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05038B1 - 의자 - Google Patents

의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05038B1
KR101305038B1 KR1020130002694A KR20130002694A KR101305038B1 KR 101305038 B1 KR101305038 B1 KR 101305038B1 KR 1020130002694 A KR1020130002694 A KR 1020130002694A KR 20130002694 A KR20130002694 A KR 20130002694A KR 101305038 B1 KR101305038 B1 KR 1013050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 plate
backrest
frame
chair
vent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026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재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아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아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아스
Priority to KR10201300026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0503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050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050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40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 A47C7/44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with elastically-mounted back-rest or backrest-seat unit in the base fram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02Seat par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40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62Accessories for chairs
    • A47C7/72Adaptations for incorporating lamps, radio sets, bars, telephones, ventilation, heating or cooling arrangements or the like
    • A47C7/74Adaptations for incorporating lamps, radio sets, bars, telephones, ventilation, heating or cooling arrangements or the like for ventilation, heating or cooling

Landscapes

  • Chair Legs, Seat Parts, And Backres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의자에 관한 것으로, 프레임, 이 프레임에 거치되고 엉덩이와 접촉 면적을 증가시키기 위해 오목하게 함몰된 좌판함몰부를 형성한 좌판, 및 이 좌판에 통기성을 부여하도록 좌판함몰부에 통공되는 좌판통기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종래 기술과 달리 의자의 좌판과 등받이에 통기홀을 통공하여 장기간 착석시에도 불쾌감을 최소화하고, 착석시 통기홀을 기준으로 좌판과 등받이가 소정 벌어지도록 하여 엉덩이와 등받이의 수용감을 향상시킴으로써 착석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의자{CHAIR}
본 발명은 의자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의자의 좌판과 등받이에 통기홀을 통공하여 장기간 착석시에도 불쾌감을 최소화하고, 착석시 통기홀을 기준으로 좌판과 등받이가 소정 벌어지도록 하여 엉덩이와 등받이의 수용감을 향상시킴으로써 착석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의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초등학교 및 중고등학교를 비롯한 대학의 교실이나 강의실에서 사용되고 있는 학생용 의자는 대개 금속제 파이프로 이루어진 프레임에 목재 재질의 좌판과 등받이가 부착고정된 구조로서 현재 거의 모든 교실에서 사용중인 학생용 의자의 형태는 소정형상으로 절곡되어 다리와 등받이 지지체를 구성하는 두 금속재 파이프 부재의 접촉부에 대한 용접을 행하여 프레임을 형성하고, 그 프레임의 다리 상단에 목재로 이루어진 사각판체상의 좌판을 고정스크류로 부착 고정하는 한편 등받이 지지체 상에 등받이를 고정시킨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이때, 좌판과 등받이는 약 2 - 3mm 정도의 두께를 갖는 통상의 합판 3 - 4매 정도를 적층 접합한 것으로 적층체의 전체 두께는 약 1cm 또는 그 이상을 유지하고 있다. 그리고, 이들 좌판과 등받이는 가장자리부에 비해 중앙부가 완만하게 만곡형성되고 외측 모서리부는 표면부에 대해 거의 직각을 이루는 구조를 취하고 있다.
상기한 기술구성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배경기술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종래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학생용 의자에 대해서는 국내특허등록 제10-0269859호에 제안되어 있다.
기존 학생용 의자는 좌판과 등받이가 통기성이 없기 때문에 장기간 착석시 땀이 차는 문제점이 있고, 좌판이 딱딱하여 장기간 착석시 엉덩이가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의자의 좌판과 등받이에 통기홀을 통공하여 장기간 착석시에도 공기가 좌판과 엉덩이, 등받이와 허리 사이로 유입됨으로써 땀에 의한 불쾌감을 최소화하고자 하는 의자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좌판과 등받이에 통기홀의 양측으로 홈을 형성하여 착석시 가압력에 의해 좌판과 등받이가 쉽게 휘어지도록 함으로써 엉덩이와 등받이를 최대한 밀착시킴에 따라 착석감과 안락감을 향상시키고자 하는 의자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의자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거치되고 엉덩이와 접촉 면적을 증가시키기 위해 오목하게 함몰된 좌판함몰부를 형성한 좌판, 및 상기 좌판에 통기성을 부여하도록 상기 좌판함몰부에 통공되는 좌판통기홀부를 포함한다.
상기 좌판통기홀부는 상기 좌판의 가로너비에 대응되게 장방형으로 복수 개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좌판은 상기 좌판통기홀부의 양측으로 연장되어 함몰되는 좌판홈부를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프레임은 등받이함몰부를 함몰 형성한 등받이를 구비하고, 상기 등받이는 통기성을 부여하도록 상기 등받이함몰부에 통공되는 등받이통기홀부를 통공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등받이통기홀부는 상기 등받이의 가로너비에 대응되게 장방형으로 복수 개 구비되고, 상기 등받이는 상기 등받이통기홀부의 양측으로 연장되어 함몰되는 등받이홈부를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의자는 종래 기술과 달리 의자의 좌판과 등받이에 통기홀을 통공하여 장기간 착석시에도 공기가 좌판과 엉덩이, 등받이와 허리 사이로 유입됨으로써 땀에 의한 불쾌감을 최소화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좌판과 등받이에 통기홀의 양측으로 홈을 형성하여 착석시 가압력에 의해 좌판과 등받이가 쉽게 휘어지도록 함으로써 엉덩이와 등받이를 최대한 밀착시킴에 따라 착석감과 안락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자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자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자의 저면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자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자의 정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자의 종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의자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작업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자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자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자의 저면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자의 평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자의 정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자의 종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자(10)는 프레임(20) 및 좌판(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프레임(20)은 좌판(30)을 지지한다. 특히, 프레임(20)은 의자(10)의 레그(leg) 기능을 포함할 수도 있고, 레그를 별도로 구비할 수도 있다. 따라서, 프레임(20)은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아울러, 좌판(30)은 프레임(20)에 지지되고, 착석자의 엉덩이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그래서, 좌판(30)은 면(面)으로 형성된다. 특히,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자(10)는 학생용으로서, 장시간 착석시 긴장 유지를 위해 딱딱한 재질로 이루어진다.
또한, 좌판(30)은 엉덩이와 접촉 면적을 증가시키기 위해 아래 방향으로 소정 볼록하도록 오목하게 함몰된 좌판함몰부(32)를 형성한다. 좌판함몰부(32)는 좌판(30)에서 엉덩이가 접하는 후측에 가로너비(W) 방향으로 호 궤적으로 함몰 형성됨으로써 엉덩이와 접촉면적을 증가시켜 경질인 좌판(30)에 안락감을 부여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좌판(30)에는 좌판통기홀부(110)를 통공 형성한다. 좌판통기홀부(110)는 공기가 엉덩이와 좌판(30)의 접촉 부위로 공급되도록 하여 장기간의 착석에 따라 신체 부위에 땀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즉, 좌판통기홀부(110)는 좌판(30)에 통기성을 부여하는 역할을 한다.
특히, 좌판통기홀부(110)는 엉덩이와 접촉 면적이 넓은 좌판함몰부(32)에 집중 통공됨이 바람직하다. 물론, 좌판통기홀부(110)는 좌판(30) 전체에 걸쳐 통공 형성될 수도 있다.
아울러, 좌판통기홀부(110)는 복수 개의 정홀로 배열될 수 있으나, 좌판(30)의 가로너비(W)에 대응되게 장방형으로 복수 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는, 착석자가 착석시 좌판통기홀부(110)에 의해 좌판(30)이 하측으로 소정 휘어질 수 있도록 하여 안락감을 더욱 향상시키기 위함이다. 그리고, 좌판통기홀부(110)는 서로 나란하게 배열된다. 물론, 좌판통기홀부(110)의 개수는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좌판(30)은 좌판통기홀부(110)의 양측으로 연장되어 함몰되는 좌판홈부(120)를 형성한다. 즉, 좌판홈부(120)에 해당되는 좌판(30)의 두께는 좌판홈부(120)를 형성하지 않는 부위에 비해 얇게 된다. 그래서, 착석자가 착석시, 좌판(30)은 하중에 의해 하측으로 더욱 휘어짐으로써 안락감과 착석감을 최대한 향상시키고, 탄성 복원력을 증가시키게 된다.
물론, 좌판홈부(120)의 길이와 깊이는 한정되지 않는다.
아울러, 프레임(20)은 등받이(40)를 구비한다. 즉, 등받이(40)는 프레임(20)에 상측으로 끼워지거나 또는 프레임(20)에 결합되어 착석자의 등이나 허리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그래서, 등받이(40)는 면(面)으로 형성된다. 물론, 등받이(40)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특히,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자(10)는 학생용으로서, 장시간 착석시 긴장 유지를 위해 딱딱한 재질로 이루어진다.
또한, 등받이(40)는 허리나 등과의 접촉 면적을 증가시키기 위해 후측(後側) 방향으로 소정 볼록하도록 오목하게 함몰된 등받이함몰부(42)를 형성한다. 등받이함몰부(42)는 등받이(40) 상측에서 하측으로 갈수록 곡률이 커지도록 가로너비(W) 방향으로 호 궤적으로 함몰 형성됨으로써 등이나 허리와 같은 신체부위와 접촉면적을 증가시켜 경질인 등받이(40)에 안락감을 부여하는 역할을 한다.
특히, 좌판통기홀부(110)와 좌판홈부(120)는 착석자의 엉덩이가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도 한다.
한편, 등받이(40)에는 등받이통기홀부(130)를 통공 형성한다. 등받이통기홀부(130)는 공기가 허리나 등과 같은 신체부위와 등받이(40)의 접촉 부위로 공급되도록 하여 장기간의 착석에 따라 해당 신체 부위에 땀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즉, 등받이통기홀부(130)는 등받이(40)에 통기성을 부여하는 역할을 한다.
특히, 등받이통기홀부(130)는 해당 신체부위와 접촉 면적이 넓은 등받이함몰부(42)에 집중 통공됨이 바람직하다. 물론, 등받이통기홀부(130)는 등받이(40) 전체에 걸쳐 통공 형성될 수도 있다.
아울러, 등받이통기홀부(130)는 복수 개의 정홀로 배열될 수 있으나, 등받이(40)의 가로너비(W)에 대응되게 장방형으로 복수 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는, 착석자가 허리로 지지할 경우 등받이통기홀부(130)에 의해 등받이(40)가 후측으로 소정 휘어질 수 있도록 하여 안락감을 더욱 향상시키기 위함이다. 그리고, 등받이통기홀부(130)는 서로 나란하게 배열된다. 물론, 등받이통기홀부(130)의 개수는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등받이(40)는 등받이통기홀부(130)의 양측으로 연장되어 함몰되는 등받이홈부(140)를 형성한다. 즉, 등받이홈부(140)에 해당되는 등받이(40)의 두께는 등받이홈부(140)를 형성하지 않는 부위에 비해 얇게 된다. 그래서, 착석자가 착석하여 허리 등 해당 신체 부위를 지지시, 등받이(40)는 미는 힘에 의해 후측으로 더욱 휘어짐으로써 안락감과 착석감을 최대한 향상시키고, 탄성 복원력을 증가시키게 된다.
특히, 등받이통기홀부(130)와 등받이홈부(140)는 착석자의 허리가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도 한다.
한편, 좌판(30)은 착석자의 체형에 따라 높낮이 조절 가능하게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예로서, 프레임(20)은 레그 역할을 하는 하부프레임(24), 및 좌판(30)과 등받이(40)를 지지하는 상부프레임(22)으로 나뉘어진다.
그리고, 상부프레임(22)의 하측은 하부프레임(24)의 상측에 삽입되게 형성된다.
아울러, 하부프레임(24)은 상측에 높이유지홀(154)을 하나 통공하고, 상부프레임(22)은 하측에 높이설정홀(152)을 복수 개 통공한다.
또한, 하부프레임(24)은 상측에 부쉬(156)를 구비한다. 부쉬(156)는 하부프레임(24)에 지지되도록 하부프레임(24)의 상측 둘레면에 구비된다. 이때, 부쉬(156)는 높이유지홀(154)과 일치되는 삽입홀(157)을 통공한다.
상부프레임(22)의 하측은 부쉬(156)와 하부프레임(24)에 순서대로 삽입된다.
특히, 높이유지홀(154)과 임의의 높이설정홀(152)이 일치되면, 스토퍼(158)가 일치되는 삽입홀(157), 높이유지홀(154) 및 높이설정홀(152)에 삽입된다. 이에 따라, 프레임(20)의 높이는 설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한편, 좌판(30)은 프레임(20) 특히 상부프레임(22)에 안정적으로 지지되어 고정됨이 바람직하다.
그래서, 좌판(30)은 하측 가장자리를 따라 플랜지를 하측 방향으로 돌출한다. 그리고, 좌판(30)은 지지되는 프레임(20)의 굵기만큼 플랜지로부터 유격되는 리브(164)를 하측면에 돌출 형성한다.
이에 따라, 프레임(20)은 플랜지와 리브(164) 사이에 끼워짐으로써, 좌판(30)은 위치 고정된다. 물론, 플랜지와 리브(164)는 연속적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비연속되게 형성될 수도 있다.
이 후, 좌판(30)과 프레임(20)은 볼팅 등에 의해 견고하게 결합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의자 20: 프레임
22: 상부프레임 24: 하부프레임
30: 좌판 32: 좌판함몰부
40: 등받이 42: 등받이함몰부
110: 좌판통기홀부 120: 좌판홈부
130: 등받이통기홀부 140: 등받이홈부
152: 높이설정홀 154: 높이유지홀
156: 부쉬 158: 스토퍼
162: 플랜지 164: 리브

Claims (5)

  1.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거치되고, 엉덩이와 접촉 면적을 증가시키기 위해 오목하게 함몰된 좌판함몰부를 형성한 좌판; 및
    상기 좌판에 통기성을 부여하도록 상기 좌판함몰부에 통공되는 좌판통기홀부를 포함하고,
    상기 좌판통기홀부는 상기 좌판의 가로너비에 대응되게 장방형으로 복수 개 구비되며,
    상기 좌판은 상기 좌판통기홀부의 양측으로 연장되게 함몰되어 휘어짐의 증가로 인해 안락감과 착석감을 향상시키도록 좌판홈부를 형성하고,
    상기 프레임은, 높이유지홀을 통공한 하부프레임;
    상기 하부프레임의 상측에 삽입되게 형성되고, 축 방향을 따라 복수 개의 높이설정홀을 통공한 상부프레임;
    상기 상부프레임과 상기 하부프레임의 연결부위를 삽입하는 부쉬; 및
    상기 부쉬에 삽입 지지된 채 일치되는 높이유지홀과 높이설정홀에 삽입되는 스토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등받이함몰부를 함몰 형성한 등받이를 구비하고;
    상기 등받이는 통기성을 부여하도록 상기 등받이함몰부에 통공되는 등받이통기홀부를 통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등받이통기홀부는 상기 등받이의 가로너비에 대응되게 장방형으로 복수 개 구비되고;
    상기 등받이는 상기 등받이통기홀부의 양측으로 연장되어 함몰되는 등받이홈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
KR1020130002694A 2013-01-09 2013-01-09 의자 KR1013050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2694A KR101305038B1 (ko) 2013-01-09 2013-01-09 의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2694A KR101305038B1 (ko) 2013-01-09 2013-01-09 의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05038B1 true KR101305038B1 (ko) 2013-09-06

Family

ID=494553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02694A KR101305038B1 (ko) 2013-01-09 2013-01-09 의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05038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669301B1 (en) * 2000-11-28 2003-12-30 Steelcase Development Corporation Furniture article having panel and integral perimeter frame
JP2008194467A (ja) * 2007-02-01 2008-08-28 Pro Cord Srl 変形可能な背もたれを備えたイス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669301B1 (en) * 2000-11-28 2003-12-30 Steelcase Development Corporation Furniture article having panel and integral perimeter frame
JP2008194467A (ja) * 2007-02-01 2008-08-28 Pro Cord Srl 変形可能な背もたれを備えたイス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33495B1 (ko) 자세 유지구
JP3196468U (ja) 座位姿勢補助装置
US20120119560A1 (en) Seat Device
JP2008259811A (ja) 背凭れ部に形状記憶スポンジが設けられた椅子
JP2014046128A (ja) 椅子及びその座板
JP3190627U (ja) 椅子
KR101928262B1 (ko) 프레임의자
JP3172695U (ja) 調整可能な背もたれパッド
JP2006334025A (ja) 着座用家具
KR101305038B1 (ko) 의자
TWI676445B (zh) 椅子的靠背的高度調節構造
JP2016198422A (ja) 姿勢保持具
JP3188287U (ja) 椅子
KR20180070846A (ko) 쇼파 좌석의 두께 절감형 목재 프레임
KR100414831B1 (ko) 의자용 좌판 및 이를 이용한 학생용 의자
JP6789366B2 (ja) 姿勢保持具
KR101712824B1 (ko) 듀얼백 의자
KR200314743Y1 (ko) 의자용 좌판 및 이를 이용한 학생용 의자
JP2016059577A (ja) 座具及び椅子
CN210276512U (zh) 一种端坐凳
KR20170097314A (ko) 의자
US10667611B1 (en) Active seating apparatus
KR102034036B1 (ko) 삼각형 방석
KR101330022B1 (ko) 허리 받침과 등 받침을 구비한 의자
KR20210085228A (ko) 기능성 의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8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