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70057B1 - 폐차 해체용 크레인 장치 - Google Patents

폐차 해체용 크레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70057B1
KR101170057B1 KR1020110115811A KR20110115811A KR101170057B1 KR 101170057 B1 KR101170057 B1 KR 101170057B1 KR 1020110115811 A KR1020110115811 A KR 1020110115811A KR 20110115811 A KR20110115811 A KR 20110115811A KR 101170057 B1 KR101170057 B1 KR 1011700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rane
junk car
actuator
swing member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158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종택
Original Assignee
인선모터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선모터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인선모터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1158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7005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700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700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 B66C1/1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 B66C1/22Rigid members, e.g. L-shaped members, with parts engaging the under surface of the loads; Crane hooks
    • B66C1/28Duplicate, e.g. pivoted, members engaging the loads from two s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 B66C1/1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 B66C1/62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comprising article-engaging members of a shape complementary to that of the articles to be handl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 B66C1/68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mounted on, or guided by, ji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700/00Cranes
    • B66C2700/03Cranes with arms or jibs; Multiple cranes
    • B66C2700/0307Cranes in which it is essential that the load is moving horizontally during the luffing movement of the arm or jib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dg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폐차 해체용 크레인 장치는 베이스 프레임과,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하나 또는 하나 이상 제1힌지축으로 연결되어, 상하방향으로 승강되는 크레인 아암과, 상기 크레인 아암의 끝부분에 제2힌지축으로 연결되어 90도~180도로 회전되는 스윙 부재와, 상기 스윙 부재의 하면에 고정되고 폐차의 창틀을 클램핑하는 클램핑 유닛으로 구성되어, 폐차를 들어올린 후 90도로 회전시켜 작업대 위에 올려놓고, 재활용 부품을 측방향에서 분리할 수 있어 작업 안정성을 향상시키고, 해체 작업이 편리하다.

Description

폐차 해체용 크레인 장치{CRANE SYSTM FOR DISASSEMBLING A SCRAPPED CAR}
본 발명은 폐차 해체를 위해 폐차를 회전시키고, 부품을 분리한 차체를 수거장소로 이동시킬 수 있는 폐차 해체용 크레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용수명이 다한 폐차는 부품 및 재료를 재활용하기 위해 폐차 해제 작업을 수행한다.
현재, 폐차에서 재활용 가능한 부품을 분리하기 위해서는 폐차를 들어올린 후 폐차 배면에서 재활용 부품을 분리하는 작업을 수행하고 있다. 이 경우, 폐차가 낙하할 수 있어 안전사고가 발생할 위험이 있고, 위를 올려다보고 작업을 하기 때문에 작업이 어렵고 작업시간이 길어지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폐차를 90도 또는 180도 회전시켜 재활용 부품을 분리하는 폐차 회전장치가 등록특허공보 10-0278074(2000. 10. 16)에 개시되어 있다. 등록특허공보 10-0278074에 개시된 폐차 회전장치는 수직 승강수단과, 이 수직 승강수단의 작동에 따라 수평 이동되는 이동수단으로 되며, 상기 수직 승강수단은 수직 프레임과, 이 수직 프레임 내에서 구동모터에 의해 승강되는 승강부재와, 이 승강부재에 연장설치되어 차체를 클램핑 하기 위한 제1클램핑장치로 구성되고, 상기 이송수단은 소정의 높이를 갖는 재치대와, 이 재치대의 양단에 형성되는 수평 레일과, 상기 수평 레일 내에 설치되어 수평 이동되는 이송부재와, 이 이송부재에 등간격으로 설치되며 차체를 클램핑 하기 위한 제2클램핑장치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의 폐차 회전장치는 재치대 위에 별도의 크레인 장치를 이용하여 폐차를 올려놓아야 되고, 폐차에서 재활용 부품을 분리한 후 다시 크레인 장치를 이용해서 차체를 이동시켜야되므로 폐차 해체 작업에 시간이 많이 걸리고, 사용이 복잡한 문제가 있다.
등록특허공보 10-0278074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폐차를 들어올린 후 회전시켜 작업대 위에 올려놓고, 폐차가 회전된 상태를 지지하여 폐차에서 재활용 부품을 분리하기 편리하고 분리 작업의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폐차 해체용 크레인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재활용 부품의 분리가 완료된 폐차를 차체 수거장소로 이동시킬 수 있어 작업이 쉽고 편리하게 이루어지며, 폐차에서 재활용 부품을 분리하는 작업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폐차 해체용 크레인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폐차 해체용 크레인 장치는 베이스 프레임과,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하나 또는 하나 이상 제1힌지축으로 연결되어, 상하방향으로 승강되는 크레인 아암과, 상기 크레인 아암의 끝부분에 제2힌지축으로 연결되어 90~180도로 회전되는 스윙부재와, 상기 스윙부재의 하면에 고정되고 폐차의 창틀을 클램핑하는 클램핑 유닛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베이스 프레임의 주변에는 90도~180도로 회전된 폐차가 놓이는 작업대가 하나 또는 하나 이상 배치됨과 아울러, 재활용 부품 분리가 완료된 자체가 보관되는 자체 보관소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본체와 크레인 아암 사이에는 크레인 아암을 승강시키는 제1유압 실린더가 연결되고, 상기 크레인 아암과 스윙 부재 사이에는 상기 스윙 부재를 90도로 회전시키는 제2유압 실린더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클램핑 유닛은 상기 스윙 부재의 하면에 고정되는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의 앞쪽에 설치되어 폐차의 전방 창틀을 잡아주는 제1클램핑 유닛과, 상기 지지대의 뒤쪽에 설치되어 폐차의 후방 창틀을 잡아주는 제2클램핑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제1클램핑 유닛과 제2클램핑 유닛은 좌측 창틀에 끼워지는 좌측 집게부와, 폐차의 우측 창틀에 끼워지는 우측 집게부와, 상기 지지대에 고정되고 상기 좌측 집게부가 측방향으로 길이 조절되도록 구동시키는 제1액추에이터와, 상기 지지대에 고정되고 상기 우측 집게부가 측방향으로 길이 조절되도록 구동시키는 제2액추에이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1액추에이터와 제2액추에이터는 좌측 집게부 및 우측 집게부가 연결되는 유압 실린더로 구성되고, 상기 좌측 집게부와 우측 집게부에는 좌측 집게부 및 우측 집게부가 창틀에 접촉되면 제1액추에이터와 제2액추에이터의 작동을 정지시키는 감지센서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지지부재의 하면에는 폐차의 지붕을 자력을 이용하여 부착시키는 전자석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지지부재의 하면에는 진공 흡착유닛이 설치되어 폐차의 지붕을 진공 흡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폐차 해체용 크레인은 리모콘을 더 포함하여, 작업자가 리모콘을 조작하여 크레인을 작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본체에는 크레인 장치를 조종하기 위한 조작기구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좌측 집게부와 우측 집게부 중 적어도 하나에는 폐차의 측면을 받쳐주는 받침대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폐차 해체용 크레인 장치는 크레인 아암이 폐차를 들어올린 후 크레인 아암에 설치된 스윙 부재가 폐차를 90도로 회전시켜 작업대 위에 올려놓고, 폐차가 90도로 회전된 상태를 지지하여 폐차에서 재활용 부품을 분리하기 편리하고 분리 작업의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폐차 해체용 크레인 장치는 본체가 회전되어 재활용 부품의 분리가 완료된 폐차를 차체 수거장소로 이동시킬 수 있어 작업이 쉽고 편리하게 이루어지며, 폐차에서 재활용 부품을 분리하는 작업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크레인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크레인 장치의 상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크레인 장치의 클램핑 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크레인 장치의 작동 상태도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크레인 장치의 클램핑 유닛의 작동 상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크레인 장치의 상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크레인 장치의 측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폐차 해체용 크레인 장치의 측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폐차 해체용 크레인 장치의 상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크레인 장치의 클램핑 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폐차 해체용 크레인 장치는 베이스 프레임(10)과, 베이스 프레임(10)의 상면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본체(20)와, 본체(20)의 일측에 제1힌지축(32)으로 연결되어 상하 방향으로 선회 운동되는 크레인 아암(30)과, 크레인 아암(30)의 끝부분에 제2힌지축(34)으로 연결되어 90도 회전 운동되는 스윙 부재(40)와, 스윙 부재(40)의 하면에 고정되어 폐차(100)에 고정되는 클램핑 유닛(50)을 포함한다.
베이스 프레임(10)은 바닥면에 고정된 상태로 배치되며, 그 주변에는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폐차 해체를 위한 작업대(200)와, 재활용 부품의 분리가 완료된 차체가 저장되는 차체 보관소(300)가 구비된다. 이러한 베이스 프레임(10)은 바닥면에 고정된 상태로 배치되는 구조 이외에, 하면에 바퀴나 무한궤도가 설치되어 이동되는 구조도 적용이 가능하다.
본체(20)는 베이스 프레임(10)과의 사이에 회전 운동부(22)가 구비되어 베이스 프레임(10)의 상면에 360도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회전 운동부(22)는 구동장치나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 구동된다. 이러한 본체(20)는 내부에 크레인 장치를 작동시키기 위한 각종 장치들이 내장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크레인 장치는 리모콘을 이용하여 무선 또는 유선으로 조작이 가능한 구조가 적용될 수 있고, 이외에, 본체(20)에 크레인 장치를 조종하기 위한 각종 조작기구가 설치되는 운전석이 설치된 구조도 적용이 가능하다.
크레인 아암(30)은 한쪽 끝부분이 본체(20)에 제1힌지축(32)으로 연결되어 제1힌지축(32)을 중심으로 상하방향으로 선회 운동된다. 크레인 아암(30)과 본체(20) 사이에는 제1유압 실린더(36)가 설치되어 크레인 아암(30)을 상하방향으로 작동시킨다. 여기에서, 제1유압 실린더(36)는 통상적으로 굴착기에 사용되는 유압 실린더가 적용된다.
크레인 아암(30)의 길이 및 승강 범위는 폐차(100)를 들어올려 작업대(200) 위에 올려놓을 수 있고, 재활용 부품의 분리가 완료된 차체를 차체 보관소(300)로 이동시킬 수 있는 길이 및 승강 범위를 갖는다.
크레인 아암(30)은 서로 수평하게 배치되는 한 쌍의 프레임(12,14)과, 한 쌍의 프레임(12,14) 사이를 연결하는 복수의 지지 프레임(16)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크레인 아암(30)은 이러한 구조 이외에, 봉 형태로 형성되어 길이 조절이 가능한 구조도 적용이 가능하다. 즉, 베이스 프레임(10)과 작업대(200) 사이의 길이가 변화될 경우 크레인 아암(30)의 길이를 조절하는 구조로서, 크레인 아암(30)의 길이 조절구조는 일반적으로 아암이 인출 및 인입되는 구조가 적용될 수 있다.
스윙 부재(40)는 그 중심이 제2힌지축(34)에 의해 크레인 아암(30)의 끝부분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즉, 스윙 부재(40)는 한 쌍의 프레임(12,14) 사이에 배치되고, 그 중앙측에 제2힌지축(34)이 고정되고, 제2힌지축(34)의 양단은 각각 한 쌍의 프레임(12,14)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스윙 부재(40)와 크레인 아암(30) 사이에는 제2유압 실린더(42)가 설치되어 스윙 부재(40)를 회전시킨다. 즉, 제2유압 실린더는 한 쌍의 프레임 사이에 배치되고 일단은 크레인 아암(30)에 힌지 연결되고, 타단은 스윙 부재(40)에 힌지 연결되어 유압에 의해 스윙 부재(40)를 회전 운동시킨다.
여기에서, 스윙 부재(40)가 90도로 회전되면 폐차의 배면이 측방향으로 작업대 위에 놓여지고, 스윙 부재(40)가 180도 회전되면 폐차의 배면이 상측방향을 향하도록 놓여진다.
즉, 스윙 부재(40)는 90도~180도 범위 내에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폐차(100)의 배면이 측방향을 향하도록 배치할 수 있고, 폐차(100)의 배면이 상측방향을 향하도록 배치할 수 있다.
스윙 부재(40)의 하면에는 지지대(46)가 설치되고, 이 지지대(46)에 클랭핑 유닛(50)이 설치된다.
클랭핑 유닛(5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대(46)의 앞쪽에 설치되어 폐차(100)의 전방 창틀에 고정되는 제1클랭핑 유닛(52)과, 지지대(46)의 뒤쪽에 설치되어 폐차(100)의 후방 창틀에 고정되는 제2클랭핑 유닛(54)을 포함한다.
이때, 폐차(100)는 도어 윈도우가 분리된 상태이거나, 도어 윈도우가 내려간 상태로 되어 클랭핑 유닛(50)이 도어 창틀로 삽입될 수 있도록 한다. 이외에, 도어 윈도우가 올라간 상태일 경우에는 클램핑 유닛(50)이 도어 윈도우를 깨고 삽입될 수 있다.
제1클램핑 유닛(52) 및 제2클램핑 유닛(54)은 동일한 구조로서, 폐차(100)의 좌측 창틀(110)을 잡아주는 좌측 집게부(64)와, 폐차(100)의 우측 창틀(120)을 잡아주는 우측 집게부(66)와, 지지대(46)에 고정되고 좌측 집게부(64)를 측방향으로 전진 및 후진시키는 제1액추에이터(60)와, 지지대(46)에 고정되어 우측 집게부(66)를 측방향으로 전진 및 후진시키는 제2액추에이터(62)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좌측 집게부(64)와 우측 집게부(66)는 한쪽 끝부분이 액추에이터에 연결되고, 다른쪽 끝부분이 창틀에 삽입되어 창틀을 잡아준다.
그리고, 좌측 집게부(64) 및 우측 집게부(66)에는 두 집게부가 창틀에 완전히 삽입되면 온(ON)되어 액추에이터의 작동을 정지시키는 감지센서(70)가 설치된다.
여기에서, 감지센서(70)는 다양한 타입이 적용될 수 있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버튼 타입으로 형성되어 집게부(64,66)의 절곡된 내면이 창틀(110,120)에 접촉되면 신호를 인가하는 구조가 적용될 수 있다.
지지대(46)의 하면에는 폐차(100)의 상면에 자력을 이용하여 2차로 잡아주는 전자석(72)이 설치된다. 즉, 클랭핑 유닛(50)을 이용하여 폐차(100)의 창틀(110,120)을 잡아준 후 전자석(72)에 전원을 인가하면 자력이 발생되어 폐차(100)의 지붕을 지지대(46)의 하면에 부착시킨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서는 폐차(100)를 1차로 클램핑 유닛(50)을 이용하여 고정시키고, 2차로 전자석(72)을 이용하여 고정시키므로 보다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여기에서, 지지대(46)의 하면에는 전자석(72) 이외에, 지지대(46)에 폐차의 지붕을 부착할 수 있는 구조이면 어떠한 구조도 적용이 가능하다. 즉, 지지대(46)의 하면에는 다른 실시예로서, 지붕을 진공 흡착하는 진공 흡착유닛이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폐차 해체용 크레인 장치의 작용을 다음에서 설명한다.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크레인 장치의 작용을 나타낸 작동 상태도이다.
먼저, 지정된 위치에 놓여진 폐차(100)의 상면에 크레인 아암(30)을 이동시킨다. 이때, 본체(20)가 회전 운동되면서 크레인 아암(30)을 폐차(100)의 상면으로 이동시킨다.
그리고, 크레인 아암(30)을 하측방향으로 이동하여 폐차(100)의 지붕에 밀착시킨다. 즉, 제1유압 실린더(36)가 작동되어 크레인 아암(30)이 하향 이동된다.
그리고, 제1액추에이터(60) 및 제2액추에이터(62)가 작동되면, 좌측 집게부(64)와 우측 집게부(66)가 서로 오므라드는 방향으로 직선 이동되면서 폐차(100)의 좌측 창틀(110)에 좌측 집게부(64)가 삽입되고, 폐차(100)의 우측 창틀(120)에 우측 집게부(66)가 삽입된다.
이때, 좌측 집게부(64)가 좌측 창틀(110)에 완전히 삽입되고, 우측 집게부(66)가 우측 창틀(120)에 완전히 삽입되면, 좌측 집게부(64) 및 우측 집게부(66)에 설치된 감지센서(70)가 작동되어 제1액추에이터(60)와 제2액추에이터(62)의 작동을 정지시킨다.
그리고, 전자석(72)으로 전원을 인가하면 자력에 의해 지지대(46)에 폐차(100)의 지붕이 부착된다.
이와 같이, 폐차(100)를 스윙 부재(40)에 고정시키는 작업이 완료되면 크레인 아암(30)을 작동시켜 폐차(100)를 일정 높이만큼 들어올린 후 제2유압 실린더(42)가 작동되어 스윙 부재(40)를 90도 또는 180도 회전시킨다. 그러면, 스윙 부재(40)에 고정된 폐차(100)가 90도 또는 180도 회전되어 폐차(100)의 배면이 측방향을 향하도록 위치된다.
그리고, 본체(20)가 회전되어 폐차(100)가 작업대(200) 위로 이동되고 크레인 아암(30)이 하측방향으로 회전되어 폐차(100)를 작업대(200) 위에 올려놓는다. 이때, 폐차(100)는 크레인 아암(30)에 고정된 상태이기 때문에 폐차(100)가 견고하게 작업대(200) 위에 지지되고, 폐차(100)의 배면이 배면이 측방향으로 향한 상태이므로, 폐차(100)의 배면을 통해 재활용 부품을 분리하기 쉽고 안전한 분리 작업이 가능하다.
폐차(100)에서 재활용 부품의 분리가 완료되면, 크레인 아암(30)을 들어올린 후 본체(20)를 회전시켜 차체를 차체 보관소(300)로 이동시킨다. 그런 후 클랭핑 유닛(50)을 작동시켜 차체에서 클랭핑 유닛(50)을 분리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폐차 해체용 크레인 장치의 상면도로서, 본체에 다수의 크레인 아암이 연결된 구조를 갖는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크레인 장치는 본체(20)의 후면에 제1크레인 아암(80)이 연결되고, 좌측면에 제2크레인 아암(82)이 연결되고, 전면에 제3크레인 아암(84)이 연결되며, 각각의 크레인 아암(80,82,84)의 끝부분에는 제1작업대(90), 제2작업대(92) 및 제3작업대(94)가 설치되고, 본체(20)의 우측에는 재활용 부품의 분해가 완료된 차체를 저장하는 차체 보관소(300)가 설치된다.
이와 같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크레인 장치는 하나의 크레인 장치를 이용하여 복수의 작업대에서 폐차 분해 작업이 가능하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폐차 해체용 크레인 장치의 측면도이다.
제3실시예에 따른 폐차 해체용 크레인 장치는 위의 일 실시예에서 설명한 크레인 장치와 구조 및 작용이 동일하고, 다만, 폐차를 회전시킬 때, 폐차의 측면을 받쳐줄 수 있는 폐차 받침대(150)가 설치되는 구조를 갖는다.
폐차 받침대(150)는 좌측 집게부(64)와 우측 집게부(66) 중 적어도 하나에 설치될 수 있으며, 집게부의 측면에 설치되어 폐차의 측면에 접촉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폐차 해체용 크레인 장치는 폐차를 90도 또는 180도 회전시킨 후 작업대 위에서 재활용 부품을 분리하기 때문에 재활용 부품의 분리작업이 편리하고, 안전한 작업이 가능하다.
또한, 폐차를 들어올리고, 재활용 부품을 분리하고, 재활용 부품의 분리가 완료된 차체를 차체 보관함으로 이동시키는 과정이 하나의 크레인 장치에서 일괄 처리되므로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10: 베이스 프레임 12,14: 프레임
16: 연결 프레임 20: 본체
22: 회전 운동부 30: 크레인 아암
32: 제1힌지축 34: 제2힌지축
36: 제1유압 실린더 40: 스윙 부재
42: 제2유압 실린더 46: 지지대
50: 클램핑 유닛 52: 제1클램핑 유닛
54: 제2클램핑 유닛 60: 제1액추에이터
62: 제2액추에이터 64: 좌측 집게부
66: 우측 집게부 70: 감지센서
72: 전자석 100: 폐차
110: 좌측 창틀 120: 우측 창틀
200: 작업대 300: 차체 보관소

Claims (10)

  1. 베이스 프레임;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본체; 상기 본체에 하나 또는 하나 이상 제1힌지축으로 연결되어, 상하방향으로 승강되는 크레인 아암; 상기 크레인 아암의 끝부분에 제2힌지축으로 연결되어 90~180도로 회전되는 스윙 부재; 및 상기 스윙 부재의 하면에 고정되고 폐차의 창틀을 클램핑하는 클램핑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클램핑 유닛은 스윙 부재의 하면에 설치되는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의 일측면에 직선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좌측 창틀에 끼워지는 좌측 집게부와,
    상기 지지대의 타측면에 직선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우측 창틀에 끼워지는 우측 집게부와,
    상기 좌측 집게부를 측방향으로 길이 조절되도록 구동시키는 제1액추에이터와,
    상기 우측 집게부를 측방향으로 길이 조절되도록 구동시키는 제2액추에이터를 포함하는 폐차 해체용 크레인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주변에는 90도~180도로 회전된 폐차가 놓이는 작업대가 하나 또는 하나 이상 배치됨과 아울러, 재활용 부품 분리가 완료된 차체가 보관되는 차체 보관소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차 해체용 크레인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와 크레인 아암 사이에는 크레인 아암을 승강시키는 제1유압 실린더가 연결되고,
    상기 크레인 아암과 스윙 부재 사이에는 상기 스윙 부재를 90도로 회전시키는 제2유압 실린더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차 해체용 크레인 장치.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액추에이터와 제2액추에이터는 좌측 집게부 및 우측 집게부가 연결되는 유압 실린더로 구성되고,
    상기 좌측 집게부와 우측 집게부에는 좌측 집게부 및 우측 집게부가 창틀에 접촉되면 제1액추에이터와 제2액추에이터의 작동을 정지시키는 감지센서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차 해체용 크레인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의 하면에는 폐차의 지붕을 자력을 이용하여 부착시키는 전자석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차 해체용 크레인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의 하면에는 진공 흡착유닛이 설치되어 폐차의 지붕을 진공 흡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차 해체용 크레인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폐차 해체용 크레인은 리모콘을 더 포함하여, 작업자가 리모콘을 조작하여 크레인을 작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차 해체용 크레인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는 크레인 장치를 조종하기 위한 조작기구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차 해체용 크레인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좌측 집게부와 우측 집게부 중 적어도 하나에는 폐차의 측면을 받쳐주는 받침대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차 해체용 크레인 장치.
KR1020110115811A 2011-11-08 2011-11-08 폐차 해체용 크레인 장치 KR1011700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5811A KR101170057B1 (ko) 2011-11-08 2011-11-08 폐차 해체용 크레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5811A KR101170057B1 (ko) 2011-11-08 2011-11-08 폐차 해체용 크레인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70057B1 true KR101170057B1 (ko) 2012-07-31

Family

ID=467175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15811A KR101170057B1 (ko) 2011-11-08 2011-11-08 폐차 해체용 크레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70057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8876Y1 (ko) * 2013-03-12 2013-09-05 최계호 판체 집게 장치
KR101384678B1 (ko) * 2013-08-20 2014-04-14 인선모터스 주식회사 폐차 해체용 크레인 장치
CN106314050A (zh) * 2016-10-11 2017-01-11 江苏华宏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轮胎与轮毂分离的装置
SE2250837A1 (en) * 2022-07-04 2024-01-05 Joakim Granfors A vehicle for rescuing racing cars, a method for rescuing racing cars using the vehicle, and use of the vehicle for rescuing racing cars
CN117550471A (zh) * 2024-01-12 2024-02-13 泰州市铭方机械有限公司 一种大型卡车驾驶室的吊装设备及其吊装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59292U (ko) * 1985-05-15 1986-04-21
KR100278074B1 (ko) * 1998-09-10 2001-01-15 류정열 폐차회전장치
KR100355185B1 (ko) * 2000-09-20 2002-10-11 이건직 지브 크레인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59292U (ko) * 1985-05-15 1986-04-21
KR100278074B1 (ko) * 1998-09-10 2001-01-15 류정열 폐차회전장치
KR100355185B1 (ko) * 2000-09-20 2002-10-11 이건직 지브 크레인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8876Y1 (ko) * 2013-03-12 2013-09-05 최계호 판체 집게 장치
KR101384678B1 (ko) * 2013-08-20 2014-04-14 인선모터스 주식회사 폐차 해체용 크레인 장치
CN106314050A (zh) * 2016-10-11 2017-01-11 江苏华宏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轮胎与轮毂分离的装置
SE2250837A1 (en) * 2022-07-04 2024-01-05 Joakim Granfors A vehicle for rescuing racing cars, a method for rescuing racing cars using the vehicle, and use of the vehicle for rescuing racing cars
CN117550471A (zh) * 2024-01-12 2024-02-13 泰州市铭方机械有限公司 一种大型卡车驾驶室的吊装设备及其吊装方法
CN117550471B (zh) * 2024-01-12 2024-04-26 泰州市铭方机械有限公司 一种大型卡车驾驶室的吊装设备及其吊装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70057B1 (ko) 폐차 해체용 크레인 장치
JP4519984B2 (ja) 工業上の車両ホイール用のタイヤ交換機
CN107176561B (zh) 举升设备及移动式养护站
KR20100082120A (ko) 차체 회전장치
KR102032841B1 (ko) 레이저 금형 세척 장치
CN111624002B (zh) 一种汽车四轮定位辅助装置
CN103746519A (zh) 小型电机装配翻转操作台
KR100907256B1 (ko) 폐차 해체장치
JP6282211B2 (ja) パネル施工機及びパネル施工方法
KR100974714B1 (ko) 자동차의 후드 해체용 서브 지그
CN110815710A (zh) 一种可自动更换的注塑模具
CN108100966A (zh) 预制舱底座翻转工装
KR20040043522A (ko) 패널 회전장치
JP2000198685A (ja) 自動車用のジャッキ装置
KR101384678B1 (ko) 폐차 해체용 크레인 장치
CN209758967U (zh) 电控箱辅助安装的叉车头机构
JP4272840B2 (ja) 車両の傾動装置
JP4100798B2 (ja) 車体フレーム修正機
CN210656005U (zh) 一种移动式敞车下侧门拆装机
CN205681254U (zh) 电动式电动机线圈取铜机
JPH0754047Y2 (ja) リフト装置
CN109604727A (zh) 一种底盘切割机
WO2017140196A1 (zh) 移动式汽车养护站
JP6121932B2 (ja) ドア保持装置
JP3837646B2 (ja) 長尺部材の建起し用支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30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