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09298A - 렌지후드 부착용 배기장치 및 이의 설치방법 - Google Patents

렌지후드 부착용 배기장치 및 이의 설치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09298A
KR20180009298A KR1020160123695A KR20160123695A KR20180009298A KR 20180009298 A KR20180009298 A KR 20180009298A KR 1020160123695 A KR1020160123695 A KR 1020160123695A KR 20160123695 A KR20160123695 A KR 20160123695A KR 20180009298 A KR20180009298 A KR 201800092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haust
attached
gas
transparent
range ho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236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기복
Original Assignee
홍기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기복 filed Critical 홍기복
Publication of KR201800092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929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20Removing cooking fumes
    • F24C15/2042Devices for removing cooking fume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ooking range e.g. downdraf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20Removing cooking fumes
    • F24C15/2021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24F11/32Responding to malfunctions or emergencies
    • F24F11/33Responding to malfunctions or emergencies to fire, excessive heat or smok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89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nti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주방에 설치되어 있는 기존의 가정용 렌지후드를 포함하여 음식점배기덕트의 하부에 덧대어서 부착할 수 있게 구성된 과열예고 및 가스차단장치가 구비된 부착용 배기장치 및 이의 설치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배기장치 전반부에는 슬라이딩 투명차단창을 부착하여 조리시 밑으로 당겨 조리용기로 근접시켜 유해가스를 좀더 효과적으로 배출되게 하였으며 또한, 슬라이딩 투명차단창을 밑으로 당겼을 때에도 조리용기가 보일 수 있게 하기 위하여 슬라이딩 투명차단창은 투명하고 내열성이 뛰어난 소재로 구성하였다.
또한, 상기 배기장치의 부착방법은 배기장치의 상단을 기존의 렌지후드나 배기닥트 테두리의 프레임에 나사나 리벳으로 부착하여 고정할 수 있게 하였다

Description

렌지후드 부착용 배기장치 및 이의 설치방법{An attachable duct for range hood and its installation method}
본 발명은 주방에 설치되어 있는 기존의 렌지후드의 기능을 보강하기 위하여 렌지후드의 하단에 추가로 부착 할 수 있는 배기장치 및 이의 설치에 관한 것으로서, 자세하게는 본체와 빗변으로 슬라이딩되는 투명차단창,과열예고 알람세트, 온도계, 환기구및 가스차단장치로 구성되어 음식물 조리시 발생 되는 냄새,미세먼지, 유해가스 등이 조리인의 코로 흡입되지 않고 기존의 렌지후드를 통하여 효과적으로 배출되게 한 것이다.
최근 음식물 조리 시 발생 되는 연기로 인하여 폐암이 발생될 수 있다는 연구논문이 언론을 통하여 수차례 발표된 적이 있는바, 가정에서의 요리 시 발생하는 냄새,미세먼지, 유해가스 등의 효과적인 배출을 위한 장치가 절실히 요구된다고 하겠다.
그러나 기존의 렌지후드에 구비된 공기배출을 위한 공기흡입구는 조리시 조리인의 머리에 부딪칠 수 있기 때문에 렌지의 버너 화구 바로 상부에 설치되어 있지않고 벽 측에 치우쳐 있으며 렌지의 버너 화구와의 거리가 멀리 떨어져 있는 구조이기 때문에 조리할 때 발생하는 냄새,미세먼지, 유해가스 등이 실외로 원활히 배출이 되지않고 위로 올라가면서 거실방향으로 대부분 퍼지게 되어 있다.
이로 인하여 조리인의 건강을 해치는 것은 물론, 거실에 음식 냄새나 연기 등이 퍼짐으로써 불쾌감을 준다는 단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원리에 의하여 냄새, 미세먼지, 유해가스 등이 거실로 퍼지는 것을 방지하고 또한, 조리인의 코나 입으로 냄새, 미세먼지, 유해가스 등이 직접 흡입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하여 슬라이딩되는 투명차단창이 구성된 렌지후드 부착용 배기장치를 제시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기 설치되어 있는 가정용 렌지후드의 하단에 부착하는 것은 물론 음식점에 기 설치되어 있는 배기덕트에도 추가로 부착하여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 할수도 있을 것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0600002호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0-0002618호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5-0082213호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0600002호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0466258호 상기 선행기술들은 파이프 형태의 자바라식이나 개폐식 렌지후드로서, 공기 흡입구를 조리용기에 근접시키면 가스렌지의 열기가 집중적으로 배출되기 때문에 렌지후드가 고장나거나 화재의 위험이 있으므로 실용화 되지 못한 것이라 생각 된다. 또한, 본 발명과는 품목이 다를 뿐만 아니라 구조, 구성이 전혀 다른 것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20-2009-0001828호 는 아래내용과 같이 본 발명과는 확연히 다른 것이다 1) 요리할 때에는 기본적으로 시야가 확보되야 하는데 상기의 선행기술은 투명하지 않은 차단판을 끼워 시야가 확보되지 않은 것이며, 차단창이 분리가 되지 않아 청소하기도 불편하여 실용이 불가능한 렌지후드인 반면; 본 발명은 투명차단창을 사용하여 시야가 확보된 부착용배기덕트로서, 요리할 때 투명창을 적당히 손으로 올리거나 내려 아주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투명차단창의 분리가 가능하여 차단투명창의 배면에 튀긴 기름때는 물론 배기덕트 내부도 쉽게 닦아낼수 있는 것으로서 진보된 발명이라 생각 된다. 2) 선행기술은 렌지후드를 포함하여 각종 제어장치에 의하여 그 기능을 제어하는데 주목적이 있고 과열의 위험성이 내재되어 있는 제어장치인 반면: 본 발명은 기존에 가정에서 이미 사용하고 있는 렌지후드의 하단에 투명차단창 이 추가된 배기덕트를 붙이는 것으로서 렌지후드의 배출 기능을 보완하는 것이며, 과열시 예고장치와 가스차단장치가 구성된 그 기능, 구성, 구조도 선행기술과는 전혀 다른 발명이라 생각 된다. 3) 선행기술의 가드레일을 따라 비스듬히 상하로 움직이는 차단막은 본 발명과 동일 하지만 작동실린더에 의하여 복잡하게 구동되는 비투명 차단막의 구성이며, 또한, 그 기능도 차단판을 내리게 되면 자동으로 온도가 올라가 송풍팬을 틀었다 해도 가스를 끄지 않으면 온도는 내려가지 않으며 송풍팬은 과열로 인하여 고장 날수가 있는 구조로 되어 있는 반면: 본 발명은 투명 차단막으로 구동자체가 손으로 밀고 당기는 아주 간단한 구성으로 소음이 없고 환기구가 있어서 과열을 방지하는 구조이고 기존의 선행기술과는 구성, 기능 모두 다른 것이다.. 4) 선행기술은 환기구가 없는 반면: 본 발명은 환기구를 구성하여 과열을 방지하였다. 보다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환기구는 투명차단창을 내릴때나 팬을 가동하지 않고 사용 할때에도 과열을 방지하기 위한 장치로서, 팬을 가동하지 않고 사용 할때에는 상부에 있는 환기구를 통하여 열기는 자동으로 밖으로 빠져 나가게 되며 팬을 가동했을 때에는 환기구를 통하여 외부의 찬바람이 들어와 조리시 발생되는 열기와 섞여 온도가 낮아져 렌지후드로 배출됨으로서 렌지후드내의 온도가 본 배기장치를 부착했다고 해서 과열되지 않는 구조이다. 이와 유사한 기존의 렌지후드 하단에 추가로 부착하는 배기장치는 종전에는 없었다. 5) 선행기술은 온도가 65도 이상 과열될 때 팬을 가동시키기 위함인 반면: 본 발명은 과열 될 때 과열예고및 가스차단장치에 의하여 가스공급을 자동으로 중단하여 과열을 즉시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선행기술과는 전혀 다른 방법의 창작 이라고 생각된다. 결론적으로 본 발명은 과열로 인한 부작용은 해결하면서 기존의 렌지후드 하단에 추가로 붙여 렌지후드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부착용 장치인 반면: 선행기술은 과열예방장치가 전혀 다른형식의 렌지후드로서 그 품목자체가 본건과는 다를 뿐만 아니라 성능과 구성이 다른 것이며 기존에 본 발명과 유사한 렌지후드 하단에 추가로 부착되는 배기장치는 없었으며 선행기술은 실용이 불가능한 고안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2003-0008282호) 종전의 고안은 조리시 배기장치를 조리용기로 근접시킬 때 화기가 집중적으로 배출되기 때문에 렌지후드내의 온도가 올라가게 되는데 이러한 과열현상을 예방하는 장치가 없는 렌지후드이며 차단판이 투명하지 않아 실용이 불가능한 고안이라 생각된다. 또한, 본 발명은 기존 렌지후드에 별도로 부착하는 부착용 배기장치인 반면: 선행기술은 렌지후드 자체로서 선행기술과는 전혀 다른 품목이다. 결론적으로 상기 선행기술들과 본 발명의 다른점은 1) 기존의 배기장치 하단에 별도로 부착하는 투명창 슬라이딩 닥트구조이임. 2) 과열 예방장치와 분리 가능한 투명차단창이 함께 구성된 것임. 3) 가스차단장치가 구성됨. 본 발명은 상기내용이 일체로 구성되어 선행기술보다는 확실히 진보된 발명이라 생각된다.
종래에는 음식물 조리시 발생되는 냄새,미세먼지,유해가스 등이 효과적으로 외부로 배출되지 못하여 조리인의 건강에 악영향을 끼치는 문제점이 발생되고 있었다.
본 발명의 과열예고 장치와 가스차단장치가 구비된 부착용 배기장치의 몸체는 기존의 주방용 렌지후드의 하단에 부착되고, 배기효과를 보다 더 높게 하기 위하여 상기 배기장치 전반부에는 슬라이딩되는 투명 차단창을 부착하여 조리시 아래쪽 빗변으로 당겨 조리용기로 근접시켜 유해가스를 좀더 효과적으로 배출되게 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배기장치는 가정용 렌지후드에는 물론 음식점에 설치되어 있는 배기덕트의 하단에도 부착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전반부에는 슬라이딩 투명차단창을 부착하여 조리시 아래쪽 빗변으로 당겨 조리용기로 근접시켜 냄새,미세먼지,유해가스를 좀더 효과적으로 배출되게 한 것으로서,
조리시 발생되는 유해가스의 흡입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는 제품으로 실용화 된다면 조리인의 건강을 지키는데 일조를 하게 될 것이다.
또한, 기존의 렌지후드를 교체하지 않고도 간단히 설치가 가능하고 비용도 저렴하여 소비자의 선호도가 높을 것이라 생각된다.
도 1은 배기장치의 정면도.
도 2는 배기장치의 측면 투시도
도 3은 배기장치 사시도
도 4는 레일과 투시창 측면 단면도
도 5은 레일 평면투시도
도 6은 알람세트 측면 투시도
도 7은 온도 정보를 이용한 가스 차단장치의 불록 구성도
도 8은 가스차단기의 정면도
도 9는 가스차단기의 측면도
도 10은 가스차단기와 가스관과의 연결 단면투시도
도 11는 렌지후드에 배기장치가 설치된 참고도
본 발명은 기존의 가정용 렌지후드를 하단에 추가로 부착하여 조리시 발생하는 냄새,미세먼지,유해가스 등을 효율적으로 배출하기 위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배기장치의 정면도이다.
본 발명의 배기장치본체(1)는 기존의 렌지후드 하단에 부착되며,
배기장치본체(1)에는 과열예고를 위하여 알람세트(2), 온도계(6), 앵글
(204)로 구성된 환기구(5)가 구성된다.
배기장치본체(1)는 "ㄷ"형태의 철재 잔넬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 할것이다.
배기장치본체(1)의 전반부에는 분리가 가능한 슬라이딩 투명차단창(7)을 부착하여 조리시 빗변으로 당겨 냄새, 미세먼지,유해가스 등이 조리인의 코로 직접 흡입되는 것을 차단함과 동시에 렌지후드 방향으로 유도하여 냄새, 미세먼지, 유해가스 등이 효과적으로 배출되게 하였다.
상기 슬라이딩 투명차단창(7)이 빗변으로 원활히 움직일 수 있게 하기 위하여 배기장치본체(1)의 전반부 하단에는 투명차단창받침대(9)와 그 좌우에는 "ㄷ"형 레일(8)을 구성하였다.
투명차단창받침대(9)의 중앙하단에는 실리콘(10)으로 구성된 원형돌출부를 부착하여 슬라이딩되는 투명차단창(7)의 저면에 밀착되게 하였다. 이는 실리콘(10)상부면과 투명차단창(7)저면이 마찰력에 의하여 평소에는 밑으로 흘러내리지 않고 있다가 조리인이 힘으로 당기고 밀때 원하는 위치에 마찰력에 의해서 정지되게 함이다.
좀더 자세히 설명하면 실리콘(10)의 높이는 투명차단창받침대(9)와 투명차단창(7)사이의 공간보다 약간 높게 구성하여 실리콘(10)을 투명차단창받침대(9)에 부착하면 투명차단창(7)이 실리콘(10)에 밀착되며, 이는 실리콘의 마찰력에 의하여 투명차단창(7)이 저절로 흘러내리지는 않게 하기 위함이다.
또한, 장기 사용중 실리콘(10)의 마찰력이 약화되어 투명차단창(7)이 저절로 흘러 내릴경우를 대비하여 레일의 상부와 중간 좌우에 같은 크기의 레일돌출부A
(701)레일돌출부B(702) 레일돌출부C(703) 레일돌출부D(704)를 구성하여 투명차단창(7)이 저절로 흘러 내리더라도 투명차단창(7) 후레임 좌,우에 구성되어 있는 돌출부위(603)에 걸려 정지되게 하였으며, 조리인이 수동으로도 당기거나 밀면 레일이 탄력에 의하여 약간씩 벌어져 움직일 수 있게 하였다.
배기장치본체(1)는 렌지후드의 하단에 부착하는 것이므로 배기장치의 무게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탄성이 있는 얇은 철재로 구성하였다. 상기 내용과 같이 배기장치본체(1)가 얇은 철판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레일돌출부는 양 옆으로 약간씩 벌어질수 있다. 그러므로 레일돌출부가 있더라도 투명차단창(7)이 움직이는데에는 전혀 문제가 없을 것이다.
배기장치본체(1)의 전반부에는 과열로 인한 문제점의 발생을 예방하기 위하여 온도계(6)를 부착하여 일정온도 이상 올라가는 것을 눈으로 직접 확인 할수 있게 하였으며 또한, 눈으로 확인못했을 경우를 가정하여 추가로 과열예고 알람세트(2)를 부착하여 부저(201)로 조리인에게 알려 렌지후드의 과열을 예방할 수 있게 구성하였으며 또한, 가스차단기도 부착하여 과열에 따른 피해를 방지할수 있게 하였다.
전원은 건전지(202)를 이용하면 될 것이며 건전지를 장기간 사용할 수 있게 하기 위하여 온도센서는 과열되었을 때만 전원이 연결이 되는 것으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 할 것이다.
온도센서(203)는 바이메탈온도센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 할것이며 배기장치본체(1) 내부의 상단에 고정되게 하였다.
기존에 개발되어 있는 온도센서의 종류는 여러 종류가 있으므로 당업자가 실행하는 과정에서 적절한 것으로 선택하여 사용하면 될것이다.
또한, 조리시 렌지의 화구를 동시에 여러 개 사용할 경우 화기가 집중적으로 배출되기 때문에 렌지후드 내부의 온도가 상승할 수 있으며 이러한 과열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배기장치에는 상부의 전면과 좌,우측면에 환기구(5)를 구성하여 과열을 방지하였다.
보다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환기구(5)는 투명차단창(7)을 내릴때 과열을 방지하기 위한 장치로서, 기존의 렌지후드의 팬을 가동하지 않고 사용할 때에는 올라오는 열기가 상부에 있는 환기구를 통하여 자동으로 밖으로 빠져 나가게 되며 팬을 가동했을 때에는 외부의 찬바람이 환기구를 통하여 들어와 조리시 발생되는 열기와 섞여 온도가 낮아져 렌지후드로 배출됨으로서 과열이 방지되게 하였다.
상기와 같은 구조로 인하여 본 덕트를 부착 하더라도 렌지후드내의 온도는 과열되지 않는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이 과열이 방지되게 구성하였다 하더라도 조리인이 가스불을 켜놓고 외출하는 등의 실수로 인하여 과열될 경우 화재가 발생할 수도 있으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온도센서(203)로부터 과열온도를 감지하여 가스차단장치로 신호를 보내 가스관밸브(102)를 잠그어 가스불이 원천적으로 꺼지게 하였다.
이와 유사한 기존의 렌지후드 하단에 추가로 부착하는 기능성 배기장치는 종전에는 없었다.
도 2는 배기장치의 측면 투시도이다.
본 발명의 배기장치본체(1)의 레일(8)에는 슬라이딩 투명차단창(7)을 끼워 넣어 조리시에 상기 슬라이딩 투명차단창(7)을 빗변으로 당겨 조리용기에서 발생하는 냄새, 미세먼지,유해가스 등을 좀더 효과적으로 배출되게 하였다.
배기장치본체(1)와 투명차단창받침대(9)와 레일(8)의 결합은 우선 레일(8)의 하단부를 절단하여 "ㄷ"형태로 꺽은 다음 잔넬 형태의 투명차단창받침대(9) 하단부에 밀착하여 리벳A(212)으로 고정시켰으며, 레일 상단부는 리벳B(213)로 배기장치본체(1)에 고정 부착시켰다. 투명차단창받침대(9)는 잔넬 형태로서 상단부는 배기장치본체(1)에 나사A(214)로 결합하였다.
환기구(5)의 구성은 잔넬 형태로 구성된 배기장치본체(1)의 상단에 전반부와후반부 좌우 끝부분 4곳에 파이프토막(210)을 세우고, 그 위에 좌우로 앵글(204)을 올린 다음 볼트와 너트로 조이고 그 앵글(204)을 기존의 렌지후드 하단에 나사(208)로 부착하여 환기구(5)를 구성하였다.
상기 배기장치본체(1)의 후반부 좌우끝 내측에는 각파이프a(209)(점선)를 리벳으로 부착하고 그 내부에는 각파이프a(209)(점선)보다 굵기가 작은 각파이프b
(207)를 밀어 넣거나 뺄수 있게 하여 렌지후드의 전후의 간격과 맞추어 부착이 용이하게 하였다.
배기장치본체(1)의 전반부에는 과열예고 알람세트(2)를 부착하였으며 알람세트(2)의 구성은 온도센서(203)를 부착하여 일정온도 이상 과열되면 부저(201)로 조리인에게 알려 렌지후드의 과열을 조리인이 알 수 있게 하였다.
알람세트(2)본체는 "ㄷ" 형태로서 건전지 잔량 확인스위치(3),전원스위치(4), 부저(201), 온도센서(203), 건전지(202), PCB 판(205)으로 구성되며,
배기장치본체(1) 중앙에 사각 구멍을 뚫어 부속은 그곳에 끼우고 배기장치본체(1)의 외각에 알람세트(2)를 클립처럼 끼워 부착할 수 있게 하였다.
건전지는 교체시에 손으로 당겨 빠질수 있게 하기 위하여 건전지와 케이스가 한조로 구성된 통상적인 것을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 할 것이다.
좀더 자세히는 안쪽에 설치되어 있는 온도센서(203)는 열을 감지하여 일정 온도 이상으로 과열시 부저(201)가 울리게 된다. 부저(201)가 울리면 사용자는 즉시 가스레인지 불을 꺼주면 되며 이때 부저(201)는 일정 온도 이하로 내려갈 때까지 수초 동안 울리게 되는데 본체에 부착되어 있는 2개의 스위치 가운데 아래의 전원스위치(4)를 눌러서 부저(201)를 끌 수(OFF) 있게 하였으며, 일정 시간이 지나 과열 해제된 이후에는 전원스위치(4)를 다시 누르면(ON) 온도센서가 정상적으로 작동된다.
본체에 중앙에 부착되어 있는 2 개의 스위치 중 상부에 부착되어 있는 스위치는 건전지잔량 확인스위치(3)이므로 눌러서 “삐~” 하는 부저 소리가 나면 센서가 정상적으로 작동하는 것으로서, 건전지 소모 여부를 수시로 확인 할수 있게 하는것이 바람직 할 것이다.
본 알람세트의 건전지는 작동할 때만 소모되는 것이므로 그 소모량은 미미하여 장기간 사용할 수 있을 것이며 건전지는 교체가 가능하게 구성하였다.
상기의 알람세트(2)의 전기회로도는 통상적인 것으로 생략 하였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슬라이딩 투명차단창(7)을 조리 용기에 근접시킨다면 기존의 렌지후드의 과열은 예방되면서 가스나 연기 냄새 등 유해 가스가 본 발명의 부착용 배기장치를 통하여 밖으로 대다수 배출될 것이다.
본 발명의 배기장치의 설치방법은 아래와 같은 순서로 부착하면 될 것이다
1) 본 배기장치 상단의 앵글(204) 부분을 주방에 설치되어 있는 렌지후드 하부의 부착 위치에 맞추어 밀착시킨 상태에서 앵글의(204)전반부와 후반부에 가로로 2개씩 뚫어져있는 나사 구멍을 통하여 렌지후드(211)에 사인펜 등으로 표시한후 그곳에 나사(208)를 박아 고정시킨다.
좀더 자세히는 통상적으로 렌지후드 하부의 크기는 가로 60Cm-90Cm 이고, 세로는 30cm-40cm 이며 후래임의 넓이는 5Cm 내외로 되어 있는바 그 후레임에 구멍을 뚫고 본 배기장치를 부착하면 될것이다.
또한, 통상적으로 가정용 렌지의 가로는 60Cm 이므로 본 배기장치도 가로는 60Cm 로 하면 될 것이며 이를 위하여 앵글(204)과 앵글a(206)를 구성하였다.
세로는 렌지후드의 크기에 맞추어야 되므로 이를 위하여 각파이프b(207)를 각파이프a(209)(점선부분)에 끼웠다 뺐다 할 수 있게 하여 전후간격을 조정할 수 있게 하였다.
2) 본 배기장치를 렌지후드로 부터 떼어낸후 사인펜으로 표시된 부분에 드릴로 구멍을 뚫는다.
3) 본 배기장치를 렌지후드 하부에 미리 뚫어놓은 구멍에 맞추어 본 발명의 배기장치 상단을 우선 붙인 다음에 미리 뚫어놓은 구멍에 리벳이나 나사로 결합하여 고정하면 될 것이다.
도 3는 배기장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배기닥트본체(1)의 상부에는 전면과 좌,우측면에는 환기구(5)가 구성되며 상부에는 삽입식 온도계(6)의 끝부분을 본 배기장치본체(1)안으로 삽입하여 과열 여부를 항상 눈으로 확인할 수 있게 하였다.
도 4는 레일과 투시창 측면 단면도이다
레일(8)의 끝부분에는 내열성이 뛰어난 합성수지(601)로 돌출부위를 구성하여 투명차단창(7)이 좌우로 노는 것을 잡아주고, 반대편 차단창후레임(602) 끝부분에도 합성수지로 구성된 돌출부위(603)를 구성하여 밑으로 당겼을 때에 좌우로 노는 것을 잡아주고 또한 안전을 위하여 한번에 이탈되지 않게 하였다.
레일(8)의 부착은
레일(8)의 하단과 투명차단창받침대(9)의 결합을 레일결합리벳(605)으로 하고 레일(8)상단은 배기장치본체(1)에 리벳b(213)으로 하였다.
본 레일(8)은 "ㄷ"형태로서 투명차단창(7)을 끝까지 당긴후 밑으로 빼낼 수 있게 하기 위하여 레일(8)의 끝 일부분을 절단하여 레일절단부(604)(점선)를 구성하였다.
도 5은 레일 평면 투시도이다
레일(8)끝부분에는 강하고 매끄러운 합성수지(601)에 "V" 형태로 구멍을 뚫어 리벳으로 결합하며, 리벳의 상단 머리가 합성수지 밖으로 나오지 않게 하여 투명차단창(7)이 움직일때 매끄럽게 움직일수 있게 하였다.
합성수지는 내열성이 뛰어나고 마찰력은 낮은(아세탈 등)경질의 소재로 하는 것이 바람직 할것이다.
또한, 투명차단창을 밑으로 끌어 내릴때 안전을 위하여 투명차단창 후레임에 걸리게 하기 위하여 투명차단창밭침대(9)에 실리콘(10)을 부착하였으며, 분리하고자 할 때에는 투명차단창(7)과 투명창차단창받침대(9) 사이에 엄지손가락을 밀어넣어 약간만 벌려주면 쉽게 투명차단창(7)을 앞으로 당겨 분리할수 있게 하였다.투명차단창(7)은 강화유리, 테두리는 알미늄으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 할 것이다.
도 6 은 알람세트 측면 투시도이다
알람세트(2)의 본체는"ㄷ" 형 클립형태의 구조로 평철로 구성하였으며, 배기장치와의 결합은 배기장치본체(1)중앙에 사각으로 구멍을 뚫은 후 클립 끼우듯 앞에서 끼울 수 있게 하였다.
도 7은 온도 정보를 이용한 가스 차단장치의 불록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가스차단장치의 구성은 덕트내의 온도가 과열되면 닥트내에 설치된 온도센서(203)에서 온도를 감지하여 콘트롤부에 전달하고 이때 가스차단기본체
(801)에 구성되어있는 가스밸브(807)는 회전되고 가스관밸브(102)도 연동 회전되어 가스는 차단된다.
도 8은 가스차단기의 정면도이다
본 가스차단기는 가스차단기본체(801), 전원스위치(803), 타이머(804), 표시판(805), 가스밸브(807), 나사구멍 (802)으로 구성된 통상적인 가스차단기로서 중앙하단에 구성된 가스밸브(807)는 덕트내에 설치되어 있는 온도센서(203)에 의하여 콘트롤부가 작동하면 가스밸브(807)는 회전되며 이때 가스관파이프(806)에 연결되어있는 가스관밸브(102)도 연동되어 회전, 가스는 차단되게 된다.
도 9는 가스차단기의 측면도이다
가스차단기의 설치방법은
가스관파이프(806)와 가스관호스(902)의 전반부에는 가스차단기본체(801),후반부에는 가스관홀더(901)를 밀착시킨후 가스차단기본체(801)에 좌우 2개 구성되어있는 나사구멍(802)을 통하여 홀더나사(101)를 좌우 2개 끼우고 넛트로 조인다.
상기와 같이 하면 가스차단기본체(801)와 가스관홀더(901)사이에 끼워져있는 호스연결닛블(103), 가스관파이프(806), 가스관호스(902)에 가스차단기본체(801)는 압착, 고정되게 된다.
본 발명의 가스차단기는 통상적인 가스차단기이므로 더 이상의 자세한 설명은 생략 하였다.
도 10은 가스차단기와 가스관과의 연결 단면투시도이다
온도센서(203)에 의하여 콘트롤부가 작동하여 가스밸브(807)가 회전되면 가스관파이프(806)에 연결된 가스관밸브(102)도 연동되어 회전되며 이때 가스는 차단되게 된다. 온도센서(203)와 콘트롤부의 연결은 당업자가 실행하는 과정에서 전선으로 할 수도 있고 무선으로 할수도 있을 것이다
도 11은 렌지후드에 배기장치가 설치된 참고도이다
조리시 발생하는 냄새나 매연을 효과적으로 배출하기 위하여 기존의 렌지후드(401)와 가스렌지(인덕션렌지나 전열렌지를 포함)로 구성된 주방시설에 조리용기에 근접시킬 수 있는 본 발명의 기능성 배기장치를 부착시킨 모습이다.
이상의 설명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바람직한 구체적인 예들에 대해서만 기술하였으나, 상기의 구체적인 예들을 바탕으로 한 본 발명의 기술상 범위 내에서의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또한,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1)배기장치본체 (2)알람세트 (3)건전지잔량 확인스위치
(4)전원스위치 (5)환기구 (6)온도계 (7)투명차단창
(8)레일 (9)투명차단창받침대 (10)실리콘 (201)부저
(202)건전지 (203)온도센서 (204)앵글 (205)PCB판
(206)앵글a (207)각파이프b (208)나사 (209)각파이프a
(210)파이프토막 (211)기존의 렌지후드 테두리
(212) 리벳A (213)리벳B (214)나사A (401)기존의 렌지후드
(601)합성수지 (602) 차단창후레임 (603)돌출부위 (604)레일절단부
(605)레일결합리벳(701)레일돌출부A (702)레일돌출부B
(703)레일돌출C부 (704)레일돌출부D (801)가스차단기본체
(802) 나사구멍 (803) 전원스위치 (804) 타이머
(805) 표시판 (806) 가스관파이프 (807)가스밸브
(901) 가스관홀더 (902) 가스관호스 (903)건전지케이스
(101) 홀더나사 (102) 가스관밸브 (103)호스연결닛블
(111) 온도센서연결선

Claims (7)

  1. 기존의 가정용 렌지후드 하단에 추가로 부착되는 배기장치에 있어서,
    배기장치의 상부에는 환기구가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지후드 부착용 배기장치 및 이의 설치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배기장치의 하면에는 레일에서 분리 가능한 투명차단창이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지후드 부착용 배기장치 및 이의 설치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배기장치의 부착방법은 배기장치 상단의 앵글을 기존의 배기장치에 나사나 리벳으로 부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지후드 부착용 배기장치 및 이의 설치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배기장치에는 온도계를 부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지후드 부착용 배기장치 및 이의 설치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배기장치에는 과열예고 알람세트를 부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지후드 부착용 배기장치 및 이의 설치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배기장치라함은 가스차단장치와 한조로 구성하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지후드 부착용 배기장치 및 이의 설치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배기장치의 상단 앵글은 전후간격을 조정할 수 있게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지후드 부착용 배기장치 및 이의 설치방법
KR1020160123695A 2016-03-18 2016-09-27 렌지후드 부착용 배기장치 및 이의 설치방법 KR2018000929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60032507 2016-03-18
KR20160075483 2016-06-17
KR1020160090451A KR20170108752A (ko) 2016-03-18 2016-07-18 렌지후드 부착용 배기장치 및 이의 설치방법
KR1020160090451 2016-07-1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9298A true KR20180009298A (ko) 2018-01-26

Family

ID=60036420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90451A KR20170108752A (ko) 2016-03-18 2016-07-18 렌지후드 부착용 배기장치 및 이의 설치방법
KR1020160123695A KR20180009298A (ko) 2016-03-18 2016-09-27 렌지후드 부착용 배기장치 및 이의 설치방법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90451A KR20170108752A (ko) 2016-03-18 2016-07-18 렌지후드 부착용 배기장치 및 이의 설치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170108752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6230B1 (ko) * 2018-10-17 2020-05-28 주식회사 파세코 주방용 슬라이딩 후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8752A (ko) 2017-09-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203159B1 (en) Induction ventilation system for both air supply and exhaust
WO2015062197A1 (zh) 兼具烘烤功能的电煮锅
KR20190088381A (ko) 환기구와 유리창이 구비된 렌지후드
US5758636A (en) Safety guard for stoves
JP5164899B2 (ja) 電磁誘導加熱調理器
KR20110090407A (ko) 가정용 조리기구 커버
US20150260193A1 (en) Sensing system for a cooktop appliance with airflow protected sensor
FI121608B (fi) Liesiturvajärjestelmä
US20150257591A1 (en) Sensing system for a cooktop appliance with airflow protected sensor
KR101721541B1 (ko) 가스렌지 후드
ES2216424T3 (es) Combinacion de aparatos comprendiendo un aparato de cocinar y un dispositivo de extraccion de humos y procedimiento para hacer funcionar tal combinacion de aparatos.
KR20180009298A (ko) 렌지후드 부착용 배기장치 및 이의 설치방법
US20150056911A1 (en) System for damper activation notification
JP4196003B2 (ja) 加熱調理器用のドア
KR101671637B1 (ko) 적외선 히터 및 전기식 조리기구
KR20180000267U (ko) 렌지후드 부착용 기능성 배기장치
CN210004481U (zh) 一种智能安全集成灶
JP5871391B2 (ja) レンジフード
JP6392079B2 (ja) 加熱調理システム
KR20100122024A (ko) 조리기기
US20200340683A1 (en) Ventilation pot cover
JP6846733B2 (ja) 換気制御システム
KR102515514B1 (ko) 흡입 유로를 구비한 전열식 조리기구
JP6772456B2 (ja) おでん供給装置
KR20230153154A (ko) 가림막이 구비된 조리열기구용 덮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