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46894B1 - 친환경 diy 좌식용 착석 보조기기 - Google Patents

친환경 diy 좌식용 착석 보조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46894B1
KR102146894B1 KR1020200008024A KR20200008024A KR102146894B1 KR 102146894 B1 KR102146894 B1 KR 102146894B1 KR 1020200008024 A KR1020200008024 A KR 1020200008024A KR 20200008024 A KR20200008024 A KR 20200008024A KR 102146894 B1 KR102146894 B1 KR 1021468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wing
base frame
seating
pa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080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인학
권성진
황민영
곽황
이흥수
오수미
임주현
윤정일
신정아
이유진
노성현
Original Assignee
경기도재활공학서비스연구지원센터
재단법인 아름다운재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기도재활공학서비스연구지원센터, 재단법인 아름다운재단 filed Critical 경기도재활공학서비스연구지원센터
Priority to KR10202000080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689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68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68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02Seat parts
    • A47C7/021Detachable or loose seat cushions
    • A47C7/0213Detachable or loose seat cushions detachably secured to seats, e.g. by ties or hook and loop strap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00Chair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Chairs or stools with rotatable or vertically-adjustable seats
    • A47C3/16Chair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Chairs or stools with rotatable or vertically-adjustable seats of legless type, e.g. with seat directly resting on the floor; Hassocks; Pouffes

Landscapes

  • Special Chai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올바른 자세 유지가 필요한 장애인 및 노약자를 위한 친환경 DIY 좌식용 착석 보조기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좌석식으로 사용자들이 올바른 자세를 유지한 상태로 하중을 분산하여 오랜 시간 동안에도 불편함이 없도록 사변형을 이루도록 제 1 변(110), 제 2 변(120), 제 3 변(130) 및 제 4 변(140)이 형성되며, 상기 제 3 변과 제 4 변이 서로 만나는 모서리 위치의 내측에 사각형상의 메인관통공(150)이 형성되고 상기 메인관통공(150)에서 상기 제 1 변(110)과 상기 제 2 변(120)이 위치하는 방향으로 제 1 삽입가이드공(160)이 형성되며 상기 제 1 변(110)과 상기 제 4 변(140)이 만나는 모서리 부위의 내측에는 상기 제 1 변(110)과 평행하게 제 1 측면공(170)이 형성되고 상기 제 2 변(120)과 상기 제 3 변(130)이 만나는 모서리 부위의 내측에는 상기 제 2 변(120)과 평행하게 제 2 측면공(180)이 상기 제 1 측면공(170)과 대향되게 형성되고 상기 제 1 변(110)과 제 2 변(120)이 만나는 모서리 부위의 내측에는 후방삽입공(190)이 형성되고 상기 후방삽입공(190)의 양단에는 상기 후방삽입공(190)의 길이 진행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 이격된 위치에 후방보조공(191)이 한 쌍 배치되되 재질은 종이로 구비되되 상기 종이는 복수의 종이판재(P1)가 접합제로 서로 접합되되 각각의 상기 종이판재(P1)의 종이결은 서로 어긋나도록 구비되는 베이스 프레임(100);과 상기 베이스 프레임(100)의 사변에 동일하게 대응되는 길이와 방향을 갖는 사변형을 이루어 상기 베이스 프레임(100)의 하부에 결합되며, 상기 메인관통공(150)의 직하 위치에는 저면관통공(250)이 배치되고,상기 제 1 삽입가이드공(160)의 직하 위치에는 상기 제 1 삽입가이드공(160)의 길이와 방향과 동일한 제 2 삽입가이드공(260)이 형성되고, 상기 제 1 측면공(170)의 직하 위치에는 제 1 저면측면공(270)이 형성되며 상기 제 2 측면공(180)의 직하 위치에는 제 2 저면측면공(280)이 형성되고 상기 후방삽입공(190)의 직하 위치에는 저면삽입공(290)이 형성되고 상기 후방보조공(191)의 직하 위치에는 저면보조공(291)이 상기 저면삽입공(290)의 좌우에 각각 형성되며 복수의 종이판재(P1)가 접합제로 서로 접합되되 각각의 상기 종이판재(P1)의 종이결은 서로 어긋나도록 구비되는 저면 프레임(200);과 상기 베이스 프레임(100)에 입설 고정되어 좌우 날개를 형성하여 사용자를 지지하도록 상기 제 1 변(110)에 나란하게 배치되는 제 1 날개(310)와 상기 제 2 변(120)에 나란하게 배치되는 제 2 날개(320)가 구비되되, 상기 제 1 날개(310)와 상기 제 2 날개(320)의 저면에는 상기 제 1 측면공(170)과 상기 제 2 측면공(180)에 삽입되는 날개삽입부(330)이 돌출 형성되고, 상기 날개삽입부(330)의 직상 위치에 지면과 수직한 방향으로 저면삽입공(340)이 형성되고, 상부에 한 쌍의 상부삽입공(350)이 지면과 평행한 방향으로 형성되도록 복수의 종이판재(P1)가 접합제로 서로 접합되되 각각의 상기 종이판재(P1)의 종이결은 서로 어긋나도록 구비되는 날개부(300);와 상기 베이스 프레임(100)의 상부에서 지면 방향으로 삽입되어 상기 제 1 날개(310)와 상기 제 2 날개(320)의 사이에서 입설 고정되어 사용자의 등 부위를 지지하도록 저면에는 상기 후방삽입공(190)에 삽입되도록 등판삽입부(410)가 형성되며 상기 등판삽입부(410)의 양단에서 상기 등판삽입부(410)의 직상 위치에 한 쌍이 서로 전면을 향하도록 구비되는 등삽입공(420)이 형성되는 등지지부(400); 및 상기 메인관통공(150)에 삽입되어 사용자의 착석 상태를 유지하도록 착석고정부재(500);을 포함하는 친환경 DIY 좌식용 착석 보조기기를 제공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친환경 DIY 좌식용 착석 보조기기 { ECO-FRIENDLY SITTING TYPE ASSISTIVE DEVICE FOR DIY }
본 발명은 올바른 자세 유지가 필요한 장애인 및 노약자를 위한 친환경 DIY 좌식용 착석 보조기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좌석식으로 사용자들이 올바른 자세를 유지한 상태로 하중을 분산하여 오랜 시간 동안에도 불편함이 없도록 베이스 프레임, 저면 프레임, 날개부 및 등지지부를 포함하는 친환경 DIY 좌식용 착석 보조기기를 제공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뇌병변 및 지체 장애인과 같이 스스로 자세 유지가 어려운 경우 신체 동작이 부자연스러워 의지와 상관없이 자세가 요동하는데 이를 치료 및 교육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인원이 옆에서 신체를 잡거나, 보조기기가 필요하게 된다.
이러한 경우 항상 부자연스러운 자세를 취하기 때문에 식사와 같은 일상 작업을 올바로 수행할 수 없으며 신체의 특정 부위에 욕창이 생기기도 한다.
한편, 일반적으로 자세 보조 용구는 뇌성마비, 척수손상과 같이 자세 지지가 필요한 장애인에게 신체 변형과 관절 가동범위 및 사용자욕구와 잔존기능을 평가하여 좌석 모양으로 만든 장치를 휠체어 또는 의자에 적용해 자세를 지지하도록 하는 기구이며, 이를 이용해 둔부 압력이 적절히 분배되거나, 둔부 또는 신체 기능이 향상되어 장시간 앉기가 가능하도록 최적의 앉기 자세를 유도하며, 중력의 영향을 최소화하여 비정상적인 근 긴장 및 원시반사, 근 약화 등을 감소시켜 일상 생활의 운동 능력을 향상 시키도록 하는 것이다.
미국, 일본 및 유럽의 선진국에서는 이러한 자세보조용구에 대한 중요성을 인식하여 1990년대부터 서비스를 보편화하였고, 국내는 1990년대 후반 이러한 정보를 접하면서 2000년대 중반부터 수요가 증가하는 추세이다.
그러나, 기존의 자세보조기기 보급은 뇌병변 장애 아동(18세이하)을 대상으로 기초생활 수급자 및 차상위 계층 위주로 지원되어 복지사업에서 제외되는 계층이 발생하였고, 제한된 공적 급여 및 민간지원 제도로는 충분히 수요를 충족시키지 못하는 실정이다.
또한, 장애인의 개인마다 신체장애 정도 또는 변형의 정도가 달라 보조기기의 설계에 차이가 있으며, 이로 인해 시판되거나 개시되는 보조기기가 장애인에게 개별 맞춤 적용되지 못하여, 장애인 및 사용자의 만족을 이끌어내지 못하는 실정이다.
일례로, 도 10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석부(110a)와 등받이(110b)는 각각 하부에 사용자의 착석자세와 동일한 형상으로 성형된 형상부(120)와, 상기 형상부(120)와 동일한 형상으로 형상부(120) 상부에 적층되며, 열전도도가 03~45W/m-K를 가지는 제1완충부(130) 및 상기 형상부(120)와 동일한 형상으로 제1완충부(130)의 상부에 적층되는 제2완충부(140)로 구성되는 자세보조기구가 개시되어 있으나 전술한 문제점을 해소하지는 못하는 실정이다.
더욱이, 이러한 보조기기는 대개 수입에 의존하고 있어 그 가격 때문에 장애인이 구입함에 애로가 있으며, 시판되는 제품은 목재, 금속 또는 플라스틱을 재질로 제조되어 비싼 가격으로 판매되는 것이 현실인 실정이나 최근에는 가격 대비 성능을 따지는 ‘가성비’가 소비 트렌드로 자리 잡았으며, 보조 기기 분야도 예외일 수는 없으며, 제품 사용에 있어 친환경적 의미가 중요시되는 경향이 있는데, 친환경은 제품의 제조에서 폐기까지 환경오염을 줄일 수 있는 제품을 의미하는 것이다.
여기에, 제품을 구입하는 장애 소비자들은 자신의 필요에 딱 맞는 개인화, 즉 맞춤화된 제품을 찾고 있으며, 소비자 스스로 제품의 개발과 제작 과정에 참여하려는 경향을 보이고 있는데, 이러한 현상은 수동적 수용자에서 적극적 참가자로의 소비자 정체성의 변화를 나타내며, 제조자와 소비자의 경계가 점차 희미해지고 있는 하나의 사례이며, 이러한 적극적 소비자 요구가 반영되는 착석 보조기기의 개발 필요성이 강하게 대두 되고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427318호(2014.07.31. 등록)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 내지는 필요성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사변형을 이루도록 제 1 변(110), 제 2 변(120), 제 3 변(130) 및 제 4 변(140)이 형성되며, 상기 제 3 변(130)과 상기 제 4 변(140)이 서로 만나는 모서리 위치의 내측에 사각형상의 메인관통공(150)이 형성되고 상기 메인관통공(150)에서 상기 제 1 변(110)과 상기 제 2 변(120)이 위치하는 방향으로 제 1 삽입가이드공(160)이 형성되며 상기 제 1 변(110)과 상기 제 4 변(140)이 만나는 모서리 부위의 내측에는 상기 제 1 변(110)과 평행하게 제 1 측면공(170)이 형성되고 상기 제 2 변(120)과 상기 제 3 변(130)이 만나는 모서리 부위의 내측에는 상기 제 2 변(120)과 평행하게 제 2 측면공(180)이 상기 제 1 측면공(170)과 대향되게 형성되고 상기 제 1 변(110)과 제 2 변(120)이 만나는 모서리 부위의 내측에는 후방삽입공(190)이 형성되고 상기 후방삽입공(190)의 양단에는 상기 후방삽입공(190)의 길이 진행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 이격된 위치에 후방보조공(191)이 한 쌍 배치되며 종이 재질로 구비되는 베이스 프레임(100)으로 사용자의 착석이 안정적이고 편안하게 이루어지는 친환경 DIY 좌식용 착석 보조기기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베이스 프레임(100)의 사변에 동일하게 대응되는 길이와 방향을 갖는 사변형을 이루어 상기 베이스 프레임(100)의 하부에 결합되며 상기 메인관통공(150)의 직하 위치에는 저면관통공(250)이 배치되고 상기 제 1 삽입가이드공(160)의 직하 위치에는 상기 제 1 삽입가이드공(160)의 길이와 방향과 동일한 제 2 삽입가이드공(260)이 형성되고 상기 제 1 측면공(170)의 직하 위치에는 제 1 저면측면공(270) 상기 제 2 측면공(180)의 직하 위치에는 제 2 저면측면공(280)이 형성되고 상기 후방삽입공(190)의 직하 위치에는 저면삽입공(290)이 형성되고 상기 후방보조공(191)의 직하 위치에는 저면보조공(291)이 상기 저면삽입공(290)의 좌우에 각각 형성되며 종이 재질로 구비되는 저면 프레임(200)으로 사용자의 착석 하중을 이중으로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친환경 DIY 좌식용 착석 보조기기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베이스 프레임(100)에 입설 고정되어 좌우 날개를 형성하여 사용자를 지지하도록 상기 제 1 변(110)에 나란하게 배치되는 제 1 날개(310)와 상기 제 2 변(120)에 나란하게 배치되는 제 2 날개(320)가 구비되되, 상기 제 1 날개(310)와 상기 제 2 날개(320)의 저면에는 상기 제 1 측면공(170)과 상기 제 2 측면공(180)에 삽입되는 날개삽입부(330)이 돌출 형성되고, 상기 날개삽입부(330)의 직상 위치에 지면과 수직한 방향으로 저면삽입공(340)이 형성되고, 상부에 한 쌍의 상부삽입공(350)이 지면과 평행한 방향으로 형성되도록 구비되는 날개부(300)로 사용자의 등을 좌 우에서 모아주는 형상으로 편안하게 지지하는 친환경 DIY 좌식용 착석 보조기기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베이스 프레임(100)의 상부에서 지면 방향으로 삽입되어 상기 제 1 날개(310)와 상기 제 2 날개(320)의 사이에서 입설 고정되어 사용자의 등 부위를 지지하도록 저면에는 상기 후방삽입공(190)에 삽입되도록 등판삽입부(410)가 형성되며 상기 등판삽입부(410)의 양단에서 상기 등판삽입부(410)의 직상 위치에 한 쌍이 서로 전면을 향하도록 구비되는 등삽입공(420)이 형성되는 등지지부(400)로 사용자를 견고하게 지지하도록 하는 친환경 DIY 좌식용 착석 보조기기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메인관통공(150)에 삽입되어 사용자의 착석 상태를 유지하도록 구비되는 착석고정부재(500)로 사용자를 고정하도록 하는 친환경 DIY 좌식용 착석 보조기기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상부삽입공(350)에 삽입되어 사용자를 보호하도록 벨트(360)를 더 포함하고 상기 벨트(360)은 종단에 사용자를 보호하도록 길이 조절이 가능한 길이고정수단(361)이 적어도 구비되며 상기 제 1 날개(310) 및 상기 제 2 날개(320)의 외측에는 캐릭터장식면(370)이 구비되어 측면 오염을 예방하고 측면 지지력이 증대되는 동시에 아동 사용자의 흥미를 유발하는 친환경 DIY 좌식용 착석 보조기기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등지지부(400)의 배면에는 상기 등지지부(400)를 지지하도록 보조등지지재(430)가 더 포함되어 상기 보조등지지재(430)는 상기 등지지부(400)의 배면과 접하는 위치에서 후방으로 진행하면서 상부에서 지면 방향으로 점차 후방향으로 기울어진 형상으로 상기 등지지부(400)를 보강 지지하는 형상으로 구비되어 등 지지력을 견고하게 하는 친환경 DIY 좌식용 착석 보조기기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예와 관련된 친환경 DIY 좌식용 착석 보조기기는 먼저, 사변형을 이루도록 제 1 변(110), 제 2 변(120), 제 3 변(130) 및 제 4 변(140)이 형성되며, 상기 제 3 변과 제 4 변이 서로 만나는 모서리 위치의 내측에 사각형상의 메인관통공(150)이 형성되고 상기 메인관통공(150)에서 상기 제 1 변(110)과 상기 제 2 변(120)이 위치하는 방향으로 제 1 삽입가이드공(160)이 형성되며 상기 제 1 변(110)과 상기 제 4 변(140)이 만나는 모서리 부위의 내측에는 상기 제 1 변(110)과 평행하게 제 1 측면공(170)이 형성되고 상기 제 2 변(120)과 상기 제 3 변(130)이 만나는 모서리 부위의 내측에는 상기 제 2 변(120)과 평행하게 제 2 측면공(180)이 상기 제 1 측면공(170)과 대향되게 형성되고 상기 제 1 변(110)과 제 2 변(120)이 만나는 모서리 부위의 내측에는 후방삽입공(190)이 형성되고 상기 후방삽입공(190)의 양단에는 상기 후방삽입공(190)의 길이 진행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 이격된 위치에 후방보조공(191)이 한 쌍 배치되되 재질은 종이로 구비되되 상기 종이는 복수의 종이판재(P1)가 접합제로 서로 접합되되 각각의 상기 종이판재(P1)의 종이결은 서로 어긋나도록 구비되는 베이스 프레임(10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 상기 베이스 프레임(100)의 사변에 동일하게 대응되는 길이와 방향을 갖는 사변형을 이루어 상기 베이스 프레임(100)의 하부에 결합되며, 상기 메인관통공(150)의 직하 위치에는 저면관통공(250)이 배치되고,상기 제 1 삽입가이드공(160)의 직하 위치에는 상기 제 1 삽입가이드공(160)의 길이와 방향과 동일한 제 2 삽입가이드공(260)이 형성되고, 상기 제 1 측면공(170)의 직하 위치에는 제 1 저면측면공(270)이 형성되며 상기 제 2 측면공(180)의 직하 위치에는 제 2 저면측면공(280)이 형성되고 상기 후방삽입공(190)의 직하 위치에는 저면삽입공(290)이 형성되고 상기 후방보조공(191)의 직하 위치에는 저면보조공(291)이 상기 저면삽입공(290)의 좌우에 각각 형성되며 복수의 종이판재(P1)가 접합제로 서로 접합되되 각각의 상기 종이판재(P1)의 종이결은 서로 어긋나도록 구비되는 저면 프레임(20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 프레임(100)에 입설 고정되어 좌우 날개를 형성하여 사용자를 지지하도록 상기 제 1 변(110)에 나란하게 배치되는 제 1 날개(310)와 상기 제 2 변(120)에 나란하게 배치되는 제 2 날개(320)가 구비되되, 상기 제 1 날개(310)와 상기 제 2 날개(320)의 저면에는 상기 제 1 측면공(170)과 상기 제 2 측면공(180)에 삽입되는 날개삽입부(330)이 돌출 형성되고, 상기 날개삽입부(330)의 직상 위치에 지면과 수직한 방향으로 저면삽입공(340)이 형성되고, 상부에 한 쌍의 상부삽입공(350)이 지면과 평행한 방향으로 형성되도록 복수의 종이판재(P1)가 접합제로 서로 접합되되 각각의 상기 종이판재(P1)의 종이결은 서로 어긋나도록 구비되는 날개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 프레임(100)의 상부에서 지면 방향으로 삽입되어 상기 제 1 날개(310)와 상기 제 2 날개(320)의 사이에서 입설 고정되어 사용자의 등 부위를 지지하도록 저면에는 상기 후방삽입공(190)에 삽입되도록 등판삽입부(410)가 형성되며 상기 등판삽입부(410)의 양단에서 상기 등판삽입부(410)의 직상 위치에 한 쌍이 서로 전면을 향하도록 구비되는 등삽입공(420)이 형성되는 등지지부(40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 상기 메인관통공(150)에 삽입되어 사용자의 착석 상태를 유지하도록 착석고정부재(50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날개부(300)는 상기 상부삽입공(350)에 삽입되어 사용자를 보호하도록 벨트(360)를 더 포함하고 상기 벨트(360)은 종단에 사용자를 보호하도록 길이 조절이 가능한 길이고정수단(361)이 적어도 구비되며, 상기 제 1 날개(310) 및 상기 제 2 날개(320)의 외측에는 캐릭터장식면(370)이 더 구비되되 상기 캐릭터장식면(370)는 표면은 방수 재질의 코팅층으로 형성되고 상기 날개부(300)의 외부 테두리 내부에 수용되는 크기로 동물문양, 글자문양 또는 홍보문양이 표시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제 1 날개(310) 및 상기 제 2 날개(310)의 후방에 상기 제 1 날개(310) 및 상기 제 2 날개(310)의 진행 방향과 수직하게 보조날개(380)가 상기 베이스 프레임(100)에 입설 고정되도록 더 배치되어 상기 상기 제 1 날개(310) 및 상기 제 2 날개(310)의 지지력이 보강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등지지부(400)의 배면에는 상기 등지지부(400)를 지지하도록 보조등지지재(430)가 더 포함되되, 상기 보조등지지재(430)는 상기 등지지부(400)의 배면과 접하는 위치에서 후방으로 진행하면서 상부에서 지면 방향으로 점차 후방향으로 기울어진 형상으로 상기 등지지부(400)를 보강 지지하는 형상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친환경 DIY 좌식용 착석 보조기기를 제공하여,
첫째, 사변형을 이루도록 제 1 변(110), 제 2 변(120), 제 3 변(130) 및 제 4 변(140)이 형성되며, 상기 제 3 변과 제 4 변이 서로 만나는 모서리 위치의 내측에 사각형상의 메인관통공(150)이 형성되고 상기 메인관통공(150)에서 상기 제 1 변(110)과 상기 제 2 변(120)이 위치하는 방향으로 제 1 삽입가이드공(160)이 형성되며 상기 제 1 변(110)과 상기 제 4 변(140)이 만나는 모서리 부위의 내측에는 상기 제 1 변(110)과 평행하게 제 1 측면공(170)이 형성되고 상기 제 2 변(120)과 상기 제 3 변(130)이 만나는 모서리 부위의 내측에는 상기 제 2 변(120)과 평행하게 제 2 측면공(180)이 상기 제 1 측면공(170)과 대향되게 형성되고 상기 제 1 변(110)과 제 2 변(120)이 만나는 모서리 부위의 내측에는 후방삽입공(190)이 형성되고 상기 후방삽입공(190)의 양단에는 상기 후방삽입공(190)의 길이 진행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 이격된 위치에 후방보조공(191)이 한 쌍 배치되며 종이 재질로 구비되는 베이스 프레임(100)으로 사용자의 착석이 안정적이고 편안한 효과가 있다.
둘째, 상기 베이스 프레임(100)의 사변에 동일하게 대응되는 길이와 방향을 갖는 사변형을 이루어 상기 베이스 프레임(100)의 하부에 결합되며 상기 메인관통공(150)의 직하 위치에는 저면관통공(250)이 배치되고 상기 제 1 삽입가이드공(160)의 직하 위치에는 상기 제 1 삽입가이드공(160)의 길이와 방향과 동일한 제 2 삽입가이드공(260)이 형성되고 상기 제 1 측면공(170)의 직하 위치에는 제 1 저면측면공(270) 상기 제 2 측면공(180)의 직하 위치에는 제 2 저면측면공(280)이 형성되고 상기 후방삽입공(190)의 직하 위치에는 저면삽입공(290)이 형성되고 상기 후방보조공(191)의 직하 위치에는 저면보조공(291)이 상기 저면삽입공(290)의 좌우에 각각 형성되며 종이 재질로 구비되는 저면 프레임(200)으로 사용자의 착석 하중을 이중으로 안정적으로 지지한다.
셋째, 상기 베이스 프레임(100)에 입설 고정되어 좌우 날개를 형성하여 사용자를 지지하도록 상기 제 1 변(110)에 나란하게 배치되는 제 1 날개(310)와 상기 제 2 변(120)에 나란하게 배치되는 제 2 날개(320)가 구비되되, 상기 제 1 날개(310)와 상기 제 2 날개(320)의 저면에는 상기 제 1 측면공(170)과 상기 제 2 측면공(180)에 삽입되는 날개삽입부(330)이 돌출 형성되고, 상기 날개삽입부(330)의 직상 위치에 지면과 수직한 방향으로 저면삽입공(340)이 형성되고, 상부에 한 쌍의 상부삽입공(350)이 지면과 평행한 방향으로 형성되도록 구비되는 날개부(300)로 사용자의 등을 좌 우에서 모아주는 형상으로 편안하게 지지한다.
넷째, 상기 베이스 프레임(100)의 상부에서 지면 방향으로 삽입되어 상기 제 1 날개(310)와 상기 제 2 날개(320)의 사이에서 입설 고정되어 사용자의 등 부위를 지지하도록 저면에는 상기 후방삽입공(190)에 삽입되도록 등판삽입부(410)가 형성되며 상기 등판삽입부(410)의 양단에서 상기 등판삽입부(410)의 직상 위치에 한 쌍이 서로 전면을 향하도록 구비되는 등삽입공(420)이 형성되는 등지지부(400)로 사용자를 견고하게 지지한다.
다섯째, 상기 메인관통공(150)에 삽입되어 사용자의 착석 상태를 유지하도록 구비되는 착석고정부재(500)로 사용자를 고정한다.
여섯째, 상기 상부삽입공(350)에 삽입되어 사용자를 보호하도록 벨트(360)를 더 포함하고 상기 벨트(360)은 종단에 사용자를 보호하도록 길이 조절이 가능한 길이고정수단(361)이 적어도 구비되며 상기 제 1 날개(310) 및 상기 제 2 날개(320)의 외측에는 캐릭터장식면(370)이 구비되어 측면 오염을 예방하고 측면 지지력이 증대되는 동시에 아동 사용자의 흥미를 유발하는 효과가 있다.
일곱째, 상기 등지지부(400)의 배면에는 상기 등지지부(400)를 지지하도록 보조등지지재(430)가 더 포함되어 상기 보조등지지재(430)는 상기 등지지부(400)의 배면과 접하는 위치에서 후방으로 진행하면서 상부에서 지면 방향으로 점차 후방향으로 기울어진 형상으로 상기 등지지부(400)를 보강 지지하는 형상으로 구비되어 등 지지력을 강화 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친환경 DIY 좌식용 착석 보조기기의 베이스 프레임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친환경 DIY 좌식용 착석 보조기기의 베이스 저면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친환경 DIY 좌식용 착석 보조기기의 날개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5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친환경 DIY 좌식용 착석 보조기기의 조립 내용을 설명하기 위한 3D 개념도이다.
도 6 내지 9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친환경 DIY 좌식용 착석 보조기기의 조립 예를 설명하기 위한 3D 도면 또는 사진예이다.
도 1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친환경 DIY 좌식용 착석 보조기기의 베이스 프레임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10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친환경 DIY 좌식용 착석 보조기기와 기존의 좌석식 착석 보조 기기를 비교 설명하기 위한 선 출원 문건의 발췌 도면이다.
본 명세서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형태들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변경들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들을 가질 수 있으므로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들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친환경 DIY 좌식용 착석 보조기기의 베이스 프레임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고, 도 2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친환경 DIY 좌식용 착석 보조기기의 베이스 저면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고, 도 3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친환경 DIY 좌식용 착석 보조기기의 날개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고 도 5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친환경 DIY 좌식용 착석 보조기기의 조립 내용을 설명하기 위한 3D 개념도이고, 도 6 내지 9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친환경 DIY 좌식용 착석 보조기기의 조립 예를 설명하기 위한 3D 도면 또는 사진예이며, 도 1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친환경 DIY 좌식용 착석 보조기기의 베이스 프레임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고, 도 10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친환경 DIY 좌식용 착석 보조기기와 기존의 좌석식 착석 보조 기기를 비교 설명하기 위한 선 출원 문건의 발췌 도면이다.
본원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는 친환경 DIY 좌식용 착석 보조기기는 먼저, 사변형을 이루도록 제 1 변(110), 제 2 변(120), 제 3 변(130) 및 제 4 변(140)이 형성되는 베이스 프레임(100)이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비된다.
여기에, 상기 베이스 프레임(100)의 상부에서 지면 방향으로 착석 보조 기기를 사용자가 직접 삽입하여 조립할 수 있도록 상기 제 3 변과 제 4 변이 서로 만나는 모서리 위치의 내측에 사각형상의 메인관통공(150)이 형성되고 상기 메인관통공(150)에서 상기 제 1 변(110)과 상기 제 2 변(120)이 위치하는 방향으로 제 1 삽입가이드공(160)이 형성되며 상기 제 1 변(110)과 상기 제 4 변(140)이 만나는 모서리 부위의 내측에는 상기 제 1 변(110)과 평행하게 제 1 측면공(170)이 형성되고 상기 제 2 변(120)과 상기 제 3 변(130)이 만나는 모서리 부위의 내측에는 상기 제 2 변(120)과 평행하게 제 2 측면공(180)이 상기 제 1 측면공(170)과 대향되게 형성되고 상기 제 1 변(110)과 제 2 변(120)이 만나는 모서리 부위의 내측에는 후방삽입공(190)이 형성되고 상기 후방삽입공(190)의 양단에는 상기 후방삽입공(190)의 길이 진행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 이격된 위치에 후방보조공(191)이 한 쌍 배치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베이스 프레임(100)의 재질은 종이로 구비되되 상기 종이는 복수의 종이판재(P1)가 접합제로 서로 접합되되 각각의 상기 종이판재(P1)의 종이결은 서로 어긋나도록 구비되어 종횡 방향의 가압력에 대한 저항 성능이 높아지도록 구비된다.
한편,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 프레임(100)의 직하 위치에서 상기 베이스 프레임(100)의 저면과 서로 맞닿도록 상기 베이스 프레임(100)의 사변에 동일하게 대응되는 길이와 방향을 갖는 사변형을 이루어 상기 베이스 프레임(100)의 하부에 결합되며, 상기 메인관통공(150)의 직하 위치에는 저면관통공(250)이 배치되고,상기 제 1 삽입가이드공(160)의 직하 위치에는 상기 제 1 삽입가이드공(160)의 길이와 방향과 동일한 제 2 삽입가이드공(260)이 형성되고, 상기 제 1 측면공(170)의 직하 위치에는 제 1 저면측면공(270)이 형성되며 상기 제 2 측면공(180)의 직하 위치에는 제 2 저면측면공(280)이 형성되고 상기 후방삽입공(190)의 직하 위치에는 저면삽입공(290)이 형성되고 상기 후방보조공(191)의 직하 위치에는 저면보조공(291)이 상기 저면삽입공(290)의 좌우에 각각 형성되는 저면 프레임(200)이 배치된다.
이때, 상기 저면 프레임(200)은 복수의 종이판재(P1)가 접합제로 서로 접합되되 각각의 상기 종이판재(P1)의 종이결은 서로 어긋나도록 구비되는 것이다.
또한,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 프레임(100)에 입설 고정되어 좌우 날개를 형성하여 사용자를 지지하도록 상기 제 1 변(110)에 나란하게 배치되는 제 1 날개(310)와 상기 제 2 변(120)에 나란하게 배치되는 제 2 날개(320)가 구비되되, 상기 제 1 날개(310)와 상기 제 2 날개(320)의 저면에는 상기 제 1 측면공(170)과 상기 제 2 측면공(180)에 삽입되는 날개삽입부(330)이 돌출 형성되고, 상기 날개삽입부(330)의 직상 위치에 지면과 수직한 방향으로 저면삽입공(340)이 형성되고, 상부에 한 쌍의 상부삽입공(350)이 지면과 평행한 방향으로 형성되는 날개부(300)가 구비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날개부(300) 또한 복수의 종이판재(P1)가 접합제로 서로 접합되되 각각의 상기 종이판재(P1)의 종이결은 서로 어긋나도록 구비된다.
또한,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 프레임(100)의 상부에서 지면 방향으로 삽입되어 상기 제 1 날개(310)와 상기 제 2 날개(320)의 사이에서 입설 고정되어 사용자의 등 부위를 지지하도록 저면에는 상기 후방삽입공(190)에 삽입되도록 등판삽입부(410)가 형성되며 상기 등판삽입부(410)의 양단에서 상기 등판삽입부(410)의 직상 위치에 한 쌍이 서로 전면을 향하도록 구비되는 등삽입공(420)이 형성되는 등지지부(400)가 구비되어 착석한 사용자의 자세를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여기에, 상기 메인관통공(150)에 삽입되어 사용자의 착석 상태를 유지하도록 착석고정부재(500)가 더 포함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날개부(300)는 상기 상부삽입공(350)에 삽입되어 사용자를 보호하도록 벨트(360)를 더 포함하고 상기 벨트(360)은 종단에 사용자를 보호하도록 길이 조절이 가능한 길이고정수단(361)이 적어도 구비되며, 상기 제 1 날개(310) 및 상기 제 2 날개(320)의 외측에는 캐릭터장식면(370)이 더 구비되되 상기 캐릭터장식면(370)는 표면은 방수 재질의 코팅층으로 형성되고 상기 날개부(300)의 외부 테두리 내부에 수용되는 크기로 동물문양, 글자문양 또는 홍보문양이 표시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제 1 날개(310) 및 상기 제 2 날개(310)의 후방에 상기 제 1 날개(310) 및 상기 제 2 날개(310)의 진행 방향과 수직하게 보조날개(380)가 상기 베이스 프레임(100)에 입설 고정되도록 더 배치되어 상기 상기 제 1 날개(310) 및 상기 제 2 날개(310)의 지지력이 보강되도록 구비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한 것이다.
또한, 상기 등지지부(400)의 배면에는 상기 등지지부(400)를 지지하도록 보조등지지재(430)가 더 포함되되, 상기 보조등지지재(430)는 상기 등지지부(400)의 배면과 접하는 위치에서 후방으로 진행하면서 상부에서 지면 방향으로 점차 후방향으로 기울어진 형상으로 상기 등지지부(400)를 보강 지지하는 형상으로 구비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원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는 친환경 DIY 좌식용 착석 보조기기를 이용하면, 사변형을 이루도록 제 1 변(110), 제 2 변(120), 제 3 변(130) 및 제 4 변(140)이 형성되며, 상기 제 3 변과 제 4 변이 서로 만나는 모서리 위치의 내측에 사각형상의 메인관통공(150)이 형성되고 상기 메인관통공(150)에서 상기 제 1 변(110)과 상기 제 2 변(120)이 위치하는 방향으로 제 1 삽입가이드공(160)이 형성되며 상기 제 1 변(110)과 상기 제 4 변(140)이 만나는 모서리 부위의 내측에는 상기 제 1 변(110)과 평행하게 제 1 측면공(170)이 형성되고 상기 제 2 변(120)과 상기 제 3 변(130)이 만나는 모서리 부위의 내측에는 상기 제 2 변(120)과 평행하게 제 2 측면공(180)이 상기 제 1 측면공(170)과 대향되게 형성되고 상기 제 1 변(110)과 제 2 변(120)이 만나는 모서리 부위의 내측에는 후방삽입공(190)이 형성되고 상기 후방삽입공(190)의 양단에는 상기 후방삽입공(190)의 길이 진행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 이격된 위치에 후방보조공(191)이 한 쌍 배치되며 종이 재질로 구비되는 베이스 프레임(100)으로 사용자의 착석이 안정적이고 편안한 효과가 있으며, 상기 베이스 프레임(100)의 사변에 동일하게 대응되는 길이와 방향을 갖는 사변형을 이루어 상기 베이스 프레임(100)의 하부에 결합되며 상기 메인관통공(150)의 직하 위치에는 저면관통공(250)이 배치되고 상기 제 1 삽입가이드공(160)의 직하 위치에는 상기 제 1 삽입가이드공(160)의 길이와 방향과 동일한 제 2 삽입가이드공(260)이 형성되고 상기 제 1 측면공(170)의 직하 위치에는 제 1 저면측면공(270) 상기 제 2 측면공(180)의 직하 위치에는 제 2 저면측면공(280)이 형성되고 상기 후방삽입공(190)의 직하 위치에는 저면삽입공(290)이 형성되고 상기 후방보조공(191)의 직하 위치에는 저면보조공(291)이 상기 저면삽입공(290)의 좌우에 각각 형성되며 종이 재질로 구비되는 저면 프레임(200)으로 사용자의 착석 하중을 이중으로 안정적으로 지지하며, 상기 베이스 프레임(100)에 입설 고정되어 좌우 날개를 형성하여 사용자를 지지하도록 상기 제 1 변(110)에 나란하게 배치되는 제 1 날개(310)와 상기 제 2 변(120)에 나란하게 배치되는 제 2 날개(320)가 구비되되, 상기 제 1 날개(310)와 상기 제 2 날개(320)의 저면에는 상기 제 1 측면공(170)과 상기 제 2 측면공(180)에 삽입되는 날개삽입부(330)이 돌출 형성되고, 상기 날개삽입부(330)의 직상 위치에 지면과 수직한 방향으로 저면삽입공(340)이 형성되고, 상부에 한 쌍의 상부삽입공(350)이 지면과 평행한 방향으로 형성되도록 구비되는 날개부(300)로 사용자의 등을 좌 우에서 모아주는 형상으로 편안하게 지지하며, 상기 베이스 프레임(100)의 상부에서 지면 방향으로 삽입되어 상기 제 1 날개(310)와 상기 제 2 날개(320)의 사이에서 입설 고정되어 사용자의 등 부위를 지지하도록 저면에는 상기 후방삽입공(190)에 삽입되도록 등판삽입부(410)가 형성되며 상기 등판삽입부(410)의 양단에서 상기 등판삽입부(410)의 직상 위치에 한 쌍이 서로 전면을 향하도록 구비되는 등삽입공(420)이 형성되는 등지지부(400)로 사용자를 견고하게 지지하며, 상기 메인관통공(150)에 삽입되어 사용자의 착석 상태를 유지하도록 구비되는 착석고정부재(500)로 사용자를 고정하며, 상기 상부삽입공(350)에 삽입되어 사용자를 보호하도록 벨트(360)를 더 포함하고 상기 벨트(360)은 종단에 사용자를 보호하도록 길이 조절이 가능한 길이고정수단(361)이 적어도 구비되며 상기 제 1 날개(310) 및 상기 제 2 날개(320)의 외측에는 캐릭터장식면(370)이 구비되어 측면 오염을 예방하고 측면 지지력이 증대되는 동시에 아동 사용자의 흥미를 유발하는 효과가 기대되는 것이다.
이상 본 발명은 바람직한 일실시 예를 통하여 설명하였는데, 상술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가 가능함은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보호범위는 특정 실시예가 아니라 특허 청구 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도응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적 사상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 되어야 될 것이다.
100 ... 베이스 프레임
110 ... 제 1 변
120 ... 제 2 변
130 ... 제 3 변
140 ... 제 4 변
150 ... 메인관통공
160 ... 제 1 삽입가이드공
170 ... 제 1 측면공
180 ... 제 2 측면공
190 ... 후방삽입공
191 ... 후방보조공
200 ... 저면 프레임
250 ... 저면관통공
260 ... 제 2 삽입가이드공
270 ... 제 1 저면측면공
280 ... 제 2 저면측면공
290 ... 저면삽입공
291 ... 저면보조공
300 ... 날개부
310 ... 제 1 날개
320 ... 제 2 날개
330 ... 날개삽입부
340 ... 저면삽입공
350 ... 상부삽입공
360 ... 벨트
361 ... 길이고정수단
370 ... 캐릭터장식면
380 ... 보조날개
400 ... 등지지부
410 ... 등판삽입부
420 ... 등삽입공
430 ... 보조등지지재
500 ... 착석고정부재
600 ... 매트

Claims (3)

  1. 사변형을 이루도록 제 1 변(110), 제 2 변(120), 제 3 변(130) 및 제 4 변(140)이 형성되며, 상기 제 3 변(130)과 상기 제 4 변(140)이 서로 만나는 모서리 위치의 내측에 사각형상의 메인관통공(150)이 형성되고 상기 메인관통공(150)에서 상기 제 1 변(110)과 상기 제 2 변(120)이 위치하는 방향으로 제 1 삽입가이드공(160)이 형성되며 상기 제 1 변(110)과 상기 제 4 변(140)이 만나는 모서리 부위의 내측에는 상기 제 1 변(110)과 평행하게 제 1 측면공(170)이 형성되고 상기 제 2 변(120)과 상기 제 3 변(130)이 만나는 모서리 부위의 내측에는 상기 제 2 변(120)과 평행하게 제 2 측면공(180)이 상기 제 1 측면공(170)과 대향되게 형성되고 상기 제 1 변(110)과 제 2 변(120)이 만나는 모서리 부위의 내측에는 후방삽입공(190)이 형성되고 상기 후방삽입공(190)의 양단에는 상기 후방삽입공(190)의 길이 진행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 이격된 위치에 후방보조공(191)이 한 쌍 배치되되 재질은 종이로 구비되되 상기 종이는 복수의 종이판재(P1)가 접합제로 서로 접합되되 각각의 상기 종이판재(P1)의 종이결은 서로 어긋나도록 구비되는 베이스 프레임(100);
    상기 베이스 프레임(100)의 사변에 동일하게 대응되는 길이와 방향을 갖는 사변형을 이루어 상기 베이스 프레임(100)의 하부에 결합되며, 상기 메인관통공(150)의 직하 위치에는 저면관통공(250)이 배치되고,상기 제 1 삽입가이드공(160)의 직하 위치에는 상기 제 1 삽입가이드공(160)의 길이와 방향과 동일한 제 2 삽입가이드공(260)이 형성되고, 상기 제 1 측면공(170)의 직하 위치에는 제 1 저면측면공(270)이 형성되며 상기 제 2 측면공(180)의 직하 위치에는 제 2 저면측면공(280)이 형성되고 상기 후방삽입공(190)의 직하 위치에는 저면삽입공(290)이 형성되고 상기 후방보조공(191)의 직하 위치에는 저면보조공(291)이 상기 저면삽입공(290)의 좌우에 각각 형성되며 복수의 종이판재(P1)가 접합제로 서로 접합되되 각각의 상기 종이판재(P1)의 종이결은 서로 어긋나도록 구비되는 저면 프레임(200);
    상기 베이스 프레임(100)에 입설 고정되어 좌우 날개를 형성하여 사용자를 지지하도록 상기 제 1 변(110)에 나란하게 배치되는 제 1 날개(310)와 상기 제 2 변(120)에 나란하게 배치되는 제 2 날개(320)가 구비되되, 상기 제 1 날개(310)와 상기 제 2 날개(320)의 저면에는 상기 제 1 측면공(170)과 상기 제 2 측면공(180)에 삽입되는 날개삽입부(330)이 돌출 형성되고, 상기 날개삽입부(330)의 직상 위치에 지면과 수직한 방향으로 저면삽입공(340)이 형성되고, 상부에 한 쌍의 상부삽입공(350)이 지면과 평행한 방향으로 형성되도록 복수의 종이판재(P1)가 접합제로 서로 접합되되 각각의 상기 종이판재(P1)의 종이결은 서로 어긋나도록 구비되는 날개부(300);
    상기 베이스 프레임(100)의 상부에서 지면 방향으로 삽입되어 상기 제 1 날개(310)와 상기 제 2 날개(320)의 사이에서 입설 고정되어 사용자의 등 부위를 지지하도록 저면에는 상기 후방삽입공(190)에 삽입되도록 등판삽입부(410)가 형성되며 상기 등판삽입부(410)의 양단에서 상기 등판삽입부(410)의 직상 위치에 한 쌍이 서로 전면을 향하도록 구비되는 등삽입공(420)이 형성되는 등지지부(400); 및
    상기 메인관통공(150)에 삽입되어 사용자의 착석 상태를 유지하도록 착석고정부재(500);를 포함하는 친환경 DIY 좌식용 착석 보조기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날개부(300)는,
    상기 상부삽입공(350)에 삽입되어 사용자를 보호하도록 벨트(360)를 더 포함하고 상기 벨트(360)은 종단에 사용자를 보호하도록 길이 조절이 가능한 길이고정수단(361)이 적어도 구비되며, 상기 제 1 날개(310) 및 상기 제 2 날개(320)의 외측에는 캐릭터장식면(370)이 더 구비되되 상기 캐릭터장식면(370)는 표면은 방수 재질의 코팅층으로 형성되고 상기 날개부(300)의 외부 테두리 내부에 수용되는 크기로 동물문양, 글자문양 또는 홍보문양이 표시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제 1 날개(310) 및 상기 제 2 날개(320)의 후방에 상기 제 1 날개(310) 및 상기 제 2 날개(320)의 진행 방향과 수직하게 보조날개(380)가 상기 베이스 프레임(100)에 입설 고정되도록 더 배치되어 상기 상기 제 1 날개(310) 및 상기 제 2 날개(320)의 지지력이 보강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DIY 좌식용 착석 보조기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등지지부(400)의 배면에는 상기 등지지부(400)를 지지하도록 보조등지지재(430)가 더 포함되되, 상기 보조등지지재(430)는 상기 등지지부(400)의 배면과 접하는 위치에서 후방으로 진행하면서 상부에서 지면 방향으로 점차 후방향으로 기울어진 형상으로 상기 등지지부(400)를 보강 지지하는 형상으로 구비되며, 상기 베이스 프레임(100)의 상부면에는 쿠션을 갖는 재질로 형성되는 매트(600)가 더 구비되며, 상기 저면 프레임(200)은 지면과 접촉되는 저면에 불규칙하게 다수의 마찰돌기(미도시)가 더 형성되어 지면 미끄러짐이 방지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DIY 좌식용 착석 보조기기.
KR1020200008024A 2020-01-21 2020-01-21 친환경 diy 좌식용 착석 보조기기 KR1021468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8024A KR102146894B1 (ko) 2020-01-21 2020-01-21 친환경 diy 좌식용 착석 보조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8024A KR102146894B1 (ko) 2020-01-21 2020-01-21 친환경 diy 좌식용 착석 보조기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46894B1 true KR102146894B1 (ko) 2020-08-21

Family

ID=722355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08024A KR102146894B1 (ko) 2020-01-21 2020-01-21 친환경 diy 좌식용 착석 보조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46894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319362A (ja) * 2006-05-31 2007-12-13 Tool Box:Kk 段ボール製組立式椅子
JP3142619U (ja) * 2008-04-08 2008-06-19 宰子 福田 座席用背もたれ具
JP2012095996A (ja) * 2010-10-04 2012-05-24 Npo Nicchu Taiiku Kankyo Kyoiku Seibi Kyokai スクワット運動補助具及び補助椅子
KR101427318B1 (ko) 2013-05-02 2014-08-06 (주)힐닉스 자세보조기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319362A (ja) * 2006-05-31 2007-12-13 Tool Box:Kk 段ボール製組立式椅子
JP3142619U (ja) * 2008-04-08 2008-06-19 宰子 福田 座席用背もたれ具
JP2012095996A (ja) * 2010-10-04 2012-05-24 Npo Nicchu Taiiku Kankyo Kyoiku Seibi Kyokai スクワット運動補助具及び補助椅子
KR101427318B1 (ko) 2013-05-02 2014-08-06 (주)힐닉스 자세보조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562038C2 (ru) Постуральная система
KR101517350B1 (ko) 착석시 바른자세 유도와 안락성을 기대할 수 있는 의자
JP2019514664A (ja) 姿勢の変化に伴って変形可能な腰下敷用椅子
US20080252120A1 (en) Chair having shape memory sponge mounted on backrest
KR102146894B1 (ko) 친환경 diy 좌식용 착석 보조기기
AU2021202097A1 (en) Injection Moulded Unupholstered Plastic Chair
KR102030820B1 (ko) 친환경 d.i.y. 착석 보조기기
DK0698359T3 (da) Sæde
CN206510800U (zh) 一种汽车地毯
EP2712520A1 (en) One piece chair with integral arm rest
KR200401964Y1 (ko) 의자일체형 테이블
TWM586569U (zh) 學步車
KR200302692Y1 (ko) 의자의 등받이
JP3011273U (ja) 座位保持装置
JP2017176483A (ja) 床座用姿勢保持具
KR20140063134A (ko) 회음부 통풍 기능을 갖는 의자용 좌판
KR101305038B1 (ko) 의자
JP3191773U (ja) 正座椅子
KR200191821Y1 (ko) 가방을 쉽게 걸 수 있는 의자
KR19980065387U (ko) 방 석(의자의 앉는 판 포함)
JP3055021B1 (ja) 椅子用座板
KR200340462Y1 (ko) 도서관용 열람의자
JP3068236U (ja) バスチェア―
JPS5840920Y2 (ja) 保健腰掛け
JP2014158570A (ja) 上半身マットレ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