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47494B1 - 롤 스크린용 원단/시트/필름 검단장치 - Google Patents

롤 스크린용 원단/시트/필름 검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47494B1
KR102147494B1 KR1020200022027A KR20200022027A KR102147494B1 KR 102147494 B1 KR102147494 B1 KR 102147494B1 KR 1020200022027 A KR1020200022027 A KR 1020200022027A KR 20200022027 A KR20200022027 A KR 20200022027A KR 102147494 B1 KR102147494 B1 KR 1021474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bric
sheet
film
unit
ro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220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류준상
Original Assignee
류준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류준상 filed Critical 류준상
Priority to KR10202000220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749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74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74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 G01N21/89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in moving material, e.g. running paper or textiles
    • G01N21/8901Optical details; Scanning detail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HMARKING, INSPECTING, SEAMING OR SEVERING TEXTILE MATERIALS
    • D06H3/00Inspecting textile materia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 G01N21/89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in moving material, e.g. running paper or textiles
    • G01N21/892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in moving material, e.g. running paper or textiles characterised by the flaw, defect or object feature examined
    • G01N21/898Irregularities in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textiles, woo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36Texti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Investigat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롤 스크린용 원단/시트/필름 검단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롤 스크린용 원단/시트/필름 검단장치는 검사하고자 하는 원단/시트/필름을 롤 형태 임시 보관할 수 있도록 한 임시 적재부(110)와, 상기 임시 적재부(110)의 일측에 위치되며 상기 임시 적재부(110)에 적재된 원단/시트/필름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한 공급부(120)와, 상기 공급부(120)에서 공급되는 원단/시트/필름의 불량여부를 검사할 수 있도록 한 검사부(130), 및 상기 검사부(130)에서 검사를 마친 원단/시트/필름을 권취할 수 있도록 한 권취부(140)를 포함하는 롤 스크린용 원단/시트/필름 검단장치 제공된다.

Description

롤 스크린용 원단/시트/필름 검단장치{fabric/sheet/film inspection machine for roll screen}
본 발명은 롤 스크린용 원단 검단장치에 관한 것으로, 원단/시트/필름 등의 불량여부를 신속히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원단/시트/필름의 손상 없이 안전하게 이송시킬 수 있도록 한 롤 스크린용 원단 검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원단/시트/필름 검사공정은 생산된 원단/시트/필름의 불량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로서, 섬유 및 봉제 산업이나 필름 또는 시트 산업에서 매우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는 공정이다. 특히 최근 기능성, 산업자재용 섬유 등 고부가가치 원단에 대한 시장 수요가 커지면서 원단 제작 이후부터 완제품 제작 공정에 투입되기 이전 구간에서 불량 원단을 선별하거나 원단에서 불량 부분을 표시하는 원단 검사 공정의 중요성은 더욱 커지고 있다.
이러한 검사공정은 재단 과정에서 해당 불량 부분을 제외하고 생산공정에 투입함으로써 완제품에서의 불량을 미연에 방지하는 것을 1차적인 목적으로 한다. 만약 생산공정 투입 이전에 불량을 선별해내지 못하는 경우 바이어, 생산자 모두에게 큰 경제적 손실을 끼치게 된다.
통상적으로 불량 원단/시트/필름으로 인한 제품의 가치 하락은 정상 제품 대비 55~60% 정도로 파악되고 있으며, 여기에 운송비, 소비자 보상 등의 비용, 브랜드 가치의 하락, 고객 경험 등 비금전적 손해까지 고려한다면, 섬유ㆍ봉제ㆍ시트 산업에서 원단/시트/필름 검사가 차지하는 비중은 클 수밖에 없다.
따라서, 현재 원단/시트/필름의 일부를 샘플링 한 후 검단장치(1)를 이용, 육안으로 불량을 검출하고 있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통상 상술한 검단장치(1)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검사하고자 하는 원단/시트/필름 등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한 공급부(2)와, 상기 공급부(2)에서 공급되는 원단/시트/필름 등의 불량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 검사부(3)와, 상기 검사부(3)에서 검사를 마친 원단/시트/필름을 롤 형태로 권취할 수 있도록 한 권취부(4)로 이루어져 있다.
그러나, 상술한 종래의 검단장치(1)는 원단/시트/필름 등을 공급하기 위해 작업자가 롤 형태로 이루어진 원단/시트/필름를 일일이 공급부(2)에 고정 및 거치시키는 방법으로 교환해야 하기 때문에 교체에 따른 시간이 소요되고 생산성 및 생산효율이 낮아지는 단점이 있었으며, 교체 작업시 원단/시트/필름 등이 손상되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검사부(3)를 통과한 원단/시트/필름을 권취 시에도 안정적으로 원단/시트/필름 등을 권취할 수 없어 불량 검사를 마친 원단/시트/필름이 권취 시 표면에 손상이 발생할 수 있는 등 안정적으로 권취할 수 없어 원단/시트/필름 등이 손상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본 출원인은 상술한 바와 같이 제반되는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도록 한 롤 스크린용 원단/시트/필름 검단장치를 강구하게 되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원단/시트/필름 등의 불량 검사 시 신속하고 불량유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원단/시트/필름 등을 안정적으로 검사부로 공급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검사를 마친 원단/시트/필름의 권취 시 손상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검단 공정 시 발생할 수 있는 불량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 롤 스크린용 원단/시트/필름 검단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롤 스크린용 원단/시트/필름 검단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롤 스크린용 원단/시트/필름 검단장치는 검사하고자 하는 원단/시트/필름을 롤 형태 임시 보관할 수 있도록 한 임시 적재부와, 상기 임시적재부의 일측에 위치되며 상기 임시 적재부에 적재된 원단/시트/필름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한 공급부와, 상기 공급부에서 공급되는 원단/시트/필름의 불량여부를 검사할 수 있도록 한 검사부, 및 상기 검사부에서 검사를 마친 원단/시트/필름을 권취할 수 있도록 한 권취부를 포함하는 롤 스크린용 원단/시트/필름 검단장치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롤 스크린용 원단/시트/필름 검단장치는 임시 적재부를 구비하여 검사하고자 하는 원단/시트/필름을 롤 형태로 임시 적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검사부로 공급되는 원단/시트/필름의 교체 등이 쉽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안정적으로 교체가 이루어져 검사제품이 손상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또한, 검사 후 권취 시에도 원단/시트/필름을 복수 개의 롤러를 이용하여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원단/시트/필름 등이 손상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검단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검단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검단장치에 사용된 임시 적재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사용된 임시 적재부의 구속 유닛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사용된 공급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사용된 검사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사용된 권취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도 7의 슬라이더가 상방향으로 상승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은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롤 스크린용 원단/시트/필름 검단장치는 원단/시트/필름 등을 신속하게 불량여부를 판단할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검사 시에 발생할 수 있는 원단/시트/필름 등이 손상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검단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롤 스크린용 원단/시트/필름 검단장치는 검사하고자 하는 원단/시트/필름을 롤 형태 임시 보관할 수 있도록 한 임시 적재부(110)와, 상기 임시 적재부(110)의 일측에 위치되며 상기 임시 적재부(110)에 적재된 원단/시트/필름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한 공급부(120)와, 상기 공급부(120)에서 공급되는 원단/시트/필름의 불량여부를 검사할 수 있도록 한 검사부(130), 및 상기 검사부(130)에서 검사를 마친 원단/시트/필름을 권취할 수 있도록 한 권취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검단장치에 사용된 임시 적재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고하면, 임시 적재부(110)는 지면으로부터 수직하게 위치되는 복수 개의 수직부재(111)와, 상기 수직부재(111)와 수직부재(111)를 연결하며 상부에 롤 형태로 권취된 원단/시트/필름(이하 '원단')을 지지할 수 있도록 한 복수개의 수평부재(112)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수직부재(111)는 검사하고자 하는 원단이 지면으로부터 소정 높이 이상 이격되게 위치될 수 있게 일단이 지면과 접촉되게 위치되며, 상기 수평부재(112)는 상기 복수개의 수직부재(111)를 수평방향으로 연결하여 상기 수직부재(111)가 기립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수평부재(112)의 상측에는 롤 형태로 권취된 원단 즉, 검사하고자 하는 원단이 안착될 수 있게 형성된다. 상기 수평부재(112)는 수직부재(111)의 측면 양측에 수평하게 위치되어 검사하고자 하는 원단을 권취한 거치봉(B)의 양단을 지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수평부재(112)의 상측에는 레일(113)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레일(113) 위에 원단을 권취한 거치봉(B)의 양 끝단이 안착될 수 있도록 하여 상기 레일(113)을 따라 원단이 원활하게 이동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임시적재부(110)는 레일(113)을 따라 이동되는 원단의 이동을 제한할 수 있도록 한 구속 유닛(114)을 구비할 수 있다.
도 4를 참고하면, 상기 구속 유닛(114)은 임시 적재부(110)의 측면 양측에 위치되는 수직부재(111)와 수직부재(111)를 연결하며 양단이 상기 수직부재(111)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봉(114a)과, 상기 회전봉(114a)의 양단에 일단이 고정결합되고 나머지 다른 단에 손잡이가 마련된 가압부재(114b)와, 상기 임시 적재부(110)의 수평부재(112)에 고정결합되며 상하부가 개방되게 형성된 가이드부재(114c)와, 일단이 상기 가이드부재(114c)를 상하방향으로 관통하도록 위치되고 나머지 다른 단이 상기 가압부재(114b)와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하방향으로 승하강되는 것으로 상기 가이드부재(114c)를 관통한 일단이 레일(113)을 따라 이동되는 원단 즉, 가이드봉(B)의 이동을 제한할 수 있도록 한 구속부재(114d)와, 일단이 상기 수평부재와 결합되고 나머지 다른 단이 상기 가압부재(114b)에 결합되어 상기 가압부재(114b)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114e) 및 일단이 수평부재(112)에 결합되어 상기 가압부재(114b)의 회동을 제한하는 것으로, 상기 가압부재(114b)의 상방향 회전을 제한하는 제1회전 제한턱(114f-1)과 상기 가압부재의 하방향 회전을 제한하는 제2회전 제한턱(114f-2)을 구비한 회전제한부재(114f)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속부재(114d)가 상기 가이드부재(114c)를 관통하도록 위치된 상태에서 가압부재(114b)는 탄성부재(114e)의 탄성력에 의해 가압부재(114b)의 손잡이가 위치된 일단이 상방향으로 향한 상태이다. 이때 구속부재(114d) 역시 가이드부재(114c)를 관통하여 상방향으로 위치되어 원단을 거치하고 있는 거치봉(B)과 접촉하여 원단의 이동을 제한하고, 임시 적재부(110)에서 후술하는 공급부(120)로 원단을 이동시키고자 할 경우에는 손잡이를 하방향으로 가압하여 원단의 이동을 구속하고 있는 구속부재(114d)가 하방향으로 향하도록 함으로써 구속부재(114d)가 거치봉(B)과 이격되도록 하여 원단을 공급부(120)로 이송시킬 수 있다. 이때, 회전 제한부재(114f)는 상기 가압부재(114b)의 상하방향 회전을 제한하여 일정범위 내에서만 회전하게 된다.
공급부(120)는 상기 임시적재부(110)의 일측에 설치된다.
상기 공급부(12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임시적재부(110)에 임시 적재된 롤 형태의 원단을 공급받아 거치봉(B)에서 원단을 권출하여 후술하는 검사부(130)로 이송시킬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임시 적재부(110)에 고정결합된 고정 플레이트(121)와, 상기 고정 플레이트(121)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거치봉(B)에 롤 형태로 권취된 원단의 하부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한 쌍의 지지롤러(122)와, 상기 지지롤러(122)에 안착된 롤 형태의 원단이 권출 시 상기 지지롤러(122)에서 이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상기 지지롤러(122)의 상부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이탈방지롤러(123)와, 일측이 상기 거치봉(B)과 선택적으로 접촉되어 회전을 제한함으로써 상기 거치봉(B)에서 원단이 권출되는 속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 브레이크유닛(124)을 포함할 수 있다.
즉, 검사하고자 하는 원단이 권취된 거치봉(B) 및 원단을 상기 지지롤러(122)의 상측에 안착시킨 후 원단의 일단을 검사부(130)로 향하도록 한 상태에서 원단을 잡아당기게 되면 지지롤러(122)의 회전에 의해 거치봉(B) 및 원단이 회전되면서 권출되게 하며, 이때 원단의 권출 시 지지롤러(122)에서 거치봉(B) 및 원단이 이탈되는 것을 이탈방지롤러(123)가 방지하게 된다.
또한, 거치봉(B)의 회전을 제한하여 원단이 권취되는 속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 브레이크 유닛은(124) 상기 임시 적재부(110)에 고정 설치되는 엑츄에이터(124a)와, 일단이 상기 고정 플레이트(121)에 고정 설치되고 나머지 다른 단이 상기 엑츄에이터(124a)의 로드와 고정결합되는 유연한 재질의 벨트(124b)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상기 엑츄에이터(124a)의 구동에 따라 로드가 신장 또는 축소되면서 로드의 말단에 결합된 벨트(124b)가 원단을 권취하고 있는 거치봉(B)과 접촉되면서 회전을 제한하여 검사부(130)로 향하는 원단의 공급속도 및 풀림을 등을 조절하여 공급되는 원단이 항상 팽팽한 상태로 검사부(130)로 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도 6을 참고하면, 검사부(130)는 상기 공급부(120)에서 이송되는 원단을 공급받아 불량 여부를 판별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몸체(131)와, 상기 몸체(131)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공급부(120)에서 이송되는 원단을 안내할 수 있도록 한 복수개의 가이드롤러(132)와, 상기 가이드롤러(132)에 의해 안내되어 이송된 원단이 통과되는 것으로 소정의 면적을 갖는 판형상의 투광판(133)과, 상기 투광판(133)의 상측에 위치되며 상기 투광판(133)으로 빛을 조사할 수 있도록 한 조명유닛(134)과, 상기 투광판(133)으로 이송되는 원단에 에어를 분사하여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도록 한 에어 분사 유닛(135)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복수 개의 가이드롤러(132)는 몸체(131)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공급부(120)에서 이송되는 원단이 안정적으로 이송될 수 있게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으며, 투광판(133)은 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복수 개의 가이드롤러(132)를 통해 이송된 원단의 불량 여부를 작업자가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게 빛을 조사할 수 있게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투광판(133)은 투명한 아크릴 재질로 형성되며 하부에 복수개의 형광등이 설치되어 전원의 공급에 따라 빛을 발산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판 형상으로 형성된 상기 투광판(133)의 상측으로 원단이 이송되면 상기 형광등에서 발산되는 빛을 통해 원단 저면에 빛을 조사하여 불량여부를 확인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조명유닛(134)은 상기 투광판(133)의 상측에 위치되는 것으로 상기 투광판(133)에 위치되는 원단에 빛을 조사하여 불량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몸체(131)의 상측에 고정 설치되는 것으로, 복수개의 형광등이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에어 분사 유닛(135)은 상기 조명 유닛(134)이 설치된 몸체(131)의 상측에 설치되며 상기 투광판(133)으로 향하는 원단에 에어를 분사하여 원단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하도록 함으로써, 작업자가 불량유무를 보다 손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는 상기 조명 유닛(134)이 설치된 몸체(131)의 상부 일측에 상기 조명 유닛(134)과 간섭이 일어나지 않도록 에어 분사 유닛(135)을 설치하여 에어를 분사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에어 분사 유닛(135)은 형상이 가변될 수 있는 관 형태로 이루어져 작업자가 원하는 위치에 에어를 분사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검사부(130)는 복수개의 가이드롤러(132)에 의해 원단이 투광판(133)의 상측으로 이동되면 투광판(133)의 하부에 형성된 형광등에서 발산되는 빛과 조명 유닛(134)의 형광등에서 발산되는 빛을 이용하여 작업자가 원단의 불량여부를 신속하게 확인할 수 있으며, 또한, 투광판(133)으로의 이동 시 에어 분사 유닛(135)이 원단을 향하여 에어를 분사하여 원단에 흡착된 이물질 등을 제거할 수 있어 불량여부를 쉽고 간편하게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검사부(130)에서 검사를 마친 원단은 권취부(140)로 향하게 된다.
상기 권취부(140)는 검사를 마친 원단을 권취하여 롤 형태로 만들 수 있도록 한 것으로, 베이스(141)와, 상기 베이스(141)에 브라켓(143)을 통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권취롤러(142)와, 상기 한 쌍의 권취롤러(142)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한 권취모터(144)와, 상기 권취롤러(142)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고 있는 브라켓(143)을 관통하도록 결합되어 회전에 따라 상기 권취롤러(142)와 권취롤러(142)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한 조절 스크류(144) 및 상기 한 쌍의 권취롤러(142) 일측 상부에 위치되며 상하방향으로 승하강되게 설치되는 것으로 원단이 권취되는 거치봉(B)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는 회전지지부재(145)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141)는 후술하는 구성요소들을 지지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상부에 상기 한 쌍의 권취롤러(142)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때 상기 한 쌍의 권취롤러(142)는 평행하게 위치되되, 상호 이격되게 설치되는 것으로 각각 브라켓(142)을 통해 상기 베이스(141)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된다.
즉, 상기 베이스(141)의 상부에는 소정의 길이를 갖도록 슬라이드공(141a)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슬라이드공(141a)에 베이스(141)의 하부가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예컨데, 브라켓(143)의 하부는 상기 슬라이딩공(141a)에 삽입되게 위치되고 상부에는 상기 권취롤러(142)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하여 상기 권취롤러(142)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동시에 상기 브라켓(143)이 슬라이딩될 수 있도록 하여 권취롤러(142)가 이동될 수 있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141)의 일측에는 상기 권취롤러(142)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한 권취모터(144)가 설치된다, 상기 권취모터(144)는 권취롤러(142)와 연결되어 전원의 공급에 따라 상기 권취롤러(142)를 회전시킨다.
조절스크류(144)는 상기 베이스(141)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브라켓(143)을 관통하도록 나사결합되어 회전에 따라 평행하게 위치된 상기 브라켓(143)과 브라켓(143)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여기서, 상기 베이스(141)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브라켓(143)은 하부에는 상기 조절스크류(144)가 나사결합될 수 있게 나사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부에는 상기 권취롤러(142)의 회전축이 삽입될 수 있도록 한 결합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나사공에 관통되도록 나사결합되는 조절 스크류(144)는 길이방향 중앙을 기점으로 일단은 왼나사가 형성되고 나머지 다른 단은 오른나사가 형성되어 상기 왼나사와 오른나사에 각각 브라켓이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회전 시 상기 브라켓(143)이 상호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도록 한다.
또한, 상기 권취모터(144)에 의해 회전되는 상기 권취롤러(142)의 일측 상부에는 검사를 마친 원단이 권취될 수 있도록 한 거치봉(B)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회전지지부재(145)가 설치된다.
상기 회전지지부재(145)는 상하방향으로 승하강될 수 있게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베이스(141)의 상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며 수직하게 승하강공(146a)이 형성된 수직 플레이트(146)와, 상기 승하강공(146a)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며 일측에 거치봉(B)을 회전 지지할 수 있도록 한 회전 브라켓(147a)이 마련되는 것으로 상기 승하강공(146a)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승하강되는 슬라이더(147)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권취부(140)는 상기 한 쌍의 권취롤러(142) 상측에 마련되는 회전지지부재(145)에 거치봉(B)의 일단을 회전 가능하게 결합한 상태에서 거치봉(B)에 검사를 마친 원단이 권취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회전지지부재(145)에 일단이 권취된거치봉(B)은 자중에 의해 상기 한 쌍의 권취롤러(142) 상측에 접촉되도록 위치되고 권취모터(144)의 구동 시 회전되는 권취롤러(142)에 의해 회전되면서 원단이 거치봉(B)에 권취되게 된다.
또한, 거치봉(B)에 원단의 권취시 원단이 거치봉(B)에 권취됨에 따라 거치봉(B)의 직경이 가변되면서 슬라이더(147)가 상측으로 점차 이동되면서 권취되게 한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롤 스크린용 원단/시트/필름 검단장치는 임시 적재부(110)에 검사하고자 하는 원단을 임시 적재할 수 있어 쉽고 간편하게 검사를 진행할 수 있으며, 임시 적재부(110)에 원단을 적재하여 보관할 수 있어 원단이 손상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검사 시에는 투광판(133)의 상부와 하부에서 조명을 발산할 수 있어 신속하고 정확하게 불량여부를 판별할 수 있으며, 검사를 마친 원단을 권취시에는 권취롤러(142)를 이용하여 원단의 손상 없이 안정적으로 거치봉에 권취할 수 있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10 : 임시 적재부 111 : 수직부재
112 : 수평부재 113 : 레일
114 : 구속 유닛 114a : 회전봉
114b : 가압부재 114c : 가이드부재
114d : 구속부재 114e : 탄성부재
120 : 공급부 121 : 고정 플레이트
122 : 지지롤러 123 : 이탈방지롤러
124 : 브레이크 유닛 124a : 엑츄에이터
124b : 벨트 130 : 검사부
131 : 몸체 132 : 가이드롤러
133 : 투광판 134 : 조명 유닛
135 : 에어 분사 유닛 140 : 권취부
141 : 베이스 141a : 슬라이드공
142 : 권취롤러 143 : 브라켓
144 : 조절 스크류 145 : 회전지지부재
146 : 수직 플레이트 146a : 승하강공
147 : 슬라이더 147a : 회전 브라켓
B : 거치봉

Claims (9)

  1. 검사하고자 하는 원단/시트/필름을 롤 형태로 임시 보관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롤 형태로 권취된 원단/시트/필름의 이동을 제한할 수 있는 구속 유닛(114)이 마련된 임시 적재부(110)와,
    상기 임시 적재부(110)의 일측에 위치되며 상기 임시 적재부(110)에 적재된 원단/시트/필름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한 공급부(120)와,
    상기 공급부(120)에서 공급되는 원단/시트/필름의 불량여부를 검사할 수 있도록 한 검사부(130), 및
    상기 검사부(130)에서 검사를 마친 원단/시트/필름을 권취할 수 있도록 한 권취부(140)를 포함하되,
    상기 구속 유닛(114)은
    측면 양측에 위치되는 수직부재(111)와 수직부재(111)를 연결하며 양단이 상기 수직부재(111)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봉(114a)과,
    상기 회전봉(114a)의 양단에 일단이 고정결합되고 나머지 다른 단에 손잡이가 마련된 가압부재(114b)와,
    상기 수직부재(111)와 수직부재(111)를 연결하는 수평부재(112)에 고정결합되며 상하부가 개방되게 형성된 가이드부재(114c)와,
    일단이 상기 가이드부재(114c)를 상하방향으로 관통하도록 위치되고 나머지 다른 단이 상기 가압부재(114b)와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하방향으로 승하강되는 것으로 상기 가이드부재(114c)를 관통한 일단이 레일(113)을 따라 이동되는 원단/시트/필름 즉, 가이드봉(B)의 이동을 제한할 수 있도록 한 구속부재(114d)와,
    일단이 상기 수평부재와 결합되고 나머지 다른 단이 상기 가압부재(114b)에 결합되어 상기 가압부재(114b)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114e) 및
    일단이 수평부재(112)에 결합되어 상기 가압부재(114b)의 회동을 제한하는 것으로, 상기 가압부재(114b)의 상방향 회전을 제한하는 제1회전 제한턱(114f-1)과 상기 가압부재의 하방향 회전을 제한하는 제2회전 제한턱(114f-2)을 구비한 회전 제한부재(114f)로 이루어진 롤 스크린용 원단/시트/필름 검단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임시 적재부(110)는
    지면으로부터 수직하게 위치되는 복수개의 수직부재(111)와, 상기 수직부재(111)와 수직부재(111)를 연결하며 상부에 롤 형태로 권취된 원단/시트/필름을 지지할 수 있도록 한 복수 개의 수평부재(112)로 이루어지며, 상기 수평부재(112)에는 원단/시트/필름을 롤 형태로 권취한 거치봉(B)의 양단이 안착되어 슬라이딩될 수 있게 레일(113)이 형성된 롤 스크린용 원단/시트/필름 검단장치.
  3. 삭제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공급부(120)는
    상기 임시 적재부(110)에 고정결합된 고정 플레이트(121)와,
    상기 고정 플레이트(121)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거치봉(B)에 롤 형태로 권취된 원단/시트/필름의 하부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한 쌍의 지지롤러(122)와,
    상기 지지롤러(122)에 안착된 롤 형태의 원단/시트/필름이 권출 시 상기 지지롤러(122)에서 이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상기 지지롤러(122)의 상부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이탈방지롤러(123), 및
    일측이 상기 거치봉(B)과 선택적으로 접촉되어 회전을 제한함으로써 상기 거치봉(B)에서 원단/시트/필름이 권출되는 속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 브레이크 유닛(124)을 포함하는 롤 스크린용 원단/시트/필름 검단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브레이크 유닛(124)은 상기 임시 적재부(110)에 고정설치되는 엑츄에이터(124a)와, 일단이 상기 고정 플레이트(121)에 고정설치되고 나머지 다른 단이 상기 엑츄에이터(124a)의 로드와 고정결합되는 유연한 재질의 벨트(124b)로 이루어진 롤 스크린용 원단/시트/필름 검단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검사부(130)는
    몸체(131)와,
    상기 몸체(131)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공급부(120)에서 이송되는 원단을 안내할 수 있도록 한 복수 개의 가이드롤러(132)와,
    상기 가이드롤러(132)에 의해 안내되어 이송된 원단이 통과되는 것으로 소정의 면적을 갖는 판 형상의 투광판(133)과,
    상기 투광판(133)의 상측에 위치되며 상기 투광판(133)으로 빛을 조사할 수 있도록 한 조명 유닛(134), 및
    상기 투광판(133)으로 이송되는 원단에 에어를 분사하여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도록 한 에어 분사 유닛(135)을 포함하는 롤 스크린용 원단/시트/필름 검단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권취부(140)는
    베이스(141)와,
    상기 베이스(141)에 브라켓(143)을 통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권취롤러(142)와,
    상기 한 쌍의 권취롤러(142)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한 권취모터(144)와, 상기 권취롤러(142)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고 있는 브라켓(143)을 관통하도록 결합되어 회전에 따라 상기 권취롤러(142)와 권취롤러(142)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한 조절 스크류(144) 및
    상기 한 쌍의 권취롤러(142) 일측 상부에 위치되며 상하방향으로 승하강되게 설치되는 것으로 원단이 권취되는 거치봉(B)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는 회전지지부재(145)를 포함하는 롤 스크린용 원단/시트/필름 검단장치.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회전지지부재(145)는
    상기 베이스(141)의 상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며 수직하게 승하강공(146a)이 형성된 수직 플레이트(146)와,
    상기 승하강공(146a)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며 일측에 거치봉(B)을 회전 지지할 수 있도록 한 회전 브라켓(147a)이 마련되는 것으로 상기 승하강공(146a)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승하강되는 슬라이더(147)로 이루어진 롤 스크린용 원단/시트/필름 검단장치.
KR1020200022027A 2020-02-24 2020-02-24 롤 스크린용 원단/시트/필름 검단장치 KR1021474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2027A KR102147494B1 (ko) 2020-02-24 2020-02-24 롤 스크린용 원단/시트/필름 검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2027A KR102147494B1 (ko) 2020-02-24 2020-02-24 롤 스크린용 원단/시트/필름 검단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47494B1 true KR102147494B1 (ko) 2020-08-24

Family

ID=722351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2027A KR102147494B1 (ko) 2020-02-24 2020-02-24 롤 스크린용 원단/시트/필름 검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4749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207113A (zh) * 2023-11-09 2023-12-12 山西佩佩服饰股份有限公司 一种纺织面料质量检测压布定位工装
KR102631780B1 (ko) * 2023-08-23 2024-01-30 김창록 가변 및 오토 타입 필름 처짐 검사기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22599B2 (ja) * 1994-04-13 2001-01-09 フォイト ズルツァー フィニッシング ゲゼルシャフト ミット ベシュレンクテル ハフツング 材料シートを処理する装置及び方法
JP3099547U (ja) * 2003-07-29 2004-04-08 三進金属工業株式会社 巻物用パレット
KR100528669B1 (ko) * 2004-07-02 2005-11-15 차훈덕 비닐인쇄시스템
KR20170091266A (ko) * 2016-01-31 2017-08-09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라벨 검사 장치
KR20180138042A (ko) * 2017-06-20 2018-12-28 곽대용 고정프레임을 구비한 필름 재단 장치
KR102023581B1 (ko) * 2012-11-23 2019-09-24 해성디에스 주식회사 릴-투-릴 검사장치 및 릴-투-릴 검사방법
JP7012866B2 (ja) * 2018-09-27 2022-01-28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重合体の製造方法、及び重合体を製造するフロー式反応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22599B2 (ja) * 1994-04-13 2001-01-09 フォイト ズルツァー フィニッシング ゲゼルシャフト ミット ベシュレンクテル ハフツング 材料シートを処理する装置及び方法
JP3099547U (ja) * 2003-07-29 2004-04-08 三進金属工業株式会社 巻物用パレット
KR100528669B1 (ko) * 2004-07-02 2005-11-15 차훈덕 비닐인쇄시스템
KR102023581B1 (ko) * 2012-11-23 2019-09-24 해성디에스 주식회사 릴-투-릴 검사장치 및 릴-투-릴 검사방법
KR20170091266A (ko) * 2016-01-31 2017-08-09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라벨 검사 장치
KR20180138042A (ko) * 2017-06-20 2018-12-28 곽대용 고정프레임을 구비한 필름 재단 장치
JP7012866B2 (ja) * 2018-09-27 2022-01-28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重合体の製造方法、及び重合体を製造するフロー式反応システム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31780B1 (ko) * 2023-08-23 2024-01-30 김창록 가변 및 오토 타입 필름 처짐 검사기
CN117207113A (zh) * 2023-11-09 2023-12-12 山西佩佩服饰股份有限公司 一种纺织面料质量检测压布定位工装
CN117207113B (zh) * 2023-11-09 2024-01-02 山西佩佩服饰股份有限公司 一种纺织面料质量检测压布定位工装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47494B1 (ko) 롤 스크린용 원단/시트/필름 검단장치
KR101804411B1 (ko) 캐리어 테이프를 이용한 반도체 소자 포장장치
KR101109900B1 (ko) 검단기의 원단인출장치
JP2009113989A (ja) 巻ロール用の巻解き装置
CN111847044A (zh) 一种全自动验布机及其验布方法
JPH0126985B2 (ko)
CN207685569U (zh) 一种验布机
KR100969570B1 (ko) 아이티오 필름 원단 검사기
KR102246410B1 (ko) 전자부품 라벨링 장비
KR20160018399A (ko) 보호 테이프 부착 방법 및 보호 테이프 부착 장치
JP5896727B2 (ja) タイヤ用のリムストック装置
US3318179A (en) Feeding and cutting machine for sheet material
KR102421167B1 (ko) 필름 결함 판별장치
CN109881462A (zh) 纺织品缝接机、验布装置及布匹缝接方法
CN106862328B (zh) 全自动的卧式卷板设备
KR101525362B1 (ko) 검단기의 원단검사경사틀에 설치되는 원단고정안내장치
CN114394276A (zh) 压膜机及其压模方法
CN205045549U (zh) 验布机收卷装置
KR100808451B1 (ko) 글라스 서포트 이송 구조를 갖는 글라스 홀더 장치 및 그글라스 홀더 장치를 이용한 글라스 기판 검사방법
US6101691A (en) Large fabric roll letoff
CN212722663U (zh) 一种具有便捷拆卸更换灯箱的卷料瑕疵检测装置
CN220455185U (zh) 一种布料检验装置
CN216386791U (zh) 一种用以双面检验卷材的检验装置
CN216511879U (zh) 帘布纠偏装置、输送机构及成型机
CN104071616A (zh) 一种用于布带检修的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