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30000670Y1 - 연도 가스의 포집장치 - Google Patents

연도 가스의 포집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30000670Y1
KR830000670Y1 KR2019820004764U KR820004764U KR830000670Y1 KR 830000670 Y1 KR830000670 Y1 KR 830000670Y1 KR 2019820004764 U KR2019820004764 U KR 2019820004764U KR 820004764 U KR820004764 U KR 820004764U KR 830000670 Y1 KR830000670 Y1 KR 83000067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od
crane
pig iron
smoke
chimne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2000476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30000260U (ko
Inventor
라이머 후리드리히
Original Assignee
뵈스트-알핀 악티엔 게셀샤후트
보겔, 슈미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뵈스트-알핀 악티엔 게셀샤후트, 보겔, 슈미트 filed Critical 뵈스트-알핀 악티엔 게셀샤후트
Priority to KR2019820004764U priority Critical patent/KR830000670Y1/ko
Publication of KR83000026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3000026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3000067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30000670Y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CPROCESSING OF PIG-IRON, e.g. REFINING, MANUFACTURE OF WROUGHT-IRON OR STEEL; TREATMENT IN MOLTEN STATE OF FERROUS ALLOYS
    • C21C5/00Manufacture of carbon-steel, e.g. plain mild steel, medium carbon steel or cast steel or stainless steel
    • C21C5/28Manufacture of steel in the converter
    • C21C5/38Removal of waste gases or dust
    • C21C5/40Offtakes or separating apparatus for converter waste gases or dus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17/00Arrangements for using waste heat; Arrangements for using, or disposing of, waste gases
    • F27D17/001Extraction of waste gases, collection of fumes and hoods used therefor
    • F27D17/002Details of the installations, e.g. fume conduits or se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arbon Steel Or Casting Steel Manufacturing (AREA)
  • Waste-Gas Treatment And Other Accessory Devices For Furnac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연도 가스의 포집장치
제1도는 선철을 붓는 웅덩이에 위치한 장치의 측단면도.
제2도는 선철혼합기에 위치한 장치의 측면도.
제3도는 전로 스탠드에 위치한 장치의 측면도.
제4도는 장치의 부분 정면도.
제5도는 후드가 굴뚝 개구에 연결되는 위치의 측면도.
제6도와 제6a도는 제5도의 Ⅵ-Ⅵ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로서, 제6도는 제5도의 실선위치에 해당하고 제6a도는 제5도의 점선위치에 해당한다.
본 고안은 제철공장에서 금속용기에 광물을 장입하거나 용기로부터 부을때 발생하는 연도가스를 포집하고 배출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여기서 장입되거나 부어지는 물질은 크레인에 의해 움직이는 컨테이너(Container)에 의하여 조업위치로 운반된다.
철을 만들 때 체절공장의 여러 곳에서 심한 연기가 발생한다. 즉 선철을 토페도(Torpedo) 혼합기에서 래이들(ladle)에 부을때, 선철을 선철혼합기에 채울때 그리고 선철혼합기에서 래이들에 부을 때 등이다. 더우기 고철과 선철을 전로속에 장입시키는 과정에서 연기가 심하게 발생한다. 이렇게 전로속에 장입시키는 동안, 붓고 또 따라내는 공정이 진행될 때 용융물질의 들어 있는 컨테이너는 크레인에 매달리게 되어 있으므로 연기가 발생하는 여러 지점에서 즉각적이고도 효과적으로 연기를 빨아들이는 장치를 설비하기가 곤란하다.
특히 선철혼합기나 전기로와 같은 금속용기를 장입시키거나 부어낼 때에 야기되는 문제점은 아직도 만족스럽게 해결되지 못하였다. 최근에 자주 사용되는 천정에서 흡입하는 방법에 있어서는 공장 실내의 지붕 꼭대기에 연기흡인장치가 설치된다. 이러한 흡인장치에 의해서는 연기뿐만 아니라 실내의 공기도 함께 흡인되어 여과장치가 과도하게 작동된다. 또 연기가 발생되는 지점과 천장에 있는 흡인장치간의 거리가 매우 멀기 때문에 연기와 분진 입자를 위로 올라오게 하는 힘이 약하여 그 결과 흡인되지 못하고 공장 바닥으로 다시 가라앉을 위험이 있다. 따라서 유도 통풍장치를 설치하여야 되나 많은 비용이 들게된다.
연기가 발생하는 지점 바로 위에 설치된 후드(hood)를 사용할 때는 전로와 같은 금속용기에 장입하는 동안 크레인을 가까이 이동시켜야 하기 때문에 그 크기가 제한되는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이 후드들은 발생하는 연기를 완전히 흡인하기에는 너무 작아 연도가스의 일부가 후드를 지나 달아나게 된다.
본 고안은 이러한 단점과 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제철공정중 발생하는 가스를 거의 완전히 포집하는 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인데 이 장치는 연기가 발생하는 여러개의 작업대에 사용할 수 있고 크레인의 여러 조업위치로 장애를 받지 않고 이동시킬 수 있다.
이와같은 목적은 크레인 트롤리(trolley)가 후드 및 굴뚝과 접하는 부분과 하나의 이동 유니트(unit)를 형성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는데, 조업위치에서 후드는 컨테이너와 금속용기의 입구를 덮는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크레인트롤리-후드 유니트는 적어도 2개의 조업위치(즉 선철혼합기와 같은 금속용기의 장입위치 및 부어내은 위치) 사이에서 이동이 가능하며 후드는 여하한 조업위치에서도 굴뚝에 연결될 수가 있다.
배출굴뚝의 개구는 넓히는게 좋고 크레인트롤리의 이동방향으로 확장되는 것이 좋으며 이렇게 함으로써 가스배출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 크레인트롤리의 적확한 이동이 가능하다. 이렇게 하기 위해서는 크레인트롤리의 이동방향으로 연장된 플랜지를 호드의 연결개구에 고착시키는 것이 적절하며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흡인시 공기를 빨아들이는 것을 피할 수 있다.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지지대(1) 위에 놓여있는 크레인(2)는 제철공장의 실내를 궤도(3)를 따라 이동할 수 있다. 크레인 가교캐리어(4, 4') 위에서 크레인트롤리(5)가 안내되며, 그것은 본 고안에 따르면 그를 둘러싸고 있는 후드(6)과 함께 하나의 이동 가능 유니트를 형성한다. 후드에는 1개이상의 배출계구(7)가 설치되어 있다. 실내의 천장(8)에는 굴뚝소켓(9)이 미리 결정된 위치에 고착되어 있으며(즉, 연기가 발생하는 작업장 위), 원하는 경우에 이 굴뚝소켓은 포집도관(10)을 경유하여 통상적인 흡인여과장치에 연결된다. 굴뚝소켓은 밑이 넓은 뿔대형태를 하고 있다.
후드(6)의 연결부는 크레인트롤리의 이동방향으로 연장되는 플랜지(12)로 설계되어 있는 바 제5도, 제6도 및 제6a도에서 더 명확히 알 수 있다. 후드를 조업위치로 옮진 다음 길이 방향으로 위치수정이 가능한데 이 때 봉인이 유지된다. 이는 플랜지(12)의 길이 방향으로 뻗은 구조에 기인하는 것이다.
제6도는 제5도의 실선위치에 해당하는 것으로 위치 수정은 양쪽 방향, 즉 앞 뒤로 할 수 있다. 제6a도는 제5도의 접선으로 표시된 위치에 해당된다. 굴뚝 소켓의 개구는 스크린이나 프랩(flap)같은 것으로 개폐될 수 있는데 이를 위해 말단스위치, 날개조절장치등이 설치된다.
조업취치에서, 후드(6)의 배출개구(7)와 연결되어 있는 굴뚝소켓(9)은 개방되며 이때 공기가 여과장치로 흡인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모든 다른 굴뚝 소켓은 밀폐되어 있는 것이 좋다.
제1도-제4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후드에는 그 저부 가장자리에 안내판(13)이 설치될 수 있으며 또한 연기를 더욱 잘 합인할 수 있도록 사슬커튼(14)를 설치할 수도 있다. 안내판은 크레인 가교 캐리어(4)와 (4')사이에서 아랫쪽으로 향하고 있다. 더우기 그물판(15)이 화염이 통과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저부에 설치될 수도 있다.
제1도-제3도의 각각에는 본 고안의 장치를 사용하는 여러가지 가능성이 예시되어 있는 바 예컨데 제1도에는 선철을 붓는 경우가 나타나 있다. 이 경우에 선철운반래이들(16)이 크레인트롤리(5)의 고리(17)에 매달려 있으며 토페도 혼합기(18)로부 선철을 받는다. 이때 생기는 연기는 후드(6)에 의해 포집되어 굴뚝 소켓(9)로 빠져나가는데 이 굴뚝 소켓은 크레인 지지대(1)로부터 A1만큼의 거리에 있다.
제2도는 본 고안 장치가 선철을 선철혼합기에 붓고 선철을 혼합기에서 운반래이들로 붓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부어넣는 위치에서는 크레인들롤리(5)와 후드(6)를 포함하는 유니트가 일점쇄선으로 표시된 작업위치로 이동되며 선철래이들(19)의 입술부는 선철혼합기(21)의 부어넣는 개구(20)의 위에 정치하여 부어넣는 공정이 래이들(19)를 기울임으로서 시작될 수 있도록 한다. 후드가 연결된 굴뚝소켓(9')은 크레인지지대에서 A2만큼의 거리에 위치하고 있다. 운반래이들(16)에 부을때는 후드(6)는 실선으로 표시된 위치로 이동하며 크레인 지지대(1)로부터 A3거리에 있는 굴뚝 소켓(9")와 연결된다.
제3도에는 고철슈트(23)이나 선철운반래이들(16)에 의하여 전로(22)를 장입시키는 것이 예시되어 있으며 이때 전로는 기울어진 위치에 있다. 전로(22)의 입구와 장입컨테이너(16)(23)의 입구 상부에 위치하도록 이동된 후드(6)는 굴뚝소켓(9"')에 접하게 되고 그것은 크레인 지지대(1)에서 A4만큼의 위치에 놓이게 된다. 전로가 놓여있는 위치 바로 위에는 주후드(24)가 설치되어 전로(22)의 입구가 위로 향하고 있을 때 제련도중 발생된는 연도가스를 포집한다.

Claims (1)

  1. 후드(6)는 하나 이상의 배출 개구(7)를 가지며, 크레인 크롤리(5)는 후드(6)에 의해 덮힘과 동시에 고정되며 배출개구(7)와 굴뚝 소켓(9)사이에 위치하는 플랜지(12)는 크레인 트롤리(5)가 움직이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연도가스의 포집장치.
KR2019820004764U 1982-06-17 1982-06-17 연도 가스의 포집장치 KR83000067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20004764U KR830000670Y1 (ko) 1982-06-17 1982-06-17 연도 가스의 포집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20004764U KR830000670Y1 (ko) 1982-06-17 1982-06-17 연도 가스의 포집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790001639 Division 1979-05-2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0260U KR830000260U (ko) 1983-04-30
KR830000670Y1 true KR830000670Y1 (ko) 1983-05-09

Family

ID=192258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20004764U KR830000670Y1 (ko) 1982-06-17 1982-06-17 연도 가스의 포집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30000670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0260U (ko) 1983-04-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088824A (en) Electric furnace station noise and smoke pollution control system
US4160117A (en) Arc furnace enclosure
US4506370A (en) Arc furnace installation with shroud
US3913898A (en) Steel producing plant with one or several electric arc furnaces
US3809376A (en) Metal factory with at least one tiltable converter
US3938788A (en) Apparatus for the production of metals by a smelting metallurgical process
US5390212A (en) Installation for producing molten metal in an electric furnace
KR830000670Y1 (ko) 연도 가스의 포집장치
US4286776A (en) Arrangement of a steel-making plant for capturing and conducting away flue gases
EP0121858B1 (en) Fumes control system for electric arc furnaces
US3841615A (en) Installation for extraction of dust from fumes emitted from a mixer
PL79697B1 (en) Ventilation method and apparatus with dust collection by electric static precipitator[us3844205a]
US4212453A (en) Plant for refining pig iron
US4143864A (en) Hood arranged on a blowing stand comprising a tiltable converter
US4410166A (en) Gas collector for metallurgical vessels
KR920004675B1 (ko) 내화라이닝된 야금로의 주변 설비
US3980008A (en) Ladle canopy
US4097029A (en) Enclosure for steel converting apparatus
US3876418A (en) Method for collecting the flue gases produced upon the charging of scrap and tapping of steel from electric furnaces
ATE40590T1 (de) Absaughauben fuer sekundaerabgase in stahlwerken und giessereien.
GB1600596A (en) Hood for conducting away the smoke and flue gases arising during the charging of a metallurgical vessel
US4653064A (en) Gas collector for metallurgical vessels
KR830000669Y1 (ko) 전로 설비
US4526350A (en) Waste gas collection device
GB1515097A (en) Metallurgical converter installation incorporating fume removal mea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