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81115B1 - 이동 후드식 집진장치 - Google Patents

이동 후드식 집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81115B1
KR101781115B1 KR1020150183837A KR20150183837A KR101781115B1 KR 101781115 B1 KR101781115 B1 KR 101781115B1 KR 1020150183837 A KR1020150183837 A KR 1020150183837A KR 20150183837 A KR20150183837 A KR 20150183837A KR 101781115 B1 KR101781115 B1 KR 1017811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od
duct
moving member
door
collect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838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74492A (ko
Inventor
변영길
Original Assignee
풍전금속공업(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풍전금속공업(주) filed Critical 풍전금속공업(주)
Priority to KR10201501838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81115B1/ko
Publication of KR201700744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744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811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811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45/00Equipment for ca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45/00Equipment for ca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2D45/005Evacuation of fumes, dust or waste gases during manipulations in the foundr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17/00Arrangements for using waste heat; Arrangements for using, or disposing of, waste gases
    • F27D17/001Extraction of waste gases, collection of fumes and hoods used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17/00Arrangements for using waste heat; Arrangements for using, or disposing of, waste gases
    • F27D17/001Extraction of waste gases, collection of fumes and hoods used therefor
    • F27D17/002Details of the installations, e.g. fume conduits or se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asting Support Devices, Ladles, And Melt Control Thereby (AREA)

Abstract

주물작업 과정에서 발생하는 각종 오염물질을 편리하고 효율적으로 흡입, 배출할 수 있는 이동 후드식 집진장치에 관한 것이다. 집진장치는 가로방향으로 설치된 중공의 지지덕트(10); 지지덕트(10)에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후드이동부재(14); 및 후드이동부재(14)의 일측에 연장 설치되며 지지덕트(10)와 연결 가능한 집진 유로를 갖는 포집장치(20)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이동 후드식 집진장치{DUST COLLECTOR HAVING A MOVEABLE HOOD}
본 발명은 이동 후드식 집진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주물 작업시 발생하는 각종 오염물질의 흡입 및 배출이 용이하며, 필요에 따라 후드의 위치를 이동시킬 수 있으며 구조가 간단한 후드식 집진장치에 관한 것이다.
주물작업은 뜨거운 쇳물을 금속덩어리로 만든 주형틀에 주입시켜 금속 가공물을 형성하는 작업을 일컫는다.
이러한 주물작업은 금속을 용해시키는 과정, 용탕을 주형틀에 부어 넣고 주조를 하는 과정, 그리고 주조물을 빼내는 작업이 반복적으로 수행된다. 이러한 고온의 용탕을 이용한 주조과정에는 다량의 미세 먼지와 오염물질이 배출된다.
주물 작업장에서의 환경오염 방지를 위해서는 발생하는 각종 오염물질을 잘 포집하여 필터로 걸러내고, 오염물질이 제거된 깨끗한 공기만을 외부로 배출해야 한다. 그렇지 못한 경우, 환경규제 대상이 됨은 물론 작업자의 안전이나 건강을 보장할 수 없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종래에는 문헌(1)에서와 같이, 주물작업이 이루어지는 작업장에 설치하여 주물작업 과정에서 발생하는 각종 오염물질을 흡입 배출할 수 있는 장치가 제안된 바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0536527호에서와 같은 종래의 집진장치는 주형틀에 고온의 금속물을 붇는 작업 위치에만 설치하여 사용하거나, 설치가 이루어진 후에는 집진장치의 위치를 손쉽게 변경하기 어려워 주물 작업장의 오염물질을 효율적으로 제거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또한 아직까지 중소규모의 주물공장에서는 고정식의 후드를 이용한 집진장치를 이용하고 있는데, 용탕을 붓거나 주조작업을 하는 과정에 후드로 인해 작업자가 방해를 받고, 자칫 잘못하면 후드로 인해 작업자가 로(furnace) 안의 뜨거운 용탕으로 인해 상해를 받을 수 있다.
이에 따라 후드를 이동시킬 수 있는 집진장치가 제안되기도 했는데, 구조가 복잡하고 경제적이지 못하여 아직까지 현장에 적용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한국등록특허 제10-0536527호(2005.12.07)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주물작업장에 설치하여 사용하는 경우에도 지지덕트에 연결한 집진장치의 위치를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이동시키며 사용할 수 있는 이동 후드식 집진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둘째, 지지덕트와 연결되어 이동하는 포집장치가 지지덕트에 구비한 통기부와 선택된 위치에서만 공기의 흐름이 이루어지게 구성함으로써, 각종 오염물질의 흡입,배출 과정에서 오염물질이 주물 작업장 내부로 순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동 후드식 집진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셋째, 지지덕트의 배출공이 포집장치를 통한 오염물질의 흡입시에만 개방되도록 구성하여 사용을 이루지 않는 경우에는 지지덕트로 배출되는 각종 오염물질이 포집장치의 방향으로 역류하여 작업장으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동 후드식 집진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넷째, 지지덕트에 연결 설치한 포집장치의 흡입 방향을 구비한 체결부의 구성을 통하여 조절할 수 있게 함으로써, 포집장치의 급격한 유동을 방지하면서도 집진장치의 흡입 방향을 효율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이동 후드식 집진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주물작업시 발생하는 오염물질을 포집 및 배출하는 집진장치에 있어서, 내측으로 배출공을 형성하고, 외측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후드이동부재의 이송이 가능하게 형성하는 지지덕트와; 상기 배출공의 방향으로 포집한 오염물질을 전달하기 위해 상기 후드이동부재의 일측에 설치하는 포집장치; 및 상기 후드이동부재의 이송을 조절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지지덕트는 상기 후드이동부재의 길이 방향 상측에 형성하는 후드 레일과, 상기 후드이동부재의 이송 위치에 따라 개폐되는 통기부를 포함하고, 상기 포집장치는 상기 후드이동부재의 일측에 설치하는 연장덕트와, 상기 연장덕트의 하단에 설치하는 후드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통기부는 상기 지지덕트의 길이 방향에 형성하는 통기구와, 상기 통기구의 일측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하는 도어와, 상기 도어와 후드이동부재에 연결 설치하는 테더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테더는 텔레스코픽, 자바라, 와이어, 자석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구조를 이용하여 구성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연장덕트와 후드는 체결부를 통하여 연결되고, 상기 체결부는 상기 연장덕트와 후드의 연결 부위에 구비하는 고정구와, 상기 고정구의 사이에 위치되게 설치하는 베어링과, 상기 제어부의 조절에 따라 상기 베어링의 유동이 제어 가능하게 설치하는 구동모터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기구는 가이드홈을 형성한 도어 레일을 구비하여 구성하고, 상기 도어는 상기 가이드홈에 안착 결합하는 가이드돌기를 구비하여 구성할 수 있다.
더하여, 상기 제어부는 상기 후드이동부재의 이송을 조절하는 유동스위치와, 상기 구동모터의 작동을 제어하는 구동스위치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어의 일측에는 상기 테더의 길이 방향 유동을 제어하는 조절모터를 더 구비하여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주물 작업장에 설치하여 사용하는 경우에도 지지덕트에 연결한 포집장치의 위치를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이동시키며 사용할 수 있어 효율적인 오염물질 흡입과정을 이룰 수 있다.
또한, 지지덕트 자체가 후드를 지지하는 구조물로 사용되고 도어에 의해 지지덕트의 통기구가 선택적으로 개폐될 수 있으므로, 후드를 위치 이동시켜 제2의 다른 위치에서 집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구조가 간단하며 작업장 설치가 용이하며 또 1개의 후드로 2개의 후드 역할을 할 수 있으므로 매우 경제적이다.
또한, 지덕트와 연결되어 이동하는 포집장치가 지지덕트에 구비한 통기부의 구성을 통하여 선택된 위치에서만 공기의 흐름이 이루어지도록 구성함으로써, 각종 오염물질의 흡입,배출 과정에서 오염물질이 주물 작업장 내부로 순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지지덕트의 배출공이 포집장치를 통한 오염물질의 흡입시에만 개방되도록 구성하여 사용을 이루지 않는 경우에는 지지덕트를 통하여 배출되는 오염물질이 포집장치의 방향으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효율적이고 안정적인 사용을 이룰 수 있다.
또한, 지지덕트에 연결 설치한 포집장치의 흡입 방향을 구비한 체결부의 구성을 통하여 조절할 수 있게 함으로써 포집장치의 급격한 유동을 방지하면서도 집진장치의 흡입 방향을 효율적으로 조절할 수 있어 전체적인 작업효율의 향상과, 이에 따른 작업시간 절감과 작업비용 절감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인 이동 후드식 집진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인 이동 후드식 집진장치의 지지덕트와 포집장치의 연결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인 이동 후드식 집진장치의 지지덕트와 포집장치의 작용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포집장치의 체결부를 도시한 요부 발췌 확대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인 이동 후드식 집진장치의 사용상태 사시도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서 사용하는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될 것이 아니라,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불과한 것일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실시예에 따른 이동 후동식 집진장치에 대하여 살펴본다.
본 발명은, 내측으로 배출공(11)을 형성하고, 외측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후드이동부재(14)의 이동이 가능하게 형성하는 지지덕트(10)와; 상기 배출공(11)의 방향으로 포집한 오염물질을 전달하기 위해 상기 후드이동부재(14)의 일측에 설치하는 포집장치(20); 및 상기 후드이동부재(14)의 이송을 조절하는 제어부(30)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상기 지지덕트(10)는 도시한 도 1 내지 도 3에서와 같이, 상기 후드이동부재(14)가 결합되어 상기 지지덕트(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송 가능하게 구성하는 것이며, 구비한 배출공(11)의 구성을 통하여 포집이 이루어진 각종 오염물질을 지지덕트(10)의 외부로 배출할 수 있게 구성하는 것이다.
예컨대, 상기 지지덕트(10)는 본 발명에서 주물작업장의 각종 오염물질을 포집할 수 있는 포집장치(20)와 연결되어 상기 포집장치(20)를 지지할 수 있도록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지지덕트(10)를 길이 방향으로 연장하거나, 지지덕트(10)에 별도의 덕트 구조를 연결하여 상기 지지덕트(10)의 배출공(11)으로 이송되는 작업장의 각종 오염물질을 외부로 배출할 수 있게 구성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지지덕트(10)는 종래의 덕트 구조와 동일한 것이나, 본 발명에서와 같이, 상기 후드이동부재(14)가 지지덕트(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후드이동부재(14)를 지지할 수 있는 프레임의 형태로 구성하는 것이며, 상기 후드이동부재(14)가 지지덕트(10)의 길이 방향으로 편리하게 이동할 수 있게 길이 방향 상측으로는 후드 레일(12)을 구비하여 구성한다.
한편, 상기 후드이동부재(14)는 도시한 도 5에서와 같이, 상기 후드 레일(12)이 안착 결합되는 가이드홈(14a)을 더 구비하여 상기 지지덕트(10)의 길이 방향으로 후드이동부재(14)의 이송이 더욱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한다.
또한, 상기 지지덕트(10)는 도 1에서와 같이, 상기 후드이동부재(14)가 설치되는 경우에도 후드이동부재(14)의 하중에 의하여 휘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견고한 재질의 금속재로 구성한다.
또한, 상기 지지덕트(10)는 도시한 도 1 내지 도 3에서와 같이, 상기 후드이동부재(14)의 이송 위치에 따라 개폐가 이루어지는 통기부(15)를 길이 방향의 선택된 일측에 형성하여 구성한다.
예컨대, 상기 통기부(15)는 도시한 도 2 및 도 3에서와 같이, 상기 지지덕트(10)에 설치한 포집장치(20)가 지지덕트(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송되는 경우, 선택적인 개폐를 이루도록 구성하는 것이다.
이는 즉, 상기 포집장치(20)를 상기 후드이동부재(14)의 일측에 설치하되, 포집이 이루어진 각종 오염물질을 상기 배출공(11)의 방향으로 안내할 수 있도록 도시한 도 2 및 도 3에서와 같이, 상기 지지덕트(10)의 통기부(15)와 후드이동부재(14)가 이격된 상태에서는 상기 통기부(15)가 닫혀진 상태를 이루고, 상기 후드이동부재(14)가 통기부(15)의 위치로 이동되는 경우에는 상기 통기부(15)가 개방되어 통기부(15)와 집진장치가 상호 연통되게 구성하는 것이다.
이러한 구성을 이루기 위하여 상기 통기부(15)는 상기 지지덕트(10)이 길이 방향에 형성하는 통기구(15a)와, 상기 통기구(15a)의 일측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하는 도어(15b)와, 상기 도어(15b)와 후드이동부재(14)를 연결하도록 설치하는 테더(15c)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상기 통기구(15a)는 상기 지지덕트(10)의 배출공(11)과 연결되도록 지지덕트(10)의 선택된 일측면에 형성하는 것이며, 이러한 통기구(15a)의 형상과 크기는 도시한 도 2 및 도 3에서와 같이, 상기 도어(15b)의 유동에 의하여 선택적인 개폐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상기 도어(15b) 보다 작은 형상과 크기를 형성하도록 구성한다.
또한, 상기 도어(15b)는 상기 통기구(15a)의 선택적인 개폐가 가능하게 상기 통기구(15a)의 일측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이며, 상기 테더(15c)를 통하여 상기 통기구(15a)의 일측에서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성한다.
한편, 상기 도어(15b)와 통기구(15a)에는 각각 도어 레일(15a-1)를 형성한 가이드홈(15a-1a)과, 가이드돌기(15b-1)를 구비하여 구성함으로써, 상기 통기구(15a)의 일측에 결합한 도어(15b)의 결합과, 슬라이딩 이동을 더욱 용이하게 구성하는 것이다.
위와 같은 구성은 즉, 상기 후드이동부재(14)가 지지덕트(10)의 길이 방향으로 이송을 이루는 경우, 상기 후드이동부재(14)와 연결된 테더(15c)가 지지덕트(10)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와 동시에 상기 테더(15c)가 연결된 상기 도어(15b)가 이동을 이룸으로써, 상기 통기구(15a)가 외부로 노출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특히, 위와 같은 과정에서는 외부로 노출된 통기구(15a)의 일측으로 집진장치(20)가 밀착되게 결합한 상태를 이룸으로써, 상기 통기구(15a)와 집진장치(20)가 상호 공기의 흐름이 이루어질 수 있는 상태를 이루는 것이다.
또한, 상기 테더(15c)는 본 발명에서 자세히 도시하여 설명하지 않았지만 상기 후드이동부재(14)에 일측이 연결되고, 타측으로는 상기 도어(15b)를 연결 구성하여 상기 후드이동부재(14)의 이동에 따라 상기 통기구(15a)의 일측에 결합한 도어(15b)가 선택적인 이동을 이룰 수 있는 구성이라면, 텔레스코픽, 자바라, 와이어, 자석 중 선택된 어느 하나를 이용할 수 있을 것이며, 이러한 테더(15c)의 형상과 구조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하여 적용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포집장치(20)는 도시한 도 4에서와 같이, 상기 후드이동부재(14)의 일측에 설치하는 연장덕트(21)와, 상기 연장덕트(21)의 하단에 설치하는 후드(22)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상기 연장덕트(21)는 상기 후드이동부재(14)의 일측에 설치하여 후드이동부재(14)의 이송 위치와 대응하는 이동을 이루도록 구성한다.
또한, 상기 후드(22)는 상기 연장덕트(21)의 하단에 설치하여 도시한 도 5에서와 같이, 주물작업장에서 발생하는 각종 오염물질을 흡입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며, 본 발명에서는 자세히 도시하여 설명하지 않았지만 내측으로 흡입팬(미도시), 모터(미도시) 등을 구비하여 상기 후드(22)의 내측으로 작업장에서 발생한 각종 오염물질이 용이하게 흡입될 수 있도록 구성한다.
이때, 상기 연장덕트(21)와 후드(22)는 체결부(40)를 통하여 연결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체결부(40)는 도시한 도 4에서와 같이, 상기 연장덕트(21)와 후드(22)의 연결 부위에 구비하는 고정구(41)와, 상기 고정구(41)의 사이에 위치되게 설치하는 베어링(42)과, 상기 제어부(30)의 조절에 따라 상기 베어링(42)의 유동이 제어 가능하게 설치하는 구동모터(43)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이때, 상기 고정구(41)는 상기 연장덕트(21)와 후드(22)의 연결 부위에 각각 결합하여 구성하는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상기 고정구(41)가 베어링(42)을 통하여 상호 연결되도록 도시하여 설명하였지만, 상기 베어링(42)을 삭제한 후 상기 고정구(41)를 상호 연결하여 연장덕트(21)와 후드(22)가 견고하게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그러나, 바람직하게는 상기 연장덕트(21)와 후드(22)의 연결 부위에 상기 고정구(41)를 각각 연결하고, 상기 고정구(41)의 사이에 상기 베어링(42)이 설치되게 구성함으로써, 도시한 도 4 및 도 5에서와 같이, 연결된 연장덕트(21)의 하단에서 상기 후드(22)가 회전을 이룰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좋은 것이다.
또한, 상기 구동모터(43)는 도시한 도 4에서와 같이, 상기 베어링(42)의 유동제어가 가능하도록 베어링(42)과 연결 설치하며, 상기 구동모터(43)는 상기 제어부(30)의 조절에 따라 작동 가능하게 구성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30)는 도시한 도 1 내지 도 3에서와 같이, 상기 후드이동부재(14)에 전기적으로 연결 구성하는 것으로, 상기 후드이동부재(14)의 이송을 조절하는 유동스위치(31)와, 상기 구동모터(43)의 작동을 제어하는 구동스위치(32)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또한, 본 발명은 자세히 도시하여 않았지만, 상기 도어(15b)의 일측으로 상기 제어부(30)와 연결되는 조절모터(15d)를 더 구비하여 상기 도어(15b)의 개폐가 상기 조절모터(15d)의 작동에 의하여 이루어지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는, 상술한 테더(15c)가 손상되는 경우에도 상기 도어(15b)의 선택적인 개폐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하여 도시한 도 5에서와 같이, 상기 통기부(15)의 통기구(15a) 일측으로 포집장치(20)의 연장덕트(21)를 밀착시켜 주물작업 장 내부의 각종 오염물질 제거를 이룰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요지 또는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경될 수 있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 지지덕트 11: 배출공
12: 후드 레일 14: 후드이동부재
15: 통기부 15a: 통기구
15a-1: 도어 레일 15a-1a: 가이드홈
15b: 도어 15b-1: 가이드돌기
15c: 테더 15d: 조절모터
20: 포집장치 21: 연장덕트
22: 후드 30: 제어부
31: 유동스위치 32: 구동스위치
40: 체결부 41: 고정구
42: 베어링 43: 구동모터

Claims (8)

  1. 가로방향으로 설치된 중공의 지지덕트(10);
    지지덕트(10)에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후드이동부재(14);
    후드이동부재(14)의 일측에 연장 설치되며 지지덕트(10)와 연결 가능한 집진 유로를 갖는 포집장치(20); 및
    후드이동부재(14)의 움직임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30);를 포함하며,
    지지덕트(10)는, 후드이동부재(14)의 길이방향 이동을 가이드 하는 후드 레일(12) 및 후드이동부재(14)의 이송 위치에 따라 개폐되는 통기부(15)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후드식 집진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포집장치(20)는, 후드이동부재(14)로부터 연장된 연장덕트(21); 및 연장덕트(21)의 하단에 마련된 후드(22);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후드식 집진장치.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통기부(15)는
    지지덕트(10)의 길이 방향에 형성하는 통기구(15a)와,
    통기구(15a)의 일측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하는 도어(15b)와,
    도어(15b)와 후드이동부재(14)에 연결 설치하는 테더(15c)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후드식 집진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테더(15c)는
    텔레스코픽, 자바라, 와이어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구조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후드식 집진장치.
  6.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연장덕트(21)와 후드(22)는 체결부(40)를 통하여 연결되고,
    상기 체결부(40)는,
    연장덕트(21)와 후드(22)의 연결 부위에 구비하는 고정구(41)와,
    고정구(41)의 사이에 위치되게 설치하는 베어링(42)과,
    제어부(30)의 조절에 따라 상기 베어링(42)의 유동이 제어 가능하게 설치하는 구동모터(4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후드식 집진장치.
  7.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통기구(15a)는 가이드홈(15a-1a)을 형성한 도어 레일(15a-1)를 구비하여 구성하고,
    상기 도어(15b)는 상기 가이드홈(15a-1a)에 안착 결합하는 가이드돌기(15b-1)를 구비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후드식 집진장치.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30)는,
    후드이동부재(14)의 이송을 조절하는 유동스위치(31)와,
    구동모터(43)의 작동을 제어하는 구동스위치(3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후드식 집진장치.
KR1020150183837A 2015-12-22 2015-12-22 이동 후드식 집진장치 KR1017811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3837A KR101781115B1 (ko) 2015-12-22 2015-12-22 이동 후드식 집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3837A KR101781115B1 (ko) 2015-12-22 2015-12-22 이동 후드식 집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74492A KR20170074492A (ko) 2017-06-30
KR101781115B1 true KR101781115B1 (ko) 2017-09-22

Family

ID=592794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83837A KR101781115B1 (ko) 2015-12-22 2015-12-22 이동 후드식 집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81115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2412B1 (ko) * 2019-06-19 2019-08-20 에이비이씨산업 (주) 이동식 집진장치
KR102098821B1 (ko) 2018-10-31 2020-04-08 (주)엔코아네트웍스 다단 슬리브형 덕트를 가진 원거리용 자동후드장치
KR102148105B1 (ko) 2019-11-11 2020-08-25 백화현 무빙 덕트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집진 설비
KR20210056297A (ko) 2018-06-12 2021-05-18 주식회사 시암 공기정화 기능을 갖춘 포터블 조리장치
KR102287652B1 (ko) 2020-11-30 2021-08-09 (주)엔코아네트웍스 자립형 다단 슬리브형 덕트를 가진 원거리용 자동후드장치
KR102287655B1 (ko) 2020-12-29 2021-08-09 (주)엔코아네트웍스 차량용 화학사고 대응 덕트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704919B (zh) * 2018-05-29 2020-08-28 辽宁陕汽金玺装备制造有限公司 数控切割设备的移动除尘系统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4657B1 (ko) * 2013-09-16 2015-01-20 (주) 대한환경이엔지 후드 이동식 집진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4657B1 (ko) * 2013-09-16 2015-01-20 (주) 대한환경이엔지 후드 이동식 집진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56297A (ko) 2018-06-12 2021-05-18 주식회사 시암 공기정화 기능을 갖춘 포터블 조리장치
KR102098821B1 (ko) 2018-10-31 2020-04-08 (주)엔코아네트웍스 다단 슬리브형 덕트를 가진 원거리용 자동후드장치
KR102012412B1 (ko) * 2019-06-19 2019-08-20 에이비이씨산업 (주) 이동식 집진장치
KR102148105B1 (ko) 2019-11-11 2020-08-25 백화현 무빙 덕트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집진 설비
KR102287652B1 (ko) 2020-11-30 2021-08-09 (주)엔코아네트웍스 자립형 다단 슬리브형 덕트를 가진 원거리용 자동후드장치
KR102287655B1 (ko) 2020-12-29 2021-08-09 (주)엔코아네트웍스 차량용 화학사고 대응 덕트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74492A (ko) 2017-06-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81115B1 (ko) 이동 후드식 집진장치
RU2309336C1 (ru) Отопительно-охладительное потолочное устройство
CN202964647U (zh) 搬运机器人和包括搬运机器人的设备前端模块
CN105339100A (zh) 用挡板收集碎屑的空气承载成分抽出器
CN107218632B (zh) 侧吸式油烟机及其抽烟控制方法
CN104271270A (zh) 具有可调流速的空气承载成分抽出器
CN204141747U (zh) 环境调节装置
US20150017898A1 (en) Integrated workpiece positioning system with integral fume extraction system
CN205137586U (zh) 一种近吸式抽油烟机
KR100227854B1 (ko) 레이들용의 집진장치
CN207655156U (zh) 一种净化工作台
JP3214356U (ja) ケレン作業台
CN104006167A (zh) 用于工业窑炉的高温排气阀
JP3799369B2 (ja) コークス炉の炉扉を持上げるための装置
ES2250521T3 (es) Dispositivo de coccion.
KR100798693B1 (ko) 데스크탑 로봇
CN103538076A (zh) 自动转换抓手的机械手
JP2009002541A (ja) 換気扇
CN109441880B (zh) 电扇的挡风结构
CN208026091U (zh) 一种高效环保移动捕集罩
CN105947177A (zh) 一种可变后掠翼载人飞行器
KR100458468B1 (ko) 공기조화기의 슬라이딩도어 구동장치
CN105327561B (zh) 一种改进的层流罩机构
CN205079290U (zh) 抽油烟机
CN219120629U (zh) 吸油烟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