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37296A - 레이들을 이용한 용탕반송장치 - Google Patents

레이들을 이용한 용탕반송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37296A
KR20070037296A KR1020060062833A KR20060062833A KR20070037296A KR 20070037296 A KR20070037296 A KR 20070037296A KR 1020060062833 A KR1020060062833 A KR 1020060062833A KR 20060062833 A KR20060062833 A KR 20060062833A KR 20070037296 A KR20070037296 A KR 200700372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dle
dust collector
side duct
dust
ho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628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니시야마신로쿠
Original Assignee
니시야마신로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시야마신로쿠 filed Critical 니시야마신로쿠
Publication of KR200700372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3729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41/00Casting melt-holding vessels, e.g. ladles, tundishes, cups or the like
    • B22D41/12Travelling ladles or similar containers; Cars for lad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41/00Casting melt-holding vessels, e.g. ladles, tundishes, cups or the like
    • B22D41/04Casting melt-holding vessels, e.g. ladles, tundishes, cups or the like tilt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18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particular purposes
    • B66C23/2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particular purposes with supporting couples provided by walls of buildings or like structures
    • B66C23/201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particular purposes with supporting couples provided by walls of buildings or like structures with supporting couples provided from above, e.g. by ceilings of build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03Ventilation in combination with air clean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Casting Support Devices, Ladles, And Melt Control Thereby (AREA)
  • Waste-Gas Treatment And Other Accessory Devices For Furnaces (AREA)

Abstract

종래의 천장 크레인형 집진방식과 같이 전체가 대규모인 장치일 필요 없이, 또한, 승강, 경동하는 레이들에 대한 매연, 분진 등의 집진을 효율적으로 행할 수 있는 레이들을 이용한 용탕반송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레이들용 대차(1)에 집진기용 대차(2)를 연결자유롭게 설치하고, 집진기용 대차(2)에 백필터형 집진기(3)를 탑재하며, 레이들(10)에, 덮개형상 집진후드(4)를 개폐자유롭게 설치하고, 상기 덮개형상 집진후드(4)의 개폐동작을 허용하면서 상기 백필터형 집진기(3)의 집진기측 덕트(7)에 연결하는 제1회동연결기구(8)를 설치하고, 상기 집진기측 덕트(7)에, 상기 레이들(10)의 경동축심(P3)의 둘레로 회동하는 제2회동연결기구(9)를 설치하고, 또한, 상기 레이들(10)의 승강에 상기 집진기측 덕트(7)를 추종할 수 있도록 그 집진기측 덕트(7)에 추종수단(5)을 설치하고 있다.
용탕, 레이들, 반송장치, 집진, 백필터

Description

레이들을 이용한 용탕반송장치{Molten Metal Carrying Apparatus Using Ladl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용탕반송장치의 전체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용탕반송장치의 전체의 배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용탕반송장치의 전체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용탕반송장치의 전체의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용탕반송장치의 일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전체의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용탕반송장치의 일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전체의 측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용탕반송장치의 일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전체의 측면도이다.
(주요 도면부호의 설명)
1 : 레이들용 대차
2 : 집진기용 대차
3 : 백필터형 집진기
4 : 덮개형상 집진후드
4A : 후드측 덕트
4B : 레이들측 덕트
5 : 추종수단
5A : 사복구조의 덕트
6 : 구동 수단
7 : 집진기측 덕트
7A : 집진덕트의 일부
8 : 제1회동연결기구
9 : 제2회동연결기구
10 : 레이들
Pl : 횡축중심
P2 : 덕트 축심
P3 : 경동축심
P4 : 레이들측 덕트의 축심
일본 특허공개 2000-335878. 천장 크레인에 집진기를 탑재하여, 매단 레이들의 집진을 행한다.
본 발명은, 전기로(電氣爐) 등을 갖춘 주조공장(鑄造工場) 등에서의 용탕반송장치(溶湯搬送裝置)(일반적으로 레이들(ladle))로부터 발생하는 흄(fume) , 매연, 분진을 집진하는 곳의 레이들을 이용한 용탕반송장치로 관한 것이다.
매연, 분진의 발생이 많은 주조공장에서의 작업환경의 개선을 꾀하는 여러가지 제안이 되어 있지만, 그 중에서, 전기로 주변의 집진은, 링 후드 등의 수단을 이용하여 개선되며, 전기로로부터 레이들로 출탕(出湯)될 때의 집진, 또는 레이들로부터 주탕기(注湯機), 유지로(保持爐) 혹은 레이들로부터 주형으로 주탕(注湯)될 때의 집진에 대해서는, 상기 링 후드와 아울러 출탕장소의 레이들로 향하여 별도 집진기와 집진후드를 마련하는 등에 의해 해소하고 있다.
그러나 레이들은, 급탕을 받은 후에, 주탕기로 또는 주조현장에까지 반송되지 않으면 안되고, 이때, 레이들로부터 발생하는 매연, 분진이 공장 내로 확산되게 되어, 그 대책이 요청되고 있었다. 이러한 문제해결의 일 수단으로서, 레이들을 반송하는 천장 크레인에 집진기를 탑재하여, 매단 레이들에 집진덕트를 연장함으로써 집진을 행하는 수단이 채택되고 있다.
이러한 기술에 대해서는, 전술한 특허문헌을 들 수 있다.
상술한 천장 크레인형 집진기는, 상당히 중량이 있는 집진기를 크레인에 탑재하는 것으로서, 장치 전체가 대규모로 되어 반송에 따른 엄청난 가동에너지를 필요로 함과 아울러 레이들을 매단 불안정한 상태에서 상당한 높이를 오르내리게 하면서 집진을 행하므로, 이에 따르는 윗쪽의 집진기로부터 아래쪽의 레이들로 뻗는 덕트의 구조가 복잡해지는 문제도 있었다.
특히, 주탕기, 주형 등에의 출탕시 레이들을 경동(傾動)시켰을 때에도 충분한 집진작용을 얻도록 하는 것은 매달린 덕트의 구조상 대단히 어려운 것이고, 안정성이 결여되는 것이었다.
또한, 천장 가까이를 주행하는 크레인에 탑재한 집진기의 메인티넌스에 대해서도, 높고 좁은 장소에서의 작업을 행하기 어려운 불편도 있다.
본 발명은, 종래의 천장 크레인형 집진방식과 같이 전체가 대규모 장치로 되는 것 없이, 또한, 승강, 경동하는 레이들에 대한 매연, 분진 등의 집진을 효율적으로 행할 수 있는 레이들을 사용한 용탕반송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용탕반송장치는,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전기로 등으로부터 주탕을 받는 레이들(10)을, 레이들용 대차(1)에 승강 및 경동 자유롭게 탑재하여, 공장부설의 궤도 위를 자주(自走)가능하게 구성하고 있는 레이들을 이용한 용탕반송장치로서,
상기 레이들용 대차(1)에 집진기용 대차(2)를 연결자유롭게 설치하고,
상기 집진기용 대차(2)에 백필터형 집진기(3)를 탑재하며,
상기 레이들(10)에, 덮개형상 집진후드(4)를 횡(橫)축심(P1) 둘레로 개폐 자유롭게 설치하고,
상기 덮개형상 집진후드(4)를 개폐하는 구동수단(6)을 설치하며,
상기 덮개형상 집진후드(4)를, 상기 덮개형상 집진후드(4)의 개폐동작을 허 용하면서 상기 백필터형 집진기(3)의 집진기측 덕트(7)에 연결하는 제1회동연결기구(8)를 설치하고,
상기 집진기측 덕트(7)에, 상기 레이들(10)의 경동축심(P3)의 둘레로 회동하는 제2회동연결기구(9)를 설치하며, 또한,
상기 레이들(10)의 승강에 상기 집진기측 덕트(7)를 추종할 수 있도록, 그 집진기측 덕트(7)에 추종수단(追從手段)(5)을 설치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말하는 레이들(10)로는, 전기로 등으로부터 주입되고, 상기 레이들용 대차(1)에 집진기용 대차(2)를 연결자유롭게 설치하여, 주탕기, 유지로, 주조현장으로 반송하는 곳의 레이들의 모든 형태의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1회동연결기구(8)는, 상기 덮개형상 집진후드(4)의 후드측 덕트(4A)가 원통형상으로 구성됨과 아울러 그 후드측 덕트(4A)가 그 덕트 축심(P2) 둘레로 회동자유롭게 설치되고, 또한, 상기 레이들 측 덕트(4B)도, 상기 후드측 덕트(4A)와 마찬가지로 원통형상으로 구성되고, 양쪽덕트(4A)(4B)를 동심상(同心狀)으로 회동자유롭게 연결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마찬가지로 구조가 간단한 덕트끼리의 동심축상의 연결에 의해, 덮개형상 집진후드(4)의 후드측 덕트(4A)와 레이들측 덕트(4B)를 회동 자유롭게로 연결하면서 집진배기를 집진기로 이끌 수 있다.
또한, 상기 추종수단(5)이, 상기 백필터형 집진기(3)의 집진덕트(7)의 일부(7A)에 개재된 사복(蛇腹)구조의 덕트(5A)로 구성되어, 상기 레이들(10)의 승강에 추종해서 신축할 수 있게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처럼, 집진덕트(7)의 일부(7A)에 사복구조의 덕트(5A)를 개재시킴으로써, 간단한 구조이면서 레이들(10)의 승강시, 집진덕트(7)를 신축할 수 있어서 승강시 집진배기를 용이하게 집진기로 이끌 수 있다.
또, 상기 제2회동연결기구(9)가, 상기 레이들측 덕트(4B)를, 상기 집진기측 덕트(7)에 대하여, 상기 레이들(10)의 경동축심(P3)과 동심축상의 상기 레이들측 덕트(4B)의 축심(P4) 둘레로 회동자유롭게 연결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처럼 구조가 간단한 덕트끼리의 동심축상의 연결에 의해, 레이들측 덕트(4B)와 상기 집진기측 덕트(7)를 회동자유롭게로 연결하면서 집진배기할 수 있으므로, 주탕시 레이들(10)의 경동중에도 집진배기를 계속할 수 있다.
이하, 도 1 내지 도 7에 근거하여, 본 발명의 레이들을 이용한 용탕반송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서 상술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그 본래의 취지를 벗어나지 않는 한, 이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도 1은, 전기로(20) 앞에 정차한 용탕반송장치의 정면도이며, 도 2는 그 배면도, 도 3은 그 평면도, 도 4는 그 측면도이다.
이 용탕반송장치는, 전기로(20)로부터 주입되는 탕을 받는 레이들(10)을, 레이들용 대차(1)에 승강 및 경동 자유롭게 탑재하고, 공장부설의 궤도(21)위를 자주(自走)가능하게 구성하고 있다. 이 자주수단(自走手段)으로서는, 레이들용 대차(1)에 구동모터(22)가 설치되며, 차륜을 구동하는 것 같이 구성되며, 일반 전동 차량과 실질적으로 같은 수단이다. 전원은 도 2에 도시한 것처럼 케이블(24)을 채용하여, 케이블로 공급된다.
또한, 레이들(10)의 경동(傾動)에는, 레이들(10)의 경동축심(P3)의 지축(支軸)에 연동연결된 전동모터(25)가 사용된다.
상기 레이들용 대차(1)에는, 집진기용 대차(2)가 연결기(23)를 사용하여 직렬로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집진기용 대차(2)에는, 백필터형 집진기(3)를 탑재하고 있다. 이 백필터형 집진기(3)는, 그 자체 공지된 구성의 것이고, 여기에서의 상세설명은 생략하지만, 내부에는, 버그 구성 외에, 프레 더스터로서, 흡인한 고온진애(高溫塵埃)를 감압침강(減壓沈降)시켜 혹은 지그재그 유로에 의해 편향시켜서 침강, 온도강하시키는 구성이 내장되어 있다.
이 백필터형 집진기(3)에는, 레이들용 대차(1)의 레이들(10) 측으로 향하여 집진기측 덕트(7)가 연결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레이들(10)에는, 덮개형상 집진후드(4)가 횡축심(P1) 둘레에서, 힌지구조에 의해, 개폐자유롭게 설치되어 있다. 또한, 덮개형상 집진후드(4)를 개폐하는 구동수단(6)으로서, 파워실린더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덮개형상 집진후드(4)를, 상기 덮개형상 집진후드(4)의 개폐 동작을 허용하면서 상기 백필터형 집진기(3)의 집진기측 덕트(7)에 연결하는 제1회동연결기구(8)가 마련되어져 있다.
그 구체적인 구성은, 상기 덮개형상 집진후드(4)의 후드측 덕트(4A)가 원통형상으로 구성됨과 아울러 그 후드측 덕트(4A)가 그 덕트 축심(P2) 둘레로 회동자 유롭게 설치되고, 또한, 상기 레이들측 덕트(4B)도, 상기 후드측 덕트(4A)와 마찬가지로 원통형상으로 구성되어, 양쪽 덕트(4A)(4B)를 동심 상으로 회동자재되도록 연결되어 있다.
또, 상기 집진기측 덕트(7)에는, 상기 레이들(10)의 경동축심(P3)의 둘레로 회동하는 제2회동연결기구(9)를 설치하고 있다. 이 레이들(10)의 경동축심(P3)은, 주탕시 레이들(10)를 경사시키기 위한 축심이며, 레이들(10)의 상하방향 거의 중간에 위치하는 횡축이다.
이 제2회동연결기구(9)의 구체적 구성은, 상기 레이들측 덕트(4B)를, 상기 집진기측 덕트(7)에 대하여, 상기 레이들(10)의 경동축심(P3)과 같은 축심상의 레이들측 덕트(4B)의 축심(P4) 둘레로 회동자재하도록 연결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레이들(10)의 승강에 상기 집진기측 덕트(7)를 추종할 수 있도록, 그 집진기측 덕트(7)에 추종수단(5)을 설치하고 있다. 이 레이들(10)의 승강은, 전기로(20)로부터 급탕될 때, 급탕을 받기 쉽도록, 전기로(20)의 경동에 맞춰서 그 위치를 상하로 변위시키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추종수단(5)의 구체적인 구조로서, 여기에서는, 상기 백필터형 집진기(3)의 집진덕트(7)의 일부(7A)에 개재된 사복구조의 덕트(5A)로 구성되며, 이로써, 상기 레이들(10)의 승강에 추종하여 신축할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이 사복구조에 대신하여, 텔레스코프(신축 망원경)의 구조를 채용해도 좋다.
도 1에 있어서, 상술한 추종수단(5)의 승강시 신장하는 구성이 가상선으로 그려져 있다. 도 4에 있어서는, 레이들(10)의 덮개형상 집진후드(4)를 열 수 있었 던 상태로, 주탕 상태를 나타낸다. 도 5는, 전기로(20)의 위치에서, 주탕전의 상태에 의해, 덮개형상 집진후드(4)가 닫혀진 상태이며, 도 6은, 덮개형상 집진후드(4)가 그 덕트 축심(P2) 둘레로 회동되어 열려지고, 전기로(20)로부터 레이들(10)로 급탕이 되고 있는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도 7은, 덮개형상 집진후드(4)가 닫혀진 상태(집진중)인 채, 레이들(10)을 경동시켜서 주탕기(26) (이러한 주탕기에 대신하여, 유지로일 경우, 또한, 주형일 경우도 있다)에 대하여 주탕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 따르는 레이들을 이용한 용탕반송장치는, 주탕을 받는 레이들을 사용하는 반송장치로서, 각종 주조공장에서 실시할 수 있는 것이어서, 그 적용 범위가 넓은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종래의 천장 크레인형 집진과 같이 전체가 대규모 장치로 되는 일 없이, 아울러 전기로 등으로부터 주입된 후의 반송시는 물론이고 주탕기, 유지로, 주형 등에의 주탕에 동반하는 레이들의 승강, 경동시에도 매연, 분진 등의 집진을 효율적으로 행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4)

  1. 전기로 등으로부터 주입되는 탕을 받는 레이들(10)을, 레이들용 대차(1)에 승강 및 경동이 자유롭게 탑재하여, 공장부설의 궤도 위를 자주 가능하게 구성하고 있는 레이들을 사용한 용탕반송장치로서,
    상기 레이들용 대차(1)에 집진기용 대차(2)를 연결자유롭게 설치하고,
    상기 집진기용 대차(2)에 백필터형 집진기(3)를 탑재하며,
    상기 레이들(10)에, 덮개형상 집진후드(4)를 횡축심(P1) 둘레로 개폐자유롭게 설치하며,
    상기 덮개형상 집진후드(4)를 개폐하는 구동수단(6)을 설치하고,
    상기 덮개형상 집진후드(4)를, 상기 덮개형상 집진후드(4)의 개폐동작을 허용하면서 상기 백필터형 집진기(3)의 집진기측 덕트(7)에 연결하는 제1회동연결기구(8)를 설치하고,
    상기 집진기측 덕트(7)에, 상기 레이들(10)의 경동축심(P3)의 둘레로 회동하는 제2회동연결기구(9)를 설치하고, 또한,
    상기 레이들(10)의 승강에 상기 집진기측 덕트(7)를 추종할 수 있도록, 그 집진기측 덕트(7)에 추종수단(5)을 설치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들을 이용한 용탕반송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회동연결기구(8)가, 상기 덮개형상 집진후드(4)의 후드측 덕트(4A)가 원통형상으로 구성됨과 동시에 그 후드측 덕트(4A)가 그 덕트 축심(P2) 둘레로 회동자유롭게 설치되며, 또한, 상기 레이들측 덕트(4B)도, 상기 후드측 덕트(4A)와 마찬가지로 원통형상으로 구성되어, 양쪽덕트(4A), (4B)를 동심 형상으로 회동자유롭게 되도록 연결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들을 이용한 용탕반송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추종수단(5)이, 상기 백필터형 집진기(3)의 집진덕트(7)의 일부(7A)에 개재된 사복구조의 덕트(5A)로 구성되며, 상기 레이들(10)의 승강에 추종해서 신축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들을 이용한 용탕반송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회동연결기구(9)가, 상기 레이들 측 덕트(4B)를, 상기 집진기측 덕트(7)에 대하여, 상기 레이들(10)의 경동축심(P3)과 같은 축심상의 상기 레이들 측 덕트(4B)의 축심(P4) 둘레에 회동자유롭게 되도록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들을 이용한 용탕반송장치.
KR1020060062833A 2005-09-30 2006-07-05 레이들을 이용한 용탕반송장치 KR2007003729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5-00315365 2005-09-30
JP2005315365A JP2007098466A (ja) 2005-09-30 2005-09-30 取鍋を用いた溶湯搬送装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37296A true KR20070037296A (ko) 2007-04-04

Family

ID=380259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62833A KR20070037296A (ko) 2005-09-30 2006-07-05 레이들을 이용한 용탕반송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2007098466A (ko)
KR (1) KR20070037296A (ko)
CN (1) CN1981959B (ko)
TW (1) TW200719988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815830B (zh) * 2015-04-24 2017-08-04 北京首钢国际工程技术有限公司 连铸机浇铸区域移动式除尘设备
CN106955887A (zh) * 2017-05-24 2017-07-18 中冶华天工程技术有限公司 一种移动式全包围钢包热修除尘罩装置
CN107790635B (zh) * 2017-09-22 2019-10-15 芜湖市鸿坤汽车零部件有限公司 一种汽车发动机中缸体铸件的组芯浇注装置
CN109773171A (zh) * 2019-03-28 2019-05-21 上海应用技术大学 一种高温铝铁金属液体供料线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219891B1 (en) * 1985-10-04 1990-06-13 DANIELI & C. OFFICINE MECCANICHE S.p.A. Device to handle ladles
JPH0638311Y2 (ja) * 1988-04-18 1994-10-05 信六 西山 電気炉の集塵装置
JPH0724934B2 (ja) * 1991-06-15 1995-03-22 新東ダストコレクタ株式会社 取鍋の搬送装置
JPH11169811A (ja) * 1997-12-16 1999-06-29 Osamu Asai 溶解炉用の集塵装置
CN2738910Y (zh) * 2004-10-11 2005-11-09 盛富春 铁水包风冷除尘机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981959B (zh) 2010-06-09
JP2007098466A (ja) 2007-04-19
TW200719988A (en) 2007-06-01
CN1981959A (zh) 2007-06-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70037296A (ko) 레이들을 이용한 용탕반송장치
CN108500224B (zh) 连铸大包浇注烟气除尘工艺
US3979551A (en) Arc furnace fumes control system
JPH1019475A (ja) 溶解炉用の集塵装置
CA1270370A (en) Induction furnace with a furnace bottom and lid
CN105256098A (zh) 一种转炉活动烟罩的更换方法
CN109612264B (zh) 连续加料炼钢电弧炉装置
KR101193992B1 (ko) 금속 용해공정 오염물질 제어용 배기시스템 및 배기방법
CN108311684B (zh) 连铸大包回转台烟气捕集装置
CN106735160B (zh) 一种环保型钢水罐热修装置
US3999001A (en) Arc furnace fumes control system
JPH105984A (ja) 取鍋耐火物の解体補修用集塵装置
KR101359144B1 (ko) 장입구 및 리드 크리닝장치
US4786250A (en) Installation for evacuating emanations in the taphole region of shaft furnaces
US3980008A (en) Ladle canopy
CN111906288A (zh) 钢包回转台的移动除尘装置
CN212144492U (zh) 一种钢水罐热修系统
CN110953897B (zh) 一种电炉铁水扒渣机构和扒渣方法
KR200469718Y1 (ko) 전기로의 집진장치
JP4678562B2 (ja) 天井クレーン用集塵装置
CN206944734U (zh) 悬臂式中频炉烟尘捕集装置
US4410166A (en) Gas collector for metallurgical vessels
KR200382735Y1 (ko) 집진후드
CN212443235U (zh) 钢包回转台的移动除尘装置
US20230175779A1 (en) Side-supported cantilever furnace ro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