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59144B1 - 장입구 및 리드 크리닝장치 - Google Patents

장입구 및 리드 크리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59144B1
KR101359144B1 KR1020120026057A KR20120026057A KR101359144B1 KR 101359144 B1 KR101359144 B1 KR 101359144B1 KR 1020120026057 A KR1020120026057 A KR 1020120026057A KR 20120026057 A KR20120026057 A KR 20120026057A KR 101359144 B1 KR101359144 B1 KR 1013591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ad
charging
scraper
lid
clea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260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04514A (ko
Inventor
노관호
신도
임철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200260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59144B1/ko
Publication of KR201301045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045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591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591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BDESTRUCTIVE DISTILLATION OF CARBONACEOUS MATERIALS FOR PRODUCTION OF GAS, COKE, TAR, OR SIMILAR MATERIALS
    • C10B43/00Preventing or removing incrustations
    • C10B43/02Removing incrustations
    • C10B43/04Removing incrustations by mechanical mean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ke Industry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장입구 및 리드 크리닝장치는, 장입차의 하부에 설치되어 장입구의 리드 측으로 이동되는 이동수단; 및 상기 이동수단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리드를 리프팅하면서 상기 장입구 및 리드에 부착된 이물질을 함께 크리닝하도록 구성되는 크리닝수단;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은, 코크스 오븐 상의 장입구 테두리 내주면과 상기 장입구를 덮고 있는 리드의 테두리에 고착된 카본을 제거함으로써 장입구와 리드 사이를 통해 배출되는 가스의 누출을 방지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와 같은 가스누출로 인하여 미건류가 발생하게 되어 코크스 품질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나아가, 카본 제거작업이 자동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안정적인 측면에서 수작업으로 인한 화상 위험도를 없앨 수 있으며, 빠른 제거작업으로 인하여 작업지연으로 발생하는 생산량 감소를 줄일 수 있다.

Description

장입구 및 리드 크리닝장치{Apparatus for cleaning lid and charging inlet of cokes oven}
본 발명은 장입구 및 리드 크리닝장치로서, 코크스 오븐 상의 장입구를 덮고 있는 리드를 리프팅하면서 장입구 테두리 내주면과 리드의 테두리에 고착된 카본을 함께 제거하는 장입구 및 리드 크리닝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코크스 오븐의 상부에 배치된 장입구를 나타낸 도이다.
도 2(a) 및 도 2(b)는 도 1의 장입구의 테두리에 이물질인 카본이 부착된 것을 나타낸 도이고, 도 2(c)는 도 2(a) 및 도 2(b)의 카본에 의해 장입구가 리드에 의해 완전밀폐되지 않아서 가스가 누출되는 것을 나타낸 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코크스 공장의 장입차의 역할은 오븐에 장입을 위하여 ㅋ코크스 오븐(1)의 장입구(2)를 개방하여 장입을 한 후, 다시 폐쇄하는 작업을 수행하는데, 한번 개방했다 다시 폐쇄하는 과정에서 장입구(2)와 리드(3) 사이의 카본 등의 이물질로 인하여 갭이 생길 수 있다.
이에, 장입 후 다량의 가스(5)가 누출되어 대기 환경오염은 물론 노상 작업자의 작업환경에도 영향이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
구체적으로, 코크스 오븐(1) 상의 장입구(2) 테두리 내주면과 상기 장입구(2)를 덮고 있는 리드(3)의 테두리에 고착된 카본을 제거되지 않음으로써, 그 갭인 장입구(2)와 리드(3) 사이를 통해 가스(5)가 배출되는 문제점이 있다.
아울러, 상기와 같은 가스누출로 인하여 미건류가 발생하게 되어 코크스 품질이 저하될 수 있는 한계점이 있다.
나아가, 카본 제거작업이 수작업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안정적인 측면에서 화상 위험도가 높고 인력과 장비가 많이 투입되어야 하며, 그 제거작업으로 인하 생산지체로 인하여 생산량 또한 감소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코크스 오븐 상의 장입구를 덮고 있는 리드를 리프팅하면서 장입구 테두리 내주면과 리드의 테두리에 고착된 카본을 함께 제거함으로써, 장입구와 리드 사이를 통해 배출되는 가스의 누출을 방지할 수 있고, 상기와 같은 가스누출로 인하여 미건류가 발생하게 되어 코크스 품질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입구 및 리드 크리닝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장입구 및 리드 크리닝장치는, 장입차의 하부에 설치되어 장입구의 리드 측으로 이동되는 이동수단; 및 상기 이동수단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리드를 리프팅하고 상기 장입구 및 리드에 부착된 이물질을 함께 크리닝하도록 구성되는 크리닝수단;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크리닝수단은, 상기 이동수단의 하부에 설치된 크리닝본체; 상기 크리닝본체 내에 장착되며 상하 피스톤 운동하는 리드리프팅 실린더; 상기 리드리프팅 실린더의 피스톤 단부에 장착된 전기 마그네트; 및 상기 전기 마그네트에 자력부착되는 상기 리드의 테두리에 밀착되면서 회전하는 스크래퍼를 가진 크리닝유닛;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크리닝유닛은, 상기 스크래퍼를 상기 리드의 테두리에 밀착시키도록 회동시키는 스크래퍼 회동부; 및 상기 장입구 및 리드 테두리의 이물질을 제거하도록 상기 스크래퍼를 회전시키는 스크래퍼 회전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상기 스크래퍼 회동부는, 상기 리드리프팅 실린더를 감싸며 상기 리드리프팅 실린더의 피스톤에 연결되어 상하운동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과 연결되어 상기 하우징의 외측에 상하방향으로 배치된 가이드빔; 및 내측 단부가 상기 가이드빔과 연결되고 외측 단부에 상기 스크래퍼가 장착되는 회동암;을 구비하고, 상기 스크래퍼 회전부는, 상기 회동암이 상하방향 회동되도록 상기 회동암의 중앙부가 회전되게 고정되며, 상기 가이드빔이 끼워진 수직홀을 지닌 수평회전판; 및 상기 수평회전판을 수평회전시키도록 기어체결되는 구동모터;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크리닝유닛은, 상기 리드리프팅 실린더의 피스톤에 장착고정되어 상기 하우징을 선택적으로 연결시키며, 상기 수평회전판의 회전시 연동하여 회전하는 상기 가이드빔, 하우징으로부터 상기 리드리프팅 실린더의 피스톤을 연결해제하는 이중클러치;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이동수단은, 상기 장입차의 하부에 고정설치되며 전후실린더를 가진 전후구동부; 및 상기 전후실린더의 피스톤 단부에 장착되어 전후이동되며 상하실린더를 가진 상하구동부;를 구비하며, 상기 상하실린더의 피스톤 단부에 상기 크리닝수단이 장착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장입구 및 리드 크리닝장치는, 코크스 오븐 상의 장입구 테두리 내주면과 상기 장입구를 덮고 있는 리드의 테두리에 고착된 카본을 제거함으로써 장입구와 리드 사이를 통해 배출되는 가스의 누출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아울러, 상기와 같은 가스누출로 인하여 미건류가 발생하게 되어 코크스 품질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을 지닌다.
나아가, 카본 제거작업이 자동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안정적인 측면에서 수작업으로 인한 화상 위험도를 없앨 수 있으며, 빠른 제거작업으로 인하여 작업지연으로 발생하는 생산량 감소를 줄일 수 있다.
도 1은 코크스 오븐의 상부에 배치된 장입구를 나타낸 도이다.
도 2(a) 및 도 2(b)는 도 1의 장입구의 테두리에 이물질인 카본이 부착된 것을 나타낸 도이고, 도 2(c)는 도 2(a) 및 도 2(b)의 카본에 의해 장입구가 리드에 의해 완전밀폐되지 않아서 가스가 누출되는 것을 나타낸 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장입구 및 리드 크리닝장치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장입구 및 리드 크리닝장치에서 크리닝본체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3의 장입구 및 리드 크리닝장치의 전기 마그네트에 리드가 자력부착된 것을 나타낸 내부구성도이다.
도 6은 도 5의 장입구 및 리드 크리닝장치의 크리닝유닛이 리드의 테두리에 부착된 것을 나타낸 내부구성도이다.
도 7은 도 5의 장입구 및 리드 크리닝장치에서 회동암과 스크래퍼가 제거된 상태를 나타낸 저면도이다.
도 8은 도 5의 장입구 및 리드 크리닝장치의 하부를 나타낸 도이다.
도 9는 도 3의 장입구 및 리드 크리닝장치가 작동되어 장입구 및 리드를 크리닝하는 것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장입구 및 리드 크리닝장치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장입구 및 리드 크리닝장치에서 크리닝본체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또한, 도 5는 도 3의 장입구 및 리드 크리닝장치의 전기 마그네트에 리드가 자력부착된 것을 나타낸 내부구성도이고, 도 6은 도 5의 장입구 및 리드 크리닝장치의 크리닝유닛이 리드의 테두리에 부착된 것을 나타낸 내부구성도이다.
아울러, 도 7은 도 5의 장입구 및 리드 크리닝장치에서 회동암과 스크래퍼가 제거된 상태를 나타낸 저면도이고, 도 8은 도 5의 장입구 및 리드 크리닝장치의 하부를 나타낸 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장입차(6)의 하부에 설치된 이동수단과, 상기 이동수단의 하부에 설치된 크리닝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이동수단은, 도 3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입차(6)의 하부에 설치되는데, 장입구(2)의 리드(3) 측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때, 이동수단은 장입차(6)의 하부에 고정설치된 전후구동부(20)와, 상기 전후구동부(20)의 전단에 설치된 상하구동부(30)를 구비한다.
여기에서, 상기 전후구동부(20)는 코크스 오븐(도 1의 1)의 상측에서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장입차(6)의 하부에 설치되어, 장입차(6)가 이동함에 따라 함께 이동하게 된다.
이와 같은 전후구동부(20)는 전후실린더(21)를 구비하는데, 상기 전후실린더(21)는 장입차(6)가 이동되는 방향에 대해 전측 및 후측으로 피스톤(21a)이 신장 및 수축할 수 있으며, 나아가 피스톤(21a) 단부에 설치된 상하구동부(30)를 상하방향이 아닌 수평방향에 대해 이동시킬 수 있으면 될 뿐 그 구체적인 방향에 대해서는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상하구동부(30)는 전후실린더(21)의 피스톤(21a) 단부에 장착되어 전후이동되며 상하실린더(31)를 구비한다.
아울러, 상기 상하실린더(31)는 피스톤(31a) 단부에 크리닝수단이 장착된다.
이에 의해 상기 상하실린더(31)는, 전후실린더(21)의 피스톤(21a)이 신장 및 수축함에 따라 전후이동되며 수평방향에 대한 정위치에 위치하게 되면, 피스톤(31a)이 상하방향으로 신장 및 수축함에 따라 단부에 설치된 크리닝수단을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전후실린더(21)와 상하실린더(31)는 바람직하게 유압실린더가 활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크리닝수단은 이동수단의 하부에 설치되어, 장입구(2) 및 리드(3)에 부착된 이물질을 크리닝하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크리닝수단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수단의 하부에 장착된 크리닝본체(40), 및 상기 크리닝본체(40)에 내에 구성되는 리드리프팅 실린더(50), 전기 마그네트(60), 크리닝유닛을 구비한다.
여기에서, 상기 크리닝본체(40)는 이동수단의 하부, 즉 상하실린더(31)의 피스톤(31a) 단부에 설치되며, 일측에 배치되는 리드리프팅 실린더(50), 전기 마그네트(60), 크리닝유닛이 안정적으로 위치될 수 있도록 무게 중심을 위해 적정한 구조 및 형상을 취할 수 있다.
일례로서, 크리닝본체(40)는 상하실린더(31)의 피스톤(31a) 단부에 체결되며 수평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본체프레임(41)과, 상기 본체프레임(41)의 일측 단부에 형성된 체결홀(41a)에 끼움되어 볼트와 같은 체결부재로 체결되는 본체헤드부(42)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본체헤드부(42) 내에는 상기 리드리프팅 실린더(50), 전기 마그네트(60), 크리닝유닛이 장착되며, 아울러 후술되는 구동모터(92)가 견고하게 장착되도록 구동모터(92)와 대응되는 형상을 지닌 모터안착대(42a)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리드리프팅 실린더(50)는 크리닝본체(40) 내에 장착되며 상하로 피스톤(50a) 운동하도록 구성된다.
크리닝본체(40)가 이동수단의 전후실린더(21)와 상하실린더(31)에 의해 리드(3) 상측의 적정지점에 위치된 후, 리드(3)를 전기 마그네트(60)에 의해 자력부착되게 하기 위해, 상기 리드리프팅 실린더(50)는 피스톤(50a)을 하측으로 신장시켜 전기 마그네트(60)를 리드(3)의 상면으로 하방이동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여기에서, 상기 리드리프팅 실린더(50)는 바람직하게 유압실린더가 활용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전기 마그네트(60)는 리드리프팅 실린더(50)의 피스톤(50a) 단부에 장착되는데, 전기에 의해 자력이 발생하면서 자력의 크기도 제어될 수 있다.
이러한 전기 마그네트(60)는, 리드리프팅 실린더(50)의 피스톤(50a)의 신장에 의해 하방 이동되어 하측의 리드(3) 상면에 안착된 후, 전기적 제어에 의해 자력을 발생시켜 리드(3)를 하면에 부착시켜 견고하게 고정되게 한다.
그리고, 상기 크리닝유닛은 전기 마그네트(60)에 자력부착되는 리드(3)의 테두리에 밀착되면서 회전하는 스크래퍼(70)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크리닝유닛을 살펴보면, 스크래퍼(70)를 리드(3)의 테두리에 밀착시키도록 회동시키는 스크래퍼 회동부와, 상기 장입구(2) 및 리드(3) 테두리의 이물질을 제거하도록 스크래퍼(70)를 회전시키는 스크래퍼 회전부를 구비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스크래퍼 회동부는 리드리프팅 실린더(50)를 감싸는 하우징(81), 상기 하우징(81)과 연결된 가이드빔(83), 및 상기 가이드빔(83)과 스크래퍼(70)를 연결하는 회동암(85)을 구비한다.
여기에서, 상기 하우징(81)은 리드리프팅 실린더(50)를 덮어서 감싸면서 하면이 개방된 형상을 취하여, 리드리프팅 실린더(50)의 피스톤(50a) 단부에 장착된 전기 마그네트(60)가 리드(3)와 자력부착될 수 있도록 외부에 노출된 구조를 취하도록 한다.
이러한 하우징(81)은 리드리프팅 실린더(50)의 피스톤(50a)에 연결되어, 상기 피스톤(31a)(21a)이 상하방향으로 신장 및 수축시 함께 상하운동하게 된다.
이때, 하우징(81)은 리드리프팅 실린더(50)의 피스톤(50a)에 이중클러치(82)에 의해 선택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데,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또한, 상기 가이드빔(83)은 하우징(81)과 연결되어 하우징(81)의 외측에서 상하방향으로 길게 배치되는데, 이때 이음부재(83a)에 의해 하우징(81)과 연결되어 하우징(81)으로부터 일정간격 외측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가이드빔(83)은 하우징(81)이 상하이동하게 되면 연동하여 상하이동하게 된다.
이러한 구조의 상기 가이드빔(83)은 바람직하게 세 개가 배치될 수 있으며, 가이드빔(83)의 상부에는 하강시 충격을 완화하기 위해 단부가 후술되는 수평회전판(91)과의 접촉되어 상방 압박되는 탄성부재(84)가 구성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회동암(85)은 내측 단부가 상기 가이드빔(83)과 연결되고 외측 단부에 스크래퍼(70)가 장착된다.
이때, 회동암(85)은 상하방향 회동되도록 중앙부가 후술하는 수평회전판(91)에 장착된 연결축(85a)에 회전되게 고정됨으로써, 가이드빔(83)이 상하이동하게 되면 연동하여 상하방향 회동하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스크래퍼 회동부는, 리드리프팅 실린더(50)가 작동됨에 따라 연동되어 하우징(81)이 상하이동하게 되고, 하우징(81)과 내측 단부가 연결된 회동암(85)이 상하방향으로 회동함으로써 외측 단부에 장착된 스크래퍼(70)가 리드(3)의 테두리 측으로 이동하여 접하게 된다.
이에 따라, 후술되는 스크래퍼 회전부의 작동에 의해 스크래퍼(70)가 회전시, 장입구(2)와 리드(3)의 테두리에 고착된 이물질, 즉 대표적인 일례로서 카본(4)을 제거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스크래퍼 회전부는 상기 가이드빔(83)이 끼워진 수직홀(91a)을 지닌 수평회전판(91)과, 상기 수평회전판(91)을 수평회전시키도록 기어체결되는 구동모터(92)를 구비한다.
상기 수평회전판(91)에는 수직방향으로 수직홀(91a)이 형성되는데, 상기 수직홀(91a)은 가이드빔(83)이 끼워져서 상기 가이드빔(83)이 수직이동시 슬라이드 가이드 이동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구동모터(92)는 상기 수평회전판(91)을 회전시키는 구동력을 제공하는데, 구동축(92a)이 스프로킷(93)과 기어체결되어 회전력을 전달한다.
아울러, 상기 수평회전판(91)은 본체헤드부(42)의 내주면과 접하여 회전하게 되는데, 원활한 회전을 위해 외주면에 베어링(94)이 장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스크래퍼 회전부는, 구동모터(92)에 의해 상기 수평회전판(91)이 회전시 연결축(85a)으로 연결된 회동암(85)이 회전하게 되고, 결과적으로 회동암(85)의 단부에 장착된 스크래퍼(70)가 회전하게 된다.
이에 따라, 회전하는 스크래퍼(70)가 장입구(2)와 리드(3)의 테두리에 고착된 이물질인 카본(4)을 제거할 수 있다.
한편, 스크래퍼 회동부와 스크래퍼 회전부의 선택적 체결구조에 대해 살펴보면, 스크래퍼 회전부에서 수평회전판(91)이 회전시 수직홀(91a)에 끼워진 가이드빔(83)도 회전하게 되며, 이러한 가이드빔(83)과 연동하여 하우징(81)도 회전하게 된다.
이와 같은 하우징(81)은, 이중클러치(82)에 의해 리드리프팅 실린더(50)의 피스톤(50a)에 연결되어 선택적으로 리드리프팅 실린더(50)에 체결될 수 있다.
즉, 상기 이중클러치(82)는 리드리프팅 실린더(50)의 피스톤(50a)에 장착고정되어 하우징(81)을 선택적으로 연결시키도록 구성되는데, 스크래퍼 회동부의 작동시에는 하우징(81)이 리드리프팅 실린더(50)의 피스톤(50a)에 연결되어 상하운동만 하도록 하며, 스크래퍼 회전부의 작동시에는 하우징(81)이 리드리프팅 실린더(50)의 피스톤(50a)으로부터 연결해제되어 회전운동만 하도록 한다.
다시 말해, 스크래퍼 회동부가 작동하는 과정에서, 일례로서 리드리프팅 실린더(50)의 피스톤(50a)이 수축하여 상측 이동하게 되면 하우징(81)도 연동되어 상측 이동하게 됨으로써, 회동암(85)이 회동되어 회동암(85)의 단부에 장착된 스크래퍼(70)도 회동하면서 하측으로 내려와 리드(3)의 테두리에 접하게 된다.
그런 다음, 스크래퍼 회전부가 작동하게 되면, 구동모터(92)의 구동력에 의해 수평회전판(91)이 회전하게 되면 수직홀(91a)에 끼워진 가이드빔(83)도 회전하게 되고 상기 가이드빔(83)과 연결된 하우징(81)도 연동되어 회전하게 되는데, 이때 이중클러치(82)에 의해 리드리프팅 실린더(50)의 피스톤(50a)과 하우징(81)의 연결을 해제함으로써, 리드리프팅 실린더(50)는 회전하지 않고 하우징(81)만 회전하게 된다.
그러면,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장입구 및 리드 크리닝장치가 장입구(2) 및 리드(3)의 테두리에 고착된 이물질인 카본(4)을 제거하는 과정을 살펴보기로 한다.
도 9는 장입구 및 리드를 크리닝 하기 위해 도 3의 장입구 및 리드 크리닝장치가 작동되는 것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먼저,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후구동부(20)의 전후실린더(21)를 작동시켜 상하구동부(30)를 수평방향 이동시킴으로써, 장입구(2)를 덮고 있는 리드(3) 상측에 위치시킨다.
이어서,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구동부(30)의 상하실린더(31)를 작동시켜 크리닝본체(40)를 리드(3) 상의 적정 위치까지 하강시킨다.
다음으로, 도 9(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드리프팅 실린더(50)를 작동시켜 전기 마그네트(60)가 하강하여 리드(3)의 상면에 안착되면, 전기 마그네트(60)의 전기를 제어하여 리드(3)를 전기 마그네트(60)에 자력부착시킨다.
그 다음으로, 도 9(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드리프팅 실린더(50)를 작동시켜 전기 마그네트(60)를 상승시킨 다음, 도 9(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크래퍼 회동부를 작동시켜 벌려져 있는 회동암(85)의 외측 단부를 오므리게 하여 스크래퍼(70)를 리드(3)의 테두리에 접하게 한다.
구체적으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드리프팅 실린더(50)의 피스톤(50a)이 수축하여 상측 이동하게 되면 하우징(81)도 연동되어 상측 이동하게 됨으로써, 회동암(85)이 회동되어 회동암(85)의 단부에 장착된 스크래퍼(70)도 회동하면서 하측으로 내려와 리드(3)의 테두리에 접하게 된다.
다음으로, 도 9(f)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드리프팅 실린더(50)를 작동시켜 전기 마그네트(60)를 하강시킴으로써, 스크래퍼(70)의 외측면이 장입구(2)의 테두리에 접하게 한다.
마지막으로, 스크래퍼 회전부를 작동시켜 스크래퍼(70)를 회전시킴으로써 장입구(2) 및 리드(3)의 테두리에 고착된 카본(4)을 제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구동모터(92)의 구동력에 의해 수평회전판(91)이 회전하게 되면 수직홀(91a)에 끼워진 가이드빔(83)도 회전하게 되며, 수평회전판(91)과 가이드빔(83)에 연결된 회동암(85)이 회전하게 됨으로써, 회동암(85)의 단부에 장착된 스크래퍼(70)가 회전함으로써 장입구(2) 및 리드(3)의 테두리에 고착된 카본(4)을 제거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은, 코크스 오븐 상의 장입구(2)를 덮고 있는 리드(3)를 리프팅하면서 장입구(2) 테두리 내주면과 리드(3)의 테두리에 고착된 이물질인 카본(4)을 함께 제거함으로써, 장입구(2)와 리드(3) 사이를 통해 배출되는 가스의 누출을 방지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와 같은 가스누출로 인하여 미건류가 발생하게 되어 코크스 품질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나아가, 카본(4) 제거작업이 자동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안정적인 측면에서 수작업으로 인한 화상 위험도를 없앨 수 있으며, 빠른 제거작업으로 인하여 작업지연으로 발생하는 생산량 감소를 줄일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 가능함은 물론이다.
2 : 장입구 3 : 리드
20 : 전후구동부 21 : 전후실린더
31 : 상하실린더 40 : 크리닝본체
41 : 본체프레임 42 : 본체헤드부
50 : 리드리프팅 실린더 60 : 전기 마그네트
70 : 스크래퍼 81 : 하우징
82 : 이중클러치 83 : 가이드빔
84 : 탄성부재 85 : 회동암
91 : 수평회전판 91a : 수직홀
92 : 구동모터 92a : 구동축
93 : 스프로킷 94 : 베어링

Claims (6)

  1. 장입차(6)의 하부에 설치되어 장입구(2)의 리드(3) 측으로 이동되는 이동수단; 및 상기 이동수단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리드(3)를 리프팅하면서 상기 장입구(2) 및 리드(3)에 부착된 이물질을 함께 크리닝하도록 구성되는 크리닝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크리닝수단은, 상기 이동수단의 하부에 설치된 크리닝본체(40); 상기 크리닝본체(40) 내에 장착되며 상하 피스톤(50a) 운동하는 리드리프팅 실린더(50); 상기 리드리프팅 실린더(50)의 피스톤(50a) 단부에 장착된 전기 마그네트(60); 및 상기 전기 마그네트(60)에 자력부착되는 상기 리드(3)의 테두리에 밀착되면서 회전하는 스크래퍼(70)를 가진 크리닝유닛;을 구비하며,
    상기 크리닝유닛은, 상기 스크래퍼(70)를 상기 리드(3)의 테두리에 밀착시키도록 회동시키는 스크래퍼 회동부; 및 상기 장입구(2) 및 리드(3) 테두리의 이물질을 제거하도록 상기 스크래퍼(70)를 회전시키는 스크래퍼 회전부;를 구비하며,
    상기 스크래퍼 회동부는, 상기 리드리프팅 실린더(50)를 감싸며 상기 리드리프팅 실린더(50)의 피스톤(50a)에 연결되어 상하운동하는 하우징(81); 상기 하우징(81)과 연결되어 상기 하우징(81)의 외측에 상하방향으로 배치된 가이드빔(83); 및 내측 단부가 상기 가이드빔(83)과 연결되고 외측 단부에 상기 스크래퍼(70)가 장착되는 회동암(85);을 구비하고, 상기 스크래퍼 회전부는, 상기 회동암(85)이 상하방향 회동되도록 상기 회동암(85)의 중앙부가 회전되게 고정되며, 상기 가이드빔(83)이 끼워진 수직홀(91a)을 지닌 수평회전판(91); 및 상기 수평회전판(91)을 수평회전시키도록 기어체결되는 구동모터(92);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입구 및 리드 크리닝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크리닝유닛은, 상기 리드리프팅 실린더(50)의 피스톤(50a)에 장착고정되어 상기 하우징(81)을 선택적으로 연결시키며, 상기 수평회전판(91)의 회전시 연동하여 회전하는 상기 가이드빔(83), 하우징(81)으로부터 상기 리드리프팅 실린더(50)의 피스톤(50a)을 연결해제하는 이중클러치(82);
    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입구 및 리드 크리닝장치.
  6. 제1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수단은, 상기 장입차(6)의 하부에 고정설치되며 전후실린더(21)를 가진 전후구동부(20); 및 상기 전후실린더(21)의 피스톤(21a) 단부에 장착되어 전후이동되며 상하실린더(31)를 가진 상하구동부(30);를 구비하며,
    상기 상하실린더(31)의 피스톤(31a) 단부에 상기 크리닝수단이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입구 및 리드 크리닝장치.
KR1020120026057A 2012-03-14 2012-03-14 장입구 및 리드 크리닝장치 KR1013591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6057A KR101359144B1 (ko) 2012-03-14 2012-03-14 장입구 및 리드 크리닝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6057A KR101359144B1 (ko) 2012-03-14 2012-03-14 장입구 및 리드 크리닝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04514A KR20130104514A (ko) 2013-09-25
KR101359144B1 true KR101359144B1 (ko) 2014-02-06

Family

ID=494533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26057A KR101359144B1 (ko) 2012-03-14 2012-03-14 장입구 및 리드 크리닝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5914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479522A (zh) * 2015-08-31 2017-03-08 上海梅山钢铁股份有限公司 焦炉炉盖自动清扫及自动浇浆装置
CN106094832B (zh) * 2016-07-19 2020-10-27 Tcl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机器人及其进行自主无线充电的方法、系统
KR102292459B1 (ko) 2020-05-11 2021-08-24 허기복 코크스 오븐의 리드 이물질 제거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8160U (ja) * 1993-12-14 1995-07-14 株式会社幸袋工作所 装炭車装入孔掃除装置
KR19980042976U (ko) * 1996-12-24 1998-09-25 김종진 코크스로 탄화실의 장입구 청소장치
KR100938285B1 (ko) * 2009-06-19 2010-01-22 (주)삼우기계 코크스 오븐의 장입구 및 리드 청소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8160U (ja) * 1993-12-14 1995-07-14 株式会社幸袋工作所 装炭車装入孔掃除装置
KR19980042976U (ko) * 1996-12-24 1998-09-25 김종진 코크스로 탄화실의 장입구 청소장치
KR100938285B1 (ko) * 2009-06-19 2010-01-22 (주)삼우기계 코크스 오븐의 장입구 및 리드 청소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04514A (ko) 2013-09-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59144B1 (ko) 장입구 및 리드 크리닝장치
CN105921440A (zh) 一种光伏板清洁装置及其清洁方法
CN204004365U (zh) 一种载人压力容器快开盖装置
CN111750673A (zh) 用于熔化炉的炉渣门
CN104860193B (zh) 一种水平捞取的抓斗装置
CN202465587U (zh) 焦炉装煤车作业系统
CN205663846U (zh) 一种闷渣池盖启闭装置
US11446874B2 (en) Apparatus for additively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objects
KR20070037296A (ko) 레이들을 이용한 용탕반송장치
KR101485911B1 (ko) 고착물 제거장치
CN102989204A (zh) 澄清槽耙料器
KR20130026868A (ko) 리드 클리닝 장치
JP5065774B2 (ja) バケットカバー開閉装置
CN201325938Y (zh) 装煤车装煤孔盖清扫装置
CN108820926B (zh) 用于除尘设备下端的卸灰装置
CN205362936U (zh) 一种四工位全自动转子焊锡机
CN207309949U (zh) 一种发泡夹具自动开合盖用旋转机械手
CN202961992U (zh) 澄清槽耙料器
CN205387876U (zh) 一种电气设备门体支撑装置
CN102585850A (zh) 焦炉装煤车作业系统
CN116202322A (zh) 改善铅冶炼熔铅锅投高湿残极作业环境的装置及投料方法
JP2963625B2 (ja) コークス炉窯口下部周辺の清掃装置
CN211217863U (zh) 一种缸体的离心除油设备
KR101728524B1 (ko) 턴디쉬용 덮개장치
CN217559025U (zh) 一种防高温真空密封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3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8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