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38042A - 고정프레임을 구비한 필름 재단 장치 - Google Patents

고정프레임을 구비한 필름 재단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38042A
KR20180138042A KR1020170078092A KR20170078092A KR20180138042A KR 20180138042 A KR20180138042 A KR 20180138042A KR 1020170078092 A KR1020170078092 A KR 1020170078092A KR 20170078092 A KR20170078092 A KR 20170078092A KR 20180138042 A KR20180138042 A KR 201801380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fixing plate
unit
fixing
cu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780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곽대용
Original Assignee
곽대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곽대용 filed Critical 곽대용
Priority to KR10201700780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138042A/ko
Publication of KR201801380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3804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5/00Delivering articles from cutting or line-perforating machines; 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cutting or line-perforating devices, e.g. adhesive tape dispensers
    • B65H35/04Delivering articles from cutting or line-perforating machines; 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cutting or line-perforating devices, e.g. adhesive tape dispensers from or with transverse cutters or perfor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7/00Details of apparatu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7/08Means for treating work or cutting member to facilitate cutting
    • B26D7/14Means for treating work or cutting member to facilitate cutting by tensioning the 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7/00Details of apparatu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7/18Means for removing cut-out material or was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16/00Unwinding, paying-out webs
    • B65H16/02Supporting web roll
    • B65H16/021Multiple web roll supports
    • B65H16/023Multiple web roll supports rotat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16/00Unwinding, paying-out webs
    • B65H16/02Supporting web roll
    • B65H16/021Multiple web roll supports
    • B65H16/023Multiple web roll supports rotatable
    • B65H16/024Turr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0Registering, tensioning, smoothing or guiding webs
    • B65H23/04Registering, tensioning, smoothing or guiding webs longitudinally
    • B65H23/26Registering, tensioning, smoothing or guiding webs longitudinally by transverse stationary or adjustable bars or 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7/00Details of apparatu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2007/0012Details, accessories or auxiliary or special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D2007/0018Trays, reservoirs for waste, chips or cut produ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40Type of handling process
    • B65H2301/41Winding, unwinding
    • B65H2301/413Supporting web roll
    • B65H2301/4139Supporting means for several ro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50Auxiliary process performed during handling process
    • B65H2301/51Modifying a characteristic of handled material
    • B65H2301/515Cutting handled material
    • B65H2301/5151Cutting handled material transversally to feeding dir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8/00Specific machines
    • B65H2408/20Specific machines for handling web(s)
    • B65H2408/24Specific machines for handling web(s) unwinding machines
    • B65H2408/241Turre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10Handled articles or webs
    • B65H2701/17Nature of material
    • B65H2701/175Plastic
    • B65H2701/1752Polymer film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Cutt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수의 필름롤이 각각 삽입되는 복수의 필름롤러가 구비되고, 상기 복수의 필름롤러에서 어느 하나의 필름롤의 필름을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필름 공급유닛; 상기 필름 공급유닛과 인접하게 위치되고, 상기 필름 공급유닛에서 공급된 필름을 재단하는 재단유닛; 상기 필름 공급유닛에서 공급된 필름을 상기 재단유닛으로 이송하는 필름 이송유닛; 및 상기 재단유닛의 하부에 위치되며, 상기 재단유닛에서 재단된 필름을 제 1 필름과 제 2 필름으로 구별하여 수용하는 수용유닛을 포함하는 필름 재단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고정프레임을 구비한 필름 재단 장치{APPARATUS FOR CUTTING FILM INCLUDING FIXING FRAME}
본 발명은 필름 재단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고정프레임을 구비하여 복수의 필름롤을 고정할 수 있는 필름 재단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보호 목적이나 기능을 목적으로 다양한 제품에 필름을 부착한다. 이러한 필름들은 부착하는 제품에 따라 크기 및 형상이 상이하며, 목적에 따라 사용되는 필름의 종류도 다양하다.
종래의 필름 재단 장치는 사용자가 직접 용도에 맞는 필름을 선정하여 필름 재단 장치에 거치한 후 재단하였다.
따라서 다른 종류의 필름을 재단하여야 할 때에는, 사용했던 필름을 제거하고 다른 종류의 필름으로 교체하여 재단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이러한 교체 작업 공정은 긴 작업시간을 요구하게 되고, 이로 인하여 작업능률이 저하되는 문제점으로 이어진다.
또한, 재단되고 버려지는 나머지 필름들의 수거가 별로도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에 나머지 필름과 재단된 필름이 서로 뒤섞이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한편, 본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743968호에 개시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작업능률을 높이고, 재단된 필름을 분리하여 수거할 수 있는 필름 재단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필름 재단 장치는, 복수의 필름롤이 각각 삽입되는 복수의 필름롤러가 구비되고, 상기 복수의 필름롤러에서 어느 하나의 필름롤의 필름을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필름 공급유닛과, 상기 필름 공급유닛과 인접하게 위치되고, 상기 필름 공급유닛에서 공급된 필름을 재단하는 재단유닛과, 상기 필름 공급유닛에서 공급된 필름을 상기 재단유닛으로 이송하는 필름 이송유닛과, 상기 재단유닛의 하부에 위치되며, 상기 재단유닛에서 재단된 필름을 제 1 필름과 제 2 필름으로 구별하여 수용하는 수용유닛을 포함한다.
상기 필름 공급유닛은 상기 각 필름롤러의 일단을 안착시킬 수 있도록, 곡면의 고정홈이 원판의 외측에 일정한 간격으로 복수개가 형성된 제 1 고정판과, 상기 제 1 고정판과 이격되게 배치되고, 상기 각 필름롤러의 타단을 안착시킬 수 있도록, 곡면의 고정홈이 원판의 외측에 일정한 간격으로 복수개가 형성된 제 2 고정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필름 공급유닛은, 상기 제 1 고정판과 상기 제 2 고정판의 일측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필름 공급유닛의 회전축이 되는 회전봉과, 상기 제 1 고정판과 상기 제 2 고정판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되어, 상기 제 1 고정판과 상기 제 2 고정판을 회전시키는 손잡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고정판 및 상기 제 2 고정판에는 각각, 상기 고정홈의 일측에 힌지 결합되고, 상기 고정홈에 안착된 상기 각 필름롤러를 감싸는 방향으로 회전되어, 상기 제 1 고정판 및 상기 제 2 고정판에 상기 필름롤러를 장착하는 고정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필름 공급유닛은, 상기 회전봉과 결합되는 지지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플레이트에 형성된 관통홈에는 상기 제 1 고정판 및 상기 제 2 고정판의 회전을 선택적으로 제한하는 고정핀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고정핀은 제 2 탄성부재와 결합되어 상기 관통홈에서 왕복이동이 가능할 수 있다.
상기 필름 이송유닛은, 상기 필름 공급유닛과 상기 재단유닛 사이에 위치되고, 이송되는 상기 필름의 텐션을 유지하는 텐션조절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텐션조절부는, 내부에 이동경로가 각각 형성되고, 서로 이격된 제 1 플레이트 및 제 2 플레이트와, 상기 이동경로에 양단이 삽입되며 이동되는 필름에 텐션을 제공하는 자중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재단유닛은, 필름을 재단하는 재단부와, 상기 재단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용유닛은, 상기 제 1 필름이 적재되는 수용케이스와 상기 제 2 필름이 회수되는 회수가이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수가이드부는, 상기 재단유닛을 지지하는 지지프레임에 회동 가능하도록 설치된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에 연결되고, 상기 지지대가 회전할 때, 권출되는 가이드시트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필름 재단 장치에 의하면, 필름 교체 공정을 줄여 작업시간이 감소되고 그로 인하여 작업능률이 향상된다.
또한, 재단된 필름과 나머지 필름이 뒤섞이는 것이 효과적으로 방지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필름 재단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필름 재단 장치의 필름 공급유닛 일부를 우측에서 도시한 것이고,
도 3은 도 1의 필름 재단 장치의 제 1 고정판 또는 제 2 고정판의 평면도 이고,
도 4는 도 1의 필름 재단 장치의 필름 이동 경로를 단면도로 도시한 것이고,
도 5는 도 1의 필름 재단 장치의 고정핀의 동작을 도시한 것이고,
도 6은 도 1의 필름 재단 장치의 텐션조절부의 이동 동작을 도시한 것이고,
도 7은 도 6의 텐션조절부의 이동경로 각도에 따른 텐션 변화를 설명하기 위한 도 6 'B'의 확대도이고,
도 8a 내지 8d는 도 1의 필름 재단 장치의 회수가이드부 시트 권출 동작을 도시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필름 재단 장치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필름 재단 장치의 전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필름 재단 장치의 필름 공급유닛 일부를 우측에서 도시한 것이고, 도 3은 도 1의 필름 재단 장치의 제 1 고정판 또는 제 2 고정판의 평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필름 재단 장치(100)는, 필름 공급유닛(110)과, 재단유닛(120)과, 이송유닛(130)과, 수용유닛(140)을 포함한다.
필름 공급유닛(110)은 다양한 종류의 필름(11)이 각각 롤링된 복수의 필름롤(10)을 수용할 수 있다.
이러한 필름 공급유닛(110)은 제 1 고정판(111), 제 2 고정판(112), 손잡이(113), 지지플레이트(114), 고정핀(115) 및 고정프레임(117)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고정판(111)은 원판(Circular plate) 형상이고, 원판(Circular plate)의 외측에는 설정된 간격으로, 복수의 곡면의 고정홈(111b)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 1 고정판(111)의 각 곡면의 고정홈(111b)에는 필름롤러(116)의 일단이 안착될 수 있다.
필름롤러(116)에는 복수의 필름롤(10)이 각각 삽입될 수 있다.
제 2 고정판(112)은 원판(Circular plate) 형상이고, 원판(Circular plate)의 외측에는 설정된 간격으로, 복수의 곡면의 고정홈(111b)이 형성될 수 있다.
제 2 고정판(112)의 각 곡면의 고정홈(111b)에는 필름롤러(116)의 타단이 안착된다.
이러한 제 1 고정판(111)과 제 2 고정판(112)은 필름롤러(116)에 의해서 연결되고, 하나 이상의 연결축(118)에 의해 서로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제 1 고정판(111)과 제 2 고정판(112)의 일측에는 각각 회전봉(119)이 결합되고, 회전봉(119)은 제 1 고정판(111)과 제 2 고정판(112)을 지지하는 지지플레이트(114)와 결합된다.
제 1 고정판(111)과 제 2 고정판(112)은 회전봉(119)을 축으로하여 회전할 수 있다.
손잡이(113)는 상기 제 1 고정판(111)과 제 2 고정판(112)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되며, 사용자는 손잡이(113)를 이용하여 필름 공급유닛(110)을 회전시킬 수 있다.
제 1 고정판(111)과 제 2 고정판(112)은 필름롤러(116)를 장착하는 각각의 고정프레임(117)을 포함한다.
고정프레임(117)은 고정편(117a)와 걸림핀(117c)과 제 1 탄성부재(117d)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프레임(117)은 고정홈(111b)의 일측에 힌지 결합된다.
고정프레임(117)이 고정홈(111b)에 안착된 각각의 필름롤러(116)를 감싸는 형태로 회전되면, 고정편(117a)은 필름롤러(116)와 결합된다.
걸림핀(117c)은 고정프레임(117)의 일측에 형성된 이동홈(117b)에 장착될 수 있다.
걸림핀(117c)의 양단은 고정프레임(117)에 결합된 제 1 탄성부재(117d)와 각각 연결될 수 있다.
더 상세히 설명하면, 제 1 탄성부재(117d)는 서로 이격되어 위치하고, 제 1 탄성부재(117d)의 일단은 각각 걸림핀(117c)의 양단에 연결되며, 제 1 탄성부재(117d)의 타단은 고정프레임(117)의 양측에 각각 고정된다.
이러한 걸림핀(117c)은 제 1 탄성부재(117d)의 탄성력을 이용하여 왕복이동이 가능하다.
따라서, 걸림핀(117c)이 제 1 고정판(111)과 제 2 고정판(112)에 형성된 걸림돌출부(111a)와 결합되면, 걸림핀(117c)은 제 1 탄성부재(117d)의 탄성력에 의해 걸림돌출부(111a)와 결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고정프레임(117)은 회전이 제한되고, 필름롤러(116)는 고정프레임(117)에 의해 고정홈(111b)에 장착될 수 있다.
필름 공급유닛(110)과 인접한 위치에는 고정롤봉(150)이 설치될 수 있다.
고정롤봉(150)의 양단은 이격되어 위치된 지지플레이트(114)에 각각 연결된다.
고정롤봉(150)은 필름 공급유닛(110)과 함께 필름롤러(116)에 삽입된 필름롤(10)에서 필름(11)이 권출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재단유닛(120)은 재단부(121)와 전원공급부(122)를 포함할 수 있다.
재단부(121)에서는 필름 공급유닛(110)에서 공급된 필름(11)을 재단할 수 있다.
전원공급부(122)는 재단부(121)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재단유닛(120)은 필름 공급유닛(110)과 인접하게 위치되고, 후술하는 이송유닛(130)에서 이송된 필름(11)이 설정된 형상으로 재단될 수 있다.
이송유닛(130)은 필름 공급유닛(110)과 재단유닛(120)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그리고 이송유닛(130)은 텐션조절부(131)를 포함할 수 있다.
텐션조절부(131)는 제 1 플레이트(1311)와, 제 2 플레이트(1312)와, 자중롤러(1313)를 포함할 수 있다. (도 6 참조)
제 1 플레이트(1311) 및 제 2 플레이트(1312)는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고, 제 1 플레이트(1311)와 제 2 플레이트(1312)의 내부에는 각각 이동경로(131a)가 형성될 수 있다.
자중롤러(1313)의 양단은 각각 이동경로(131a)에 삽입될 수 있다.
자중롤러(1313)는 자중에 의해 필름(11)에 텐션을 제공할 수 있다.
수용유닛(140)은 수용케이스(141)와 회수가이드부(142)를 포함한다.
수용케이스(141)는 재단유닛(120)의 하단에 위치되고, 수용케이스(141)의 내부에는 적재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수용케이스(141)의 적재공간에는 필름(11)에서 설정된 형상으로 재단된 제 1 필름(11a)이 적재될 수 있다.
회수가이드부(142)는 재단유닛(120)을 지지하는 지지프레임(142c)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회수가이드부(142)에는 필름(11)에서 제 1 필름(11a)을 제외한 나머지인 제 2 필름(11b)이 회수될 수 있다.
또한, 제 1 필름(11a)과 제 2 필름(11b)은 회수가이드부(142)로 함께 회수될 수도 있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은 필름 공급유닛(110)은 복수의 필름롤(10)을 구비할 수 있고, 복수의 필름롤(10)에서 선택적으로 필름(11)을 제공할 수 있어, 필름 재단 장치(100)는 다양한 종류의 필름(11)의 재단시간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제 1 필름(11a)과 제 2 필름(11b)이 각각 분리되어 수용케이스(141)와 회수가이드부(142)에 회수되기 때문에 제 1 필름과(11a)과 제 2 필름(11b)이 서로 섞이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도 4는 도 1의 필름 재단 장치의 필름 이동 경로를 단면도로 도시한 것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름 공급유닛(110)에서 선택된 필름롤(10)의 필름(11)이 권출되고, 공급유닛(110)에서 권출된 필름(11)은 이송유닛(130)을 통하여 재단유닛(120)으로 이송된다.
재단유닛(120)의 후면에는 제전브러쉬(160)가 설치될 수 있다.
제전브러쉬(160)는 이송유닛(130)을 통하여 재단유닛(120)으로 이송된 필름(11)의 정전기를 흡수하여 제거할 수 있다.
정전기가 제거된 필름(11)은 재단유닛(120)을 통하여 재단된 후, 제 1 필름(11a)과 제 2 필름(11b)으로 나뉘어진다. 그리고 제 1 필름(11a)은 재단유닛(120) 하단에 위치된 수용케이스(141)에 적재되고, 제 2 필름(11b)은 회수가이드부(142)를 통해 별도로 회수된다.
또한, 제 1 필름(11a)과 제 2 필름(11b)은 회수가이드부(142)로 함께 회수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제 1 필름(11a)은 수용케이스(141)에 적재되고, 제 2 필름(11b)은 회수가이드부(142)를 통해 회수되므로, 설정된 형상으로 재단된 제 1 필름(11a)과 나머지 제 2 필름(11b)이 서로 뒤섞이는 것이 효과적으로 방지될 수 있다.
도 5는 도 1의 필름 재단 장치의 고정핀의 동작을 도시한 것이다.
지지플레이트(114)는 회전봉(119)과 각각 결합된다. (도 2 참조)
또한, 지지플레이트(114)는 일측에 관통홈(114a)이 형성된다.
그리고 관통홈(114a)에는 고정핀(115)이 장착될 수 있다. 고정핀(115)은 관통홈(114a)을 통해 이동할 수 있다.
고정핀(115)은 원기둥 형상의 일측면에, 또 다른 원기둥 형상의 제 1 돌출부(115b)가 형성되고, 제 1 돌출부(115b)의 직각 방향으로 제 2 돌출부(115c)가 더 형성되어 십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제 1 돌출부(115b)에는 제 2 탄성부재(115a)가 결합된다.
이러한 결합으로 인하여 고정핀(115)은 제 2 탄성부재(115a)의 탄성력을 통해 왕복 이동할 수 있다.
제 1 고정판(111) 및 제 2 고정판(112) 중 어느 하나에는 일측에 고정핀홈(111c)이 형성된다.
고정핀(115)은 관통홈(114a)을 통과하여 고정핀홈(111c)과 결합될 수 있다.
더 상세히 설명하면, 고정핀(115)이 지지플레이트(114)의 관통홈(114a)을 통하여 전진되면 고정핀(115)의 제 1 돌출부(115b)가 고정핀홈(111c)과 결합하여 고정되고, 제 1 고정판(111)과 제 2 고정판(112)이 회전되는 것이 제한될 수 있다.
한편, 고정핀(115)이 후진 후 회전되어 제 2 돌출부(115c)가 지지플레이트(114)에 간섭되면, 고정핀(115)의 제 1 돌출부(115b)는 고정핀홈(111c)으로부터 이격되고, 제 1 고정판(111)과 제 2 고정판(112)은 회전봉(119)을 축으로 하여 회전될 수 있다.
이렇게 고정핀(115)의 동작에 의해 필름 공급유닛(110)의 회전은 선택적으로 제한될 수 있다.
도 6은 도 1의 필름 재단 장치의 텐션조절부의 이동 동작을 도시한 것이고, 도 7은 도 6의 텐션조절부의 이동경로 각도에 따른 텐션 변화를 설명하기 위한 도 6 'B'의 확대도이다.
제 1 플레이트(1311)와 제 2 플레이트(1312)는 서로 이격되어 위치되고, 내부에 이동경로(131a)가 형성될 수 있다.
이동경로(131a)를 따라 자중롤러의(1313)의 양단이 상하 또는 경사진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자중롤러(1313)의 외면에는 중앙부가 개통된 원기둥 형상의 스펀지(131b)가 구비되어, 자중롤러(1313)가 필름(11)에 텐션을 가할 때 필름(11)의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
자중롤러(1313)가 이동경로(131a)를 따라 이동할 때, 이동경로(131a)의 경사면과의 마찰력에 의해 자중롤러(1313)가 필름(11)에 제공하는 텐션의 크기가 달라질 수 있다.
예컨대, 자중롤러(1313)가 이동경로(131a)의 경사각이 제 1 경사각(θ1)일 경우 자중롤러(1313)가 필름(11)에 제공하는 텐션은 T1이고, 자중롤러(1313)가 이동경로(131a)의 경사각이 제 2 경사각(θ2)일 경우 자중롤러(1313)가 필름(11)에 제공하는 텐션은 T1이다.
여기서 제 1 경사각은 제 2 경사각보다 작은 값을 의미하고, 따라서 T1은 T2 보다 작다.
따라서, 이동경로(131a)의 경사각이 작을수록 자중롤러(1313)가 필름(11)에 제공하는 텐션은 작아지고, 이동경로(131a)의 경사각이 커질수록 자중롤러(1313)가 필름(11)에 제공하는 텐션은 커진다.
상술한 바와 같은 자중롤러(1313)가 이동경로(131a)의 상하 또는 경사를 따라 이동하면서, 필름(11)이 필요로 하는 다양한 크기의 텐션을 필름(11)에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자중롤러(1313)는 이동경로(131a)의 하단에 고정되어 위치할 수 있다.
도 8a내지 8d는 도 1의 필름 재단 장치의 회수가이드부 시트 권출 동작을 도시한 것이다.
회수가이드부(142)는 지지대(142a)와 가이드시트(142b)를 포함한다.
지지대(142a)는 재단유닛(120)을 지지하는 지지프레임(142c)에 회동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지지대(142a)가 회전하면서 가이드시트(142b)가 권출된다.
권출된 가이드시트(142b)는 재단유닛(120)에서 재단된 제 2 필름(11b)이 구분되어 회수될 수 있도록 가이드할 수 있다.
또한, 제 1 필름(11a)과 제 2 필름(11b)은 회수가이드부(142)로 함께 회수될 수도 있다.
이렇게 제 1 필름(11a)은 재단유닛(120) 하단에 위치된 수용케이스(141)에 적재되고, 제 2 필름(11b)은 회수가이드부(142)를 통해 별도로 회수되므로 제 1 필름(11a)과 제 2 필름(11b)이 서로 뒤섞이는 것이 효과적으로 방지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적용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그리고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필름 재단 장치
110: 필름 공급유닛
111: 제 1 고정판
112: 제 2 고정판
113: 손잡이
114: 지지플레이트
115: 고정핀
117: 고정프레임
120: 재단유닛
130: 이송유닛
131: 텐션조절부
1313: 자중롤러
140: 수용유닛
141: 수용케이스
142: 회수가이드부

Claims (11)

  1. 복수의 필름롤이 각각 삽입되는 복수의 필름롤러가 구비되고, 상기 복수의 필름롤러에서 어느 하나의 필름롤의 필름을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필름 공급유닛;
    상기 필름 공급유닛과 인접하게 위치되고, 상기 필름 공급유닛에서 공급된 필름을 재단하는 재단유닛;
    상기 필름 공급유닛에서 공급된 필름을 상기 재단유닛으로 이송하는 필름 이송유닛; 및
    상기 재단유닛의 하부에 위치되며, 상기 재단유닛에서 재단된 필름을 제 1 필름과 제 2 필름으로 구별하여 수용하는 수용유닛을 포함하는 필름 재단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필름 공급유닛은,
    상기 각 필름롤러의 일단을 안착시킬 수 있도록, 곡면의 고정홈이 원판의 외측에 일정한 간격으로 복수개가 형성된 제 1 고정판과,
    상기 제 1 고정판과 이격되게 배치되고, 상기 각 필름롤러의 타단을 안착시킬 수 있도록, 곡면의 고정홈이 원판의 외측에 일정한 간격으로 복수개가 형성된 제 2 고정판을 포함하는 필름 재단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필름 공급유닛은,
    상기 제 1 고정판과 상기 제 2 고정판의 일측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필름 공급유닛의 회전축이 되는 회전봉과,
    상기 제 1 고정판과 상기 제 2 고정판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되어, 상기 제 1 고정판과 상기 제 2 고정판을 회전시키는 손잡이를 더 포함하는 필름 재단 장치.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 1 고정판 및 제 2 고정판에는 각각, 상기 고정홈의 일측에 힌지 결합되고, 상기 고정홈에 안착된 상기 각 필름롤러를 감싸는 방향으로 회전되어, 상기 제 1 고정판 및 상기 제 2 고정판에 상기 필름롤러를 장착하는 고정프레임을 포함하는 필름 재단 장치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필름 공급유닛은,
    상기 회전봉과 결합되는 지지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플레이트에 형성된 관통홈에는 상기 제 1 고정판 및 상기 제 2 고정판의 회전을 선택적으로 제한하는 고정핀이 구비된 필름 재단 장치.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고정핀은 제 2 탄성부재와 결합되어 상기 관통홈에서 왕복이동이 가능한 필름 재단 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필름 이송유닛은,
    상기 필름 공급유닛과 상기 재단유닛 사이에 위치되고, 이송되는 상기 필름의 텐션을 유지하는 텐션조절부를 포함하는 필름 재단 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텐션조절부는,
    내부에 이동경로가 각각 형성되고, 서로 이격된 제 1 플레이트 및 제 2 플레이트와,
    상기 이동경로에 양단이 삽입되며 이동되는 필름에 텐션을 제공하는 자중롤러를 포함하는 필름 재단 장치.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재단유닛은,
    필름을 재단하는 재단부와,
    상기 재단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를 포함하는 필름 재단 장치.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용유닛은,
    상기 제 1 필름이 적재되는 수용케이스와,
    상기 제 2 필름이 회수되는 회수가이드부를 포함하는 필름 재단 장치.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회수가이드부는,
    상기 재단유닛을 지지하는 지지프레임에 회동 가능하도록 설치된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에 연결되고, 상기 지지대가 회전할 때, 권출되는 가이드시트를 포함하는 필름 재단 장치.










KR1020170078092A 2017-06-20 2017-06-20 고정프레임을 구비한 필름 재단 장치 KR2018013804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8092A KR20180138042A (ko) 2017-06-20 2017-06-20 고정프레임을 구비한 필름 재단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8092A KR20180138042A (ko) 2017-06-20 2017-06-20 고정프레임을 구비한 필름 재단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8042A true KR20180138042A (ko) 2018-12-28

Family

ID=650088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78092A KR20180138042A (ko) 2017-06-20 2017-06-20 고정프레임을 구비한 필름 재단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138042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972380A (zh) * 2019-04-23 2019-07-05 金陵科技学院 一种服装生产用面料裁剪装置
KR102082715B1 (ko) * 2019-09-09 2020-02-28 진애평 필름롤 재단용 선반 장치
KR102147494B1 (ko) * 2020-02-24 2020-08-24 류준상 롤 스크린용 원단/시트/필름 검단장치
KR102289583B1 (ko) 2020-03-10 2021-08-12 임병길 틴팅 필름 재단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972380A (zh) * 2019-04-23 2019-07-05 金陵科技学院 一种服装生产用面料裁剪装置
KR102082715B1 (ko) * 2019-09-09 2020-02-28 진애평 필름롤 재단용 선반 장치
KR102147494B1 (ko) * 2020-02-24 2020-08-24 류준상 롤 스크린용 원단/시트/필름 검단장치
KR102289583B1 (ko) 2020-03-10 2021-08-12 임병길 틴팅 필름 재단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138042A (ko) 고정프레임을 구비한 필름 재단 장치
US7894763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KR20180003672U (ko) 롤러락을 구비한 필름 재단 장치
JPS60148432A (ja) リールの供給ホルダを備えた包装装置
KR101809835B1 (ko) 테이프 디스펜서 및 테이프 접이방법
JPH0462979B2 (ko)
KR101267519B1 (ko) 테이프 접착장치
JP2004292158A (ja) プリンタのロール紙支持装置
JP2015006734A (ja) 印刷装置
JP6578346B2 (ja) テープフィーダのリール保持装置
JP2014034090A (ja) テープ研磨装置のテープ交換冶具およびテープ交換方法
JP4721484B2 (ja) 壁紙裁断装置
JP3178872B2 (ja) 連続帳票の供給用治具
CN212289228U (zh) 一种自动装载打印卷纸的宽幅打印机
JP2004122495A (ja) サーマルプリンタのサーマルヘッド位置決め装置
JP2019004037A (ja) リール保持装置
JP4143813B2 (ja) 自動壁紙糊付機
JPH11254528A (ja) シートカセット
JP4080216B2 (ja) 断裁面マーキング装置
CN209851027U (zh) 一种保护膜开料装置
JPH0745067U (ja) カッティング機における供給装置
JPH11116109A (ja) 画像形成装置
JP2018032801A (ja) テープフィーダのリール保持装置
JPS61185474A (ja) 印字装置の記録紙供給装置
JP6017862B2 (ja) クロス受け板及び該クロス受け板を収納する自動壁紙糊付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