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89583B1 - 틴팅 필름 재단장치 - Google Patents

틴팅 필름 재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89583B1
KR102289583B1 KR1020200029585A KR20200029585A KR102289583B1 KR 102289583 B1 KR102289583 B1 KR 102289583B1 KR 1020200029585 A KR1020200029585 A KR 1020200029585A KR 20200029585 A KR20200029585 A KR 20200029585A KR 102289583 B1 KR102289583 B1 KR 1022895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nting film
cutting
tinting
film
sta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295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병길
Original Assignee
임병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병길 filed Critical 임병길
Priority to KR10202000295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8958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95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95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5/00Delivering articles from cutting or line-perforating machines; 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cutting or line-perforating devices, e.g. adhesive tape dispensers
    • B65H35/04Delivering articles from cutting or line-perforating machines; 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cutting or line-perforating devices, e.g. adhesive tape dispensers from or with transverse cutters or perfor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16/00Unwinding, paying-out webs
    • B65H16/02Supporting web roll
    • B65H16/08Supporting web roll parallel rollers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0Registering, tensioning, smoothing or guiding webs
    • B65H23/02Registering, tensioning, smoothing or guiding webs transversely
    • B65H23/022Registering, tensioning, smoothing or guiding webs transversely by tentering devices
    • B65H23/025Registering, tensioning, smoothing or guiding webs transversely by tentering devices by rollers
    • B65H23/0251Registering, tensioning, smoothing or guiding webs transversely by tentering devices by rollers with a straight ax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50Auxiliary process performed during handling process
    • B65H2301/51Modifying a characteristic of handled material
    • B65H2301/515Cutting handled material
    • B65H2301/5151Cutting handled material transversally to feeding dir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10Handled articles or webs
    • B65H2701/17Nature of material
    • B65H2701/175Plastic
    • B65H2701/1752Polymer film

Landscapes

  • Control Of Cutting Proce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 유리창에 부착하는 틴팅 필름을 자동으로 재단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전동식으로 승강되는 스탠드(100)와, 상기 스탠드(100) 위에 안치되는 커팅 플로터(200)와, 상기 커팅 플로터(200)의 후방에 설치되는 틴팅 필름 안치대(300);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고, 상기 스탠드(100)는 조작부(110)에 의해 신축되면서 상기 커팅 플로터(200)와 틴팅 필름 안치대(300)의 높낮이를 조절하여 커팅된 틴팅 필름(F)이 수직으로 드리워진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여 커팅된 틴팅 필름(F)의 오염이나 손상이 발생하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작업자가 허리를 곧게 편 상태에서 틴팅 필름(F)을 떼어내는 작업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Description

틴팅 필름 재단장치{Cutting apparatus for tinting film}
본 발명은 자동차 유리창에 부착하는 틴팅 필름을 자동으로 재단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세히는 커팅 플로터가 스탠드 위에서 수동 또는 전동식으로 높낮이조절이 이루어져 틴팅 필름 재단시 커팅 플로터가 충분한 높이로 상승하여 커팅된 틴팅 필름이 바닥에 닿지 않도록 따로 받쳐주지 않아도 되고, 재단된 틴팅 필름을 떼어내는 작업도 허리를 곧게 편 상태에서 가능하도록 하여 작업효율을 높이고 작업자의 피로를 경감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사람에게는 선글라스가 필요하듯이 자동차의 유리창에도 선글라스와 같은 효과를 거둘 수 있도록 틴팅 필름(tinting film)을 부착하여 사용하고 있는데, 이는 자외선과 태양열을 차단하여 운전자와 탑승자를 보호하기 위함이다.
즉, 틴팅 필름은 운전자 및 탑승자의 피부와 눈을 보호하면서 자동차 내부의 가죽과 기기들이 손상을 입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하고 있는데, 피부가 자외선에 오랜시간 노출될 경우 기미와 주근깨가 생기고 심각할 경우 피부암에 걸릴 위험도 있는바, 틴팅 필름은 창문을 통해 들어오는 자외선을 차단해 운전자의 피부를 보호해주며, 운전자의 시야 확보에도 도움을 주는데, 창문을 통해 들어오는 빛을 적정하게 반사해 빛의 번짐현상을 방지해주어 편안하게 운전할 수 있도록 해주는 역할도 한다.
이외에도 운전자의 프라이버시를 보호해주고, 자동차 내부에 어떤 물건이 있는지도 쉽게 보이지 않도록 하여 도난의 패해도 줄여줄 수 있는 부수적인 효과도 있다.
최근에는 차종에 따라 유리창의 크기와 형태에 대한 데이터를 방대하게 축적하여 원하는 틴팅 필름을 선택하고 차종만 입력하게 되면 자동으로 재단해주는 커팅 플로터를 사용하여 틴팅 필름을 재단하고 있는데, 이에 관련된 종래기술로는 특허문헌 1 및 2 등이 개시되어 있다.
한편, 특허문헌 1,2에는 커팅 플로터가 스탠드 위의 정위치에 비교적 낮게 고정된 상태로 사용되고 있어서 틴팅 필름이 대체로 2m정도의 길이로 재단되어 나오면서 하방으로 늘어져 바닥에 닿게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받침 스크린(회수가이드)을 사선방향으로 펼쳐주어야 했었으며, 재단된 틴팅 필름이 경사진 받침 스크린 위에 펼쳐지면서 받침 스크린에 묻은 먼지나 이물질로 오염되거나 구겨질 우려가 있었을 뿐만 아니라, 재단이 종료된 후 받침 스크린 위에 펼쳐진 틴팅 필름에서 재단된 필름을 떼어내는 작업시 자세가 구부정하게 되어 허리의 피로가 가중되게 되는 등의 문제점도 있었고, 커팅 플로터를 거친 틴팅 필름에 정전기가 발생하여 받침 스크린에 달라붙게 되는 상황이 발생하기도 하였다.
특허문헌 3,4도 필름 재단장치에 관련된 기술이긴 하지만 본원발명과 같은 틴팅 필름을 재단하는 용도는 아니며, 높낮이를 조절하거나 틴팅필름의 훼손을 방지하기 위한 기술에 해당되지는 않는다.
한국공개실용 제20-2018-0003672호(2018.12.28.공개) 한국공개특허 제10-2018-0138042호(2018.12.28.공개) 한국등록특허 제10-0743968호(2007.07.24.등록) 한국등록특허 제10-1737416호(2017.05.12.등록)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자동차 유리창에 부착하는 틴팅 필름을 자동으로 재단하는 장치에 있어서, 재단된 틴팅 필름을 따로 받쳐주지 않고도 커팅 플로터가 충분한 높이로 상승가능하도록 하여 틴팅 필름이 수직으로 매달린 상태를 유지하도록 함으로써 틴팅 필름의 오염이나 손상이 발생하지 않으면서도 허리를 곧게 편 상태에서 재단된 틴팅 필름을 떼어낼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재단작업의 효율성을 높임과 동시에 작업자의 피로도를 경감시킬 수 있으며, 협소한 공간에도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는 개선된 구조를 갖는 틴팅 필름 재단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또, 커팅 플로터에서 Y방향으로 이송되는 틴팅 필름이 거의 무부하상태로 이송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틴팅 필름의 틀어짐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고, 틴팅 필름의 좌우측단 근처에서 커팅헤드가 재단을 할 때 틴팅필름의 외곽이 내측으로 당겨지지 않도록 하여 정확한 치수로 재단이 가능하도록 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는 수동 또는 전동식으로 승강되는 스탠드와, 상기 스탠드 위에 안치되는 커팅 플로터와, 상기 커팅 플로터의 후방에 설치되는 틴팅 필름 안치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스탠드는 조작부에 의해 신축되면서 상기 커팅 플로터의 높낮이를 조절하여 커팅된 틴팅 필름이 수직으로 드리워진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여 커팅된 틴팅 필름의 오염이나 손상이 발생하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허리를 편 상태에서 틴팅 필름을 떼어내는 작업이 가능하도록 된 틴팅 필름 재단장치를 제공한다.
바람직한 실시 예에서, 상기 틴팅 필름 안치대에는 롤 상태로 말린 틴팅 필름을 거치하기 위한 2개의 거치 롤러가 구비되고, 상기 일측 거치롤러에는 틴팅 필름을 미리 풀어주거나 감기 위한 핸들이 부착되어 틴팅 필름을 미리 충분한 길이로풀어 준 상태에서 커팅 플로터로 공급되도록 하고, 상기 커팅 플로터에는 틴팅 필름의 폭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핀치롤러가 배치되되 상기 틴팅 필름의 좌우측단에는 설치된 핀치롤러는 내측의 핀치롤러보다 폭이 넓은 광폭롤러가 배치되어 커팅헤드에 의한 커팅시 틴팅 필름이 내측으로 몰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틴팅 필름 재단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하면 재단된 틴팅 필름을 별도로 받쳐주기 위한 스크린 등이 필요없고, 재단된 틴팅 필름은 수직으로 드리워진 상태를 이루고 있으므로 협소한 공간에 설치하여 사용하는 것이 가능함은 물론, 틴팅필름이 바닥에 닿거나 기타 스크린 등에 접촉하지 않으므로 오염이나 손상이 발생할 우려가 없으며, 작업자가 허리를 곧게 편 상태에서 재단된 틴팅 필름을 떼어낼 수 있으므로 작업의 피로도가 낮으며 틴팅작업의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등의 유용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틴팅 필름 재단장치의 전면부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틴팅 필름 재단장치의 배면부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틴팅 필름 재단장치의 정면도,
도 4는 스탠드가 신장되어 커팅 플로터가 상승된 상태에서 틴팅 필름이 재단되는 것을 도시한 전면부 사시도,
도 5는 도 4의 상태를 도시한 배면부 사시도,
도 6은 도 4의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7은 작업자가 틴팅 필름을 떼어내는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한정하지 않는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7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틴팅 필름 재단장치(1)가 개시되어 있는데, 이는 전동식으로 승강되는 스탠드(100)와, 상기 스탠드(100) 위에 안치되는 커팅 플로터(200)와, 상기 커팅 플로터(200)의 후방에 설치되는 틴팅 필름 안치대(300)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스탠드(100)는 조작부(110)에 의해 신축되면서 상기 커팅 플로터(200)와 틴팅 필름 안치대(300)의 높낮이를 조절하여 커팅된 틴팅 필름(F)이 수직으로 드리워진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여 커팅된 틴팅 필름(F)의 오염이나 손상이 발생하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작업자가 허리를 곧게 편 상태에서 틴팅 필름(F)을 떼어내는 작업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스탠드(100)는 하단부(120), 중간부(130) 및 상단부(140)로 구성되어 있고, 하단부(120)는 바닥에 안정적으로 세워져 있음과 아울러 이동이 용이하도록 바퀴가 달린 수평대(122)의 상부에 수직 아암(124)이 세워져 있고, 이 수직 아암(124)의 위에 중간부(130)와 상단부(140)가 텔레스코픽 방식으로 신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되어 있는데, 이는 상단부(140)측에 구비된 액추에이터(142)에 의해 상기 텔레스코픽 아암 즉, 수직 아암(124)과 이 수직 아암(124)에 신축식으로 결합된 중간부(130)와 상단부(140)가 신축되면서 상단부(140)에 안치된 커팅 플로터(200)와 틴팅 필름 안치대(300)가 승강동작하도록 되어 있다.
상술한 스탠드(100)의 텔레스코픽 방식의 신축작동 메커니즘은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자명한 사항이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도시와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다만, 상기 스탠드(100)는 조작부(110)에서 상승 및 하강 높이를 임의로 설정하여 세팅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바, 이는 작업자의 키(신장)에 따라 조작부를 조작하거나 틴팅 필름(F)을 안치하기 위한 적정한 높이에 맞추거나 주로 작업하는 차종에 따른 틴팅 필름의 인출길이 등을 감안하여 세팅하면 된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커팅 플로터(200)를 점검하거나 조작부(110)를 조작하거나 또는 틴팅 필름(F) 롤을 교체하는 작업 등을 할 경우에는 도 1 내지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탠드(100)의 길이(높이)를 줄여 낮게 위치하도록 한 상태에서 편리하게 작업할 수 있고, 틴팅 필름을 재단할 경우에는 도 4 내지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탠드(100)의 길이(키)를 늘려 높게 위치하도록 한 상태에서 작업하도록 함으로써 재단된 틴팅 필름이 공중에 수직으로 드리워지도록 하여 틴팅 필름의 오염이나 훼손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고, 재단이 종료되면 수직으로 드리워진 상태의 틴팅 필름(F)에서 낱개로 절단된 틴팅 필름(F')을 떼어내는 작업을 허리를 곧게 편 상태에서 간편하게 할 수 있으므로 피로를 경감할 수 있음은 물론 종래와 같이 받침 스크린 등을 펼쳐주는 작업을 하지 않아도 되며, 재단장치를 협소한 공간에 비치한 상태에서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게 된다.
상기 커팅 플로터(200)는 커팅헤드(210)가 X방향으로 이동되고 틴팅 필름(F)이 상부 핀치롤러(220) 및 하부 핀치롤러(도시 생략됨)에 의해 Y방향으로 이송되는 것에 의해 원하는 틴팅 필름(F)을 자유자재로 절단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데, 이와 같은 커팅 플로터(200)의 구조 또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공지된 사항이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다만, 본 실시 예에서는 상기 상부 핀치롤러(220)는 틴팅 필름(F)의 폭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되, 상기 틴팅 필름(F)의 좌우측단에 설치된 핀치롤러는 내측의 핀치롤러보다 폭이 넓은 광폭롤러가 배치되어 커팅헤드(210)의 커팅날에 의한 커팅시 틴팅 필름(F)이 내측으로 몰리지 않고 안정적으로 전후로 이송될 수 있도록 눌러주게 되어 있다.
한편, 상기 광폭으로 이루어진 좌우측단의 핀치롤러(220)는 틴팅 필름(F)의 쏠림을 방지할 수 있도록 금속재질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틴팅 필름 안치대(300)에는 롤 상태로 말려있는 틴팅 필름(F)을 거치하기 위한 2개의 거치 롤러(310,320)가 구비되고, 상기 일측 거치롤러(310)에는 틴팅 필름(F)을 미리 풀어주거나 감기 위한 핸들(312)이 부착되어 있어서 틴팅 필름 롤에서 미리 충분한 여유를 갖도록 틴팅 필름을 풀어서 커팅 플로터(200)의 후방 하부로 처진 상태에서 공급되도록 하여 커팅 플로터(200)의 핀치롤러(220)에서 거의 무부하상태에서 틴팅 필름(F)을 이송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틴팅 필름(F)의 틀어짐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데, 이는 롤 상태의 틴팅 필름을 곧바로 커팅 플로터(200)로 공급하여 이송할 경우, 핀치롤러에서 받게 되는 부하가 커지게 되는 것은 물론 좌우의 균형이 맞지 않을 경우 틴팅 필름이 뒤틀리게 되는 상황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 예의 틴팅필름 재단장치를 사용하여 재단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도 1 내지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탠드가 수축된 상태 즉, 높이를 낮춘 상태에서 커팅 플로터(200)를 세팅하고 틴팅 필름 안치대(300)에 원하는 틴팅 필름(F)을 장착한 후 틴팅 필름(F)을 커팅 플로터(200)에 물리고, 틴팅 필름(F)을 충분히 풀어서 커팅 플로터(200)의 핀치롤러(220)가 회전하여 당기거나 밀어낼 때 거의 무부하 상태에서 좌우로 평행하게 이송이 가능하도록 하면 준비가 완료되면, 조작부(110)를 조작하여 틴팅 필름(F)의 재단길이를 감안하여 미리 세팅된 높이로 커팅 플로터(200)를 상승시키면 된다.
커팅 플로터(200)가 충분한 높이로 상승되면 커팅 플로터(200)에 연결된 컴퓨터의 프로그램에서 키를 누르게 되면 틴팅필름의 자동 재단이 이루어지게 되며, 틴팅 필름(F)은 Y방향으로 이송되면서 X방향으로 이송되는 커팅헤드(210)에 의해 커팅이 이루어지게 된다.
커팅이 완료된 틴팅 필름(F)에는 차종의 유리창 규격에 맞게 재단된 커팅필름 조각(F')이 손으로 떼기 쉽게 파선 상태로 부착되어 있는바, 틴팅 필름(F)은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에 닿지 않고 수직으로 드리워진 상태를 유지하게 되므로 작업자가 허리를 곧게 편 상태에서 재단된 틴팅 필름 조각(F')을 떼어내면 되는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 예에 의한 틴팅 필름 재단장치는 전동 승강식 스탠드에 의해 커팅 플로터의 높낮이가 조절되어 커팅시에는 상승된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커팅된 틴팅 필름이 수직으로 드리워져 별도의 받침 스크린을 펼치지 않아도 틴팅 필름이 오염되거나 훼손되는 문제가 발생하지 않으며, 조작이나 필름 교체시에는 커팅 플로터와 필름 안치대를 낮추어 편한하게 작업할 수 있고, 별도의 받침 스크린 등을 펼치지 않아도 되므로 재단장치를 작업공간이 협소한 장소에 설치하여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며, 재단된 틴팅 필름을 떼어내는 작업도 허리를 곧게 편 상태에서 할 수 있으므로 피로도를 경감시킬 수 있어 작업의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고, 롤 상태로 말린 틴팅 필름을 충분히 풀어서 늘어뜨린 상태에서 공급하고, 좌우측 양단의 핀치롤러는 광폭으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핀치롤러에서 거의 무부하상태로 틴팅 필름이 틀어지지 않도록 공급할 수 있고 커팅헤드에 의한 커팅시 틴팅 필름이 내측으로 밀려들어가지 않으므로 재단의 정확도도 향상시킬 수 있게 되는 등의 향상된 작용 효과를 갖는다.
1 : 틴팅 필름 재단장치
100 : 스탠드
110 : 조작부
120 : 하단부
122 : 수평대
124 : 수직아암
130 : 중간부
140 : 상단부
142 : 액추에이터
200 : 커팅 플로터
210 : 커팅헤드
220 : 핀치롤러
300 : 틴팅 필름 안치대
310,320 : 롤러
212 : 핸들
F : 틴팅 필름
F' : 틴팅 필름 조각

Claims (3)

  1. 수동 또는 전동식으로 승강되는 스탠드(100)와, 상기 스탠드(100) 위에 안치되는 커팅 플로터(200)와, 상기 커팅 플로터(200)의 후방에 설치되는 틴팅 필름 안치대(3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스탠드(100)는 조작부(110)에 의해 신축되면서 상기 커팅 플로터(200)와 틴팅 필름 안치대(300)의 높낮이를 조절하여 커팅된 틴팅 필름(F)이 수직으로 드리워진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여 커팅된 틴팅 필름의 오염이나 손상이 발생하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허리를 편 상태에서 틴팅 필름을 떼어내는 작업이 가능하도록 하고, 상기 틴팅 필름 안치대(300)에는 롤 상태로 말린 틴팅 필름(F)을 거치하기 위한 2개의 거치 롤러(310,320)가 구비되며, 상기 일측 거치롤러(310)에는 틴팅 필름(F)을 미리 풀어주거나 감기 위한 핸들(312)이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틴팅 필름 재단장치.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커팅 플로터(200)에는 틴팅 필름(F)의 폭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핀치롤러(220)가 배치되되 상기 틴팅 필름(F)의 좌우측단에는 설치된 핀치롤러는 내측의 핀치롤러보다 폭이 넓은 광폭롤러가 배치되어 커팅헤드(210)에 의한 커팅시 틴팅 필름(F)이 내측으로 몰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틴팅 필름 재단장치.
KR1020200029585A 2020-03-10 2020-03-10 틴팅 필름 재단장치 KR1022895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9585A KR102289583B1 (ko) 2020-03-10 2020-03-10 틴팅 필름 재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9585A KR102289583B1 (ko) 2020-03-10 2020-03-10 틴팅 필름 재단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89583B1 true KR102289583B1 (ko) 2021-08-12

Family

ID=773144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9585A KR102289583B1 (ko) 2020-03-10 2020-03-10 틴팅 필름 재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89583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494484A1 (en) * 1991-01-09 1992-07-15 Mimaki Engineering Co., Ltd. Roll paper supporting device of cutting plotter
JPH071888A (ja) * 1993-06-16 1995-01-06 Mimaki Eng:Kk プロッタ
JPH08156492A (ja) * 1994-11-29 1996-06-18 Roland D G Kk ロールシート供給方法
JP2004017443A (ja) * 2002-06-14 2004-01-22 Canon Finetech Inc 画像形成装置の支持スタンド機構
KR100743968B1 (ko) 2007-03-13 2007-07-30 손대수 필름제단장치
KR101737416B1 (ko) 2015-05-11 2017-05-18 주식회사 대양기술 필름 고속 절단 장치
KR20180003672U (ko) 2017-06-20 2018-12-28 곽대용 롤러락을 구비한 필름 재단 장치
KR20180138042A (ko) 2017-06-20 2018-12-28 곽대용 고정프레임을 구비한 필름 재단 장치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494484A1 (en) * 1991-01-09 1992-07-15 Mimaki Engineering Co., Ltd. Roll paper supporting device of cutting plotter
JPH071888A (ja) * 1993-06-16 1995-01-06 Mimaki Eng:Kk プロッタ
JPH08156492A (ja) * 1994-11-29 1996-06-18 Roland D G Kk ロールシート供給方法
JP2004017443A (ja) * 2002-06-14 2004-01-22 Canon Finetech Inc 画像形成装置の支持スタンド機構
KR100743968B1 (ko) 2007-03-13 2007-07-30 손대수 필름제단장치
KR101737416B1 (ko) 2015-05-11 2017-05-18 주식회사 대양기술 필름 고속 절단 장치
KR20180003672U (ko) 2017-06-20 2018-12-28 곽대용 롤러락을 구비한 필름 재단 장치
KR20180138042A (ko) 2017-06-20 2018-12-28 곽대용 고정프레임을 구비한 필름 재단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89583B1 (ko) 틴팅 필름 재단장치
WO201920016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placement of windshields for recreational vehicles, charter buses and large trucks
KR101170057B1 (ko) 폐차 해체용 크레인 장치
KR102020734B1 (ko) 복수 원단의 재단이 가능한 연단기
GB2088825A (en) Apparatus for unrolling and cutting a sheet of material
KR100974714B1 (ko) 자동차의 후드 해체용 서브 지그
US5158639A (en) Roll conveyance and attachment/detachment device for applying apparatus
CN114431605A (zh) 一种可延展台面智慧讲台
US4678163A (en) Tire handling apparatus
CN112719446A (zh) 一种全自动铝板锯升降式防护帘
CN217255863U (zh) 一种气涨轴拆装维保用辅助装置
CN217867223U (zh) 一种卷毡分切机
CN215891851U (zh) 一种证券投资管理可移动教学展示装置
CN215389424U (zh) 一种具有防护结构的超净工作台
KR102176112B1 (ko) 자동차 플로워 카페트용 보호필름 공급장치
CN214558354U (zh) 一种高效激光裁切机
CN217992677U (zh) 一种模切机的模切机构
CN220881533U (zh) 一种装潢用管材切割装置
CN213197827U (zh) 一种带有吸尘效果的布料切割机
CN221000313U (zh) 一种工作服加工的带刀裁剪机
CN216651683U (zh) 一种品牌设计用可调节平台
CN218493534U (zh) 一种平台梯
CN219300312U (zh) 一种具有除尘功能的计算机显示器底座
CN219254351U (zh) 一种铝基板分割置台
CN215220118U (zh) 一种基于云计算的信息处理显示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