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3107Y1 - 분진제거용 암후드 덕트. - Google Patents

분진제거용 암후드 덕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3107Y1
KR200443107Y1 KR2020070009538U KR20070009538U KR200443107Y1 KR 200443107 Y1 KR200443107 Y1 KR 200443107Y1 KR 2020070009538 U KR2020070009538 U KR 2020070009538U KR 20070009538 U KR20070009538 U KR 20070009538U KR 200443107 Y1 KR200443107 Y1 KR 20044310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ct
hood
bracket
fix
joint bra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0953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06221U (ko
Inventor
조규섭
Original Assignee
조규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규섭 filed Critical 조규섭
Priority to KR202007000953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3107Y1/ko
Publication of KR2008000622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622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310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310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24F13/0209Duct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ir connecting means, e.g. flan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20Removing cooking fumes
    • F24C15/2071Removing cooking fumes mounting of cooking hoo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20Removing cooking fumes
    • F24C15/2078Removing cooking fumes movab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2007/001Ventilation with exhausting air duc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ntila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후드와 연결된 제1덕트와, 상기 제1덕트와 제2덕트를 관절브라켓과 실린더부재로 연결하고, 상기 제 2덕트와 픽스덕트를 관절브라켓과 실린더부재로 연결하여 상기 후드의 상하,좌우운동과 상기 제 1, 2덕트의 관절운동을 용이하게 하며, 관절브라켓과 실린더부재를 상기 제 1, 2덕트와, 상기 후드와 상기 픽스덕트의 외부 상측에 설치하며, 승강볼로 관절운동을 제약하도록 구성한 관절브라켓으로 구성하여 상기 관절브라켓의 관절운동시 관절브라켓의 처짐을 방지하고, 상기 제 1, 2덕트의 회전을 원할하게 작동을 하기 위한 분진제거용 암후드덕트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풍량조절을 위한 댐퍼(11)와 후드 서포트(12)와,후드브라켓(13)을 갖고 있으며 상하 및 좌우회전이 가능한 후드(10)와; 배기팬 또는 메인덕트측에 고정된 고정상대플랜지(21)와 결합하여 연결되는 픽스덕트(20)와; 상기 후드 브라켓(13)과 전방이 연결되는 제 1덕트(30)와; 상기 제 1덕트(30)의 후방 양측면을 관절브라켓(31)으로 전방의 양측면과 연결되고, 상기 픽스덕트(20)의 전방의 양측면을 관절브라켓(31)으로 그 후방의 양측면과 연결된 제 2덕트(30a)와; 상기 제 1덕트(30)와 상기 제 2덕트(30a)의 상면부와, 상기 제 2덕트(30a)와 상기 픽스덕트(20)의 상면부를 각각 연결되도록 설치되는 실린더부재(40, 40a)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진제거용 암후드 덕트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후드, 고정상대 플랜지, 픽스덕트, 제 1, 2덕트, 관절브라켓, 실린더부재, 관절브라켓, 플렉시블호스,

Description

분진제거용 암후드 덕트.{A arm hood duct for dust removal .}
도 1은 종래의 암타입 덕트의 측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측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평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관절브라켓의 분리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실린더부재의 일실시예시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후드서포트와 십자지지대의 결합부의 확대도.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고정상대 플랜지와 픽스덕트의 결합부의 확대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후드 11: 댐퍼
12; 후드서포트 13: 후드 브라켓
14: 힌지 15: 볼트
18: 고정판 19: 홈부
19a: 돌기 20: 픽스덕트
21: 고정상대 플랜지 22: 결합돌기
23: 결합구 24: 베어링강구
30, 30a: 제1, 2덕트 31, 31a: 관절브라켓
32: 관절부 33: 요홈
34: 회전판 35: 승강볼
40, 40a: 실린더부재 41: 로드
42: 실린더 43, 43a: 스프링핀
44, 44a: 아이볼트 45, 45a: 스프링
50: 플렉시블호스
본 고안은 후드와 연결된 제1덕트와, 상기 제1덕트와 제2덕트를 관절브라켓과 실린더부재로 연결하고, 상기 제 2덕트와 픽스덕트를 관절브라켓과 실린더부재로 연결하여 상기 후드의 상하,좌우운동과 상기 제 1, 2덕트의 관절운동을 용이하게 하며, 관절브라켓과 실린더부재를 상기 제 1, 2덕트와, 상기 후드와 상기 픽스덕트의 외부 상측에 설치하며, 승강볼로 관절운동을 제약하도록 구성한 관절브라켓으로 구성하여 상기 관절브라켓의 관절운동시 관절브라켓의 처짐을 방지하고, 상기 제 1, 2덕트의 회전을 원할하게 작동을 하기 위한 분진제거용 암후드덕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장이나 음식점 등의 작업현장에서는 용접연기, 분말가루, 먼지, 파우더, 오일미스트, 냄새 등의 분진이 발생하게 되며, 깨끗한 작업환경과 작업자의 건강을 위해서는 분진의 제거의 필수적이다.
예를들어, 산업현장에서 용접작업을 할 때에는 피용접물과 용접봉의 용융에 의해 인체에 유해한 가스가 발생하고, 또 음식점에서 구이요리를 할 때에도 인체에 유해한 가스나 불쾌한 냄새가 발생하며,특히 연마 작업시에는 미세한 분진등이 많이 발생하였다.
이러한 가스나 냄새, 분진은 작업자의 건강에 악영향을 미치고 또 작업환경을 악화시키게 되므로 이를 즉시 제거하는 것이 깨끗한 작업환경과 작업자의 건강보호를 위해 바람직하였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실용신등록 제 20-0349665호 " 분진제거용 암타입 닥터"가 개시된 바 있다.
이러한 종래의 분진제거용 암타입닥트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배기팬 또는 메인덕트측과 연결되는 엘보(1)와, 풍량조절을 위한 댐퍼(2) 및 암부재와의 연결을 위한 후드 서포트(3)를 갖고 있으며 상하 및 좌우회전이 가능한 후드(4)와, 상기 엘보(1)와 후드(4)를 연결하는 적어도 4개의 다관절 암구조물과, 상기 다관절 암구조물을 내측으로 수용하면서 리버링(5)을 이용하여 양단이 엘보(10)와 후드(4)상에 결합되는 플렉시블 호스(6)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이와 같은 암타입 닥트는 상기 다관절 암구조물이 상기 플렉시블 호스(6)의 내측에 설치되므로 분진 흡수시 분진이 끼어서 다관절 암구조물이 자주고장을 일으켜 제대로 분진을 제거하지 못하며, 빈번한 암구조물을 교체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닥트의 외장의 전체적인 구성은 상기 플렉시블 호스(6)로 되어 있어 고온의 가스를 함진하고 있는 분진의 경우 상기 플렉시블 호스(6)와, 다관절 암구조물의 부식을 초래하여 자주 교체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특히 플렉시블 호스(6)내부에 다관절이 형성되므로서 압력손실(공기의 흐름을 방해하는 요소)이 많이 걸리므로서 에너지낭비와 한곳에 여러대를 설치 할 경우는 높은 압력 손실로 인해 고가의 송풍기(특수 송풍기)를 구입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플렉시블 호스(6)의 재질로 구성되어 있어 재질에 대한 한계성을 갖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된 본 고안은 후드와 연결된 제1덕트와, 상기 제1덕트와 제2덕트를 관절브라켓과 실린더부재로 연결하고, 상기 제 2덕트와 픽스덕트를 관절브라켓과 실린더부재로 연결하여 상기 후드의 상하,좌우운동과 상기 제 1, 2덕트의 관절운동을 용이하게 하며, 관절브라켓과 실린더부재를 상기 제 1, 2덕트와, 상기 후드와 상기 픽스덕트의 외부 상측에 설치하며, 승강볼로 관절운동을 제약하도록 구성한 관절브라켓으로 구성하여 상기 관절브라켓의 관절운동시 관절브라켓의 처짐을 방지하고, 상기 제 1, 2덕트의 회전을 원할하게 작동을 하기 위한 새로운 분진제거용 암후드덕트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고안은 풍량조절을 위한 댐퍼(11)와 후드 서포트(12)와, 후드브라켓(13)을 갖고 있으며 상하 및 좌우회전이 가능한 후드(10)와; 배기팬 또는 메인덕트측에 고정된 고정상대플랜지(21)와 결합하여 연결되는 픽스덕트(20)와; 상기 후드 브라켓(13)과 전방이 연결되는 제 1덕트(30)와; 상기 제 1덕트(30)의 후방 양측면을 관절브라켓(31)으로 전방의 양측면괴 연결되고, 상기 픽스덕트(20)의 전방의 양측면을 관절브라켓(31)으로 그 후방의 양측면과 연결된 제 2덕트(30a)와; 상기 제 1덕트(30)와 상기 제 2덕트(30a)의 상면부와, 상기 제 2덕트(30a)와 상기 픽스덕트(20)의 상면부를 각각 연결되도록 설치되는 실린더부재(40, 40a)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후드(10)의 후방과 상기 제 1덕트(30)의 전방과, 상기 제 1덕트(30)의 후방과, 상기 제 2덕트(30a)의 전방과, 상기 제 2덕트(30a)의 후방과 상기 픽스덕트(20)의 전방에는 플렉시블호스(50)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실린더부재(40, 40a)는 실린더(41)와 로드(42)로 구성하되, 상기 로드(42) 내측 전방에는 스프링핀(43)을 갖는 아이볼트(44)가 설치되며, 상기 실린더(41) 내측 후방에는 스프링핀(43a)을 갖는 아이볼트(44a)가 설치되고, 상기 스프링핀(43)과 상기 스프링핀(43a)사이에는 스프링(45)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실린더부재(40, 40a)는 쇽업쇼바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관절브라켓(31)은 일측 브라켓(31a)과 타측 브라켓(31b)으로 구성하여 힌지(14)로 결합하되, 상기 일측 브라켓(31a)상에 다수개의 홈부(33)가 원형으로 형성하며, 상기 홈부(33)를 간섭하도록 타측 브라켓(31b)의 하부에 형성된 통공(36)내에서 스프링(45a)의 탄발력으로 승강운동하여 상기 홈부(33)를 간섭하는 승강볼(35)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후드서포트(12)의 상기 십자지지대(17) 수평부의 양측에 힌지(14)로 결합하는 부분에는 상기 후드서포트(12)의 상에 다수개의 홈부(19)를 원호로 형성하며, 상기 홈부(19)에 안착되어 상기 후드서포트(12)의 회전을 간섭하는 돌기(19a)를 하부에 형성한 고정판(18)이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픽스덕트(20)가 상기 고정상대 플랜지(21)에서 회전가능 하도록 상기 픽스턱트(20)의 후방둘레에 다수개의 결합돌기(22)가 형성하고, 상기 결합돌기(22)가 상기 고정상대 플랜지(21)의 전방둘레에 형성된 결합구(23)와 결합하며, 상기 결합돌기(22)와 상기 결합구(23)의 사이에는 다수개의 베어링 강구(24)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측면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평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관절브라켓의 분리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실린더부재의 일실시예시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후드서포트와 십자지지대의 결합부의 확대도이고,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고정상대 플랜지와 픽스덕트의 결합부의 확대도이다.
본 고안에 따른 분진제거용 암후드 덕트를 도 2 내지도 7에 도시된 것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본 고안의 덕트는 후드(10)와, 픽스덕트(20)와, 제 1, 2덕트(30, 30a)와, 관절브라켓(21)와, 실린더부재(40, 40a)와, 플렉시블호스(50)로 구성한다.
상기 후드(10)는 풍량조절을 위한 댐퍼(11)와 후드 서포트(12)와, 후드브라켓(13)을 갖고 있으며 상하 및 좌우회전이 가능하도록 구성한다.
또한 상기 후드(10)의 후방 양측부에 상기 후드서포트(12)가 볼트(15)로 각각 고정되며, 상기 후드서포트(12)는 십자지지대(17) 수평부의 양측에 힌지(14)로 고정되어 회동되며, 상기 제 1덕트(30)의 전방 상,하부측에 볼트(15)로 각각 고정된 양 상기 후드브라켓(13)은 상기 십자지지대(17) 수직부의 상,하부에 힌지(14)로 각각 고정되어 회동되도록 구성한다.
그리고 상기 후드서포트(12)의 상기 십자지지대(17) 수평부의 양측에 힌지(14)로 결합하는 부분에는 상기 후드서포트(12)의 상에 다수개의 홈부(19)를 원호로 형성하며, 상기 홈부(19)에 안착되어 상기 후드서포트(12)의 회전을 간섭하는 돌기(19a)를 하부에 형성한 고정판(18)이 더 설치하여 구성한다.
상기 픽스덕트(20)는 배기팬 또는 메인덕트측에 고정된 고정상대 플랜지(21)와 연결되도록 구성한다.
또한, 상기 픽스덕트(20)가 상기 고정상대 플랜지(21)에서 회전가능 하도록 상기 픽스턱트(20)의 후방둘레에 다수개의 결합돌기(22)가 형성하고, 상기 결합돌기(22)가 상기 고정상대 플랜지(21)의 전방둘레에 형성된 결합구(23)와 결합하며, 상기 결합돌기(22)와 상기 결합구(23)의 사이에는 다수개의 베어링 강구(24)를 더 설치하여 구성한다.
상기 베어링 강구(24)는 상기 결합돌기(22)가 상기 결합구(23)에서 원할하게 회전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제 1덕트(30)는 상기 후드 브라켓(13)과 전방이 연결되어진다.
상기 제 2덕트(30a)는 상기 제 1덕트(30)의 후방 양측면과, 관절브라켓(31) 으로 전방의 양측면이 연결되어진다.
또한, 상기 제 2덕트(30a)는 상기 픽스덕트(20)의 전방의 양측면을 관절브라켓(31)으로 그 후방의 양측면과 연결되어진다.
상기 관절브라켓(31)은 상기 제 1, 2덕트(30, 30a)와, 상기 후드(10)와, 상기 픽스덕트(20)의 측면에 볼트(15)로 결합하여 고정된다.
상기 관절브라켓(31)은 일측 브라켓(31a)과 타측 브라켓(31b)으로 구성하여 힌지(14)로 결합하되, 상기 일측 브라켓(31a)상에 다수개의 홈부(33)가 원형으로 형성하며, 상기 홈부(33)를 간섭하도록 타측 브라켓(31b)의 하부에 형성된 통공(36)내에서 스프링(45a)의 탄발력으로 승강운동하여 상기 홈부(33)를 간섭하는 승강볼(35)로 구성한다.
즉, 상기 승강볼(35)이 상기 홈부(33)들내에 입출되어 상기 홈부(33)를 고정하여 상기 일측 브라켓(31a)의 회전을 하지못하도록 간섭한다.
상기 일측브라켓(31a)과, 상기 타측 브라켓(31b)의 상부를 각각 기어(미도시)로 구성하여 기어 결합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실린더부재(40, 40a)는 상기 제 1덕트(30)와 상기 제 2덕트(30a)의 상면부와, 상기 제 2덕트(30a)와 상기 픽스덕트(20)의 상면부를 각각 연결되도록 설치되어진다.
상기 실린더부재(40, 40a)는 실린더(41)와 로드(42)로 구성한다.
상기 로드(42) 내측 전방에는 스프링핀(43)을 갖는 아이볼트(44)가 설치되며, 상기 실린더(41) 내측 후방에는 스프링핀(43a)을 갖는 아이볼트(44a)가 설치되 고, 상기 스프링핀(43)과 상기 스프링핀(43a)사이에는 스프링(45)이 연결되도록 설치되어진다.
상기 실린더부재(40, 40a)는 쇽업쇼바(미도시)로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플렉시블 호스(50)는 상기 후드(10)의 후방과 상기 제 1덕트(30)의 전방과, 상기 제 1덕트(30)의 후방과, 상기 제 2덕트(30a)의 전방과, 상기 제 2덕트(30a)의 후방과 상기 픽스덕트(20)의 전방에 설치되어진다.
본 고안의 상기 후드(10)와, 상기 픽스덕트(20)와, 상기 제 1, 2덕트(30, 30a)와, 상기 관절브라켓(21)와, 상기 실린더부재(40, 40a)는 스텐레스, 피브이씨, 텅스텐등의 재질로 구성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후드와 연결된 제1덕트와, 상기 제1덕트와 제2덕트를 관절브라켓와 실린더부재로 연결하고, 상기 제 2덕트와 픽스덕트를 관절브라켓와 실린더부재로 연결하여 상기 후드의 상하,좌우운동과 상기 제 1, 2덕트의 관절운동을 용이하게 하며, 관절브라켓과 실린더부재를 상기 제 1, 2덕트와, 상기 후드와 상기 픽스덕트의 외부에 설치하여 상기 제 1, 2덕트의 회전을 원할하게 하고, 상기 관절브라켓인 상부에 다수개의 홈부를 형성한 상기 일측 브라켓과 스프링으로 승강하는 승강볼을 상기 타측 브라켓에 형성하여 상기 승강볼이 상기 홈부를 간섭하여 상기 관절브라켓의 처짐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일반닥트에 비해 압력손실이 같아서 압력손실이 적게 걸리며 여러개의 관절브라켓과, 상기 실린더부재를 본 고안의 상부에 설치하여 작업자 에게 불편을 주지않으며, 종래의 플렉시블호스로 된 덕트는 관절브라켓을 설치시 일반송풍기를 사용할 수 없었지만 본 고안은 관절브라켓을 다수개 설치하더라도 송풍기의 제약을 받지 않으며, 종래의 닥트의 플렉시블을 대체하여 제 1, 2덕트로 구성하여 고온가스를 함진한 분진을 처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7)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풍량조절을 위한 댐퍼(11)와 후드 서포트(12)와, 후드브라켓(13)을 갖고 있으며 상하 및 좌우회전이 가능한 후드(10)와; 배기팬 또는 메인덕트측에 고정된 고정상대플랜지(21)와 결합하여 연결되는 픽스덕트(20)와; 상기 후드 브라켓(13)과 전방이 연결되는 제 1덕트(30)와; 상기 제 1덕트(30)의 후방 양측면을 관절브라켓(31)으로 전방의 양측면과 연결되고, 상기 픽스덕트(20)의 전방의 양측면을 관절브라켓(31)으로 그 후방의 양측면과 연결된 제 2덕트(30a)와; 상기 제 1덕트(30)와 상기 제 2덕트(30a)의 상면부와, 상기 제 2덕트(30a)와 상기 픽스덕트(20)의 상면부를 각각 연결되도록 설치되는 실린더부재(40, 40a)를 구비하는 분진제거용 암후드 덕트에 있어서,
    상기 관절브라켓(31)은 일측 브라켓(31a)과 타측 브라켓(31b)을 힌지(14)로 결합하여 구성하되, 상기 일측 브라켓(31a)상에 다수개의 홈부(33)를 원형으로 형성하며, 상기 홈부(33)를 간섭하도록 타측 브라켓(31b)의 하부에 형성된 통공(36)내에서 스프링(45a)의 탄발력으로 승강운동하여 상기 홈부(33)를 간섭하는 승강볼(35)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진제거용 암후드 덕트.
  6. 삭제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픽스덕트(20)가 상기 고정상대플랜지(21)에서 회전가능 하도록 상기 픽스턱트(20)의 후방둘레에 다수개의 결합돌기(22)를 형성하고, 상기 결합돌기(22)는 상기 고정상대 플랜지(21)의 전방둘레에 형성된 결합구(23)와 결합하며, 상기 결합돌기(22)와 결합구(23)의 사이에는 다수개의 베어링 강구(24)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진제거용 암후드 덕트.
KR2020070009538U 2007-06-11 2007-06-11 분진제거용 암후드 덕트. KR20044310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9538U KR200443107Y1 (ko) 2007-06-11 2007-06-11 분진제거용 암후드 덕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9538U KR200443107Y1 (ko) 2007-06-11 2007-06-11 분진제거용 암후드 덕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6221U KR20080006221U (ko) 2008-12-16
KR200443107Y1 true KR200443107Y1 (ko) 2009-01-13

Family

ID=413269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09538U KR200443107Y1 (ko) 2007-06-11 2007-06-11 분진제거용 암후드 덕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3107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8105B1 (ko) * 2019-11-11 2020-08-25 백화현 무빙 덕트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집진 설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6243B1 (ko) * 2014-01-20 2015-07-13 수공아이엔씨(주) 산업용 암타입 환기장치
KR101594003B1 (ko) * 2015-11-09 2016-02-26 김재곤 헬륨가스 테스터용 다관절 호스 조립체
KR102269409B1 (ko) * 2019-07-31 2021-06-24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휴대용 흡배기 장치
KR102247346B1 (ko) * 2019-08-07 2021-05-03 한국화학연구원 복수 개의 가변형 관을 이용한 공기 정화 시스템
WO2021025480A2 (ko) * 2019-08-07 2021-02-11 한국화학연구원 공기 정화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8105B1 (ko) * 2019-11-11 2020-08-25 백화현 무빙 덕트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집진 설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6221U (ko) 2008-1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43107Y1 (ko) 분진제거용 암후드 덕트.
CN107952776B (zh) 烟尘收集装置
CN209532462U (zh) 一种新型自动焊接机械臂
KR100566858B1 (ko) 분진제거용 암타입 덕트
JPH0659742U (ja) 集塵装置
JP5381854B2 (ja) 産業用ロボット
KR200349665Y1 (ko) 분진제거용 암타입 덕트
KR100315541B1 (ko) 작업장으로부터 발생되는 유해가스를 이송하기 위한 관
CN210754284U (zh) 一种万向吸气臂
CN211277114U (zh) 一种旋转式机器人工作站
CN213614926U (zh) 一种防飞溅、烟尘的保护气帘
KR101536243B1 (ko) 산업용 암타입 환기장치
CN206377716U (zh) 一种可拆卸侧吸式双进风吊柜油烟机
CN110920804B (zh) 直升机甲板安全网支撑结构
WO2020204789A1 (en) An adjustable gaseous fluid extractor assembly comprising a pivot mechanism
CN219597646U (zh) 一种焊接除尘密封防烫伤装置
GB2046858A (en) Articulated duct
CN110725975A (zh) 带伞形防火温感装置的防火止回阀
JP4591832B2 (ja) ダクト組立体および該ダクト組立体を用いる鋳造システム
CN211371388U (zh) 带蝶形防火温感装置的防火止回阀
JP6437804B2 (ja) 建設機械
CN215257813U (zh) 一种分离式挡圈吹灰器密封装置
CN216143739U (zh) 一种寺庙用焚烧炉炉门的密封结构
CN205684425U (zh) 汽车双离合器密封环槽焊渣清理装置
CN207539404U (zh) 电焊烟尘净化器吸尘罩用风量调节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121 Written withdrawal of request for trial

Free format text: WITHDRAWAL OF TRIAL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80818

Effective date: 20080818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B701 Decision to gran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0

Year of fee payment: 9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