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48105B1 - 무빙 덕트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집진 설비 - Google Patents

무빙 덕트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집진 설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48105B1
KR102148105B1 KR1020190143579A KR20190143579A KR102148105B1 KR 102148105 B1 KR102148105 B1 KR 102148105B1 KR 1020190143579 A KR1020190143579 A KR 1020190143579A KR 20190143579 A KR20190143579 A KR 20190143579A KR 102148105 B1 KR102148105 B1 KR 1021481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ct
moving
straight pipe
coupled
bea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435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백화현
Original Assignee
백화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백화현 filed Critical 백화현
Priority to KR10201901435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810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81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81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5/00Preventing escape of dirt or fumes from the area where they are produced; Collecting or removing dirt or fumes from that area
    • B08B15/02Preventing escape of dirt or fumes from the area where they are produced; Collecting or removing dirt or fumes from that area using chambers or hoods covering the area
    • B08B15/026Boxes for removal of dirt, e.g. for cleaning brakes, glove- box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39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flow guiding by feed or discharge devices
    • B01D46/0041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flow guiding by feed or discharge devices for fee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5/00Preventing escape of dirt or fumes from the area where they are produced; Collecting or removing dirt or fumes from that area
    • B08B15/04Preventing escape of dirt or fumes from the area where they are produced; Collecting or removing dirt or fumes from that area from a small area, e.g. a too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1/00Hoses, i.e. flexible pip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7/00Adjustable joints, Joints allowing mov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Filtering Of Dispersed Particles In G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식 작업 대상의 이동에 연동하여 전후좌우 및 상하의 3방향 운동하면서 분진 및 오염가스를 흡입 배출시킬 수 있어 작업 장치의 작업 자유도 증대, 작업 효율 증대 및 작업 환경 개선을 도모할 수 있고, 직관 덕트를 이용함으로써 흡입 이송 효율을 증대시키며, 설비 유지 보수 비용을 현저히 절감할 수 있는 무빙 덕트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집진 설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동가능하게 설비된 작업 기계로부터의 흡입된 분진을 집진 장치로 가이드하도록 연결되는 덕트 장치로서, 복수의 직관 덕트를 포함하며, 상기 작업 기계의 이동에 따라 서로 직교하는 방향을 회전 중심축으로 하여 상기 직관 덕트 간을 연통시키면서 연결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빙 덕트 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무빙 덕트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집진 설비{MOVING DUCT APPARATUS AND DUST COLLECTING EQUIPMENT}
본 발명은 무빙 덕트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집진 설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분진 및 오염 가스를 발생시키는 이동식 작업 대상의 이동에 연동하여 전후좌우 및 상하의 3방향 운동하면서 분진 및 오염가스를 흡입 배출시킬 수 있어 작업 효율 증대와 작업 환경 개선을 도모할 수 있고, 직관 덕트를 이용함으로써 흡입 이송 효율을 증대시키며, 설비 유지 보수 비용을 현저히 절감할 수 있는 무빙 덕트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집진 설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분진을 발생시키는 각종 작업기계에는 작업기계로부터 방출되는 분진을 포집하는 흡입 덕트와, 이 흡입 덕트의 출구와 연결되어 흡입 덕트를 통해 이송되는 분진들을 걸러내는 집진기 본체로 이루어진 집진장치가 필수적으로 구비된다.
예를 들면, 길이가 긴 작업 대상을 건식 절단 및 연마를 행하는 설비의 경우, 작업부위에서 다량의 분진이 발생하므로, 이를 포집하여 배출하는 집진 시설이 필수적이다.
그러나 이와 같이 길이가 긴 작업 대상에 대해 집진 시설을 설치하여야 하는 경우, 작업 대상 전체를 덮는 규모의 집진 후드를 설치하는 것은 그 시설 비용이나 운전 비용이 막대하게 소요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작업 부위에만 집진 후드를 설치한 후 자바라 구조의 플렉시블 덕트(Flexible duct)를 이용하여 분진과 오염가스를 배출하는 장치가 사용되기도 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의 경우 플렉시블 덕트(Flexible duct)의 내구성이 비교적 약하여 파손에 의한 누기 등이 발생할 위험이 큰 것은 물론, 플렉시블 덕트(Flexible duct)가 이동할 수 있는 범위에 한계가 있기에 어느 정도 길이 이상의 작업 대상에 대해서는 사용이 불가능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주름판 형태(벨로우즈 타입)의 플렉시블 덕트는 절단이나 연마 시 발생하는 분진과 함께 입자가 부딪쳐 덕트가 쉽게 파손되어 수명이 짧고, 이에 따라 유지 보수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종래 다른 실시 형태로서, 일정구간을 이동하면서 작업을 수행하는 이동식 작업기계로부터 방출되는 분진을 포집하기 위해서 상기와는 다른 집진장치가 제안되어 있다.
도 1은 종래의 이동식 집진덕트의 사용 상태도로서, 종래의 이동식 집진장치는 집진기 본체(1)와, 상기 집진기 본체(1)와 연결된 자바라식 흡입 덕트(2)로 구성되어 자바라식 흡입 덕트(2)가 이동식 작업기계(A)를 따라 일정구간 이동하면서 이동식 작업기계(A)로부터 방출되는 분진을 원활하게 포집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이동식 집진장치는 집진기 본체(1)는 일정위치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작업기계의 이동구간에 맞추어 흡입 덕트(2)의 길이도 함께 연장되어야 한다. 따라서, 작업기계의 이동구간이 길어질수록 흡입 덕트(2)의 길이와 무게가 과다해지고 이에 따라 흡입 덕트(2)의 내구성이 크게 취약해질 뿐만 아니라, 흡입 덕트(2)가 아래로 처지면서 대차와 같은 주변장치와의 간섭으로 인해 조업중 사고를 유발시킬 위험이 높아진다.
최근에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수봉식 이동집진 덕트가 개발되었다.
도 2는 종래의 수봉식 이동집진 덕트의 사용상태 사시도이고, 도 3은 종래의 수봉식 이동집진 덕트의 사용상태 단면도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봉식 이동집진 덕트는 이동식 작업기계(A)를 따라 일정구간을 이동하면서 이동식 작업기계(A)로부터 방출되는 분진들을 포집하는 이동흡입 덕트(10)와, 상기 이동흡입 덕트(10)의 하단에 형성된 "U"자형 덕트(20)와, 상기 이동흡입 덕트(10)의 이동경로를 따라 설치되며 그 내부에 상기 "U"자형 덕트(20)의 단부(21)가 수면위로 노출되도록 유체가 담기는 침지부(31)와 수면위로 노출된 상기 "U"자형 덕트(20)의 단부(21)를 외부와 차단시키는 수봉부(32)가 구비된 수봉덕트(30)로 구성된다.
상기 수봉덕트(30)는 집진기 본체(40)와 연결된다. 그리고 이동흡입 덕트(10)를 통해 포집되는 분진들은 "U"자형 덕트(20)를 통해 수봉덕트(30)의 수봉부(32)로 배출되며, 이 과정에서 무거운 분진들은 침지부(31)에 담겨진 유체와 접촉되면서 포집되고, 유체와 접촉하지 않는 가벼운 분진들은 집진기 본체(40) 측으로 흡입되어 처리된다.
따라서, 수봉식 이동집진 덕트를 이용하여 집진장치를 구성하게 되면, 작업기계(A)의 이동구간과는 상관없이 항상 동일한 소규모의 흡입 덕트를 이용하여 간단한 구조로 제작이 가능해지므로 종래 이동구간이 길어짐에 따라 흡입 덕트가 길어지면서 발생되는 문제들을 일거에 해결할 수 있으나, 이러한 방식은 건식 절단 및 연마 등을 위한 설비에 적용하는데 어려움이 따를 뿐만 아니라, 침지부(310)와 수봉덕트(30)가 이동식 작업 기계(A)의 전장에 따라 설비되어야 하는 등 전체 장치가 복잡해지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0944457(2010.03.03. 공고)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1781115(2017.09.22. 공고)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1003335(2012.01.11. 공고)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20-0236671(2001.10.10. 공고)
따라서,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분진 및 오염 가스를 발생키는 이동식 작업 대상의 이동에 연동하여 전후좌우 및 상하의 3방향 운동하면서 분진 및 오염가스를 흡입 배출시킬 수 있어 작업 효율 증대와 작업 환경 개선을 도모할 수 있는 무빙 덕트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집진 설비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분진 등의 이송 가이드를 위한 덕트로서 직관 덕트를 이용함으로써 기존 벨로우즈형 덕트에 비하여 흡입 이송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으며, 설비 유지 및 보수 비용을 현저히 절감할 수 있도록 하여 경제성을 확보할 수 있는 무빙 덕트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집진 설비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들 및 다른 특징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1 관점에 따르면, 이동가능하게 설비된 작업 기계로부터의 흡입된 분진을 집진 장치로 가이드하도록 연결되는 덕트 장치로서, 복수의 직관 덕트를 포함하며, 상기 작업 기계의 이동에 따라 서로 직교하는 방향을 회전 중심축으로 하여 상기 직관 덕트 간을 연통시키면서 연결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빙 덕트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2 관점에 따르면, 이동가능하게 설비된 작업 기계로부터의 흡입된 분진을 집진 장치로 가이드하도록 연결되며, 일단부가 상기 작업 기계와 함께 이동하는 무빙 덕트 장치로서, 일단부는 작업 기계로부터의 분진을 흡입하도록 연결되고, 타단부는 집진 장치에 연통되게 연결되도록 복수의 직관 덕트와 곡관 덕트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덕트; 상기 덕트에 연결되며, 작업 기계의 이동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을 회전 중심축으로 하여 회전가능하게 구성되는 하나 이상의 제1 연통 관절부; 및 상기 덕트에 연결되며, 작업 기계의 이동방향과 동일한 방향을 회전 중심축으로 하여 회전가능하게 구성되는 하나 이상의 제2 연통 관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빙 덕트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3 관점에 따르면, 이동가능하게 설비된 작업 기계로부터의 흡입된 분진을 집진 장치로 가이드하도록 연결되며, 일단부가 상기 작업 기계와 함께 이동하는 무빙 덕트 장치로서, 일단부가 상기 작업기계에 연통 결합되며, 수직방향을 회전 중심축으로 하여 회전가능하게 구성되는 제1 덕트형 회전 연결 수단; 일단부가 상기 제1 덕트형 회전 연결 수단의 타단부에 결합되며, 수평방향을 회전 중심축으로 하여 회전가능하게 구성되는 제2 덕트형 회전 연결 수단; 일단부가 상기 제2 덕트형 회전 연결 수단의 타단부에 결합되는 제1 직관 덕트; 일단부가 상기 제1 직관 덕트의 타단부에 결합되며, 수평방향을 회전 중심축으로 하여 회전가능하게 구성되는 제3 덕트형 회전 연결 수단; 일단부가 상기 제3 덕트형 회전 연결 수단의 타단부에 결합되는 제2 직관 덕트; 일단부가 상기 제2 직관 덕트의 타단부에 결합되며, 수평방향을 회전 중심축으로 하여 회전가능하게 구성되는 제4 덕트형 회전 연결 수단; 일단부가 상기 제4 덕트형 회전 연결 수단의 타단부에 결합되고, 타단부가 집진 장치에 연통되는 연결 덕트에 결합되며, 수직방향을 회전 중심축으로 하여 회전가능하게 구성되는 제5 덕트형 회전 연결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빙 덕트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3 관점에 있어서, 상기 제1 덕트형 회전 연결 수단 및 제5 덕트형 회전 연결 수단은, 베어링 하우징; 상기 베어링 하우징에 구비되는 하나 이상의 베어링 부재; 일측 단부가 상기 베어링 부재에 지지되고 타측 단부는 외부로 노출되며, 그 타측 단부의 단면에 결합 플랜지가 형성되는 연결 덕트; 및 상기 베어링 하우징의 타측 개구부를 커버하는 베어링 커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 관점에 있어서, 상기 베어링 하우징은 내측 일단부에 형성되는 소경부, 및 상기 소경부보다 상대적으로 큰 직경을 갖고 형성되는 대경부를 갖도록 단차지게 형성되고, 상기 베어링 하우징은 일단부가 상기 베어링 부재의 내륜 직경과 동일한 직경의 개구를 갖고 형성되며, 타단부가 상기 베어링 부재의 외륜 직경과 동일한 직경의 개구를 갖고 형성되며, 상기 베어링 부재는 상기 소경부에 구비되는 제1 베어링 부재, 및 상기 대경부에 구비되는 제2 베어링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 관점에 있어서, 상기 제2 덕트형 회전 연결 수단 및 제4 덕트형 회전 연결 수단은, 상기 베어링 부재가 탈락방지되는 일측 개구를 갖고 형성되는 양측 개구의 베어링 하우징; 상기 베어링 하우징의 내부에 구비되는 베어링 부재; 상기 베어링 하우징의 타측 개구를 커버하는 베어링 커버; 중간부가 상기 베어링 부재에 지지되고, 양단부가 베어링 하우징의 외측으로 연장되며, 일단에 결합 플랜지가 형성되는 직관형 연결 덕트; 상기 직관형 연결 덕트의 일단부에 결합되며, 양단부에 결합 플랜지가 형성되는 제1 곡관형 연결 덕트; 및 양단부에 결합 플랜지부가 형성되는 곡관 형태로 형성되어 양단부 각각이 상기 베어링 커버와 제1 직관 덕트에 결합되는 제2 곡관형 연결 덕트;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 관점에 있어서, 상기 제1 직관 덕트와 제2 직관 덕트는 양단부에 각각 결합 플랜지가 형성되는 직관 덕트로 구성되며, 상기 제3 덕트형 회전 연결 수단은, 일단에 결합 플랜지가 형성된 하우징 덕트와, 상기 하우징 덕트의 외연 일측에 구비되는 오일레스 부쉬와, 상기 오일레스 부쉬와 이웃하여 상기 하우징 덕트의 외연에 구비되는 지지링과, 일단에 결합 플랜지가 형성되며 상기 오일레스 부쉬와 지지링을 커버하는 커버 덕트와, 단부에 결합 플랜지를 갖는 곡관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 덕트의 일단부에 결합되는 제1 곡관형 연결 덕트, 및 단부에 결합 플랜지가 형성되어 상기 커버 덕트에 결합되는 제2 곡관형 연결 덕트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4 관점에 따르면, 상기한 관점들에 따른 빙 덕트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진 설비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무빙 덕트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집진 설비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첫째, 본 발명은 전후좌우 및 상하의 3방향 운동할 수 있어 이동식 작업 장치의 작업 자유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본 발명은 분진 등의 이송을 가이드하는 덕트를 직관 덕트로 구성함으로써 기존 벨로우즈형 덕트에 비하여 흡입 이송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셋째, 본 발명은 기존 벨로우즈형 덕트에 비하여 설비 유지 및 보수 비용을 현저히 절감할 수 있어 경제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넷째, 본 발명은 분진 및 오염 가스가 발생하는 작업 대상에 대하여 이동하면서 분진 및/또는 오염가스를 흡입하여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어 분진 및 오염가스를 확실하게 배출할 수 있어 작업 환경 개선과 작업 효율 증대를 도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이동식 집진덕트의 사용 상태도이다.
도 2는 종래의 수봉식 이동집진 덕트의 사용상태 사시도이다.
도 3은 종래의 수봉식 이동집진 덕트의 사용상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무빙 덕트 장치가 설비된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무빙 덕트 장치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무빙 덕트 장치를 구성하는 제1 덕트형 회전 연결 수단 및 제4 덕트형 회전 연결 수단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무빙 덕트 장치를 구성하는 제2 덕트형 회전 연결 수단 및 제5 덕트형 회전 연결 수단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무빙 덕트 장치를 구성하는 제3 덕트형 회전 연결 수단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무빙 덕트 장치를 구성하는 제3 덕트형 회전 연결 수단의 일부 구성을 분리하여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목적들, 특징들 및 장점들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도면으로부터 보다 명료하게 이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도모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바, 아래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예시들은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는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유닛",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단계가 다른 단계와 "상에"또는 "전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단계가 다른 단계와 직접적 시계열적인 관계에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각 단계 후의 혼합하는 단계와 같이 두 단계의 순서에 시계열적 순서가 바뀔 수 있는 간접적 시계열적 관계에 있는 경우와 동일한 권리를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무빙 덕트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집진 설비에 대하여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무빙 덕트 장치에 대하여 도 4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무빙 덕트 장치가 설비된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무빙 덕트 장치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무빙 덕트 장치를 구성하는 제1 덕트형 회전 연결 수단 및 제4 덕트형 회전 연결 수단을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무빙 덕트 장치를 구성하는 제2 덕트형 회전 연결 수단 및 제5 덕트형 회전 연결 수단을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무빙 덕트 장치를 구성하는 제3 덕트형 회전 연결 수단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무빙 덕트 장치를 구성하는 제3 덕트형 회전 연결 수단의 일부 구성을 분리하여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무빙 덕트 장치는, 이동가능하게 설비된 작업 기계로부터의 흡입된 분진을 집진 장치로 가이드하도록 연결되되, 복수의 직관 덕트를 포함하며 상기 작업 기계의 이동에 따라 서로 직교하는 방향을 회전 중심축으로 하여 상기 직관 덕트 간을 연통시키면서 연결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시 말해서, 본 발명에 따른 무빙 덕트 장치는, 이동가능하게 설비된 작업 기계로부터의 흡입된 분진을 집진 장치로 가이드하도록 연결되며, 일단부가 상기 작업 기계와 함께 이동하는 무빙 덕트 장치로서, 일단부는 작업 기계로부터의 분진을 흡입하도록 연결되고, 타단부는 집진 장치에 연통되게 연결되도록 복수의 직관 덕트와 곡관 덕트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덕트; 상기 덕트에 연결되며, 작업 기계의 이동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을 회전 중심축으로 하여 회전가능하게 구성되는 하나 이상의 제1 연통 관절부, 및 상기 덕트에 연결되며, 작업 기계의 이동방향과 동일한 방향을 회전 중심축으로 하여 회전가능하게 구성되는 하나 이상의 제2 연통 관절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무빙 덕트 장치는 도 4 내지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작업 기계에서 발생하는 분진이 흡입되게 연통 연결되는 작업기계 연통 덕트(100); 일단부가 상기 작업기계 연통 덕트(100)에 결합되며, 수직방향(즉, 작업기계의 이동방향으로의 평면에 직교하는 방향)을 회전 중심축으로 하여 회전가능하게 구성되는 제1 덕트형 회전 연결 수단(200); 일단부가 상기 제1 덕트형 회전 연결 수단(200)의 타단부에 결합되며, 수평방향(즉, 작업기계의 이동방향으로의 방향)을 회전 중심축으로 하여 회전가능하게 구성되는 제2 덕트형 회전 연결 수단(300); 일단부가 상기 제2 덕트형 회전 연결 수단(300)의 타단부에 결합되는 제1 직관 덕트(410); 일단부가 상기 제1 직관 덕트(410)의 타단부에 결합되며, 수평방향(즉, 작업기계의 이동방향으로의 방향)을 회전 중심축으로 하여 회전가능하게 구성되는 제3 덕트형 회전 연결 수단(500); 일단부가 상기 제3 덕트형 회전 연결 수단(500)의 타단부에 결합되는 제2 직관 덕트(420); 일단부가 상기 제2 직관 덕트(420)의 타단부에 결합되며, 수평방향(즉, 작업기계의 이동방향으로의 방향)을 회전 중심축으로 하여 회전가능하게 구성되는 제4 덕트형 회전 연결 수단(600); 일단부가 상기 제4 덕트형 회전 연결 수단(500)의 타단부에 결합되고, 타단부가 집진 장치에 연통되는 연결 덕트에 결합되며, 수직방향(즉, 작업기계의 이동방향으로의 평면에 직교하는 방향)을 회전 중심축으로 하여 회전가능하게 구성되는 제5 덕트형 회전 연결 수단(70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작업기계 연통 덕트(100)는 상기 각 구성요소의 연통 구조를 통해 집진 장치로부터의 흡입력에 의해 작업기계에서 발생하는 분진 등을 흡입할 수 있게 연통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작업기계 연통 덕트(100)는 아래에서 설명될 제1 덕트형 회전 연결 수단(200)의 일단부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상기 작업기계 연통 덕트(100)는 제1 덕트형 회전 연결 수단(200)의 일부분(일단부)을 형성하도록 이루어질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작업기계 연통 덕트(110)는 생략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제1 덕트형 회전 연결 수단(200)의 일단부가 작업기계에 형성된 분진 토출구에 결합되게 구성된다.
다음으로, 상기 제1 덕트형 회전 연결 수단(200)은,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일단부가 상기 작업기계 연통 덕트(100)에 결합되거나 그 작업기계에 형성된 토출구에 결합되는 양측 개구의 베어링 하우징(210)과, 상기 베어링 하우징(210) 내측에 구비되는 하나 이상의 베어링 부재(221, 222)와, 일측 단부가 상기 베어링 부재(221)에 지지되고 타측 단부는 외부로 노출되며, 그 타측 단부의 단면에 결합 플랜지(231)가 형성되는 연결 덕트(230), 및 상기 베어링 하우징(210)의 타측 개구부를 커버하는 베어링 커버(240)를 포함한다.
상기 베어링 하우징(210)의 양측 개구부에 있어서 제2 덕트형 회전 연결 수단(300)에 연결되는 단부 측의 개구는 베어링 부재가 탈락방지되게, 즉 제2 베어링 부재(222)의 내륜 직경과 동일한 직경의 개구를 가지며, 작업기계 측에 연결되는 단부 측의 개구는 베어링 부재를 장착시키도록, 즉 제1 베어링 부재(221)의 외륜 직경과 동일한 직경의 개구를 갖고 형성되게 된다.
또한, 상기 베어링 하우징(210)은 내부가 단차지게 형성되어 외경이 다른 두 개의 공동부가 형성되며, 이에 따라 그에 구비되는 베어링 부재 또한 두 개의 베어링 부재가 장착되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베어링 하우징(210)은 작업기계 측에 결합되는 측의 단부 내측에 형성되는 소경부, 및 상기 소경부보다 상대적으로 큰 직경을 갖고 형성되는 대경부를 갖도록 단차지게 형성되는 내부 구조를 갖는다.
또한, 상기 베어링 하우징(210)에는 그 내부에 구비되는 베어링 부재(221, 222)에 윤활제를 공급하기 위한 그리스 니플(grease nipple)이 형성된다.
상기 베어링 부재(221, 222)는 상기 소경부에 구비되는 제1 베어링 부재(221), 및 상기 대경부에 구비되며, 상기 연결 덕트(230)의 외면이 내륜에 구비되는 제2 베어링 부재(222)를 포함한다. 도면부호 223은 제1 베어링 부재(221)의 내륜 측과 연결 덕트(230) 간을 결합되는 렌치 볼트이다.
상기 연결 덕트(230)의 결합 플랜지(231)는 후술하는 제2 덕트형 연결수단(300)의 곡관형 연결 덕트의 결합 플랜지에 결합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베어링 커버(240)는 상기 베어링 하우징(210)의 타측 개구부를 커버하면서 결합되어 그 내부에 구비된 베어링 부재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제2 덕트형 회전 연결 수단(300)은,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기 베어링 부재(320)가 탈락방지되는 일측 개구를 포함하는 양측 개구의 베어링 하우징(310)과, 상기 베어링 하우징(310)의 내부에 구비되는 베어링 부재(320)와, 상기 베어링 하우징(310)의 타측(즉, 제1 직관 덕트(410)에 연결되는 측의 개구부)을 커버하는 베어링 커버(330)와, 상기 베어링 부재(320)에 접촉 지지되고, 양단부가 베어링 하우징(310)의 외측으로 연장되며, 일단에 결합 플랜지(341)가 형성되는 직관형 연결 덕트(340)와, 상기 직관형 연결 덕트(340)의 일단부에 결합되는 제1 곡관형 연결 덕트(350), 및 일단부가 상기 베어링 커버(330)에 결합되며 타단부에 상기 제1 직관 덕트(410)에 결합되는 제2 곡관형 연결 덕트(360)를 포함한다.
상기 제1 곡관형 연결 덕트(350) 및 제2 곡관형 연결 덕트(360) 각각의 양단에는 결합 플랜지(351, 361)가 구성된다.
다음으로, 상기 제1 직관 덕트(410)와 제2 직관 덕트(420)는 각각 직관 덕트로 구성되며, 양단에 각각 결합 플랜지가 구성된다.
다음으로, 상기 제1 직관 덕트(410)와 제2 직관 덕트(420)를 연결하는 제3 덕트형 회전 연결 수단(500)은, 도 8 및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일단에 결합 플랜지(511)가 형성된 하우징 덕트(510)와, 상기 하우징 덕트(510)의 외연 일측에 구비되는 오일레스 부쉬(oiless bush)(520)와, 상기 오일레스 부쉬(520)와 이웃하여 상기 하우징 덕트(510)의 외연에 구비되는 지지링(530)과, 일단에 결합 플랜지(541)가 형성되며, 상기 오일레스 부쉬(520)와 지지링(530)을 커버하는 커버 덕트(540)와, 상기 하우징 덕트(510)의 일단부에 결합되는 제1 곡관형 연결 덕트(550), 및 일단부가 상기 커버 덕트(540)에 결합되는 제2 곡관형 연결 덕트(56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곡관형 연결 덕트(550) 및 제2 곡관형 연결 덕트(560) 각각의 양단에는 결합 플랜지(551, 561)가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제3 덕트형 회전 연결 수단(500)은 제1 직관 덕트(410)와 제2 직관 덕트(420) 간을 연결하며, 이러한 제3 덕트형 회전 연결 수단(500)은 작업기계의 선형 이동에 따라, 제1 덕트형 회전 연결 수단(200)의 회전(수평방향으로 직교하는 방향의 회전 중심축을 중심으로 하는 회전) 및 제2 덕트형 회전 연결 수단(300)의 회전(수평방향의 회전 중심축을 중임으로 하는 회전)과 연동하여, 제1 직관 덕트(410)와 제2 직관 덕트(420) 간이 수평방향의 회전 중심축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할 수 있도록 연결하게 된다.
한편, 상기 제4 덕트형 회전 연결 수단(600)은 상기한 제2 덕트형 회전 연결 수단(400)의 구성과 동일하며, 상기 제5 덕트형 회전 연결 수단(700)은 집진 장치에 연통되는 연결 덕트에 결합되는 것 이외에 상기한 제1 덕트형 회전 연결 수단(200)의 구성과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무빙 덕트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집진 설비에 따르면, 전후좌우 및 상하의 3방향 운동할 수 있어 이동식 작업 장치의 작업 자유도를 향상시킬 수 있고, 작업 환경 개선과 작업 효율 증대를 도모할 수 있으며, 분진의 이송을 가이드하는 덕트를 직관 덕트로 구성함으로써 기존 벨로우즈형 덕트에 비하여 흡입 이송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고, 기존 벨로우즈형 덕트에 비하여 설비 유지 및 보수 비용을 현저히 절감할 수 있어 경제성을 확보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실시 예들은 비록 한정된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를 기초로 다양한 기술적 수정 및 변형을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와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기술적 사상의 일부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것에 불과하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므로,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님은 자명하다. 본 발명의 명세서 및 도면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변형 예와 구체적인 실시 예는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작업기계 연통 덕트
200: 제1 덕트형 회전 연결 수단
210, 310: 베어링 하우징
221: 제1 베어링 부재
222: 제2 베어링 부재
223: 렌치 볼트
230: 연결 덕트
231, 341, 351, 361, 511, 541: 결합 플랜지
240, 330: 베어링 커버
300: 제2 덕트형 회전 연결 수단
320: 베어링 부재
340: 직관형 연결 덕트
350, 550: 제1 곡관형 연결 덕트
360, 560: 제2 곡관형 연결 덕트
410: 제1 직관 덕트
420: 제2 직관 덕트
500: 제3 덕트형 회전 연결 수단
510: 하우징 덕트
520: 오일레스 부쉬(oiless bush)
530: 지지링
540: 커버 덕트
600: 제4 덕트형 회전 연결 수단
700: 제5 덕트형 회전 연결 수단

Claims (8)

  1. 삭제
  2. 삭제
  3. 이동가능하게 설비된 작업 기계로부터의 흡입된 분진을 집진 장치로 가이드하도록 연결되며, 일단부가 상기 작업 기계와 함께 이동하는 무빙 덕트 장치로서,
    일단부가 상기 작업기계에 연통 결합되며, 수직방향을 회전 중심축으로 하여 회전가능하게 구성되는 제1 덕트형 회전 연결 수단;
    일단부가 상기 제1 덕트형 회전 연결 수단의 타단부에 결합되며, 수평방향을 회전 중심축으로 하여 회전가능하게 구성되는 제2 덕트형 회전 연결 수단;
    일단부가 상기 제2 덕트형 회전 연결 수단의 타단부에 결합되는 제1 직관 덕트;
    일단부가 상기 제1 직관 덕트의 타단부에 결합되며, 수평방향을 회전 중심축으로 하여 회전가능하게 구성되는 제3 덕트형 회전 연결 수단;
    일단부가 상기 제3 덕트형 회전 연결 수단의 타단부에 결합되는 제2 직관 덕트;
    일단부가 상기 제2 직관 덕트의 타단부에 결합되며, 수평방향을 회전 중심축으로 하여 회전가능하게 구성되는 제4 덕트형 회전 연결 수단;
    일단부가 상기 제4 덕트형 회전 연결 수단의 타단부에 결합되고, 타단부가 집진 장치에 연통되는 연결 덕트에 결합되며, 수직방향을 회전 중심축으로 하여 회전가능하게 구성되는 제5 덕트형 회전 연결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빙 덕트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덕트형 회전 연결 수단 및 제5 덕트형 회전 연결 수단은,
    베어링 하우징;
    상기 베어링 하우징에 구비되는 하나 이상의 베어링 부재;
    일측 단부가 상기 베어링 부재에 지지되고 타측 단부는 외부로 노출되며, 그 타측 단부의 단면에 결합 플랜지가 형성되는 연결 덕트; 및
    상기 베어링 하우징의 타측 개구부를 커버하는 베어링 커버;를 포함하는
    무빙 덕트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베어링 하우징은 내측 일단부에 형성되는 소경부, 및 상기 소경부보다 상대적으로 큰 직경을 갖고 형성되는 대경부를 갖도록 단차지게 형성되고,
    상기 베어링 하우징은 일단부가 상기 베어링 부재의 내륜 직경과 동일한 직경의 개구를 갖고 형성되며, 타단부가 상기 베어링 부재의 외륜 직경과 동일한 직경의 개구를 갖고 형성되며,
    상기 베어링 부재는 상기 소경부에 구비되는 제1 베어링 부재, 및 상기 대경부에 구비되는 제2 베어링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빙 덕트 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덕트형 회전 연결 수단 및 제4 덕트형 회전 연결 수단은,
    상기 베어링 부재가 탈락방지되는 일측 개구를 갖고 형성되는 양측 개구의 베어링 하우징;
    상기 베어링 하우징의 내부에 구비되는 베어링 부재;
    상기 베어링 하우징의 타측 개구를 커버하는 베어링 커버;
    중간부가 상기 베어링 부재에 지지되고, 양단부가 베어링 하우징의 외측으로 연장되며, 일단에 결합 플랜지가 형성되는 직관형 연결 덕트;
    상기 직관형 연결 덕트의 일단부에 결합되며, 양단부에 결합 플랜지가 형성되는 제1 곡관형 연결 덕트; 및
    양단부에 결합 플랜지부가 형성되는 곡관 형태로 형성되어 양단부 각각이 상기 베어링 커버와 제1 직관 덕트에 결합되는 제2 곡관형 연결 덕트;를 포함하는
    무빙 덕트 장치.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직관 덕트와 제2 직관 덕트는 양단부에 각각 결합 플랜지가 형성되는 직관 덕트로 구성되며,
    상기 제3 덕트형 회전 연결 수단은, 일단에 결합 플랜지가 형성된 하우징 덕트와, 상기 하우징 덕트의 외연 일측에 구비되는 오일레스 부쉬와, 상기 오일레스 부쉬와 이웃하여 상기 하우징 덕트의 외연에 구비되는 지지링과, 일단에 결합 플랜지가 형성되며 상기 오일레스 부쉬와 지지링을 커버하는 커버 덕트와, 단부에 결합 플랜지를 갖는 곡관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 덕트의 일단부에 결합되는 제1 곡관형 연결 덕트, 및 단부에 결합 플랜지가 형성되어 상기 커버 덕트에 결합되는 제2 곡관형 연결 덕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빙 덕트 장치.
  8. 청구항 3 내지 청구항 7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무빙 덕트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진 설비.
KR1020190143579A 2019-11-11 2019-11-11 무빙 덕트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집진 설비 KR1021481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3579A KR102148105B1 (ko) 2019-11-11 2019-11-11 무빙 덕트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집진 설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3579A KR102148105B1 (ko) 2019-11-11 2019-11-11 무빙 덕트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집진 설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48105B1 true KR102148105B1 (ko) 2020-08-25

Family

ID=722421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43579A KR102148105B1 (ko) 2019-11-11 2019-11-11 무빙 덕트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집진 설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4810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8205926A (zh) * 2024-05-21 2024-06-18 济南众诚液压机械有限公司 一种后翻式货车卸货除尘装置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6671Y1 (ko) 2001-03-27 2001-10-10 김회승 슬라이딩 흡입덕트
KR100315541B1 (ko) * 1999-06-16 2001-11-30 지규배 작업장으로부터 발생되는 유해가스를 이송하기 위한 관
KR200292936Y1 (ko) * 2002-07-22 2002-10-25 주식회사씨애치씨랩 실험실용 다관절식 후드 시스템
KR200443107Y1 (ko) * 2007-06-11 2009-01-13 조규섭 분진제거용 암후드 덕트.
KR100944457B1 (ko) 2009-05-27 2010-03-03 (주)세우엔지니어링 슬라이딩 덕트와 이동식 후드를 구비하는 집진기
KR101003335B1 (ko) 2005-10-12 2010-12-23 가부시키가이샤 어드밴티스트 시험 장치, 핀 일렉트로닉스 카드, 전기 기기, 및 스위치
KR101147188B1 (ko) * 2010-02-26 2012-05-25 한정호 회전형 이중 관절 덕트를 이용한 국소배기장치
KR101781115B1 (ko) 2015-12-22 2017-09-22 풍전금속공업(주) 이동 후드식 집진장치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15541B1 (ko) * 1999-06-16 2001-11-30 지규배 작업장으로부터 발생되는 유해가스를 이송하기 위한 관
KR200236671Y1 (ko) 2001-03-27 2001-10-10 김회승 슬라이딩 흡입덕트
KR200292936Y1 (ko) * 2002-07-22 2002-10-25 주식회사씨애치씨랩 실험실용 다관절식 후드 시스템
KR101003335B1 (ko) 2005-10-12 2010-12-23 가부시키가이샤 어드밴티스트 시험 장치, 핀 일렉트로닉스 카드, 전기 기기, 및 스위치
KR200443107Y1 (ko) * 2007-06-11 2009-01-13 조규섭 분진제거용 암후드 덕트.
KR100944457B1 (ko) 2009-05-27 2010-03-03 (주)세우엔지니어링 슬라이딩 덕트와 이동식 후드를 구비하는 집진기
KR101147188B1 (ko) * 2010-02-26 2012-05-25 한정호 회전형 이중 관절 덕트를 이용한 국소배기장치
KR101781115B1 (ko) 2015-12-22 2017-09-22 풍전금속공업(주) 이동 후드식 집진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8205926A (zh) * 2024-05-21 2024-06-18 济南众诚液压机械有限公司 一种后翻式货车卸货除尘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480378B2 (ja) 加圧フラックス供給溶接トーチを有するサブマージアーク溶接システム、およびフラックスマフラ
KR102148105B1 (ko) 무빙 덕트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집진 설비
US11548164B2 (en) Coating robot
CN102843944B (zh) 地板面抽吸装置以及使用该地板面抽吸装置的电动清洁器
CN110202611B (zh) 机器人
JP5943665B2 (ja) 除塵ロボット及び除塵ロボットシステム
EP1464456B1 (en) Robot comprising a robot arm and a line laying arrangement for guiding a line element
CN107848123B (zh) 具有能量管线束的机器人
CN115254816A (zh) 电力管道清淤机器人
KR101147188B1 (ko) 회전형 이중 관절 덕트를 이용한 국소배기장치
WO2021249391A1 (zh) 清洁设备
CN112792898A (zh) 用于电路板加工设备的吸尘装置
KR101482381B1 (ko) 노즐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구조물 내부 기동형 로봇
JP2006000757A (ja) ダクト清掃ロボット及びそのダクト清掃方法
JP4231908B2 (ja) 塵等含有空間の清浄化システム及び塵等含有空間の清浄化方法
JP4331976B2 (ja) スライド装置
CN215149201U (zh) 一种玻璃上下料机械手夹具
CN217121155U (zh) 通风管道内壁除尘机器人
CN219835557U (zh) 自移动设备及降噪结构
CN217094787U (zh) 激光清洗设备
JP3004893B2 (ja) 回転型熱交換器
CN216040917U (zh) 一种清洗车
KR101536243B1 (ko) 산업용 암타입 환기장치
KR102095693B1 (ko) 청소기용 유체 흡입장치
CN212743999U (zh) 双风道除尘掘进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