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36243B1 - 산업용 암타입 환기장치 - Google Patents

산업용 암타입 환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36243B1
KR101536243B1 KR1020140006585A KR20140006585A KR101536243B1 KR 101536243 B1 KR101536243 B1 KR 101536243B1 KR 1020140006585 A KR1020140006585 A KR 1020140006585A KR 20140006585 A KR20140006585 A KR 20140006585A KR 101536243 B1 KR101536243 B1 KR 1015362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rotating plate
rotation
duct members
du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065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원모
Original Assignee
수공아이엔씨(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수공아이엔씨(주) filed Critical 수공아이엔씨(주)
Priority to KR10201400065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3624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362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362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20Removing cooking fumes
    • F24C15/2071Removing cooking fumes mounting of cooking hoo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Flow Control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산업용 암타입 환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n개의 덕트부재와 상기 n개의 덕트부재를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n-1개의 관절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산업용 암타입 환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관절부는 상기 n개의 덕트부재 간이 연통되도록 연결되는 n-1개의 유연관 및 이웃하는 상기 n개의 덕트부재 중 어느 하나의 일측에 고정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 1 회동플레이트, 이웃하는 상기 n개의 덕트부재 중 다른 하나의 일측에 고정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 2 회동플레이트, 상기 제 1 회동플레이트 및 상기 제 2 회동플레이트의 일측을 회동 가능하게 체결하는 체결부재 및 상기 제 1 회동플레이트 및 상기 제 2 회동플레이트와 상기 체결부재 간에 개재되어 상기 제 1 회동플레이트 및 상기 제 2 회동플레이트가 상호 밀착되도록 가압하는 가압부재를 포함하는 n-1개의 회동지지부를 포함하되, 상기 n개의 덕트부재 중 외부의 환기수단과 연통되는 덕트부재는 작업 대상영역에 고정설치된 브라켓에 일측이 외주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큰 직경을 가지는 덕트부재를 사용하여 암타입 환기장치를 구성함으로써, 작업현장에서 발생되는 가스, 분진 및 냄새 등의 배출 효율이 현저하게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산업용 암타입 환기장치{INDUSTRIAL ARM TYPE VENTILATOR}
본 발명은 산업용 암타입 환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작업현장에서 발생되는 용접연기, 분말가루, 먼지, 파우더 및 오일미스트 등과 같은 분진과 냄새를 흡입하여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산업용 암타입 환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장이나 음식점 등의 작업현장에서는 용접연기, 분말가루, 먼지, 파우더, 오일미스트 등과 같은 분진 및 냄새가 발생하게 되며, 깨끗한 작업환경과 작업자의 건강을 위해서는 분진 및 냄새의 제거가 필수적이다.
예를 들면, 산업현장에서 용접작업을 할 때에는 피용접물과 용접봉의 용융에 의해 인체에 유해한 가스가 발생하고, 또 음식점에서 구이요리를 할 때에도 인체에 유해한 가스나 불쾌한 냄새가 발생하며, 특히 연마작업시에는 미세한 분진 등이 많이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가스나 냄새 및 분진은 작업자의 건강에 악영향을 미치고, 또 작업환경을 악화시키게 되므로 이를 즉시 제거하는 것이 깨끗한 작업환경과 작업자의 건강보호를 위해 바람직하다.
위와 같이 작업현장에서 발생되는 가스나 냄새 및 분진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해 종래에는 작업위치의 상부에 후드를 설치하고 후드로부터 덕트를 연장하여 분진을 배출하는 고정타입 덕트를 사용해 왔으나. 이는 작업위치가 변경되는 작업현장의 경우에는 적용하기 힘든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최근에는 변경되는 작업위치에 따라 후드의 위치를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길이와 각도가 조절되는 암타입 환기장치를 작업현장에서 많이 적용하고 있는 추세이다.
그러나, 기존의 암타입 환기장치는 2개 정도의 관절구조로 이루어진 다관절 암 구조물과 플레시블 호스를 조합한 형태로 되어 있는데, 이러한 기존의 암타입 환기장치는 다관절 암 구조물이 플렉시블 호스의 내부에 설치되므로 흡입되는 분진이 다관절 암 구조물에 끼여 다관절 암 구조물의 잦은 고장을 유발하게 되고, 다관절 암 구조물이 배출되는 분진의 흐름을 방해하므로 배출효율이 저하되며, 고온의 가스를 함유하고 있는 분진 배출 시 플렉시블 호스 및 다관절 암 구조물의 손상을 초래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최근에는 유연관을 통해 연결된 관체 형상의 덕트부재를 회동 가능하게 결합한 구조의 암타입 환기장치를 사용하고 있으나, 직경이 큰 덕트부재를 사용할 경우 덕트부재의 자중으로 인해 원하는 회동각도로 고정하여 사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직경이 큰 덕트부재를 사용하여 덕트부재의 자중이 증가하더라도 덕트부재의 자중에 구애받지 않고, 원하는 회동각도로 확실하게 고정하여 사용할 수 있는 암타입 환기장치가 요구된다.
한국등록특허 0566858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큰 직경으로 인해 자중이 증가하더라도 덕트부재를 원하는 회동각도로 확실하게 고정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구조를 제공하는 산업용 암타입 환기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르면, n개의 덕트부재와 상기 n개의 덕트부재를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n-1개의 관절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산업용 암타입 환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관절부는 상기 n개의 덕트부재 간이 연통되도록 연결되는 n-1개의 유연관 및 이웃하는 상기 n개의 덕트부재 중 어느 하나의 일측에 고정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 1 회동플레이트, 이웃하는 상기 n개의 덕트부재 중 다른 하나의 일측에 고정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 2 회동플레이트, 상기 제 1 회동플레이트 및 상기 제 2 회동플레이트의 일측을 회동 가능하게 체결하는 체결부재 및 상기 제 1 회동플레이트 및 상기 제 2 회동플레이트와 상기 체결부재 간에 개재되어 상기 제 1 회동플레이트 및 상기 제 2 회동플레이트가 상호 밀착되도록 가압하는 가압부재를 포함하는 n-1개의 회동지지부를 포함하되, 상기 n개의 덕트부재 중 외부의 환기수단과 연통되는 덕트부재는 작업 대상영역에 고정설치된 브라켓에 일측이 외주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회동지지부는 상기 제 1 회동플레이트 및 상기 제 2 회동플레이트와 상기 가압부재 간에 개재되어 상기 제 1 회동플레이트 및 상기 제 2 회동플레이트 중 어느 하나의 회동을 단속함과 아울러 상기 체결부재의 풀림을 방지하는 회동 단속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회동 단속부재는 판상의 부재로서 일방향으로 경사지게 돌출형성된 복수개의 제 1 톱니부가 형성된 일면과 상기 제 1 톱니부와 반대 방향으로 경사지게 돌출형성된 복수개의 제 2 톱니부가 형성된 이면을 가지며, 상기 일면 또는 이면 중 어느 하나가 상기 제 1 회동플레이트 및 상기 제 2 회동플레이트의 일측에 지지되고, 상기 일면 또는 이면 중 다른 하나가 상기 체결부재에 지지되어 상기 제 1 회동플레이트 및 상기 제 2 회동플레이트 중 어느 하나의 회동을 단속함과 아울러 상기 체결부재의 풀림을 방지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회동지지부는 상기 제 1 회동플레이트 및 상기 제 2 회동플레이트 중 어느 하나의 일측에 형성되는 장공과 상기 장공과 대응되는 상기 제 1 회동플레이트 및 상기 제 2 회동플레이트 중 어느 하나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장공을 따라 이동하는 가이드 돌기를 포함하는 회동 가이드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이웃하는 상기 n개의 덕트부재 간에 설치되어 상기 n개의 덕트부재 간의 회동각을 고정하는 회동각 고정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회동각 고정수단은 판상의 부재로서 이웃하는 상기 n개의 덕트부재 중 어느 하나의 외주면 일측에 고정설치되고, 외면 일측에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개의 관통홀이 형성된 가이드플레이트 및 판상의 부재로서 상기 가이드플레이트에 밀착되도록 설치되고, 외면 일측에 상기 관통홀과 대응되는 하나 이상의 관통공이 형성된 고정플레이트 및 일단이 이웃하는 상기 n개의 덕트부재 중 다른 하나의 일측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고정플레이트 일측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지지바 및 상기 관통홀과 상기 관통공에 결합되어 상기 고정플레이트를 상기 가이드플레이트에 고정결합시키는 고정결합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큰 직경을 가지는 덕트부재를 사용하여 암타입 환기장치를 구성함으로써, 작업현장에서 발생되는 가스, 분진 및 냄새 등의 배출 효율이 현저하게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산업용 암타입 환기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A 부분의 평면도이다.(회동지지부 결합구조)
도 3은 도 1의 B 부분의 평면도이다.(회동각 고정수단의 구조)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산업용 암타입 환기장치의 회동 단속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산업용 암타입 환기장치의 회동지지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가능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산업용 암타입 환기장치의 정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A 부분의 평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B 부분의 평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산업용 암타입 환기장치의 회동 단속부재의 사시도이다.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본 발명에 따른 산업용 암타입 환기장치(1)는 작업 현장에서 발생되는 가스, 분진 및 냄새 등을 흡입하여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것으로서, n개의 덕트부재(10)와 상기 n개의 덕트부재(10)를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n-1개의 관절부(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4개의 덕트부재(10)와 3개의 관절부(20)로 이루어진 경우로 한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산업용 암타입 환기장치(1)는 4개의 덕트부재(10)와 3개의 관절부(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덕트부재(10)는 원형의 관체 형상으로 형성되고, 작업현장에서 발생된 가스, 분진 및 냄새 등을 외부로 배출하는 통로를 제공하는 것으로서, 일단이 외부의 환기수단과 연결되는 제 1 덕트부재(10a), 일단이 제 1 덕트부재(10a)의 타단에 상하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2 덕트부재(10b), 일단이 제 2 덕트부재(10b)의 타단에 상하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3 덕트부재(10c) 및 일단이 제 3 덕트부재(10c)의 타단에 상하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4 덕트부재(10d)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일단이 외부의 환기수단과 연결되는 제 1 덕트부재(10a)는 일측이 작업 대상영역에 고정설치되어 있는 브라켓(40)에 외주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산업용 암타입 환기장치(1)가 좌우 방향으로 회동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산업용 암타입 환기장치(1)가 좌우 방향으로 부드럽게 회동되어 작업의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도록, 제 1 덕트부재(10a)의 일측과 브라켓(40)의 회전 결합구조는 상하 이중 베어링 구조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종단에 위치하는 제 4 덕트부재(10d)의 타단에는 작업현장에서 발생되는 가스, 분진 및 냄새를 용이하게 흡입할 수 있도록 후드(50)가 설치된다.
관절부(20)는 3개의 유연관(20a)과 3개의 회동 지지부(20b)를 포함한다.
유연관(20a)은 원형의 관체 형상으로서 유연성이 있는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되고, 길이가 가변될 수 있도록 외주면에 다수개의 주름이 형성되며, 서로 이웃하는 덕트부재(10) 간이 연통되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제 1 덕트부재(10a)와 제 2 덕트부재(10b) 간을 연결하는 제 1 유연관(20aa), 제 2 덕트부재(10b)와 제 3 덕트부재(10c) 간을 연결하는 제 2 유연관(20ab) 및 제 3 덕트부재(10c)와 제 4 덕트부재(10d) 간을 연결하는 제 3 유연관(20ac)으로 이루어진다.
회동 지지부(20b)는 이웃하는 덕트부재(10) 간을 상하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하는 것으로서, 이웃하는 덕트부재(10) 중 어느 하나의 일측에 고정 설치되는 제 1 회동플레이트(20ba), 이웃하는 덕트부재(10) 중 다른 하나의 일측에 고정 설치되는 제 2 회동플레이트(20bb), 제 1 회동플레이트(20ba)와 제 2 회동플레이트(20bb)의 일측을 회동 가능하게 체결하는 체결부재(20bc) 및 제 1 회동플레이트(20ba) 및 제 2 회동플레이트(20bb)와 체결부재(20bc) 간에 개재되는 가압부재(20bd)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제 1 회동플레이트(20ba)는 한 쌍이 제 1, 제 2 및 제 3 덕트부재(10a, 10b, 10c)의 타단부 양측에 대향되도록 각각 고정설치되고, 제 1, 제 2 및 제 3 덕트부재(10a, 10b, 10c)가 각각 이웃하는 제 2, 제 3 및 제 4덕트부재(10b, 10c, 10d)와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하는 영역을 제공한다.
제 2 회동플레이트(20bb)는 한 쌍의 제 2 , 제 3 및 제 4 덕트부재(10b, 10c, 10d)의 일단부 양측에 대향되도록 각각 고정설치되고, 제 2, 제 3 및 제 4 덕트부재(10b, 10c, 10d)와 각각 이웃하는 제 1, 제 2 및 제 3 덕트부재(10a, 10b, 10c)와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하는 영역을 제공한다.
여기서, 각각의 제 1 회동플레이트(20ba) 및 제 2 회동플레이트(20bb)는 상호 간에 면 접촉되고, 각각의 제 1 회동플레이트(20ba)는 대응되는 각각의 제 2 회동플레이트(20bb)의 외측에 위치하도록 배치된다.
체결부재(20bc)는 타단이 제 1 회동플레이트(20ba) 및 제 2 회동플레이트(20bb)의 일측에 관통결합되고, 일단이 제 1 회동플레이트(20ba) 일측에 지지되는 체결볼트(20bca)와 체결볼트(20bca)의 타단에 체결되어 제 2 회동플레이트(20bb)의 일측에 지지되는 체결너트(20bcb)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가압부재(20bd)는 공지의 스프링 와셔로서, 제 1 회동플레이트(20ba)의 일측과 체결볼트(20bca)의 일단 및 제 2 회동플레이트(20bb)의 일측과 체결너트(20bcb) 간에 개재되어 체결볼트(20bca)의 일단과 체결너트(20bcb)를 외측방향으로 가압하여 체결볼트(20bca) 및 체결너트(20bcb)가 풀리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제 1 회동플레이트(20ba)를 기준으로 제 2 회동플레이트(20bb)를 회동시켜 원하는 회동 각도로 고정하여 사용할 경우, 제 1 회동플레이트(20ba) 및 제 2 회동플레이트(20bb)의 일측을 가압하여 제 2 회동플레이트(20bb)가 회동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이웃하는 덕트부재(10)를 원하는 회동각도로 고정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아울러, 회동 지지부(20b)는 제 1 회동플레이트(20ba) 및 제 2 회동플레이트(20bb)와 가압부재(20bd) 간에 개재되어 제 1 회동플레이트(20ba) 및 제 2 회동플레이트(20bb)의 회동을 단속함과 아울러 체결부재(20bc)의 풀림을 방지하는 회동 단속부재(20be)를 더 포함한다.
회동 단속부재(20be)는 확대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판 형상으로서 중앙에 체결볼트(20bca)가 체결될 수 있도록 관통공이 형성되고, 어느 하나의 일면에는 일방향성을 가지도록 경사지게 돌출 형성된 복수개의 제 1 톱니부(20bea)가 원주 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다른 하나의 일면에는 제 1 톱니부(20bea)의 반대되는 방향성을 가지도록 경사지게 돌출 형성된 복수개의 제 2 톱니부(20beb)가 원주 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이러한 회동 단속부재(20be)는 일면과 다른 하나의 일면에 상호 다른 방향성을 가지도록 형성된 제 1 톱니부(20bea) 및 제 2 톱니부(20beb) 중 어느 하나가 제 1 회동플레이트의 일측에 지지되고, 체결볼트(20bca)의 일단에 지지된 가압부재(20bd)에 지지되어 체결볼트(20bca)가 풀리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제 1 톱니부(20bea) 및 제 2 톱니부(20beb) 중 어느 하나가 제 2 회동플레이트(20bb)의 일측에 지지되고, 다른 하나가 체결너트(20bcb)의 일단에 지지된 가압부재(20bd)에 지지되어 체결너트(20bcb)가 풀리는 것을 방지함과 아울러 제 1 회동플레이트(20ba)를 기준으로 원하는 회동각도로 고정된 제 2 회동플레이트(20bb)가 덕트부재(10)의 자중으로 인해 회동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위와 같이, 회동 지지부(20b)는 제 1 회동플레이트(20ba) 및 제 2 회동플레이트(20bb)가 가압부재(20bd)를 통해 강하게 면 접촉되어 회동되도록 하고, 회동 단속부재(20be)를 통해 체결부재(20bc)의 풀림을 방지함과 아울러 제 2 회동플레이트(20bb)를 원하는 회동각도로 고정하여 사용하는 경우, 제 2 회동플레이트(20bb)의 일측에 지지되어 제 2 회동플레이트(20bb)의 회동을 단속함으로써, 큰 직경으로 인해 자중이 큰 덕트부재(10)를 회동 가능하게 결합하여 사용할 경우에도 원하는 회동각도로 고정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플렉시블 호스 내부에 암 구조물이 설치된 종래의 암타입 환기장치에 비해 작업현장에서 발생되는 가스, 분진 및 냄새 등의 배출 효율이 현저하게 향상되고, 배출되는 분진이 암 구조물에 끼어 암 구조물이 손상되는 문제가 발생되는 것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회동 지지부(20b)는 제 2 회동플레이트(20bb)의 일측에 형성되는 장공(bfa)과 장공(bfa)과 대응되는 제 1 회동플레이트(20ba) 일측에 형성되어 장공(bfa)을 따라 이동하는 가이드수단(20bfb)을 포함하는 회동 가이드부(bf)를 더 포함한다.
이러한 회동 가이드부(bf)는 제 1 회동플레이트(20ba)를 기준으로 제 2 회동플레이트(20bb)가 회동될 경우, 제 2 회동플레이트(20bb)의 회동각을 제한함과 아울러 제 2 회동플레이트(20bb)의 회동을 가이드하는 역할을 한다.
가이드 수단(20bfb)은 장공(bfa)과 대응되는 제 1 회동플레이트(20ba) 일측에 가이드 돌기를 형성하여 제 2 회동플레이트(20bb)의 장공(bfa)이 제 1 회동플레이트(20ba)의 가이드 돌기에 가이드되어 제 2 회동플레이트(20bb)의 회동을 가이드 하도록 형성할 수 도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가이드 돌기 대신 볼트부재와 너트부재로 이루어진 볼팅 결합구조를 사용하여 제 2 회동플레이트(20bb)의 장공(bfa)이 볼트부재에 가이드되어 제 2 회동플레이트(20bb)의 회동을 가이드 하도록 하고, 제 2 회동플레이트(20bb)를 원하는 회동각도로 고정하여 사용할 경우, 볼트부재에 너트부재를 견고하게 체결함으로써, 제 2 회동플레이트(20bb)가 회동되는 것을 보다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한다.
본 실시예에서 회동 가이드부(bf)는 제 1 덕트부재(10a)와 제 2 덕트부재(10b) 간 및 제 2 덕트부재(10b)와 제 3 덕트부재(10c) 간을 연결하는 제 1 회동플레이트(20ba) 및 제 2 회동플레이트(20bb)에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회동 가이드부(bf)가 필요한 곳이면 어디든 설치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산업용 암타입 환기장치(1)는 이웃하는 덕트부재(10) 간에 설치되는 회동각 고정수단(30)을 더 포함한다.
이러한 회동각 고정수단(30)은 이웃하는 덕트부재(10) 간의 회동 각도를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서, 가이드 플레이트(30a), 고정플레이트(30b), 지지바(30c) 및 고정결합부재(30d)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가이드 플레이트(30a)는 판상의 부재로서 제 2 덕트부재(10b)의 외주면 일측에 별도로 고정설치되고,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개의 관통홀(30aa)이 형성된다.
고정플레이트(30b)는 판상의 부재로서 가이드 플레이트(30a)에 밀착되도록 설치되고, 관통홀(30aa)과 대응되는 하나 이상의 관통공(30ba)이 형성된다.
지지바(30c)는 일단이 제 1 덕트부재(10a)의 일측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이 고정플레이트(30b) 일측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제 1 덕트부재(10a)와 제 2 덕트부재(10b)의 회동각이 변화됨에 따라 제 2 덕트부재(10b)에 고정 설치된 가이드 플레이트(30a)에 밀착되는 고정플레이트(30b)의 위치를 변경하는 역할을 한다.
고정결합부재(30d)는 고정플레이트(30b)에 형성된 관통공(30ba)과 가이드플레이트(30a)에 형성된 관통홀(30aa)에 결합되어 고정플레이트(30b)를 가이드플레이트(30a)에 고정시키는 역할을 하며, 볼트부재와 너트부재로 이루어진 일반적인 볼팅 결합구조가 사용될 수 있다.
여기서, 회동각 고정수단(30)이 제 1 덕트부재(10a)와 제 2 덕트부재(10b) 간에 설치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회동 각도를 고정하기 위한 이웃하는 덕트부재(10) 간이면 어디든 설치될 수 있다.
위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산업용 암타입 환기장치(1)는 회동 가이드부(bf)와 회동각 고정수단(30)을 통해 더 큰 직경의 덕트부재(10)를 사용함으로 인해 덕트부재(10)의 자중이 증가하더라도 이에 구애받지 않고, 덕트부재(10)를 원하는 회동각도로 보다 확실하게 고정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산업용 암타입 환기장치(1)의 회동 지지부의 동작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암타입 환기장치의 회동지지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산업용 암타입 환기장치(1)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면과 다른 하나의 일면에 상호 다른 방향성을 가지는 제 1 톱니부(20bea) 및 제 2 톱니부(20beb)가 형성된 회동 단속부재(20be)의 일면이 제 제 1 회동플레이트(20ba) 및 제 2 회동플레이트(20bb)의 일측에 지지되어 제 1 회동플레이트(20ba) 및 제 2 회동플레이트(20bb)의 일측을 가압함으로써, 제 1 회동플레이트(20ba)와 제 2 회동플레이트(20bb)가 강하게 면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회동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제 1 회동플레이트(20ba)를 기준으로 제 2 회동플레이트(20bb)를 원하는 회동각도로 고정하여 사용할 경우, 제 2 회동플레이트(20bb)가 회동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큰 직경으로 인해 자중이 큰 덕트부재(10)를 회동 가능하게 결합하여 사용할 경우에도 원하는 회동각도로 고정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다른 하나의 일면이 체결볼트(20bca)의 일단 및 체결너트의 일단에 지지된 가압부재(20beb)에 지지되어 체결볼트(20bca) 및 체결너트(20bcb)가 풀리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 바람직한 실시 예들과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이나 변형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첨부된 특허 청구범위는 본 발명의 요지에 속하는 이러한 수정이나 변형을 포함할 것이다.
1 : 산업용 암타입 환기장치 10 : 덕트부재
10a : 제 1 덕트부재 10b : 제 2 덕트부재
10c : 제 3 덕트부재 10d : 제 4 덕트부재
20 : 관절부 20a : 유연관
20aa : 제 1 유연관 20ab : 제 2 유연관
20ac : 제 3 유연관 20b : 회동 지지부
20ba : 제 1 회동플레이트 20bb : 제 2 회동플레이트
20bc : 체결부재 20bca : 체결볼트
20bcb : 체결너트 20bd : 가압부재
20be : 회동 단속부재 20bea : 제 1 톱니부
20beb : 제 2 톱니부 20bf : 회동 가이드부
20bfa : 장공 20bfb : 가이드 수단
30 : 회동각 고정수단 30a : 가이드 플레이트
30aa : 관통홀 30b : 고정플레이트
30ba : 결합공 30c : 지지바
30d : 고정결합부재 40 : 브라켓
50 : 후드

Claims (6)

  1. n개의 덕트부재와 상기 n개의 덕트부재를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n-1개의 관절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산업용 암타입 환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관절부는
    상기 n개의 덕트부재 간이 연통되도록 연결되는 n-1개의 유연관;
    이웃하는 상기 n개의 덕트부재 중 어느 하나의 일측에 고정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 1 회동플레이트, 이웃하는 상기 n개의 덕트부재 중 다른 하나의 일측에 고정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 2 회동플레이트, 상기 제 1 회동플레이트 및 상기 제 2 회동플레이트의 일측을 회동 가능하게 체결하는 체결부재 및 상기 제 1 회동플레이트 및 상기 제 2 회동플레이트와 상기 체결부재 간에 개재되어 상기 제 1 회동플레이트 및 상기 제 2 회동플레이트가 상호 밀착되도록 가압하는 가압부재를 포함하는 n-1개의 회동지지부를 포함하되,
    상기 n개의 덕트부재 중 외부의 환기수단과 연통되는 덕트부재는 작업 대상영역에 고정설치된 브라켓에 일측이 외주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회동지지부는
    상기 제 1 회동플레이트 및 상기 제 2 회동플레이트와 상기 가압부재 간에 개재되어 상기 제 1 회동플레이트 및 상기 제 2 회동플레이트 중 어느 하나의 회동을 단속함과 아울러 상기 체결부재의 풀림을 방지하는 회동 단속부재를 더 포함하되,
    상기 회동 단속부재는 판상의 부재로서 일방향으로 경사지게 돌출형성된 복수개의 제 1 톱니부가 형성된 일면과 상기 제 1 톱니부와 반대 방향으로 경사지게 돌출형성된 복수개의 제 2 톱니부가 형성된 이면을 가지며, 상기 일면 또는 이면 중 어느 하나가 상기 제 1 회동플레이트 및 상기 제 2 회동플레이트의 일측에 지지되고, 상기 일면 또는 이면 중 다른 하나가 상기 가압부재에 지지되어 상기 제 1 회동플레이트 및 상기 제 2 회동플레이트 중 어느 하나의 회동을 단속함과 아울러 상기 체결부재의 풀림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업용 암타입 환기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지지부는
    상기 제 1 회동플레이트 및 상기 제 2 회동플레이트 중 어느 하나의 일측에 형성되는 장공과 상기 장공과 대응되는 상기 제 1 회동플레이트 및 상기 제 2 회동플레이트 중 어느 하나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장공을 따라 이동하는 가이드 수단을 포함하는 회동 가이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업용 암타입 환기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이웃하는 상기 n개의 덕트부재 간에 설치되어 상기 n개의 덕트부재 간의 회동각을 고정하는 회동각 고정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업용 암타입 환기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각 고정수단은
    판상의 부재로서 이웃하는 상기 n개의 덕트부재 중 어느 하나의 외주면 일측에 고정설치되고, 외면 일측에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개의 관통홀이 형성된 가이드플레이트;
    판상의 부재로서 상기 가이드플레이트에 밀착되도록 설치되고, 외면 일측에 상기 관통홀과 대응되는 하나 이상의 결합공이 형성된 고정플레이트;
    일단이 이웃하는 상기 n개의 덕트부재 중 다른 하나의 일측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고정플레이트 일측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지지바;
    상기 관통홀과 상기 결합공에 결합되어 상기 고정플레이트를 상기 가이드플레이트에 고정결합시키는 고정결합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업용 암타입 환기장치.
KR1020140006585A 2014-01-20 2014-01-20 산업용 암타입 환기장치 KR1015362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6585A KR101536243B1 (ko) 2014-01-20 2014-01-20 산업용 암타입 환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6585A KR101536243B1 (ko) 2014-01-20 2014-01-20 산업용 암타입 환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36243B1 true KR101536243B1 (ko) 2015-07-13

Family

ID=537930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06585A KR101536243B1 (ko) 2014-01-20 2014-01-20 산업용 암타입 환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3624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22788B1 (ko) 2017-03-20 2018-03-14 정지양 아암타입 덕트용 회전 관절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82213A (ko) * 2004-02-18 2005-08-23 지규배 분진제거용 암타입 덕트
KR20080006221U (ko) * 2007-06-11 2008-12-16 조규섭 분진제거용 암후드 덕트.
JP2012177494A (ja) * 2011-02-25 2012-09-13 Toshio Umeoka 移動式食卓廃ガス除去装置および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82213A (ko) * 2004-02-18 2005-08-23 지규배 분진제거용 암타입 덕트
KR20080006221U (ko) * 2007-06-11 2008-12-16 조규섭 분진제거용 암후드 덕트.
JP2012177494A (ja) * 2011-02-25 2012-09-13 Toshio Umeoka 移動式食卓廃ガス除去装置および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22788B1 (ko) 2017-03-20 2018-03-14 정지양 아암타입 덕트용 회전 관절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117780A4 (en) EXTERIOR WALL CLEANING ROBOT
CN107952776B (zh) 烟尘收集装置
KR101536243B1 (ko) 산업용 암타입 환기장치
CN107913888A (zh) 烟尘收集净化装置
KR200443107Y1 (ko) 분진제거용 암후드 덕트.
KR100566858B1 (ko) 분진제거용 암타입 덕트
JPH0659742U (ja) 集塵装置
US9914190B2 (en) Blast gate for vacuum system
KR100676689B1 (ko) 덕트용 흡출식 청소로봇
CN213484960U (zh) 一种智能制造用监控装置
KR101647120B1 (ko) 이동식 집진장치
KR20070035199A (ko) 집진기용 흡입아암부 구조
KR200349665Y1 (ko) 분진제거용 암타입 덕트
KR100315541B1 (ko) 작업장으로부터 발생되는 유해가스를 이송하기 위한 관
JP5184405B2 (ja) 天井用目地装置
KR102202083B1 (ko) 흡입관 익스텐션 아암 구조체
JP5943876B2 (ja) 床用目地装置
KR200402838Y1 (ko) 집진기용 흡입아암부 구조
JP5771171B2 (ja) 前窓用ワイパー装置
KR101822788B1 (ko) 아암타입 덕트용 회전 관절장치
EP3946768A1 (en) An adjustable gaseous fluid extractor assembly comprising a pivot mechanism
CN106670151A (zh) 一种除尘清灰装置
JP5329591B2 (ja) 目地装置
JP3787794B2 (ja) 吹出口とダンパ−装置の一体支持装置
CN207276926U (zh) 一种包缝机的切线机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5

Year of fee payment: 4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