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27854B1 - 레이들용의 집진장치 - Google Patents

레이들용의 집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27854B1
KR100227854B1 KR1019970001098A KR19970001098A KR100227854B1 KR 100227854 B1 KR100227854 B1 KR 100227854B1 KR 1019970001098 A KR1019970001098 A KR 1019970001098A KR 19970001098 A KR19970001098 A KR 19970001098A KR 100227854 B1 KR100227854 B1 KR 1002278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dle
dust collecting
hood
pedestal
du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010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58828A (ko
Inventor
오사무 아사이
Original Assignee
오사무 아사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사무 아사이 filed Critical 오사무 아사이
Publication of KR9700588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588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278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278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41/00Casting melt-holding vessels, e.g. ladles, tundishes, cups or the lik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B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GENERAL; OPEN SINTERING OR LIKE APPARATUS
    • F27B1/00Shaft or like vertical or substantially vertical furnaces
    • F27B1/10Details, accessories, or equipment peculiar to furnaces of these types
    • F27B1/18Arrangements of dust collec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aste-Gas Treatment And Other Accessory Devices For Furnaces (AREA)
  • Casting Support Devices, Ladles, And Melt Control Thereby (AREA)
  • Vertical, Hearth, Or Arc Furna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천정 주행 크레인에 매달려서 반송되는 레이들을 적용대상으로 하여 출탕(出湯)시에 발생하는 퓸이나 유독가스를 확실하게 흡인 제거할 수 있는 집진장치를 제공한다.
레이들(3)이 행거(7)를 사이에 두고 용해로(1)의 출탕경로와 대향하는 위치에 집진후두(5)를 구비한다.
집진후두(5)는 좌우로 길이를 가지는 덕트 형상의 후드주부(25)를 기본체로 하여 형성한다. 후드주부(25)의 앞구석에 흡인구멍을 가지는 흡진구(26)가 형성되어 있다. 이 흡진구(26)의 상부 가장자리 및 양측 가장자리를 보조후드(27)로 가리우고, 흡인효율을 향상한다. 집진후드(5)는 레이들의 일측에 배치한 받침대(4)로 한쪽을 지지한다.

Description

레이들용의 집진장치
본 발명은 천정 주행 크레인에 매달려서 반송된 레이들용의 집진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용융금속을 용해로에서 레이들로 옮길때에는 유독가스가 금속산화물 등의 퓸(Fume)등이 대량으로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유해물에 의한 작업환경의 오염을 방지하기 위하여 포위형, 부두(Booth)형, 외부부착형, 리시버형 등의 각종의 국소 배기장치가 사용되고 있다.
특개평6-81018호 공보나 특개평6-93318호 공보의 집진장치는 그의 일예이다. 수탕피트와 주조야드의 사이를 크레인 등에 매달려 반송되는 레이들은 포위형이나 부드형의 국소 배기를 행하는 것이 어렵기 때문에 대부분의 경우 외부 부착형의 집진후드로 배진을 한다.
또 레이들의 위쪽에 레이들을 지지하는 행거나 크레인훅 등의 장애물이 있으므로 많은 경우는 측면에 흡진구가 형성되어 있는 집진후드를 준비하고, 이것을 레이들의 측면쪽에 위치하도록 접근배치하여 출탕(出湯)시에 발생하는 퓸이나 가스 등의 유해물을 집진하고 있다.(문헌미상)
상기와 같이 측면에 흡진구가 형성되 있는 집진후드는 레이들로부터 솟아 오르는 유해물의 전부를 집진할 수가 없어서 유해물이 작업장으로 흩어지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고, 집진후드에서의 흡인풍량을 증가시키면 집진량을 어느정도 증가시킬 수 있으나 그 분량 전체 장치가 대형화되어져야할 뿐만 아니라, 설비 도입비용이나 런닝코스트가 증가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레이들용의 집진장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집진후드에서의 흡인량을 감소하면서 레이들에서 발생한 유해물의 대부분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레이들용의 집진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다른 목적은, 집진후드를 레이들 상면의 작동위치와 레이들 밖으로 위치하는 대기위치와의 사이에서 신속하게 변위 조작되고, 출탕(出湯) 완료후 빠르게 레이들을 주조야드로 반송시킬 수 있는 레이들용의 집진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 다른 목적은, 레이들의 크기에 따라서 집진후드의 후진 위치를 변경하여 항상 최적위치에서 퓸 등을 능률적으로 흡인 제거할 수 있는 레이들용의 집진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 다른 목적은, 대형의 레이들에 알맞은 레이들용의 집진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 다른 목적은, 집진후드를 보다 간단한 기구로 대기위치와 작동위치로 조작할 수 있고, 조작기구의 제작에 소요되는 코스트가 적게되는 레이들용의 집진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제1도는 집진장치의 평면도.
제2도는 집진장치의 정면도.
제3도는 제2도에서 A-A선 단면도.
제4도는 제2도에서의 B-B선 단면도.
제5도는 집진후드의 작동을 나타내는 평면도.
제6도는 집진후드의 접속구조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용해로 3 : 레이들
4 : 받침대 5 : 집진후드
7 : 행거 8 : 아암
11 : 크레인훅 13 : 이동롤러
14 : 레일 15 : 조작실린더
18 : 가동덕트 19 : 가이드기구
23 : 조작실린더 25 : 후드주부
26 : 흡진구 27 : 보조후드
30 : 힌지 31 : 견제구
본 발명의 집진장치는, 문형상의 행거(7)를 개재하여 크레인훅(11)으로 매달아 지지되는 레이들(3)에 적용한다.
집진장치는 행거(7)를 사이에 끼워서 용해로(1)의 출탕경로와 대향 배치되는 집진후드(5)를 구비하고 있다.
집진후두(5)는 행거(7)의 일측 아암(8)에서 타측 아암(8)을 따라서 레이들(3)의 투입구 상부면을 좌우로 가로 지르는 통형상의 후두주부(25)를 갖는다. 출탕(出湯)경로와 대향하는 후드주부(25)의 압구석에 흡진구(26)을 형성한다.
흡진구(26)의 상부 가장자리 및 좌우측 가장자리를 따라서 보조후드(27)를 돌출되게 형성한다.
구체적으로는 집진후드(5)를 레이들(3)의 투입구 상부면 위쪽에 위치하는 작동위치와 레이들(3)의 상부면의 바깥쪽으로 위치하는 대기위치와의 사이에서 선회변위 가능하게 구비한다.
레이들(3)의 수탕위치의 일측에 집진후드(5)를 지지하는 받침대(4)를 구비한다.
집진후드(5)는 받침대(4)에 구비한 덕트(16)에 접속하고 거의 수평의 작동자 세로 한쪽으로 지지한다.
받침대(4)는 수탕피트(P) 저상에 설치된 레일(14)로 이동롤러(13)를 개재하여 전후 주행 자재하게 지지한다.
받침대(4)와 수탕피트(P)와의 사이에 받침대(4)를 전후 조작하는 조작실린더(15)를 구비한다.
받침대(4)에는 가이드기구(19)에 의해 자유자재로 안내 지지되어서 조작실린더(23)로 전,후진 조작되는 가동덕트(18)를 구비한다.
집진후드(5)는 가동덕트(18)에 접합하고 접합면에 구비한 힌지축(30)으로 요동 가능하게 연결한다.
집진후드(5)와 받침대(4)의 측면 사이에 가동덕트(18)의 진출동작에 연동하여 집진후드(5)를 가동덕트(18)의 쪽으로 끌어 당겨서 접합하는 견제구(31)를 구비한다.
집진후드(5)와 가동덕트(18)를 글래비티 힌지(30)를 개재하여 요동 가능하게 연결하고 덕트(16)에 삽입 전후 작동되는 가동덕트(18)의 작동에 연동하여 집진후드(5)가 대기위치를 향하여 자중으로 바깥쪽으로 접혀질 수 있도록 한다.
후드주부(25)를 단면 사각형의 덕트형상으로 형성한다. 행거(7)의 틀 중심면을 넘어서 출탕경로 쪽으로 위치하게 보조후드(27)를 후드주부(25)에 설치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1도 내지 제5도는 본 발명에 집진장치의 실시예를 나타낸다.
제1도에서 부호(1)은 유도 가열형의 전기로로서 이루어진 용해로이고, (2)는 출탕구이며, (3)은 레이들이다.
레이들(3)은 도시되지 않은 천정 주행 크레인으로 매달려지지 되어서 수탕피트(P)내의 출탕구(2)의 하방에 위치하고 있다.
수탕피트(P)내의 레이들(3)의 일측에는 받침대(4)를 배치하고 이것으로 집진후드(5)를 지지하고 있다.
제2도에서 레이들(3)의 외면 상부의 대향 2개소에 지축(6)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지축(6)을 행거(7)로 매달아 지지한다.
행거(7)는 지축(6)이 끼워져 고정되는 좌우 한쌍의 아암(8)과 이 아암(8)의 상단끼리를 접속하는 상틀(9)로서 문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틀(9)의 상면 중앙에 섀클(Shackle)(10)을 갖는다.
이 섀클(10)에 천정 주행 크레인의 크레인훅(11)을 걸어서 레이들(3)를 매달아 지지하게 된다.
레이들(3)은 수탕피트와 주조야드와의 사이를 매달린 상태로 반송한다.
받침대(4)는 앵글재를 세로로 긴 직사각형상으로 역어서 형성되어 있고, 그 하면 네구석에 자유롭게 돌아가는 이동롤러(13)를 가진다.
이들 이동롤러(13)를 수탕피트(P)의 밑바닥에 구비한 한쌍의 레일(14)로 주행 안내하므로서 받침대(4)는 전후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받침대(4)와 수탕피트(P)의 내측벽과의 사이에는 받침대(4)를 전후 조작하는 조작실린더(15)를 구비한다(제3도 참조).
받침대(4)는 그 상단면이 수탕시의 레이들(3) 상부로 형성된 투입구 상부면과 거의 같거나 이보다 약간 위쪽으로 위치하도록 형성한다.
상기의 받침대(4)에 덕트(16)를 구비하고 그 하부 전단을 제진장치 및 흡인팬으로 연통하는 고정덕트(17)에 접속하고, 그 상부 측단을 가동덕트(18)를 개재하여 집진후드(5)에 접속한다.
제3도에 나타내듯이 고정덕트(17)는 덕트(16)의 하부 전단의 직선통부(16a)에 안으로 끼워지는 상태로 접속하여 받침대(4)가 전후 이동하였을 경우에도 접속상태를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
마찬가지로 가동덕트(18)는 덕트(16)의 상부 측단이 직선통부(16b)에 안으로 끼워지는 상태로 접속되고, 또한 덕트(16)의 상면과 가동덕트(18)와의 사이에 구비된 가이드기구(19)로 안내 지지되어서 덕트(16)에 대해서 출입되어질 수 있도록 접속되어 있다.
제2도 및 제5도에서 가이드기구(19)는 덕트(16)의 직선통부(16b)의 상면 전후에 고정된 좌우 한쌍씩의 로드(Rod)(21)로 이루어지며, 로드(21)의 돌출단을 가동덕트(18)의 상면 돌출단 곁에 구비된 브래킷(22)에 고정한다.
로드(21)는 받침대(4)에서 레이들(3)의 측으로 향하여 돌설되는 가동덕트(18) 및 집진후드(5)이 중량을 부담하여 집진후드(5)와 가동덕트(18)을 수평자세로 지지한다.
전후 한쌍의 로드(21)의 사이에는 가동덕트(18)를 덕트(16)에 삽입시키거나 배출시키는 조작실린더(23)을 구비한다.
상세하게는 실린더 보디의 중도부(中途部)를 덕트(16)의 상면에 고정한 블래킷으로 지지하고, 피스톤 로드의 돌출단을 가동덕트에 고정한다.
피스톤 로드 및 상기의 로드(21)는 도시되지 않은 방진커버로 씌워진다.
제4도에서 집진후드(5)는 단면 사각형상의 후드주부(25)를 가지며, 그 돌출단곁의 앞구석에 흡진구(26)를 개구하고, 흡진구(26)에 따라서 보조후드(27)를 구비하여서 이루어 진다.
흡진구(26)는 후드주부(25)의 앞벽 하반부와 바닥벽 전반부로서 개방되게 형성되어 있고, 개방된 부위의 좌우방향의 폭을 레이들(3)의 투입구지름이 거의 8할로 하고 있다(제2도참조).
이 흡진구의 상부 가장자리 및 양측 가장자리를 따라서 앞쪽을 향해 내리막 경사상태로 돌출되게 설치된 상벽(27a)과 앞쪽을 향해 돌출 설치된 수직의 양측벽(27b)에서 보조후드(27)를 형성한다.
후드주부(25)의 돌출단 상면벽은 돌출단을 향해 내리막 경사되어 있다.
가동덕트(18)의 잉출입 작동을 이용하여 집진후드를 작동자세와 대기자세에 선회 접혀지게 조작하기 위하여 집진후드(5)와 가동덕트(18)을 플랜지(28,29)로 접합하고, 이들 플랜지(28)(29)의 후부 가장자리 끼리를 힌지(30)로 상대 요동자재로 연결한다.
또한 집진후드(5)에 고정된 플랜지(28)의 하부 가장자리 전단과 받침대(4)를 견제구(31)로 연결한다.
제4도에 나타내듯이 힌지(30)는 힌지축(32)의 축중심의 조금 후경사지도록 구비한다.
가동덕트(18)가 덕트(16) 사이로 삽입 이동할 때 집진후드(5)가 힌지축(32)을 중심으로 하여 자중으로 선회하는 것을 확실하게 하기 위한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힌지축(32)의 후경사각도를 수직선에 대하여 1내지 3도(道) 전후로 하였다.
제5도에 있어서, 견제구(31)는 와이어로프(33)와 그 중도부에 개재 장치한 턴버클(Turnbuckle)로서 이루어지며, 가동덕트(18)가 레이들(3)의 측으로 진출 이동할때 그때까지 굴접혀 있던 집진후드(5)의 직선 이동동작을 견제하고, 결과적으로 집진후드(5)를 끌어 당겨서 조작하여 반시계 회전방향으로 역회전시키고, 플랜지(28)를 가동덕트(18)의 플랜지(29)에 밀착 접합한다.
수탕시에는 레이들(3)을 제1도에서 나타낸 수탕위치에 위치시켜 놓는 받침대(4)는 조작실린더(15)를 신장시켜서 피트 뒤쪽으로 위치시켜 놓는다.
이때 가동덕트(18)는 덕트(16)내로 삽입되고, 집진후드(5)는 제5도에 나타내듯이 가동덕트(18)로 부터 분리하고 선회하여 대기위치에 있다.
이 상태에서 조작실린더(23)를 작동시켜서 가동덕트(18)를 전진 이동시켜면 집진후드(5)는 전술한 바와 같이 힌지축(32)을 중심으로 하여 반시계방향으로 회동한다.
가동덕트(18)가 전진하고난 상태에서는 집진후드(5)는 작동자세로 원위치되어 가동덕트(18)와 직선상태로 연속한다.(제1도 참조)
다음으로 조작실린더(15)를 축소하여 받침대(4)를 전진시켜 집진후드(5)의 후두주부(25)를 행거(7)의 아암(8)에 근접하도록 위치시킨다.
이 근접거리가 작을수록 레이들로부터 뿜어 오르는 유해가스나 퓸을 효과적으로 후드내로 흡인할 수 있다.
상기의 준비작업이 종료된 시점에서 집진후드(5)는 행거(7)의 일측 아암(8)에서 타측 아암(8)을 따라서 레이들(3)의 투입구면의 위쪽을 좌우로 가르지고 있고, 그 흡진구(26)는 출탕구(2)에서 흘러내리는 용융금속의 출탕경로와 대향하여 레이들(3)의 중앙 부근에 위치하고 있다.
또, 보조후드(27)는 행거(7)의 틀 중심면 즉, 좌우의 아암(8,8)의 축중심을 지나는 평면을 넘어서 출탕경로의 측으로 돌출되어 있다.(제4도 참조)
상기의 상태에서 고정덕트(17) 측의 댐퍼(Damper)를 개방하여 집진후드(5)에 흡인압을 작용시켜 용해로(1)를 서서히 튀어 올라 용융금속이 출탕구(2)에서 배출되어 레이들(3)로 투입되어 진다.
이 출탕작업에 따라서 레이들(3)의 내부로부터 퓸이나 유해가스가 대량으로 발생한다.
특히, 출탕 개시시에는 대량이 퓸이 발생하고 레이들의 투입구 중앙으로부터 후반 투입구의 측을 향하여 뿜어 오른다.
그러나, 레이들(3)의 투입구 중앙 부근에 집진후드(5)가 위치하고, 그 흡진구(26)로부터 대량의 주변공기를 흡인하고, 또한 보조후드(27)가 레이들(3)의 중심을 넘어서 전방으로 나와 있으므로 발생된 퓸 등의 유해물은 확실하게 후드내로 흡인된다.
레이들(3)의 투입구 주변 가장자리에 있어서는 주변공기가 레이들(3)의 내부로 떨어져 들어가는 것 같은 유동작용이 관찰되어 있고 이런 것도 유해물이 흩어지는 것을 방지하는데 소용되고 있다.
수탕이 완료된 후에는 조작실린더(23)를 작동시켜서 가동덕트(18)를 후진 조작한다.
가동덕트(18)가 삽입(후진)이동하면 그때까지 긴장하고 있던 견제구(31)의 와이어 로프(33)가 이완됨으로 집진후드(5)는 자중만으로 힌지축(32)을 중심으로하여 시계 회전방향으로 선회하게 되고, 레이들(3)의 후방 외측면으로 자동으로 접혀진다.
가동덕트(18)가 완전히 후진 이동한 상태에서는 집진후드(5)에 가동덕트(18)에 대하여 큰 각도로 접혀져 대기 자세로 돌아 온다.(제5도에 가상선으로 나타낸 상태)
이 자세는 짧은 시간에 종료됨으로 수탕된 레이들(3)을 바르게 주물야드로 반송할 수 있다.
같은 크기의 레이들(3)를 사용하여 수탕을 반복할 경우에는 가동덕트(18)를 전진 조작하여 집진후드(5)를 대기 자세에서 작동자세로 전환하는 것만으로도 된다. 단, 레이들(3)의 크기가 행거(7) 형상이나 구조가 다를 경우에는 받침대(4)를 전후로 조정 이동하여 집진후드(5)를 최적위치로 위치시킨다.
상기의 실시예에서는 가동덕트(18)와 집진후드(5)를 힌지(30)로 연결하여 집진후드(5)를 자동적으로 대기위치 측으로 선회될 수 있도록 하였으나 그럴 필요는 없다.
선회조작용의 전용의 조작실린더를 집진후드(5) 가동덕트(18) 사이에 구비하여 자세전환을 할 수가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집진후드(5)의 자세전환을 인력으로 할 수가 있다. 힌지(30) 대신에 글래비티 힌지를 사용하여도 된다.
집진후드(5)와 가동덕트(18)를 제6도에 나타내듯이 접속할 수가 있다.
가동덕트(18)의 단면 상면에 원통형상의 연결통(36)을 삽입설치하고, 그 레이들(3) 측의 둘레면에 통구(37)를 구비한다.
집진후드(5)이 일측단을 연결통(36)에 외측으로 위치하도로 끼워 연결하여서 후드 전체를 연결통(36)을 중심으로하여 작동위치와 대기위치와의 사이에 선회 가능하게 지지한다.
상기의 실시예에서는 좁은 수탕피트내에서 집진후드(5)를 신속하게 대기위치로 옮길때 전체를 선회 이동시키도록 하였으나 그럴 필요는 없다.
예를 들면, 받침대(4)를 충분히 전후 이동시킬 수 있는 공간이 있을 경우에는 덕트(16)를 가동덕트(18)의 진출 위치까지 연장하고, 이 연장부에 집진후드(5)를 접속하고 받침대(4)를 전후로 이동시키므로서, 집진후드(5)를 대기위치와 작동위치로 전환할 수가 있다.
흡진구(26)에는 작은 흡인구멍을 소망개수로 가로로 나란하게 배열하여 성형할 수도 있고, 이 경우 흡인구의 형상은 사각형이나 원형 혹은 타원형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후드주부(25)는 원형 단면의 통체로 형성할 수가 있다.
이 경우에는 통벽의 전면 중앙에서 하면 중앙 사이의 앞구석부에 흡인구멍을 가지는 흡진구(26)를 형성한다.
실시예에서 설명한 조작실린더(15)는 에어실린더인 것이 바람직하지만 필요하다면 유압실린더나 모터를 구동원으로 하는 전동실린더를 사용할 수가 있다.
가이드기구(19)는 덕트(16)의 전후 주면이나 저면을 이용하여 배치할 수가 있다.
실시예의 경우와는 반대로 로드(21)를 덕트(16)에 고정하여 두고 로드(21)에서 안내되는 슬라이더를 가동덕트(18)에 고정하여 구성할 수가 있다.
견제구(31)는 로드나 링크로 형성할 수가 있다.
본 발명에서는 좌우로 긴 통형상의 후드주부(25)를 주체로 하여 집진후드(5)를 구성하고 후드주부(25)의 앞구석에 형성된 흡진구(26)를 레이들(3)의 투입구 상면의 거의 중앙 부근에 위치시켜, 레이들에 발생한 유독가스 등을 보다 적은 풍량으로 효과적으로 흡인할 수 있게 하였다.
또한 흡진구(26)에 보조후드(27)를 구비하여 흡진구(26)와 출탕경로와의 사이에 부유하는 퓸 등도 놓치지 않고 흡인할 수 있도록 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집진장치에 의하면 출탕시에 레이들(3)의 내부에 발생하는 퓸이나 유독가스 등을 확실하게 흡인 제거하여 이들이 레이들(3)의 주변에 흩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종래의 이 종류의 집진장치에 비하여 집진후드(5)에서의 흡인량을 증가할 필요도 없고, 집진효과를 충분히 향상할 수 있다.
집진후드(5)를 작동위치와 대기위치와의 사이에서 선회 이동될 수 있게한 집진장치에 의하면 출탕 완료후에 집진후드(5)를 신속하게 대기위치로 이동시켜서 레이들(3)을 반송 이동할 수 있으므로 용융금속의 온도 저하나 산화를 방지할 수 있고, 보다 알맞은 상태로 주입 할 수 있는 점에서 유리하다.
받침대(4)를 전후로 이동 조정될 수 있도록 한 집진장치에 의하면 레이들(3)의 투입구지름이 대소로 바뀌어서 레이들(3)의 수탕위치가 전후로 변화할 경우에도 받침대(4)를 전후 이동시켜서 집진후드(5)를 레이들(3)의 투입구 중앙부근의 최적위치에 위치시킬 수 있어 항상 최적위치에서 퓸 등을 능률적으로 흡인 제거할 수가 있다.
집진후드(5)를 힌지(30)로 설치하여 가동덕트(18)에 연결한 집진장치에 의하면, 조작실린더(23)를 전후진 조작하는 것만으로 집진후드(5)를 대기위치와 작동위치로 전환할 수 있다. 더욱이 집진후드(5)를 자중으로 선회 이동할 수 있으므로 전체적으로 집진후드(5)의 조작기구를 간소화하여 그 제작에 소요되는 코스트를 감소할 수 있다.

Claims (7)

  1. 문형상의 행거(7)를 개재하여 크레인훅(11)으로 매달아 지지되는 레이들(3)에 적용되는 집진장치이며, 집진장치는 행거(7)를 사이에 끼워서 용해로(1)의 출탕(出湯)경로와 대향 배치되는 집진후드(5)를 구비하고 있으며, 집진후드(5)는 행거(7)의 일측 아암(8)으로부터 타측 아암(8)을 따라서 레이들(3)의 투입구면을 좌우로 가로지르는 통형상의 후드주부(25)를 가지며, 출탕경로와 대향하는 후드주부(25)의 앞구석에 흡인구멍을 가지는 흡진구(26)가 형성되어 있는 레이들용의 집진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흡진구(26)의 상부 가장자리 및 좌우측 가장자리를 따라서 보조후드(27)가 돌출되게 설치되어 있는 레이들용의 집진장치.
  3. 제1항 내지 제2항에 있어서, 집진후드(5)가 레이들(3)의 투입구면이 상방에 위치하는 작동위치와 레이들(3)의 투입구면의 바깥쪽으로 위치하는 대기위치와의 사이에서 선회 변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레이들용의 집진장치.
  4. 제1항 내지 제2항에 있어서, 레이들(3)의 수탕(受湯)위치의 일측에 집진후드(5)를 지지하는 받침대(4)가 구비되어 있으며, 집진후드(5)는 받침대(4)에 구비한 덕트(16)에 접속되어서 거의 수평의 작동자세로 지지되어 있고, 받침대(4)는 수탕피트(P)의 저면에 설치된 레일(14)에 이동롤러(13)를 위치시켜 전후 주행 자재로 지지되어져 있고 받침대(4)는 수탕피트(P)와의 사이에 받침대(4)를 전후 조작하는 조작실린더(15)가 구비되어 있는 레이들용의 집진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받침대(4)에 가이드기구(19)로 전후로 자재 안내 지지되어서 조작실린더(23)로 전후진 조작되는 가동덕트(18)가 구비되어 있으며, 집진후드(5)는 가동덕트(18)의 돌출단에 접합되어서 접합면에 구비된 힌지(30)를 중심으로 요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고, 집진후드(5)와 받침대(4)의 측과의 사이에 가동덕트(18)의 전진동작에 연동하여 집진후드(5)를 가동덕트(18)의 측으로 끌어 당겨서 접합하는 견제구(31)가 구비되어 있는 레이들용의 집진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집진후드(5)와 가동덕트(18)가 글래비티(Gravty) 힌지(30)를 중심으로 요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으며, 가동덕트(18)의 후진동작에 연동하여 집진후드(5)가 대기위치로 향하여 자중으로 접혀지는 레이들용의 집진장치.
  7. 제1,2,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후드주부(25)가 단면 사각형의 덕트 형상으로 형성되고, 행거(7)의 틀 중심면을 넘어서 출탕경로의 측으로 돌출하는 보조후드(27)가 후드주부(25)에 구비되어 있는 레이들용의 집진장치.
KR1019970001098A 1996-01-19 1997-01-16 레이들용의 집진장치 KR10022785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8025781A JPH09192823A (ja) 1996-01-19 1996-01-19 取鍋用の集塵装置
JP25781 1996-01-1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58828A KR970058828A (ko) 1997-08-12
KR100227854B1 true KR100227854B1 (ko) 1999-11-01

Family

ID=121753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01098A KR100227854B1 (ko) 1996-01-19 1997-01-16 레이들용의 집진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H09192823A (ko)
KR (1) KR10022785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76105B1 (ko) * 2015-02-05 2017-09-07 주식회사 키텍 알루미늄 용해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88238B1 (ko) * 1998-12-21 2003-08-19 주식회사 포스코 전로의 로전더스트 집진장치
KR20020051386A (ko) * 2000-12-22 2002-06-29 신현준 래들에서 발생하는 먼지 억제장치 및 방법
KR100878641B1 (ko) * 2002-07-08 2009-01-15 주식회사 포스코 냉각장치를 구비한 접이식 집진덕트장치
JP5344827B2 (ja) * 2008-02-21 2013-11-20 パンパシフィック・カッパー株式会社 レードル用排気装置及びレードルの排気方法
KR101149168B1 (ko) * 2009-06-26 2012-05-25 현대제철 주식회사 래들용 집진장치의 댐퍼 제어장치 및 방법
CN107345144B (zh) * 2017-08-18 2024-03-05 马鞍山钢铁股份有限公司 储焦塔排焦口吸尘装置
CN110578034B (zh) * 2018-06-08 2023-05-19 哈尔滨科德威冶金股份有限公司 一种移动式处理站的集尘装置及集尘方法
CN109226727A (zh) * 2018-11-27 2019-01-18 荣成富邦金属科技有限公司 一种铸造用浇注机
KR102179561B1 (ko) * 2019-06-17 2020-11-16 주식회사 포스코 차단 장치 및 차단 방법
CN115026070A (zh) * 2022-08-10 2022-09-09 哈尔滨电机厂有限责任公司 一种集约化一体式发电机制动除尘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76105B1 (ko) * 2015-02-05 2017-09-07 주식회사 키텍 알루미늄 용해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9192823A (ja) 1997-07-29
KR970058828A (ko) 1997-08-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27854B1 (ko) 레이들용의 집진장치
CA1080021A (en) Multi-position duct system
CN107952776A (zh) 烟尘收集装置
US5905752A (en) ARC furnace fume collection system and method
CN206176996U (zh) 一种中频电炉
CN101155649A (zh) 气动式通风管道清洁器
KR101147188B1 (ko) 회전형 이중 관절 덕트를 이용한 국소배기장치
CN209326335U (zh) 一种清洁环保中频电炉
JP4134092B2 (ja) 集塵装置
KR100704187B1 (ko) 자동 개폐문으로 구성된 국소배기장치
JP3826454B2 (ja) 電気炉のスクラップ炉頂予熱装置
CN2244541Y (zh) 带气幕式封闭面的除尘罩
JP2545040B2 (ja) コンテナバック残留物除去装置
CN208536596U (zh) 一种环保中频电炉
KR100878641B1 (ko) 냉각장치를 구비한 접이식 집진덕트장치
CN113664011B (zh) 适于落砂机的通风除尘方法
CN215966260U (zh) 落砂机移动式密闭罩通风除尘系统
KR101380349B1 (ko) 회전식 후드를 구비한 이동형 집진장치
KR101753983B1 (ko) 이동식 국소 배기장치
CN213701166U (zh) 一种具有除尘功能的移动式焊接房
CN209936089U (zh) 一种管片钢筋笼辅助焊接除烟系统
US6071467A (en) Technique and apparatus for ladle cleanout
JPH04118161A (ja) 連続鋳造カッター用集塵装置
JPS622479Y2 (ko)
JP2897621B2 (ja) スライド可能な集塵フードを備えた集塵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