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42550B1 - 낚시 게임 장치 - Google Patents

낚시 게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42550B1
KR101542550B1 KR1020130104450A KR20130104450A KR101542550B1 KR 101542550 B1 KR101542550 B1 KR 101542550B1 KR 1020130104450 A KR1020130104450 A KR 1020130104450A KR 20130104450 A KR20130104450 A KR 20130104450A KR 101542550 B1 KR101542550 B1 KR 1015425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ize
fishing rod
unit
fishing
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044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26089A (ko
Inventor
박진수
김상수
Original Assignee
박진수
김상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진수, 김상수 filed Critical 박진수
Priority to KR10201301044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42550B1/ko
Publication of KR201500260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260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425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42550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Toys (AREA)

Abstract

개시된 본 발명에 의한 낚시 게임 장치는, 일축방향으로 왕복이동가능하며, 사용자의 선택에 의하여 특정위치에서 정지한 후, 낚싯대가 회동하는 낚싯대 유닛 및 낚싯대 유닛과 대향되는 위치에 복수개 설치되며, 낚싯대에 의하여 가압되어 회동되면서 경품이 낙하되는 경품 유닛을 포함한다. 또한, 낚싯대의 길이는 경품 유닛과 오버랩되어 가압할 수 있는 길이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면, 종래 일률적인 포크레인 방식으로 인형이나 경품을 뽑을 수 있게 하였던 게임의 단순성을 극복하고, 사용자가 직접 낚시하는 방법과 동일한 효과를 가지면서 재미를 줄 수 있는 게임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낚시 게임 장치 {FISHING GAME APPARUTUS}
본 발명은 낚시 게임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실제 낚시로 물고기를 잡는 기분을 가질 수 있도록 하는 낚시 게임 장치에 관한 것이다.
고속도로 휴게소나 편의점 등에 고객을 대상으로 다양한 재미를 줄 수 있는 전자 오락 게임이나 인형뽑기와 같은 게임 장치가 최근에는 많이 제공되고 있다.
도 1은 일반적으로 많이 설치되는 인형뽑기 게임 장치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도 1을 참조하면, 인형뽑기 게임 장치(10)는 인형과 같은 경품(D)이 내부에 수납되는 공간을 가지는 하우징(11)이 마련된다.
상기 하우징(11) 내부에 조작바(13)에 의하여 x축 및 y축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며, 특정위치에서 사용자가 버튼(15)을 작동시키는 경우 이동을 정지한 후, z축 방향으로 그랩부(16)가 하강한다.
하강하는 그랩부(16)는 해당 하강위치에서 다시 상승하게 되는데, 상승하면서 그랩부(16)가 경품을 움켜잡도록 구동하면서, 초기 위치 즉, 경품 배출구(17)측으로 x,y축 이동을 한다.
이때, 그랩부(16)가 경품(D)을 견고하게 잡은 경우 상기 경품 배출구(17)측으로 경품을 배출할 수 있는데, 그랩부(16)가 경품을 견고하게 잡지 않은 경우에는 경품을 들어올리지 못하는 구성을 가진다.
상기와 같이 종래 게임 장치(10)는 일종의 포크레인 방식의 게임장치로서 오래전부터 많이 사용되는 것으로서, 색다른 재미감을 주는 것에 많은 한계가 있었으며, 그랩부(16)가 경품을 잡은 경우 그 잡은 상태에서 그랩부(16)가 느슨하게 의도적으로 세팅해 놓아서 경품이 쉽게 잡히지 않도록 하여 재미감을 많이 반감시키고 있다.
또한, 그랩부(16)의 x,y 및 z축으로 이동시키는 장치, 그랩부(16)가 경품을 잡도록 하는 구성과 같이 복잡한 구성을 취하고 있어, 게임 장치가 제공하는 재미는 한정되어 있으나 그 제조단가는 고비용이라는 것이 문제점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출된 것으로서, 간단한 구성으로 실제 낚시와 유사한 재미를 줄 수 있는 낚시 게임 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낚시 게임 장치는, 일축방향으로 왕복이동가능하며, 사용자의 선택에 의하여 특정위치에서 정지한 후, 낚싯대가 회동하는 낚싯대 유닛; 및 상기 낚싯대 유닛과 대향되는 위치에 복수개 설치되며, 상기 낚싯대에 의하여 가압되어 회동되면서 경품이 낙하되는 경품 유닛;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낚싯대의 길이는 상기 경품 유닛과 오버랩되어 가압할 수 있는 길이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로써, 종래 일률적인 포크레인 방식으로 인형이나 경품을 뽑을 수 있게 하였던 게임의 단순성을 극복하고, 사용자가 직접 낚시하는 방법과 동일한 효과를 가지면서 재미를 줄 수 있는 게임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낚싯대 유닛은, 상기 일축방향과 직교하는 이축방향으로 왕복이동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경품 유닛은, 상기 이축방향을 따라 복수행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로써, 일렬(x축)로 경품이 배열되는 것 뿐만 아니라 종렬(z축)로도 경품이 배치될 수 있어 낚시에서 수위에 따라 잡히는 물고기가 다르듯이 깊이에 따라 경품 종류를 달리하여 배치할 수 있어 다양한 재미를 줄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경품 유닛은, 상기 이축방향을 따라 복수행으로로 배치될 때, 배치숫자를 열에 따라 적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로써, 종렬(z축)에 따라 수면의 깊이를 달리 구성하는 것에 더하여 수위가 깊어질 수록 적은 경품을 줄 수 있으나 경품의 단가를 높이 책정하여 마치 수면이 낮은 곳에서는 작은 물고기가 잡히고 수면이 깊은 곳에서는 큰 물고기가 잡히는 것과 동일한 효과를 줄 수 있다.
또한, 상기 낚싯대 유닛은, 상기 경품 유닛의 배치숫자가 적은 열에서 이동속도가 빠르게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로써, 단가가 큰 경품(큰 물고기와 대비)를 잡기가 더 어려운 현실의 낚시와 유사한 효과를 줄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낚시 게임 장치에 의하면, 이로써, 종래 일률적인 포크레인 방식으로 인형이나 경품을 뽑을 수 있게 하였던 게임의 단순성을 극복하고, 사용자가 직접 낚시하는 방법과 동일한 효과를 가지면서 재미를 줄 수 있는 게임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일렬(x축)로 경품이 배열되는 것 뿐만 아니라 종렬(y축)로도 경품이 배치될 수 있어 낚시에서 수위에 따라 잡히는 물고기가 다르듯이 깊이에 따라 경품 종류를 달리하여 배치할 수 있어 다양한 재미를 줄 수 있게 된다.
또한, 종렬(y축)에 따라 수면의 깊이를 달리 구성하는 것에 더하여 수위가 깊어질 수록 적은 경품을 줄 수 있으나 경품의 단가를 높이 책정하여 마치 수면이 낮은 곳에서는 작은 물고기가 잡히고 수면이 깊은 곳에서는 큰 물고기가 잡히는 것과 동일한 효과를 줄 수 있다.
또한, 단가가 큰 경품(큰 물고기와 대비)를 잡기가 더 어려운 현실의 낚시와 유사한 효과를 줄 수 있다.
도 1은 종래 일반적인 게임 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낚시 게임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낚시 게임 장치의 개략적인 블록도,
도 4a 내지 도 4c는 도 2에 도시된 낚시 게임 장치의 주요 작동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낚시 게임 장치를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낚시 게임 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낚시 게임 장치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낚시 게임 장치(100)는, 낚싯대 유닛(160), 경품 유닛(170), 입력부(120) 및 제어부(110)를 포함한다.
낚싯대 유닛(160)은, 일축방향(x축)으로 왕복이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사용자의 선택에 의하여 특정위치에서 정지한 후, 낚싯대(161)가 회동되어 경품을 뽑을 수 있게 하는 것으로서, 낚싯대(161), 회동부(163), x축 방향의 이동축(165), x축 방향 이동 가이드부(162), z축 방향의 이동축(167)을 포함한다.
낚싯대(161)는 타측은 하기의 경품 유닛(170)측으로 연장형성되며 일측은 회동부(163)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어, 선택적으로 회동되면서 대향되는 경품 유닛(170)을 작동시킨다.
회동부(163)는 낚싯대(161)를 회동구동시키는 것으로서, 사용자에 의하여 선택적으로 정지신호가 입력되면 구동된다.
x축 방향의 이동축(165)은 상기 낚싯대(161)가 x축 방향을 따라 이동되는 이동축으로서, x축 방향 이동 가이드부(162)가 결합되어 이동되며, 이러한 축방향으로의 이동은 일반적인 사항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z축 방향의 이동축(167)은 낚싯대(161)가 z축 방향을 따라 이동되는 이동축으로서, x축 방향 이동축(165)이 z축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으며, 이와 달리 별도의 이동 가이드부가 구비되어 낚싯대(161)가 z축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x축 방향 및 z축 방향으로의 이동 장치는 일반적인 사항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경품 유닛(170)은, 경품(D)이 구비되어 특정한 작동에 의하여 경품(D)이 외부 경품 배출구(190)로 배출되도록 하는 것으로서, 낚싯대 유닛(160)과 대향되는 측에 복수개가 설치된다.
이러한 경품 유닛(170)은 상기의 낚싯대 유닛(160)과 대향되는 측에 설치되어 낚싯대(161)에 의하여 가압되도록 상기 낚싯대 유닛(160)으로 연장연성되는 경품바(171), 상기 경품바(171)가 고정되며 일측은 경품(D)이 선택적으로 낙하할 수 있게 걸리는 걸림부(173)가 형성되며, 경품바(171)가 낚싯대(161)에 의하여 가압되는 경우 회동축을 기준으로 회동하면서 걸리바(173)에 걸린 경품(D)이 하우징(150) 하부로 낙하된다.
이때, 경품(D)이 낙하된 후 경품 유닛(170)의 경품바(171)가 원상회복될 수 있도록 회동축에는 탄성부재(175)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경품 유닛(170)은 z축 방향을 따라 복수행으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각 열에는 복수개의 경품 유닛(170)이 구비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이러한 z축 방향으로의 복수개 행으로구비될 때 각 행마다 구비되는 경품 유닛(170)의 갯수를 차등적으로 배치한다. 예를 든다면, 경품 유닛(170)이 적게 배치되는 경우는 그만큼 낚싯대 유닛(160)의 낚싯대(161)가 정확한 위치에서 정지되어야 하므로 그만큼 경품 유닛(170)이 작동되어 경품(D)이 배출되기 어려우며 경품 유닛(170)이 많이 배치되는 경우는 그만큼 낚싯대 유닛(160)의 낚싯대(161)와 정확하게 대향되어 경품 유닛(170)이 작동되기 용이하므로 경품(D)이 배출되기 용이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경품(D)이 배출이 어려운 경우 즉, 경품 유닛(170)이 적게 배치되는 행에는 경품(D) 단가가 고가로 배치하고, 경품(D) 배출이 용이한 경우 즉, 경품 유닛(170)이 많이 배치되는 행에는 경품(D) 단가가 저가로 배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경품 유닛(170)이 z축 방향을 따라 복수행으로 배치함으로써, 실제 낚시에서와 같이 수위가 낮은 곳 및 수위가 깊은 곳에서 잡히는 물고기가 다르듯이 즉, 수위가 낮은 곳에서는 작은 물고기(경품 단가가 낮음), 수위가 깊은 곳에서는 큰 물고기(경품 단가가 높음)를 잡을 수 있듯이, z축 방향으로 하우징(150)의 하면에는 깊은 수위를 표현하기 위하여 경품 유닛(170)을 적게 배치하고 하우징(150)의 상면으로 갈수록 낮은 수위를 표현하기 위하여 경품 유닛(170)을 많이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입력부(120)는, 낚시 게임 장치(100)에 게임할 수 있는 코인이나 지폐가 투입된 후, 사용자 신호에 의하여 낚싯대 유닛(160)이 x축 방향으로 무작위로 왕복이동되게 하는 신호를 입력받고, 특정 위치에서 낚싯대 유닛(160)이 정지할 수 있는 신호를 입력받는다. 이때, x축 방향으로의 이동 및 z축 방향으로의 이동할 수 있는 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다.
제어부(110)는, 상기 입력부(120)에서 낚싯대 유닛(160)의 제어신호가 입력되면, 그에 따라 낚싯대 유닛(160)의 x축 구동부 및 z축 구동부인 이송 구동부(130) 및 회동 구동부(140)를 구동하는 것으로서, 사용자에 의하여 z축 방향으로 이동된 후 x축으로 이동될 때 정지신호가 또는 낚시 신호가 입력되면 회동 구동부(140)를 구동시키고 회동 구동부(140)에 의하여 회동부(160)가 낚싯대(161)를 회동시키고 낚싯대(161)는 대향되는 경품바(171)를 가압하게 된다.
이때, 사용자의 정지신호가 정확하게 입력되는 경우 즉, 경품바(171)를 가압할 수 있는 위치에서 낚싯대 유닛(160)이 정지하는 경우에는 경품바(171)가 낚싯대(161)에 의하여 가압되면서 경품 유닛(170)이 회동된다. 경품 유닛(170)이 회동되면서 걸림부(173)에 걸려있던 경품(D)이 하우징(150) 하부로 낙하하면서 최종적으로 경품(D)이 경품 배출구(190)를 통하여 배출된다.
한편, 사용자의 정지신호가 정확하게 입력되지 않는 경우 즉, 경품바(171)를 가압할 수 없는 위치에서 낚싯대 유닛(160)이 정지하는 경우에는 낚싯대(161)가 경품바(171) 사이로 회동되면서 경품바(171)를 작동시킬 수 없게 되어 낚시에 실패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낚시 게임에 남은 시간이나 남은 게임 횟수를 나타내는 디스플레이부(180)를 포함하여, 사용자에게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경품 유닛(170)의 배치숫자가 적은 행 즉, 깊은 수위를 표현하는 행에서는 낚싯대 유닛(160)의 이동속도를 높여서 낚싯대 유닛(160)이 경품 유닛(170)의 경품바(171)와 대향되는 위치에 정확하게 정지하는 난이도를 높인다.
이로써, 실제 낚시에서 대어를 낚는 것이 어렵듯이 단가가 높은 경품을 낚는 것을 어렵게 세팅할 수 있다.
도 4a 내지 도 4c는 도 2에 도시된 낚시 게임 장치의 작동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낚싯대 유닛(160)의 낚싯대(161)는 초기 상태에서는 z축 방향으로 도립한 상태이며, 사용자가 입력부(120)를 통하여 구동신호를 입력하면, 제어부(110)가 회동 구동부(140)를 구동시켜 회동부(163)가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동하게 되면서 낚싯대(161)가 경품바(171)와 접하게 된다. 이후, 계속하여 낚싯대(161)가 회동하면서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낚싯대(161)가 경품바(171)를 가압하게 되고, 경품바(171)가 가압되면서 걸림부(173)가 연동되어 회동하면서 걸려있는 경품(D)이 그 하중에 의하여 하우징(150) 내부로 낙하하면서 최종적으로 경품 배출구(190)를 통하여 배출된다.
한편, 입력부(120)에 의한 구동신호가 입력될 때 낚싯대 유닛(160)이 정확한 위치 즉, 경품바(171)를 가압할 수 있는 위치에 정지하지 않는 경우에는 낚싯대(161)가 경품바(171)와 경품바(171) 사이로 회동하게 되면서 결과적으로 경품바(171)를 가압하지 못하게 되고 그에 따라 경품(D)이 배출되지 않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으로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의 상세한 설명보다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낚시 게임 장치 110 : 제어부
120 : 입력부 130 : 이송 구동부
140 : 회동 구동부 150 : 하우징
160 : 낚싯대 유닛 161 : 낚싯대
163 : 회동부 165 : x축 이동축
167 : z축 이동축 170 : 경품 유닛
171 : 경품바 173 : 걸림부
175 : 탄성부재 180 : 디스플레이부
190 : 경품 배출구

Claims (6)

  1. 일축방향으로 설치되는 이동축에 왕복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이동 가이드부와, 상기 이동 가이드부에 의하여 왕복이동되면서 경품을 낚기 위한 낚싯대와, 상기 낚싯대의 타측과 결합되어 상기 낚싯대를 회동시키는 회동부를, 포함하는 낚싯대 유닛; 및
    상기 낚싯대 유닛과 대향되는 위치에 복수개 설치되며, 상기 회동되는 낚싯대에 의하여 가압되도록 형성되는 경품바와, 상기 경품이 상기 경품바가 가압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걸려 있고 상기 경품바가 가압되는 경우에는 자유낙하도록 형성되는 걸림부를, 포함하는 경품 유닛;을 포함하며,
    사용자의 선택에 의하여 상기 일축방향의 이동축의 특정위치에서 상기 이동 가이드부가 정지하는 경우, 상기 회동부가 상기 낚싯대를 회동되고, 회동되는 낚싯대에 의하여 상기 경품바가 가압되면서 걸림부에 걸려 있는 경품이 낙하하여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 게임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낚싯대의 길이는 상기 경품 유닛과 오버랩되어 가압할 수 있는 길이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 게임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낚싯대 유닛은,
    상기 일축방향과 직교하는 이축방향으로 왕복이동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 게임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경품 유닛은,
    상기 이축방향을 따라 복수열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 게임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경품 유닛은, 상기 이축방향을 따라 복수열로 배치될 때, 배치숫자를 열에 따라 적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 게임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낚싯대 유닛은, 상기 경품 유닛의 배치숫자가 적은 열에서 이동속도가 빠르게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 게임 장치.
KR1020130104450A 2013-08-30 2013-08-30 낚시 게임 장치 KR1015425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4450A KR101542550B1 (ko) 2013-08-30 2013-08-30 낚시 게임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4450A KR101542550B1 (ko) 2013-08-30 2013-08-30 낚시 게임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6089A KR20150026089A (ko) 2015-03-11
KR101542550B1 true KR101542550B1 (ko) 2015-08-05

Family

ID=530221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04450A KR101542550B1 (ko) 2013-08-30 2013-08-30 낚시 게임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4255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26568A (ko) 2018-09-03 2020-03-11 박진수 낚시형 경품게임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9784B1 (ko) 2015-04-13 2016-11-28 (주)라스 스크린 낚시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62733A (ja) * 1999-01-13 2000-09-26 Sega Enterp Ltd 景品取得ゲーム装置
JP2004105477A (ja) * 2002-09-18 2004-04-08 Sega Corp 景品取得ゲーム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62733A (ja) * 1999-01-13 2000-09-26 Sega Enterp Ltd 景品取得ゲーム装置
JP2004105477A (ja) * 2002-09-18 2004-04-08 Sega Corp 景品取得ゲーム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26568A (ko) 2018-09-03 2020-03-11 박진수 낚시형 경품게임장치
KR102166926B1 (ko) * 2018-09-03 2020-10-16 박진수 낚시형 경품게임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6089A (ko) 2015-03-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898580B2 (ja) 遊技機用の演出装置
JP5528500B2 (ja) 遊技機
JP5634189B2 (ja) 遊技機用指示装置及びその遊技機用指示装置を備えた遊技機
JP2005143916A (ja) 弾球遊技機
RU166534U1 (ru) Торгово-развлекательный автомат с подвижной платформой для размещения игровых предметов
US20130221619A1 (en) Game machine
KR101542550B1 (ko) 낚시 게임 장치
JP6471318B2 (ja) 遊技機
JP2008220878A (ja) 弾球遊技機
CN108697929B (zh) 游戏装置
JP4212056B2 (ja) 遊技機、遊技機用の演出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2018047112A (ja) 遊技機
JP4323385B2 (ja) ゲーム機
JP5813348B2 (ja) ゲーム用媒体、およびこのゲーム用媒体を用いて構成されたゲーム機
JP2010046135A (ja) ゲーム機
JP2008245978A (ja) 遊技機
JP2016131590A (ja) 遊技機
JP2019042575A (ja) 遊技機
JP5600772B1 (ja) 遊技機
JP3921381B2 (ja) ゲーム装置
JP2022122781A (ja) 景品獲得ゲーム装置
JP2011115665A5 (ko)
JP6205881B2 (ja) 遊技機
JP7181521B2 (ja) 遊技機
JP4919989B2 (ja) ゲームの移動体移動装置及びゲーム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9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