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48016B1 - 안테나 장치 - Google Patents

안테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48016B1
KR102148016B1 KR1020180045799A KR20180045799A KR102148016B1 KR 102148016 B1 KR102148016 B1 KR 102148016B1 KR 1020180045799 A KR1020180045799 A KR 1020180045799A KR 20180045799 A KR20180045799 A KR 20180045799A KR 102148016 B1 KR102148016 B1 KR 1021480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tenna
module
guiding rail
fastening
antenna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457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55770A (ko
Inventor
김덕용
문영찬
박민식
유창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엠더블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엠더블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엠더블유
Publication of KR201800557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557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80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80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H04B17/20Monitoring; Testing of receivers
    • H04B17/21Monitoring; Testing of receivers for calibration; for correcting measur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02Arrangements for de-icing; Arrangements for drying-out ; Arrangements for cooling; Arrangements for preventing corros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01Q1/24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 H01Q1/241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 H01Q1/246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base st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42Housings not intimately mechanically associated with radiating elements, e.g. radom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48Earthing means; Earth screens; Counterpois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50Structural association of antennas with earthing switches, lead-in devices or lightning protec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5/00Devices for reflection, refraction, diffraction or polarisation of waves radiated from an antenna, e.g. quasi-optical devices
    • H01Q15/0006Devices acting selectively as reflecting surface, as diffracting or as refracting device, e.g. frequency filtering or angular spatial filtering devices
    • H01Q15/0053Selective devices used as spatial filter or angular sidelobe filt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9/00Combinations of primary active antenna elements and units with secondary devices, e.g. with quasi-optical devices, for giving the antenna a desired directional characteristic
    • H01Q19/10Combinations of primary active antenna elements and units with secondary devices, e.g. with quasi-optical devices, for giving the antenna a desired directional characteristic using reflecting surfa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21/00Antenna arrays or systems
    • H01Q21/0006Particular feeding system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21/00Antenna arrays or systems
    • H01Q21/06Arrays of individually energised antenna units similarly polarised and spaced apart
    • H01Q21/061Two dimensional planar arrays
    • H01Q21/065Patch antenna arra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21/00Antenna arrays or systems
    • H01Q21/28Combinations of substantially independent non-interacting antenna units or system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21/00Antenna arrays or systems
    • H01Q21/29Combinations of different interacting antenna units for giving a desired directional characteristic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25/00Antennas or antenna systems providing at least two radiating patterns
    • H01Q25/001Crossed polarisation dual antenna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3/00Arrangements for changing or varying the orientation or the shape of the directional pattern of the waves radiated from an antenna or antenna system
    • H01Q3/26Arrangements for changing or varying the orientation or the shape of the directional pattern of the waves radiated from an antenna or antenna system varying the relative phase or relative amplitude of energisation between two or more active radiating elements; varying the distribution of energy across a radiating aperture
    • H01Q3/267Phased-array testing or checking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H04B17/10Monitoring; Testing of transmitters
    • H04B17/11Monitoring; Testing of transmitters for calibr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413MIMO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413MIMO systems
    • H04B7/0452Multi-user MIMO system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3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othe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Transceivers (AREA)
  • Variable-Direction Aerials And Aerial Arrays (AREA)
  • Transmitters (AREA)
  • Details Of Aerials (AREA)
  • Support Of Aerials (AREA)

Abstract

안테나 장치가 제공된다. 안테나 장치는, 안테나 본체; 및 상기 안테나 본체에 탈부착 가능한 전원 공급 모듈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안테나 장치{An antenna device}
본 발명은 안테나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 무선 통신용 안테나 장치에 관한 것이다.
무선 통신 기술, 예를 들어, MIMO(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기술은 다수의 안테나를 사용하여 데이터 전송용량을 획기적으로 늘리는 기술로서, 송신기에서는 각각의 송신 안테나를 통해 서로 다른 데이터를 전송하고, 수신기에서는 적절한 신호처리를 통해 송신 데이터들을 구분해 내는 Spatial multiplexing 기법이다.
따라서 송수신 안테나의 개수를 동시에 증가시킴에 따라 채널 용량이 증가하여 보다 많은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게 한다. 예를 들어 안테나 수를 10개로 증가시키면 현재의 단일 안테나 시스템에 비해 같은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여 약 10배의 채널 용량을 확보하게 된다.
4G LTE-advanced에서는 8개의 안테나까지 사용하고 있으며, 현재 pre-5G 단계에서 64 또는 128개의 안테나를 장착한 제품이 개발되고 있고, 5G에서는 훨씬 더 많은 수의 안테나를 갖는 기지국 장비가 사용될 것으로 예상되며, 이를 Massive MIMO 기술이라고 한다. 현재의 Cell 운영이 2-Dimension인데 반해 Massive MIMO 기술이 도입되면 3D-Beamforming이 가능해지므로 FD-MIMO(Full Dimension)라고도 부른다.
Massive MIMO 기술에서는 ANT의 숫자가 늘어나면서 이에 따른 transmitter와 Filter의 숫자도 함께 증가한다. 그럼에도 설치장소의 리스비용이나 공간적인 제약으로 인해, RF 부품(Antenna/Filter/Power Amplifier/Transceiver etc.)을 작고 가벼우며, 값싸게 만드는 것이 Massive MIMO 기술을 채용한 안테나 장치의 성패를 좌우하게 된다. Massive MIMO는 Coverage 확장을 위해서는 고출력이 필요한데, 이러한 고출력으로 인한 소모전력과 발열량은 무게 및 사이즈를 줄이는 데 부정적인 요인으로 작용한다.
이에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고출력을 실현할 수 있고 방열 특성이 우수한 안테나 장치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제품 사이즈가 감소된 안테나 장치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는 호환성 및 적용성이 우수한 전원 공급 모듈을 포함하는 안테나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는 소형이면서 경량화된 적층구조의 MIMO 안테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는 다수 개의 필터의 조립 시에 발생하는 조립 공차의 누적량을 최소화할 수 있는 조립 방식과 필터의 전기적 특성을 확보하기 위해 필요한 체결력을 균일하게 전달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는 TDD(Time Division Duplex) 방식으로 동작하는 MIMO 안테나에서, 하나의 캘리브레이션 하드웨어 구성으로 TX/RX 캘리브레이션을 수행하며, 운영되는 동안 실시간으로 캘리브레이션을 수행할 수 있는 캘리브레이션 기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안테나 장치는, 안테나 본체; 및 상기 안테나 본체에 탈부착 가능한 전원 공급 모듈을 포함한다.
또한, 안테나 본체는, 본체 하우징; 본체 하우징의 일면에 배치되는 제1 방열핀; 본체 하우징의 일측에 배치되는 제1 전원 연결부; 및 본체 하우징의 일면에 배치되는 제1 모듈 체결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전원 공급 모듈은, 모듈 하우징; 상기 모듈 하우징의 일면에 배치된 제2 방열핀; 상기 모듈 하우징의 타면에 배치되며 상기 제1 전원 연결부에 전기적으로 접속 가능한 제2 전원 연결부; 및 상기 제1 모듈 체결부와 탈부착 가능하게 체결되는 제2 모듈 체결부를 포함한다.
한편, 상기 제1 방열핀은 상기 안테나 본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나란하게 연장하는 판 부재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 방열핀은 상기 전원 공급 모듈이 겹쳐지는 체결 영역 및 상기 전원 공급 모듈이 겹쳐지지 않는 비 체결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방열핀은 상기 비 체결 영역에서 상기 안테나 본체의 두께 방향으로 제1 두께를 가지며 상기 체결 영역에서 상기 안테나 본체의 두께 방향으로 제2 두께를 가지며, 상기 제1 두께는 상기 제2 두께 보다 두껍다.
한편, 상기 제1 방열핀은 상기 본체 하우징과 일체로 형성된다.
한편, 상기 제1 모듈 체결부는 상기 본체 하우징의 일면으로부터 제1 방열핀을 지나도록 상기 안테나 본체의 두께 방향으로 연장된다.
한편, 상기 제1 모듈 체결부는 가이딩 레일 및 상기 가이딩 레일의 일측에 형성된 입출 개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모듈 체결부는 상기 입출 개구를 통해 상기 가이딩 레일 내부로 삽입되도록 구성된 삽입핀을 포함한다.
한편, 상기 안테나 본체는 상기 본체 하우징의 타면에 배치되는 레이돔을 더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른 안테나 장치는, 안테나 본체; 및 상기 안테나 본체에 탈부착 가능한 전원 공급 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안테나 본체는, 본체 하우징; 본체 하우징의 일측에 배치되는 제1 전원 연결부; 및 본체 하우징의 일면에 배치되며, 가이딩 레일 및 상기 가이딩 레일의 일측에 형성된 입출 개구를 포함하되, 가이딩 레일은 상기 가이딩 레일의 일단과 상기 입출 개구 사이에 형성된 모듈 낙하 방지 구간을 포함하는, 제1 모듈 체결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전원 공급 모듈은, 모듈 하우징; 상기 제1 전원 연결부에 전기적으로 접속 가능한 제2 전원 연결부; 및 상기 제1 모듈 체결부와 탈부착 가능하게 체결되는 제2 모듈 체결부로서, 상기 입출 개구를 통해 상기 가이딩 레일 내로 삽입되도록 구성된 삽입핀을 포함하는 제2 모듈 체결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가이딩 레일은 상기 제1 모듈 체결부의 일단 모서리를 따라 연장한다.
한편, 상기 입출 개구는 상기 가이딩 레일의 일부가 개방된 형상이다.
한편, 상기 가이딩 레일은 상기 가이딩 레일의 타단과 상기 입출 개구 사이에 형성된 체결 가이드 구간을 더 포함하되, 상기 낙하 방지 구간의 길이는 상기 체결 가이드 구간의 길이 보다 짧다.
한편, 상기 제1 전원 연결부는 제1 전원 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전원 연결부는 제2 전원 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삽입핀이 상기 가이딩 레일 내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제1 전원 단자 및 상기 제2 전원 단자는 서로 정렬된다.
한편, 상기 안테나 본체는 상기 본체 하우징의 일면에 배치되는 제1 방열핀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모듈 체결부는 상기 본체 하우징의 일면으로부터 제1 방열핀을 지나도록 상기 안테나 본체의 두께 방향으로 연장한다.
한편, 상기 제1 모듈 체결부는 상기 가이딩 레일의 외측에 배치되는 폐쇄 측벽을 더 포함한다.
한편, 상기 입출 개구는 상기 가이딩 레일의 일단으로부터 상기 가이딩 레일의 타단을 향하는 방향에 대하여 상기 제1 모듈 체결부의 일단 모서리의 외측 방향으로 경사각을 갖는 경사면 포함한다.
또한,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안테나 장치에 따르면, 적층 구조의 안테나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MIMO 안테나 시스템이 제공된다. MIMO 안테나 시스템에서, 레이돔과 배면에 히트싱크가 형성된 하우징 사이에 적층 구조의 안테나 어셈블리가 내장된다. 적층 구조의 안테나 어셈블리는 급전 네트워크(Feeding network)가 형성된 제1인쇄회로기판(Printed Circuit Board; PCB); 상기 제1인쇄회로기판의 상기 레이돔에 대향하는 상부 면에 설치되고 상기 급전 네트워크와 연결된 복수의 안테나 소자; 및 상기 제1인쇄회로기판의 하부 면에 배치되고 상기 급전 네트워크와 연결된 복수의 대역통과필터를 포함하는 필터 어셈블리를 포함한다. 또한, 적층 구조의 안테나 어셈블리는 상기 하우징에 대면 배치된 제2인쇄회로기판으로서, 상기 복수의 대역통과필터와 연결된 복수의 송수신회로가 형성된 제2인쇄회로기판을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른 안테나 장치에 따르면, 적층 구조의 MIMO 안테나 어셈블리가 제공된다. 상기 적층 구조의 MIMO 안테나 어셈블리는 급전 네트워크(Feeding network)가 형성된 제1인쇄회로기판(Printed Circuit Board; PCB); 상기 제1인쇄회로기판의 상부 면에 설치되고 상기 급전 네트워크와 연결된 복수의 안테나 소자; 및 상기 제1인쇄회로기판의 하부 면에 배치되고 상기 급전 네트워크와 연결된 복수의 대역통과필터를 포함하는 필터 어셈블리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적층 구조의 MIMO 안테나 어셈블리는 상기 제1인쇄회로기판의 하부에 배치되는 제2인쇄회로기판를 포함한다. 제2인쇄회로기판에는 상기 복수의 대역통과필터와 연결된 복수의 송수신회로, 상기 복수의 송수신회로와 연결되어 기저대역 신호의 디지털 프로세싱을 수행하는 디지털 회로 및 복수의 스위치가 트리 구조로 연결된 캘리브레이션 회로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른 안테나 장치에 따르면, 급전 네트워크(Feeding network) 및 상기 급전 네트워크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복수의 쓰루 홀(through hole)이 형성된 제1인쇄회로기판(Printed Circuit Board; PCB); 상기 제1인쇄회로기판의 상부 면에 설치되고, 상기 급전 네트워크와 연결된 복수의 안테나 소자; 및 상기 제1인쇄회로기판의 하부 면에 밀착체결된 복수의 대역통과필터를 포함하는 MIMO 안테나 어셈블리가 제공된다. 각 대역통과필터는 내부의 중공(cavity)으로부터 연장되어 상부 면으로부터 돌출된 도전성 제1핀을 가진 제1포트를 구비하고, 각 대역통과필터는 상기 제1핀의 돌출된 부분이 상기 제1인쇄회로기판에 형성된 상기 쓰루 홀에 삽입된 채로 상기 제1인쇄회로기판에 밀착 체결된다.
또한,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른 안테나 장치에 따르면, 급전 네트워크(Feeding network) 및 상기 급전 네트워크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복수의 접촉 패드(contact pad)가 형성된 제1인쇄회로기판(Printed Circuit Board; PCB); 상기 제1인쇄회로기판의 상부 면에 설치되고, 상기 급전 네트워크와 연결된 복수의 안테나 소자; 및 상기 제1인쇄회로기판의 하부 면에 밀착체결된 복수의 대역통과필터를 포함하는 MIMO 안테나 어셈블리가 제공된다. 각 대역통과필터는 내부의 중공(cavity)으로부터 연장되어 상부 면으로부터 돌출된 도전성 제1플런저(plunger)를 가진 제1포트를 구비하고, 각 대역통과필터는 상기 제1플런저가 상기 제1인쇄회로기판에 형성된 상기 접촉 패드에 접촉된 채로 상기 제1인쇄회로기판에 밀착 체결된다.
또한,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른 안테나 장치에 따르면, 각 대역통과필터는 내부의 중공(cavity)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부 면으로부터 돌출된 도전성 로드(conductive rod)를 가진 제1포트를 구비하고, 각 대역통과필터는 상기 도전성 로드가 상기 제1인쇄회로기판에 형성된 상기 접촉 패드에 접촉된 채로 상기 제1인쇄회로기판에 밀착 체결된다.
또한,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른 안테나 장치에 따르면, TDD(Time Division Duplex) 통신 프로토콜로 동작하는 MIMO 안테나 장치가 제공된다. MIMO 안테나 장치는 복수의 안테나 소자, 상기 복수의 안테나 소자에 연결된 복수의 대역통과필터, 및 상기 복수의 대역통과필터에 연결된 복수의 송수신회로를 포함한다. 각 송수신회로는 상기 대역통과필터에 연결되는 RF 인터페이스와 상기 RF 인터페이스에 시분할로 연결되는 송신경로 및 수신경로를 포함한다. 상기 MIMO 안테나 시스템은 복수의 스위치들이 트리 구조로 연결된 캘리브레이션 네트워크로서, 상기 트리 구조에서 최상위에 위치한 스위치는 상기 복수의 송신경로 중 특정 송신경로와 상기 복수의 수신경로 중 특정 수신경로에 선택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트리 구조에서 최하위에 위치하는 복수의 스위치들은 각각 상기 복수의 송수신회로의 RF 인터페이스에 커플링된 복수의 방향성 커플러에 연결된, 캘리브레이션 네트워크를 더 포함한다. 상기 MIMO 안테나 시스템에 따르면, 하향링크 시간 구간에서 상기 특정 송신경로는 상기 복수의 수신경로들에 대한 캘리브레이션을 위한 파일럿 신호의 인가를 위해 사용되고, 상향링크 시간 구간에서 상기 특정 수신경로는 상기 복수의 송신경로들에 대한 캘리브레이션을 위한 피드백 경로로 사용된다.
또한,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복수의 안테나, 상기 복수의 안테나에 연결된 복수의 대역통과필터, 상기 복수의 대역통과필터에 연결된 복수의 송수신회로로서, 상기 복수의 안테나를 통해 TDD(Time Division Duplex) 통신 프로토콜로 송신 및 수신하는 복수의 송수신회로, 및 복수의 스위치들이 트리 구조로 연결된 캘리브레이션 네트워크를 포함하는 MIMO 안테나 시스템을 캘리브레이션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방법은 상기 복수의 송수신회로와 상기 대역통과필터 사이의 브랜치(branch)에 커플링된 방향성 커플러, 상기 캘리브레이션 네트워크 및 상기 복수의 송수신회로 중 특정 송수신회로에 포함된 수신경로로 구성되는 제1캘리브레이션 경로를 형성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상기 방법은 상기 제1캘리브레이션 경로를 통해 상기 복수의 대역통과필터로 전송되는 송신신호를 획득하는 과정; 및 각 송신경로에 인가된 송신신호와 상기 제1캘리브레이션 경로를 통해 획득한 송신신호 간의 비교에 기초하여 송신 캘리브레이션을 수행하는 과정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기타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장치의 측전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장치의 측후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장치의 부분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장치의 부분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장치의 부분 절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장치의 체결 상태의 부분 측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장치의 낙하 상태의 부분 측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장치의 낙하 상태의 부분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장치의 부분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장치의 제1 모듈 체결부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장치의 제1 모듈 체결부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12는 예시적인 Massive MIMO 안테나의 적층구조를 도식화한 도면이다.
도 13은 도 12의 적층구조에서 제1레이어 내지 제2레이어를 구현한 예시적인 서브 어셈블리의 분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Massive MIMO 안테나 시스템의 적층구조를 도식화한 도면이다.
도 15는 도 14의 적층구조를 취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Massive MIMO 안테나의 분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소자가 결합된 제1PCB에 필터들이 결합한 서브 어셈블리의 분해도이다.
도 17은 대역통과필터가 RF 커넥터를 통해 PCB에 연결되는 예시적인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캐비티 필터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캐비티 필터가 제1PCB 및 제2PCB에 연결된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캐비티 필터가 제1PCB 및 제2PCB에 연결된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캐비티 필터가 제1PCB 및 제2PCB에 연결된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 어셈블리들과, 푸시 바에 필터가 결합되는 부위를 확대한 확대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 어셈블리들을 제1PCB에 조립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4는 본 발명에 따른 Massive MIMO 안테나 어셈블리의 기능을 도식화한 회로도이다.
도 25a는 RF IC와 RF 소자들 사이에 SPDT 스위치가 존재하지 않는 송수신 모듈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5b는 RF IC와 RF 소자들 사이에 SPDT 스위치가 존재하는 송수신 모듈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6는 TX 캘리브레이션에서 신호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7은 RX 캘리브레이션에서 신호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8은 필터들과 안테나 피더 라인(feeder line)들의 고정된 위상편차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식별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장치의 측전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장치의 측후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장치의 부분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장치(1)는 안테나 본체(20) 및 안테나 본체(20)에 탈부착 가능한 전원 공급 모듈(10)을 포함한다.
도 1 및 도 2는 안테나 본체(20)에 전원 공급 모듈(10)이 장착된 상태를 예시하며, 도 3은 전원 공급 모듈(10)이 안테나 본체(20)로부터 분리 또는 탈착된 상태를 예시한다.
안테나 본체(20)는 전원 공급 모듈(10)로부터 전원을 공급 받을 수 있고, 내장된 무선 송수신 모듈(미도시)를 통해 외부 단말 또는 기지국들과 무선 통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안테나 본체(20)는 MIMO(Multi Input Multi Output) 무선 통신 안테나 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장치의 안테나 본체(20)는 본체 하우징(250), 레이돔(200), 제1 방열핀(220), 제1 전원 연결부(240), 유선 송수신 단자(210) 및 제1 모듈 체결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 하우징(250)은 내장된 송수신 모듈(미도시)을 외부에서 감싸며 지지하는 강성 지지 구조체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어떠한 구조체에서 서로 대향하는 두 면 중 하나의 면은 일면이라고 지칭되며, 그 일면에 마주하는 다른 면은 타면이라고 지칭된다. 또한, 어떠한 구조체에서 상대적으로 넓은 면적을 갖는 면은 대면이라고 지칭되고, 대면을 둘러싸는 대면보다 상대적으로 좁은 면적은 갖는 면은 측면이라고 지칭된다. 또한, 측면 중에서, 상대적으로 긴 측면은 장측면이라고 지칭되고, 상대적으로 짧은 측면은 단측면이라고 지칭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본체 하우징(250)은 서로 대향하는 두 대면 및 다른 측면들을 포함하는 얇은 박스형, 예를 들어, 두 대면 및 네 측면들을 포함하는 직육면체 형상일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체 하우징(250)의 외형은 사용되는 무선 송수신 방식 및 내장 송수신 모듈의 종류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본체 하우징(250)은 적어도 하나의 측면에 형성된 본체 손잡이(252)를 포함하며, 작업자는 본체 손잡이(252)을 파지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장치(1) 또는 안테나 본체(20)를 설치 장소에 설치할 수 있다.
레이돔(200)은 본체 하우징(250)의 일 대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레이돔(200)은 본체 하우징(250)을 덮어 본체 하우징(250) 내부의 수용 공간을 외부의 비, 수분 또는 각종 오염으로부터 보호하는 덮개 부재일 수 있다. 레이돔(200)은 하우징 내부 및 외부로 전파되는 무선 신호가 투과되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고, 예를 들어, 전기 절연성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레이돔(200)이 배치되는 일 면 또는 일 대면은 전면이라고 지칭되고, 전면에 대향하는 타 대면 또는 타 면은 후면이라고 지칭된다.
제1 방열핀(220)은 본체 하우징(250)의 타 대면, 즉, 후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방열핀(220)은 열전도성 부재, 예를 들어, 금속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방열핀(220)은 본체 하우징(250)의 장측면을 따라, 즉, 안테나 본체(20)의 길이 방향(LD)를 따라 나란하게 연장하는 복수의 세장형 판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세장형 판 부재들은 본체 하우징(250)의 폭 방향(WD)으로 서로 이격될 수 있고, 세장형 판 부재 사이의 이격 공간 역시 안테나 본체(20)의 길이 방향(LD)을 따라 나란하게 연장할 수 있다.
제1 방열핀(220)은 분기 라인(223)을 기준으로 안테나 본체(20)의 두께 방향(TD)의 높이가 달라질 수 있다. 즉, 제1 방열핀(220)은 전원 공급 모듈(10)이 겹쳐져 체결되는 체결 영역(R2)과 전원 공급 모듈(10)이 체결되지 않으며 겹쳐지지 않는 비 체결 영역(R1)을 포함할 수 있고, 제1 방열핀(220)의 일단(222)은 비 체결 영역(R1)에서 제1 두께(T1)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제1 방열핀(220)의 타단(224)은, 체결 영역(R2)에서, 비 체결 영역(R1)의 제1 두께(T1) 보다 작은 작은 제2 두께(T2)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1 방열핀(220)은 분기 라인을 기점으로 체결 영역(R2) 내의 단부를 향해 장측면을 따라 높이가 점차 감소될 수 있다.
체결 영역(R2) 내에서 제1 방열핀(220)의 두께 방향(TD) 높이가 감소됨으로써, 전원 공급 모듈(10)의 체결 공간이 확보될 수 있고, 전체 안테나 장치의 두께가 감소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1 방열핀(220)은 본체 하우징(250)의 후면에 형성될 수 있고, 예를 들어, 본체 하우징(250)과 일체로 성형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제1 방열핀(220)은 별도의 부재로서 제작되어 본체 하우징(250)의 후면 상에 열전도성 접착제로 접착되거나, 또는 볼트와 같은 별도 체결 부재로 고정될 수도 있다.
제1 전원 연결부(240)는 본체 하우징(250)의 일 측면, 예를 들어, 일 단측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전원 연결부(240)는 제1 방열핀(220)의 체결 영역 내의 일 단부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제1 전원 연결부(240)는 전원 공급 모듈(10)과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고 전원 공급 모듈(10)로부터 공급된 전원을 본체 하우징(250) 내부의 송수신 모듈들(미도시)로 전달할 수 있다.
유선 송수신 단자(210)는 본체 하우징(250)의 일 측면, 예를 들어, 일 단측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유선 송수신 단자는 외부의 유선 중계기와 유선으로 연결될 수 있고 유선으로 송수신되는 신호를 본체 하우징(250) 내부의 송수신 모듈들(미도시)로 전달할 수 있다.
제1 모듈 체결부(230)는 본체 하우징(250)의 적어도 하나의 측면, 예를 들어, 두 장측면 상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모듈 체결부(230)는 제1 방열핀(220)의 체결 영역 내의 일 단부에서 본체 하우징(250)의 두 장측면과 일 단측면의 경계 모서리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고, 본체 하우징(250)의 후면 또는 장측면으로부터 두께 방향(TD) 하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1 모듈 체결부(230)는 전원 공급 모듈(10)의 제2 모듈 체결부(120)와 탈부착 가능하게 체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모듈 체결부(230)의 구체적인 형상 및 기능은 추후 도 4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상술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장치의 전원 공급 모듈(10)은 모듈 하우징(100), 제2 방열핀(110), 제2 전원 연결부(130) 및 제2 모듈 체결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모듈 하우징(100)은 내장된 전원 공급 모듈(10)(미도시)을 외부에서 감싸며 지지하는 강성 지지 구조체일 수 있다. 전원 공급 모듈(10)(미도시)은 외부 전원으로부터 공급된 전원을 체결될 안테나 본체(20)에서 요구되는 전압 형태로 변환하는 변환기일 수 있다. 모듈 하우징(100)은 두 대면 및 다른 측면들을 포함하는 박스형, 예를 들어, 두 대면 및 네 측면들을 포함하는 직육면체 형상일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체 하우징(250)의 외형은 필요한 전원 공급 용량 또는 안테나 본체(20) 외형 및 사이즈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모듈 하우징(100)은 적어도 하나의 측면에 형성된 모듈 손잡이(102)를 포함하며, 작업자는 모듈 손잡이(102)를 파지하여 전원 공급 모듈(10)을 안테나 본체(20)에 체결하거나 체결 해제 또는 탈착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원 공급 모듈(10)의 체결 상태에서, 모듈 하우징(100)의 일 대면은 제1 방열핀(220)에 인접하게 배치될 것이다. 제1 방열핀(220)의 방열 성능을 저해하지 않는 범위에서, 모듈 하우징(100)의 일 대면은 제1 방열핀(220)에 가능한 인접하게 배치될 것이며, 이로써, 전체 안테나 장치의 크기, 즉, 두께는 감소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제1 방열핀(220)에 인접하는 모듈 하우징(100)의 일 대면은 전면이라고 지칭되고 전면에 대향하는 타 대면 또는 타면은 후면이라고 지칭된다.
제2 방열핀(110)은 모듈 하우징(100)의 타 대면, 즉, 후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방열핀(110)은 열전도성 소재, 예를 들어, 금속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방열핀(110)은 모듈 하우징(100)의 단측면을 따라, 즉, 체결 상태에서, 안테나 본체(20)의 길이 방향(LD)를 따라 나란하게 연장하는 복수의 세장형 판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2 방열핀(110)은 모듈 하우징(100)의 후면에 형성될 수 있고, 예를 들어, 모듈 하우징(100)과 일체로 성형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제2 방열핀(110)은 별도의 부재로서 제작되어 모듈 하우징(100)의 후면 상에 열전도성 접착제로 접착되거나, 또는 볼트와 같은 별도 체결 부재로 고정될 수도 있다.
제2 전원 연결부(130)는 모듈 하우징(100)의 외면, 예를 들어, 전면 또는 일 측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전원 연결부(130)는 모듈 하우징(100)의 일 장측면과 모듈 하우징(100)의 전면의 경계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제2 전원 연결부(130)는 안테나 본체(20)와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고 모듈 하우징(100) 내부의 전원 공급 모듈(10)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안테나 본체(20)의 제1 전원 연결부(240)에 전달할 수 있다.
체결 상태에서, 전원 공급 모듈(10)의 제2 전원 연결부(130)는 안테나 본체(20)의 제1 전원 연결부(240)와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제1 전원 연결부(240) 및 제2 전원 연결부(130)는 각각 고정 개구를 포함할 수 있고, 고정 볼트가 제1 전원 연결부(240) 및 제2 전원 연결부(130)의 고정 개구에 삽입 및 체결됨으로써 전원 공급 모듈(10) 및 안테나 본체(20)는 단단히 고정될 수 있다.
제2 모듈 체결부(120)는 모듈 하우징(100)의 적어도 하나의 일면, 예를 들어, 모듈 본체의 일 측면, 예를 들어, 두 단측면 상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제2 모듈 체결부(120)는 제1 모듈 체결부(230)와 탈부착 가능하게 체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모듈 체결부(120)의 구체적인 형상 및 기능은 추후 도 4 내지 도 도 8을 참조하여 상술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장치는 전기 에너지를 무선 송수신 전파로 변환하는 일종의 에너지 변환 및 소모 장치로서, 에너지 변환 및 소모에 수반하여 상당한 양의 열을 발생시킨다. 만일, 본체 하우징(250) 내부의 무선 송수신 모듈이 과열되는 경우 장치 수명이 상당히 감소될 것이다. 또한, 무선 송수신 모듈의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무선 송수신 모듈의 감도가 달라질 수 있다. 특히, 무선 송수신 모듈의 위치에 따른 온도 편차는 무선 송수신 모듈 별 감도 편차를 발생시킬 수 있다. 이러한 무선 송수신 모듈의 온도에 따른 감도 차이 또는 위치별 감도 편차는 안테나 장치의 송수신 정확도를 저해시킴은 물론 그로 인해 송수신 속도를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전원 공급 모듈(10) 역시, 예를 들어, 전압을 승하강 시키거나, 교류 전압 주파수를 변환하거나, 또는 교류 또는 직류를 서로 변환시키는 전기 에너지 형태 변환 및 소모 부재로서, 에너지 변환 및 소모에 수반하여 상당한 양의 열을 발생시킨다.
전원 공급 모듈(10)에서 발생되는 열이 안테나 본체(20) 내부의 송수신 모듈에 열적 악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에, 전원 공급 모듈(10)은 안테나 본체(20)와 이격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원 공급 모듈(10)을 안테나 본체(20)와 이격 배치하는 가장 쉬운 접근은 전원 공급 모듈(10)과 안테나 본체(20)를 나란히 인접하게 배치하는 것이다. 다만, 이 경우, 전체 장치 사이즈가 증가될 수 있고, 특히, 전원 공급 모듈(10)과 안테나 본체(20) 사이의 체결 부위의 기계적 강도가 취약해 질 우려가 있다.
반면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장치는 전원 공급 모듈(10)의 적어도 일부가 안테나 본체(20)와 겹쳐지도록 배치하면서 양자를 열적으로 실질적으로 분리하는 구조를 채용하였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1 방열핀(220)이 안테나 본체(20)의 본체 하우징(250)과 전원 공급 모듈(10) 사이에 배치되기 때문에, 전원 공급 모듈(10)과 안테나 본체(20)는 공간적 및 열적으로 분리될 수 있다. 또한, 제1 방열핀(220)은 안테나 본체(20)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하기 때문에, 제1 방열핀(220)의 일부를 전원 공급 모듈(10)이 덮고 있다고 하더라도 제1 방열핀(220)의 세장형 판 부재 사이의 이격 공간은 외부로 노출될 수 있고, 외기의 대류가 제1 방열핀(220)의 전 부위에서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제1 방열핀(220)은 안테나 본체(20)의 후면 전체에서 원활히 방열 기능을 수행할 수 있고, 이로써, 본체 하우징(250) 및 그 내부의 송수신 모듈은 균일한 온도를 가질 수 있다.
한편, 전원 공급 모듈(10)이 연결되는 외부 전원 종류 및 형태 및 안테나 본체(20)의 및 공급 전원 형태가 국가별로 또는 관련 통신 시스템 별로 달라 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장치는 탈부착 가능한 별도의 전원 공급 모듈(10)을, 전원 공급원으로서, 포함하기 때문에, 필요에 따라 다른 전원 공급 용량, 외부 전원 커넥터 및 전압 변환 방식을 갖는 전원 공급 모듈(10)이 채용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장치는 장치 호환성 및 적용성이 증대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장치의 부분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장치의 부분 절개 사시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장치의 전원 모듈이 안테나 본체(20)로부터 분리된 상태를 예시하였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장치의 제1 모듈 체결부(230)는 가이딩 레일(232, 234) 및 입출 개구(234)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모듈 체결부(230)는 본체 하우징(250)의 후면 또는 일 장측면으로부터 제1 방열핀(220)을 지나도록 연장될 수 있다.
가이딩 레일(232, 234)은 제1 모듈 체결부(230)의 일단 모서리를 따라 연장할 수 있고, 가이딩 레일(232, 234)은 본체 하우징(25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할 수 있다.
입출 개구(234)는 가이딩 레일(232, 234)의 일측에 형성될 수 있고, 예를 들어, 입출 개구(234)는 가이딩 레일(232, 234)을 형성하는 제1 모듈 체결부(230)의 일단 모서리 일부가 절개 또는 개방된 형상일 수 있다
또한, 가이딩 레일(232, 234)은 가이딩 레일(232, 234)의 일단과 입출 개구(234) 사이에 형성된 낙하 방지 구간(236) 및 가이딩 레일(232, 234)의 타단과 입출 개구(234) 사이에 형성된 체결 가이드 구간(232)을 포함할 수 있다.
낙하 방지 구간(236)은 체결 가이드 구간(232)에 비해 상대적으로 짧은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제2 모듈 체결부(120)는 입출 개구(234)를 통해 가이딩 레일(232, 234) 내부로 삽입되도록 구성된 삽입핀(122)을 포함할 수 있다.
삽입핀(122)은 입출 개구(234)를 통해서만 가이딩 레일(232, 234) 내부로 삽입될 수 있는 구조 및 크기를 가질 수 있고, 이에, 삽입핀(122)은 입출 개구(234)를 통해 가이딩 레일(232, 234) 내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가이딩 레일(232, 234)의 길이 방향 또는 연장 방향을 따라 이동될 수 있다.
제1 전원 연결부(240)는 제1 전원 단자(242)를 포함할 수 있고, 제2 전원 연결부(130)는 제1 전원 단자(242)에 연결되도록 구성된 제2 전원 단자(132)를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제1 전원 단자(242)는 암 단자이고 제2 전원 단자(132)는 수 단자로 구성되어, 제2 전원 단자(132)가 제1 전원 단자(242) 내부로 삽입되는 것으로 예시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제1 전원 단자(242) 및 제2 전원 단자(132)는 전기적인 연결을 구성하는 임의의 단자 구조가 적용될 수 있다.
작업자는, 전원 공급 모듈(10)의 모듈 손잡이(102)를 파지하여 전원 공급 모듈(10)의 삽입핀(122)이 도 4에 도시된 삽입 라인(IL)을 따라 이동하도록 전원 공급 모듈(10)을 이동시킬 수 있다. 전원 공급 모듈(10)의 삽입핀(122)이 안테나 본체(20)의 가이딩 레일(232, 234)에 가이드 되어 일정한 삽입 라인(IL)을 따라 이동되기 때문에, 체결 상태에서, 제1 전원 단자(242) 및 제2 전원 단자(132)는 서로 정렬될 수 있고, 제2 전원 단자(132)가 도 5에 도시된 삽입 라인(IL)을 따라 이동하여 제1 전원 단자(242)에 접속될 수 있다.
즉, 작업자는 육안으로 제1 전원 단자(242) 및 제2 전원 단자(132)의 정렬 상태를 확인할 필요 없이 단지 전원 공급 모듈(10)의 삽입핀(122)을 안테나 본체(20)의 입출 개구(234)에 끼워 가이딩 레일(232, 234)의 삽입 구간을 따라 밀어 넣음으로써 쉽게 제1 전원 단자(242) 및 제2 전원 단자(132)를 접속시킬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장치는 고공에 설치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고소 작업은 작업자의 설치 장소가 제한적이며 작업자가 단자를 육안 식별하여 결합하는 것이 어려울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장치는 작업자의 육안 식별 범위 내에서 전원 공급 모듈(10)을 안테나 본체(20)에 체결 또는 탈착시킬 수 있고, 이로써, 육안 식별 범위 외에 있는 제1 전원 단자(242) 및 제2 전원 단자(132)가 서로 정렬된 상태에서 접속 또는 접속 해제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장치의 체결 상태의 부분 측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장치의 낙하 상태의 부분 측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장치의 낙하 상태의 부분 사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장치는 안테나 본체(20)의 길이 방향이 중력 방향과 평행하게 설치될 수 있다. 이 때, 가이딩 레일의 연장 방향 역시 중력 방향과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작업자는 고정 볼트를 해제한 후 전원 공급 모듈(10)의 모듈 손잡이(102)를 파지하여 전원 공급 모듈(10)을 중력 방향으로 당긴 이후 삽입핀(122)을 입출 개구(234)를 통해 외부로 빼는 방식으로 전원 공급 모듈(10)을 안테나 본체(20)로부터 탈착 시킬 수 있다.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작업자, 특히, 1 인 작업자가 고정 볼트를 해제하는 경우, 또는 작업자가 과도한 힘으로 전원 공급 모듈(10)을 안테나 본체(20)로부터 당기어 빼는 경우에, 전원 공급 모듈(10)이 중력 방향으로 낙하될 우려가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장치의 가이딩 레일(232, 234)의 낙하 방지 구간(236)이 설치 상태에서 중력 방향 하방에 배치되기 때문에, 전원 공급 모듈(10)이 그 무게로 인해 낙하 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삽입핀(122)이 낙하 방지 구간(236)에 있는 상태에서 입출 개구(234)를 통해 가이딩 레일(232, 234) 외부로 빠지기 위해서는 적어도 제1 길이(L1)만큼 들어 상승되어야 하므로, 낙하의 충격으로 전원 공급 모듈(10)이 가이딩 레일(232, 234) 외부로 탈락되는 것도 방지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장치의 부분 사시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장치는 폐쇄형 가이딩 레일(932, 934)을 포함하는 점에서, 개방 슬롯형 가이딩 레일(232, 234)을 포함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장치와 차이가 있다.
이하에서는,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장치와 차이점을 위주로 설명하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 동일한 식별 부호를 사용하여 반복되는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장치의 제1 모듈 체결부(930)는 폐쇄 측벽(938)을 더 포함한다. 폐쇄 측벽(938)은 가이딩 레일(932, 934)의 외측에 배치될 수 있고 외부로부터 가이딩 레일(932, 934)의 내부를 차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가이딩 레일(932, 934)은 본체 하우징(25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즉, 제1 방열핀(220)과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할 수 있다. 가이딩 레일(932, 934)은 가이딩 레일(932, 934)의 일단과 입출 개구(234) 사이에 형성된 낙하 방지 구간(936) 및 가이딩 레일(232, 234)의 타단과 입출 개구(934) 사이에 형성된 체결 가이드 구간(932)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폐쇄 측벽(938)이 형성됨으로써, 장시간의 사용에 걸쳐 외부의 오염물, 예를 들어, 비, 먼지 등이 폐쇄형 가이딩 레일(932, 934) 내부로 침투되는 것이 차단될 수 있다. 이로써, 폐쇄형 가이딩 레일(932, 934) 내부가 오염되거나 녹이 스는 것이 방지될 수 있고, 추후, 전원 공급 모듈(10)의 탈착 작업 시 삽입핀(122)이 가이딩 레일(932, 934) 내부에 걸려 잘 빠지지 않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장치의 제1 모듈 체결부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장치는 비스듬하게 개통되는 입출 개구(1034)를 포함하는 점에서,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장치와 차이가 있다.
이하에서는,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장치 차이점을 위주로 설명하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에 대하여 동일한 식별 부호를 사용하여 반복되는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장치의 입출 개구(1034)는 낙하 방지 구간(1036)이 형성된 가이딩 레일(1032, 1034)의 일단으로부터 가이딩 레일(1032, 1034)의 타단을 향하는 방향에 대하여 제1 모듈 체결부(1030)의 일단 모서리의 외측 방향으로 경사각(θ1)을 갖는 경사면들(1037, 1039)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낙하 방지 구간(1036)이 제3 높이(L3)을 가질 때, 낙하 충격 시 삽입핀(122)은 제4 높이(L4)를 갖는 경사면(1037)을 뛰어 넘어야 하므로 낙하 충격으로 인해 삽입핀(122)이 가이딩 레일(1032, 1034) 밖으로 빠지는 것이 효과적으로 방지될 수 있다. 또한, 경사면(1037)은 삽입핀(122)이 중력 방향으로 미끄러지도록 형성되므로 충격으로 튀어 오른 삽입핀(122)은 경사면에서 미끄러져 가이딩 레일(1032, 1036) 내 낙하 방지 구간(1036)으로 재진입될 것 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장치의 제1 모듈 체결부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장치는 회전식 탈락 방지 부재를 포함하는 점에서, 앞서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장치와 차이가 있다.
이하에서는, 앞서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한 실시예와의 차이점을 위주로 설명하며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에 대하여 동일한 식별 부호를 사용하여 반복되는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장치의 입출 개구(1134)는 낙하 방지 구간(1136)이 형성된 가이딩 레일(1132, 1134)의 일단으로부터 가이딩 레일(1132, 1134)의 타단을 향하는 방향에 대하여 제1 모듈 체결부(1130)의 일단 모서리의 외측 방향으로 경사각을 갖는 경사면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입출 개구(1134)의 일측에는 회전식 탈락 방지 부재(1200)가 설치될 수 있다. 회전식 탈락 방지 부재(1200)은 입출 개구(1134)의 일측에서 회전축(1210)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고, 입출 개구(1134)의 타측의 경사면에 상응하는 첨단부(122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회전식 탈락 방지 부재(1200)는 회전 스프링(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회전 스프링은 회전식 탈락 방지 부재(1200)의 첨단부(1220)가 입출 개구(1134)의 타측 경사면에 인접하도록 탄성력을 작용할 수 있다. 이에, 외력의 작용, 즉, 회전식 탈락 방지 부재를 가이딩 레일(1132) 내부로 밀어 넣는 힘이 없는 한, 가이딩 레일(1132)은 외부로부터 폐쇄될 것이다. 이로써, 삽입핀(122)의 탈락이 방지될 수 있다.
도 11에서는 삽입핀(122)을 가이딩 레일(1132) 내부에서 빼내기 위한 경로가 예시되었다. 먼저, 작업자는 전원 공급 모듈을 중력 방향으로 위에서 아래로 빼낼 수 있고, 이 때, 삽입핀(122)는 A 경로로 이동할 것이다. 이 때, 회전식 탈락 방지 부재(1200)은 B 방향으로 이동된 상태에 머무를 수 있고, 이에 삽입핀(122)이 C 경로로 이동 이후, 충격에 의해 입출 개구(1134) 외부로 탈락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이어, 작업자는 회전식 탈락 방지 부재(1200)를 가이딩 레일 안쪽으로 밀어 넣고 삽입핀(122)을 D 경로를 따라 가이딩 레일 외부로 빼낼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장치의 안테나 본체의 내부 구조 및 구성 요소들에 관하여 설명한다.
1. 적층구조의 Massive MIMO 안테나 어셈블리
도 12는 예시적인 Massive MIMO 안테나의 적층구조를 도식화한 도면이다.
도 12에서 안테나 본체(20)는 Massive MIMO 안테나의 구성으로서 예시되었다. Massive MIMO 안테나인 안테나 본체(20)는 레이돔(radome)(200)과, 외부에 히트 싱크(heat sink), 즉, 방열핀(200)이 형성된 하우징(housing)과, 이들 사이에 배열되는 안테나 어셈블리(antenna assembly)를 포함한다. 안테나 어셈블리는 RF 소자들과 디지털 소자들이 구현된 모듈들이 적층 구조로 결합된 형태로 구성된다. 예시된 안테나 어셈블리의 주요 모듈들은 크게 6개의 레이어(Layer)로 구분될 수 있다.
제1레이어에는 캘리브레이션 네트워크가 구현된 인쇄회로기판(printed circuit board: PCB; 1220)과 그 상단에 설치된 복수의 안테나 소자(1210)가 포함된다. 제2레이어는 복수의 필터들(1230)로 구성되며, 각 필터(1230)는 제1레이어 상의 RF 급전 네트워크의 신호 라인들과 RF 커넥터와 같은 RF 인터페이스를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제3레이어는 파워 증폭기(power amplifier; PA) 등의 아날로그 프로세싱 회로가 구현된 PCB(1240)을 포함한다. 아날로그 프로세싱 회로에 포함된 각 파워 증폭기는 제2레이어 상의 대응되는 필터들(1230)과 RF 인터페이스를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또한, 아날로그 프로세싱 회로는 캘리브레이션 네트워크와 RF 인터페이스를 통해 연결된다.
제4레이어에는 디지털 프로세싱 회로가 구현된 디지털 보드(1250)와 파워 서플라이 유닛(PSU; 1250)이 포함된다. 디지털 보드(1250)는 기지국 BBU(base band unit)로부터 수신되는 디지털 신호를 아날로그 RF 신호로 변환하고 안테나에서 수신되는 아날로그 RF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기지국 BBU에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디지털 보드(1250)는, RF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3레이어 상의 아날로그 프로세싱 회로가 구현된 PCB(1240)과 연결된다.
도 13은 도 12의 적층구조에서 제1레이어 내지 제2레이어를 구현한 예시적인 서브 어셈블리의 분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레이어에 해당하는 복수의 서브 레이어들과 제2레이어에 해당하는 필터 뱅크(filter bank)가 결합하여 안테나 어셈블리의 서브 어셈블리를 이룬다. 제1서브 레이어에는 RF 급전 네트워크(feeding network)가 구현된 PCB와 그 상단에 설치된 복수의 안테나 소자가 포함된다. 제2서브 레이어는 반사판(reflector)을 포함하며, 제3서브 레이어는 캘리브레이션 네트워크가 구현된 PCB을 포함한다. 제1레이어를 구성하는 제1서브 레이어 내지 제3서브 레이어는 다중 레이어 PCB(Multi-layer PCB)로 구현될 수 있다. 특히, 도 12에는 복수의 필터들을 내장된 필터 뱅크(filter bank)가 서브 레이어들과 체결되어 있다. 필터 뱅크는 복수의 필터들의 blind mating connection과 체결력 확보를 위한 구조물로서, 서브 어셈블리의 사이즈를 불가피하게 증가시킨다.
도 12 및 도 13에 예시된 적층구조에서는, 캘리브레이션 네트워크가 안테나와 필터 사이에 위치한다. 캘리브레이션 네트워크는 통상 복수의 스위치로 구성되며, 각 필터의 후단에 커플링된 RF 커플러들과 연결된다. 따라서, 급전 네트워크와 필터들은 RF 커넥터(예컨대, 동축 커넥터(coaxial connector)와 같은 표준화된 RF 인터페이스)를 통해 연결할 수밖에 없다. 또한, 파워 증폭기가 형성된 아날로그 보드와 디지털 보드와 별개의 레이어로 구성되므로, 이들 간의 RF 인터페이스에도 RF 커넥터가 사용된다. 이와 같이, 도 12 및 도 13에 예시된 MIMO 안테나 시스템은 다수의 레이어로 구성되어 있고, 각 레이어들을 RF 커넥터를 통해 서로 연결하는 구조이므로, 무게와 크기를 줄이기 어렵다.
본 발명은 보다 슬림하고 컴팩트한 적층구조의 Massive MIMO 안테나 시스템을 제안한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Massive MIMO 안테나 시스템의 적층구조를 도식화한 도면이다. 도 15는 도 14의 적층구조를 취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Massive MIMO 안테나의 분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소자가 결합된 제1PCB에 필터들이 결합한 서브 어셈블리의 분해도이다.
본 발명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캘리브레이션 기능을, 안테나 소자(1410) 전단이 아닌, 필터(1430)의 전단(즉, 파워 증폭기의 출력단)에서 동작시킨다. 즉, 파워 증폭기 출력단의 신호를 이용하여 캘리브레이션 기능을 수행하되, 각 필터들의 고정된 위상 편차를 오프셋(offset) 값으로 포함시켜 캘리브레이션을 수행한다. 즉, 각 송신경로 간의 편차에 사전에 측정된 복수의 대역통과필터들의 RF 편차를 오프셋 값으로 포함시킨 후 각 송신경로에 대한 캘리브레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각 수신경로 간의 편차에 사전에 측정된 복수의 대역통과필터들의 RF 편차를 오프셋 값으로 포함시킨 후 각 수신경로에 대한 캘리브레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필터로와 안테나 피더 라인으로 인해 발생하는 위상 편차는, 고정된 위상 편차를 갖는 필터들을 생산/사용함으로써, 허용가능한 수준에서 관리할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한다. 캘리브레이션 기능을 파워 증폭기의 출력단에서 동작시킴으로써, 기존의 안테나 소자와 필터 사이에 위치하던 캘리브레이션 네트워크를 파워 증폭기 및 디지털 회로와 함께 하나의 보드에 형성할 수 있게 되며, 급전 네트워크(feeding network)가 형성된 PCB 하부에 필터를 밀착결합시킬 수 있게 된다. 다시 말해, 본 발명은 필터와 안테나 피더 라인으로로 인해 발생하는 위상 편차를 허용가능한 수준에서 관리하되, 안테나 어셈블리를 컴팩트한 사이즈로 줄이는 전략을 취한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적층 구조에서는, 캘리브레이션 네트워크가 파워 증폭기 및 디지털 회로와 함께 하나의 보드(1440)에 형성된다. 따라서, 파워 증폭기, 캘리브레이션 네트워크, 및 디지털 회로 간에 RF 케이블 연결이 필요 없게 된다. 또한, 도 12에 비해, 도 4의 적층구조는 적은 수의 레이어로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MIMO 안테나 어셈블리는 제1PCB(1420)와 제2PCB(1440)를 포함한다. 제1PCB(1420)에는 RF 급전 네트워크가 형성되어 있다. 제1PCB(1420)의 상부 면에는 복수의 안테나 소자(1410)가 체결되어 RF 급전 네트워크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하부 면에는 복수의 대역통과필터(1430)가 밀착 체결되어 RF 급전 네트워크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제1PCB(1420)에는 적어도 하나의 접지면(ground plane)이 형성되어 있으며, 접지면은 복수의 안테나 소자들에 대해 반사판으로서 기능할 수 있다. 즉, 제1PCB(1420)에 형성된 접지면을 반사판으로 활용함으로써, 도 13에 도시된 별도의 반사판이 생략될 수 있다. 제2PCB(1440)에는 기저대역 처리를 수행하는 디지털 프로세싱 회로, 복수의 송신/수신(TX/RX) 회로를 제공하는 아날로그 프로세싱 회로, 및 캘리브레이션 네트워크가 형성되어 있다. 대역통과필터(1430)는 제1PCB(1410)의 신호라인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제2PCB(1440)의 신호라인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하에서는 대역통과필터와 PCB들 간의 체결 구조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사이즈 및 조립성을 개선한 필터와 PCB 간의 새로운 체결 구조를 제안한다. 또한, 복수의 필터의 전기적 특성을 확보하기 위해 필요한 체결력을 균일하게 제공하여, 복수의 필터 조립 시에 발생하는 조립 공차의 누적량을 최소화할 수 있는 체결 구조를 제안한다.
먼저, 도 17을 참조하여, 종래의 체결 구조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17은 대역통과필터가 RF 커넥터(1711, 1712)를 통해 PCB에 연결되는 예시적인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대역통과필터를 PCB에 체결하는 경우, 통상적으로 블라인드 결합 커넥터(blind mating connector) 타입의 RF 커넥터가 사용된다. 도 17에는 상부 면과 하부 면에 각각 RF 커넥터를 구비한 캐비티 필터(cavity filter)가 예시되어 있다. PCB 상에는 캐비티 필터의 하부에 위치한 RF 커넥터(male)에 삽입되는 RF 커넥터(female)가 표면 실장되어 있다. 각 캐비티 필터는 체결 구조물(713)을 통해 개별적으로 PCB에 체결된다.
도 17에 예시된 구조에서는 각 캐비티 필터가 개별적으로 PCB에 체결되므로, 각 캐비티 필터 간의 체결력 차이로 인해 RF 특성에 조립 공차가 발생하게 된다. 또한, 각 캐비티 필터가 RF 커넥터들의 결합체의 길이를 고려한 체결 구조물(713)부재의 길이("A")만큼 PCB으로부터 이격될 수밖에 없어, 불가피하게 사이즈가 증가하게 된다. 특히, 필터의 상/하부 면 모두에 blind mating connection을 적용하기 위해서는 매우 복잡한 하드웨어 구조(예컨대, 도 13에 예시된 필터 뱅크와 같이, 별도의 조립 케이스에 필터가 내장된 구조)가 필요하다.
필터의 PCB 간의 RF 인터페이스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캐비티 필터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캐비티 필터가 제1PCB 및 제2PCB에 연결된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19에서는, 혼동을 피하기 위해, 캐비티 필터의 내부 구조를 생략하였음에 유의한다.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캐비티 필터는 제1입출력 포트(1810) 및 제2입출력 포트(1860)를 포함한다. 제1입출력 포트(1810)는 캐비티 필터의 상부 면(예컨대, 커버)에 배치되며, 제2입출력 포트(1860)는 캐비티 필터의 하부 면에 배치된다. 이들 입출력 포트들(1810, 1860)은 핀 구조물로 구성되어 있으며, 동축 커넥터와 같은 표준화된 RF 인터페이스와는 상이함에 유의하여야 한다.
도 18을 참조하면, 제1입출력 포트(1810)는 캐비티 필터의 상부 면에 형성된 개구부(opening section)에 삽입되는 핀 구조물로 구성된다. 핀 구조물은 전도성 핀(1811) 및 절연 부시(insulating bush; 1812)를 포함한다. 전도성 핀(1811)은 절연 부시(1812)를 관통하여 절연 부시(1812)로부터 돌출되어 있다. 핀 구조물은 개구부에 삽입되어 개구부를 밀폐한다. 전도성 핀(1811)의 일부분은 캐비티 필터의 상부 면으로부터 돌출된다. 또한, 캐비티 필터의 상부 면에는 제1PCB와 볼트에 의해 체결되는 복수의 체결홈(11820a~11820c)이 형성되어 있다.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캐비티 필터는 급전 네트워크(feeding network)가 형성된 제1PCB(1420)의 하부 면에 밀착하여 결합한다. 제1PCB(1420)에는 급전 네트워크와 연결된 복수의 도금 쓰루 홀(plated through hole; 1920)이 형성되어 있다. 캐비티 필터는 전도성 핀(1811)의 일부분이 제1PCB(1420)에 형성된 쓰루 홀(1820)에 삽입된 상태로 제1PCB(1420)의 하부 면과 밀착하여 체결된다. 전도성 핀(1811)과 쓰루 홀(1920)의 접촉 부분에는 솔더링(soldering) 처리가 수행될 수 있다.
한편, 제2PCB(1440)에는 다수의 RF IC 혹은 디지털 IC 등이 실장되므로, 이들 실장된 소자들의 손상을 막기 위해, 캐비티 필터가 일정 정도 이격된 채로 제2PCB(1440)의 상부 면과 결합될 필요가 있다. 다시 도 18을 참조하면, 필터의 하부 면에는 높이 방향으로 돌출된 돌출부(1850)에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다. 전도성 핀(1861)과 부시(862)가 결합된 핀 구조물(1860)은 돌출부(1850)에 형성된 개구부에 삽입되어 개구부를 밀폐한다. 또한, 개구부가 형성된 돌출부(1850)에는 후술하는 제2PCB에 실장된 소켓(socket)을 수용하는 삽입부(1851)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필터의 하부 면에는 제2PCB(1440)에 형성된 구조물과 볼트에 의해 체결되는 체결홈(1840)이 형성되어 있다.
도 19를 참조하면, 캐비티 필터는 RF 회로가 형성된 제2PCB(1440)의 상부 면에 결합한다. 제2PCB(1440)의 상부 면에는 소켓(socket; 1950)이 표면 실장되어(surface mounted) 있다. 소켓(1950)은 캐비티 필터의 제2동축 핀(1861)이 삽입되는 홀(hole)과 홀에 삽입된 전도성 핀(1861)에 전기적으로 접촉하는 적어도 하나의 접촉 핀(1951)을 구비한다. 캐비티 필터의 삽입부(1851)에 소켓(1950)이 수용되면, 소켓(1950)의 홀에 전도성 핀(1861)이 삽입된다. 캐비티 필터와 제2PCB(1440)의 상부 면은 캐비티 필터의 하부 면에 형성된 돌출부(1850)의 높이만큼 이격된다. 돌출부(1850)의 높이는 제2PCB(1440)의 상부 면에 실장되는 소자들의 크기를 고려하여 설계되며, 도 17의 RF 커넥터를 이용한 연결구조에 비해, 캐비티 필터와 제2PCB(1440) 간에 이격 거리가 현저하게 감소한다.
도 2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캐비티 필터가 제1PCB 및 제2PCB에 연결된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20에서는, 혼동을 피하기 위해, 캐비티 필터의 내부 구조를 생략하였음에 유의한다.
도 20을 참조하면, 제1입출력 포트는 캐비티 필터의 상부 면에 형성된 개구부(opening section)에 삽입되는 핀 구조물로 구성된다. 핀 구조물은 스프링 핀 커넥터(spring pin connector)와 절연 부시(2014)를 포함한다. 스프링 핀 커넥터는 절연 부시(2014)를 관통하여 절연 부시(2014)로부터 돌출된 원통의 도전성의 바렐(barrel; 2012), 바렐(2012)에 적어도 일부가 삽입된 도전성의 플런저(plunger; 2011), 및 바렐(2012) 내에 배치되어 플런저(2011)를 지지하는 스프링(2013)을 포함한다. 핀 구조물은 개구부에 삽입되어 개구부를 밀폐한다. 플런저(2011)의 일부분은 캐비티 필터의 상부 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있으며, (예컨대, 제1PCB(1420)에 밀착됨에 따라) 누르는 압력에 의해 원통의 바렐(2012) 내부로 밀려 들어가도록 구성된다.
캐비티 필터는 급전 네트워크(feeding network)가 형성된 제1PCB(1420)의 하부 면에 밀착하여 결합한다. 제1PCB(1420)에는 급전 네트워크와 연결된 복수의 접촉 패드(contact pad; 미도시)가 형성되어 있다. 캐비티 필터는 플런저(2011)의 헤드가 제1PCB(1420)에 형성된 상기 접촉 패드에 접촉된 채로 제1PCB(1420)의 하부 면과 밀착하여 체결된다. 플런저(2011)의 일부분은 캐비티 필터의 상부면이 제1PCB(1420)에 밀착됨에 따라 원통의 바렐(2012) 내부로 밀려 들어간다. 바렐(2012) 내부의 스프링(2013)은 플런저(2011)의 헤드와 접촉 패드 간에 적정한 접촉 압력을 제공한다.
제1입출력 포트와 동일하게, 제2입출력 포트는 캐비티 필터의 상부 면에 형성된 개구부(opening section)에 삽입되는 핀 구조물로 구성된다. 핀 구조물은 스프링 핀 커넥터(spring pin connector)와 절연 부시(2054)를 포함한다. 스프링 핀 커넥터는 절연 부시(2054)를 관통하여 절연 부시(2054)로부터 돌출된 원통의 바렐(barrel; 2052), 바렐(2052)에 적어도 일부가 삽입된 플런저(plunger; 2051), 및 바렐(2052) 내에 배치되어 플런저(2051)를 지지하는 스프링(2053)을 포함한다.
제2PCB(1440)의 상부 면에는 소켓(socket; 2060)이 표면 실장되어(surface mounted) 있다. 소켓(2060)의 상부면에는 송수신회로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접촉 패드(contact pad; 2061)가 형성되어 있다. 캐비티 필터는 제2입출력 포트의 플런저(2051)의 헤드가 제2PCB(1440)에 형성된 접촉 패드(2061)에 접촉된 채로 제2PCB(1440)과 결합된다. 도 20의 예시에서, 캐비티 필터와 제2PCB(1440)의 상부 면은 제2PCB(1440)에 실장된 소켓(2060)의 높이만큼 이격된다. 다른 일부 예시들에서, 도 18 및 도 19의 실시예와 유사하게, 필터의 하부 면에 높이 방향으로 돌출된 돌출부가 형성되고, 돌출부에 형성된 개구부에 스프링 핀 커넥터가 위치할 수 있다. 제2PCB(1440)에 실장된 소켓의 적어도 일부분이 돌출부에 형성된 개구부에 삽입될 수 있다.
도 2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캐비티 필터가 제1PCB 및 제2PCB에 연결된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21에서도, 혼동을 피하기 위해, 캐비티 필터의 내부 구조를 생략하였음에 유의한다.
도 21을 참조하면, 제1입출력 포트는 캐비티 필터의 상부 면에 형성된 개구부(opening section)에 삽입되는 핀 구조물로 구성된다. 핀 구조물은 절연 부시(2113)와, 절연 부시(2113)를 관통하여 절연 부시(2113)로부터 돌출된 도전성 핀(conductive pin; 2111)과, 도전성 핀(2111)의 말단에 수직방향으로 고정된 도전성의 로드(conductive rod; 2112)를 포함한다. 도전성의 로드(2112)는 굴곡되어 말단이 필터의 상부 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다. 캐비티 필터는 급전 네트워크(feeding network)가 형성된 제1PCB(1420)의 하부 면에 밀착하여 결합한다. 도 20의 실시예와 유사하게, 제1PCB(1420)에는 급전 네트워크와 연결된 복수의 접촉 패드(contact pad; 미도시)가 형성되어 있다. 캐비티 필터는 도전성의 로드(2052)의 말단이 제1PCB(1420)에 형성된 상기 접촉 패드에 접촉된 채로 제1PCB(1420)의 하부 면과 밀착하여 체결된다. 도전성의 로드(2112)는 캐비티 필터의 상부면이 제1PCB(1420)에 밀착됨에 따라 필터의 하부 측으로 휘어진다. 도전성의 로드(2112)는 접촉 패드와 적정한 접촉 압력을 제공할 수 있도록 탄성력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입출력 포트와 동일하게, 제2입출력 포트는 캐비티 필터의 상부 면에 형성된 개구부(opening section)에 삽입되는 핀 구조물로 구성된다. 핀 구조물은 개구부에 삽입된 절연 부시(2153)와, 절연 부시(2153)를 관통하여 절연 부시(2153)로부터 돌출된 도전성 핀(conductive pin; 2151)과, 도전성 핀(2151)의 말단에 수직방향으로 고정된 도전성 로드(conductive rod; 2152)를 포함한다. 도전성 로드(2152)는 중간에 굴곡되어 말단이 필터의 하부 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다.
도 20의 실시예와 유사하게, 제2PCB(1440)의 상부 면에는 소켓(socket; 2160)이 표면 실장되어(surface mounted) 있다. 소켓(2160)의 상부면에는 송수신회로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접촉 패드(contact pad; 1161)가 형성되어 있다. 캐비티 필터는 제2입출력 포트의 도전성 로드(2152)의 말단이 제2PCB(1440)에 형성된 접촉 패드(1161)에 접촉된 채로 제2PCB(1440)과 결합된다. 도 20의 예시에서, 캐비티 필터와 제2PCB(1440)의 상부 면은 제2PCB(1440)에 실장된 소켓(2160)의 높이만큼 이격된다. 다른 일부 예시들에서, 도 18 및 도 19의 실시예와 유사하게, 필터의 하부 면에 높이 방향으로 돌출된 돌출부가 형성되고, 돌출부에 형성된 개구부에 핀 구조물이 위치할 수 있다. 제2PCB(1440)에 실장된 소켓의 적어도 일부분이 돌출부에 형성된 개구부에 삽입될 수 있다.
푸시바(push bar)를 이용한 필터 결합
캐비티 필터들은 개별적으로 제1PCB(1420)의 하부 면 및 제2PCB(1440)의 상부 면에 조립될 수 있으나, 각 캐비티 필터 간의 체결력 차이로 인해 RF 특성에 큰 편차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다수 개의 필터의 조립 시에 발생하는 조립 공차의 누적량을 최소화할 수 있는 조립 방식과 필터의 전기적 특성을 확보하기 위해 필요한 체결력을 균일하게 전달할 수 있는 구조를 제안한다.
도 2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 어셈블리들과, 푸시 바에 필터가 결합되는 부위를 확대한 확대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 어셈블리들을 제1PCB에 조립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2에 도시된 것처럼, 필터 어셈블리는 푸시 바(push bar; 12210)와 푸시 바(12210)에 일렬로 조립된 일단의 필터들을 포함한다. 필터에는 푸시 바(12210)를 수용하는 단차부(2250)가 형성된다. 단차부(2250)는 필터의 일측이 직각을 이루며 절단된 형상을 갖는다. 단차부(2250)에는 삽입돌기들(2251a, 2251b)과 볼트가 삽입되는 체결홀(2253)이 형성되어 있다. 이에 대응하여, 푸시 바(12210)에는 각 필터의 삽입돌기들(2251a, 2251b)이 삽입되는 삽입 홈들(미도시)이 형성되어 있으며, 삽입 홈들(미도시) 사이에는 각 캐비티 필터와 볼트에 의해 체결되는 복수의 체결홈(미도시)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푸시 바(12210)에는 제1PCB에 형성된 삽입홀들(미도시)에 삽입되는 2 개 이상의 삽입돌기(2211a, 2211b)가 형성되어 있다. 푸시 바(12210)의 삽입돌기들(2211a, 2211b)이 제1PCB의 삽입홀들(미도시)에 삽입되면, 도 20에 예시된 것처럼, 푸시 바(12210)에 조립된 일단의 필터들의 도전성 핀들이 제1PCB에 형성된 쓰루 홀들에 삽입된다. 도 23에는 4개의 필터 어셈블리가 제1PCB에 조립된 예시적인 형상을 도시되어 있다.
푸시 바(12210)의 양 끝단에는 제2PCB의 구조물과 볼트에 의해 체결되는 복수의 체결홀(2212a, 2212b)이 형성되어 있다. 푸시 바(12210)에 조립된 일단의 필터들의 돌출부에 형성된 삽입구에 제2PCB에 실장된 소켓이 수용되고, 소켓의 홀에 제2동축 핀이 삽입된 상태에서, 푸시 바(12210)는 제2PCB의 구조물과 볼트 결합되며, 푸시 바(12210)에 조립된 일단의 필터들에게 균일한 체결력을 제공할 수 있다. 푸시 바(12210)가 휘어진다면 각 필터에 균일한 하중 혹은 체결력을 전달하기 어렵기 때문에, 푸시 바(12210)는 일정 수준 이상의 강성을 가져야 한다.
이렇게 푸시 바(12210)를 이용하여 필터를 제1레이어에 체결하는 방식은, 각 필터들을 제1PCB에 결합할 때의 공차 누적량을 최소화하고 공차량을 일관성 있게 조절되며, 안테나 및 RF 송수신회로와의 안정적인 Blind mating을 가능케 한다. 또한, 필터 체결 시 RF 특성 획득에 필요한 체결력을 얻기 위해, 필터에 개별적으로 소요되는 장치 및 조립 구조가 요구되지 않는다. 나아가, 안테나 어셈블리의 조립 공정에 미리 조립된 "필터 어셈블리"를 사용한다면, 조립 공정의 단순화에도 기여할 수 있다.
2. 빔포밍 캘리브레이션 ( beamforming calibration)
안테나에서 빔포밍(beamforming)을 제공하기 위해서는 Radio module에서의 각각의 TX 경로와 각각의 RX 경로에서의 진폭과 위상이 일정하게 유지되어야 하나, 실제의 Radio module에는 각각의 TX/RX 경로는 편차를 가지게 된다. 이러한 편차를 보상하는 작업을 Radio module에서의 빔포밍 캘리브레이션(beamforming calibration)이라 부른다.
본 발명은 TDD(Time Division Duplex) 방식으로 동작하는 MIMO 안테나 시스템의 특성을 이용하여, 송신경로 캘리브레이션(TX calibration)과 수신경로 캘리브레이션(RX calibration)에서 동일한 RF 경로를 시간적으로 분할 공유하는 방식을 제안한다.
TX 캘리브레이션에서는, 자기 송신신호를 이용하여 송신경로의 후단에서 캡쳐한 피드백 신호와 송신한 신호와의 상관(correlation) 연산을 기초로, 각 송신경로 간의 RF 특성(위상/진폭/지연 등) 편차를 측정하고, 측정된 편차를 보상하는 TX 캘리브레이션을 수행한다. 또한, 수신경로에 대해서는, 파일럿(Pilot) 신호를 각 수신경로에 삽입시켜, 수신경로의 후단에서 출력되는 신호와 파일럿 신호와의 상관 연산을 기초로 각 수신경로 간의 RF 특성(위상/진폭/지연 등) 편차를 측정하고, 측정된 편차를 보상하는 RX 캘리브레이션을 수행한다. 이러한 캘리브레이션 알고리즘 자체는 본원 출원인이 출원한 한국특허출원 제10-2015-0063177호(공개번호 제10-2016-0132166호)에 개시된 방식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위 한국특허출원의 개시사항이 본 명세서에 참조로서 모두 원용된다.
이하에서는, 도 24, 도 25a 및 도 25b를 참조하여, Massive MIMO 안테나 어셈블리의 예시적인 회로 구성 및 신호 연결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24는 본 발명에 따른 Massive MIMO 안테나 어셈블리의 기능을 도식화한 회로도이다.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PCB에는 기저대역 처리를 수행하는 디지털 프로세싱 회로, 복수의 송수신 모듈로 구분되는 아날로그 프로세싱 회로, 및 캘리브레이션 네트워크가 형성되어 있다. 각 송수신 모듈은 안테나 소자에 연결된 대역통과필터에 RF 인터페이스를 통해 연결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TX/RX 캘리브레이션은 필터 전단에 대해 수행한다. 이러한 방식은, 안테나 전단(즉, 필터 후단)에서 수행되는 구성에 비해, RF 송수신회로 등이 형성된 제1PCB 상의 여유공간을 활용하여 캘리브레이션 H/W(예컨대, 캘리브레이션 네트워크)를 구현할 수 있게 되고, 제1PCB에서의 복잡도와 연결(connection)을 줄여, 공간적인 이득과 재료비의 절감을 가져오게 된다.
도 25a는 RF IC와 RF 소자들 사이에 SPDT 스위치가 존재하지 않는 송수신 모듈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25b는 RF IC와 RF 소자들 사이에 SPDT 스위치가 존재하는 송수신 모듈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5a를 참조하면, 각 송수신 모듈은 대응되는 안테나 소자에 대한 송신경로 및 수신 경로를 제공하는 복수의 RF 소자들과 RF IC를 포함한다.
RF IC는 디지털 프로세싱 회로로부터 수신되는 기저대역(base band)의 디지털 송신신호를 송신 주파수로 상향 변환하는 상향 컨버터(up converter)와, 상향 변환된 디지털 송신신호를 아날로그 RF 송신신호로 변환하는 D/A 컨버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향 컨버터와 D/A 컨버터는 송신경로의 일부를 형성한다. 또한, RF IC는 아날로그 RF 수신신호를 디지털 수신신호로 변환하는 A/D 컨버터와, 디지털 수신신호를 기저대역의 디지털 수신신호로 변환하는 하향 컨버터(down converter)를 포함할 수 있다. A/D 컨버터와 하향 컨버터는 수신경로의 일부를 형성한다. RF 다운 컨버터는 수신되는 수신 신호를 기저대역으로 하향 변환하며, A/D 컨버터는 기저대역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한다. 기저대역의 디지털 신호는 디지털 프로세싱 회로로 전송된다.
각 송신경로는 파워 증폭기(Power Amplifier; PA), 서큘레이터(circulator) 및 방향성 커플러(directional coupler)를 더 포함한다. 각 수신 경로는 저잡음 증폭기(Low Noise Amplifier: LNA)를 더 포함한다. 송신경로와 수신경로의 접속부분에 서큘레이터(circulator)가 설치된다. 필터측으로부터 서큘레이터로 입력되는 수신신호(즉, 업링크 RF 신호)는 서큘레이터를 거쳐 LNA로 전송된다. 또한, 파워 증폭기로부터 서큘레이터로 입력되는 송신신호(다운링크 RF 신호)는 필터 측으로 전송된다. 서큘레이터의 LNA 사이에는 TDD 스위치로 기능하는 SPDT 스위치가 포함된다. SPDT 스위치의 한 쪽 단자는 VSWR(Voltage Standing Wave Ratio) 특성 변화를 최소화하기 위해 종단 저항이 연결되어 있다. 송수신모듈이 송신모드로 동작할 때(즉, 하향링크 시간 구간에서), SPDT 스위치는 서큘레이터를 종단 저항에 연결한다. 송수신모듈이 수신모드로 동작할 때(즉, 상향링크 시간 구간에서), SPDT 스위치는 서큘레이터를 LNA에 연결한다.
도 2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송수신 모듈 중에서, 특정 송수신 모듈의 송신경로(TX0)에는, 나머지 송수신 모듈의 송신경로와 달리, 파워 증폭기 전단에 SPDT 스위치(2510)가 더 포함되어 있다. 유사하게, 특정 송수신 모듈의 수신경로(RX1)에는, 나머지 송수신 모듈의 수신경로와 달리, 저잡음 증폭기(LNA) 후단에 SPDT 스위치(2560)가 더 포함되어 있다.
캘리브레이션 네트워크(이를 '매트릭스 스위치'라 지칭할 수 있다)는 트리 구조를 취하는 복수의 스위치들로 구성된다. 최상위 스위치(SPDT)는 복수의 송신경로 중에서 특정 송신경로에 포함된 SPDT 스위치(2510)와 연결되며, 또한 복수의 수신경로 중에서 특정 수신경로에 포함된 SPDT 스위치(2560)와 연결된다. 최하위 스위치들(SP4T)은 복수의 송신 경로 상의 파워 증폭기 후단에 위치한 방향성 RF 커플러와 연결된 SPDT 스위치에 연결된다. 캘리브레이션 네트워크에 포함된 스위치들의 선택적인 스위칭에 의해, 각 송신경로 및 각 수신경로를 선택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이 제안하는 TDD 방식에서의 TX/RX 캘리브레이션 적용시 신호 흐름을 상세히 설명한다.
TX 캘리브레이션
도 26는 TX 캘리브레이션에서 신호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6에는 송신경로 TX0과 TX1에 대한 TX 캘리브레이션을 수행하는 경우에, 신호흐름이 굵은 선으로 표시되어 있다. 도 26에서, "CAL #0, CAL #1, CAL #2 ... "은 각 송신경로의 파워 증폭기 후단에 커플링된 방향성 커플러에 의해 캡쳐된 송신신호를 지칭한다. 또한, "TX CAL" 역시 상기 캡쳐된 송신신호를 지칭하는 것이나, 송수신회로와 캘리브레이션 네트워크 간의 신호흐름 및 연결관계를 설명하기 위해, 편의상, 캘리브레이션 네트워크의 최상위 스위치에서 출력되는 "캡쳐된 송신신호"를 "TX CAL"로 표기하였다.
RFIC로부터 각 송신경로로 전달된 아날로그 RF 신호(즉, 송신신호)는 파워 증폭기 후단의 방향성 커플러(directional coupler)에 의해 캡쳐된다. 예컨대, 송신경로 TX0로 전달된 아날로그 RF 신호는 방향성 커플러에 의해 캡쳐되고, 캡쳐된 신호(CAL#0)는 캘리브레이션 네트워크의 최하위 스위치로 입력된다. 이때, 수신경로 RX1의 LNA는 OFF 상태이다. 마찬가지로, 송신경로 TX1로 전달된 다운링크 RF신호는 파워 증폭기 후단의 방향성 커플러에 의해 캡쳐되고, 캡쳐된 신호(CAL#1)는 캘리브레이션 네트워크의 최하위 스위치로 입력된다. 캡쳐된 신호(CAL#1)는 캘리브레이션 네트워크의 최상위 스위치를 통해, 특정 수신경로(RX1) 상에 위치한 SPDT 스위치(2560)를 통해 RF IC에 전달된다.
캡쳐된 신호는 RF IC에 구비된, 상기 특정 수신경로(RX1)를 위한 A/D 컨버터 및 하향 컨버터를 거친 후, 대응되는 원래의 송신신호와 상관(correlation) 연산이 적용되어 캘리브레이션에 사용된다. 구체적인 TX 캘리브레이션 알고리즘은 한국특허출원 제10-2015-0063177호(공개번호 제10-2016-0132166호)에 개시된 방식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RX 캘리브레이션
TDD 방식의 경우, 송신경로가 ON일 때(즉, 하향링크 시간 구간에서), 수신경로가 OFF 상태를 유지해야 하므로, 수신경로가 ON 상태에서(즉, 상향링크 시간 구간에서) RX 캘리브레이션을 수행해야 한다.
캘리브레이션을 수행하는 RU(Radio Unit)는 수신신호에 대한 정보가 없기 때문에, 수신 경로들의 지연, 위상, 이득 등의 RF 특성을 파악하기 위한 파일럿(Pilot) 신호를 삽입하는 방식을 사용한다. 파일럿 신호는 RX 대역 내(in-band) 또는 대역 외(out-of-band)에 삽입될 수 있다. 다만 각 수신 경로의 주신호(main signal)가 수신되는 도중에도 실시간으로 정확히 진폭과 위상을 검출하기 위해서는 파일럿 신호를 대역 내에 삽입하는 것이 더 적절하다. 여기서, '대역 내(in-band)'에 삽입된다는 의미는 업링크 RF 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허용된 주파수 대역에서, 업링크 RF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해 실제로 사용하는 대역 이외 부분에 삽입된다는 의미이다.
삽입된 파일럿 신호는 디지털 영역에서 디지털 필터에 의해 제거되므로 수신모뎀 성능에는 영향을 주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Massive MIMO 안테나 시스템의 경우, RX 필터 출력단에 파일럿 신호를 삽입하는데, RX 필터가 파일럿 신호를 제거해 준다면 안테나 소자에 의해 파일럿 신호의 방사가 일어나지 않게 된다. 따라서, On-service 캘리브레이션, 즉 안테나 시스템이 운영되는 동안 실시간으로 캘리브레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도 27은 RX 캘리브레이션에서 신호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7에는 수신경로 RX0과 RX1에 대한 RF 캘리브레이션을 수행하는 경우에, 신호흐름이 굵은 선으로 표시되어 있다. 도 27에서, RX CAL, CAL #0, CAL #1, CAL #2 ... 은 모두 RX 캘리브레이션에 사용되는 파일럿 신호를 지칭하는 것이다. 다만, 송수신회로와 캘리브레이션 네트워크 간의 신호흐름 및 연결관계를 설명하기 위해, 편의상, RFIC로부터 송수신회로로 전달되는 파일럿 신호를 "RX CAL"로 표기하고, 캘리브레이션 네트워크의 최하위 스위치에서 출력되는 파일럿 신호를 "CAL #0, CAL #1, CAL #2 ... "로 표기하였다.
도 27을 참조하면, 각 수신경로의 교정에 사용되는 파일럿 신호("RX CAL")는 RFIC로부터 특정 송신경로(TX0)에 입력된다. 특정 송신경로(TX0)에 입력된 파일럿 신호("RX CAL")는 파워 증폭기 전단에 위치한 SPDT 스위치(1360)를 통해 캘리브레이션 네트워크의 최상위 스위치로 전달된다. 캘리브레이션 네트워크에 포함된 스위치들에 의해 파일럿 신호가 삽입될 수신경로가 선택된다. 파일럿 신호는, 선택된 수신경로 상에 위치한 방향성 커플러에 의해, 수신신호가 전달되고 있는 수신경로에 삽입되고, 최종적으로 선택된 수신경로에 대응되는 RFIC로 전달된다. 예컨대, 수신경로 RX0의 경우, 파일럿 신호("CAL #0")는 수신신호와 함께 서큘레이터, SPDT 스위치 및 LNA를 거쳐 RF IC에 전달된다. 또한, 수신경로 RX1의 경우, 파일럿 신호("CAL #1")는 수신신호와 함께 서큘레이터, SPDT 스위치 및 LNA를 거쳐 RF IC에 전달된다.
수신신호와 함께 파일럿 신호는 각 RF IC에 구비된 해당 수신 경로를 위한 A/D 컨버터 및 하향 컨버터를 거친 후, 디지털 필터를 통해 수신신호로부터 분리된다. 분리된 파일럿 신호는 특정 송신경로(TX0)에 입력된 파일럿 신호("RX CAL")와 상관(Correlation) 연산이 적용되어 캘리브레이션에 사용된다. 구체적인 RX 캘리브레이션 알고리즘은 한국특허출원 제10-2015-0063177호(공개번호 제10-2016-0132166호)에 개시된 방식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이 제안하는 캘리브레이션 방법은 TDD(Time Division Duplex) 안테나에서 운영되는 동안 실시간으로 캘리브레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하나의 캘리브레이션 H/W구성으로 TX/RX 캘리브레이션을 수행하며, 안테나 시스템이 운영되는 동안 실시간으로 캘리브레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송신신호 및 수신신호를 위한 상향 컨버터나 하향 컨버터 외에, TX 캘리브레이션과 RX 캘리브레이션 수행을 위한 별도의 상향 컨버터나 하향 컨버터가 필요하지 않게 된다. 즉, 특정 수신경로의 수신신호를 위한 하향 컨버터가 캡쳐된 송신신호의 하향 변환에 사용되며, 특정 송신경로의 송신신호를 위한 상향 컨버터가 각 수신경로에 삽입될 파일럿 신호의 상향 변환에 사용된다.
도 28은 필터들과 안테나 피더 라인(feeder line)들의 고정된 위상편차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전술한 실시예들에서, 캘리브레이션 기능이, 안테나 소자의 전단이 아닌, 필터의 전단(즉, 파워 증폭기의 출력단)에 적용되었다. 즉, 필터의 전단에서 자기 송신신호가 캡쳐되고, 필터의 전단에 파일럿 신호가 삽입되었다. 따라서, 도 28에 표시된 것과 같이, 각 필터들과 안테나 피더 라인(feeder line)들의 고정된 RF 편차(특히, 위상 편차)는 실시간 편차 측정에서 제외될 수밖에 없다. 이에,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각 필터들과 안테나 피더 라인들의 고정된 RF 편차를 보상하기 위해, 사전에 측정된 이들 고정된 RF 편차를 실시간으로 측정되는 각 송신경로 및 각 수신경로의 편차에 오프셋(offset) 값으로 포함시켜 캘리브레이션을 수행한다. 즉, 사전에 측정된 복수의 대역통과필터들과 안테나 피더 라인(feeder line)들의 RF 편차를 각 송신경로 간의 편차에 오프셋 값으로 포함시킨 후 각 송신경로에 대한 캘리브레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사전에 측정된 복수의 대역통과필터들과 안테나 피더 라인들의 RF 편차를 각 수신경로 간의 편차에 오프셋 값으로 포함시킨 후 각 수신경로에 대한 캘리브레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필터와 안테나 피더 라인으로 인해 발생하는 위상 편차는, 고정된 위상 편차를 갖는 필터들을 생산/사용함으로써, 허용가능한 수준에서 관리할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한다.
덧붙여, 비록 도 24 내지 도 27에서는 이상의 실시예들에서는 캘리브레이션이 필터 전단에 적용되는 것을 가정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제안하는 캘리브레이션 방법은 안테나 전단에 적용되는 구조 즉, 캘리브레이션 네트워크의 최하위 스위치들이 안테나 전단에 커플링되는 구조에도 적용가능하다.
이상의 설명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들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실시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안테나 장치 10: 전원 공급 모듈
20: 안테나 본체 100: 모듈 하우징
110: 제2 방열핀 120: 제2 모듈 체결부
200: 레이돔 210: 유선 송수신 단자
220: 제1 방열핀 230: 제1 모듈 체결부

Claims (9)

  1. 안테나 본체; 및
    상기 안테나 본체에 탈부착 가능한 전원 공급 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안테나 본체는,
    본체 하우징;
    본체 하우징의 일면에 배치되는 제1 방열핀;
    본체 하우징의 일측에 배치되는 제1 전원 연결부; 및
    본체 하우징의 일면에 배치되는며, 가이딩 레일 및 상기 가이딩 레일의 일측에 형성된 입출 개구를 포함하되, 가이딩 레일은 상기 가이딩 레일의 일단과 상기 입출 개구 사이에 형성된 모듈 낙하 방지 구간을 포함하는, 제1 모듈 체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원 공급 모듈은,
    모듈 하우징;
    상기 모듈 하우징의 일면에 배치된 제2 방열핀;
    상기 모듈 하우징의 타면에 배치되며 상기 제1 전원 연결부에 전기적으로 접속 가능한 제2 전원 연결부; 및
    상기 제1 모듈 체결부와 탈부착 가능하게 체결되는 제2 모듈 체결부로서, 상기 입출 개구를 통해 상기 가이딩 레일 내로 삽입되도록 구성된 삽입핀을 포함하는 제2 모듈 체결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1 방열핀은 상기 안테나 본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나란하게 연장하는 복수의 판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전원 공급 모듈이 상기 안테나 본체에 체결된 상태에서, 상기 제1 방열핀은 상기 안테나 본체의 길이 방향 일측에서 상기 전원 공급 모듈이 겹쳐지는 체결영역을 가지며 및 상기 안테나 본체의 길이 방향 타측에서 상기 전원 공급 모듈이 겹쳐지지 않는 비 체결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체결 영역의 제1 방열핀 상에 상기 전원 공급 모듈이 위치되고,
    상기 제1 방열핀은 상기 비 체결 영역에서 상기 안테나 본체의 두께 방향으로 제1 두께를 가지며 상기 체결 영역에서 상기 안테나 본체의 두께 방향으로 제2 두께를 가지며, 상기 제1 두께는 상기 제2 두께 보다 두껍고,
    상기 전원 공급 모듈이 상기 안테나 본체에 체결된 상태에서, 상기 삽입핀은 상기 입출 개구와 상기 가이딩 레일의 타측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가이딩 레일은 상기 안테나 본체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하고,
    상기 제1 전원 연결부는 제1 전원 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전원 연결부는 제2 전원 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삽입핀이 상기 가이딩 레일 내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제1 전원 단자 및 상기 제2 전원 단자는 서로 접속 가능하도록 정렬되는,
    안테나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방열핀은 상기 본체 하우징과 일체로 형성되는,
    안테나 장치.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모듈 체결부는 상기 본체 하우징의 일면으로부터 제1 방열핀을 지나도록 상기 안테나 본체의 두께 방향으로 연장하는,
    안테나 장치.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 본체는 상기 본체 하우징의 타면에 배치되는 레이돔을 더 포함하는,
    안테나 장치.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딩 레일은 상기 제1 모듈 체결부의 일단 모서리를 따라 연장하는,
    안테나 장치.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입출 개구는 상기 가이딩 레일의 일부가 개방된 형상인,
    안테나 장치.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딩 레일은 상기 가이딩 레일의 타단과 상기 입출 개구 사이에 형성된 체결 가이드 구간을 더 포함하되, 상기 낙하 방지 구간의 길이는 상기 체결 가이드 구간의 길이 보다 짧은,
    안테나 장치.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모듈 체결부는 상기 가이딩 레일의 외측에 배치되는 폐쇄 측벽을 더 포함하는,
    안테나 장치.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입출 개구는 상기 가이딩 레일의 일단으로부터 상기 가이딩 레일의 타단을 향하는 방향에 대하여 상기 제1 모듈 체결부의 일단 모서리의 외측 방향으로 경사각을 갖는 경사면 포함하는,
    안테나 장치.
KR1020180045799A 2016-11-16 2018-04-19 안테나 장치 KR10214801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60152609 2016-11-16
KR1020160152609 2016-11-16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28558 Division 2016-11-16 2017-03-0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5770A KR20180055770A (ko) 2018-05-25
KR102148016B1 true KR102148016B1 (ko) 2020-08-25

Family

ID=62187183

Famil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28434A KR101855139B1 (ko) 2016-11-16 2017-03-06 Mimo 안테나에서의 캘리브레이션
KR1020170028442A KR101854309B1 (ko) 2016-11-16 2017-03-06 Mimo 안테나 어셈블리
KR1020170028430A KR101855133B1 (ko) 2016-11-16 2017-03-06 적층구조의 mimo 안테나 어셈블리
KR1020180045799A KR102148016B1 (ko) 2016-11-16 2018-04-19 안테나 장치
KR1020180046914A KR20180055772A (ko) 2016-11-16 2018-04-23 Mimo 안테나 어셈블리

Family Applications Before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28434A KR101855139B1 (ko) 2016-11-16 2017-03-06 Mimo 안테나에서의 캘리브레이션
KR1020170028442A KR101854309B1 (ko) 2016-11-16 2017-03-06 Mimo 안테나 어셈블리
KR1020170028430A KR101855133B1 (ko) 2016-11-16 2017-03-06 적층구조의 mimo 안테나 어셈블리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6914A KR20180055772A (ko) 2016-11-16 2018-04-23 Mimo 안테나 어셈블리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2) US11088731B2 (ko)
EP (2) EP3883140A1 (ko)
JP (1) JP6793256B2 (ko)
KR (5) KR101855139B1 (ko)
CN (2) CN109952715B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70169A (ko) * 2020-11-20 2022-05-30 주식회사 케이엠더블유 안테나용 rf 모듈, rf 모듈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안테나 장치
WO2023101514A1 (ko) * 2021-12-03 2023-06-08 주식회사 케이엠더블유 안테나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521017B (zh) * 2018-05-28 2024-03-15 广东通宇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大规模mimo天线的馈电网络
KR102528197B1 (ko) 2018-05-31 2023-05-04 주식회사 케이엠더블유 안테나 장치의 방열 기구
WO2019240488A1 (ko) * 2018-06-12 2019-12-19 주식회사 케이엠더블유 캐비티 필터 및 이에 포함되는 커넥팅 구조체
WO2019240491A1 (ko) * 2018-06-12 2019-12-19 주식회사 케이엠더블유 캐비티 필터 및 이에 포함되는 커넥팅 구조체
CN112771718B (zh) * 2018-06-12 2022-10-21 株式会社Kmw 空腔滤波器及包括于其的连接器
EP4293816A3 (en) * 2018-06-12 2024-03-20 KMW Inc. Connecting structure and cavity filter comprising the same
WO2019240486A1 (ko) * 2018-06-12 2019-12-19 주식회사 케이엠더블유 캐비티 필터 및 이에 포함되는 커넥팅 구조체
KR102241459B1 (ko) * 2018-06-12 2021-04-19 주식회사 케이엠더블유 캐비티 필터 및 이에 포함되는 커넥팅 구조체
KR101974785B1 (ko) 2018-07-10 2019-05-02 주식회사 기가레인 결합 높이가 감소된 기판 메이팅 커넥터
KR102013690B1 (ko) 2018-11-23 2019-08-23 주식회사 기가레인 하우징 일체형 기판 메이팅 커넥터 및 이의 제작 방법
EP3956940A1 (en) * 2019-04-15 2022-02-23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Integrated antenna and filter unit (iafu) for 5th generation advanced antenna system (aas) systems
CN110323565A (zh) * 2019-04-30 2019-10-11 深圳市大富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基站天线以及用于基站的有源天线单元
CN210272681U (zh) * 2019-04-30 2020-04-07 深圳市大富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于基站的有源天线单元及天线单元
CN210272671U (zh) * 2019-04-30 2020-04-07 深圳市大富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于基站的有源天线单元及天线单元
CN110323563A (zh) * 2019-04-30 2019-10-11 深圳市大富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于基站的有源天线单元及天线单元
CN110323567A (zh) * 2019-04-30 2019-10-11 深圳市大富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于基站的有源天线单元及天线单元
CN110323529A (zh) * 2019-04-30 2019-10-11 深圳市大富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于基站的有源天线单元及天线单元
CN110323534A (zh) * 2019-04-30 2019-10-11 深圳市大富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于基站的有源天线单元及天线单元
CN110544813A (zh) * 2019-04-30 2019-12-06 深圳市大富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于基站的有源天线单元及天线单元
KR20200127782A (ko) * 2019-05-03 2020-11-11 삼성전자주식회사 Rf 구성요소들을 위한 연결 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102290036B1 (ko) * 2019-05-15 2021-08-18 주식회사 케이엠더블유 안테나 장치
WO2020231148A1 (ko) 2019-05-15 2020-11-19 주식회사 케이엠더블유 안테나 장치
WO2020262871A1 (ko) * 2019-06-28 2020-12-30 주식회사 케이엠더블유 안테나 장치
KR102285259B1 (ko) * 2019-06-28 2021-08-03 주식회사 케이엠더블유 안테나 장치
CN112201941A (zh) * 2019-07-08 2021-01-08 深圳市大富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有源天线单元
CN112201920A (zh) * 2019-07-08 2021-01-08 深圳市大富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挂架及有源天线单元
CN210015957U (zh) * 2019-07-08 2020-02-04 深圳市大富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有源天线单元
CN112201943A (zh) * 2019-07-08 2021-01-08 深圳市大富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有源天线单元、壳体及外壳
JP7296519B2 (ja) * 2019-07-17 2023-06-22 ケーエムダブリュ・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多重入出力アンテナ装置
KR102206660B1 (ko) * 2019-07-17 2021-01-22 주식회사 케이엠더블유 다중 입출력 안테나 장치
CN112242612A (zh) * 2019-07-19 2021-01-19 康普技术有限责任公司 贴片天线
WO2021038965A1 (ja) * 2019-08-27 2021-03-04 株式会社村田製作所 アンテナモジュールおよびそれを搭載した通信装置
JP7416915B2 (ja) * 2019-08-30 2024-01-17 華為技術有限公司 アンテナ較正装置およびアンテナ較正方法
KR102476598B1 (ko) * 2019-09-03 2022-12-12 삼성전자주식회사 안테나 모듈을 위한 커플러의 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US11258419B2 (en) * 2019-09-26 2022-02-22 Corning Incorporated Glass-ceramic microwave filters
CN110691461A (zh) * 2019-10-08 2020-01-14 摩比科技(深圳)有限公司 5g天线一体化网络装置
EP4049341A4 (en) * 2019-10-23 2024-04-03 Commscope Technologies Llc INTEGRATED ACTIVE ANTENNAS SUITABLE FOR MASSIVE MIMO OPERATION
KR102185094B1 (ko) * 2019-11-01 2020-12-01 에이트론(주) 위성방송 수신용 저잡음 변환기 및 이를 포함하는 안테나 장치
CN110911837A (zh) * 2019-11-29 2020-03-24 京信通信技术(广州)有限公司 集成滤波器的天线
US20230035473A1 (en) * 2019-12-26 2023-02-02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Antenna unit, antenna module and base station having the same
JP2021145288A (ja) * 2020-03-13 2021-09-24 株式会社村田製作所 高周波モジュールおよび通信装置
MX2022011745A (es) 2020-03-24 2022-10-13 Commscope Technologies Llc Elementos radiantes con pies de alimentacion en angulo y antenas de estacion base que incluyen las mismas.
DE202021003761U1 (de) 2020-03-24 2022-03-25 Commscope Technologies Llc Basisstationsantennen mit einem aktiven Antennenmodul und zugehörige Vorrichtungen
US11611143B2 (en) 2020-03-24 2023-03-21 Commscope Technologies Llc Base station antenna with high performance active antenna system (AAS) integrated therein
JP2021158556A (ja) * 2020-03-27 2021-10-07 株式会社村田製作所 高周波モジュールおよび通信装置
JP2021158554A (ja) * 2020-03-27 2021-10-07 株式会社村田製作所 高周波モジュールおよび通信装置
KR20210121410A (ko) * 2020-03-30 2021-10-08 삼성전자주식회사 메탈 플레이트 및 안테나 필터 유닛을 포함하는 안테나 유닛
JP7492606B2 (ja) * 2020-04-29 2024-05-29 ケーエムダブリュ・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フィルタ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111613868A (zh) * 2020-05-25 2020-09-01 瑞声精密制造科技(常州)有限公司 天线模组
US11522279B1 (en) * 2020-06-05 2022-12-06 Xilinx, Inc. Radome with integrated antenna array and antenna assembly having the same
KR20220012761A (ko) * 2020-07-23 2022-02-04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안테나 필터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102613544B1 (ko) * 2020-08-28 2023-12-14 주식회사 케이엠더블유 안테나용 알에프 필터 조립체
CN116325343A (zh) * 2020-08-28 2023-06-23 株式会社Kmw 天线用射频滤波器组装体
CN116325344A (zh) * 2020-08-28 2023-06-23 株式会社Kmw 天线用射频滤波器组装体
EP4222814A4 (en) * 2020-09-29 2024-06-05 Ericsson Telefon Ab L M BASE STATION
EP4231444A1 (en) * 2020-10-16 2023-08-23 KMW Inc. Antenna rf module, rf module assembly, and antenna device including same
KR102553124B1 (ko) * 2020-10-27 2023-07-11 주식회사 케이엠더블유 안테나용 rf 모듈, rf 모듈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안테나 장치
WO2022092728A1 (ko) * 2020-10-27 2022-05-05 주식회사 케이엠더블유 안테나용 rf 모듈, rf 모듈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안테나 장치
WO2022108378A1 (ko) * 2020-11-20 2022-05-27 주식회사 케이엠더블유 안테나용 rf 모듈, rf 모듈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안테나 장치
JP1701284S (ko) * 2020-12-03 2021-12-06
JP1708678S (ja) * 2020-12-04 2022-03-01 アンテナ
JP1708677S (ja) * 2020-12-04 2022-03-01 アンテナ
JP1708627S (ja) * 2020-12-04 2022-03-01 アンテナ
JP1701285S (ko) * 2020-12-04 2021-12-06
JP1701286S (ko) * 2020-12-04 2021-12-06
JP1708628S (ja) * 2020-12-04 2022-03-01 アンテナ
JP1708679S (ja) * 2020-12-04 2022-03-01 アンテナ
JP1708629S (ja) * 2020-12-08 2022-03-01 アンテナ
WO2022146101A1 (ko) * 2020-12-31 2022-07-07 주식회사 케이엠더블유 안테나용 rf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안테나 장치
KR20220137487A (ko) * 2021-04-02 2022-10-12 삼성전자주식회사 안테나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CN113381782B (zh) * 2021-05-07 2023-06-27 清华大学 一种射频前端模组、制备天线和滤波器的方法及装置
IT202100014927A1 (it) * 2021-06-08 2022-12-08 Commscope Technologies Llc Sistemi e metodi per la generazione di dati di calibrazione in moduli antenna attiva aventi all'interno schiere di filtri lato antenna
CN113540759B (zh) * 2021-06-21 2022-06-07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天线模组、射频装置和基站
KR20230050949A (ko) * 2021-10-08 2023-04-17 삼성전자주식회사 안테나 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WO2023147696A1 (en) * 2022-02-07 2023-08-10 Commscope Technologies Llc Active antenna units for base station antennas
IT202200008183A1 (it) * 2022-04-26 2023-10-26 Commscope Italy S R L Mb Filtri a radiofrequenza su schede di alimentazione
KR102590419B1 (ko) * 2022-08-30 2023-10-17 주식회사 담스테크 액정 기반의 위상 배열 안테나
KR20240049054A (ko) * 2022-10-07 2024-04-16 삼성전자주식회사 탄성 부재를 이용한 연결 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44581A (ja) 2007-03-26 2008-10-09 Mitsubishi Electric Corp アンテナ装置

Family Cites Families (5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8322473D0 (en) * 1983-08-20 1983-09-21 Int Computers Ltd Printed circuit boards
DE3784711T2 (de) * 1986-12-24 1993-09-30 Whitaker Corp Gefilterte elektrische vorrichtung und verfahren, um diese herzustellen.
US5202699A (en) * 1991-05-30 1993-04-13 Confier Corporation Integrated MMDS antenna and down converter
JPH08236198A (ja) * 1995-03-01 1996-09-13 Dai Ichi Denshi Kogyo Kk 電気コネクタ
JP3428928B2 (ja) * 1999-07-22 2003-07-22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帯域内群遅延一定型誘電体フィルタとそれを用いた歪み補償型増幅器
US6329949B1 (en) * 2000-03-09 2001-12-11 Avaya Technology Corp. Transceiver stacked assembly
SE0102930D0 (sv) * 2001-09-04 2001-09-04 Ericsson Telefon Ab L M Antenna system and net drift verification
US20040061644A1 (en) * 2002-09-11 2004-04-01 Lockheed Martin Corporation CCE calibration with an array of calibration probes interleaved with the array antenna
US7050765B2 (en) * 2003-01-08 2006-05-23 Xytrans, Inc. Highly integrated microwave outdoor unit (ODU)
JP2005277594A (ja) * 2004-03-23 2005-10-06 Fujitsu Ltd 誘電体フィルタ装置
KR20060007590A (ko) * 2004-07-20 2006-01-26 주식회사 팬택 이동 통신 단말기의 내장형 안테나
JP2006174333A (ja) 2004-12-20 2006-06-29 Fujitsu Ltd アレーアンテナ送信装置
TWI243513B (en) * 2004-12-22 2005-11-11 Trans Electric Co Ltd Indoor UHF antenna device for a digital TV
KR100705504B1 (ko) 2005-12-09 2007-04-0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화 시스템에서 기지국 스마트 안테나무선 송신 장치의 캘리브레이션 장치 및 방법
KR100864807B1 (ko) 2005-12-26 2008-10-23 삼성전자주식회사 스마트 안테나 시스템의 신호 보정 장치
KR20080081753A (ko) 2007-03-06 2008-09-1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기지국 제어 중심의 멀티홉 릴레이 망에서 트랜스페어런트rs간 핸드오버 절차
JP5051385B2 (ja) * 2008-05-16 2012-10-17 日本電気株式会社 アレーアンテナを用いた無線通信装置、その校正方法、及び無線通信基地局システム
CN101308955B (zh) * 2008-05-22 2012-08-29 杭州中科微电子有限公司 一种射频一体化gps有源天线
US8045926B2 (en) * 2008-10-15 2011-10-25 Nokia Siemens Networks Oy Multi-transceiver architecture for advanced Tx antenna monitoring and calibration in MIMO and smart antenna communication systems
TW201021288A (en) * 2008-11-27 2010-06-01 Kuang Sheng Yun Ltd Interference-free antenna module and WiFi network system using the interference-free antenna module
US20100203922A1 (en) 2009-02-10 2010-08-12 Knecht Thomas A Time Division Duplex Front End Module
EP2408121B1 (en) * 2009-03-13 2015-10-28 Huawei Technologies Co., Ltd. Radio frequency unit and integrated antenna
US8140007B2 (en) * 2009-04-01 2012-03-20 Ubidyne, Inc. Radio system and method for relaying radio signals with a power calibration of transmit radio signals
FI20096251A0 (sv) 2009-11-27 2009-11-27 Pulse Finland Oy MIMO-antenn
CN102509852A (zh) * 2011-09-28 2012-06-20 华为技术有限公司 天线装置
WO2013163093A1 (en) * 2012-04-24 2013-10-31 Zte (Usa) Inc. Flexible unified architecture for point-to-point digital microwave radios
KR101868869B1 (ko) * 2012-08-07 2018-06-19 주식회사 케이엠더블유 이동통신 시스템의 소형 기지국
US10003388B2 (en) 2012-09-04 2018-06-19 Ntt Docomo,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internal relative transceiver calibration
GB2510390B (en) * 2013-02-01 2015-11-11 Cambridge Comm Systems Ltd Component structure of a wireless node
US20140242914A1 (en) * 2013-02-22 2014-08-28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calibrating multiple antenna arrays
US8982931B2 (en) * 2013-03-15 2015-03-17 Raytheon Company RF puck
KR20150012565A (ko) * 2013-07-25 2015-02-04 주식회사 케이엠더블유 기지국 안테나 장치
KR101494446B1 (ko) * 2013-11-11 2015-02-23 주식회사 이너트론 단일 포트 피딩 구조를 갖는 멀티플렉서
JP5880529B2 (ja) 2013-11-29 2016-03-09 株式会社村田製作所 弾性表面波フィルタ
KR102127781B1 (ko) 2013-11-29 2020-06-3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박막 트랜지스터 어레이 기판 및 그 제조 방법
EP2889957A1 (en) * 2013-12-30 2015-07-01 Clemens Rheinfelder Active antenna system with distributed transceiver system
US9541641B2 (en) * 2014-01-08 2017-01-10 Stolar, Inc. Method of electronically mapping underground utility infrastructures from the surface
WO2015106802A1 (en) * 2014-01-15 2015-07-23 Nokia Solutions And Networks Oy Antenna calibration in communications
JP2015211056A (ja) * 2014-04-24 2015-11-24 日本電気株式会社 電子機器
CN104078022B (zh) 2014-07-17 2016-03-09 深圳市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具有自我补偿功能的栅极驱动电路
BR112017001417B1 (pt) 2014-07-23 2023-11-07 Children's Hospital & Research Center At Oakland Variantes da proteína de ligação ao fator h (fhbp), composição imunogênica e uso de uma fhbp variante referência cruzada
JP6345071B2 (ja) 2014-10-06 2018-06-20 三菱重工機械システム株式会社 糊付装置及びこれを有する製函機
KR102376170B1 (ko) * 2014-11-04 2022-03-21 주식회사 케이엠더블유 안테나 장치
CN106571518A (zh) * 2015-10-09 2017-04-19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基站
CN205159485U (zh) * 2015-12-03 2016-04-13 朱云青 滤波器的组装机构
CN205319291U (zh) * 2015-12-18 2016-06-15 深圳市顶一精密五金有限公司 一种采用金属非金属混合桁架结构的短波天线
WO2017107134A1 (zh) * 2015-12-24 2017-06-29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滤波器及无线网络设备
US10114067B2 (en) * 2016-02-04 2018-10-30 Advantest Corporation Integrated waveguide structure and socket structure for millimeter waveband testing
CN205509001U (zh) * 2016-02-05 2016-08-24 广州市赛奥自动化技术有限公司 一种应用于卫星接收机的天线装置
WO2017167987A1 (en) * 2016-04-01 2017-10-05 Sony Corporation Microwave antenna apparatus, packing and manufacturing method
CN105703044B (zh) * 2016-04-18 2017-02-22 丹凤常兴科技实业有限公司 一种自动调谐合路器
US10056701B2 (en) * 2016-04-29 2018-08-21 Laird Technologies, Inc. Multiband WiFi directional antenna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44581A (ja) 2007-03-26 2008-10-09 Mitsubishi Electric Corp アンテナ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70169A (ko) * 2020-11-20 2022-05-30 주식회사 케이엠더블유 안테나용 rf 모듈, rf 모듈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안테나 장치
KR102519967B1 (ko) * 2020-11-20 2023-04-12 주식회사 케이엠더블유 안테나용 rf 모듈, rf 모듈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안테나 장치
WO2023101514A1 (ko) * 2021-12-03 2023-06-08 주식회사 케이엠더블유 안테나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544204A2 (en) 2019-09-25
CN113872707B (zh) 2024-05-03
CN113872707A (zh) 2021-12-31
US20190268046A1 (en) 2019-08-29
KR20180055770A (ko) 2018-05-25
KR20180055772A (ko) 2018-05-25
JP6793256B2 (ja) 2020-12-02
EP3544204A4 (en) 2020-10-28
US11088731B2 (en) 2021-08-10
KR101855133B1 (ko) 2018-05-08
EP3883140A1 (en) 2021-09-22
US11831364B2 (en) 2023-11-28
CN109952715B (zh) 2021-09-28
KR101854309B1 (ko) 2018-05-03
JP2019536362A (ja) 2019-12-12
US20210336659A1 (en) 2021-10-28
US11736156B2 (en) 2023-08-22
CN109952715A (zh) 2019-06-28
KR101855139B1 (ko) 2018-05-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48016B1 (ko) 안테나 장치
US11101551B2 (en) Antenna device
KR102233029B1 (ko) 안테나 장치
KR102290036B1 (ko) 안테나 장치
WO2018093176A2 (ko) 적층구조의 mimo 안테나 어셈블리
EP3809522B1 (en) Connecting structure and cavity filter comprising the same
EP2408121B1 (en) Radio frequency unit and integrated antenna
EP3809518A1 (en) Cavity filter and connecting structure included therein
US20210098852A1 (en) Cavity filter and connecting structure included therein
US7920389B2 (en) Board hardware device and radio frequency blind-mate connection device
US11482803B2 (en) Cavity filter and connecting structure included therein
EP3809521A1 (en) Cavity filter and connecting structure included therein
US20220140869A1 (en) Multi-input and multi-output antenna apparatus
CN116349089A (zh) 天线装置
US10003119B2 (en) Base station interface device of distributed antenna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