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79561B1 - 차단 장치 및 차단 방법 - Google Patents
차단 장치 및 차단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179561B1 KR102179561B1 KR1020190071515A KR20190071515A KR102179561B1 KR 102179561 B1 KR102179561 B1 KR 102179561B1 KR 1020190071515 A KR1020190071515 A KR 1020190071515A KR 20190071515 A KR20190071515 A KR 20190071515A KR 102179561 B1 KR102179561 B1 KR 10217956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ntainer
- gear
- cover member
- support
- blockin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C—PROCESSING OF PIG-IRON, e.g. REFINING, MANUFACTURE OF WROUGHT-IRON OR STEEL; TREATMENT IN MOLTEN STATE OF FERROUS ALLOYS
- C21C5/00—Manufacture of carbon-steel, e.g. plain mild steel, medium carbon steel or cast steel or stainless steel
- C21C5/28—Manufacture of steel in the converter
- C21C5/38—Removal of waste gases or dust
-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C—PROCESSING OF PIG-IRON, e.g. REFINING, MANUFACTURE OF WROUGHT-IRON OR STEEL; TREATMENT IN MOLTEN STATE OF FERROUS ALLOYS
- C21C2100/00—Exhaust gas
- C21C2100/02—Treatment of the exhaust ga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Specific Conveyance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1 용기에서 제2 용기로 용융물 장입시 발생하는 부산물의 확산을 차단하는 장치로서, 지지대, 상기 지지대에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커버부 및 상기 제1 용기를 운반하는 운반기의 이동에 의한 물리적 신호에 연동하여 상기 커버부를 구동시킬 수 있는 동력전달부를 포함하는 차단 장치 및 차단 방법으로서 물리적 신호에 대응하여 자동으로 제2 용기의 상부를 차폐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차단 장치 및 차단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용융물 장입시 발생하는 부산물의 확산을 차단할 수 있는 차단 방법 및 차단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제선공정을 거쳐 나온 용선은 래들에 수용된 상태로 천정 크레인에 의해 권상되어 전로의 상부로 이동하게 된다. 전로의 상부에 위치한 래들은 천정 크레인에 의해 지지된 상태에서 보조 크레인의 동작에 의해 래들이 기울어지면서(즉, 경동되면서) 수용된 용선을 전로로 장입시키게 된다.
그러나, 래들에서 전로로 용선을 장입시킬 때, 전로 내벽체와 용선의 접촉 혹은 충돌에 의해 화염과 분진이 발생된다. 이렇게 발생된 화염과 분진은 전로의 개구를 통하여 전로의 외부로 확산된다. 발생된 화염은 전로 주변 구조물의 내구성을 저하시키는 원인이 되었다. 또한, 화염은 작업자의 시야를 가려 작업진행 상황을 운전자가 확인하지 못하였다. 이에, 래들의 과경동에 의한 용선의 유출 등의 문제를 발생시켰다. 또한, 발생된 분진은 전로 주변 구조물에 안착되어 부식의 원인으로 작용하였고, 화염과 함께 작업자의 시야를 가려 운전자의 작업진행을 방해하였다. 또한, 분진은 조업 환경을 오염시키고 작업자의 건강에 악영향을 미치는 문제를 발생시켰다.
본 발명은 장입되는 용융물의 상부를 차폐하여 용융물 장입시 발생되는 부산물의 확산을 차단할 수 있는 차단 장치 및 차단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용융물 장입시 발생되는 부산물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차단 장치 및 차단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제1 용기에서 제2 용기로 용융물 장입시 발생하는 부산물의 확산을 차단하는 장치로서, 지지대; 상기 지지대에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커버부; 및 상기 제1 용기를 운반하는 운반기의 이동에 의한 물리적 신호에 연동하여 상기 커버부를 구동시킬 수 있는 동력전달부;를 포함한다.
상기 동력전달부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운반기와 접촉하여 가압될 수 있도록, 상기 지지대에서 상기 운반기의 이송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상기 동력전달부는, 상기 이송방향을 따라 왕복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구동기; 및 상기 구동기와 상기 커버부에 연결되는 전달기;를 포함한다.
상기 구동기는, 상기 운반기와 접촉 가능하고, 상기 이송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구동기어를 구비하는 실린더; 상기 실린더와 연결되고, 상기 이송방향을 따라 신장 수축 가능한 탄성체;를 포함한다.
상기 전달기는, 복수의 기어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기어는, 상기 복수의 기어 중 일측에 배치되는 기어는 상기 구동기어와 맞물려 회전할 수 있고, 타측에 배치되는 기어는 상기 커버부에 연결된다.
상기 구동기어는, 랙기어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기어 중 일측에 배치되는 기어는, 상기 구동기어에 의해 회전할 수 있는 피니언기어를 포함한다.
상기 커버부는, 상기 복수의 기어 중 타측에 배치되는 기어에 삽입되며, 상기 지지대에 설치되는 고정축; 상기 복수의 기어 중 타측에 배치되는 기어와 연결되고, 상기 고정축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회전롤러; 상기 회전롤러에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커버부재; 및 상기 커버부재를 지지하도록, 상기 고정축과 연결되는 지지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커버부재는, 상기 하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며, 상기 제2 용기의 상부를 덮을 수 있는 면적을 갖는 플레이트; 및 상기 플레이트와 상기 회전롤러를 연결하는 연결체인;을 포함한다.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고정축에 설치되며, 상기 커버부재의 하측에 구비되는 복수의 지지바; 및 상기 커버부재와 접촉 가능하고, 상기 복수의 지지바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롤러;를 포함한다.
상기 부산물을 흡입할 수 있도록, 상기 운반기의 이송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에 설치되는 흡입기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용기는 래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용기는 전로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제1 용기에서 제2 용기로 용융물 장입시 발생하는 부산물의 확산을 차단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제1 용기를 이송경로를 따라 이동시키는 과정; 상기 제1 용기의 이동에 연동하여 커버부재를 상기 제2 용기의 상부로 전개시키는 과정;상기 제1 용기의 용융물을 상기 제2 용기로 장입시키는 과정; 및 상기 부산물의 이동을 차단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상기 제1 용기를 이송경로를 따라 이동시키는 과정은, 상기 제1 용기를 상기 제2 용기 쪽으로 이동시키는 과정; 및 상기 제1 용기의 이동에 의해, 상기 커버부재로 동력을 전달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상기 커버부재를 상기 제2 용기의 상부로 전개시키는 과정은, 상기 커버부재를 하측으로 경사지게 이동시키는 과정; 상기 커버부재를 상기 제2 용기의 상부에 위치시켜 상기 제2 용기의 상부를 차폐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상기 부산물을 제거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고, 상기 부산물을 제거하는 과정은, 상기 제2 용기의 상부에서 이동이 차단된 상기 부산물을 측방향에서 흡입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상기 부산물은, 상기 제1 용기에서 상기 제2 용기로 장입시키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분진 및 화염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용융물을 운반하는 제1 용기의 이동에 대응하여 자동으로 제2 용기의 상부를 차폐시킬 수 있다. 이에, 용융물 장입시 발생하는 부산물의 확산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또한, 커버부재를 물리적인 가압에 의해 작동시키므로, 작업환경이 열악한 곳에서도 커버부재를 정확하게 작동시킬 수 있다.
또한, 커버부재를 하향 경사지게 형성하므로, 커버부재 전개시 제2 용기의 상부를 더 확실하게 차폐할 수 있고, 부산물이 확산되는 것을 더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또한, 제2 용기의 상부로 부산물이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므로 작업자가 작업진행 상황을 명확하게 확인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가 적용되는 차단 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a)는 본 발명의 실시 예가 적용되는 차단 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좌측면도.
도 2(b)는 본 발명의 실시 예가 적용되는 차단 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우측면도.
도 3a는 본 발명의 실시 예가 적용되는 차단 장치로 운반기가 이동하는 도면.
도 3b는 본 발명의 실시 예가 적용되는 차단 장치에서 커버부재가 전개되는 도면.
도 3c는 본 발명의 실시 예가 적용되는 차단 장치에서 커버부재가 수납되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단 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
도 2(a)는 본 발명의 실시 예가 적용되는 차단 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좌측면도.
도 2(b)는 본 발명의 실시 예가 적용되는 차단 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우측면도.
도 3a는 본 발명의 실시 예가 적용되는 차단 장치로 운반기가 이동하는 도면.
도 3b는 본 발명의 실시 예가 적용되는 차단 장치에서 커버부재가 전개되는 도면.
도 3c는 본 발명의 실시 예가 적용되는 차단 장치에서 커버부재가 수납되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단 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해 도면은 과장될 수 있고, 도면상에서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은 제1 용기에서 제2 용기로 용융물 장입시 발생하는 부산물의 확산을 억제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제철소의 제선공정 및 제선공정에 사용되는 처리 설비를 기준으로 하여 실시 예를 설명한다. 즉, 제1 용기는 용융물을 담아 운반할 수 있는 래들일 수 있고, 제2 용기는 용융물이 장입될 수 있는 전로일 수 있다. 하지만, 제1 용기 및 제2 용기의 적용 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용융물은 용선일 수 있고, 용융물 장입시 발생하는 부산물은 분진 및 화염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하지만, 용융물 및 부산물의 범위도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
우선, 본 발명의 실시 예가 적용되는 처리 설비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가 적용되는 차단 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제1 용기(10)는 용융물이 담기는 보관체로서 내부에 용융물을 수용할 수 있다. 제1 용기(10)는 상부가 개방된 원통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용기(10)의 양측면에는 한 쌍의 주권걸이(10a)가 형성될 수 있다. 주권걸이(10a)는 원기둥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후술하는 주권후크(30a)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제1 용기(10)의 측면에서 주권걸이(10a)와 수평으로 직교하는 위치에 보권걸이(10b)가 형성될 수 있다. 보권걸이(10b)는 주권걸이(10a)보다 하측에 형성될 수 있다. 보권걸이(10b)는 후술하는 보권후크(30b)와 연결될 수 있다. 하지만, 제1 용기(10)의 구조와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
제2 용기(20)는 용융물이 담기는 보관체로서 상부에 개구가 형성된 원통형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용기(20)는 양측에 형성된 제2 용기 받침대(21)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즉, 제2 용기(20)의 양측으로 원기둥 형상의 파이프가 형성되고, 상기 파이프가 제1 용기(10) 받침대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될 수 있다. 이에, 제2 용기(20)는 제2 용기 받침대(21)에 지지된 상태에서 경동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2 용기(20)는 전로를 포함할 수 있다. 하지만, 제2 용기(20)의 구조와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
제2 용기 받침대(21)는 작업장 바닥에 고정 설치되고, 제2 용기(20)의 상하방향(이하 상하방향이라 함)을 따라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하방향은 제2 용기(20)가 연장되는 길이방향일 수 있고, 도면상 z축 방향일 수 있다. 제2 용기 받침대(21)의 내부에는 제2 용기(20)가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용기 받침대(21)는 제선공정에서 사용되는 전로를 지지하는 도그하우스일 수 있다. 하지만, 제2 용기(20) 및 제2 용기 받침대(21)의 구조와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
운반기(30)는 제1 용기(10)가 이동하는 이송방향(이하 이송방향이라 함)을 따라 제1 용기(10)를 이동시킬 수 있고, 이동시킨 제1 용기(10)를 제2 용기(20)로 경동시킬 수 있다. 여기서, 이송방향은 상하방향과 수직하게 직교하는 방향일 수 있고, 도면상 z축에 직교하는 y축 방향일 수 있다. 운반기(30)는 작업장의 천장에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운반기(30)는 천정 크레인을 포함할 수 있고, 이는 해당 기술분야에서 적용되는 통상적인 기중기일 수 있다. 또한, 운반기(30)는 주권후크(30a) 및 보권후크(30b)를 구비할 수 있다.
주권후크(30a)는 갈고리 형상으로 형성되고, 한 쌍이 구비되어 제1 용기(10)의 한 쌍의 주권걸이(10a)에 각각 분리 가능하게 걸릴 수 있다. 이에, 운반기(30) 이동시, 제1 용기(10)가 운반기(30)에 걸린 상태로 이송방향을 따라 함께 이동할 수 있다.
보권후크(30b)는 갈고리 형상으로 형성되고, 제1 용기(10)에 구비되는 보권걸이(10b)에 분리 가능하게 걸릴 수 있다. 보권후크(30b)가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며 제1 용기(10)를 제2 용기(20) 측으로 경동시킬 수 있다. 즉, 보권후크(30b)가 제1 용기(10)를 기울어지게 들어올려, 제1 용기(10)의 기울기를 조절할 수 있다. 이에, 제1 용기(10)의 내부에 수용된 용융물이 제2 용기(20)로 장입될 수 있다. 여기서, 주권후크(30a) 및 보권후크(30b)의 구조와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단 장치(100)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a)는 본 발명의 실시 예가 적용되는 차단 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좌측면도이고, 도 2(b)는 본 발명의 실시 예가 적용되는 차단 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우측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단 장치(100)는 제1 용기(10)에서 제2 용기(20)로 용융물 장입시 발생하는 부산물의 확산을 차단하는 장치로서 지지대(110), 지지대(110)에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커버부(120) 및 제1 용기(10)를 운반하는 운반기(30)의 이동에 의한 물리적 신호에 연동하여 커버부(120)를 구동시킬 수 있는 동력전달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차단 장치(100)는 부산물을 흡입할 수 있는 흡입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지지대(110)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직육면체의 기둥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지지대(110)는 한 쌍이 구비될 수 있고, 이송방향에 교차하는 교차방향(이하 교차방향이라 함)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교차방향은 이송방향에 수평으로 직교하고, 상하방향에 수직으로 직교하는 방향일 수 있다. 교차방향은 도면상 z축 및 y축에 직교하는 x축 방향일 수 있다. 지지대(110)의 측면 하측에는 함몰된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홈에는 후술하는 구동기(131)의 탄성체(131c)가 삽입되어 설치될 수 있다. 지지대(110)는 제선공정에서 사용되는 설비 중 제2 용기(예를 들면, 전로)와 인접한 위치에 배치되는 설비 및 구조물에 설치될 수 있다. 하기에서는 지지대(110)가 제2 용기 받침대(21) 상에 설치된 경우를 예시적으로 설명한다. 하지만, 지지대(110)가 설치되는 위치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
지지대(110)는 제1 지지기(111), 제2 지지기(112) 및 제3 지지기(113)를 구비할 수 있다. 제1 지지기(111)는 지지대(110)에 구비되며, 이송방향을 따라 연장된 직육면체의 기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지지기(111)는 내측으로 함몰된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홈은 제1 지지기(111)에서 교차방향의 일면에 형성되고, 상기 홈에는 후술하는 제1 샤프트(123e)가 회전 가능하게 삽입될 수 있다.
제2 지지기(112)는 지지대(110)에 구비되며, 이송방향으로 연장된 직육면체의 기둥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지지기(112)는 제1 지지기(111)보다 짧은 길이로 형성될 수 있고, 지지대(110)에서 제1 지지기(111) 보다 상측에 설치될 수 있다. 제2 지지기(112)는 내측으로 함몰된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홈은 제2 지지기(112)에서 교차방향의 일면에 형성되고, 상기 홈에는 후술하는 제2 샤프트(132f)가 회전 가능하게 삽입될 수 있다.
제3 지지기(113)는 지지대(110)의 상면에 구비되며, 후술하는 고정축(121)을 지지할 수 있다. 제3 지지기(113)에는 교차방향을 따라 고정축관통홀이 형성되고, 후술하는 고정축(121)이 삽입 고정될 수 있다.
동력전달부(130)는 적어도 일부가 운반기(30)와 접촉하여 가압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동력전달부(130)는 지지대(110)에서 이송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동력전달부(130)는 이송방향을 따라 왕복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구동기(131) 및 구동기(131)와 커버부(120) 사이에서 이들과 각각 연결되는 전달기(132)를 포함할 수 있다.
구동기(131)는 지지대(110)에 설치되며, 운반기(30)와 접촉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구동기(131)는 이송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는 실린더(131a) 및 실린더(131a)를 이송방향을 따라 왕복 이동시킬 수 있는 탄성체(131c)를 포함할 수 있다.
실린더(131a)는 이송방향을 기준으로 차례로 제1 몸체, 제2 몸체, 제3 몸체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몸체는 운반기(30)와 접촉하는 부분으로 이송방향으로 소정 길이를 갖는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몸체는 제1 몸체보다 직경이 작고, 제1 몸체보다 이송방향으로의 길이가 긴 원기둥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몸체에는 구동기어(131b)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제2 몸체에는 실린더(131a)를 하측에서 지지할 수 있는 복수의 롤러(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복수의 롤러는 제2 몸체와 제2 용기 받침대(21)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실린더(131a)는 롤러를 통해 제2 용기 받침대(21)에 지지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실린더(131a)가 이송방향으로 이동하면, 롤러는 실린더(131a)를 지지한 상태로 회전하며 제2 용기 받침대(21)와의 마찰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제3 몸체는 이송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를 갖는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3 몸체는 일면에 돌기가 형성될 수 있고, 상기 돌기는 탄성체(131c)와 결합될 수 있다. 제1 몸체, 제2 몸체 및 제3 몸체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구동기어(131b)는 후술하는 전달기(132)의 복수의 기어와 맞물릴 수 있다.구동기어(131b)는 이송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고, 연장된 일면에 기어 이가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동기어(131b)는 랙 기어를 포함할 수 있다. 구동기어(131b)는 실린더(131a) 제2 몸체의 상측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하지만, 구동기어(131b)의 구조와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
탄성체(131c)는 실린더(131a)의 제3 몸체와 연결되고, 이송방향을 향하여 신장수축할 수 있다. 즉, 탄성체(131c)는 일측이 제3 몸체의 돌기와 결합되고, 타측이 지지대(110)의 함몰된 홈에 결합될 수 있다. 이에, 실린더(131a)는 탄성체(131c)의 탄성력에 이송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여기서, 실린더(131a) 및 탄성체(131c)의 구조와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
전달기(132)는 구동기(131)와 커버부(120)에 연결되며, 구동기(131)의 구동력을 커버부(120)로 전달할 수 있다. 즉, 구동기(131)가 이송방향을 따라 이동하며 발생시킨 동력을 커버부(120)로 전달할 수 있다. 여기서, 전달기(132)는 구동기(131)의 동력을 커버부(120)로 전달할 수 있는 어떠한 구조로도 마련될 수 있다. 하기에서는 전달기(132)가 복수의 기어로 형성된 경우를 예시적으로 설명하고, 복수의 기어가 4개로 구비된 경우를 가정하여 설명한다. 하지만, 전달기(132)의 구조와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
전달기(132)는 제1 기어(132a), 제2 기어(132b), 제3 기어(132c) 및 제4 기어(132d)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기어(132a)는 외주면에 기어 이가 형성된 중공의 원기둥 형상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기어(132a)는 구동기어(131b)와 치합될 수 있도록 피니언기어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기어(132a)의 중심에는 제1 샤프트(132e)가 삽입될 수 있다. 제1 샤프트(132e)는 원통형 막대로 형성되고,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지지기(111)의 홈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즉, 제1 샤프트(132e)가 교차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제1 지지기(111)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될 수 있다. 이에, 제1 기어(132a)는 제1 샤프트(132e)를 통해 제1 지지기(111)에 지지된 상태로 회전할 수 있다.
제2 기어(132b)는 외주면에 기어 이가 형성된 중공의 원기둥 형상, 예를 들면 평기어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기어(132b)는 제1 기어(132a)보다 직경이 더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제2 기어(132b)는 제1 기어(132a)와 동축상에 설치되며, 중심에 제1 샤프트(132e)가 삽입될 수 있다. 즉, 제1 샤프트(132e)에서 제1 기어(132a)와 제2 기어(132b)가 교차방향을 따라 차례대로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샤프트(132e), 제1 기어(132a) 및 제2 기어(132b)는 기어 트레인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이에, 제1 샤프트(132e)가 일정 각도 회전하였을 경우, 제2 기어(132b)의 원주방향 이동거리가 제1 기어(132a)의 원주방향 이동거리보다 더 길 수 있다. 즉, 제1 샤프트(132e)의 동일한 회전각도에도 커버부재(123)에 더 많은 이동량을 제공할 수 있다. 이에, 실린더(131a)가 짧은 거리를 이동하여도, 커버부재(123)를 상대적으로 많이 이동시킬 수 있다.
제3 기어(132c)는 외주면에 기어 이가 형성된 중공의 원기둥 형상, 예를 들면 평기어로 형성될 수 있다. 제3 기어(132c)는 제2 기어(132c)의 상측 경사진 위치에서 제2 기어(132b)와 맞물려 회전할 수 있으며, 중심에 제2 샤프트(132f)가 삽입될 수 있다. 제2 샤프트(132f)는 원통형 막대로 형성되고, 제2 지지기(112)의 홈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제3 기어(132c)는 제2 샤프트(132f)를 통해 제2 지지기(112)에 지지된 상태로 제2 기어(132b)와 맞물려 회전할 수 있다. 이에, 제3 기어(132c)는 후술하는 제4 기어(132d)와 제2 기어(132b)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 시킬 수 있다. 즉, 제3 기어(132c)는 제2 기어(132b)와 제4 기어(132d) 사이에서 유성기어 역할을 할 수 있다.
제4 기어(132d)는 외주면에 기어 이가 형성된 중공의 원기둥 형상, 예를 들면 평기어로 형성될 수 있다. 제4 기어(132d)는 제3 기어(132c)의 상측에서 제3 기어(132c)와 맞물리며, 후술하는 고정축(121)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이에, 제4 기어(132d)는 제3 기어(132c)와 맞물려 회전할 수 있다. 즉, 제1 기어(132a)와 제2 기어(132b)는 교차방향을 따라 동축상에 나란히 배치되고, 제2 기어(132b)와 제3 기어(132c) 및 제4 기어(132d)가 경사진 상하방향을 따라 나란히 맞물리게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제1 기어(132a), 제2 기어(132b), 제4 기어(132d)의 회전방향과 제3 기어(132c)의 회전방향은 반대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기어(132a), 제2 기어(132b), 제4 기어(132d)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제3 기어(132c)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여기서, 전달기(132)는 제2 기어(132b)가 생략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 기어(132a)와 제3 기어(132c)가 맞물리고, 제3 기어(132d)와 제4 기어가(132d)가 경사진 상하방향을 따라 나란히 맞물리게 배치될 수 도 있다. 하지만, 제1 기어(132a) 내지 제4 기어(132d)의 구조와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
커버부(120)는 지지대(110)에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제2 용기(20)의 상부를 커버할 수 있다. 커버부(120)는 지지대(110)에 설치되는 고정축(121), 고정축(121)에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회전롤러(122), 회전롤러(122)와 연결되는 커버부재(123), 커버부재(123)를 지지하는 지지부재(124)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축(121)은 교차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원통형 막대일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3 지지기(113)에 고정될 수 있다.
회전롤러(122)는 교차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중공의 원기둥 형상일 수 있다. 회전롤러(122)는 교차방향을 기준으로 고정축(121)보다 짧은 길이로 형성되고, 중심에 고정축(121)이 삽입될 수 있다. 고정축(121)이 회전롤러(122)에 삽입되는 부분에는 베어링이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회전롤러(122)는 베어링을 통해 고정축(121)에 삽입된 상태에서 회전할 수 있다. 한편, 회전롤러(122)는 제4 기어(132d)와 함께 회전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회전롤러(122)는 제4 기어(132d)와 일체로 형성되거나, 또는 별도로 제작되어 용접 등의 방법으로 제4 기어(132d)와 결합되거나, 연결링크를 통해 체결될 수 있다. 회전롤러(122)의 구조와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
커버부재(123)는 제2 용기(20)에서 발생되는 부산물이 이동 혹은 확산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커버부재(123)는 제2 용기(20)의 상부를 덮을 수 있는 면적을 갖는 플레이트(123a) 및 플레이트(123a)와 회전롤러(122)를 연결하는 연결체인(123b)을 포함할 수 있다.
플레이트(123a)는 이송방향의 길이보다 교차방향의 길이가 더 길게 형성된 직육면체 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즉, 플레이트(123a)는 교차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장변과, 장변과 수평하게 교차하는 방향으로 장변보다 짧은 길이로 형성되는 단변을 가지며,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얇은 판 형상일 수 있다. 플레이트(123a)는 제2 용기의 상부를 덮을 수 있도록, 적어도 제2 용기(20)의 개구보다 큰 면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플레이트(123a)가 제2 용기(20)의 상부를 차폐하여 부산물이 확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플레이트(123a)는 회전롤러(122)에서 이송방향을 기준으로 하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이송방향을 기준으로 하측으로 소정의 각도를 갖으며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커버부재(123) 이동시, 플레이트(123a)가 제2 용기(20)의 개구와 근접한 위치로 이동할 수 있고, 제2 용기(20)에서 발생되는 부산물을 더 확실하게 차폐하여 부산물이 작업장으로 확산되는 것을 더 효과적을 차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플레이트(123a)는 회전롤러(122)에서 이송방향을 기준으로 하측으로 30°내지 60°의 각도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플레이트(123a)가 이송방향을 기준으로 하측으로 45°의 각도로 형성된 경우를 예시적으로 설명한다. 또한, 플레이트(123a)는 일측에 연결고리(123c)를 구비할 수 있다. 연결고리(123c)는 복수개 구비될 수 있고, 후술하는 연결체인(123b)에 체결될 수 있다. 플레이트(123a)의 구조와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
연결체인(123b)은 일측이 상술한 연결고리(123c)에 체결되고, 타측의 적어도 일부가 회전롤러(122)에 감겨진 상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커버부재(123)는 연결체인(123b)에 의해 회전롤러(122)와 연결될 수 있고, 회전롤러(122)의 회전에 대응하여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연결체인(123b)의 타측에는 무게추(123d)가 구비될 수 있다. 무게추(123d)는 회전롤러(122)의 하측에 늘어뜨려진 상태로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무게추(123d)는 커버부재(123)보다 무게가 더 무겁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플레이트(123a)가 무게추(123d)에 의해 회전롤러(122)에 수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게추(123d)는 1t 내지 5t의 무게로 형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회전롤러(122), 연결체인(123b), 플레이트(123a) 및 무게추(123d)의 연결 및 배치관계를 설명하면, 연결체인(123b)은 일측이 플레이트(123a)의 연결고리(123c)와 연결되고, 일측과 타측의 중간부분이 회전롤러(122)에 감기며 타측이 무게추(123d)와 연결될 수 있다. 이에, 플레이트(123a)가 수납된 상태는 회전롤러(122)에 연결체인(123b)의 일측이 감겨있고, 타측이 풀려있는 상태일 수 있다. 반면, 플레이트(123a)가 전개된 상태는 회전롤러(122)에 연결체인(123b)의 타측이 감겨있고, 일측이 풀려있는 상태일 수 있다. 즉, 회전롤러(122) 회전시, 회전롤러(122)가 도르래 역할을 수행하며 연결체인(123b)의 일측 및 타측이 회전롤러(122)에 감기거나 혹은 풀리면서 플레이트(123a)를 전개하거나 수납할 수 있다. 하지만, 상기의 연결 관계 및 구조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
지지부재(124)는 커버부재(123)가 이동하는 경로에 맞추어 형성될 수 있다. 즉, 지지부재(124)는 하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지지부재(124)는 고정축(121)에 설치되며, 커버부재(123)의 하측에 구비되는 복수의 지지바(124a) 및 커버부재(123)와 접촉 가능한 지지롤러(124b)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바(124a)는 커버부재(123)가 이동하는 경로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지지바(124a)는 지지롤러(124b)를 지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지지바(124a)는 직육면체의 얇은 판 형태로 형성될 수 있고, 교차방향을 따라 관통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관통홀에 고정축(121)이 삽입되어 지지바(124a)가 고정축에 고정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지지바(124a)는 한 쌍이 구비될 수 있다. 이에, 지지바(124a)는 지지롤러(124b)를 양측에서 지지할 수 있다. 지지바(124a)는 고정축(121)에서 하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고, 플레이트(123a)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지지바(124a)의 구조와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
지지롤러(124b)는 커버부재(123)를 하측에서 지지하며, 커버부재(123)를 원활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지지롤러(124b)는 교차방향을 따라 연장된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며 복수개 구비될 수 있다. 지지롤러(124b)는 한 쌍의 지지바(124a)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즉, 복수개의 지지롤러(124b)가 하측 경사지게 형성된 지지바(124a)를 따라 차례로 배치되고, 지지바(124a)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지지롤러(124b)는 한 쌍의 지지바(124a)의 사이에 배치되어 지지바(124a)와 축결합 되어 설치될 수 있다. 또는, 지지바(124a)의 상측에 안착되어 설치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지지롤러(124b)와 지지바(124a)는 컨베이어로 마련될 수 있다. 하지만, 지지롤러(124b)와 지지바I(124a)의 구조와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
흡입기(미도시)는 커버부재(123)에 의해 이동 혹은 확산이 차단된 부산물을 흡입할 수 있다. 흡입기는 지지대(110)에서 교차방향을 기준으로 제2 용기(20)와 인접한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즉, 지지대(110)에서 제2 용기(20)의 개구와 인접한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이에, 제2 용기(20)의 상부의 부산물이 흡입기로 신속하게 흡입될 수 있다. 또한, 흡입기는 복수개 구비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후드로 마련될 수 있다. 하지만, 흡입기의 구조와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
하기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거 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단 방법은, 차단 장치(100)를 이용하여 제1 용기(10)에서 제2 용기(20)로 용융물 장입시 발생하는 부산물의 확산을 차단하는 방법일 수 있다. 차단 방법은 제1 용기(10)를 이송경로를 따라 이동시키는 과정(S110), 제1 용기(10)의 이동에 연동하여 커버부재(123)를 제2 용기(20)의 상부로 전개시키는 과정(S120), 제1 용기(10)의 용융물을 제2 용기(20)로 장입시키는 과정(S130) 및 부산물의 이동을 차단하는 과정(S14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차단 방법은 부산물을 제거하는 과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3a는 본 발명의 실시 예가 적용되는 차단 장치로 운반기가 이동하는 도면이고, 도 3b는 본 발명의 실시 예가 적용되는 차단 장치에서 커버부재가 전개되는 도면이고, 도 3c는 본 발명의 실시 예가 적용되는 차단 장치에서 커버부재가 수납되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단 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
도 3a 내지 도 3c를 참조하여, 차단 장치(100)가 커버부재(123)를 전개시켜 제2 용기(20) 상부에서 부산물의 확산을 차단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도 3a를 참조하면, 제1 용기(10)는 이송경로를 따라 이동할 수 있다(S110). 보다 구체적으로, 제1 용기(10)는 내부에 용융물이 수용되어 있으며 운반기(30)에 의해 이송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제1 용기(10)의 주권걸이(10a)는 운반기(30)의 주권후크(30a)에 걸려 지지된 상태일 수 있고, 보권걸이(10b)는 보권후크(30b)에 걸려 지지된 상태일 수 있다. 주권후크(30a)는 이송방향을 기준으로 구동기(131)와 동일선상에 배치된 상태에서 이송방향을 따라 직선 이동할 수 있다. 즉, 이송방향을 기준으로 전진 이동할 수 있다. 여기서, 운반기(30)의 이동을 설명함에 있어서, 편의상 이송방향을 기준으로 운반기(30)가 제2 용기(20)가 배치된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전진 이동이라 하고, 전진 이동과 반대로 이동하는 것을 후진 이동이라고 지칭한다.
또한, 차단 장치(100)에서 커버부재(123)는 무게추(123d)와 탄성체(131c)에 의해 회전롤러(122)에 수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즉, 커버부재(123)는 연결체인(123b)을 통해 회전롤러(122)에 감겨 수납된 상태이고, 무게추(123d)는 회전롤러(122)의 하측으로 늘어뜨려진 상태이고, 탄성체(131c)는 이완된 상태일 수 있다.
도 3b를 참조하면, 제1 용기(10)의 이동에 연동하여 커버부재(123)를 제2 용기(20)의 상부로 전개할 수 있다(S120). 보다 구체적으로, 운반기(30)를 이송방향을 따라 전진 이동시키면서, 구동기(131)의 실린더(131a)와 접촉시킬 수 있다. 즉, 주권후크(30a)의 적어도 일부분과 실린더(131a)를 접촉시킬 수 있다. 운반기(30)는 이송방향을 따라 계속 이동하며 실린더(131a)를 가압할 수 있다. 즉, 운반기(30)가 실린더(131a)를 밀어줄 수 있다. 이에, 실린더(131a)는 주권후크(30a)에 의해 가압되며 이송방향을 따라 전진 이동할 수 있고, 이때 실린더(131a)와 지지대(110) 사이에 설치된 탄성체(131c)는 수축될 수 있다.
실린더(131a)가 전진 이동함에 따라, 실린더(131a)와 함께 구동기어(131b)도 전진 이동할 수 있다. 이에, 구동기어(131b)와 치합된 제1 기어(132a)가 맞물려 도면상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이때, 제1 기어(132a)와 제1 샤프트(132e)를 통해 연결된 제2 기어(132b)는 제1 기어(132a)와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제2 기어(132b)가 회전함에 따라, 제2 기어(132b)와 치합된 제3 기어(132c), 제3 기어(132c)와 치합된 제4 기어(132d)도 맞물려 회전할 수 있다. 이때, 제1 기어(132a), 제2 기어(132b), 제4 기어(132d)는 동일한 방향 즉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제3 기어(132c)는 상기 기어들과 반대방향 즉 시계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상기 기어들이 회전하며 운반기(30)가 실린더(131a)를 가압하며 발생한 동력을 커버부재(123)로 전달할 수 있다.
제4 기어(132d)가 회전하면, 제4 기어(132d)와 연결된 회전롤러(122)도 제4 기어(132d)와 동일한 방향 즉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이에, 회전롤러(122)에 감겨있는 연결체인(123b)이 풀릴 수 있고, 연결체인(123b)의 일측과 연결된 커버부재(123)가 하측으로 경사지게 즉 제2 용기(20)의 상부로 이동할 수 있다. 이때, 커버부재(123)를 지지하는 지지롤러(124b)도 커버부재(123)의 이동에 따라 함께 회전할 수 있다. 이에, 커버부재(123) 이동시 회전롤러(122)와 커버부재(123) 사이의 마찰이 감소될 수 있다.
한편, 운반기(30)가 실린더(131a)를 가압하는 가압력은 탄성체(131c)가 실린더(131a)를 탄성 지지하는 힘과 무게추(123d)의 하중 즉 무게추(123d)가 커버부재(123)를 당겨주는 힘의 합보다 클 수 있다. 이에, 운반기(30)가 실린더(131a) 가압시, 탄성체(131c)가 수축될 수 있고, 무게추(123d)가 상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 따라서, 무게추(123d)와 연결체인(123b)을 통해 연결된 커버부재(123)는 회전롤러(122)에서 도르래 원리에 의해 제2 용기(20)의 상부로 전개될 수 있고, 제2 용기(20)의 상부를 차폐할 수 있다.
커버부재(123)가 전개되면, 운반기(30)의 보권후크(30b)가 상측으로 이동하며 제1 용기(10)를 제2 용기(20)의 개구로 경동시킬 수 있다. 이에, 제1 용기(10)의 용융물을 제2 용기(20)로 장입시킬 수 있다(S130). 이때, 제2 용기(20)의 개구주위에는 부산물이 발생될 수 있다.
발생된 부산물은 커버부재(123)를 통해 제2 용기(20)의 상부로 이동 혹은 확산이 차단될 수 있다(S140). 확산이 차단된 부산물은 흡입기에 의해 흡입될 수 있다. 즉, 흡입기로 측방향에서 부산물을 흡입할 수 있다. 이에, 제2 용기(20)의 상부에서 부산물이 제거될 수 있다.
도 3c를 참조하면, 제1 용기(10)에 수용된 용융물이 제2 용기(20)로 모두 장입되면, 보권후크(30b)는 하측으로 이동하며 제1 용기(10)를 경동시키기 전 상태로 위치시킬 수 있다. 이후 운반기(30)는 후진 이동할 수 있다. 운반기(30)가 후진 이동하면, 수축된 탄성체(131c)가 이완되며 실린더(131a)를 후진 이동시킬 수 있다. 이에, 구동기어(131b) 역시 후진 이동할 수 있고, 구동기어(131b)에 치합된 제1 기어(132a)가 시계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제1 기어(132a)가 회전함에 따라 제2 기어(132b), 제3 기어(132c), 제4 기어(132d) 및 회전롤러(122)도 함께 회전할 수 있다. 제4 기어(132d)의 회전과 함께 회전롤러(122)도 회전할 수 있고, 이에 연결체인(123b) 타측에 연결된 무게추(123d)가 하측으로 이동하고, 연결체인(123b) 일측에 연결된 커버부재(123)가 회전롤러(122)로 수납될 수 있다.
이처럼, 용융물을 운반하는 제1 용기(10)의 이동에 대응하여 물리적 신호를 커버부재로 전달할 수 있다. 이에, 제1 용기(10)의 이동에 따라 자동으로 커버부재(123)를 제2 용기(20)의 상부로 근접하게 전개시킬 수 있고, 제2 용기(20)의 상부에서 부산물의 확산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또한, 커버부재(123)를 물리적인 가압에 의해 작동시키므로, 작업환경이 열악한 곳에서도 커버부재(123)를 효과적으로 구동시킬 수 있다. 이에, 제2 용기(20)의 상부로 부산물이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여 작업자가 작업진행 상황을 명확하게 확인할 수 있고, 안정적인 조업을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 제1 용기 20: 제2 용기
100: 차단 장치 120: 커버부
123: 커버부재 130: 동력전달부
131: 구동기 132: 전달기
100: 차단 장치 120: 커버부
123: 커버부재 130: 동력전달부
131: 구동기 132: 전달기
Claims (16)
- 제1 용기에서 제2 용기로 용융물 장입시 발생하는 부산물의 확산을 차단하는 장치로서,
지지대;
상기 지지대에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커버부; 및
상기 제1 용기를 운반하는 운반기의 이동에 의해 적어도 일부가 상기 운반기와 접촉하여 가압될 수 있고 상기 커버부를 구동시킬 수 있는 동력전달부;를 포함하는 차단 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부는, 상기 지지대에서 상기 운반기의 이송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차단 장치. -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부는,
상기 이송방향을 따라 왕복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구동기; 및
상기 구동기와 상기 커버부에 연결되는 전달기;를 포함하는 차단 장치. -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구동기는,
상기 운반기와 접촉 가능하고, 상기 이송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구동기어를 구비하는 실린더;
상기 실린더와 연결되고, 상기 이송방향을 따라 신장 수축 가능한 탄성체; 를 포함하는 차단 장치. -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전달기는, 복수의 기어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기어는, 상기 복수의 기어 중 일측에 배치되는 기어는 상기 구동기어와 맞물려 회전할 수 있고, 타측에 배치되는 기어는 상기 커버부에 연결되는 차단 장치. -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구동기어는, 랙기어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기어 중 일측에 배치되는 기어는, 상기 구동기어에 의해 회전할 수 있는 피니언기어를 포함하는 차단 장치. -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는,
상기 복수의 기어 중 타측에 배치되는 기어에 삽입되며, 상기 지지대에 설치되는 고정축;
상기 복수의 기어 중 타측에 배치되는 기어와 연결되고, 상기 고정축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회전롤러;
상기 회전롤러에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커버부재; 및
상기 커버부재를 지지하도록, 상기 고정축과 연결되는 지지부재;를 포함하는 차단 장치. -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재는,
하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며, 상기 제2 용기의 상부를 덮을 수 있는 면적을 갖는 플레이트; 및
상기 플레이트와 상기 회전롤러를 연결하는 연결체인;을 포함하는 차단 장치. -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고정축에 설치되며, 상기 커버부재의 하측에 구비되는 복수의 지지바; 및
상기 커버부재와 접촉 가능하고, 상기 복수의 지지바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롤러;를 포함하는 차단 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부산물을 흡입할 수 있도록, 상기 운반기의 이송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에 설치되는 흡입기를 포함하는 차단 장치. -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0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용기는 래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용기는 전로를 포함하는 차단 장치. - 제1 용기에서 제2 용기로 용융물 장입시 발생하는 부산물의 확산을 차단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제1 용기를 이송경로를 따라 이동시키는 과정;
상기 제1 용기의 이동에 의해 동력전달부가 운반기와 접촉하고 가압되며 커버부재를 상기 제2 용기의 상부로 전개시키는 과정;
상기 제1 용기의 용융물을 상기 제2 용기로 장입시키는 과정; 및
상기 부산물의 이동을 차단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차단 방법. -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제1 용기를 이송경로를 따라 이동시키는 과정은,
상기 제1 용기를 상기 제2 용기 쪽으로 이동시키는 과정; 및
상기 제1 용기의 이동에 의해, 상기 커버부재로 동력을 전달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차단 방법. -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재를 상기 제2 용기의 상부로 전개시키는 과정은,
상기 커버부재를 하측으로 경사지게 이동시키는 과정;
상기 커버부재를 상기 제2 용기의 상부에 위치시켜 상기 제2 용기의 상부를 차폐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차단 방법. -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부산물을 제거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고,
상기 부산물을 제거하는 과정은, 상기 제2 용기의 상부에서 이동이 차단된 상기 부산물을 측방향에서 흡입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차단 방법. - 청구항 12 내지 청구항 1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부산물은, 상기 제1 용기에서 상기 제2 용기로 장입시키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분진 및 화염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차단 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71515A KR102179561B1 (ko) | 2019-06-17 | 2019-06-17 | 차단 장치 및 차단 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71515A KR102179561B1 (ko) | 2019-06-17 | 2019-06-17 | 차단 장치 및 차단 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179561B1 true KR102179561B1 (ko) | 2020-11-16 |
Family
ID=736799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071515A KR102179561B1 (ko) | 2019-06-17 | 2019-06-17 | 차단 장치 및 차단 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179561B1 (ko)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9192823A (ja) * | 1996-01-19 | 1997-07-29 | Osamu Asai | 取鍋用の集塵装置 |
JP2002069523A (ja) * | 2000-09-05 | 2002-03-08 | Kawasaki Steel Corp | 転炉の集塵方法及び集塵装置 |
KR20040110560A (ko) * | 2003-06-19 | 2004-12-31 | 주식회사 포스코 | 소둔로 내부의 폭발압력 유도배출용 자동도어장치 |
KR20100074456A (ko) * | 2008-12-24 | 2010-07-02 | 주식회사 포스코 | 빈 자동 개폐 도어장치 |
KR20130055384A (ko) | 2011-11-18 | 2013-05-28 | 주식회사 포스코 | 용선 출탕시 가시분진 발생 방지방법 |
-
2019
- 2019-06-17 KR KR1020190071515A patent/KR102179561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9192823A (ja) * | 1996-01-19 | 1997-07-29 | Osamu Asai | 取鍋用の集塵装置 |
JP2002069523A (ja) * | 2000-09-05 | 2002-03-08 | Kawasaki Steel Corp | 転炉の集塵方法及び集塵装置 |
KR20040110560A (ko) * | 2003-06-19 | 2004-12-31 | 주식회사 포스코 | 소둔로 내부의 폭발압력 유도배출용 자동도어장치 |
KR20100074456A (ko) * | 2008-12-24 | 2010-07-02 | 주식회사 포스코 | 빈 자동 개폐 도어장치 |
KR20130055384A (ko) | 2011-11-18 | 2013-05-28 | 주식회사 포스코 | 용선 출탕시 가시분진 발생 방지방법 |
Non-Patent Citations (1)
Title |
---|
P09192823 A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P0515069B1 (en) | Suspender arm for machinery | |
JP7068224B2 (ja) | ロボットの減速機を支持する治具、及び治具を用いて減速機を交換する方法 | |
KR101132438B1 (ko) | 방수공사용 시트 홀더를 포함하는 터널용 작업대 | |
KR102179561B1 (ko) | 차단 장치 및 차단 방법 | |
CN108453715A (zh) | 输送用工具 | |
JP2009241796A (ja) | 昇降式オーバーヘッドキャリア | |
CA3057488A1 (en) | Apparatus for laser or plasma cutting of pieces of laminar material | |
JP6803669B2 (ja) | スクリーン印刷機 | |
IT9003397A1 (it) | Apparecchiatura per la movimentazione di unita' di lavoro secondo traiettorie a piu' gradi di liberta'. | |
JP6396437B2 (ja) | ベルト交換装置 | |
JP2010110574A (ja) | 布類投入機における布類の受け渡し装置 | |
CN101992930B (zh) | 支撑式输送链条 | |
JP2008074542A (ja) | 昇降装置 | |
JP6693978B2 (ja) | 搬送用ツールおよびロボット | |
DE3512449A1 (de) | Vorrichtung zur winkligen verlagerung und/oder zum bewegen einer an seilen aufgehaengten last | |
JP6496544B2 (ja) | ブラシテーブル清掃具の収納装置,ブラシテーブル清掃具,板材加工機,及びブラシテーブル清掃方法 | |
JP6476868B2 (ja) | ピッキングシステム | |
KR101132479B1 (ko) | 작업바스켓을 포함하는 터널용 작업대 | |
JP2010202357A (ja) | 天井クレーン | |
JP2006021262A (ja) | スイング式パレット交換装置 | |
CN205471418U (zh) | 一种物料输送姿态转换装置 | |
CN111232807B (zh) | 电梯用品起重装置 | |
CN217411961U (zh) | 一种压辊升降组件 | |
CN216967362U (zh) | 一种盘条表面处理装置 | |
CN216971883U (zh) | 一种防水型升降组件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