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87652B1 - 자립형 다단 슬리브형 덕트를 가진 원거리용 자동후드장치 - Google Patents

자립형 다단 슬리브형 덕트를 가진 원거리용 자동후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87652B1
KR102287652B1 KR1020200163943A KR20200163943A KR102287652B1 KR 102287652 B1 KR102287652 B1 KR 102287652B1 KR 1020200163943 A KR1020200163943 A KR 1020200163943A KR 20200163943 A KR20200163943 A KR 20200163943A KR 102287652 B1 KR102287652 B1 KR 1022876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om
connecting member
duct
stage boom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639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상용
Original Assignee
(주)엔코아네트웍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엔코아네트웍스 filed Critical (주)엔코아네트웍스
Priority to KR10202001639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8765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76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76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5/00Preventing escape of dirt or fumes from the area where they are produced; Collecting or removing dirt or fumes from that area
    • B08B15/02Preventing escape of dirt or fumes from the area where they are produced; Collecting or removing dirt or fumes from that area using chambers or hoods covering the area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5/00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acoustic waves, e.g. sonar systems
    • G01S15/02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acoustic waves, e.g. sonar systems using reflection of acoustic waves
    • G01S15/06Systems determining the position data of a target
    • G01S15/08Systems for measuring distance only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7/00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 waves, e.g. lidar systems
    • G01S17/88Lidar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G01S17/89Lidar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for mapping or imag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anipulator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자립형 다단 슬리브형 덕트를 가진 원거리용 자동후드장치는, 브라켓, 상기 브라켓의 상면에 수직방향으로 결합되며, 높이방향을 회전축으로 하여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동암, 상기 회동암에 힌지 결합되며, 전단에 전방롤러가 장착되는 고정붐, 상기 고정붐에 설치되는 실린더, 상기 실린더와 연결되며, 상기 고정붐에 다단으로 수용되는 두 개 이상의 연장붐, 상기 실린더의 동작에 의해서 다수 개의 연장붐을 동시에 인입출시키는 인입출수단, 상기 고정붐과 연장붐의 내부 공간부에 장착되어 상기 붐의 길이가 조절됨에 따라 같이 다단으로 길이 조절되는 후드와 상기 후드와 연통되게 설치되는 덕트를 포함하는 덕트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본 발명에 따른 자립형 다단 슬리브형 덕트를 가진 원거리용 자동후드장치는 붐의 구동에 의해 길이가 조절되고, 높이조절용 실린더에 의해 높이방향을 회전축으로 하여 회동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후드를 자동으로 특정위치로 이동 및 고정시킬 수 있으므로 원거리에서 오염원이 발생하였을 때 사용될 수 있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자립형 다단 슬리브형 덕트를 가진 원거리용 자동후드장치 {Independent hood device for long-distance with multi-stage sleeve type duct}
본 발명은 오염물질을 후드로 흡입하는 덕트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멀리 떨어진 곳에서 오염원이 발생하였을 때 사용될 수 있도록 다단으로 구성되어 길이가 조절되는 자립형 다단 슬리브형 덕트를 가진 원거리용 자동후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오염물질 흡입 장치는 가스상 물질과 입자상 물질을 포함하는 오염물질을 흡입펌프와 연결된 후드를 이용하여 흡입하는 장치로서, 후드의 상방에는 덕트가 연통되며, 특정 위치에 고정되는 고정식 후드, 특정 위치에 수동이동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수동이동식 후드를 사용하고 있다. 우선, 고정식 후드를 사용할 경우에는 후드에서 멀리 떨어진 위치에 (사고나 누출에 의해) 발생한 오염원이 발생할 경우, 후드를 오염원이 발생한 위치로 이동시킬 수 없어서 오염원의 대처(즉, 오염원의 흡입)가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수동이동식 후드를 사용할 경우에는 작업자가 후드를 오염원이 발생한 위치로 직접 이동시켜야 됨에 따라, 후드를 오염원 근처로 견고하게 고정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수동이동식 후드를 사용할 경우에는 작업자가 수동식 후드를 수동으로 고정하는 동안, 작업자가 오염물질에 노출되어 인명사고가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관련된 종래기술로서, 한국공개특허 제2015-0146103호는 내부가 공간으로 되고 특정한 형상으로 형성된 샤워링의 내주에는 가스흡입공을 일정한 간격으로 유지시켜 뚫어주고, 샤워링의 상면에는 가스배출관을 연통되도록 일체로 형성하며, 샤워링의 밑면 외측 단부에는 외주환상단턱을 형성한 것에 있어서, 샤워링의 내주에 일정한 간격으로 뚫어지는 가스흡입공을 다열 횡대 또는 다열 종대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흡입형 후드가 제시된 적이 있었다.
또한, 다른 종래기술로서,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1781115호,‘이동 후드식 집진장치’에는 주물작업 과정에서 발생하는 각종 오염물질을 편리하고 효율적으로 흡입, 배출할 수 있는 이동 후드식 집진장치에 관한 것이며, 상기 집진장치는 가로방향으로 설치된 중공의 지지덕트; 지지덕트에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후드이동부재; 및 후드이동부재의 일측에 연장 설치되며 지지덕트와 연결 가능한 집진 유로를 갖는 포집장치를 포함한다고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은 후드를 멀리 이동시킬 수 없어서, 후드에서 멀리 떨어진 위치에서 발생하는 오염원에 대한 대처가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781115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후드가 특정위치로 이동하고 고정되는 동작을 자동으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멀리 떨어진 곳에서 오염원이 발생하였을 때 사용될 수 있는 자립형 다단 슬리브형 덕트를 가진 원거리용 자동후드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자립형 다단 슬리브형 덕트를 가진 원거리용 자동후드장치는, 브라켓, 상기 브라켓의 상면에 수직방향으로 결합되며, 높이방향을 회전축으로 하여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동암, 상기 회동암에 힌지 결합되며, 전단에 전방롤러가 장착되는 고정붐, 상기 고정붐에 설치되는 실린더, 상기 실린더와 연결되며, 상기 고정붐에 다단으로 수용되는 두 개 이상의 연장붐, 상기 실린더의 동작에 의해서 다수 개의 연장붐을 동시에 인입출시키는 인입출수단, 상기 고정붐과 연장붐의 내부 공간부에 장착되어 상기 붐의 길이가 조절됨에 따라 같이 다단으로 길이 조절되는 후드와 상기 후드와 연통되게 설치되는 덕트를 포함하는 덕트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연장붐은, 상기 고정붐의 전측에 결합되며 상기 고정붐의 내부에 일부구간이 수용되도록 마련되되, 전단에 전방롤러가 장착되고, 후단에 후방롤러가 장착되며, 상기 실린더와 체결되어 실린더의 구동력에 의해 전후진되는 후단붐, 상기 후단붐의 전측에 결합되며 상기 후단붐의 내부에 일부구간이 수용되는 전단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인입출수단은, 상기 고정붐에 고정되며, 고정붐의 전방롤러와 후단붐의 후방롤러를 거쳐 전단붐의 후단에 연결되는 인입와이어와, 상기 고정붐에 고정되며, 후단붐의 전방롤러를 거쳐 전단붐의 후단에 연결되는 인출와이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자립형 다단 슬리브형 덕트를 가진 원거리용 자동후드장치는, 상기 덕트부의 전단에 결합되되 상기 덕트부와 연통되도록 마련되며 구동유닛에 의해 각도조절 및 상하좌우방향으로 이동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하단부에 장착되며 주변을 촬영하는 카메라와, 상기 하우징에 장착되어 거리를 측정하는 초음파센서와, 상기 하우징에 장착되어 광선좌표를 표시하는 레이저센서로 구성되는 노즐헤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노즐헤드부의 전단에는 탄성소재의 충격방지부재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구동유닛은, 상기 덕트부의 전단에 결합되는 제1 연결부재와, 상기 제1 연결부재의 전단에 결합되는 제2 연결부재와, 상기 제1 연결부재와 제2 연결부재 사이에 장착되어 제2 연결부재의 각도조절이 가능하도록 하는 스윙베어링과, 상기 제1 연결부재에 장착되되 상기 스윙베어링과 연결되어 스윙베어링을 구동시키는 스윙모터와, 상기 제2 연결부재의 전단에 제2 연결부재와 링크 결합되는 제3 연결부재와, 상기 제2 연결부재에 장착되어 제2 연결부재를 좌우방향으로 회동시키는 좌우모터와, 상기 제2 연결부재와 제3 연결부재 사이에 장착되는 플랙시블 부재와, 후단은 상기 제3 연결부재와 연결되고 전단은 하우징과 연결되는 플랙시블 부재, 상기 제3 연결부재에 장착되어 제3 연결부재를 상하방향으로 회동시키는 상하모터를 포함하며, 상기 제3 연결부재는 상기 하우징과 링크 결합되고, 상기 제3 연결부재와 하우징 사이에는 플랙시블 부재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자립형 다단 슬리브형 덕트를 가진 원거리용 자동후드장치는 붐의 구동에 의해 길이가 조절되고, 높이조절용 실린더에 의해 높이방향을 회전축으로 하여 회동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후드를 자동으로 특정위치로 이동 및 고정시킬 수 있으므로 원거리에서 오염원이 발생하였을 때 사용될 수 있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카메라가 장착된 노즐헤드부를 포함하여, 후드가 이동하는 과정에서 주변 구조물과 부딪히지 않도록 하여 작업의 안정성 및 효율성을 향상시키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자립형 다단 슬리브형 덕트를 가진 원거리용 자동후드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따른 붐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따른 붐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따른 붐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제1단붐의 사시도이다.
도 6의 (a)는 본 발명에 따른 제2단붐의 측면도이고, (b)는 제2단붐의 정면도이다.
도 7은 (a)는 본 발명에 따른 제3단붐의 측면도이고, (b)는 제3단붐의 정면도이다.
도 8은 (a)는 본 발명에 따른 제4단붐의 측면도이고, (b)는 제4단붐의 정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제5단붐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붐에 인입와이어가 장착된 상태를 도식화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붐에 인출와이어가 장착된 상태를 도식화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노즐헤드부의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노즐헤드부의 상세측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노즐헤드부의 정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노즐헤드부의 다른 실시례가 도시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첨부된 도면을 사용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일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첨부된 도면의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자립형 다단 슬리브형 덕트를 가진 원거리용 자동후드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자립형 다단 슬리브형 덕트를 가진 원거리용 자동후드장치(1000)는 브라켓(100), 회동암(200), 높이조절용실린더(220), 붐(300), 덕트부(400), 노즐헤드부(500)를 포함한다.
상기 브라켓(100)은 차량의 짐칸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차량에는 흡입펌프 및 정화장치가 포함된 흡입설비가 설치되어 있어서, 작업자는 본 발명의 후드를 상기 흡입설비에 결합하여 본 발명의 장치를 사용하게 된다.
상기 브라켓의 상면에는 회동암(220)이 수직으로 결합되며, 상기 회동암은 높이방향을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회동암에는 동력에 의해 다단으로 길이가 조절되는 붐(300)이 힌지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붐은 내부가 빈 중공체 형상으로 복수 개가 구성되어 다단으로 신축할 수 있는 구조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붐(300)의 하부에는 높이조절용 실린더(220)가 결합되되, 상기 높이조절용 실린더의 일단은 붐의 하부에 결합되고 타단은 회동암의 하단에 결합되며, 상기 높이조절용 실린더의 신축에 의해 상기 붐은 상하방향으로 회동되어 높이가 조절된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붐(300)은, 복수 개의 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 개의 프레임들이 와이어에 의해 상호 인출되거나 인입되는 구조를 가지도록 마련된다.
상기 프레임들은 동일한 단면을 가지는 중공체 형상이되, 단면이 큰 프레임의 내부에 작은 단면을 가지는 다수 개의 프레임이 순차적으로 내입되는 구조로 구성되어, 다수 개의 프레임이 인출되거나 인입됨으로써 길이조절이 가능하도록 마련된다.
또한, 상기 프레임의 끝단 외주연에는 걸림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프레임들이 인출될 때, 한계점에서 더 이상 인출되지 않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붐(300)은, 상기 회동암에 힌지 결합되는 고정붐, 상기 고정붐에 다단으로 수용되는 연장붐, 상기 고정붐에 설치되는 실린더, 상기 실린더의 동작에 의해서 다수 개의 연장붐을 동시에 인입출시키는 인입출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연장붐은, 적어도 2개 이상의 프레임으로 마련되며,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프레임의 개수는 다양하게 조절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명확성을 위해 연장붐으로 활용되는 2개의 프레임을 각각 후단붐, 전단붐이라 한다.
상기 고정붐은 상기 실린더와 결합되어 실린더의 신축에 의해 전후방으로 이동되며 전단에 전방롤러가 장착되는 요소이다.
상기 후단붐은 상기 고정붐의 전측에 결합되며 상기 고정붐의 내부에 일부구간이 수용되도록 마련되되, 전단에 전방롤러가 장착되고, 후단에 후방롤러가 장착되는 요소이며, 상기 후단붐에는 일단이 고정붐에 장착된 실린더의 타단이 장착되어 상기 실린더의 구동력에 의해 전후방으로 이동되도록 마련된다.
상기 전단붐은 상기 후단붐의 전측에 결합되며 상기 후단붐의 내부에 일부구간이 수용되는 요소이다.
상기 인입출수단은 상기 고정붐에 고정되며, 고정붐의 전방롤러와 후단붐의 후방롤러를 거쳐 전단붐의 후단에 연결되는 인입와이어와, 상기 고정붐에 고정되며, 후단붐의 전방롤러를 거쳐 전단붐의 후단에 연결되는 인출와이어를 포함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따른 붐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따른 붐의 측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따른 붐의 평면도이다.
본 발명에서 도2 내지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붐이 다섯 개의 프레임을 포함하도록 하였다.
상기 붐은, 고정붐으로 사용되는 제1단붐(310)과, 연장붐으로 사용되는 제2단붐(320), 제3단붐(340), 제4단붐(350), 제5단붐(360)을 포함하며,
이하에서는 설명의 명확성을 위해, 제5단붐이 설치된 방향을 전방으로 하고, 제1단붐이 설치된 방향을 후방으로 한다.
상기 제1단붐(310), 제2단붐(320), 제3단붐(340), 제4단붐(350), 제5단붐(360)은 인입출수단인 인입와이어(360) 및 인출와이어(370)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있으며, 실린더(A)에 의해 제2단붐이 전후진됨에 따라 제3단붐, 제4단붐, 제5단붐이 서로 인출되거나 인입되도록 마련된다.
상기 붐(300)은, 상기 회동암에 결합되되,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되고 전단 상면에 제1 전방롤러가 장착되는 제1단붐과, 상기 제1단붐의 내부 공간부에 일부구간이 수용되며, 전단 상면에 한 쌍의 제2 전방외측롤러 및 제2 전방내측롤러가 장착되고, 후단에 제2 후방롤러가 장착되는 제2단붐과, 제2단붐의 내부 공간부에 일부구간이 수용되며, 전단 상면에 한 쌍의 제3 전방외측롤러 및 제3 전방내측롤러가 장착되고, 후단에 제3 후방롤러가 장착되는 제3단붐과, 제3단붐의 내부 공간부에 일부구간이 수용되며, 전단 상면에 한 쌍의 제4 전방롤러가 장착되고, 후단에 제4 후방롤러가 장착되는 제4단붐과, 상기 제4단붐의 내부 공간부에 일부공간이 수용되며, 전단에 노즐헤드부가 장착되는 제5단붐과, 상기 제1단붐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제2단붐의 전단에 연결되어 동력에 의해 신축됨에 따라 제2단붐을 전후방으로 이송시키는 실린더를 포함한다.
또한, 복수 개로 이루어진 제N단붐들의 인입출수단으로, 상기 제1단붐에 고정되며 상기 제1 전방롤러와 제2 후방롤러를 거쳐 제3단붐의 후단에 연결되는 제1 인입와이어, 상기 제2단붐에 고정되며, 상기 제2 전방외측롤러와 제3 후방롤러를 거쳐 제4단붐의 후단에 연결되는 제2 인입와이어, 상기 제3단붐에 고정되며 상기 제3 전방외측롤러와 제4 후방롤러를 거쳐 제5단붐의 후단에 연결되는 제3 인입와이어를 포함하는 인입와이어와,
상기 제1단붐에 고정되며 제2 전방내측롤러를 거쳐 제3단붐의 후단에 연결되는 제1 인출와이어, 상기 제2단붐에 고정되며 제3 전방내측롤러를 거쳐 제4단붐의 후단에 연결되는 제2 인출와이어, 상기 제 3단붐에 고정되며 제4 전방롤러를 거쳐 제5단붐의 후단에 연결되는 제3 인출와이어를 포함하는 인출와이어를 포함한다.
더욱 상세하게, 상기 제1단붐(310)은 회동암(200)에 직접 연결되는 요소이다.
상기 제1단붐은 내부에 제2단붐을 수용할 수 있는 공간부를 가지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단붐의 전단에는 제1단붐의 상면 및 양외측을 감싸도록 제1 지지프레임(316)이 장착된다.
상기 제1지지프레임은, 상기 제1단붐의 상부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제1단붐의 전단 상면에는 한 쌍의 제1 전방롤러(312)가 장착되고, 상기 제1 전방롤러의 후방측에 배치된 제1지지프레임에는 제1 관통구(314)가 형성된다.
상기 제1 전방롤러는 한 쌍이 좌우측방향으로 나란하게 장착되다.
또한, 상기 제1 관통구(314)는, 서로 좌우측방향으로 이격되게 형성된 한 쌍의 제1 외측관통구와, 상기 한 쌍의 제1 외측관통구 내측에 상호 이격되게 형성되는 한 쌍의 제1 내측관통구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한 쌍의 제1외측관통구는 제1 인입와이어(362)가 관통되는 구멍이고, 상기 한 쌍의 제1 전방롤러(312)는 제1인입와이어가 지지되는 롤러인 것으로, 상기 한 쌍의 제1 외측관통구는 한 쌍의 제1 전방롤러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1단붐의 후단 상면에는 실린더(A)와의 체결을 위한 상부 지지프레임(318)이 장착된다.
상기 실린더(A)의 끝단부는 후술할 제2단붐의 전단과 연결되며, 상기 실린더가 신축됨에 따라 상기 제2단붐은 제1단붐 외부로 인출되거나, 제1단붐 내부로 인입되도록 마련된다.
또한, 상기 제1단붐의 후단 저면에는 회동암(200) 및 높이조절용 실린더(220)와의 체결을 위한 하부 지지프레임(319)이 장착된다.
아울러, 상기 제1단붐의 후단에는 상기 차량에 탑재된 흡입설비와의 연결을 위한 연결구(부호미표시)가 형성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단붐(320)은, 상기 제1단붐의 내부에 일부구간이 수용되며, 제1단붐의 전단으로 인출되도록 마련된다.
상기 제2단붐은 내부에 제3단붐을 수용할 수 있는 공간부를 가지며, 상기 제2단붐의 전단에는 제2단붐의 상면 및 양외측을 감싸도록 제2 지지프레임(325)이 장착된다.
상기 제2지지프레임은, 상기 제2단붐에 장착되되 제2단붐의 상부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제2단붐이 제1단붐에 인입되는 정도를 제한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2 지지프레임(325)의 상단에는 제1단붐에 장착된 실린더(A)의 끝단부와 체결되기 위한 제2 실린더결합홀(326)이 형성된다.
상기 실린더(A)는, 유압 또는 공압 등의 동력에 의해 작동되며, 상기 제2단붐은 피스톤의 동력을 직접 전달받아 전후방으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된다.
상기 제2단붐의 전단 상면에는 한 쌍의 제2 전방외측롤러(321) 및 한 쌍의 제2 전방내측롤러(322)가 장착되고, 상기 제2단붐의 후단 상단부에는 한 쌍의 제2 후방롤러(323)가 장착된다.
상기 한 쌍의 제2 전방외측롤러는, 서로 좌우측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치되며, 상기 한 쌍의 제2 전방외측롤러 내측에는 한 쌍의 제2 전방내측롤러가 상호 이격되게 장착된다.
또한, 상기 제2 지지프레임(325)에는 상기 제1 전방외측롤러 및 제2 전방내측롤러와 대응되게 복수 개의 제2 관통구(327)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한 쌍의 제2 전방외측롤러(321)는 제2 인입와이어(364)가 지지되는 롤러이고, 상기 한 쌍의 제2 전방내측롤러(322)는 제1 인출와이어(372)가 지지되는 롤러이며, 상기 제2 후방롤러(323)는 제 1인입와이어(362)가 지지되는 롤러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3단붐(330)은, 상기 제2단붐의 내부에 일부구간이 수용되며, 제2단붐의 전단으로 인출되도록 마련된다.
상기 제3단붐(330)은, 제3 전방외측롤러(331), 제3 전방내측롤러(332), 제3 후방롤러(333), 제3 지지프레임(335), 제3 관통구(337)를 포함하며, 상기 제3단붐은 제2단붐과 동일한 구성을 가지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7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3단붐의 후단에는 가이드부재(334)가 장착되고, 후단측 상면에는 지지부재(338)가 장착된다.
상기 가이드부재(334)에는 인입와이어(360)가 관통되는 홀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가이드부재는 상기 인입와이어를 지지하면서 인입와이어의 방향을 전환하는 요소이며,
지지부재(338)는 반원형상의 판재로 형성되되, 외주연에는 와이어가 걸릴 수 있도록 와이어홈이 형성되어, 인출와이어(370)의 일부구간을 지지하고 인출와이어의 방향을 전환하는 요소이다.
상기 가이드부재(324,334,344) 및 지지부재(338, 348, 358)는 후술할 제4단붐 및 제5단붐에도 장착되며, 상기 제4단붐 및 제5단붐에 각각 장착되어 동일한 역할을 수행한다.
이때, 상기 한 쌍의 제3 전방외측롤러(331)는 제3 인입와이어(366)가 지지되는 롤러이고, 상기 한 쌍의 제3 전방내측롤러(332)는 제2 인출와이어(374)가 지지되는 롤러이며, 상기 제3 후방롤러(333)는 제 2인입와이어(364)가 지지되는 롤러이다.
이어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4단붐(340)은, 상기 제3단붐의 내부에 일부구간이 수용되며, 제3단붐의 전단으로 인출되도록 마련된다.
상기 제4단붐(340)의 전단에는 상부방향으로 돌출된 제4 지지프레임(345)이 장착되며, 상기 제4단붐의 전단 상면에는 한 쌍의 제4 전방롤러(342)가 장착되고, 상기 제4단붐의 후단 상단부에는 한 쌍의 제4 후방롤러(343)가 장착된다.
또한, 상기 제4 지지프레임에는 상기 제4 전방롤러와 대응되는 위치에 제4 관통구(347)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한 쌍의 제4 전방롤러(342)는 제3 인출와이어(376)가 지지되는 롤러이며, 상기 제4 후방롤러(343)는 제 3인입와이어(366)가 지지되는 롤러이다.
아울러, 상기 제4단붐의 후단에는 가이드부재(344)가 장착되고, 후단측 상면에는 지지부재(348)가 장착된다.
마지막으로, 상기 제5단붐(350)은 상기 제4단붐의 내부에 일부구간이 수용되며 제4단붐의 전단으로 인출되도록 마련된다.
상기 제5단붐(350)은 본 발명의 붐의 최전방에 배치되는 요소이며, 상기 제5단붐(350)의 전단에는 노즐헤드부(500)가 장착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5단붐(350)의 후단에는 가이드부재(354)가 장착되고, 후단측 상면에는 지지부재(358)가 장착된다.
한편, 상기 제1단붐, 제2단붐, 제3단붐, 제4단붐, 제5단붐은, 복수 개의 인입와이어(360)와 인출와이어(370)에 의해 상호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실린더(A)의 구동력을 직접 전달받아 상기 제2단붐이 인출 및 인입됨에 따라 나머지 제1단붐, 제3단붐, 제4단붐, 제5단도 함께 인출되거나 인입되도록 마련된다.
먼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인입와이어(360)는, 제1 인입와이어(362), 제2 인입와이어(364), 제3 인입와이어(366)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인입와이어(362)는 제1단붐과 제3단붐을 연결시키는 요소이다.
상기 제1 인입와이어(362)는 양 끝단부가 제1단붐의 전단에 형성된 제1 외측관통구에 고정되고, 제1 전방롤러(312)와, 제2 후방롤러(323)에 의해 순차적으로 가이드되어 제3단붐의 후단에 장착된 가이드부재(334)에 의해 지지되도록 마련된다.
상기 가이드부재에는 관통홀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 인입와이어는 관통홀을 관통하여 방향이 전환되며, 후술할 제2 인입와이어 및 제3 인입와이어도 동일하게 각각 가이드부재를 관통하면서 방향이 전환된다.
상기 제2 인입와이어(364)는, 제2단붐과 제4단붐을 연결시키는 요소이다.
상기 제2 인입와이어(364)는 양 끝단부가 제2단붐의 전단에 형성된 제2 외측관통구에 고정되고, 제2 전방외측롤러(321)와, 제3후방롤러(333)에 의해 순차적으로 가이드되어 제4단붐의 후단에 장착된 가이드부재(344)에 의해 지지되도록 마련된다.
상기 제3 인입와이어(366)는, 제3단붐과 제5단붐을 연결시키는 요소이다.
상기 제3 인입와이어는 양 끝단부가 제3단붐의 전단에 형성된 제3 외측관통구에 고정되고, 제3 전방외측롤러(331)와, 제4 후방롤러(343)에 의해 순차적으로 가이드되어 제5단붐의 후단에 장착된 가이드부재(354)에 의해 지지되도록 마련된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인출와이어(370)는, 제1 인출와이어(372), 제2 인출와이어(374), 제3 인출와이어(376)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인출와이어(372)는 제1단붐과 제3단붐을 연결시키는 요소이다.
상기 제1 인출와이어(372)는 양 끝단부가 제1단붐의 전단에 형성된 제1 내측관통구에 고정되고, 제2 전방내측롤러(322)에 의해 가이드되어 제3단붐의 후단에 장착된 지지부재(338)에 지지되도록 마련된다.
상기 지지부재에는 와이어의 일부구간이 지지되어 걸리도록 반구형상의 롤러가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제1인출와이어는 지지부재에 걸려 방향이 전환되는 것으로, 이는 후술할 제2 인출와이어 및 제3 인출와이어도 동일하다.
상기 제2 인출와이어(374)는, 제2단붐과 제4단붐을 연결시키는 요소이다.
상기 제2 인출와이어(374)는 양 끝단부가 제2단붐의 전단에 형성된 제2 내측관통구에 고정되고, 제3 전방내측롤러(332)에 의해 가이드되어 제4단붐의 후단에 장착된 지지부재(348)에 지지되도록 마련된다.
상기 제3 인출와이어(376)는, 제3단붐과 제5단붐을 연결시키는 요소이다.
상기 제3 인출와이어(376)는 양 끝단부가 제3단붐의 전단에 형성된 제3 내측관통구에 고정되고, 제4 전방롤러(342)에 의해 가이드되어 제5단붐의 후단에 장착된 지지부재(358)에 지지되도록 마련된다.
덧붙여, 본 발명에서는 가이드부재 및 지지부재를 활용하여 와이어의 방향이 전환되도록 하여 하나의 와이어가 두 라인으로 사용되도록 하였으며, 이에 따라 상기 와이어의 양단은 동일한 장력을 가지도록 마련되어 상기 붐이 안정적으로 인입 및 인출되도록 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이하에서는, 상기 붐(300)이 인입되는 과정을 도 10을 참조하여 간략하게 설명한다.
상기 제2단붐이 실린더의 구동력에 의해 후방으로 이동하게 될 경우, 상기 제2단붐의 제2 후방롤러(323)를 거쳐 제1 인입와이어(362)와 연결된 제3단붐과, 제 2단붐의 제2 전방외측롤러(321)를 거쳐 제2 인입와이어(364)와 연결된 제4단붐은 동시에 인입되며, 상기 제4단붐이 후방으로 이동됨에 따라 상기 제4후방롤러에 의해 지지되는 제3 인입와이어(366)와, 제3 인입와이어(366)에 의해 연결된 제5단붐도 인입된다.
즉, 상기 인입와이어는 제2단붐이 후방으로 이동됨에 따라 상기 인입와이어 하부측 끝단부는 제1단붐 방향으로 당겨지는 힘을 받게되며 , 이에 따라 붐은 인입된다.
덧붙여, 상기 붐(300)이 인출되는 과정을 도 11을 참조하여 간략하게 설명한다.
상기 제2단붐이 실린더의 구동력에 의해 전방으로 이동하게 될 경우, 상기 제2단붐의 제2 전방내측롤러(322)를 거쳐 제1 인출와이어(372)와 연결된 제3단붐과, 상기 제3단붐의 제3 전방내측롤러(332)를 거쳐 제2 인출와이어(374)와 연결된 제4단붐과, 제4단붐의 제4 전방롤러(342)를 거쳐 제3 인출와이어(376)와 직접 연결된 제5단붐은 인출된다.
즉, 상기 인출와이어는 제2단붐이 전방으로 이동됨에 따라 인출와이어의 상부측 끝단부는 제1단붐 방향으로 당겨지는 힘을 받게되며, 이에 따라 붐은 인출된다.
한편, 상기 붐(300)의 내부에는 덕트부(400)가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덕트부는 붐의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붐의 길이가 조절됨에 따라 같이 길이가 조절되는 후드(도면미도시)와, 상기 후드의 길이방향으로 다수 개 설치되며, 상기 후드와 연통되게 설치되는 덕트(도면미도시)로 구성된다.
상기 후드는 자바라 구조로 형성되어 상기 붐의 신축에 따라 압축 또는 팽창되면서 길이방향으로 길이가 조절된다.
또한, 상기 후드는 붐의 내부를 관통하도록 설치되되, 상기 후드의 후방끝단부는 차량에 설치된 별도의 흡입설비에 연결되므로, 전방끝단부가 후드의 흡입구가 된다.
상기 흡입구는 흡입펌프의 진공흡입에 의해 부압이 형성되어 주변 오염물질을 진공 흡입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후드에는 덕트가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덕트는 붐의 내부 공간부에 설치되되, 후드와 연통되게 결합되어 후드의 내부로 흡입되는 오염물질을 정화장치로 연결하는 매개체 역할을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붐의 길이방향으로 다수 개의 덕트를 설치하였으며, 상기 덕트는 붐이 다단으로 신축되어지는 동작에 간섭되지 않도록 마련된다.
즉, 본 발명은 상기 후드는 붐의 내부에서 다단으로 절첩되게 구성되므로, 본 발명이 멀리 떨어진 곳의 오염물질을 제거해야되는 상황에서 상기 후드는 빠르고 안정적으로 길어지고, 그렇지 않은 상황에서는 신속하게 절첩되어 최소화되므로 작업의 효율성이 높다.
한편, 상기 후드의 흡입구에는 노즐헤드부(500)가 결합된다.
상기 노즐헤드부는 후드를 오염원까지 쉽게 이동시키기 위한 시각적 보조장치이다.
상기 노즐헤드부(500)는 상기 덕트부의 전단에 결합되는 구동유닛(520)과, 상기 구동유닛에 의해 각도조절 및 상하좌우방향으로 이동되는 하우징(540)과, 상기 하우징의 하단부에 장착되며 주변을 촬영하여 제어부로 전송하는 카메라(546)와, 상기 하우징에 장착되어 거리를 측정하는 초음파센서(542)와, 상기 하우징에 장착되어 광선좌표를 표시하는 레이저센서(544)를 포함한다.
상기 구동유닛(520)은, 상기 덕트부의 전단에 결합되는 제1 연결부재(522)와, 상기 제1 연결부재의 전단에 결합되는 제2 연결부재(524)와, 상기 제1 연결부재와 제2 연결부재 사이에 장착되어 제2 연결부재의 각도조절이 가능하도록 하는 스윙베어링(B)과, 상기 제1 연결부재에 장착되되 상기 스윙베어링과 연결되어 스윙베어링을 구동시키는 스윙모터(M1)와, 상기 제2 연결부재의 전단에 제2 연결부재와 링크 결합되는 제3 연결부재(526)와, 상기 제2 연결부재에 장착되어 제2 연결부재를 좌우방향으로 회동시키는 좌우모터(M2)와, 상기 제2 연결부재와 제3 연결부재 사이에 장착되는 플랙시블 부재(F)와, 후단은 상기 제3 연결부재와 연결되고 전단은 하우징(540)과 연결되는 플랙시블 부재(F), 상기 제3 연결부재에 장착되어 제3 연결부재를 상하방향으로 회동시키는 상하모터(M3)를 포함한다.
그리고 이때, 상기 제3 연결부재는 하우징(540)과 링크 결합되고, 상기 제3 연결부재와 하우징 사이에는 플랙시블 부재(F)가 장착되도록 마련된다.
상기 제1, 2, 3 연결부재는, 각각 모터를 지지해야 되므로 수직단면이 사각형인 중공체 형성으로 마련된다.
특히, 제2 연결부재와 제3 연결부재는 플랙시블 부재에 의해 상호 연결되어 제2연결부재와 제3연결부재가 회동하는데 상호 간섭되지 않도록 마련된다.
또한, 제3 연결부재와 하우징 또한 플랙시블 부재에 의해 상호 연결되어 하우징이 회동하는데 제3 연결부재가 간섭되지 않도록 한다.
이처럼 상기 플랙시블 부재는 연결부재 사이 장착되어 관절역할을 하는 것으로, 상기 플랙시블 부재는, 모터의 구동력을 전달받은 연결부재가 이동되면, 함께 이동되면서 유연하게 굽혀지도록 자바라 구조 등으로 마련된다.
아울러, 본 발명에서의 상기 플랙시블 부재는 덕트부의 후드가 연장된 것이나,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후드와는 별도로 마련되어도 무방하며, 이는 본 발명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그리고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구동유닛(520)에는 별도의 커버(부호미도시)가 결합되어 상기 구동유닛이 외부의 충격 등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다.
이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구동유닛에 의해 상,하,좌,우 방향으로 회동가능하며, 각도조절이 가능하며, 상기 하우징(540)에는 초음파센서(542), 레이저센서(544) 및 카메라(546)가 장착된다.
상기 하우징의 중앙부에는 흡입구(541)가 형성되며, 상기 흡입구(541)는 플랙시블 부재(F)와 연결되어 덕트부(400)로 오염물질이 흡입되도록 한다.
상기 카메라(546)는 주변을 촬영하기 위한 요소이며, 상기 초음파센서(542)는 상기 흡입구와 주변 구조물 간의 간격을 측정하는 거리측정센서이고, 상기 레이저센서(544)는 광선좌표를 표시하는 광선좌표 지시계이다.
상기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영상과 상기 초음파센서 및 레이저센서에 의해 측정된 측정값은 제어부로 전송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초음파센서에서 전송된 간격수치가 설정값 이하일 경우 경고신호를 발생시키는 모니터링부와, 상기 모니터링부에서 전송된 경고신호가 수신되면 알람음을 발생시키는 알람부와, 상기 모니터링부에서 전송된 경고신호에 따라 장치의 작동을 중단시키는 역할을 하는 작동멈춤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카메라, 초음파센서 및 레이저센서는 주변 설비와의 충돌 등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작업자의 오동작에 의해 발생될 수 있는 사고를 예방하는 효과가 있다.
상기 카메라는 흡입구의 주변 구조물 등을 촬영하여 모니터링부로 전송하며, 이에 따라 오염원이 파악되고, 후드가 특정위치로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카메라는 구동유닛에 의해 각도조절 및 상, 하, 좌, 우 방향으로도 미세조정이 가능함으로 작업자가 오염현장으로 직접가지 않아도 현장을 모니터링 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한편,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에는 충격방지부재(560)가 더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충격방지부재는 복원 탄성력을 가지는 탄성소재로 마련되어, 상기 하우징이 오염현장에서 건물 또는 물체에 부딪히는 경우 상기 하우징에 가해지는 충격에너지를 흡수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충격방지부재는 완충효과를 향상시키기 위해, 상기 하우징의 길이방향으로 복수 개의 주름부를 가지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하우징에는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연장부재(580)가 추가로 장착되어질 수 있다.
상기 연장부재(580)는 본 발명의 자동후드장치가 오염현장에 더이상 진입하지 못하는 경우 상기 하우징에 장착되어 사용되는 요소이다.
상기 연장부재(580)는 주름관 형상으로 형성되어 길이조절이 가능하며, 후단부에는 상기 하우징과의 빠른 착탈을 위한 퀵커플러(582)가 장착되어 있다.
상기 하우징의 전단에도 상기 퀵커플러와 대응되는 위치에 별도의 체결부재가 장착되어 상기 연장부재와 착탈이 가능하도록 마련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을 도면에 도시한 실시례를 참고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다양한 변형 또는 균등한 실시례가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권리범위는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결정되어야 한다.
1000: 자립형 다단 슬리브형 덕트를 가진 원거리용 자동후드장치
100:브라켓
200:회동암 220:높이조절용 실린더
300:붐
310:제1단붐 312:제1 전방롤러
314:제1 관통구 316:제1 지지프레임
318:상부지지프레임 319:하부지지프레임
320:제2단붐 321:제2 전방외측롤러
322:제2 전방내측롤러 323:제2 후방롤러
325:제2 지지프레임 326:제2실린더결합홀
327:제2 관통구
330:제3단붐 331:제3 전방외측롤러
332:제3 전방외측롤러 333:제3 후방롤러
334, 344, 354: 가이드부재
335:제3 지지프레임 337:제3 관통구
338, 348, 358: 지지부재
340:제4단붐 341:제4 전방외측롤러
342:제4 전방내측롤러 343:제4 후방롤러
345:제4 지지프레임 347:제4 관통구
350:제5단붐
360:인입와이어 362:제1 인입와이어
364:제2 인입와이어 366:제3 인입와이어
370:인출와이어 372:제1 인출와이어
374:제2 인출와이어 376:제3 인출와이어
400:덕트부
500:노즐헤드부
520:구동유닛 M1:상하모터
M2:좌우모터 M3:스윙모터
522:제1 연결부재 524:제2 연결부재
526:제3 연결부재
B:스윙베어링 F:플랙시블 부재
540:하우징 541:흡입구
542:초음파센서 544:레이저센서
546:카메라
560:충격방지부재
580:연장부재 582:퀵커플러

Claims (6)

  1. 브라켓;
    상기 브라켓의 상면에 수직방향으로 결합되며, 높이방향을 회전축으로 하여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동암;
    상기 회동암에 힌지 결합되며, 전단에 전방롤러가 장착되는 고정붐;
    상기 고정붐에 설치되는 실린더;
    상기 실린더와 연결되며, 상기 고정붐에 다단으로 수용되는 두 개 이상의 연장붐;
    상기 실린더의 동작에 의해서 다수 개의 연장붐을 동시에 인입출시키는 인입출수단;
    상기 고정붐과 연장붐의 내부 공간부에 장착되어 상기 붐의 길이가 조절됨에 따라 같이 다단으로 길이 조절되는 후드와 상기 후드와 연통되게 설치되는 덕트를 포함하는 덕트부;
    상기 덕트부의 전단에 결합되되 상기 덕트부와 연통되도록 마련된 노즐헤드부;를 포함하되,
    상기 노즐헤드부의 구동유닛은,
    복수 개의 연결부재와, 상기 연결부재를 연결하는 자바라 형상의 플랙시블 부재와, 상기 복수 개의 연결부재에 각각 장착되어 상기 연결부재를 회동시키는 복수 개의 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립형 다단 슬리브형 덕트를 가진 원거리용 자동후드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붐은,
    상기 고정붐의 전측에 결합되며 상기 고정붐의 내부에 일부구간이 수용되도록 마련되되, 전단에 전방롤러가 장착되고, 후단에 후방롤러가 장착되며, 상기 실린더와 체결되어 실린더의 구동력에 의해 전후진되는 후단붐과,
    상기 후단붐의 전측에 결합되며 상기 후단붐의 내부에 일부구간이 수용되는 전단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립형 다단 슬리브형 덕트를 가진 원거리용 자동후드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인입출수단은,
    상기 고정붐에 고정되며, 고정붐의 전방롤러와 후단붐의 후방롤러를 거쳐 전단붐의 후단에 연결되는 인입와이어와,
    상기 고정붐에 고정되며, 후단붐의 전방롤러를 거쳐 전단붐의 후단에 연결되는 인출와이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립형 다단 슬리브형 덕트를 가진 원거리용 자동후드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립형 다단 슬리브형 덕트를 가진 원거리용 자동후드장치는,
    상기 덕트부의 전단에 결합되되 상기 덕트부와 연통되도록 마련되며 구동유닛에 의해 각도조절 및 상하좌우방향으로 이동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하단부에 장착되며 주변을 촬영하는 카메라와, 상기 하우징에 장착되어 거리를 측정하는 초음파센서와, 상기 하우징에 장착되어 광선좌표를 표시하는 레이저센서로 구성되는 노즐헤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립형 다단 슬리브형 덕트를 가진 원거리용 자동후드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헤드부의 전단에는 탄성소재의 충격방지부재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립형 다단 슬리브형 덕트를 가진 원거리용 자동후드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유닛은,
    상기 덕트부의 전단에 결합되는 제1 연결부재와,
    상기 제1 연결부재의 전단에 결합되는 제2 연결부재와,
    상기 제1 연결부재와 제2 연결부재 사이에 장착되어 제2 연결부재의 각도조절이 가능하도록 하는 스윙베어링과,
    상기 제1 연결부재에 장착되되 상기 스윙베어링과 연결되어 스윙베어링을 구동시키는 스윙모터와,
    상기 제2 연결부재의 전단에 제2 연결부재와 링크 결합되는 제3 연결부재와,
    상기 제2 연결부재에 장착되어 제2 연결부재를 좌우방향으로 회동시키는 좌우모터와,
    상기 제2 연결부재와 제3 연결부재 사이에 장착되는 플랙시블 부재와,
    후단은 상기 제3 연결부재와 연결되고 전단은 하우징과 연결되는 플랙시블 부재,
    상기 제3 연결부재에 장착되어 제3 연결부재를 상하방향으로 회동시키는 상하모터를 포함하며,
    상기 제3 연결부재는 상기 하우징과 링크 결합되고, 상기 제3 연결부재와 하우징 사이에는 플랙시블 부재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립형 다단 슬리브형 덕트를 가진 원거리용 자동후드장치.
KR1020200163943A 2020-11-30 2020-11-30 자립형 다단 슬리브형 덕트를 가진 원거리용 자동후드장치 KR1022876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3943A KR102287652B1 (ko) 2020-11-30 2020-11-30 자립형 다단 슬리브형 덕트를 가진 원거리용 자동후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3943A KR102287652B1 (ko) 2020-11-30 2020-11-30 자립형 다단 슬리브형 덕트를 가진 원거리용 자동후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87652B1 true KR102287652B1 (ko) 2021-08-09

Family

ID=773131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63943A KR102287652B1 (ko) 2020-11-30 2020-11-30 자립형 다단 슬리브형 덕트를 가진 원거리용 자동후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87652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81115B1 (ko) 2015-12-22 2017-09-22 풍전금속공업(주) 이동 후드식 집진장치
KR20190121032A (ko) * 2018-04-17 2019-10-25 주식회사 나래기계 크레인의 붐 조립체 및 그의 작동 방법
KR102098821B1 (ko) * 2018-10-31 2020-04-08 (주)엔코아네트웍스 다단 슬리브형 덕트를 가진 원거리용 자동후드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81115B1 (ko) 2015-12-22 2017-09-22 풍전금속공업(주) 이동 후드식 집진장치
KR20190121032A (ko) * 2018-04-17 2019-10-25 주식회사 나래기계 크레인의 붐 조립체 및 그의 작동 방법
KR102098821B1 (ko) * 2018-10-31 2020-04-08 (주)엔코아네트웍스 다단 슬리브형 덕트를 가진 원거리용 자동후드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7354895B2 (en) A pipe cleaning device
KR102287652B1 (ko) 자립형 다단 슬리브형 덕트를 가진 원거리용 자동후드장치
JP2008133715A (ja) 下水道網を清浄する可動ユニット
JP2018030715A (ja) 回動式操縦ボックス付き高所作業車用車体及び高所作業車
KR102098821B1 (ko) 다단 슬리브형 덕트를 가진 원거리용 자동후드장치
US5915439A (en) Apparatus for cleaning cylindrical air filters
JP2005024260A (ja) コンクリート構造物の検査用撮影装置
CN219355687U (zh) 一种带有定位结构的喷雾机
CN201662543U (zh) X射线成像及拍片检测的柔性悬挂升降及平移装置
JPH11174191A (ja) 原子炉内構造物の予防保全・補修装置
JP2016223069A (ja) 構造物の点検装置、及び点検方法
KR20180065609A (ko) 로봇을 이용한 가공상태 검사장치 및 이에 의한 검사방법
CN116255524A (zh) 一种混凝土泵管内窥检查巡检机器人
WO2019153692A1 (zh) 消防车
KR101888005B1 (ko) 3차원 이동이 가능한 후드가 구비된 오염물질 흡입 장치
KR102287655B1 (ko) 차량용 화학사고 대응 덕트장치
CN210199327U (zh) 一种用于塌方现场的生命辅助探测仪
JPH082876A (ja) 多段伸縮ブームのホース保持構造
JP3457778B2 (ja) 吸引式異物除去装置
CN218816303U (zh) 隧道内打孔装置
JPH09150121A (ja) 大口径管保守装置
CN216629515U (zh) 臂架组件及消防车
KR20220040242A (ko) 배관내의 이물질 흡입 장치
CN118328896B (zh) 一种航空机械尺寸测量装置及其测量方法
CN219510524U (zh) 具有剪叉式升降机构的化工车间巡检机器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