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24042B1 - 용해로용 고정식 집진 후드 - Google Patents

용해로용 고정식 집진 후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24042B1
KR102224042B1 KR1020200093907A KR20200093907A KR102224042B1 KR 102224042 B1 KR102224042 B1 KR 102224042B1 KR 1020200093907 A KR1020200093907 A KR 1020200093907A KR 20200093907 A KR20200093907 A KR 20200093907A KR 102224042 B1 KR102224042 B1 KR 1022240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rane
melting furnace
shielding
roof
access ro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939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진한
Original Assignee
김진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진한 filed Critical 김진한
Priority to KR10202000939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2404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40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40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17/00Arrangements for using waste heat; Arrangements for using, or disposing of, waste gases
    • F27D17/001Extraction of waste gases, collection of fumes and hoods used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7D2099/0085Accessories
    • F27D2099/0093Means to collect ashes or dust, e.g. vess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7D2099/0085Accessories
    • F27D2099/0098Means for moving the furna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ste-Gas Treatment And Other Accessory Devices For Furna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용해로용 고정식 집진 후드에 관한 것으로서, 용해로의 전후좌우 네면을 둘러 감싸 유해가스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차폐벽, 차폐벽에 의해 갇혀있는 유해가스를 한 곳으로 포집하며 연결되어 있는 덕트를 타고 이동되게 하는 차폐지붕, 크레인의 와이어가 크레인 가이드를 타고 집진 후드의 내부로 진입할 수 있도록 하는 진입로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집진 후드가 용해로 전체를 둘러 감싸고 있어 작업중에 발생되는 유해가스를 외부로 유출시키지 않음과 동시에 원활하게 포집함으로써 작업환경을 개선시키며, 크레인의 사용이 용이하여 작업의 편의성이 높다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용해로용 고정식 집진 후드{Fixed baghouse of smelting furnace}
본 발명은 가스가 주변으로 퍼져 나가지 않도록 하면서 효율적으로 포집하여 배출되게 하는 집진 후드에 관한 것으로서, 주물공장의 용해로에서 발생하는 유해가스를 정해진 공간에 가둬 두어 주변으로 퍼져 나가는 것을 막음과 동시에 집진기로 인해 원활하게 제거될 수 있도록 용해로를 둘러싸는 고정식 집진 후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물공장에서는 주형에 용해된 쇳물을 주입하기 위해 고체상태의 금속을 녹여서 액체상태로 만들기 위하여 용해로가 구비되어 있다.
용해로를 통해 금속을 녹이는 과정에서 흄(Fume)과 같은 유해가스가 발생하게 되는데, 이러한 유해가스는 승화, 증류, 화학반응 등에 의해 발생하는 연기로 크기가 마이크로미터(㎛)의 단위로 되어 있다.
이처럼 유해가스는 공기보다 가벼워 미세먼지처럼 공기중에 퍼지게 되면서 작업자에게 좋지 않은 영향을 끼치는 등 작업환경의 질을 떨어트리는 문제가 발생하게 되므로 유해가스를 빠르게 제거하기 위하여 용해로의 상부에 위치하여 유해가스를 포집하는 집진 후드와 포집된 유해가스를 정화하는 집진기가 배치된다.
또한, 녹이기 위한 금속자재와 용해로를 옮기기 위해서는 크레인이 사용되는데, 크레인의 사용에 있어 용해로의 상부에 배치되어 있는 집진 후드가 방해되어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147188호와 같이 집진 후드의 위치를 이동할 수 있는 발명이 개시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개시된 집진 후드는 작업에 방해되지 않으면서 이동이 쉽도록 크기를 작게 만들었는데, 작은 크기로 인해서 용해로에서 나오는 유해가스를 넓은 범위로 포집할 수 없어 일부가 누출될 수 있으며, 용해로의 크기가 더 커질수록 사용이 어렵고, 용해로의 상부에 위치해 있어도 약간의 위치 이동에 따라서 유해가스를 정확하게 포집하기 어려운 경우가 많다. 이에 따라 작업자의 건강이 크게 위협받게 되고 환경오염이 우려되는 상황인 것이다.
또한, 용해로에 사용되는 금속자재를 옮기고 녹아내린 금속자재를 다시 옮기기 위해 크레인을 사용하는데 있어서 작업자가 집진 후드를 계속해서 이동시켜야 함으로 작업의 편의성이 떨어지는 것은 물론, 유해 가스의 누출이 지속적으로 반복되는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147188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고자 제안된 것으로서, 크레인의 사용에 방해되지 않고 크레인이 안전하게 출입할 수 있으며, 용해로에서 나오는 유해가스를 원활하게 포집할 수 있는 집진 후드를 제공함으로써 작업자의 건강을 보호하면서 환경오염을 최소화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발명의 목적 달성을 위하여 본 발명의 용해로용 고정식 집진 후드는, 용해로의 전후좌우 네면을 둘러 감싸서 유해가스가 공기중으로 흩어지지 않게 가둬두는 차폐벽, 위로 갈수록 좁아지는 뿔의 모양을 가지며 유해가스가 한 곳으로 포집되게 하며 별도로 연결되는 덕트를 통하여 원활하게 배출되게 하는 차폐지붕, 작업에 필요한 크레인이 집진 후드의 내부로 진입할 수 있도록 크레인 가이드와 진입로가 형성되어 있어 용해로에서 발생되는 유해가스가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며 포집이 용이해 배출이 원활하고 크레인의 사용이 자유로워 작업환경의 개선과 편의성이 향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용해로용 고정식 집진 후드를 제공함으로서, 집진 후드가 용해로의 네면을 둘러 감싸고 있어 용융작업에서 발생되는 유해가스가 누출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원활하게 포집하며, 후드가 고정설치된 상태에서도 크레인 사용이 방해를 받지 아니하므로 편의성이 높은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크레인의 사용을 보여주는 사용상태도
도 3은 본 발명의 유해가스 포집상태를 보여주는 사용상태도
이하, 본 발명은 용해로용 고정식 집진 후드를 상세히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기준으로 설명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기술은 본 문서에 기재된 실시 예에 기재된 실시 형태로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 예의 다양한 변경(modifications), 균등물(equivalents) 및/또는 대체물(altrnatives)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면서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작용 효과를 명시적으로 기재하여 설명하지 않았을지라도, 해당 구성에 의해 예측 가능한 효과 또한 인정되어야 함은 당연하다.
도 1 내지 도 3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집진 후드(1)는 차폐벽(10), 차폐지붕(11), 진입로(12), 크레인 가이드(13), 기둥(14)을 포함한다.
기둥(14)은 지면에 고정되면서 집진 후드(1)를 받쳐주는 역할로서, 크레인(3)이 금속자재 또는 용해로(2)의 운반에 있어서 방해되지 않을 정도의 높이로 용해로의 주변에 고정된다.
차폐벽(10)은 소정의 두께를 가지고 있는 벽으로, 용해로(2)의 전후좌우 네면을 둘러 감싸며, 용해로(2)에서 발생되는 유해가스를 공기중으로 흩어지지 않도록 가둬둔다. 전후에 구성되는 차폐벽(10)은 용해재료나 용해로의 운반을 감안하여 위로부터 짧은 길이로 구성되고, 측면에 구성되는 차폐벽(10)은 비교적 긴 길이로 구성되어 차폐효과를 높인다.
차폐지붕(11)은 차폐벽(10)과 같이 소정의 두께를 가지고 용해로(2)의 상부 전체를 덮는 지붕으로, 위로 갈수록 좁아지는 뿔의 모양을 가지고 있으면서 양측으로 분리되는 형태로 구성되어 공기보다 가벼운 유해가스가 내측벽을 타고 올라와 한 곳으로 용이하게 포집되게 하였다.
차폐벽(10)과 차폐지붕(11)으로 구성된 집진 후드(1)의 가운데에는 전체를 양측으로 분할하는 진입로(12)가 형성되는데, 이러한 진입로(12)를 통하여 크레인(3)이 집진 후드(1)의 내부를 양방향으로 통과하면서 작업할 수 있도록 한다.
분리된 차폐지붕(11)의 양측 상단에 하나 이상, 적합하게는 양측에 두 개로 분리되어 있는 차폐지붕(11)의 공기를 배출할 수 있는 연결구(11-1)를 구성하고, 이러한 연결구에 덕트(4)를 연결하여 차폐지붕(11) 내로 모여 포집되는 유해가스를 효과적으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차폐지붕(11)의 위쪽에 있는 연결구(11-1)의 아래에는 크레인 가이드(13)를 형성하였는데, 봉을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하여 진입로(12) 양측에 고정시켜 진입로(12)를 사이에 두고 마주보게 위치하도록 하며, 끝단은 소정의 각도만큼 절곡하여 진입을 가이드하도록 하면서, 크레인(3)이 차폐벽(10)과 부딪치지 않고 진입로(12)를 통해 집진 후드(1) 내부를 양측에서 진입하고 통과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일측의 차폐지붕(11) 또는 중앙의 평면부(11')에는 내부로 수직 하강하는 덕트(4)를 통과시키도록 구성하여 이러한 덕트(4)가 지하에서 연결되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덕트(4)를 곧바로 외부로 연결할 공간이 부족한 등 여건이 안되는 공장에서 공간을 활용하면서 원활한 배기를 이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러한 덕트(4)는 인근한 연결구(11-1)를 하나로 모아 연결하여 배기토록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용해로용 고정식 집진 후드에 설치와 사용에 대해서 설명한다.
용해로(2)가 위치하는 주변에 기둥(14)을 고정시킴으로써 집진 후드(1)가 고정되게 설치한다.
이때, 용해로(2)와 집진 후드(1)의 중심이 맞도록 하여 용해로(2)에서 올라오는 유해가스의 포집이 용이하도록 하며, 용해로(2)와 크레인(3)의 사용에 불편함이 없도록 기둥(14)을 지면으로 부터 적정높이를 가지게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용해로(2)를 사용하기 위하여 작업자는 크레인(3)을 조작해 진입 후드(1)의 정면에 형성되어 있는 진입로(12) 사이를 육안으로 확인하면서 금속자재를 운반한다.
또한, 작업자가 크레인(3)의 조작이 미숙하여도 크레인(3)의 와이어줄이 차폐지붕(11)의 정면으로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고 선단이 경사지게 형성된 크레인 가이드(13)를 타고 이동함으로써 크레인이 집진 후드(1)와 부딪히지 않도록 이동방향을 가이드 해주며, 용해로(2)와 크레인(3)의 중심을 맞춰줌으로써 크레인(3)으로 운반되는 금속자재를 안전하게 옮길 수 있다.
크레인(3)을 사용하여 금속자재를 용해로(2)로 옮긴 후 용해작업을 하게 되면 금속자재가 액체로 녹아내리는 과정에서 유해가스가 발생하게 되는데, 유해가스는 공기보다 가벼워 위로 부유함과 동시에 퍼져 나가려고 하는데, 용해로(2)를 둘러 감싸고 있는 차폐벽(10)으로 인해 더이상 흩어지지 못한채 위로 올라가게 된다.
유해가스는 차폐벽(10)에 갇혀있는 상태로 계속해서 위로 올라가다가 차폐지붕(11)의 내벽을 타고 한 곳에 포집된다.
차폐지붕(11)의 내측에 유해가스가 포집되는 장소의 위에는 유해가스를 배출할 수 있도록 덕트(4)를 연결할 수 있는 연결구(11-1)가 위치해 있어 유해가스를 이동시키기 위한 환풍기를 연결하여 사용하거나, 유해가스가 덕트를 타고 이동하기전 별도의 필터를 사용하여 1차적으로 미세한 입자를 걸러내는 등 유해가스의 정화작업에 필요한 집진장치를 연결하여 사용한다.
또한, 차폐지붕(11)에는 덕트(4)의 연결을 위한 연결구(11-1)가 하나 이상 배치되어 있어 필요에 따라 덕트(4)와 집진 장치를 연결하여 사용함으로써 집진 후드(1) 내부에 위치한 유해가스를 남기지 않고 제거할 수 있으며, 연결구(11-1)의 관로를 줄여 유해가스가 빠르게 덕트(4)를 타고 이동하도록해 집진 후드(1)의 내부에서 유해가스가 포화상태가 되지 않도록 한다.
덕트(4)는 일부를 집진 후드(1)의 내부를 수직으로 통과하도록 설치되어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이렇게, 용해로(2)의 전체를 둘러 감싸고 있어 유해가스가 공기중에 퍼져 나가는 것을 막음과 동시에 배출과 정화작업이 용이하도록 한 곳으로 포집시키고, 작업에 필요한 크레인(3)의 사용이 용이함으로써 작업환경의 개선 및 편의성이 향상된다.
1: 집진 후드
10: 차폐벽
11: 차폐지붕 11-1: 연결구
12: 진입로
13: 크레인 가이드
14: 기둥
2: 용해로
3: 크레인
4: 덕트

Claims (2)

  1. 용해로의 둘러 감싸며 작업중에 발생하는 유해가스를 포집해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용해로(2)의 주변에 고정되는 기둥과 기둥을 이용하여 전후좌우 네면을 둘러 감싸도록 구성된 차폐벽(10)을 갖는 집진 후드에 있어서,
    차폐벽(10)의 위로 위치하여 차폐벽에 의해 갇혀있는 유해가스를 한곳으로 포집하기 위하여 위로 갈수록 좁아지는 뿔의 모양을 가지면서, 양측으로 분리되어 전체를 관통하는 진입로(12)를 가짐에 의해 크레인이 통과할 수 있는 형태의 차폐지붕(11)을 구성하고,
    양측으로 분리된 각 차폐지붕의 상단에 차폐지붕 내부에 포집되는 유해가스를 배출하기 위하여 설치되면서 덕트(4)를 연결하기 위한 연결구(11-1)를 구성하고,
    차폐지붕의 위쪽에 있는 연결구의 아래에는 크레인 가이드(13)를 형성하되, 봉을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하여 진입로(12) 양측에 고정시켜 진입로(12)를 사이에 두고 마주보게 위치하도록 하여 차폐지붕과 마찰되지 않도록 하며, 크레인 가이드의 끝단은 소정의 각도만큼 절곡하여 크레인(3)이 차폐벽과 부딪치지 않고 진입로(12)를 통해 집진 후드(1) 내부로 진입할 수 있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용해로용 고정식 집진 후드.
  2. 제1항에 있어서,
    차폐벽(10)과 차폐지붕(11)의 가운데를 진입로가 관통되고 진입로 전체에 크레인 가이드가 설치되어 있어 크레인(3)이 진입로를 통과하면서 작업할 수 있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용해로용 고정식 집진 후드.
KR1020200093907A 2020-07-28 2020-07-28 용해로용 고정식 집진 후드 KR1022240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3907A KR102224042B1 (ko) 2020-07-28 2020-07-28 용해로용 고정식 집진 후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3907A KR102224042B1 (ko) 2020-07-28 2020-07-28 용해로용 고정식 집진 후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24042B1 true KR102224042B1 (ko) 2021-03-05

Family

ID=751639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3907A KR102224042B1 (ko) 2020-07-28 2020-07-28 용해로용 고정식 집진 후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24042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94262A (ja) * 1994-09-27 1996-04-12 Nippon Steel Corp 溶解炉包囲体の集塵装置
KR960016581A (ko) * 1994-10-19 1996-05-22 모리시나 요이치 화상 부호화/복호화 장치
JPH1019475A (ja) * 1996-06-28 1998-01-23 Osamu Asai 溶解炉用の集塵装置
KR101147188B1 (ko) 2010-02-26 2012-05-25 한정호 회전형 이중 관절 덕트를 이용한 국소배기장치
KR101380351B1 (ko) * 2013-04-25 2014-04-03 에이비이씨산업 (주) 주입장용 이동식 집진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94262A (ja) * 1994-09-27 1996-04-12 Nippon Steel Corp 溶解炉包囲体の集塵装置
KR960016581A (ko) * 1994-10-19 1996-05-22 모리시나 요이치 화상 부호화/복호화 장치
JPH1019475A (ja) * 1996-06-28 1998-01-23 Osamu Asai 溶解炉用の集塵装置
KR101147188B1 (ko) 2010-02-26 2012-05-25 한정호 회전형 이중 관절 덕트를 이용한 국소배기장치
KR101380351B1 (ko) * 2013-04-25 2014-04-03 에이비이씨산업 (주) 주입장용 이동식 집진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441934A (en) Process and apparatus for exhausting fumes and oxide particles generated by plasma-arc cutting machine
DE2313660C3 (de) Mehrschiffige Strahlerzeugungsanlage mit einem oder mehreren Elektrolichtbogenöfen
KR102224042B1 (ko) 용해로용 고정식 집진 후드
DE2256269C3 (de) Metallerzeugungsanlage mit einem kippbaren Konverter
CN109335750A (zh) 烟尘捕集装置及沥青混合料搅拌设备
KR940001993A (ko) 산소절단에 의한 파철 절단장치
DE2749924A1 (de) Lichtbogenschmelzofenanlage
US3994210A (en) Jet fume control systems
RU2557182C2 (ru)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для подачи и предварительного нагрева садки металла для плавильной установки
EP0005692B1 (de) Konverteranlage mit einem kippbaren Konverter
US5114474A (en) Arrangement and method for introducing waste material into a molten slag
US4134331A (en) Canopy hoods
AT395320B (d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fluessigmetall-transport von einem metallurgischen ofen in ein abgiessgefaess
CN208155087U (zh) 行车通过式顶置电炉吸尘装置
CN103033064B (zh) 烧结烟气余热回收装置
US4286776A (en) Arrangement of a steel-making plant for capturing and conducting away flue gases
JP2007205606A (ja) 発塵抑制装置
CN203657515U (zh) 屋顶烟气储留集尘罩
KR830000670Y1 (ko) 연도 가스의 포집장치
JPH059536A (ja) 移動式溶銑鍋集塵装置
SU1343201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удалени газообразных вредностей
CN107828428A (zh) 一种烟尘吸收装置
CN1031954A (zh) 钢水包扒渣机
GB1600596A (en) Hood for conducting away the smoke and flue gases arising during the charging of a metallurgical vessel
KR830000669Y1 (ko) 전로 설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