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46410B1 - 전자부품 라벨링 장비 - Google Patents
전자부품 라벨링 장비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246410B1 KR102246410B1 KR1020140144083A KR20140144083A KR102246410B1 KR 102246410 B1 KR102246410 B1 KR 102246410B1 KR 1020140144083 A KR1020140144083 A KR 1020140144083A KR 20140144083 A KR20140144083 A KR 20140144083A KR 102246410 B1 KR102246410 B1 KR 10224641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abel
- film
- electronic component
- support
- labelin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C—LABELLING OR TAGGING MACHINES, APPARATUS, OR PROCESSES
- B65C1/00—Labelling flat essentially-rigid surfaces
- B65C1/02—Affixing labels to one flat surface of articles, e.g. of packages, of flat band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C—LABELLING OR TAGGING MACHINES, APPARATUS, OR PROCESSES
- B65C9/00—Details of labelling machines or apparatus
- B65C9/02—Devices for moving articles, e.g. containers, past labelling statio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C—LABELLING OR TAGGING MACHINES, APPARATUS, OR PROCESSES
- B65C9/00—Details of labelling machines or apparatus
- B65C9/08—Label feeding
- B65C9/18—Label feeding from strips, e.g. from rolls
- B65C9/1865—Label feeding from strips, e.g. from rolls the labels adhering on a backing strip
- B65C9/1876—Label feeding from strips, e.g. from rolls the labels adhering on a backing strip and being transferred by suction means
- B65C9/1884—Label feeding from strips, e.g. from rolls the labels adhering on a backing strip and being transferred by suction means the suction means being a movable vacuum arm or pad
Landscapes
- Label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SSD와 같이 비교적 대형인 전자부품 자체나 전자부품이 케이싱된 제품에 라벨을 부착시키는 라벨링 장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전자부품 라벨링 장비는 라벨을 받치기 위한 받침판; 및 상기 받침판을 상기 필름 지지대 측으로 전진시키거나 상기 필름 지지대의 반대 측으로 후퇴시키는 진퇴원; 을 가지는 라벨 받침기를 구비한다. 그리고 더 나아가 라벨이 라벨 필름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분리 방지기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불량 라벨의 처리가 편리하고, 라벨 공급기에 간단한 구성을 추가함으로써 라벨 공급 기능에 더하여 불량 라벨이 제거된 라벨롤을 준비할 수 있는 기능이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자부품 라벨링 장비는 라벨을 받치기 위한 받침판; 및 상기 받침판을 상기 필름 지지대 측으로 전진시키거나 상기 필름 지지대의 반대 측으로 후퇴시키는 진퇴원; 을 가지는 라벨 받침기를 구비한다. 그리고 더 나아가 라벨이 라벨 필름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분리 방지기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불량 라벨의 처리가 편리하고, 라벨 공급기에 간단한 구성을 추가함으로써 라벨 공급 기능에 더하여 불량 라벨이 제거된 라벨롤을 준비할 수 있는 기능이 구비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생산된 전자부품에 라벨(표지)을 부착시키는 장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생산된 전자부품은 표면에 라벨(LABEL)이 부착된 후 판매된다.
라벨에는 생산 일자나 제품 사양 등과 같이 해당 전자부품에 대한 정보가 기록되어 있다.
대한민국 특허공개 2002-0018881호 등에는 생산된 제품에 라벨을 부착시키는 기술이 제시되어 있다.
한편, 본 발명에 앞서서 출원인은 대한민국 출원번호 10-2014-0041140호로 케이싱 작업과 라벨링 작업을 순차적으로 수행하는 장비에 관한 기술(이하 '선출원 발명'이라 함)을 제안한 바 있다. 본 발명은 선출원 발명 중 라벨링 작업과 관계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불량 라벨의 처리가 편리한 기술을 제공한다.
둘째, 전자부품 라벨링 장비에 구비되는 라벨 공급기에 불량 라벨이 제거된 라벨롤을 준비할 수 있는 기능을 부가할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한다.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전자부품 라벨링 장비는, 일정 순환 경로를 따라 순환하는 다수의 작업지그를 가지는 부품 이동장치; 상기 부품 이동장치의 작업지그로 전자부품을 로딩시키는 부품 공급장치; 상기 작업지그에 놓인 전자부품에 라벨을 부착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라벨링장치;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라벨링장치에 의해 라벨 부착 작업이 완료된 완제품을 상기 작업지그로부터 언로딩시키는 완제품 언로딩장치; 를 포함하며, 상기 라벨링장치는, 라벨 필름이 풀리는 방향으로 공급 라벨롤이 회전될 수 있게 지지하는 공급 롤링기; 상면이 상기 공급 라벨롤에서 풀려 나오는 라벨 필름을 지지하는 필름 지지대; 상기 공급 라벨롤에서 풀려나온 라벨 필름을 회수하는 회수 롤링기; 상기 필름 지지대의 끝단에서 라벨 필름과 분리되는 라벨을 지지하는 라벨 받침기; 및 상기 라벨 받침기에 의해 받쳐진 라벨을 파지한 후 상기 작업지그에 놓인 전자부품에 라벨을 부착시키는 라벨 픽커; 를 포함하고, 상기 라벨 받침기는, 라벨을 받치기 위한 받침판; 및 상기 받침판을 상기 필름 지지대 측으로 전진시키거나 상기 필름 지지대의 반대 측으로 후퇴시키는 진퇴원; 을 포함한다.
상기 받침판은 라벨이 달라붙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밀착 방지부분을 가진다.
상기 라벨 받침기는 상기 받침판에 있는 토출구멍으로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공기 공급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공기 공급기에 의해 공급된 공기는 상기 토출구멍을 통해 상방향으로 토출되면서 라벨이 상기 받침판에 밀착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받침판은 불량 라벨을 부착시키기 위한 부착면을 가진다.
상기 라벨링장치는 상기 필름 지지대는 벗어나는 라벨이 라벨 필름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분리 방지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분리 방지기는, 상기 필름 지지대를 거쳐 오는 라벨 필름에서 라벨이 부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하는 유지 롤러; 상기 유지 롤러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롤러 지지대; 및 상기 유지 롤러를 승강시키는 승강원; 을 포함한다.
상기 유지 롤러는 상기 받침판과 상기 필름 지지대 사이에 위치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불량 라벨의 처리가 간편하므로, 라벨링장치의 작업성이 향상된다.
둘째, 라벨 공급기에 간단한 구성(롤러)을 추가함으로써 라벨 공급 기능에 더하여 불량 라벨이 제거된 라벨롤을 준비할 수 있는 기능이 구비될 수 있다.
셋째, 간단한 구성(롤러)의 추가만으로 불량 라벨이 제거된 라벨롤을 준비하는 기능이 구비되기 때문에 생산성이 향상된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부품 라벨링 장비에 대한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다른 예에 따른 전자부품 라벨링 장비의 테이블과 작업지그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참조도이다.
도3은 도1의 전자부품 라벨링 장비에 적용된 라벨링장치에 관한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4는 도3의 전자부품 라벨링 장비에 적용된 버퍼 롤러의 승강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참조도이다.
도5는 도3의 전자부품 라벨링 장비에 적용된 필름 이동기에 대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6은 도3의 라벨링장치에 적용된 라벨 받침기에 대한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7은 도6의 라벨 받침기에 대한 개략적인 측단면도이다.
도8은 도3의 라벨링장치에 적용된 분리 방지기에 대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9는 분리 방지기의 다른 구비예에 대한 참조도이다.
도10 내지 도14는 도3의 라벨링장치의 작동을 설명하는데 참조하기 위한 참조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다른 예에 따른 전자부품 라벨링 장비의 테이블과 작업지그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참조도이다.
도3은 도1의 전자부품 라벨링 장비에 적용된 라벨링장치에 관한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4는 도3의 전자부품 라벨링 장비에 적용된 버퍼 롤러의 승강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참조도이다.
도5는 도3의 전자부품 라벨링 장비에 적용된 필름 이동기에 대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6은 도3의 라벨링장치에 적용된 라벨 받침기에 대한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7은 도6의 라벨 받침기에 대한 개략적인 측단면도이다.
도8은 도3의 라벨링장치에 적용된 분리 방지기에 대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9는 분리 방지기의 다른 구비예에 대한 참조도이다.
도10 내지 도14는 도3의 라벨링장치의 작동을 설명하는데 참조하기 위한 참조도이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되, 설명의 간결함을 위해 중복되는 설명은 가급적 생략하거나 압축한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부품 라벨링 장비(EDLE)에 관한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본 예에 따른 전자부품 라벨링 장비(EDLE)는 전자부품(예를 들면 SSD 등)을 케이싱한 후 전자부품이 수용된 케이스에 라벨을 부착하거나 케이싱 작업 없이 전자부품 자체에 라벨을 부착하는 작업을 수행한다. 물론, 전자부품을 케이싱한 제품의 경우에도 전자부품의 범주에 포함됨은 당연하다.
전자부품 라벨링 장비(EDLE)는 부품 이동장치(DTA), 부품 공급장치(ESA), 케이스 로딩장치(CLA), 케이스 결합장치(CCA), 불량 감지장치(BSA), 제1 라벨링장치(LA1), 회전장치(RTA), 제2 라벨링장치(LA2), 완제품 언로딩장치(EPA), 교체장치(CGA) 및 제어장치(CTA) 등을 포함한다.
부품 이동장치(DTA)는 작업 테이블(WT) 상에서 일정 순환 경로(C)를 따라 순환하는 다수의 작업지그(WJ)를 가진다. 부품(전자부품, 케이스 등)은 작업지그(WJ)에 적재된 상태로 이동된다. 본 예에서는 작업 테이블(WT)은 고정되어 있고, 순환 벨트(CB)에 의해 작업지그(WJ)가 순환 이동하는 구조를 취하고 있다. 그러나 실시하기에 따라서는 도2에서와 같이 원형의 작업 테이블(WT') 자체가 회전하고, 작업지그(WJ')는 작업 테이블(WT')에 직접 장착되는 예를 취하는 것도 가능하다.
위의 부품 공급장치(ESA), 케이스 로딩장치(CLA), 케이스 결합장치(CCA), 불량 감지장치(BSA), 제1 라벨링장치(LA1), 회전장치(RTA), 제2 라벨링장치(LA2), 완제품 언로딩장치(EPA) 및 교체장치(CGA)에 의한 각각의 정해진 작업들은 순환 이동하는 작업지그(WJ)가 정해진 작업들을 수행할 수 있는 위치로 온 상태에서 이루어진다.
부품 공급장치(ESA)는 작업지그(WJ)에 놓일 전자부품을 공급한다.
케이스 로딩장치(CLA)는 상부 케이스나 하부 케이스를 작업지그(WJ)에 로딩시킨다. 여기서 케이스 로딩장치(CLA)가 상부 케이스를 작업지그(WJ)에 로딩시키는 시점과 하부 케이스를 작업지그(WJ)에 로딩시키는 시점 사이에 부품 공급장치(ESA)에 의해 전자부품이 작업지그(WJ)에 로딩될 수 있도록 시간 간격을 둔다. 따라서 작업지그(WJ)에는 상부 케이스, 전자부품, 하부 케이스 순으로 로딩된다. 물론, 실시하기에 따라서는 작업지그(WJ)에 하부 케이스, 전자부품, 상부 케이스 순으로 로딩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케이스 결합장치(CCA)는 작업지그(WJ)에 상부 케이스, 전자부품 및 하부 케이스 순으로 순차적으로 적층된 부품들에서 상부 케이스와 하부 케이스를 상호 결합시킨다. 이에 따라 전자부품은 상부 케이스와 하부 케이스의 결합에 의해 형성된 내부 공간에 수용될 수 있게 된다.
위의 케이스 로딩장치(CLA)와 케이스 결합장치(CCA)는 전자부품을 케이싱하기 위한 케이싱 장치로 묶일 수 있다.
참고로, 본 발명에 따른 전자부품 라벨링 장비(EDLE)는 위의 케이스 결합장치(CCA)와 케이스 로딩장치(CLA)의 작동을 정지시킨 채, 케이싱 작업 없이 라벨 부착 작업이 수행되도록 작동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부품 공급장치(ESA)에 의해 작업지그(WJ)에 공급된 전자부품 자체에 라벨 부착 작업이 이루어지게 된다. 그러므로 필요에 따라서는 전자부품 라벨링 장비로부터 케이스 결합장치와 케이스 로딩장치의 구성이 생략될 수도 있을 것이다. 만일 전자부품 라벨링 장비로부터 케이스 결합장치와 케이스 로딩장치가 생략된다면, 부품 공급장치(ESA)가 케이싱 작업까지 완료된 제품을 작업지그로 공급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케이싱 작업이 필요치 않은 전자부품을 작업지그로 공급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불량 감지장치(BSA)는 케이스 결합장치(CCA)에 의해 상부 케이스와 하부 케이스가 적절히 결합되었는지를 감지한다.
제1 라벨링장치(LA1)는 케이스 결합장치(CCA)에 의해 상호 결합된 상부 케이스와 하부 케이스 중 하부 케이스의 평면에 제1 라벨을 부착시킨다.
회전장치(RTA)는 상부 케이스가 하측에 있고 하부 케이스가 상측에 있는 상태에서 상부 케이스가 상측으로 가고 하부 케이스가 하측으로 가도록 중간 제품(제2 라벨이 미부착된 상태의 제품)을 회전시킨다. 앞서 말한 바와 같이 상부 케이스와 하부 케이스의 로딩 순서는 상호 바뀔 수 있다.
제2 라벨링장치(LA2)는 상부 케이스의 평면에 제2 라벨을 부착시킨다.
물론, 전자부품 라벨링 장비(EDLE)에는 필요에 따라서 제1 라벨링장치(LA1)나 제2 라벨링장치(LA2) 중 어느 하나만 구비될 수도 있다.
또한, 실시하기에 따라서는 제1 라벨링장치(LA1)와 제2 라벨링장치(LA2) 중 어느 하나만 작동할 수도 있으며, 회전장치(RTA)도 작동되지 않거나 생략될 수도 있다. 라벨링장치(LA1, LA2)인 이유는 빠르고 효율적인 라벨링 작업을 위한 것이나, 경우에 따라서 하나의 라벨링장치만 구비될 경우, 1차 라벨링 작업 후 회전장치에 의해 전자부품이 회전하면, 라벨링장치가 전자부품 측으로 이동하여 회전된 상부면에 2차 라벨링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완제품 언로딩장치(EPA)는 라벨링 작업까지 모두 완료된 완제품을 작업지그(WJ)로부터 언로딩시킨 후 별도로 마련된 수납부분에 완제품을 수납시킨다.
교체장치(CGA)는 부품 등의 규격 변환에 의해 작업지그(WJ)에 대한 교체 필요성이 있을 때 기존 작업지그(WJ)를 새로운 규격에 맞는 신규 작업지그(WJ)로 교체한다.
제어장치(CTA)는 상기한 나머지 구성들을 제어한다.
이하에서는 위의 각 구성들 중 제1 라벨링장치(LA1)나 제2 라벨링장치(LA2)로 적용될 수 있는 라벨링장치에 대하여 도3 이하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참고로, 후술될 개량된 라벨링장치를 제외한 각 구성들은 이미 선출원(대한민국 출원번호 10-2014-0041140호나 출원번호 10-2014-0076196호)에서 상세히 기술되고 있으므로 더 이상의 설명은 생략한다.
라벨링장치(LA)는 라벨 부착위치에 위치한 작업지그(WJ)에 놓인 전자부품(예를 들면, 전자부품 자체나 전자부품이 케이싱된 제품)의 표면에 라벨을 부착한다. 이를 위해 라벨링장치(LA)는 도3에서와 같이 공급 롤링기(210), 라벨 프린터(220), 회수 롤링기(230), 필름 지지대(240), 제1 카메라(250), 제2 카메라(260), 라벨 받침기(270), 라벨 픽커(280) 및 분리 방지기(290) 등을 포함한다.
공급 롤링기(210)는 라벨 필름(LF)이 감겨진 공급 라벨롤(SLR)을 라벨 필름(LF)이 풀리는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게 지지 함으로써 라벨 필름(LF)과 함께 감겨진 라벨(L, 도3에는 두께가 과장되게 표현됨)을 공급한다. 이러한 공급 롤링기(210)는 공급 롤러(211)와 공급 구동원(212)을 포함한다.
공급 롤러(211)는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공급 롤러(211)에는 공급 라벨롤(SLR)이 끼워진다.
공급 구동원(212)은 모터로 구비될 수 있으며, 공급 라벨롤(SLR)에 감겨진 라벨 필름(LF)이 풀리는 방향으로 공급 롤러(211)를 회전시킨다. 이러한 공급 구동원(212)은 제어장치(CTA)에 의해 제어됨으로써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동작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라벨 필름(LF)은 승강이 가능한 버퍼 롤러(BR)를 거쳐 필름 지지대(240)로 이동하도록 구성된다. 현재 도3의 상태에서는 버퍼 롤러(BR)가 최대한 하강된 상태에 있으므로, 필름 지지대(240) 측으로 공급될 라벨 필름(LF)이 버퍼 롤러(BR)가 하강한 정도에 비례하여 충분히 확보되고 있다. 따라서 제어장치(CTA)는 공급 구동원(212)의 동작을 정지시킴으로써 공급 라벨롤(SLR)로부터 라벨 필름(LF)이 풀려 나오는 것을 정지시킨다. 만일 라벨 필름(LF)의 이동에 의해 도4에서와 같이 버퍼 롤러(BR)가 상승하게 되면 버퍼 구간에 라벨 필름(LF)의 여유분이 없으므로, 제어장치(CTA)는 공급 구동원(212)을 동작시킴으로써 공급 라벨롤(SLR)로부터 라벨 필름(LF)이 풀려 나오도록 하여 도3의 상태가 되게 한다. 이러한 제어를 위해 버퍼 롤러(BR)의 승강 정도를 감지하기 위해 여러 개의 센서(S1 내지 S3)가 구비된다. 부호 S1의 센서는 버퍼 롤러(BR)의 상한점을 감지하고, 부호 S3의 센서는 버퍼 롤러(BR)의 하한점을 감지한다. 그리고 부호 S2의 센서는 버퍼 롤러(BR)의 현재 위치 상태를 감지한다. 여기서 부호 S2의 센서는 필요에 따라 생략되거나 여러 개가 구비될 수도 있다.
라벨 프린터(220)는 공급 라벨롤(SLR)로부터 풀려 나오는 라벨(L)에 필요한 정보(예를 들면 제조회사명, 제품 사양 등)를 인쇄한다. 물론, 본 실시예에 따른 전자부품 라벨링 장비(EDLE)처럼 라벨 프린터(220)는 구비될 수도 있지만, 실시하기에 따라서는 생략될 수도 있다.
회수 롤링기(230)는 공급 라벨롤(SLR)에서 풀려 나온 후 다수의 방향 전환 롤러(TR1, TR2, TR3)와 필름 이동기(FMA)를 거쳐 오는 라벨 필름(LF)을 감아서 회수한다. 이러한 회수 롤링기(230)는 회수 롤러(231)와 회수 구동원(232)을 포함한다.
회수 롤러(231)는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회수 롤러(231)에는 회수 라벨롤(DLR)이 끼워진다. 참고로 공급 라벨롤(SLR)과 회수 라벨롤(DLR)은 현재의 기능 상태에 따라 분류된 명칭일 뿐이고,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을 가진다.
회수 구동원(232)은 모터로 구비될 수 있으며, 라벨 필름(LF)이 감겨지는 방향으로 회수 롤러(231)에 지속적인 회전력을 가한다.
따라서 공급 구동원(212)과 회수 구동원(232)이 작동하면, 공급 라벨롤(SLR)로로부터 풀려져 나온 라벨 필름(LF)이 다수의 방향 전환 롤러(TR1, TR2, TR3)와 필름 이동기(FMA)를 거친 후 회수 라벨롤(DLR)에 감기게 된다.
참고로, 본 실시예에서는 3개의 방향 전환 롤러(TR1, TR2, TR3)가 마련되지만, 실시하기에 따라서는 생략될 수도 있고 1개 이상 필요한 개수로 구비될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라벨 필름(LF)의 안정적인 이동 및 정지를 위해 상기한 바 있는 필름 이동기(FMA)를 더 구비하고 있다.
필름 이동기(FMA)는 도5의 개략도에서와 같이 연질의 제1 이동 롤러(MR1), 제2 이동 롤러(MR2) 및 이동모터(MM)를 포함한다. 제1 이동 롤러(MR1)와 제2 이동 롤러(MR2)는 화살표 a 방향으로 상호 떨어지거나 밀착될 수 있고, 이동모터(MM)는 제1 이동 롤러(MR1)를 회전시킨다. 물론, 라벨 필름(LF)은 도3에서 참조되는 바와 같이 제1 이동 롤러(MR1)와 제2 이동 롤러(MR2) 사이에 끼이도록 설치된다. 따라서 제어장치(CTA)에 의해 제어되는 이동모터(MM)가 동작하면 제1 이동 롤러(MR1)와 제2 이동 롤러(MR2)가 회전함으로써 라벨 필름(LF)이 이동하게 되고, 이동모터(MM)가 정지하면 라벨 필름(LF)의 이동이 정지된다. 여기서 이동모터(MM)의 정지에 연동하여 라벨 필름(LF)의 이동이 정지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제1 이동 롤러(MR1)와 제2 이동 롤러(MR2)가 라벨 필름(LF)을 파지하는 파지력이 회수 구동원(232)의 회전력을 극복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필름 이동기(FMA)는 제어장치(CTA)가 공급 구동원(212)나 회수 구동원(232)을 적절히 제어하는 경우 생략될 수 있을 것이다.
필름 지지대(240)는 그 상면이 공급 라벨롤(SLR)에서 풀려 나오는 라벨 필름(LF)을 지지한다. 따라서 라벨 필름(LF)에 부착된 라벨(L)은 필름 지지대(240)에 의해 지지되면서 이동된다. 이러한 필름 지지대(240)의 끝단은 하면이 상면보다 짧도록 90도보다 작은 예각(θ)으로 형성되어서 라벨 필름(LF)이 꺾일 때 라벨(L)이 라벨 필름(LF)으로부터 쉽게 떨어질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물론, 라벨(L)이 라벨 필름(LF)으로부터 떨어질 수 있다면, 다른 구성들과의 관계를 감안 설계하여 필름 지지대(240)의 끝단이 180도보다 작은 각을 이루도록 깎인 형태이면 족하다.
제1 카메라(250)는 필름 지지대(240)에 지지되는 부분에 있는 라벨(L)의 평면을 촬영한다. 이러한 제1 카메라(250)에 의해 촬영된 이미지는 라벨(L)의 인쇄 상태가 양호한지 여부를 판단하는데 사용된다.
제2 카메라(260)는 라인(Line) 광원(261)과 쌍을 이룬다. 이러한 제2 카메라(260)는 이동하는 라벨(L)상에 라인 광원(261)에 의해 조사되는 선(線)형 광을 인식함으로써 3차원 적인 오류를 확인하게 된다. 즉, 제2 카메라(260)에 의해 촬영된 이미지에서 분석되는 선형 광의 형태는 라벨(L)의 접힘, 긁힘, 찢김 등 라벨(L)의 3차원적인 불량(오점)을 확인하는데 사용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고가의 3D 카메라를 사용하지 않고도, 라벨(L)의 3차원적인 불량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제1 카메라(250)와 제2 카메라(260)는 라벨의 불량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구성이므로, 라벨의 불량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다른 불량 감지 센서들로 대체될 수도 있다.
라벨 받침기(270)는 필름 지지대(240)의 끝단에서 라벨 필름(LF)과 분리된 라벨(L)을 지지한다. 이러한 라벨 받침기(270)는 받침판(271), 진퇴원(272) 및 공기공급기(273)를 포함한다.
받침판(271)은 도6의 개략적인 사시도에서와 같이 라벨(L)을 받치기 위한 다수의 주름돌기(WP)들이 형성되어 있고, 일 측에는 불량 라벨(L)을 부착시키기 위한 부착면(SF)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받침판(271)에는 공기가 상방으로 토출될 수 있는 토출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주름돌기(WP)는 라벨(L)이 받침판(271)에 밀착되게 달라붙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라벨 픽커(280)에 의해 라벨(L)이 쉽게 파지될 수 있게 한다. 따라서 라벨(L)의 밀착 방지를 가능하게 밀착 방지부분으로서 동일하게 기능한다면 주름돌기(WP)들은 다른 형태의 돌기로 대체될 수도 있고, 돌기 외에도 철망같은 구조나 다수의 구멍들과 같은 다른 형상으로도 변형될 수 있다. 또한, 주름돌기(WP)들은 라벨(L)의 부착 가능성을 최대한 줄이기 위해 미끄러운 성질을 가지는 테프론과 같은 재질로 구비될 수 있다.
진퇴원(272)은 받침판(271)을 필름 지지대(240) 측으로 전진시키거나 필름 지지대(240)의 반대 측으로 후퇴시킨다. 이러한 진퇴원(272)은 받침판(271)의 진퇴 거리를 이단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이중 실린더나 모터로 구비될 수 있다.
공기 공급기(273)는 도7의 측단면도에서 참조되는 바와 같이 주름돌기(WP)들의 사이에 있는 토출구멍(OH)으로 공기를 공급한다. 따라서 공급된 공기는 토출구멍(OH)들을 통해 상방향으로 약하게 토출되면서, 라벨(L)이 밀착되는 것을 더욱 방지한다.
라벨 픽커(280)는 받침판(271)에 있는 라벨(L)을 흡착 파지한 후 전자부품에 부착시키거나, 불량으로 확인된 라벨(L)을 부착면(SF)에 부착시킨다.
분리 방지기(290)는 라벨 받침기(270)와 필름 지지대(240) 사이에 구비된다. 분리 방지기(290)는 라벨(L)이 필름 지지대(240)를 벗어난 경우에도 라벨 필름(LF)으로부터 완전히 분리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러한 분리 방지기(290)는 도8의 개략적인 사시도에서와 같이 유지 롤러(291), 롤러 지지대(292) 및 승강원(293)을 포함한다.
유지 롤러(291)는 필름 지지대(240)를 거쳐 오는 라벨 필름(LF)에서 라벨(L)이 완전히 떨어져 분리되지 않고 라벨 필름(LF)에 라벨(L)이 부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한다.
롤러 지지대(292)는 유지 롤러(291)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다. 본 실시예에서 롤러 지지대(292)는 유지 롤러(291)를 일 측만 지지하는 외팔보이지만 롤러 지지대(292)의 양 측을 모두 지지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승강원(293)은 롤러 지지대(292)를 승강시킴으로써 유지 롤러(291)를 승강시킨다. 이러한 승강원(293)도 모터나 실린더로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실시하기에 따라서는 도9에서와 같이 분리 방지기(290')가 필름 지지대(240')의 하측에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초기 준비 작업 과정에서 라벨 필름(LF)을 설치하기가 편리하다.
계속하여 위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라벨링장치(LA)의 작동에 대하여 각 기능별로 나누어 설명한다.
<라벨 부착 기능에 따른 작동예>
전자부품에 라벨(L)을 부착시키는 작동에서는 분리 방지기(290)가 사용되지 않는다.
따라서 도3에서와 같이 유지 롤러(291)가 하강한 상태로 공급 라벨롤(SLR)과 회수 라벨롤(DLR)이 설치된다. 그리고 라벨 받침기(270)의 받침판(271)은 필름 지지대(240) 측으로 전진해 있게 된다.
제어장치(CTA)의 제어에 따라 공급 구동원(212), 회수 구동원(232) 및 필름 이동기(FMA)가 적절히 작동하면, 라벨 필름(LF)이 공급 라벨롤(SLR)로부터 풀려 나오면서 필름 지지대(240)의 상면, 다수의 방향 전환 롤러(TR1, TR2, TR3)와 필름 이동기(FMA)를 거친 후 회수 라벨롤(DLR)에 감기게 된다.
한편, 도10에서와 같이 라벨 필름(LF)과 함께 공급 라벨롤(SLR)로부터 풀려 나온 라벨(L)은 필름 지지대(240)의 상면을 따라 이동하면서, 필름 지지대(240)의 끝단에서 라벨 필름(LF)으로부터 분리되면서 받침판(271)에 놓이게 된다. 이 과정에서 제1 카메라(250)는 라벨(L)의 위치를 인식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더불어, 라벨(L) 부착 작업 시에도 제1 카메라(250)와 제2 카메라(260)가 라벨(L)의 불량 여부를 확인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물론, 제1 카메라(250)와 제2 카메라(260)에 의한 라벨(L)의 불량 여부에 대한 확인 작업이 생략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받침판(271)에 놓인 라벨(L)은 라벨 픽커(280)에 의해 흡착 파지된 후 작업지그(WJ)에 있는 전자부품에 부착된다. 만일 제1 카메라(250)와 제2 카메라(260)가 라벨(L)의 불량 여부를 확인하도록 구현된 경우, 불량 라벨(L)이 확인되면 라벨 픽커(280)는 주름돌기(WP)상에 놓인 불량 라벨(L)을 흡착 파지한 후 부착면(SF)에 부착시킨다.
그리고 라벨(L)이 분리된 라벨 필름(LF)은 회수 라벨롤(DLR)에 감기게 된다.
<라벨롤 준비 기능에 따른 작동예>
라벨링장치(LA)는 라벨(L) 부착 작업 시에 라벨(L)을 공급하기 위한 라벨롤을 준비하는데 사용될 수도 있다.
라벨롤을 준비할 때에는 분리 방지기(290)가 사용된다.
따라서 도11에서와 같이 분리 방지기(290)의 유지 롤러(291)가 상승한 상태로 라벨 필름(LF)이 설치된다. 그리고 라벨 받침기(270)의 받침판(271)은 상황에 따른 진퇴원(272)의 동작에 의해 도11에서와 같이 필름 지지대(240)의 반대 측으로 후퇴된 상태로 있거나 도12에서와 같이 필름 지지대(240) 측으로 전진한 상태로 있을 수 있다.
도11의 상태에서 제어장치(CTA)의 제어에 따라 공급 구동원(212), 회수 구동원(232) 및 필름 이동기(FMA)가 적절히 작동하면, 라벨 필름(LF)이 공급 라벨롤(SLR)로부터 풀려 나오면서 필름 지지대(240)의 상면, 다수의 방향 전환 롤러(TR1, TR2, TR3)와 필름 이동기(FMA)를 거친 후 회수 라벨롤(DLR)에 감기게 된다.
한편, 라벨 프린터(220)는 공급 라벨롤(SLR)로부터 풀려 나온 라벨(L)에 필요한 정보를 인쇄하고, 제1 카메라(250)와 제2 카메라(260)는 라벨(L)의 불량 여부를 확인한다.
1. 라벨(L)이 양호한 경우
제1 카메라(250)와 제2 카메라(260)에 의해 라벨(L)이 양호하다고 확인되면, 도11의 상태가 유지된다. 도11의 상태에서는 라벨 필름(LF)이 유지 롤러(291)를 타고 완만하게 거쳐 방향 전환하기 때문에, 과장된 도13에서와 같이 라벨(L)이 라벨 필름(LF)에 부착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라벨 필름(LF)과 함께 다수의 방향 전환 롤러(TR1, TR2, TR3)와 필름 이동기(FMA)를 거친 후 회수 라벨롤(DLR)에 감기게 된다.
물론, 도13에서 과장된 바와 같이 라벨(L)의 일 측 끝단(라벨의 이동 방향에서 볼 때 전단)이 라벨 필름(LF)으로부터 일시적으로 떨어지지만, 다수의 방향 전환 롤러(TR1, TR2, TR3)와 필름 이동기(FMA)를 거치면서 다시 라벨 필름(LF)에 달라붙게 된다.
2. 불량 라벨(L)이 확인된 경우
제1 카메라(250)와 제2 카메라(260)에 의해 불량 라벨(L)이 발견되면, 도12의 상태로 전환된다. 도12의 상태에서는 받침판(271)이 필름 지지대(240) 측으로 전진한 상태이기 때문에, 도14에서와 같이 불량 라벨(L)은 받침판(271)에 놓이게 된다.
그리고 받침판(271)에 놓인 불량 라벨(L)은 라벨 픽커(280)에 의해 흡착 파지된 후, 부착면(SF)에 부착된다.
물론, 불량 라벨(L)이 제거된 후에는 받침판(271)이 필름 지지대(240)의 반대 측으로 후퇴하여 도11의 상태로 되돌아가게 된다.
그리고 불량 라벨(L)이 제거된 상태로 준비된 회수 라벨롤(DLR)은 차후, 라벨 부착 작업에서 공급 라벨롤(SLR)로 제공될 수도 있다. 그런데, 이렇게 준비된 공급 라벨롤(SLR)에는 불량 라벨(L)이 제거된 위치에서 라벨(L)이 확인될 수 없다. 따라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라벨 부착 작업 시에 제1 카메라(250)에 의해 라벨(L)의 위치를 확인할 필요가 있다.
참고로 유지 롤러(291)는 필름 지지대(240)와 라벨 받침기(270) 사이에 위치하기 때문에, 도12와 같이 받침판(271)이 전진했을 시의 전진 거리는 도3과 같이 받침판(271)이 전진했을 시의 전진 거리보다는 짧다. 즉, 진퇴원(272)이 이중 실린더인 경우, 도3에서와 같은 받침판(271)의 전진 시에는 2개의 실린더가 한꺼번에 작동하고, 도12에서와 같은 받침판(271)의 전진 시에는 정해진 1개의 실린더만 작동하게 된다.
<응용 동작예>
본 응용예에서는 라벨 프린터(220)가 생략되거나 작동되지 않는다. 이렇듯 프린터(220)가 생략 또는 작동하지 않는 경우에는 모든 정보가 인쇄된 라벨(L)이 감긴 라벨롤이 준비되어 있는 상태의 경우일 수 있으며, 해당 라벨롤로부터 불량 라벨(L)만을 선별하여 제거한다.
본 응용예는 라벨 프린터(220)만 작동되지 않는다는 점만 차이가 있고, 도11 내지 도14에 따른 작동을 그대로 따라간다.
따라서 본 응용예를 따르도록 장비가 구현된다면, 라벨(L)의 정보를 인쇄하는 라벨 프린터는 라벨링장치로부터 생략될 수 있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실시예에 의해서 이루어졌지만, 상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를 들어 설명하였을 뿐이기 때문에, 본 발명이 상기의 실시예에만 국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 및 그 등가개념으로 이해되어져야 할 것이다.
EDLE : 전자부품 라벨링 장비
ESA : 부품 공급장치
LA1 : 제1 라벨링장치 LA2 : 제2 라벨링장치
210 : 공급 롤링기
230 : 회수 롤링기
240 : 필름 지지대
270 : 라벨 받침기
271 : 받침판 OH : 토출구멍
272 : 진퇴원 273 : 공기 공급기
290 : 분리 방지기
291 : 유지 롤러 292 : 롤러 지지대
293 : 승강원
EPA : 완제품 언로딩장치
ESA : 부품 공급장치
LA1 : 제1 라벨링장치 LA2 : 제2 라벨링장치
210 : 공급 롤링기
230 : 회수 롤링기
240 : 필름 지지대
270 : 라벨 받침기
271 : 받침판 OH : 토출구멍
272 : 진퇴원 273 : 공기 공급기
290 : 분리 방지기
291 : 유지 롤러 292 : 롤러 지지대
293 : 승강원
EPA : 완제품 언로딩장치
Claims (10)
- 일정 순환 경로를 따라 순환하는 다수의 작업지그를 가지는 부품 이동장치;
상기 부품 이동장치의 작업지그로 전자부품을 로딩시키는 부품 공급장치;
상기 작업지그에 놓인 전자부품에 라벨을 부착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라벨링장치;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라벨링장치에 의해 라벨 부착 작업이 완료된 완제품을 상기 작업지그로부터 언로딩시키는 완제품 언로딩장치; 를 포함하며,
상기 라벨링장치는,
라벨 필름이 풀리는 방향으로 공급 라벨롤이 회전될 수 있게 지지하는 공급 롤링기;
상면이 상기 공급 라벨롤에서 풀려 나오는 라벨 필름을 지지하는 필름 지지대;
상기 공급 라벨롤에서 풀려나온 라벨 필름을 회수하는 회수 롤링기;
상기 필름 지지대의 끝단에서 라벨 필름과 분리되는 라벨을 지지하는 라벨 받침기; 및
상기 라벨 받침기에 의해 받쳐진 라벨을 파지한 후 상기 작업지그에 놓인 전자부품에 라벨을 부착시키는 라벨 픽커; 를 포함하고,
상기 라벨 받침기는,
라벨을 받치기 위한 받침판; 및
상기 받침판을 상기 필름 지지대 측으로 전진시키거나 상기 필름 지지대의 반대 측으로 후퇴시키는 진퇴원; 을 포함하고,
이동하는 라벨 상에 광원에 의해 조사되는 광을 인식함으로써 3차원적인 오류를 확인하게 되는 제2 카메라를 포함하고,
상기 광원은 상기 필름 지지대 상에서 광을 조사하고, 상기 제2 카메라는 상기 광원과 상기 필름 지지대 사이에서 광을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부품 라벨링 장비.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은 선(線)형의 광을 조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부품 라벨링 장비.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판은 라벨이 달라붙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밀착 방지부분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부품 라벨링 장비.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라벨 받침기는 상기 받침판에 있는 토출구멍으로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공기 공급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공기 공급기에 의해 공급된 공기는 상기 토출구멍을 통해 상방향으로 토출되면서 라벨이 상기 받침판에 밀착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부품 라벨링 장비.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판은 불량 라벨을 부착시키기 위한 부착면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부품 라벨링 장비.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라벨링장치는 상기 필름 지지대에서 벗어나는 라벨이 라벨 필름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분리 방지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부품 라벨링 장비.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 방지기는,
상기 필름 지지대를 거쳐 오는 라벨 필름에서 라벨이 부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하는 유지 롤러;
상기 유지 롤러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롤러 지지대; 및
상기 유지 롤러를 승강시키는 승강원;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부품 라벨링 장비.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 롤러는 상기 받침판과 상기 필름 지지대 사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부품 라벨링 장비. - 삭제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144083A KR102246410B1 (ko) | 2014-10-23 | 2014-10-23 | 전자부품 라벨링 장비 |
KR1020210005984A KR102386966B1 (ko) | 2014-10-23 | 2021-01-15 | 전자부품 라벨링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144083A KR102246410B1 (ko) | 2014-10-23 | 2014-10-23 | 전자부품 라벨링 장비 |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005984A Division KR102386966B1 (ko) | 2014-10-23 | 2021-01-15 | 전자부품 라벨링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047765A KR20160047765A (ko) | 2016-05-03 |
KR102246410B1 true KR102246410B1 (ko) | 2021-04-30 |
Family
ID=560224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144083A KR102246410B1 (ko) | 2014-10-23 | 2014-10-23 | 전자부품 라벨링 장비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246410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462322B1 (ko) * | 2017-10-11 | 2022-11-03 | (주)테크윙 | 라벨 처리 장치 |
CN109895352B (zh) * | 2019-03-27 | 2024-03-01 | 浙江中域科技股份有限公司 | 一种膜内贴标机用膜自动转移设备 |
CN110034053B (zh) * | 2019-05-09 | 2024-08-16 | 深圳源明杰科技股份有限公司 | 电子标签封装设备 |
CN112644836A (zh) * | 2020-12-14 | 2021-04-13 | 泸州韶光智造科技有限公司 | 一种标签剥离方法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9139221A (ja) * | 2007-12-06 | 2009-06-25 | Yokogawa Electric Corp | オートハンドラ |
Family Cites Familie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7329945A (ja) * | 1994-04-07 | 1995-12-19 | Sumitomo Rubber Ind Ltd | チケット貼付装置 |
JPH08217036A (ja) * | 1995-02-17 | 1996-08-27 | Tec Corp | ラベル剥離装置 |
KR100659821B1 (ko) * | 2004-06-21 | 2006-12-19 |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 자동 라벨접착장치 |
JP4778498B2 (ja) * | 2007-11-26 | 2011-09-21 | 日東電工株式会社 | ラベル貼付け方法およびラベル貼付け装置 |
-
2014
- 2014-10-23 KR KR1020140144083A patent/KR102246410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9139221A (ja) * | 2007-12-06 | 2009-06-25 | Yokogawa Electric Corp | オートハンドラ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047765A (ko) | 2016-05-0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246410B1 (ko) | 전자부품 라벨링 장비 | |
KR102419371B1 (ko) | 전자 태그 커팅 장치 | |
JP6525943B2 (ja) | 巻回装置 | |
US8833423B2 (en) | Film attachment apparatus and attachment method | |
CN102773878A (zh) | 一种全自动ic卷带的检测方法及其检测设备 | |
KR20170114198A (ko) | 캐리어 테이프를 이용한 반도체 소자 포장장치 | |
CN205364826U (zh) | 一种全自动丝网印刷机 | |
KR102648333B1 (ko) | 라벨 처리 장치 | |
KR102165401B1 (ko) | 전자부품 케이싱 및 라벨링 장비 | |
CN109366567A (zh) | 自动品检机以及其控制方法 | |
CN110860806B (zh) | 一种紫外飞秒激光切割系统 | |
JP2017037910A (ja) | 半導体ウエハの搬送方法および半導体ウエハの搬送装置 | |
KR20160047781A (ko) | 전자부품 라벨링 장비 | |
TWI508212B (zh) | 雙面黏著帶貼附方法及雙面黏著帶貼附裝置 | |
KR102386966B1 (ko) | 전자부품 라벨링장치 | |
KR102170801B1 (ko) | 라벨 자동 융착 장치 | |
US9138835B2 (en) | X-ray processing device and X-ray processing method | |
TWI548026B (zh) | Electronic components handling unit and its application equipment | |
CN114126228B (zh) | 收板机、上pin针包胶及收板一体化生产设备 | |
KR101906820B1 (ko) | 오토 릴 체인저 | |
KR101831292B1 (ko) | 박스 자동 랩핑 장치 | |
CN214150953U (zh) | 一种电子标签的检测设备 | |
CN211518565U (zh) | 供料系统及具有其的成型机 | |
CN209289385U (zh) | 自动品检机 | |
CN206139999U (zh) | 一种磁头熔焊机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AMND | Amendment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AMND | Amendment | ||
X701 |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