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8876Y1 - 판체 집게 장치 - Google Patents

판체 집게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8876Y1
KR200468876Y1 KR2020130001815U KR20130001815U KR200468876Y1 KR 200468876 Y1 KR200468876 Y1 KR 200468876Y1 KR 2020130001815 U KR2020130001815 U KR 2020130001815U KR 20130001815 U KR20130001815 U KR 20130001815U KR 200468876 Y1 KR200468876 Y1 KR 20046887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main bodies
coupled
hook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3000181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계호
Original Assignee
최계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계호 filed Critical 최계호
Priority to KR202013000181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887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887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887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 B66C1/1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 B66C1/22Rigid members, e.g. L-shaped members, with parts engaging the under surface of the loads; Crane hooks
    • B66C1/28Duplicate, e.g. pivoted, members engaging the loads from two s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 B66C1/1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 B66C1/42Gripping members engaging only the external or internal surfaces of the articles
    • B66C1/425Gripping members engaging only the external or internal surfaces of the articles motor actuated
    • B66C1/427Gripping members engaging only the external or internal surfaces of the articles motor actuated by hydraulic or pneumatic mo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 B66C1/1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 B66C1/42Gripping members engaging only the external or internal surfaces of the articles
    • B66C1/44Gripping members engaging only the external or internal surfaces of the articles and applying frictional forces
    • B66C1/48Gripping members engaging only the external or internal surfaces of the articles and applying frictional forces to vertical edge portions of sheets, tubes, or like thin or thin-walled art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ad-Engaging Elements For Cran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판체 집게 장치에 관한 것으로, 서로 평행 배치되는 제 1 및 제 2 메인 바디에 판체를 가압 지지할 수 있는 후크 돌기를 결합하고 간격 조절 수단을 통해 제 1 및 제 2 메인 바디의 간격을 조절하는 방식으로 판체를 파지함으로써, 작업자의 수작업 없이도 자동으로 편리하게 판체를 파지할 수 있고, 판체에 대한 파지 상태를 더욱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어 안전 사고를 예방할 수 있으며, 별도의 부품 교체 작업이나 와이어 등의 조정 작업 없이도 더욱 다양한 크기 및 다양한 두께의 판체를 편리하고 안정적으로 파지할 수 있는 판체 집게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판체 집게 장치{Grasping Apparatus for Flat Body}
본 고안은 판체 집게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서로 평행 배치되는 제 1 및 제 2 메인 바디에 판체를 가압 지지할 수 있는 후크 돌기를 결합하고 간격 조절 수단을 통해 제 1 및 제 2 메인 바디의 간격을 조절하는 방식으로 판체를 파지함으로써, 작업자의 수작업 없이도 자동으로 편리하게 판체를 파지할 수 있고, 판체에 대한 파지 상태를 더욱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어 안전 사고를 예방할 수 있으며, 별도의 부품 교체 작업이나 와이어 등의 조정 작업 없이도 더욱 다양한 크기 및 다양한 두께의 판체를 편리하고 안정적으로 파지할 수 있는 판체 집게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산업 현장에서는 다양한 형태의 중량물을 들어올리거나 운반하기 위해 크레인이 사용되는데, 이때, 크레인의 후크에는 별도의 집게 장치가 결합되어 중량물을 파지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집게 장치는 2개의 집게가 그 끝단이 서로 근접하거나 멀어지도록 하나의 작동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되며, 2개의 집게가 서로 근접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며 중량물을 가압 지지하는 방식으로 중량물을 파지하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중량물의 형태가 강판과 같이 단순 평판 형상의 판체인 경우에는 전술한 형태의 집게 장치로 판체를 파지하는 것이 구조적으로 어려울 뿐만 아니라 파지 상태가 매우 불안정하여 판체의 운반 도중 판체가 낙하될 수 있는 등의 위험이 있다.
따라서, 판체를 파지하기 위한 별도의 집게 장치가 필요한데, 종래 기술에 따른 판체 집게 장치는 단순히 다수개의 와이어의 끝단에 후크를 장착하고, 와이어에 연결된 후크를 통해 판체의 양측단을 지지하여 판체를 파지하는 형태로 구성되고 있다.
이러한 종래 기술에 따른 판체 집게 장치는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후크를 판체에 결합시켜야 하므로 작업이 복잡하고 힘들 뿐만 아니라 파지 및 운반 작업 중 안전 사고의 위험이 높아진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후크가 와이어에 연결되는 단순한 형태이므로, 외부 환경에 의해 와이어의 장력에 변화가 발생하게 되면, 판체를 파지한 상태에서 균형이 맞지 않아 판체가 낙하할 가능성이 있어 매우 위험하고, 판체의 운반 도중에도 판체가 흔들리거나 회전할 수 있어 다른 장치 또는 부품과의 충돌 위험이 있어 산업 현장에서 안전 사고의 위험이 매우 높아진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판체의 크기나 두께에 따라 이에 적합한 후크로 교체해야 하거나 와이어의 길이 또한 적절하게 조절해야 하는 등 판체에 대한 파지 및 운반 작업이 복잡하고 시간이 많이 걸리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선행기술로는 국내등록특허 제10-621842호 등이 있다.
본 고안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고안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서로 평행 배치되는 제 1 및 제 2 메인 바디에 판체를 가압 지지할 수 있는 후크 돌기를 결합하고 간격 조절 수단을 통해 제 1 및 제 2 메인 바디의 간격을 조절하는 방식으로 판체를 파지함으로써, 작업자의 수작업 없이도 자동으로 편리하게 판체를 파지할 수 있고, 판체에 대한 파지 상태를 더욱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어 안전 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판체 집게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제 1 및 제 2 메인 바디에 결합된 후크 돌기의 간격을 간격 조절 수단을 통해 자동으로 조절하도록 함으로써, 별도의 부품 교체 작업이나 와이어 등의 조정 작업 없이도 더욱 다양한 크기의 판체를 편리하게 파지할 수 있는 판체 집게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후크 돌기를 통한 판체의 파지 상태를 모니터링할 수 있는 카메라를 구비함으로써, 별도의 작업 레버를 통해 파지 작업을 원격으로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으며, 더욱 안전하게 판체에 대한 파지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판체 집게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후크 돌기를 별도의 액츄에이터를 통해 상하 이동 가능하게 장착함으로써, 별도의 부품 교체 작업 없이도 더욱 다양한 두께의 판체를 편리하고 안정적으로 파지할 수 있는 판체 집게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평판 형상으로 형성된 판체를 파지하는 판체 집게 장치에 있어서, 서로 평행하게 이격 배치되며 일측에는 상기 판체를 파지할 수 있도록 각각 후크 돌기가 하향 돌출되게 결합되는 제 1 및 제 2 메인 바디; 및 상기 제 1 및 제 2 메인 바디가 서로 평행한 상태로 근접하거나 멀어지도록 상기 제 1 및 제 2 메인 바디를 상호 상대 이동시키는 간격 조절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간격 조절 수단에 의해 상기 제 1 및 제 2 메인 바디가 서로 근접하는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후크 돌기가 서로 근접 이동하여 상기 판체의 양측단을 가압 지지하는 방식으로 상기 판체를 파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체 집게 장치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간격 조절 수단은 상기 제 1 및 제 2 메인 바디의 이격 방향을 따라 길게 배치되며 일단이 상기 제 1 메인 바디에 결합되는 제 1 작동 로드; 상기 제 1 및 제 2 메인 바디의 이격 방향을 따라 길게 배치되며 일단이 상기 제 2 메인 바디에 결합되는 제 2 작동 로드; 및 상기 제 1 작동 로드 및 제 2 작동 로드의 타단에 동시에 결합되는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및 제 2 작동 로드는 상기 구동부의 작동에 의해 길이 방향을 따라 직선 이동하며 상기 제 1 및 제 2 메인 바디의 간격을 조절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동부는 별도의 유압 펌프로부터 유압을 공급받아 작동하도록 유압 실린더로 적용되고, 상기 제 1 및 제 2 작동 로드는 상기 구동부의 유압에 의해 직선 이동하도록 상기 구동부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후크 돌기는 다양한 두께의 판체를 가압 지지할 수 있도록 별도의 액츄에이터에 의해 상하 이동 가능한 형태로 상기 제 1 및 제 2 메인 바디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후크 돌기가 상기 판체를 가압 지지하는 상태를 촬영할 수 있는 카메라가 구비될 수 있다.
본 고안에 의하면, 서로 평행 배치되는 제 1 및 제 2 메인 바디에 판체를 가압 지지할 수 있는 후크 돌기를 결합하고 간격 조절 수단을 통해 제 1 및 제 2 메인 바디의 간격을 조절하는 방식으로 판체를 파지함으로써, 작업자의 수작업 없이도 자동으로 편리하게 판체를 파지할 수 있고, 판체에 대한 파지 상태를 더욱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어 안전 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 1 및 제 2 메인 바디에 결합된 후크 돌기의 간격을 간격 조절 수단을 통해 자동으로 조절하도록 함으로써, 별도의 부품 교체 작업이나 와이어 등의 조정 작업 없이도 더욱 다양한 크기의 판체를 편리하게 파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후크 돌기를 통한 판체의 파지 상태를 모니터링할 수 있는 카메라를 구비함으로써, 별도의 작업 레버를 통해 파지 작업을 원격으로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으며, 더욱 안전하게 판체에 대한 파지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후크 돌기를 별도의 액츄에이터를 통해 상하 이동 가능하게 장착함으로써, 별도의 부품 교체 작업 없이도 더욱 다양한 두께의 판체를 편리하고 안정적으로 파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판체 집게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판체 집게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판체 집게 장치의 작동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작동 상태도,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판체 집게 장치의 후크 돌기에 대한 작동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작동 상태도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판체 집게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판체 집게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판체 집게 장치는 평판 형상으로 형성된 판체(P)를 파지하여 운반하기 위해 크레인 등의 후크(미도시)에 와이어(W)로 연결되어 판체(P)를 용이하고 안정적으로 파지할 수 있는 장치로서, 제 1 및 제 2 메인 바디(110,120)와, 간격 조절 수단(2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 1 및 제 2 메인 바디(110,120)는 다각형 기둥 형태로 일측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될 수 있으며, 서로 평행하게 이격 배치된다. 상단에는 와이어(W)를 통해 크레인과 연결될 수 있도록 별도의 와이어 걸림 고리(101)가 형성될 수 있다. 제 1 및 제 2 메인 바디(110,120)의 일측에는 판체(P)를 파지할 수 있도록 각각 후크 돌기(300)가 하향 돌출되게 결합된다.
이러한 제 1 및 제 2 메인 바디(110,120)는 서로 평행한 상태를 유지하며 후술하는 간격 조절 수단(200)을 통해 그 이격 간격이 조절될 수 있는데, 제 1 및 제 2 메인 바디(110,120)의 이격 간격이 감소하도록 제 1 및 제 2 메인 바디(110,120)가 상호 근접하게 이동하면, 제 1 및 제 2 메인 바디(110,120)에 각각 결합된 후크 돌기(300)가 그 사이에 배치되는 판체(P)의 양측단을 가압 지지하며 판체(P)를 파지하게 된다.
이때, 후크 돌기(3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및 제 2 메인 바디(110,120)에 서로 이격되게 각각 2개씩 결합될 수 있으며, 각각의 후크 돌기(300)는 판체(P)를 가압 지지한 상태에서 판체(P)의 양측단 두께면을 가압할 수 있도록 수직 방향으로 배치되는 가압부(310)와, 판체(P)의 양측단 하면을 지지할 수 있도록 수평 방향으로 배치되는 지지부(320)를 포함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즉, 제 1 및 제 2 메인 바디(110,120)에 각각 결합되는 후크 돌기(300)가 서로 대향되는 "ㄴ"자 형태로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 1 및 제 2 메인 바디(110,12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호 평행 배치 상태의 유지를 위해 X자 형태로 배치되는 별도의 보강 X 링크(130)를 통해 상호 연결 결합될 수 있다. 보강 X 링크(130)는 양 끝단이 각각 제 1 및 제 2 메인 바디(110,120)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제 1 및 제 2 메인 바디(110,120)의 간격 조절에 따라 제 1 및 제 2 메인 바디(110,1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직선 이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간격 조절 수단(200)은 제 1 및 제 2 메인 바디(110,120)가 서로 평행한 상태로 근접하거나 멀어지도록 제 1 및 제 2 메인 바디(110,120)를 상호 상대 이동시키는데, 이는 다양한 기계 요소를 통해 다양한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및 제 2 메인 바디(110,120)의 이격 방향을 따라 길게 배치되며 일단이 제 1 메인 바디(110)에 결합되는 제 1 작동 로드(210)와, 제 1 및 제 2 메인 바디(110,120)의 이격 방향을 따라 길게 배치되며 일단이 제 2 메인 바디(120)에 결합되는 제 2 작동 로드(220)와, 제 1 작동 로드(210) 및 제 2 작동 로드(220)의 타단에 동시에 결합되는 구동부(2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제 1 및 제 2 작동 로드(210,220)는 구동부(230)의 작동에 의해 길이 방향을 따라 동시에 직선 이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구동부(230)는 별도의 유압 펌프(240)를 통해 유압을 공급받아 작동하는 실린더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제 1 및 제 2 작동 로드(210,220)는 이러한 실린더 형태의 구동부(230) 양측에 각각 직선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피스톤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구동부(230)에 유압이 공급되면, 제 1 및 제 2 작동 로드(210,220)가 동시에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고, 구동부(230)로부터 유압이 배출되면, 제 1 및 제 2 작동 로드(210,220)가 동시에 근접하는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러한 간격 조절 수단(200)에 대한 구성은 단순히 예시적인 것일 뿐 이외에도 다양한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구동부(230)는 전원을 공급받아 작동하는 전기 모터 형태로 구성될 수 있고, 제 1 및 제 2 작동 로드(210,220)는 이러한 전기 모터 형태의 구동부에 의해 회전하며 직선 이동하는 스크류 로드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제 1 및 제 2 작동 로드(210,220)가 하나의 작동축(미도시)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링크 플레이트 형태로 구성되고, 구동부(230)는 이러한 링크 플레이트 형태의 제 1 및 제 2 작동 로드(210,220)를 그 양끝단의 간격이 서로 원근 이동하도록 구동하는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외에도 다양한 기계 요소를 사용하여 다양한 구조로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구조에 따라 구동부(230)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및 제 2 작동 로드(210,220)의 일단을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직선 이동하도록 구동하게 되면, 제 1 및 제 2 작동 로드(210,220)는 구동부(230)를 중심으로 서로 멀어지도록 반대 방향으로 직선 이동하게 되므로, 제 1 및 제 2 메인 바디(110,120)는 구동부(230)를 중심으로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반대로 구동부(230)가 제 1 및 제 2 작동 로드(210,220)의 일단을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직선 이동하도록 구동하게 되면, 제 1 및 제 2 작동 로드(210,220)는 구동부(230)를 중심으로 서로 근접하도록 반대 방향으로 직선 이동하게 되므로, 제 1 및 제 2 메인 바디(110,120)는 구동부(230)를 중심으로 서로 근접하는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와 같이 제 1 및 제 2 메인 바디(110,120)가 판체(P)의 폭보다 더 넓은 이격 간격을 갖도록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했다가 다시 근접하는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면, 제 1 및 제 2 메인 바디(110,120)에 결합된 제 1 및 제 2 후크 돌기(300)가 서로 근접하게 이동하여 그 사이에 배치되는 판체(P)의 양측단을 가압 지지하며 판체(P)를 파지하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판체 집게 장치는 종래 기술과 달리 후크 돌기(300)가 결합된 제 1 및 제 2 메인 바디(110,120)를 별도의 간격 조절 수단(200)을 통해 이동시킴으로써, 좀더 안정적이고 용이하게 판체(P)를 파지할 수 있다. 또한, 후크 돌기(300)가 단순히 와이어(W)에 결합된 구조가 아니라 강성 구조물인 제 1 및 제 2 메인 바디(110,120)에 결합되어 간격 조절 수단(200)에 의해 그 간격이 조절되도록 작동하므로, 판체(P)에 대한 파지력이 강화되고 파지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의 판체 집게 장치는,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별도의 조작 레버(미도시) 등을 통해 간격 조절 수단(200)의 구동부(230)를 작업자가 조작하는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는데, 이러한 조작 레버는 크레인의 운전실에 장착되어 크레인의 운전과 함께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물론, 별도의 독립적인 장소 또는 휴대가 가능한 형태로 조작 레버가 배치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별도의 조작 레버를 통해 구동부(230)를 작동시키는 경우, 제 1 및 제 2 메인 바디(110,120)의 후크 돌기(300)가 판체(P)를 정상적으로 가압 지지하며 파지하였는지 여부를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별도의 카메라(400)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카메라(40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및 제 2 메인 바디(110,120)에 별도의 결합 브래킷(미도시)을 통해 결합될 수 있으며, 별도의 액츄에이터(미도시) 등을 사용하여 카메라(400)의 촬영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카메라(400)를 통해 후크 돌기(300)의 이동 상태를 관찰하게 되면, 작업자가 파지 대상 판체(P)와 인접한 위치에 있지 않더라도 카메라(400)를 통해 구동부(230)에 대한 조작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고, 좀 더 안전하고 편리하게 판체(P)를 파지할 수 있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판체 집게 장치의 작동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작동 상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판체 집게 장치의 후크 돌기에 대한 작동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작동 상태도이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판체 집게 장치는 전술한 바와 같이 간격 조절 수단(200)을 통해 제 1 및 제 2 메인 바디(110,120)에 결합된 후크 돌기(300)의 상호 간격을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다양한 크기의 판체(P)를 별도의 부품 교체 작업이나 와이어에 대한 조정 작업 없이도 편리하게 파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대적으로 크기가 큰 판체(P)를 파지하는 경우에는 도 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부(230)에 유압을 공급하여 제 1 및 제 2 작동 로드(210,220)가 서로 멀어지도록 작동시키고, 이에 따라 제 1 및 제 2 메인 바디(110,120)에 결합된 후크 돌기(300)의 상호 간격을 증가시킴으로써, 상대적으로 크기가 큰 판체(P)를 파지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상대적으로 크기가 작은 판체(P)를 파지하는 경우에는 도 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부(230)로부터 유압을 배출시켜 제 1 및 제 2 작동 로드(210,220)가 서로 근접하도록 작동시키고, 이에 따라 제 1 및 제 2 메인 바디(110,120)에 결합된 후크 돌기(300)의 상호 간격을 감소시킴으로써, 상대적으로 크기가 작은 판체(P)를 파지할 수 있다.
한편, 후크 돌기(3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판체(P)를 가압 지지한 상태에서 판체(P)의 양측단 두께면을 가압할 수 있도록 수직 방향으로 배치되는 가압부(310)와, 판체(P)의 양측단 하면을 지지할 수 있도록 수평 방향으로 배치되는 지지부(320)를 포함하는 "ㄴ"자 형태로 각각 형성될 수 있는데, 이때, 후크 돌기(3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별도의 액츄에이터(330)에 의해 상하 이동 가능한 형태로 제 1 및 제 2 메인 바디(110,120)에 각각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후크 돌기(300)는 예를 들어 랙과 피니언 구조로 제 1 및 제 2 메인 바디(110,120)에 결합되어 상하 이동할 수 있으며, 액츄에이터(330)는 이러한 랙과 피니언 구조를 구동하는 모터 등의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후크 돌기(300)의 상하 이동 구조는 예시적인 것으로 다양한 동력 전달 요소를 이용하여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 따라 도 4의 (a) 및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더욱 다양한 두께의 판체(P)를 별도의 부품 교체 작업 없이도 안정적이고 편리하게 파지할 수 있다.
즉, 상대적으로 두께가 얇은 판체(P)를 파지하는 경우에는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츄에이터(330)를 작동시켜 후크 돌기(300)를 상향 이동시키고, 이 상태로 간격 조절 수단(200)을 작동시켜 판체(P)를 파지할 수 있으므로, 후크 돌기(300)에 판체(P)가 파지된 상태에서 더욱 안정적으로 판체(P)가 고정된다.
이와 반대로, 상대적으로 두께가 두꺼운 판체(P)를 파지하는 경우에는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츄에이터(330)를 작동시켜 후크 돌기(300)를 하향 이동시키고, 이 상태로 간격 조절 수단(200)을 작동시켜 판체(P)를 파지할 수 있으므로, 마찬가지로 후크 돌기(300)에 판체(P)가 파지된 상태에서 더욱 안정적으로 판체(P)가 고정된다.
이상의 설명은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고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고안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10: 제 1 메인 바디 120: 제 2 메인 바디
130: 보강 X 링크 200: 간격 조절 수단
210: 제 1 작동 로드 220: 제 2 작동 로드
230: 구동부 240: 유압 펌프
300: 후크 돌기 310: 가압부
320: 지지부 330: 액츄에이터
400: 카메라 P: 판체
W: 와이어

Claims (5)

  1. 평판 형상으로 형성된 판체를 파지하는 판체 집게 장치에 있어서,
    서로 평행하게 이격 배치되며 일측에는 상기 판체를 파지할 수 있도록 각각 후크 돌기가 하향 돌출되게 결합되는 제 1 및 제 2 메인 바디; 및
    상기 제 1 및 제 2 메인 바디가 서로 평행한 상태로 근접하거나 멀어지도록 상기 제 1 및 제 2 메인 바디를 상호 상대 이동시키는 간격 조절 수단; 을 포함하고,
    상기 간격 조절 수단에 의해 상기 제 1 및 제 2 메인 바디가 서로 근접하는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후크 돌기가 서로 근접 이동하여 상기 판체의 양측단을 가압 지지하는 방식으로 상기 판체를 파지하고,
    상기 간격 조절 수단은
    상기 제 1 및 제 2 메인 바디의 이격 방향을 따라 길게 배치되며 일단이 상기 제 1 메인 바디에 결합되는 제 1 작동 로드;
    상기 제 1 및 제 2 메인 바디의 이격 방향을 따라 길게 배치되며 일단이 상기 제 2 메인 바디에 결합되는 제 2 작동 로드; 및
    상기 제 1 작동 로드 및 제 2 작동 로드의 타단에 동시에 결합되는 구동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및 제 2 작동 로드는 상기 구동부의 작동에 의해 길이 방향을 따라 직선 이동하며 상기 제 1 및 제 2 메인 바디의 간격을 조절하며,
    상기 구동부는 별도의 유압 펌프로부터 유압을 공급받아 작동하도록 유압 실린더로 적용되고, 상기 제 1 및 제 2 작동 로드는 상기 구동부의 유압에 의해 직선 이동하도록 상기 구동부에 결합되고,
    상기 후크 돌기는 다양한 두께의 판체를 가압 지지할 수 있도록 별도의 액츄에이터에 의해 상하 이동 가능한 형태로 상기 제 1 및 제 2 메인 바디에 결합되며,
    상기 후크 돌기가 상기 판체를 가압 지지하는 상태를 촬영할 수 있는 카메라가 구비되고,
    상기 제 1 및 제 2 메인 바디 사이에는 양 끝단이 각각 상기 제 1 및 제 2 메인 바디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제 1 및 제 2 메인 바디의 간격 조절에 따라 상기 제 1 및 제 2 메인 바디의 길이 방향을 따라 직선 이동 가능하게 보강 X 링크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체 집게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2020130001815U 2013-03-12 2013-03-12 판체 집게 장치 KR20046887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1815U KR200468876Y1 (ko) 2013-03-12 2013-03-12 판체 집게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1815U KR200468876Y1 (ko) 2013-03-12 2013-03-12 판체 집게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68876Y1 true KR200468876Y1 (ko) 2013-09-05

Family

ID=513963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30001815U KR200468876Y1 (ko) 2013-03-12 2013-03-12 판체 집게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8876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01752U (ko) * 2013-10-30 2015-05-08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단열박스의 높이조절블록 제거용 치구
KR101549580B1 (ko) 2013-11-28 2015-09-03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 에어 스포일러의 패널 운반장치 및 선박 에어 스포일러의 패널 설치방법
KR102602755B1 (ko) * 2023-07-24 2023-11-16 김성주 교량 구조물 해체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291392A (ja) * 1985-06-17 1986-12-22 油谷重工株式会社 つり装置
JPH0558581A (ja) * 1991-09-04 1993-03-09 Think Lab Kk 製版用スタツカクレーン
JPH11301966A (ja) * 1998-04-21 1999-11-02 Daiyu Kk 入出荷用の荷物吊り上げ装置
KR101170057B1 (ko) * 2011-11-08 2012-07-31 인선모터스 주식회사 폐차 해체용 크레인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291392A (ja) * 1985-06-17 1986-12-22 油谷重工株式会社 つり装置
JPH0558581A (ja) * 1991-09-04 1993-03-09 Think Lab Kk 製版用スタツカクレーン
JPH11301966A (ja) * 1998-04-21 1999-11-02 Daiyu Kk 入出荷用の荷物吊り上げ装置
KR101170057B1 (ko) * 2011-11-08 2012-07-31 인선모터스 주식회사 폐차 해체용 크레인 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01752U (ko) * 2013-10-30 2015-05-08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단열박스의 높이조절블록 제거용 치구
KR200485976Y1 (ko) 2013-10-30 2018-04-27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단열박스의 높이조절블록 제거용 치구
KR101549580B1 (ko) 2013-11-28 2015-09-03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 에어 스포일러의 패널 운반장치 및 선박 에어 스포일러의 패널 설치방법
KR102602755B1 (ko) * 2023-07-24 2023-11-16 김성주 교량 구조물 해체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712258B (zh) 具有侧移器的设备
EP2412658B1 (en) Apparatus for moving individual or packed plate-like products
KR200468876Y1 (ko) 판체 집게 장치
CN102089479B (zh) 用于移动负载的车辆的夹紧机构
KR101353932B1 (ko) 회전형 패널작업대
JP6771104B2 (ja) 鉄筋横向きステッピング搬送設備及びその制御方法
JP2019214086A (ja) エンドエフェクタおよび部材取り付け方法
US20220048203A1 (en) Packing gripper system
CN109516186A (zh) 一种用于变频器的转运装置
KR101276052B1 (ko) 대형 압력 용기의 헤드 용접용 틸팅 장치
CN105731061A (zh) 砖厂装车或砖块转运夹砖砖夹
EP3212558B1 (en) Apparatus for lifting items bound together by strapping means
CN210735502U (zh) 一种坩埚夹持装置
CN210825066U (zh) 夹取装置及吊装系统
US20220371859A1 (en) System and method for handling semi-finished metal products
JP2010265102A (ja) 門型クレーン
CN103935758B (zh) 一种压缩机上线装置
KR20160149892A (ko) 경계석 집게장치
CN109910040A (zh) 一种机械手
KR101201215B1 (ko) 콘크리트 건축물용 거푸집의 운반 장치
EP3640193A1 (en) Lifting device
CN202657696U (zh) 码砖机器人夹手
RU2582742C1 (ru) Магнитная траверса с электропостоянными магнитными захватами
KR101652235B1 (ko) 중량물 이송 장치 및 방법
NL2001408C2 (nl) Inrichting voor het door rotatie orienteren van zware lasten, in het bijzonder stalen balke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