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47188B1 - 회전형 이중 관절 덕트를 이용한 국소배기장치 - Google Patents

회전형 이중 관절 덕트를 이용한 국소배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47188B1
KR101147188B1 KR1020100017820A KR20100017820A KR101147188B1 KR 101147188 B1 KR101147188 B1 KR 101147188B1 KR 1020100017820 A KR1020100017820 A KR 1020100017820A KR 20100017820 A KR20100017820 A KR 20100017820A KR 101147188 B1 KR101147188 B1 KR 1011471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ct
rotary
exhaust
support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178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98278A (ko
Inventor
한정호
Original Assignee
한정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정호 filed Critical 한정호
Priority to KR10201000178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47188B1/ko
Publication of KR201100982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982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471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471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24F13/0272Modules for easy installation or transpor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revention Of Fou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회전형 이중 관절 덕트를 이용한 국소배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일정한 작업공간 내 위치변경이 잦은 오염배출원 또는 이동 오염 배출원 상부에 위치되는 배기후드와, 상기 배기후드에 연속적으로 연통연결되는 제 1회전덕트, 연결덕트, 제 2회전덕트 및 배기덕트와, 상기 배기후드, 제 1회전덕트, 제 2회전덕트를 오염배출원 측으로 이동되도록 각각을 회전시키는 제 1, 2, 3회전체와, 상기 제 2회전덕트와 연결덕트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체와, 상기 다수의 덕트를 통해 흡입된 오염배출원의 오염물질을 정화시키는 오염물질 처리장치와, 상기 오염물질 처리장치 내에서 정화된 오염물질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송풍장치로 구성되어, 일정 작업공간 내에서 위치에 구애받지 않고 오염배출원 측으로 이동되어 국소배기할 수 있도록 한 회전형 이중 관절 덕트를 이용한 국소배기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회전형 이중 관절 덕트를 이용한 국소배기장치{Local Ventilation System with Rotatable Dual Duct}
본 발명은 작업공간 내 오염지역으로 이동되어 국소배기를 할 수 있도록 한 회전형 이중 관절 덕트를 이용한 국소배기장치에 관한 것이다.
국소배기장치는 일반적으로 오염물질이 많이 발생하는 공장 내부나 가정, 음식점 등에서 사용된다. 특히 국소배기장치는 배기구로부터 떨어진 바닥면에서 부분적인 오염원이 발생하거나, 다른 설치물에 의해 배기구를 오염원 근처에 설치하기 어렵거나, 순간적으로 오염원이 발생하는 경우에 유용하게 사용된다.
그 중, 주물이나 용해와 같이 철이나 비철금속을 다루는 용해, 제련, 주물공정에서는 높은 온도의 금속(흄) 분진을 포집하는데 고정식 배기장치를 사용한다.
그러나 이런 용도로 사용되는 국소배기장치는 여러 가지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는데, 국소배기장치는 배기관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효율이 급격하게 저하되기 때문에 가능한 오염물질의 발생 위치에 가까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고정식 배기장치는, 용해된 쇳물을 주형에 주입하거나 탈사작업과 같이 이동성이 큰 작업의 경우에는 적용이 불가능하다.
이러한 이유로 대차가 구비된 이동식 국소배기장치를 사용하지만 작업공정 및 작업자들의 움직임에 방해되기 때문에 설치 조건상의 제약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일정한 작업공간 내에 위치 변경이 잦은 오염배출원이 있거나 또는 이동 오염배출원이 있는 경우, 최소의 배기유량으로 최대의 오염방지 효과를 얻기 위해, 해당 작업공간 내의 어느 위치라도 이동하여 효과적인 국소배기를 할 수 있도록 한 회전형 이중 관절 덕트를 이용한 국소배기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에 설명될 것이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작업공간 내부에서 위치변경이 잦은 오염배출원 또는 이동 오염 배출원의 상부에 위치되어 오염물질을 흡입하는 배기후드와; 상기 배기후드를 회전시키기 위해 배기후드의 상부에 설치되는 제 1회전체와; 상기 배기후드와 일단이 연통연결되되, 상기 배기후드와 연통연결되는 일단은 하부로 절곡되고, 외주연에 다수의 배기공이 천공형성된 타단은 상부로 절곡된 형태를 가지는 제 1회전덕트와; 상기 제 1회전덕트의 타단 외주연에 돌출형성되어, 상기 제 1회전덕트가 회전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기 제 1회전덕트가 작업공간 내 오염원 부근에 위치될 수 있도록 하는 제 2회전체와; 상기 배기공이 천공형성된 제 1회전덕트의 타단을 부가 회전체에 의해 회전가능토록 내설하는 연결덕트와; 상기 연결덕트에 일단이 연통연결되며, 타단이 하부로 절곡된 제 2회전덕트와; 상기 제 2회전덕트의 타단 외주연에 돌출형성되어, 상기 제 2회전덕트가 회전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기 제 2회전덕트가 작업공간 내 오염원 부근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하는 제 3회전체와; 상기 제 2회전덕트에 일단이 연통연결되는 배기덕트와; 상기 제 2회전덕트와 연결덕트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재와; 상기 배기덕트로부터 이동된 오염물질을 정화시키는 오염물질 처리장치와; 상기 오염물질 처리장치 내에서 정화된 오염물질을 외부로 배출하는 송풍장치;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상기 제 1, 2, 3회전체는 스러스트 베어링(Thrust Bearing)이 사용되며, 사용자의 작동에 의해 수동으로 회전되거나, 또는 상기 제 1, 2, 3회전체의 각 외주연에 감기는 동력전달수단 및 상기 동력전달수단을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수단에 의해 전동으로 회전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지부재는 작업공간 내벽에 수직으로 설치고정되는 고정빔과; 상기 고정빔에서 제 2회전덕트 측을 향해 돌출형성되는 다수의 고정편과; 상기 제 2회전덕트 길이방향 상부면 및 연결덕트의 상부면에 고정설치되되, 일단은 상기 고정편에 회전가능토록 연결되는 지지체와; 상기 지지체에서 연장되어 제 2회전덕트의 외주연에 고정되는 부가 지지체; 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제 2회전덕트 및 연결덕트의 상부면에 고정설치되는 수평 지지체와; 상기 수평 지지체의 일단에 수직으로 연장설치되는 수직 지지체와; 일단은 상기 수평 지지체의 일단부에 고정되고, 타단은 수직 지지체 내부에 위치되는 고정라인과; 상기 수직 지지체 내에서 고정라인의 타단에 고정설치되는 무게추와; 상기 수직 지지체 상부에 설치되어 고정라인의 중단을 지지하며 도르레 부재;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배기후드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전면에 형성되는 개구부와; 상기 하우징이 상부를 향해 폭이 점차 증가되도록, 하우징의 후면부에서 일정각도 기울어져 형성되는 안내판과, 상기 하우징 내에서 길이방향으로 등간격 이격되며 안내판에 형성되는 상향경사진 다수의 가이드판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와 연통되도록 상면에 직립설치되어, 일단에 상기 제 1회전체가 설치되는 연결관; 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배기후드는 상기 연결관과 하우징을 회전축에 의해 상호 연결시켜, 상기 하우징이 회전축을 기준으로 상, 하 유동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다수의 덕트를 다수의 회전체로 연결하여 구성함으로써, 일정 작업공간 내에서 오염배출원 또는 이동 오염배출원이 있는 어느 위치에도 이동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해당 오염배출원 부분을 국소배기함으로써, 최소의 배기유량으로 최대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국소배기장치를 나타낸 일실시예의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국소배기장치를 나타낸 일실시예의 설치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국소배기장치의 첫 번째 실시예(수동방식)를 나타낸 일실시예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국소배기장치의 첫 번째 실시예(전동방식)를 나타낸 일실시예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국소배기장치의 두 번째 실시예(수동방식)를 나타낸 일실시예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국소배기장치의 두 번째 실시예(전동방식)를 나타낸 일실시예의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연결덕트를 나타낸 도 3의 A부분 정면 단면도.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 전에, 다음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되거나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의 구성 및 배열들의 상세로 그 응용이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다른 실시예들로 구현되고 실시될 수 있고 다양한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다. 또, 장치 또는 요소 방향(예를 들어 "전(front)", "후(back)", "위(up)", "아래(down)", "상(top)", "하(bottom)", "좌(left)", "우(right)", "횡(lateral)")등과 같은 용어들에 관하여 본원에 사용된 표현 및 술어는 단지 본 발명의 설명을 단순화하기 위해 사용되고, 관련된 장치 또는 요소가 단순히 특정 방향을 가져야 함을 나타내거나 의미하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제 1(first)", "제 2(second)", 및 "제 3(third)"과 같은 용어는 설명을 위해 본원 및 첨부 청구항들에 사용되고 상대적인 중요성 또는 취지를 나타내거나 의미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아래의 특징을 갖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회전형 이중 관절 덕트를 이용한 국소배기장치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회전형 이중 관절 덕트를 이용한 국소배기장치는 배기후드(10), 제 1회전체(20), 제 1회전덕트(30), 제 2회전체(40), 연결덕트(50), 제 2회전덕트(60), 제 3회전체(70), 배기덕트(80), 지지부재(90), 오염물질 처리장치(100), 송풍장치(110)를 포함한다.
상기 배기후드(10)는 일정한 작업공간 내에서 위치 변경이 잦은 오염배출원 또는 이동 오염배출원의 상부에 위치되어, 오염배출원(오염원, P)에서 발생되는 분진, 가스, 오염공기 등의 다양한 오염물질(C)을 흡입하기 위한 것으로, 몸체인 하우징(11)의 상부에 연통되도록 연결관(16)을 직립형성하고, 상기 하우징(11)의 전면에는 오염물질(C)이 유입될 수 있도록 하는 개구부(12)가 형성되고, 상부를 향해 폭(D)이 점차 증가되도록 후면부를 향해 일정각도 기울여 안내판(13)을 형성하고, 상기 안내판(13)에는 상향경사진 다수의 가이드판(14)의 길이방향으로 등간격 이격시키며 형성한다. (물론, 상기의 배기후드(10)는 사용자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변경가능함은 당연하다.)
더불어, 상기 배기후드(1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관(16)과 하우징(11)을 회전축(15)으로 연결하여, 상기 회전축(15)을 기준으로 하우징(11)이 상, 하로 유동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 1회전체(20)는 배기후드(10)의 상부측 외주연에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스러스트 베어링(Thrust Bearing)이 사용되었으며 이는 후술될 제 2회전체(40)와 제 3회전체(70) 및 부가 회전체(51) 모두에 동일하게 적용된다.(물론, 회전이 가능한 형태라면 스러스트 베어링 외에 다른 형태로 적용이 가능함은 당연할 것이다.) 즉, 상기 배기후드(10)가 일측면에 개구부(12)가 형성된 형태인 경우, 상기 개구부(12)가 오염배출원 측에 대향될 수 있도록 배기후드(10)를 회전시킬 때 사용되는 부분이다.
상기 제 1회전체(20)를 회전시키는 방법은 사용자가 직접 제 1회전체(20)를 잡고 회전시켜 배기후드(10)가 회전되도록 하는 수동방식과, 상기 제 1회전체(20)의 외주연에 다양한 동력전달수단(120)(벨트, 체인 등 사용자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을 감고, 상기 제 1회전체(20)의 외주연에 감겨져 있는 상기 동력전달수단(120)을 구동수단(구동모터 등)(111)의 회전축을 연결시켜, 상기 동력전달수단(120)이 구동수단(121)의 회전에 의해 회전되고, 그 회전력은 제 1회전체(20)에 전달되어 결국 배기후드(10)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하는 전동방식 중 하나가 사용될 수 있다. (물론, 상기 동력전달수단(120)이 감기는 제 1회전체(20)의 외주연에는 동력전달수단(120)의 미끄럼방지를 위한 요철부(β)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전동방식에서는 상기 구동수단(121)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구동수단(121)의 회전속도 및 회전방향을 제어하는 제어장치(미도시)가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별도로 설치될 수 있음이다.)
이러한 상기의 수동방식과 전동방식은 후술 될 제 2회전체(40) 및 제 3회전체(70)의 회전에도 동일하게 적용됨을 사전에 밝혀둔다.
상기 제 1회전덕트(30)는 배기후드(10)에 상부에 일단이 연통연결되고, 타단은 후술 될 연결덕트(50)에 연통연결되는 것으로, 오염물질이 이동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 1회전덕트(30)는 배기후드(10)의 상부에서, 일단은 배기후드(10)와 연통시킨다. 사용자에 따라서는 상기 배기후드(10)의 상부측을 향해 하향경사진 형태로 설치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때, 상기 배기후드(10)와 연통연결되는 일단은 하부로 절곡되어 배기후드(10)의 상부에 수직으로 연통연결되도록 하고, 상기 제 1회전덕트(30)의 타단은 상부로 절곡되어 '┌┘'와 같은 형태를 가지도록 한다.
상기 제 2회전체(40)는 제 1회전덕트(30)의 타단 외주연에 일체형으로 돌출형성되어, 상기 제 1회전체(20)가 회전되는 것과 동일한 방식으로 회전되어, 상기 일단에 배기후드(10)가 연결된 제 1회전덕트(30)를 작업공간 내 오염원(P) 부근으로 위치시킨다.
상기 연결덕트(50)는 제 2회전체(50)가 형성되어 있는 제 1회전덕트(40)의 타단부를 내설하는 것으로, 상기 제 1회전덕트(40)는 연결덕트(50)의 저면에서 관통되어 내부로 일정길이 수직 내입되어, 상기 연결덕트(50) 내부 상, 하면 각각에 부가 회전체(51)(본 발명에서는 상기 부가 회전체(51)로 스러스트 베어링이 사용되어 있다.)에 회전가능토록 연결된다. 즉, 상기 제 1회전덕트(40)가 회전시, 상기 제 1회전덕트(40)의 타단이 연결덕트(50)에 연결된 채로 회전가능하게 형성한 것이다.
더불어, 상기와 같이 연결덕트(50)에 내설된 제 1회전덕트(40) 외주연에는 다수의 배기공(41)이 천공형성되도록 하며, 이러한 다수의 배기공(41)을 통해 오염물질이 제 1회전덕트(40)에서 연결덕트(50)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제 2회전덕트(60)는 일단이 연결덕트(50)의 일측에 연통연결되고, 제 2회전덕트(60)의 타단은 후술 될 배기덕트(80)에 연통연결되어, 상기 제 1회전덕트(30)와 연결덕트(50)를 순차적으로 이동한 오염물질이 배기덕트(80)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제 2회전덕트(60)는 '┌' 형태와 같이, 타단이 하부로 절곡되어 수직 형태를 가지도록 한 후, 전술된 바와 같이, 양단이 연결덕트(50)와 배기덕트(80)에 각각 연통연결된다.
상기 제 3회전체(70)는 제 2회전덕트(60)의 타단 외주연에 일체형으로 돌출형성되어, 상기 제 1회전체(20) 또는 제 2회전체(40)가 회전되는 것과 동일한 방식으로 회전되어, 상기 제 2회전덕트(60)를 작업공간 내 오염원(P) 부근으로 위치시킨다.
상기 배기덕트(80)는 제 2회전덕트(60)에 일단이 연통연결되고, 타단은 후술 될 오염물질 처리장치(100)에 연결되도록 한다.
이러한 배기덕트(80)는 사용자에 따라서는 지면에 직립설치하여 고정하고, 배기덕트(80)의 중단에 별도의 배기덕트(80)를 분기하여 오염물질 처리장치(100)에 연결하거나 또는 단일개의 상기 배기덕트(80) 중단을 절곡하여 상기 타단은 오염물질 처리장치(100)에 연결시키는 등 다양한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재(90)는 직립설치되는 배기덕트(80)에 제 1회전덕트(30), 연결덕트(50), 제 2회전덕트(60) 및 배기후드(10) 등이 연통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장치 전체가 배기후드(10) 측으로 기울어질 수 있는데, 제 2회전덕트(60)와 연결덕트(50)를 지지함으로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설치한 구성이다.
본 발명에서는 2가지의 실시예를 실시하고 있는데,
첫 번째 실시예로는, 고정빔(91)을 이용한 것으로, 상기 작업공간 내벽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고정빔(91)과, 상기 고정빔(91)에서 제 2회전덕트(60)를 향해 돌출형성되는 다수의 고정편(92)과, 상기 제 2회전덕트(60)의 길이방향 상부면 및 연결덕트(50) 상부면에 고정설치되되, 일단은 상기 제 2회전덕트(60)와 회전가능토록 연결되는 지지체(93)와, 상기 지지체(93)에서 외측으로 연장되어 제 2회전덕트(60)의 외주연에 고정되는 부가 지지체(94)로 이루어진다.
더욱 자세히 설명하면, 상기 고정편(92)의 단부에는 관통공(92')이 천공형성되어 있으며, 이러한 고정편(92)은 고정빔(91)의 길이방향으로 다수개가 돌출형성되도록 한다. 이후, 상기 제 2회전덕트(60)에 고정설치되어 있는 지지체(93)의 일단에 상기 관통공(92')에 대응되며 끼워질 수 있는 관통봉(93')을 형성한 후, 상기 관통봉(93')이 다수의 고정편(92) 관통공(92')을 순차적으로 관통되어 결합되도록 한다. 이로써, 상기 제 3회전체(70)가 회전하게 되면, 상기 제 2회전덕트(60)가 회전하게 되고, 제 2회전덕트(60)가 회전함에 따라 지지체(93) 또한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게 되는 것이며, 상기 지지체(93)와 연결된 다수의 고정편(92)에 의해 제 2회전덕트(60) 및 연결덕트(50)는 자체 무게에 의해 일단부가 하단으로 기울어지지 않는 것이다.
두 번째 실시예로는, 무게추(99)를 이용한 것으로, 상기 제 2회전덕트(60) 및 연결덕트(50)의 상면에 길이방향으로 고정설치되는 수평 지지체(96)와, 상기 배기덕트(80)에 대향되도록 상기 수평 지지체(96)의 일단에서 수직으로 연장설치되는 수직 지지체(97)와, 상기 수평 지지체(96)의 일단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수직 지지체(97) 내부에 위치되는 고정라인(98)과, 상기 고정라인(98)의 타인에 고정되어 수직 지지체(97) 내에 위치되어 고정라인(98)을 잡아당김으로써, 제 2회전덕트(60)가 기울어지지 않도록 하는 무게추(99)와, 상기 수직 지지체(97) 상부에 고정설치되어 고정라인(98)의 중단을 지지하되 회전 가능한 도르레 부재(99')로 구성된다.
다시 말해, 고정라인(98)의 타단이 무게추(99)에 의해 당겨지고, 고정라인(98)은 수평 지지체(96)에 고정되어 있음으로 인하여, 수평 지지체(96)가 고정되어 있는 제 2회전덕트(60)가 기울어지지 않도록 지탱되는 것이다.
상기 오염물질 처리장치(100)는 전술된 바와 같이, 배기후드(10), 제 1회전덕트(30), 연결덕트(50), 제 2회전덕트(60), 배기덕트(80)를 순차적으로 이동한 오염물질이 정화되도록(사용자에 선택에 의해 다양한 필터 및 정화장치가 내장될 수 있다.)하는 곳으로, 이를 위해, 상기 오염물질 처리장치(100)는 배기덕트(80)와 연결된다. 물론, 상기 오염물질 처리장치(100)에 별도의 흡입장치(미도시)가 설치되어 있어야 함은 당연할 것이며, 이러한 흡입장치를 통해 배기후드(10)에서부터 오염물질 처리장치(100) 측으로 오염물질이 제 1회전덕트(30), 연결덕트(50), 제 2회전덕트(60), 배기덕트(80)를 이동하여 흡입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상기 송풍장치(110)는 오염물질 처리장치(100)에 연결되어, 상기 오염물질 처리장치(100)에서 정화된 오염물질을 외부로 배출시키시키는 장치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 배기후드 11: 하우징
12: 개구부 13: 안내판
14: 가이드판 15: 회전축
16: 연결관 20: 제 1회전체
30: 제 1회전덕트 40: 제 2회전체
41: 배기공 50: 연결덕트
51: 부가 회전체 60: 제 2회전덕트
70: 제 3회전체 80: 배기덕트
90: 지지부재 91: 고정빔
92: 고정편 92': 관통공
93': 관통봉 93: 지지체
94: 부가 지지체 96: 수평 지지체
97: 수직 지지체 98: 고정라인
99: 무게추 99': 도르레 부재
100: 오염물질 처리장치 110: 송풍장치
120: 동력전달수단 121: 구동수단

Claims (6)

  1. 작업공간 내부에서 위치변경이 잦은 오염배출원 또는 이동 오염 배출원의 상부에 위치되어 오염물질을 흡입하는 배기후드(10)와;
    상기 배기후드(10)를 회전시키기 위해 배기후드(10)의 상부에 설치되는 제 1회전체(20)와;
    상기 배기후드(10)와 일단이 연통연결되되, 상기 배기후드(10)와 연통연결되는 일단은 하부로 절곡되고, 외주연에 다수의 배기공(41)이 천공형성된 타단은 상부로 절곡된 형태를 가지는 제 1회전덕트(30)와;
    상기 제 1회전덕트(30)의 타단 외주연에 돌출형성되어, 상기 제 1회전덕트(30)가 회전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기 제 1회전덕트(30)가 작업공간 내 오염원(P) 부근에 위치될 수 있도록 하는 제 2회전체(40)와;
    상기 배기공(41)이 천공형성된 제 1회전덕트(30)의 타단을 부가 회전체(51)에 의해 회전가능토록 내설하는 연결덕트(50)와;
    상기 연결덕트(50)에 일단이 연통연결되며, 타단이 하부로 절곡된 제 2회전덕트(60)와;
    상기 제 2회전덕트(60)의 타단 외주연에 돌출형성되어, 상기 제 2회전덕트(60)가 회전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기 제 2회전덕트(60)가 작업공간 내 오염원(P) 부근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하는 제 3회전체(70)와;
    상기 제 2회전덕트(60)에 일단이 연통연결되는 배기덕트(80)와;
    상기 제 2회전덕트(60)와 연결덕트(50)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재(90)와;
    상기 배기덕트(80)로부터 이동된 오염물질을 정화시키는 오염물질 처리장치(100)와;
    상기 오염물질 처리장치(100) 내에서 정화된 오염물질을 외부로 배출하는 송풍장치(11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배기후드(10)는 하우징(11)과, 상기 하우징(11)의 전면에 형성되는 개구부(12)와, 상기 하우징(11)이 상부를 향해 폭(D)이 점차 증가되도록, 하우징(11)의 후면부에서 일정각도 기울어져 형성되는 안내판(13)과, 상기 하우징(11) 내에서 길이방향으로 등간격 이격되며 안내판(13)에 형성되는 상향경사진 다수의 가이드판(14)과, 상기 하우징(11)의 내부와 연통되도록 상면에 직립설치되어, 일단에 상기 제 1회전체(20)가 설치되는 연결관(16)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형 이중 관절 덕트를 이용한 국소배기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2, 3회전체(20, 40, 70)는
    스러스트 베어링(Thrust Bearing)이 사용되며,
    사용자의 작동에 의해 수동으로 회전되거나,
    또는 상기 제 1, 2, 3회전체(20, 40, 70)의 각 외주연에 감기는 동력전달수단(120) 및 상기 동력전달수단(120)을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수단(121)에 의해 전동으로 회전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형 이중 관절 덕트를 이용한 국소배기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90)는
    작업공간 내벽에 수직으로 설치고정되는 고정빔(91)과;
    상기 고정빔(91)에서 제 2회전덕트(60) 측을 향해 돌출형성되는 다수의 고정편(92)과;
    상기 제 2회전덕트(60) 길이방향 상부면 및 연결덕트(50)의 상부면에 고정설치되되, 일단은 상기 고정편(92)에 회전가능토록 연결되는 지지체(93)와;
    상기 지지체(93)에서 연장되어 제 2회전덕트(60)의 외주연에 고정되는 부가 지지체(94);
    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형 이중 관절 덕트를 이용한 국소배기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90)는
    상기 제 2회전덕트(60) 및 연결덕트(50)의 상부면에 고정설치되는 수평 지지체(96)와;
    상기 수평 지지체(96)의 일단에 수직으로 연장설치되는 수직 지지체(97)와;
    일단은 상기 수평 지지체(96)의 일단부에 고정되고, 타단은 수직 지지체(97) 내부에 위치되는 고정라인(98)과;
    상기 수직 지지체(97) 내에서 고정라인(98)의 타단에 고정설치는 무게추(99)와;
    상기 수직 지지체(97) 상부에 설치되어 고정라인(98)의 중단을 지지하며 도르레 부재(99');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형 이중 관절 덕트를 이용한 국소배기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후드(10)는
    상기 연결관(16)과 하우징(11)을 회전축(15)에 의해 상호 연결시켜, 상기 하우징(11)이 회전축(15)을 기준으로 상, 하 유동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형 이중 관절 덕트를 이용한 국소배기장치.
  6. 삭제
KR1020100017820A 2010-02-26 2010-02-26 회전형 이중 관절 덕트를 이용한 국소배기장치 KR1011471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7820A KR101147188B1 (ko) 2010-02-26 2010-02-26 회전형 이중 관절 덕트를 이용한 국소배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7820A KR101147188B1 (ko) 2010-02-26 2010-02-26 회전형 이중 관절 덕트를 이용한 국소배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98278A KR20110098278A (ko) 2011-09-01
KR101147188B1 true KR101147188B1 (ko) 2012-05-25

Family

ID=449518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17820A KR101147188B1 (ko) 2010-02-26 2010-02-26 회전형 이중 관절 덕트를 이용한 국소배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4718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8105B1 (ko) * 2019-11-11 2020-08-25 백화현 무빙 덕트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집진 설비
KR102224042B1 (ko) 2020-07-28 2021-03-05 김진한 용해로용 고정식 집진 후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02083B1 (ko) * 2019-03-28 2021-01-12 케이엔텍 주식회사 흡입관 익스텐션 아암 구조체
KR102308558B1 (ko) * 2020-03-19 2021-10-01 승철진 가정용 배풍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164921U (ko) 1987-04-13 1988-10-27
KR200292936Y1 (ko) 2002-07-22 2002-10-25 주식회사씨애치씨랩 실험실용 다관절식 후드 시스템
KR20070010954A (ko) * 2005-07-20 2007-01-24 황순옥 주방용 후드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164921U (ko) 1987-04-13 1988-10-27
KR200292936Y1 (ko) 2002-07-22 2002-10-25 주식회사씨애치씨랩 실험실용 다관절식 후드 시스템
KR20070010954A (ko) * 2005-07-20 2007-01-24 황순옥 주방용 후드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8105B1 (ko) * 2019-11-11 2020-08-25 백화현 무빙 덕트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집진 설비
KR102224042B1 (ko) 2020-07-28 2021-03-05 김진한 용해로용 고정식 집진 후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98278A (ko) 2011-09-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47188B1 (ko) 회전형 이중 관절 덕트를 이용한 국소배기장치
CN1789825A (zh) 抽油烟机
CN104562164A (zh) 一种电镀生产线排气系统
KR101556401B1 (ko) 이동식 집진장치
CN105499247A (zh) 一种旋转式顶吸除尘系统及其除尘方法
CN211358022U (zh) 一种废气处理用过滤机构
CN213826240U (zh) 一种水平除尘管道清灰装置
CN104368581B (zh) 可移动负压式净化装置及可移动负压式净化系统
KR20070037296A (ko) 레이들을 이용한 용탕반송장치
CN209035553U (zh) 一种管材高效切割装置
CN209798056U (zh) 移动式热镀锌烟气吸收罩
CN209830258U (zh) 一种钢水包倒包吹包工位除尘装置
CN209042388U (zh) 一种用于干化污泥的垃圾燃烧装置
JP4231908B2 (ja) 塵等含有空間の清浄化システム及び塵等含有空間の清浄化方法
CN111596009A (zh) 一种建筑工程检测用安全预警装置
CN217327405U (zh) 除尘装置
CN211358005U (zh) 一种废气处理滤芯清洁机构
CN213322602U (zh) 一种工程机械车辆的移动式空气净化装置
CN216882015U (zh) 一种具有除尘功能的加气块切割机
CN214064951U (zh) 一种移动吸尘装置
CN214814316U (zh) 一种能自动翻转板材的共板法兰机
CN210254738U (zh) 一种具有排烟装置的激光切割设备
CN219233455U (zh) 一种废气多级抽吸装置
CN212349825U (zh) 一种生产防护服用粉尘收集装置
KR101380349B1 (ko) 회전식 후드를 구비한 이동형 집진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