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10954A - 주방용 후드 장치 - Google Patents

주방용 후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10954A
KR20070010954A KR1020050065968A KR20050065968A KR20070010954A KR 20070010954 A KR20070010954 A KR 20070010954A KR 1020050065968 A KR1020050065968 A KR 1020050065968A KR 20050065968 A KR20050065968 A KR 20050065968A KR 20070010954 A KR20070010954 A KR 200700109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ct
stopper
kitchen
laryngeal
kitchen ho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659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순옥
Original Assignee
황순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순옥 filed Critical 황순옥
Priority to KR10200500659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10954A/ko
Publication of KR200700109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1095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20Removing cooking fumes
    • F24C15/2071Removing cooking fumes mounting of cooking hoo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20Removing cooking fumes
    • F24C15/2078Removing cooking fumes movab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8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03Ventilation in combination with air clean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2007/001Ventilation with exhausting air duc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ntilation (AREA)

Abstract

렌지후드와 조리대의 거리를 단축함을 물론 상하방향 및 좌우 방향으로 이동이 자유로워 오염된 공기를 신속하게 외부로 배출하며, 조리 시에도 오염된 공기의 외부 확산을 극소화하여 쾌적한 주방환경을 제공하는 주방용 후드장치가 개시된다. 상기 주방용 후드장치는 렌지후드 하부 하부면에 부착되는 후두 부착부; 상기 후두 부착부 일측면에 일단이 연결되어 설치되되, 전후좌우 회동가능하고, 상하 방향으로 길이가 조절될 수 있는 다관절 연결 덕트부; 및 상기 다관절 연결 덕트부 타단에 회전가능 하도록 설치되고, 일측에 투명 재질의 개폐 가능한 조리용 도어가 설치된 환기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용 후드 장치.
주방용 후드장치, 조리대, 싱크대, 렌지 후드, 덕트

Description

주방용 후드장치{Kitchen Hood}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 의한 주방용 후드장치의 사시도
도 2a 는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 의한 후두 부착부의 분해 사시도
도 2b 는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 의한 후두 부착부의 측단면도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 의한 연결 브래킷의 사시도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 의한 철판으로 형성된 렌지후두 하부의 환기공의 형상 및 배열에 따른 연결 브래킷의 연결 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 의한 보조 프레임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 의한 연결 브래킷의 설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 의한 연결 브래킷의 또 다른 설치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 의한 주방용 후드장치의 측단면도
도 8a은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 의한 다관절 연결 덕트부의 일부분의 정면도
도 8b는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 의한 다관절 연결 덕트부의 A-A 단면도 및 그 상세도
도 8c는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 의한 제 1 덕트의 일부분을 도시한 사시도
도 9a는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 의한 제 2 덕트의 측단면도
도 9b는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 의한 여과판의 상세도
도 9c는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 의한 여과장치의 측단면도
도 10a는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 의한 환기부의 사시도
도 10b는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환기부의 사시도
도 11a는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 의한 환기부의 측단면도
도 11b는 본 발명의 따른 일실시예에 의한 환기부의 확대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 의한 설치 상태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 의한 주방용 후드 장치의 사용 상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후두 부착부 (20) : 다관절 연결 덕트부
(21) : 제 1 덕트 (22) : 제 2 덕트
(23) : 제 3 덕트 (24) : 제 4 덕트
(30) : 환기부 (40) : 렌지후드
(50) : 너트 (51) : 와셔
(52) : 볼트 (60) : 조리대
(80) : 조리용기 (90) : 싱크대
(100) : 연결 브래킷 (100a) : 지지측면
(100b) : 제 1 가로장공 (100c) : 제 2 가로장공
(100d) : 제 2 세로 장공 (100e) : 제 1 세로장공
(100f) : 메인 환기공 (100g) : 상면판
(101) : 지지호퍼 (102) : 환기 블로워
(103) : 보조 프레임 (103a) : 가이드 프레임
(103b) : 슬라이드 프레임 (103c) : 슬라이드 프레임 장공
(103d) : 가이드 프레임 장공 (104) : 요홈
(105)(213) : 스토퍼 (106) : 멈춤판
(107)(214) : 스프링 (108) : 실린더
(109) : 손가락 링 (110) : 덕트 연결장치
(210) : 요철 (211) : 고정공
(212) : 슬라이드 홈 (213a) : 고정 돌기
(213b)(230)(232) : 걸림턱 (215) : 멈춤턱
(216) : 방열판 (220)(240) : 걸림돌기
(221)(231) : 베어링 (223) : 여과장치
(223a) : 여과부위 (223b) : 구멍
(223c) : 여과판 (224) : 가이드 홀
(225) : 가이드 장공 (226) : 멈춤공
(250) : 고정 장치 (300) : 조리용 도어
(301) : 힌지 (302) : 열전달 방지판
(303) : 흡입 홀 (304) : 배출 홀
본 발명은 주방용 후드장치에 관한 것으로, 주방에서 취사시 발생되는 매연이나 수증기 또는 냄새 등을 조리를 하면서 주방 외부로 신속하게 배출시킬 수 있는 주방용 후드장치에 관한 것이다.
주방은 여러 가지 음식을 조리하고 차리는 곳으로, 음식 조리시 연기, 수증기, 냄새 등이 발생되며, 이와 같이 발생되는 연기, 수증기, 냄새 등은 가스렌지 상부에 위치하도록 싱크대 일측에 설치된 렌지후드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며, 렌지후드는 내부에 설치된 블로워에 의해 하부의 오염공기를 흡입하고 흡입된 오염공기는 외부와 연결된 덕트를 따라 외부로 배출된다.
그러나 음식 조리시 발생되는 연기, 수증기, 냄새 등은 수직으로 상승한다기 보다는 넓게 주방으로 퍼지게 되나, 종래에는 오염공기를 흡입하는 렌지후드와 음식을 조리하는 가스렌지 등의 조리 사이의 거리가 멀기 때문에 넓게 퍼지는 오염공기를 흡입하여 외부로 배출하기 곤란하였다. 또한, 렌지후드의 위치가 고정되어 있어 렌지후드에 설치된 블로워의 힘만으로는 넓게 확산된 오염공기를 모두 외부로 배출할 수 없으며, 장시간 가동하더라도 렌지후드 근처에 퍼진 오염공기만을 외부로 배출할 수 있으므로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렌지후드와 조리대의 거리를 단축함은 물론 그 위치 또한 전후, 좌우, 상하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여 오염공기를 신속하게 외부로 배출하고, 조리 시에도 오염공기의 외부 확산을 극소화하여 쾌적한 주방환경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주방용 후드장치에 있어서, 렌지후드 하부면에 부착되는 후두 부착부; 상기 후두 부착부 일측면에 일단이 연결되어 설치되되, 전후좌우 회동가능하고, 상하 방향으로 길이가 조절될 수 있는 다관절 연결 덕트부; 및 상기 다관절 연결 덕트부 타단에 회전가능 하도록 설치되고, 일측에 투명 재질의 개폐 가능한 조리용 도어가 설치된 환기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용 후드 장치를 제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 의한 주방용 후드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주방용 후드장치는 후두 부착부(10); 상기 후두 부착부(10) 일측면에 일단이 연결되어 설치되되, 전후좌우 회동가능하고, 상하 방향으로 길이가 조절될 수 있는 다관절 연결 덕트부(20); 및 상기 다관절 연결 덕트부(20) 타단에 회전가능 하도록 설치되고, 일측에 투명 재질의 개폐 가능한 조리용 도어가 설치된 환기부(30)로 구성된다.
도 2a 는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 의한 후두 부착부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b 는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 의한 후두 부착부의 측단면도이다. 도 2a 및 도 2b 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후드 부착부(10)는 렌지후두 하부 하부면에 연결 고정되는 연결 브래킷(100); 상기 연결 브래킷(100) 양측면에 내측면 상단이 연결 고정되며, 그 내부에 환기 블로워(102)가 설치된 지지호퍼(101); 및 상기 지지호퍼(101) 일측 하부에 설치되어 다관절 연결 덕트부(20)를 연결 고정시키는 덕트 연결장치(110)로 구성된다. 상기 지지호퍼(101)는 흡입된 공기가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다관절 연결 덕트부(20)의 직경보다 큰 공간을 제공하며, 그 내부에 환기 블로워(102)가 설치됨으로써 보다 많은 양의 공기를 빠르게 배출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후두 부착부(10)는 도 6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렌지후두 하부(400) 상부면에 양단이 고정되고, 양측단은 상기 연결 브래킷(100)과 연결되는 보조 프레임(103)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 의한 연결 브래킷의 사시도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 브래킷(100)은 지지호퍼(101) 내부 양측면에 연결 고정되는 한 쌍의 지지측면(100a); 상기 한 쌍의 지지측면(100a) 상부면에 양측단이 연결된 상면판(100g); 상기 상면판(100g) 양측에 타공되어 형성된 제 1, 2 세로 장공(100e)(100d); 상기 상면판(100g) 전, 후측에 타공되어 형성된 제 1, 2 가로 장공(100b)(100c); 및 상기 상면판(100g) 중앙부에 타공되어 형성된 메인 환기공(100f)으로 구성된다. 상기 상면판(100g)의 양측단 및 전단은 직선으로 형성되며, 후단은 원호 형태로 형성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 의한 연결 브래킷의 설치 사시도로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 브래킷(100)은 렌지후두 하부(400)에 상면판(100g)을 부착시킨 후, 상기 렌지후두 하부(400)에 타공된 환기공과 제 1, 2 가로 장공(100b)(100c) 및 제 1, 2 세로 장공(100e)(100d)을 맞춘 다음, 와셔(51)를 낀 볼트(52)와 너트(50)로 상기 렌지후두 하부(400)에 체결 고정시킨다.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 의한 철판으로 형성된 렌지후두 하부의 환기공의 형상 및 배열에 따른 연결 브래킷의 연결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3b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철판으로 형성된 렌지후두 하부는 도 3b의 A, B, C, D와 같이 형성되어 있다. 도 3b의 A는 직경 5mm의 환기공(401)이 가로, 세로 5mm씩 떨어져 일정한 간격으로 타공된 것이고, 도 3b의 B는 가로, 세로 길이가 5mm인 정사각형 형태의 환기공(401)이 가로, 세로 5mm씩 떨어져 일정한 간격으로 타공된 것이며, 도 3b의 C는 그 길이가 20mm인 환기장공(402)과 환기공(401)이 가로, 세로 5mm씩 떨어져 일정한 간격으로 교번되도록 타공된 것이며, 도 3b의 D는 상기 환기장공(402)이 가로, 세로 5mm씩 떨어져 일정한 간격으로 타공된 것이다. 상기와 같이 여러 가지 형상으로 타공된 환기공(401) 및 환기장공(402)을 구비하며, 그 배열 또한 다양하게 형성된 렌지후두 하부(400)에 연결 브래킷(100)을 부착하기 위해서는, 상기 제 2 가로 장공(100c)의 너비는 상기 제 1 가로 장공(100b)의 너비의 1.5 내지 2배 정도로 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며, 상기 제 2 세로 장공(100d)의 너비 또한 상기 제 1 세로 장공(100e)의 너비의 1.5 내지 2배 정도로 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 의한 주방용 후드장치의 측단면도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덕트 연결장치(110)는 상기 지지호퍼 일측면 하부에 형성된 요홈(104); 상기 지지호퍼 내부 하부면 일측에 돌출되어 형성된 실린더(108); 상기 실린더(108) 내부에 삽입되되, 일측 끝단은 상기 실린더(108)의 상부면 외부로 돌출되고, 타측은 상기 지지호퍼 외부로 돌출되도록 삽입된 스토퍼(105); 상기 스토퍼(105) 일측 끝단에 장착된 손가락 링(109); 상기 스토퍼(105) 타측에 장착되어 상기 스토퍼(105)가 상하 이동함에 따라 상기 실린더(108) 양측면을 따라 상하 이동되는 멈춤판(106); 및 상기 실린더(108) 내부에 삽입되어 일측단은 상기 멈춤판(106)에 지지되고, 타측단은 상기 지지호퍼 하부면에 지지되는 스프링(107)으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덕트 연결장치(110)는 제 1 덕트(21)의 요철(210)을 상기 요홈(104)에 삽입되도록 상기 제 1 덕트(21)를 후두 부착부(10)에 연결한 후, 상기 손가락 링(109)을 하부로 잡아당겨 스토퍼(105)의 구속을 해지시킨 다음, 상기 제 1 덕트(21)를 사용자가 원하는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때 스프링(107)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스토퍼(105)는 손가락 링(109)에 가해진 힘을 제거하면 상부로 이동하여 상기 고정공(211)에 스토퍼(105)의 일측단이 삽입되어 상기 제 1 덕트(21)의 회동을 구속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 의한 보조 프레임의 사시도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조 프레임(103)은 렌지후두 하부(400) 상 부면 일측단에 연결 고정되는 가이드 프레임(103a); 상기 가이드 프레임(103a) 양측에 타공된 한 쌍의 가이드 프레임 장공(103d); 상기 가이드 프레임(103a) 양측에 그 양단이 삽입되어 슬라이딩 될 수 있도록 하여, 상기 렌지후두 하부(400)의 폭 넓이에 맞도록 그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슬라이드 프레임(103b); 및 상기 슬라이드 프레임(103b) 양측에 타공된 한 쌍의 슬라이드 프레임 장공(103c)으로 구성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 의한 연결 브래킷의 또 다른 설치 사시도로서, 도 6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알루미늄으로 제작된 렌지후두 하부(400)는 주방용 후두장치의 무게에 의해 하부방향으로 처지는 경우가 발생함으로써 보조 프레임(103)을 사용함으로써 그 처짐을 방지한다. 알루미늄으로 제작된 렌지후두 하부(400)에 연결 브래킷(100)을 설치하는 방법은 슬라이드 프레임(103b)을 가이드 프레임(103a)으로부터 슬라이딩 시켜 빼거나, 슬라이드 프레임을(103b) 가이드 프레임(103a)에 삽입시킴으로써 보조 프레임(103)의 길이를 상기 렌지후두 하부(400)의 폭과 같아지도록 조절한 후, 상기 보조 프레임(103)의 전, 후단을 볼트(52) 및 너트(50)로 상기 렌지후두 하부(400) 전, 후단에 고정하며, 상기 가이드 프레임 장공(103d) 및 슬라이드 프레임 장공(103c)과 상기 연결 브래킷(100)의 제 1, 2 세로 장공(100e)(100d)이 일치하도록 연결 브래킷(100)을 이동시킨 다음, 와셔(51)를 낀 볼트(52)와 너트(50)를 사용하여 렌지후두 하부(400)에 연결 브래킷(100)을 연결 고정시킨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다관절 연결 덕트부(20)는 지지호퍼(101) 일 측면에 일측 끝단이 삽입되어 연결되되, 사용자가 원하는 각도로 회동시켜 고정할 수 있는 제 1 덕트(21); 상기 제 1 덕트(21) 타측단에 일측단이 삽입되어 사용자가 원하는 길이로 상하 길이를 조정시켜 고정할 수 있으며, 타측단 외주면에는 걸림 돌기(220)가 형성된 제 2 덕트(22); 상기 제 2 덕트(22) 타측 끝단부와 일측단이 연결되되, 양측 끝단부 외주면에 형성된 걸림 턱(230)(232) 중 일측 끝단부 외주면에 형성된 걸림 턱(230)이 상기 걸림 돌기(220)에 끼워지며, 상기 걸림 턱(230)과 걸림 돌기(220) 사이에 베어링(221)이 삽입되도록 연결되어, 상기 제 2 덕트(22)를 중심으로 회동가능한 제 3 덕트(23); 및 상기 제 3 덕트(23) 타측 끝단에 회동 가능하도록 일측단이 연결되되, 일측 끝단부 외주면에 걸림 돌기(240)가 형성되어 상기 제 3 덕트(23) 타측 끝단에 형성된 걸림턱(232)에 끼워지며, 상기 걸림 돌기(240)와 걸림턱(232) 사이에 베어링(231)이 삽입되도록 연결된 제 4 덕트(24)로 구성된다.
도 8a는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 의한 다관절 연결 덕트부의 일부분의 정면도이고, 도 8b는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 의한 다관절 연결 덕트부의 A-A 단면도 및 그 상세도로서, 도 7, 도 8a 및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 덕트(21)는 일측 하부에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슬라이드 홈(212); 상기 슬라이드 홈(212) 하부에 일측은 삽입되고 타측은 돌출되도록 장착된 고정 장치(250); 상기 슬라이드 홈(212) 양측면 상단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고정 장치(250)를 구속시키는 멈춤턱(215); 상기 지지호퍼(101)의 일측면에 돌출 형성된 요홈(104)에 끼워지도록 일측단 외주면에 돌출 형성된 요철(210); 및 상기 요철(210)과 이웃하는 위치의 일 측단 외주면에 일정간격으로 다수개가 타공 형성되어 상기 스토퍼(105)의 일측 끝단부가 삽입되어 회동을 구속할 수 있도록 하는 고정공(211)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고정 장치(250)는 상기 슬라이드 홈(212) 하부에 일측이 삽입 장착되는 스토퍼(213); 상기 슬라이드 홈(212)에 일측이 지지되고, 타측은 상기 스토퍼(213)에 지지되어 상기 스토퍼(213)를 탄성력에 의해 상기 슬라이드 홈(212) 외부로 밀어내는 스프링(214); 상기 스토퍼(213)의 일측 끝단부에 돌출 형성된 고정돌기(213a); 및 상기 스토퍼(213)의 양측면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멈춤턱(215)에 걸림으로써 상기 스프링(214)의 탄성력에 의해 슬라이드 홈(212) 외부로 밀려나는 스토퍼(213)를 구속시키는 걸림턱(213b)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제 2 덕트(22)는 회동되지 않고 상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슬라이드 홈(212)이 끼워지는 가이드 홈(224); 상기 가이드 홈(224) 하부 중앙부에 타공 형성된 가이드 장공(225); 및 상기 가이드 장공(225)의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타공 형성된 다수개의 멈춤공(226)으로 구성된다.
상기 제 1 덕트(21)는 상술한 바와 같이 스토퍼(105)를 하부로 잡아당긴 후, 제 1 덕트(21)를 사용자가 원하는 방향으로 회동시킨 다음, 상기 스토퍼(105)에 가해진 힘을 제거하여 상기 고정공(211)에 스토퍼(105)의 일측 끝단부가 삽입됨으로써 제 1 덕트(21)를 고정시키며, 상기 고정 장치(250)의 스토퍼(213)를 누른 후 제 1 덕트(21) 내부로 상기 제 2 덕트(22)를 밀어 넣거나 잡아당김으로써 그 길이를 조정한 다음, 상기 스토퍼(213)에 가해진 힘을 제거함으로써 스프링(214)의 탄성력에 의해 눌려진 스토퍼(213)가 원상 복귀되어 멈춤공(226)에 고정 돌기(213a)가 걸 림으로써 고정되며, 상기 가이드 장공(225)은 상기 제 2 덕트(22)의 상하 이동시 상기 스토퍼(213)가 걸리지 않도록 하며, 상기 제 3 덕트(23)는 상기 제 2 덕트(22)를 중심으로 회동함으로써 조리용기의 위치에 따라 환기부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도 8c는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 의한 제 1 덕트의 일부분을 도시한 사시도로서, 도 8c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덕트(21) 외주면에는 다수개의 방열판(216)이 일정간격으로 돌출 형성됨으로써 제 1 덕트(21) 내부의 열을 외부로 보다 효율적으로 방출할 수 있도록 한다.
도 9a, 도 9b 및 도 9c는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 의한 제 2 덕트의 측단면도, 여과판의 상세도, 및 여과장치의 측단면도로서, 도 9a, 도 9b 및 도 9c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2 덕트(22) 내부에는 분리형 여과장치(223)가 더 설치되어 구성된다. 상기 여과장치(223) 두개의 몸체로 분리되어 상기 제 2 덕트(22) 내부에 삽입 설치되며, 상기 두개의 몸체로 분리된 여과장치(223)는 알루미늄 재질로 제작되어 열에 의해 팽창함으로써 상기 제 2 덕트(22) 내부에 일체형과 같이 완전히 밀착된다. 상기 여과장치(223) 내부에 설치된 여과판(223c)은 다수개의 구멍(223b)을 구비하고 있으며, 일측에 구멍이 형성되지 않은 여과부위(223a)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여과판(223c)은 제 2 덕트(22) 내주면에 대하여 하부 방향으로 20 내지 80도의 경사각을 형성하도록 설치되되, 여과부위가(223a) 서로 엇갈리도록 다수개가 설치된다.
도 10a은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 의한 환기부의 사시도로서, 도 1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환기부(30)는 원뿔 형상으로 형성되어 제 4 덕트(24)와 연결되며, 일측면에 힌지(301)에 의해 개폐 가능한 조리용 도어(300)가 설치되어 있다.
도 10b는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환기부의 사시도로서 상기 원뿔 형상의 환기부(30)에는 개폐 가능한 조리용 도어(300)가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하나 이상 설치될 수 있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싱크대(90) 일측 상부에 조리대(60)가 설치되고, 상기 조리대(60) 상부에 조리용기(80)가 설치되며, 상기 환기부(30)는 조리용기(80) 상부에 위치하도록 설치된다. 상기와 같이 설치된 환기부(30)의 개폐 가능한 조리용 도어(300)는 개방된 공간을 통해 조리시 조리용 도구가 삽입될 수 있도록 하며, 내구성 및 내열성을 구비하는 강화도어, 아크릴 패널 등의 투명 재질로 구성되어 조리 상태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도 11a 및 도 11b는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 의한 환기부의 측단면도 및 확대도로서, 도 11a 및 11b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환기부(30)에는 열전달 방지판(302)이 더 설치된다.
상기 열전달 방지판(302)은 조리대(60) 및 조리용기(80)로부터 발생되는 열이 환기부(30)에 직접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며, 면적이 좁아지면 속도가 증가한다는 베르누이 정리를 적용하여 흡입 홀(303)의 면적을 배출 홀(304)의 면적보다 적게 함으로써 흡입 홀(303)로 유입되는 기체의 유속을 증가시킴으로써 오염된 공기를 더욱 빠르게 유입되도록 한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 의한 주방용 후드 장치의 사용 상태도로 서, 도 13의 A는 조리대에 불을 켜 놓은 상태에서 열전달 방지판(302)을 설치한 주방용 후두의 각 부분별 기체의 온도를 측정한 것이고, 도 13의 B는 조리대에 불을 켜 놓은 상태에서 열전달 방지판(302)을 설치하지 않은 주방용 후드의 각 부분별 기체의 온도를 측정한 것이다. 상기 도 13의 A의 환기부(30) 상단부의 온도측정 결과는 대략 210도씨 정도가 되며, 다관절 연결 덕트부(20) 중앙부의 온도측정 결과는 대략 210도씨 정도가 되고, 후두 부착부(10) 하단의 온도 측정 결과는 대략 200도씨 정도가 된다. 또한 상기 도 13의 B의 환기부(30) 상단부의 온도측정 결과는 대략 450도씨 정도가 되며, 다관절 연결 덕트부(20) 중앙부의 온도측정 결과는 대략 410도씨 정도가 되고, 후두 부착부(10) 하단의 온도 측정 결과는 대략 400도씨 정도가 된다. 상기에서와 같이 열전달 방지판(302)을 부착한 주방용 후두의 온도가 열전달 방지판(302)을 부착하지 않은 주방용 후두의 온도가 대략 200도씨 이상 저하된다.
또한 도 13의 C는 불을 켜 놓은 상태의 조리대에 조리 용기를 올려놓은 상태에서 열전달 방지판(302)을 설치한 주방용 후두의 각 부분별 기체의 온도를 측정한 것이고, 도 13의 D는 불을 켜 놓은 상태의 조리대에 조리 용기를 올려놓은 상태에서 열전달 방지판(302)을 설치하지 않은 주방용 후두의 각 부분별 기체의 온도를 측정한 것이다. 상기 도 13의 C의 환기부(30) 상단부의 온도측정 결과는 대략 65도씨 정도가 되며, 다관절 연결 덕트부(20) 중앙부의 온도측정 결과는 대략 60도씨 정도가 되며, 후두 부착부(10) 하단의 온도측정 결과는 대략 57도씨 정도가 된다. 또한 상기 도 13의 D의 환기부(30) 상단부의 온도측정 결과는 대략 80도씨 정도가 되며, 다관절 연결 덕트부(20) 중앙부의 온도측정 결과는 대략 80도씨 정도가 되고, 후두 부착부(10) 하단의 온도 측정 결과는 대략 77도씨 정도가 된다. 상기에서와 같이 열전달 방지판(302)을 부착한 주방용 후두의 온도가 열전달 방지판(302)을 부착하지 않은 주방용 후두의 온도가 대략 15도씨 이상 저하된다.
상기 다관절 덕트 연결부(20)는 녹는점이 대략 250도씨 내지 300도씨인 폴리카보네이트, 녹는점이 대략 400도씨인 테트론 또는 녹는점이 대략 180도씨 내지 200도씨인 ABS수지 등으로 제작됨으로써 열전달 방지판(302)을 설치하여 다관절 덕트 연결부(20) 내부의 온도를 저하시킴으로써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이상,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주방용 후드장치는 환기부를 조리용기에 밀착되게 근접 설치할 수 있어, 조리용기의 공간과 외부 주방공간을 차단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요리시 발생되는 연기, 냄새, 수증기 등의 확산을 방지하고 이를 신속하게 배출하여 쾌적한 주방환경을 조성할 수 있도록 하여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Claims (14)

  1. 주방용 후드장치에 있어서,
    렌지후드 하부 하부면에 부착되는 후두 부착부;
    상기 후두 부착부 일측면에 일단이 연결되어 설치되되, 전후좌우 회동가능하고, 상하 방향으로 길이가 조절될 수 있는 다관절 연결 덕트부; 및
    상기 다관절 연결 덕트부 타단에 회전가능 하도록 설치되고, 일측에 투명 재질의 개폐 가능한 조리용 도어가 설치된 환기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용 후드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후드 부착부는 렌지후두 하부 하부면에 연결 고정되는 연결 브래킷;
    상기 연결 브래킷 양측면에 내측면 상단이 연결 고정되며, 그 내부에 환기 블로워가 설치된 지지호퍼; 및
    상기 지지호퍼 일측 하부에 설치되어 다관절 연결 덕트부를 연결 고정시키는 덕트 연결장치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용 후드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후두 부착부는 상기 렌지후두 하부 상부면에 양단이 고정되고, 양측단은 상기 연결 브래킷과 연결되는 보조 프레임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용 후두 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브래킷은 지지호퍼 내부 양측면에 연결 고정되는 한 쌍의 지지측면;
    상기 한 쌍의 지지측면 상부면에 양측단이 연결된 상면판;
    상기 상면판 양측에 타공되어 형성된 제 1, 2 세로 장공;
    상기 상면판 전, 후측에 타공되어 형성된 제 1, 2 가로 장공; 및
    상기 상면판 중앙부에 타공되어 형성된 메인 환기공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용 후드장치.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덕트 연결장치는 상기 지지호퍼 일측면 하부에 형성된 요홈;
    상기 지지호퍼 내부 하부면 일측에 돌출되어 형성된 실린더;
    상기 실린더 내부에 삽입되되, 일측 끝단은 상기 실린더의 상부면 외부로 돌출되고, 타측은 상기 지지호퍼 외부로 돌출되도록 삽입된 스토퍼;
    상기 스토퍼 일측 끝단에 장착된 손가락 링;
    상기 스토퍼 타측에 장착되어 상기 스토퍼가 상하 이동함에 따라 상기 실린더 양측면을 따라 상하 이동되는 멈춤판; 및
    상기 실린더 내부에 삽입되어 일측단은 상기 멈춤판에 지지되고, 타측단은 상기 지지호퍼 하부면에 지지되는 스프링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용 후드장치.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프레임은 렌지후두 하부 상부면 일측단에 연결 고정되는 가이드 프레임;
    상기 가이드 프레임 양측에 타공된 한 쌍의 가이드 프레임 장공;
    상기 가이드 프레임 양측에 그 양단이 삽입되어 슬라이딩 될 수 있도록 하여, 상기 렌지 후두 하부의 폭 넓이에 맞도록 그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슬라이드 프레임; 및
    상기 슬라이드 프레임 양측에 타공된 한 쌍의 슬라이드 프레임 장공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용 후두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관절 연결 덕트부는 지지호퍼 일측면에 일측 끝단이 삽입되어 연결되되, 사용자가 원하는 각도로 회동시켜 고정할 수 있는 제 1 덕트;
    상기 제 1 덕트 타측단에 일측단이 삽입되어 사용자가 원하는 길이로 상하 길이를 조정시켜 고정할 수 있으며, 타측단 외주면에는 걸림 돌기가 형성된 제 2 덕트;
    상기 제 2 덕트 타측 끝단부와 일측단이 연결되되, 양측 끝단부 외주면에 형성된 걸림 턱 중 일측 끝단부 외주면에 형성된 걸림 턱이 상기 걸림 돌기에 끼워지며, 상기 걸림 턱과 걸림 돌기 사이에 베어링이 삽입되도록 연결되어, 상기 제 2 덕트를 중심으로 회동가능한 제 3 덕트; 및
    상기 제 3 덕트부 타측 끝단에 회동 가능하도록 일측단이 연결되되, 일측 끝단부 외주면에 걸림 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제 3 덕트 타측 끝단에 형성된 걸림턱에 끼워지며, 상기 걸림 돌기와 걸림턱 사이에 베어링이 삽입되도록 연결된 제 4 덕트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용 후드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덕트는 외주면에 길이 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돌출 형성된 다수개의 방열판;
    상기 방열판과 이웃하는 외주면 일측에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슬라이드 홈;
    상기 슬라이드 홈 하부에 일측은 삽입되고 타측은 돌출되도록 장착된 고정 장치;
    상기 슬라이드 홈 양측면 상단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고정 장치를 구속시키는 멈춤턱;
    상기 지지호퍼의 일측면에 돌출 형성된 요홈에 끼워지도록 일측단 외주면에 돌출 형성된 요철; 및
    상기 요철과 이웃하는 위치의 일측단 외주면에 일정간격으로 다수개가 타공 형성되어 상기 스토퍼의 일측 끝단부가 삽입되어 회동을 구속할 수 있도록 하는 고정공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용 후드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장치는 상기 슬라이드 홈 하부에 일측이 삽입 장착되는 스토퍼;
    상기 슬라이드 홈에 일측이 지지되고, 타측은 상기 스토퍼에 지지되어 상기 스토퍼를 탄성력에 의해 상기 슬라이드 홈 외부로 밀어내는 스프링;
    상기 스토퍼의 일측 끝단부에 돌출 형성된 고정 돌기; 및
    상기 스토퍼의 양측면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멈춤턱에 걸림으로써 상기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슬라이드 홈 외부로 밀려나는 스토퍼를 구속시키는 걸림턱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용 후드장치.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덕트는 회동되지 않고 상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슬라이드 홈이 끼워지는 가이드 홈;
    상기 가이드홈 하부 중앙부에 타공 형성된 가이드 장공; 및
    상기 가이드 장공의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타공 형성된 다수개의 멈춤공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용 후드 장치.
  11. 제 7 항 또는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덕트 내부에는 분리형 여과장치가 더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용 후드 장치.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환기부에는 열전달 방지판이 더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용 후드 장치.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리용 도어는 하나 이상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용 후드.
  14. 제 1, 2, 3, 4, 5, 6, 7, 8, 9, 10, 12,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주방용 후두 장치는 렌지후두와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용 후두 장치.
KR1020050065968A 2005-07-20 2005-07-20 주방용 후드 장치 KR2007001095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65968A KR20070010954A (ko) 2005-07-20 2005-07-20 주방용 후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65968A KR20070010954A (ko) 2005-07-20 2005-07-20 주방용 후드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10954A true KR20070010954A (ko) 2007-01-24

Family

ID=380120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65968A KR20070010954A (ko) 2005-07-20 2005-07-20 주방용 후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010954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7188B1 (ko) * 2010-02-26 2012-05-25 한정호 회전형 이중 관절 덕트를 이용한 국소배기장치
KR20190065795A (ko) * 2017-12-04 2019-06-12 이두영 조리용기를 위한 휴대용 연기정화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7188B1 (ko) * 2010-02-26 2012-05-25 한정호 회전형 이중 관절 덕트를 이용한 국소배기장치
KR20190065795A (ko) * 2017-12-04 2019-06-12 이두영 조리용기를 위한 휴대용 연기정화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203159B1 (en) Induction ventilation system for both air supply and exhaust
US9746188B2 (en) Recirculating downdraft system for a cooking appliance
KR100819482B1 (ko) 주방용 후드장치
JP2008082634A (ja) レンジフード
KR20070010954A (ko) 주방용 후드 장치
JP5577059B2 (ja) 整流板および整流板を備えたレンジフード
JP2003144250A (ja) レンジフード捕集補助装置
KR20100133276A (ko) 주방용 후드
US20220400850A1 (en) Mounting bracket for over-the-range cooking appliance with drill guide
JP4692241B2 (ja) 調理器具カウンタ
JP4656866B2 (ja) レンジフード
RU2419748C2 (ru) Встроенная электроплита
JP4530084B2 (ja) 換気装置付き厨房装置
KR101780046B1 (ko) 인덕션 오븐레인지의 환기시스템
JP2920517B2 (ja) 厨房の給排気装置
KR20180009298A (ko) 렌지후드 부착용 배기장치 및 이의 설치방법
KR100826705B1 (ko) 빌트 인 조리기기 및 그의 설치 장치
KR200266505Y1 (ko) 레인지 후드 구조
KR200382950Y1 (ko) 주방용 후드장치
CN213543160U (zh) 集成灶
JP6804230B2 (ja) レンジフード
JPS61149745A (ja) 換気扇
JPH0144996Y2 (ko)
JP2500022B2 (ja) 調理用排気設備及びその設置方法
KR20180000267U (ko) 렌지후드 부착용 기능성 배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