과 좌우 방향으로 배치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경품유닛(10)은 상하 방향으로 상호 이격되어 3단으로 배치되고, 좌우 방향으로 상호 이격되어 2단 이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일예로, 경품유닛(10)은 피벗축부(111)와, 피벗축부(111)에 피벗 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경품레버(12)를 포함할 수 있다. 경품유닛(10)은 피벗축부(111)가 구비되는 경품거치바디(1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경품레버(12)에는 와이어(20)와의 결합을 위해 피벗축부(111)를 기준으로 포획유닛(50) 쪽을 향하는 일측에 구비되는 와이어결합부(121)와, 선택된 경품의 배출을 위해 피벗축부(111)를 기준으로 포획유닛(50) 쪽과 대향되는 타측에 구비되는 경품선택부(122)가 포함된다. 이에 따라, 경품레버(12)의 일측인 와이어결합부(121)에는 와이어(20)를 매개로 표적유닛(30)이 매달리고, 경품레버(12)의 타측인 경품선택부(122)에는 경품이 매달린다. 경품선택부(122)는 경품이 매달리도록 고리 형태를 나타내고, 경품레버(12)가 기울어지는 경우, 경품선택부(122)에서 경품이 원활하게 분리되도록 한다.
그러면, 포획유닛(50)은 와이어(20) 또는 표적유닛(30)을 포획하여 경품레버(12)를 회전시키고, 경품레버(12)가 회전되면, 경품레버(12)가 기울어지고, 경품레버(12)의 경품선택부(122)에서 경품이 분리되도록 한다.
다른 예로, 경품유닛(10)은 피벗축부(111)와, 피벗축부(111)에 피벗 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경품레버(12)와, 경품레버(12)의 피벗 운동에 의해 경품의 배출 여부를 선택하는 경품스위치(13)를 포함할 수 있다. 경품유닛(10)은 피벗축부(111)가 구비되는 경품거치바디(1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경품레버(12)에는 와이어(20)와의 결합을 위해 피벗축부(111)를 기준으로 포획유닛(50) 쪽을 향하는 일측에 구비되는 와이어결합부(121)와, 선택된 경품의 배출을 위해 피벗축부(111)를 기준으로 포획유닛(50) 쪽과 대향되는 타측에 구비되는 경품선택부(122)가 포함된다. 이에 따라, 경품레버(12)의 일측인 와이어결합부(121)에는 와이어(20)를 매개로 표적유닛(30)이 매달리고, 경품레버(12)의 타측인 경품선택부(122)에는 경품스위치(13)가 이격 배치된다. 경품선택부(122)는 경품스위치(13)를 향하는 돌기 형태를 나타낼 수 있고, 경품스위치(13)에 안정되게 접촉되거나, 경품스위치(13)를 안정되게 가압할 수 있다.
그러면, 포획유닛(50)은 와이어(20) 또는 표적유닛(30)을 포획하여 경품레버(12)를 회전시키고, 경품레버(12)가 회전되면, 경품레버(12)가 기울어지고, 경품레버(12)의 경품선택부(122)는 경품스위치(13)에 접촉되거나 경품스위치(13)를 가압함에 따라 경품스위치(13)를 온(ON)으로 동작킬 수 있다. 경품스위치(13)가 온(ON)으로 동작되면, 경품스위치(13)에 매칭되는 경품보관함(미도시)의 잠금을 해제할 수 있고, 사용자는 해당 경품보관함(미도시)에 보관 중인 경품을 수령할 수 있다.
와이어(20)는 일측이 경품유닛(10)의 경품레버(12)에서 와이어결합부(121)에 결합된다. 와이어(20)의 타측에는 표적유닛(30)이 결합된다.
표적유닛(30)은 와이어(20)를 매개로 경품유닛(10)에 매달린다. 표적유닛(30)은 다각형의 블럭 형태 또는 타원을 기반으로 하는 구 또는 원을 기반으로 하는 구 형태를 나타낼 수 있다.
표적유닛(30)에는 포획유닛(50)의 단부가 끼움 결합되도록 표면으로부터 함몰 형성되는 표적걸림홈부(31)와, 포획유닛(50)의 단부가 통과되도록 중앙 부분에 관통 형성되는 표적포획홀부(32)와, 포획유닛(50)이 파지하도록 표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표적돌출부(33) 중 어느 하나가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표적유닛(30)이 단순한 블럭 형태이거나 구 형태를 나타내는 경우, 포획도구(57) 중 포획포크부(571)에 와이어(20)가 삽입되도록 하거나, 포획도구(57) 중 포획글로브부(573)가 표적유닛(30)을 감싸 지지함으로써, 포획유닛(50)의 포획도구(57)가 표적유닛(30)을 포획할 수 있다. 또한, 표적걸림홈부(31)는 표적유닛(30)의 표면에 둘 이상이 상호 이격 배치되고, 포획도구(57) 중 포획고리부(572)가 끼움 결합됨으로써, 포획유닛(50)의 포획도구(57)가 표적유닛(30)을 포획할 수 있다. 또한, 표적포획홀부(32)는 표적유닛(30)이 링 형상을 나타냄에 따라 표적유닛(30)에 관통 형성될 수 있고, 포획도구(57) 중 포획고리부(572) 또는 포획바부(미도시)가 표적포획홀부(32)를 통과하여 표적유닛(30)에 걸림 지지됨으로써, 포획유닛(50)의 포획도구(57)가 표적유닛(30)을 포획할 수 있다. 또한, 표적돌출부(33)는 표적유닛(30)의 표면에 하나 이상이 돌출되거나 링 형태로 돌출될 수 있고, 포획도구(57) 중 포획집게부(574)가 와이어(20)와, 표적유닛(30)과, 표적유닛(30)에 구비된 표적돌출부(33) 중 어느 하나를 파지함으로써, 포획유닛(50)의 포획도구(57)가 표적유닛(30)을 포획할 수 있다.
표적구동유닛(40)은 표적유닛(30)의 전후 방향 진자 운동을 구현하기 위해 와이어(20)와 표적유닛(3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가압한다. 표적구동유닛(40)은 표적유닛(30)의 전후 방향 진자 운동을 구현하기 위한 것이므로, 와이어(20)와 표적유닛(3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가압하는 수단(스윙바디부(42))은 표적유닛(30)의 하부에 결합되거나 표적유닛(30)의 하측으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표적구동유닛(40)은 와이어(20) 또는 표적유닛(30)으로부터 이격 배치되는 구동바디부(41)와, 와이어(20)와 표적유닛(3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가압하기 위해 구동바디부(41)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스윙바디부(42)와, 구동바디부(41)를 기준으로 스윙바디부(42)를 탄성 지지하는 복귀탄성부(43)와, 스윙바디부(42)를 간헐적으로 가압하는 스윙캠부(44)와, 스윙캠부(44)를 회전시키는 스윙구동부(45)를 포함할 수 있다.
구동바디부(41)는 진자 운동하는 표적유닛(30)에 간섭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좌우 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스윙바디부(42)는 구동바디부(41)에서 전후 방향으로의 슬라이드 이동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스윙바디부(42)는 구동바디부(41)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스윙슬라이더부(421)와, 스윙캠부(44)가 간헐적으로 가압하도록 스윙슬라이더부(421)에 구비되는 스윙브라켓부(422)를 포함할 수 있다. 스윙바디부(42)는 스윙브라켓부(422)에서 돌출되는 스윙조절부(42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동바디부(41)에서 스윙슬라이더부(421)가 1:1 대응되어 좌우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경우, 스윙브라켓부(422)는 둘 이상이 구비됨으로써, 스윙슬라이더부(421)가 슬라이드 이동될 때, 구동바디부(41)에서 스윙바디부(42)의 양단부가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이동되도록 할 수 았고, 구동바디부(41)에서 스윙바디부(42)가 어긋나 스윙바디부(42)의 슬라이드 이동이 간섭 또는 제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스윙조절부(423)는 스윙슬라이더부(421)의 슬라이드 이동량을 제한할 수 있다. 스윙조절부(423)는 초기 상태에서 구동바디부(41)에 지지되었다가 스윙캠부(44)가 스윙브라켓부(422)를 가압함에 따라 스윙캠부(44)의 편심량에 대응하여 구동바디부(41)에서 이격되어 전후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으며, 가압력이 해제되면, 복귀탄성부(43)의 탄성력으로 초기 상태로 복귀할 수 있다.
복귀탄성부(43)는 스윙바디부(42)의 양측 단부에 각각 배치될 수 있고, 일단부는 구동바디부(41)에 결합되며, 타단부는 스윙바디부(42)에 결합된다. 한 쌍의 복귀탄성부(43) 사이에 스윙브라켓부(422)가 구비될 수 있다.
스윙캠부(44)는 스윙바디부(42)에서 스윙브라켓부(422)를 간헐적으로 가압할 수 있다. 스윙캠부(44)는 스윙구동부(45)의 구동축에 결합되어 스윙구동부(45)의 구동축의 회전에 따라 회전되는 스윙부재(441)와, 스윙구동부(45)의 구동축에서 이격되어 스윙부재(441)의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스윙롤러(442)를 포함할 수 있다. 스윙롤러(442)는 스윙부재(441)의 회전에 따라 스윙바디부(42)의 스윙브라켓부(422)를 가압할 수 있다. 스윙브라켓부(422)를 가압할 때, 스윙롤러(442)는 스윙부재(441)에서 회전됨에 따라 스윙롤러(442)와 스윙브라켓부(422) 사이의 마찰 및 마모를 방지할 수 있고, 스윙바디부(42)를 안정되게 슬라이드 이동시킬 수 있다.
스윙구동부(45)는 구동축을 회전시킴에 따라 스윙캠부(44)의 스윙부재(441)를 안정적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표적구동유닛(40)은 스윙캠부(44)의 회전 상태를 감지하는 스윙센싱부(46)와, 스윙캠부(44)에 의해 가압된 스윙바디부(42)를 지지하는 스윙제한부(47)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스윙센싱부(46)는 스윙캠부(44)의 회전 상태를 감지함으로써, 스윙바디부(42)의 슬라이드 이동 상태를 확인할 수 있고, 표적유닛(30)의 진자 운동을 조절할 수 있다.
스윙제한부(47)는 구동바디부(41)에 대하여 스윙바디부(42)가 상대적으로 돌출되는 양을 제한할 수 있다. 스윙제한부(47)는 구동바디부(41)에 구비되는 고정브라켓부(471)와, 고정브라켓부(471)와 마주보는 상태로 이격 배치되는 제한브라켓부(473)와, 고정브라켓부(471)와 제한브라켓부(473)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서 돌출 형성되는 제한로드부(472)와, 일측은 고정브라켓부(471)에 고정되고 타측은 제한브라켓부(473)에 고정되며 제한로드부(472)에 탄성 변형 가능하게 지지되어 탄성력에 의해 제한브라켓부(473)를 고정브라켓부(471) 쪽으로 잡아당기는 제한탄성부(474)를 포함할 수 있다. 스윙제한부(47)는 스윙바디부(42)의 슬라이드 이동 상태를 감지하는 제한센싱부(47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한브라켓부(473)에는 스윙바디부(42)의 슬라이드 이동에 따라 스윙바디부(42)의 선단부 또는 스윙바디부(42)의 스윙조절부(423)가 지지되어 스윙바디부(42)의 슬라이드 이동을 저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한로드부(472)는 고정브라켓부(471)에서 돌출 형성되고, 제한브라켓부(473)는 제한로드부(472)의 끝단에 지지될 수 있다. 이때, 제한탄성부(474)를 매개로 고정브라켓부(471)와 제한브라켓부(473)가 연결되므로, 고정브라켓부(471)를 기준으로 제한브라켓부(473)를 안정되게 지지함은 물론 제한브라켓부(473)의 전후 방향 이동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제한로드부(472)는 제한브라켓부(473)에서 돌출 형성되고, 고정브라켓부(471)는 제한로드부(472)의 끝단에 지지될 수 있다. 이때, 제한탄성부(474)를 매개로 고정브라켓부(471)와 제한브라켓부(473)가 연결되므로, 고정브라켓부(471)를 기준으로 제한브라켓부(473)를 안정되게 지지함은 물론 제한브라켓부(473)의 전후 방향 이동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제한브라켓부(473)는 고정브라켓부(471)에서 돌출되는 제1브라켓부와, 제1브라켓부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제한브라켓부(473)에서 돌출되는 제2브라켓부로 구성될 수 있다. 그러면, 제한브라켓부(473)는 제한로드부(472)를 매개로 고정브라켓부(471)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고, 제한탄성부(474)를 매개로 고정브라켓부(471)와 제한브라켓부(473)가 연결되므로, 고정브라켓부(471)를 기준으로 제한브라켓부(473)를 안정되게 지지함은 물론 제한브라켓부(473)의 전후 방향 이동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포획유닛(50)은 경품유닛(10)의 전방으로 이격 배치되고, 와이어(20)와 표적유닛(3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획할 수 있다. 포획유닛(50)은 포획이동유닛(60)에 결합되는 포획바디부(51)와, 포획바디부(51)에 구비되어 포획구동축부(54)를 정역회전시키는 포획구동부(52)와, 포획구동축부(54)에 결합되어 포획구동축부(54)와 함께 회전되는 피벗로드부(55)와, 피벗로드부(55)와 교차되도록 피벗로드부(55)에 결합되는 포획로드부(56)와, 포획로드부(56)에 결합되어 와이어(20) 또는 표적유닛(30)을 포획하는 포획도구(57)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면, 포획구동부(52)의 정역 회전에 대응하여 피벗로드부(55)가 피벗 운동하게 되고, 포획도구(57)가 정역 회전되면서 와이어(20) 또는 표적유닛(30)을 포획할 수 있다.
여기서, 포획도구(57)에는 와이어(20)가 삽입되는 포획포크부(571)와, 표적유닛(30)에 구비된 표적걸림홈부(31)에 삽입되는 포획고리부(572)와, 표적유닛(30)에 구비된 표적포획홀부(32)를 통과하는 포획바부(미도시)와, 표적유닛(30)을 감싸 지지하는 포획글로브부(573)와, 와이어(20)와 표적유닛(30)과 표적유닛(30)에 구비된 표적돌출부(33) 중 어느 하나를 파지하는 포획집게부(574) 중 어느 하나가 포함될 수 있다. 포획도구(57)는 포획로드부(56)에서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표적유닛(30)에 대응하여 포획도구(57)를 교체할 수 있고, 다양한 포획 방식을 구현할 수 있다.
포획유닛(50)은 포획구동부(52)와 포획구동축부(54)를 연결하여 포획구동부(52)의 회전력을 조절하는 구동력전달부(5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동력전달부(53)는 기어조립체 또는 벨트 컨베이어 조립체 또는 체인 스프로킷 조립체 등 다양한 형태가 적용될 수 있다.
포획유닛(50)은 피벗로드부(55)가 포획구동축부(54)와 함께 회전되면서 피벗 운동할 때, 피벗로드부(55)의 정역 회전 한계를 감지하는 왕복센싱부(5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왕복센싱부(58)는 피벗로드부(55)의 정역 회전 한계에 대응하여 피벗로드부(55)를 감지하거나 피벗로드부(55)의 가압에 따라 포획바디부(51)를 감지할 수 있다. 왕복센싱부(58)에는 완충부가 구비되어 피벗로드부(55)의 가압력을 흡수하고, 왕복센싱부(58)의 감지에 따라 피벗로드부(55)가 정역 회전되는 것을 정지시킬 수 있다.
포획이동유닛(60)은 포획유닛(50)을 상하 방향과 좌우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포획이동유닛(60)은 포획유닛(50)을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승강이동유닛(61)과, 포획유닛(50)을 좌우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수평이동유닛(62)을 포함할 수 있다. 포획이동유닛(60)은 입력유닛(70)의 동작에 따라 포획유닛(50)을 상하 방향과 좌우 방향으로 정밀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일예로, 승강이동유닛(61)이 포획유닛(50)을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경우, 수평이동유닛(62)은 승강이동유닛(61)을 좌우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여기서, 포획이동유닛(60)은 수평이동유닛(62)이 승강이동유닛(61)을 좌우 방향으로 이동시킬 때, 수평이동유닛(62)에서 이격되어 승강이동유닛(61)의 좌우 방향 이동을 가이드하는 이동가이드유닛(6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수평이동유닛(62)이 포획유닛(50)을 좌우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경우, 승강이동유닛(61)은 수평이동유닛(62)을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여기서, 포획이동유닛(60)은 승강이동유닛(61)이 수평이동유닛(62)을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킬 때, 승강이동유닛(61)에서 이격되어 수평이동유닛(62)의 상하 방향 이동을 가이드하는 이동가이드유닛(6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입력유닛(70)은 낚시형 경품게임장치에 게임할 수 있는 코인이나 지폐가 투입된 후, 사용자 조작에 의해 포획유닛(50)이 상하 방향으로 무작위로 왕복 이동되게 하는 제1포획이동신호를 입력받고, 특정 위치에서 포획유닛(50)이 정지할 수 있는 제1포획정지신호를 입력받는다.
또한, 입력유닛(70)은 낚시형 경품게임장치에 게임할 수 있는 코인이나 지폐가 투입된 후,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포획유닛(50)이 좌우 방향으로 무작위로 왕복 이동되게 하는 제2포획이동신호를 입력받고, 특정 위치에서 포획유닛(50)이 정지할 수 있는 제2포획정지신호를 입력받는다.
또한, 입력유닛(70)은 특정 위치에서 포획유닛(50)이 정지한 다음,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포획유닛(50)의 피벗로드부(55)가 정회전되게 하는 포획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다. 그러면, 포획도구(57)가 진자 운동되는 표적유닛(30)으로 접근한다. 이때, 포획도구(57)가 와이어(20) 또는 표적유닛(30)을 포획하면, 경품유닛(10)에 매달린 경품이 경품유닛(10)으로부터 분리되거나 경품유닛(10)의 경품레버(12)가 경품스위치(13)를 온(ON)으로 동작시켜 해당 경품보관함이 개방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포획도구(57)가 와이어(20) 또는 표적유닛(30)을 포획하지 못하거나, 왕복센싱부(58)가 피벗로드부(55)의 정회전 한계를 감지하면, 포획구동부(52)는 피벗로드부(55)를 역회전시키고, 왕복센싱부(58)가 피벗로드부(55)의 역회전 한계를 감지하면, 포획구동부(52)의 동작이 해제되고, 피벗로드부(55)는 초기 위치에서 정지하게 된다.
제어유닛(80)은 표적구동유닛(40)과, 포획이동유닛(60)과, 포획유닛(50)의 포획구동부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낚시형 경품게임장치에 게임할 수 있는 코인이나 지폐가 투입되거나, 입력유닛(70)에 제1, 제2포획이동신호가 입력되면, 표적구동유닛(40)이 동작되어 표적유닛(30)이 진자 운동되도록 한다.
그리고 입력유닛(70)에 제1, 제2포획이동신호가 입력됨에 따라 포획이동유닛(60)은 포획유닛(50)을 상하 방향과 좌우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그리고 입력유닛(70)에 포획신호가 입력됨에 따라 포획구동부(52)는 피벗로드부(55)를 정회전시키고, 포획도구(57)가 진자 운동되는 표적유닛(30)에 접근하도록 한다.
디스플레이유닛(90)은 경품게임에 남은 시간이나 남은 게임 횟수를 나타내어 사용자에게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게임바디(100)는 경품유닛(10)과, 표적유닛(30)과, 표적구동유닛(40)과, 포획유닛(50)과, 포획이동유닛(60)이 설치되는 설치공간을 형성한다. 게임바디(100)의 외측에는 입력유닛(70)과, 디스플레이유닛(90)이 구비된다. 게임바디(100)의 설치공간 일측에는 경품배출구 또는 경품보관함을 비롯하여 제어유닛(80)이 구비될 수 있다.
상술한 낚시형 경품게임장치에 따르면, 진자 운동하는 표적유닛(30)을 낚아채어 경품을 획득함으로써, 종래 일률적인 포크레인 방식으로 인형, 쿠폰 등의 경품을 뽑을 수 있게 하였던 게임의 단순성을 극복하고, 사용자에게 낚시 형태의 재미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경품을 종횡으로 이격 배치할 수 있고, 낚시에서 수위에 따라 잡히는 물고기가 다르듯이 높이에 따라 경품 종류를 달리 배치하여 다양한 재미를 느낄 수 있다.
또한, 높이에 따라 적은 경품을 줄 수 있으나, 경품의 단가를 높이 책정하여 마치 수면이 낮은 곳에서는 작은 물고기가 잡히고 수면이 깊은 곳에서는 큰 물고기가 잡히는 것과 동일한 효과를 줄 수 있다
또한, 단가가 큰 경품(큰 물고기와 대비)를 잡기가 더 어려운 현실의 낚시와 유사한 효과를 줄 수 있다
또한, 경품유닛(10)의 피벗 운동을 통해 경품 선택을 안정화시킬 수 있다.
또한, 다양한 형태의 표적유닛(30)을 통해 다양한 낚시 방식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표적구동유닛(40)을 통해 와이어(20)를 간헐적으로 밀어줌으로써, 표적유닛(30)의 진자 운동을 간편하게 할 수 있다.
또한, 표적구동유닛(40)의 세부 구성을 통해 구동바디부(41)에서 스윙바디부(42)의 슬라이드 이동을 안정화시키고, 구동바디부(41)에서 스윙바디부(42)의 슬라이드 이동량을 조절할 수 있으며, 스윙바디부(42)가 와이어(20) 또는 표적유닛(30)을 타격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포획유닛(50)을 통해 진자 운동하는 표적유닛(30) 또는 와이어(20)를 안정되게 포획할 수 있고, 다양한 포획도구(57)를 간편하게 탈부착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포획도구(57)를 통해 다양한 낚시 방식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포획이동유닛(60)을 통해 경품유닛(10)의 전방에서 포획유닛(50)의 상하 방향 및 좌우 방향 이동을 안정화시킬 수 있다.
또한, 경품스위치(13)를 통해 경품유닛(10)에 경품을 연결하지 않더라도 해당 경품을 별도 보관할 수 있고, 경품이 훼손되는 것을 방지하며, 낚시형 경품게임장치에서 경품유닛(10)과, 표적유닛(30)과, 표적구동유닛(40)과, 포획유닛(50)과, 포획이동유닛(60)이 설치되는 설치공간을 컴팩트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설치공간에서 경품이 낙하할 때, 낙하되는 경품이 경품유닛(10)에 매달린 경품을 추가로 떨어뜨리는 문제점을 개선하였고, 경품 사이의 간섭을 방지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경시킬 수 있다.
10: 경품유닛 11: 경품거치바디 111: 피벗축부
12: 경품레버 121: 와이어결합부 122: 경품선택부
13: 경품스위치 20: 와이어 30: 표적유닛
31: 표적걸림홈부 32: 표적포획홀부 33: 표적돌출부
40: 표적구동유닛 41: 구동바디부 42: 스윙바디부
421: 스윙슬라이더부 422: 스윙브라켓부 423: 스윙조절부
43: 복귀탄성부 44: 스윙캠부 441: 스윙부재
442: 스윙롤러 45: 스윙구동부 46: 스윙센싱부
47: 스윙제한부 471: 고정브라켓부 472: 제한로드부
473: 제한브라켓부 474: 제한탄성부 475: 제한센싱부
50: 포획유닛 51: 포획바디부 52: 포획구동부
53: 구동력전달부 54: 포획구동축부 55: 피벗로드부
56: 포획로드부 57: 포획도구 571: 포획포크부
572: 포획고리부 573: 포획글로브부 574: 포획집게부
60: 포획이동유닛 61: 승강이동유닛 62: 수평이동유닛
63: 이동가이드유닛 70: 입력유닛 80: 제어유닛
90: 디스플레이유닛 100: 게임바디

Claims (10)

  1. 경품의 배출을 위해 둘 이상이 상호 이격된 상태로 상하 방향과 좌우 방향으로 배치되는 경품유닛;
    와이어를 매개로 상기 경품유닛에 매달리는 표적유닛;
    상기 표적유닛의 전후 방향 진자 운동을 구현하기 위해 상기 와이어와 상기 표적유닛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가압하는 표적구동유닛;
    상기 경품유닛의 전방으로 이격 배치되고, 상기 와이어와 상기 표적유닛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획하는 포획유닛; 및
    상기 포획유닛을 상하 방향과 좌우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포획이동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표적구동유닛은,
    상기 와이어 또는 상기 표적유닛으로부터 이격 배치되는 구동바디부;
    상기 와이어와 상기 표적유닛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가압하기 위해 상기 구동바디부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스윙바디부;
    상기 구동바디부를 기준으로 상기 스윙바디부를 탄성 지지하는 복귀탄성부;
    상기 스윙바디부를 간헐적으로 가압하는 스윙캠부; 및
    상기 스윙캠부를 회전시키는 스윙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형 경품게임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적유닛에는,
    상기 포획유닛의 단부가 끼움 결합되도록 표면으로부터 함몰 형성되는 표적걸림홈부;
    상기 포획유닛의 단부가 통과되도록 중앙 부분에 관통 형성되는 표적포획홀부; 및
    상기 포획유닛이 파지하도록 표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표적돌출부; 중 어느 하나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형 경품게임장치.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윙바디부는,
    상기 구동바디부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스윙슬라이더부; 및
    상기 스윙캠부가 간헐적으로 가압하도록 상기 스윙슬라이더에 구비되는 스윙브라켓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형 경품게임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적구동유닛은,
    상기 스윙캠부의 회전 상태를 감지하는 스윙센싱부; 및
    상기 스윙캠부에 의해 가압된 상기 스윙바디부를 지지하는 스윙제한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형 경품게임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스윙제한부는,
    상기 구동바디부에 구비되는 고정브라켓부;
    상기 고정브라켓부와 마주보는 상태로 이격 배치되는 제한브라켓부;
    상기 고정브라켓부와 상기 제한브라켓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서 돌출 형성되는 제한로드부; 및
    일측은 상기 고정브라켓부에 고정되고, 타측은 상기 제한브라켓부에 고정되며, 상기 제한로드부에 탄성 변형 가능하게 지지되어 탄성력에 의해 상기 제한브라켓부를 상기 고정브라켓부 쪽으로 잡아당기는 제한탄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형 경품게임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포획유닛은,
    상기 포획이동유닛에 결합되는 포획바디부;
    상기 포획바디부에 구비되어 포획구동축부를 정역회전시키는 포획구동부;
    상기 포획구동축부에 결합되어 상기 포획구동축부와 함께 회전되는 피벗로드부;
    상기 피벗로드부와 교차되도록 상기 피벗로드부에 결합되는 포획로드부; 및
    상기 포획로드부에 결합되어 상기 와이어 또는 상기 표적유닛을 포획하는 포획도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형 경품게임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포획도구에는,
    상기 와이어가 삽입되는 포획포크부;
    상기 표적유닛에 구비된 표적걸림홈부에 삽입되는 포획고리부;
    상기 표적유닛에 구비된 표적포획홀부를 통과하는 포획바부;
    상기 표적유닛을 감싸 지지하는 포획글로브부; 및
    상기 와이어와, 상기 표적유닛과, 상기 표적유닛에 구비된 표적돌출부 중 어느 하나를 파지하는 포획집게부; 중 어느 하나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형 경품게임장치.
  9. 제1항 내지 제2항과 제4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경품유닛은,
    피벗축부; 및
    상기 피벗축부에 피벗 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경품레버;를 포함하고,
    상기 경품레버의 일측에는 상기 와이어를 매개로 상기 표적유닛이 매달리고,
    상기 경품레버의 타측에는 경품이 매달리며,
    상기 포획유닛은 상기 와이어 또는 상기 표적유닛을 포획하여 상기 경품레버를 회전시키고, 상기 경품레버가 회전되면, 경품이 상기 경품레버에서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형 경품게임장치.
  10. 제1항 내지 제2항과 제4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경품유닛은,
    피벗축부;
    상기 피벗축부에 피벗 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경품레버; 및
    상기 경품레버의 피벗 운동에 의해 경품의 배출 여부를 선택하는 경품스위치;를 포함하고,
    상기 경품레버의 일측에는 상기 와이어를 매개로 상기 표적유닛이 매달리고,
    상기 경품레버의 타측에는, 상기 경품스위치가 이격 배치되며,
    상기 포획유닛은 상기 와이어 또는 상기 표적유닛을 포획하여 상기 경품레버를 회전시키고, 상기 경품레버가 회전되면, 상기 경품레버가 상기 경품스위치를 온(ON)으로 동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형 경품게임장치.
KR1020180104678A 2018-09-03 2018-09-03 낚시형 경품게임장치 KR1021669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4678A KR102166926B1 (ko) 2018-09-03 2018-09-03 낚시형 경품게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4678A KR102166926B1 (ko) 2018-09-03 2018-09-03 낚시형 경품게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6568A KR20200026568A (ko) 2020-03-11
KR102166926B1 true KR102166926B1 (ko) 2020-10-16

Family

ID=698097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04678A KR102166926B1 (ko) 2018-09-03 2018-09-03 낚시형 경품게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66926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75459A (ja) * 2002-03-22 2003-09-30 Taito Corp 吊上げ式景品獲得ゲーム装置
JP2008279093A (ja) * 2007-05-11 2008-11-20 Ohiragiken Industry Co Ltd 景品獲得ゲーム機
KR101542550B1 (ko) * 2013-08-30 2015-08-05 박진수 낚시 게임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75459A (ja) * 2002-03-22 2003-09-30 Taito Corp 吊上げ式景品獲得ゲーム装置
JP2008279093A (ja) * 2007-05-11 2008-11-20 Ohiragiken Industry Co Ltd 景品獲得ゲーム機
KR101542550B1 (ko) * 2013-08-30 2015-08-05 박진수 낚시 게임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6568A (ko) 2020-03-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816866B2 (ja) 景品取得ゲーム装置
US20070200289A1 (en) Prize dispensing mechanism and game device
JP2007236953A (ja) 把持力を制御する掴み装置及びその方法
JP4173152B2 (ja) 景品種類ごとの払い出し可能確率を保持できる遊技システム
JP2006230898A (ja) 遊技機
US8585057B2 (en) Game machine
US11113931B2 (en) Arcade game with rotating container for captured prizes with RFID tags
JP6544024B2 (ja) 景品取得ゲーム装置
KR102166926B1 (ko) 낚시형 경품게임장치
JP2006122523A (ja) 景品取得ゲーム装置
JP2001029644A (ja) 遊戯装置
JP2006334270A (ja) 景品獲得遊戯機の景品展示・払出装置
JP2004105477A (ja) 景品取得ゲーム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4495548B2 (ja) 抽選装置
KR101278607B1 (ko) 물품 뽑기 게임기
JP4890634B2 (ja) 遊技機
JP3910441B2 (ja) 対象物搬送機構及びゲーム装置
KR101542550B1 (ko) 낚시 게임 장치
JP2015092956A (ja) ゲーム機
JP2006116035A (ja) クレーンゲーム機
KR101937957B1 (ko) 뽑기기계
JPH11319303A (ja) ゲーム機及びゲーム方法
KR20110080273A (ko) 물품 뽑기 게임기
JP4890635B2 (ja) 遊技機
JP6925659B2 (ja) 景品取得装置及び景品取得ゲーム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