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70846A - 쇼파 좌석의 두께 절감형 목재 프레임 - Google Patents

쇼파 좌석의 두께 절감형 목재 프레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70846A
KR20180070846A KR1020160173326A KR20160173326A KR20180070846A KR 20180070846 A KR20180070846 A KR 20180070846A KR 1020160173326 A KR1020160173326 A KR 1020160173326A KR 20160173326 A KR20160173326 A KR 20160173326A KR 20180070846 A KR20180070846 A KR 201800708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
vertical panel
sofa
height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733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상희
Original Assignee
조상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상희 filed Critical 조상희
Priority to KR10201601733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70846A/ko
Publication of KR201800708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7084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7/00Sofas; Couches; Beds
    • A47C17/86Parts or details for beds, sofas or couches only not fully covered in a single one of the sub-groups A47C17/02, A47C17/04, A47C17/38, A47C17/52, A47C17/64, or A47C17/84; Drawers in or under bed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7/00Sofas; Couches; Beds
    • A47C17/02Sofas, couches, settees, or the like, without movable par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1/00Details or accessories for chairs, be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e.g. upholstery fasteners, mattress protectors, stretching devices for mattress ne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rsing (AREA)
  • Chair Legs, Seat Parts, And Backres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쇼파 좌석의 두께 절감형 목재 프레임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는 좌석 프레임의 외측 테두리를 따라 수직 설치되는 수직 판넬의 내측 상부에 결합되는 보강 목재가 수지 판넬과 단차를 이루도록 결합되는 구조 개선으로 좌석 프레임 상부에 안착 설치되는 좌석 시트의 하중을 수직 판넬과 보강 목재가 분산 지지하여 종래 보다 상기 수직 판넬의 높낮이를 줄일 수 있어 좌석 프레임의 두께를 최소 높낮이로 하는 컴팩트 모델의 쇼파가 제조 가능하고, 또한 상기 좌석 시트는 수직 판넬과 보강 목재의 단차 구조에 의해 좌석 시트의 가장 자리 보다 가운데가 오목하게 착석되고, 특히 좌석 프레임의 전방 보다 후방으로 경사를 이루는 것에 의해 등받이에 자연스럽게 기대는 자세를 유도하면서 착석 안정감이 종래 보다 더욱 개선되도록 하는데 그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쇼파 좌석의 두께 절감형 목재 프레임{WOODEN FRAME FOR SOFA}
본 발명은 쇼파 좌석의 두께 절감형 목재 프레임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는 좌석 프레임 외측의 수직 판넬과 상기 수직 판넬 내측의 보강 목재가 단차를 이루는 구조 개선에 의해 좌석 시트의 하중을 분산 지지하여 좌석 프레임 두께를 최소 높낮이로 제조 가능함은 물론 좌석 시트의 가장 자리 보다 가운데가 오목하게 착석되는 것에 의해 착석 안정감이 우수한 쇼파 좌석의 두께 절감형 목재 프레임에 관한 것이다.
최근 주택에는 거실 문화가 발전하면서 쇼파를 기본적으로 사용하고 있다.
이와 같은 쇼파는 기본적으로 좌석부와 등받이부를 갖는 기본 프레임과 프레임의 좌석부와 등받이부로 결합하는 가죽, 천, 비닐 재질의 시트 구조로 이루어져 있는데, 상기 기본 프레임의 경우에 철재, 목재 등으로 제작하고 있다.
특히, 상기 목재 프레임의 경우에 좌석 부위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의 외측 테두리를 따라 수직 설치되는 수직 판넬(2)의 내측 상,하부에 보강 목재(3)를 결합하고, 상기 상부 보강 목재(3) 상부에 탄성 지지 밴드(5)를 가로 및 세로 방향으로 교차되게 설치한 다음 상부로 좌석 시트(6)를 안착 설치하는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와 같은 종래 목재 프레임의 좌석 부위는 좌석 시트에 가해지는 하중이 수직 판넬(2) 상단에 집중되면서 수직 판넬(2)의 큰 강성이 요구되었다.
이 때문에 종래에는 상기 수직 판넬(2)의 두께는 물론 상하 높낮이(T)를 길게 형성할 수 밖에 없었고, 이로 인해 상기 목재 프레임, 즉 쇼파의 좌석 부위 높낮이까지 높게 형성되면서 좀더 가볍고 컴팩트한 디자인을 원하는 유저들에게 만족할 만한 쇼파 제품을 선보일 수 없는 한계를 갖고 있었다.
다시 말하면, 종래의 목재 프레임 구조로는 쇼파의 좌석 프레임이 슬림한 높낮이로 형성되는 제품의 제조가 곤란한 문제점이 있었다.
뿐만 아니라 종래 목재 프레임에서 좌석 부위는 수직 판넬(2)과 수직 판넬 내측 상부의 보강 목재(3)가 동일 높낮이로 결합되고, 상기 보강 목재 상부에 밴드 지지층(5)이 결합되기 때문에 좌석 시트(6)의 중앙 부분이 쿠션감에 의해 오목하게 들어가게 되지만 쿠션감이 적은 소재일 경우에 오목하게 잘 들어가지 않고 수평 정도를 유지하면서 사용자의 착석 안정감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목재 프레임의 좌석 부위는 전후 방향으로 동일 높낮이를 형성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착석시 신체의 앉은 자세에 맞는 착좌감을 제공하지 못하여 사용자의 착석 안정감이 더욱 떨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허문헌 1: 등록실용 제20-0425803호 특허문헌 2: 등록실용신안 제20-0463114호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이 갖는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발명된 것으로서, 좌석 프레임 외측의 수직 판넬과 상기 수직 판넬 내측의 보강 목재가 단차를 이루는 구조 개선에 의해 좌석 시트의 하중을 분산 지지하여 좌석 프레임 두께를 최소 높낮이로 제조 가능함은 물론 좌석 시트의 가장 자리 보다 가운데가 오목하게 착석되는 것에 의해 착석 안정감을 우수하게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은 사각의 외측 테두리를 따라 수직 설치되는 수직 판넬과, 상기 수직 판넬의 내측 상,하부에 결합되는 보강 목재 및, 상기 상부 보강 목재 상단에 가로 및 세로 방향으로 교차 설치되는 탄성 지지 밴드로 구성하되, 상기 상부 보강 목재는 수직 판넬의 상단 보다 아래 위치로 단차 결합되어 상부 단차부를 형성하면서 상기 수직 판넬과 상부 보강 목재 상부로 안착 설치되는 좌석 시트의 하중을 분산 지지하여 수직 판넬의 높낮이를 최소화할 수 있고 좌석 시트의 가장 자리 보다 가운데가 오목하게 착석되도록 구성함에 그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상부 보강 목재의 상부 단차부는 전방에서 후방으로 갈수록 높낮이가 점점 낮아지도록 경사를 이루어 좌석 시트가 전방 보다 후방의 높낮이가 낮게 위치하도록 구성함에 그 특징이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은 좌석 프레임의 외측 테두리를 따라 수직 설치되는 수직 판넬의 내측 상부에 결합되는 보강 목재가 수지 판넬과 단차를 이루도록 결합되는 구조 개선으로 좌석 프레임 상부에 안착 설치되는 좌석 시트의 하중을 수직 판넬과 보강 목재가 분산 지지하여 종래 보다 상기 수직 판넬의 높낮이를 줄일 수 있어 좌석 프레임의 두께를 최소 높낮이로 하는 컴팩트 모델의 쇼파가 제조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좌석 시트는 수직 판넬과 보강 목재의 단차 구조에 의해 좌석 시트의 가장 자리 보다 가운데가 오목하게 착석되고, 특히 좌석 프레임의 전방 보다 후방으로 경사를 이루는 것에 의해 등받이에 자연스럽게 기대는 자세를 유도하면서 착석 안정감이 종래 보다 더욱 개선되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도 1은 종래 소파를 보여주는 측면도.
도 2는 도 1의 요부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측 단면도.
도 4는 도 3에 좌석 시트가 안착된 상태의 측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이 적용된 쇼파를 보여주는 측면도.
도 6은 도 5의 요부 사시도.
도 7은 도 6의 측 단면도.
도 8은 도 7의 요부 정 단면도.
도 9는 도 7에 좌석 시트가 안착된 상태의 측 단면도.
이하, 상기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본 발명 쇼파 좌석의 두께 절감형 목재 프레임(100)은 도 5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의 외측 테두리를 따라 수직 설치되는 수직 판넬(10)과, 상기 수직 판넬의 내측 상,하부에 결합되는 보강 목재(21)(22) 및, 상기 상부 보강 목재(21) 상단에 가로 및 세로 방향으로 교차 설치되는 탄성 지지 밴드(30)로 구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다.
특히, 상기 상부 보강 목재(21)는 수직 판넬(10)의 상단 보다 아래 위치로 단차 결합되어 상부 단차부(25)를 형성하면서 상기 수직 판넬(10)과 상부 보강 목재(21) 상부로 안착 설치되는 좌석 시트의 하중을 분산 지지하여 수직 판넬의 높낮이(t)를 최소화할 수 있고 좌석 시트의 가장 자리 보다 가운데가 오목하게 착석되어 착석 안락감을 우수하게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상부 보강 목재(21)의 상부 단차부(25)는 전방(A)에서 후방(B)으로 갈수록 높낮이가 점점 낮아지도록 경사를 이루어 좌석 시트가 전방 보다 후방의 높낮이가 낮게 위치하도록 구성된다.
즉, 사용자가 쇼파의 자석 시트(35)에 착석할 때 전방 보다 후방(엉덩이 위치)의 높낮이가 낮게 형성되어 등받이에 자연스럽게 기대게 되면서 더 안정적인 착석 안락감을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탄성 지지 밴드(30)는 좌석 시트(35)를 탄발 지지할 수 있는 판스프링 또는 코일 스프링 등으로 대체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단순 부품의 교체 정도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귀속됨을 밝혀둔다.
미설명 부호로서, 200은 좌석부, 300은 등받이를 나타내는 것이다.
다음은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작동 및 작용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본 고안 목재 프레임의 좌석 부분은 사각의 외측 테두리를 따라 수직 설치되는 수직 판넬(10)의 내측 상,하부에 보강 목재(21)(22)를 결합하는 것이다.
특히, 상기 상부 보강 목재(21)는 수직 판넬(10)의 상단 보다 아래 위치로 결합되면서 상부 단차부(25)를 형성하도록 결합하는 것이다.
이 상태에서 상기 상부 보강 목재(21) 상부에 탄성 지지 밴드(30)를 가로 및 세로 방향으로 교차되게 고정 설치하고, 그 상부에 좌석 시트(35)를 안착 설치하여 사용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상기 좌석 시트(35)가 수직 판넬(10) 상단 뿐만 아니라 상부 보강 목재(21) 상단의 단차 구조에 의해 가장 자리 보다 가운데가 오목하게 변형되면서 상부 보강 목재(21)의 상부 위치로 하중을 분산 지지하게 되는 것이다.
즉, 좌석 시트(35)의 하중을 수직 판넬(10)과 상부 보강 목재(21)에 의해 분산 지지하여 견고한 프레임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로 인해 상기 수직 판넬(10)에 가해지는 하중이 종래 보다 줄어들어상기 수직 판넬(10)의 높낮이(t)를 최소화하게 되면서 좀더 가볍고 컴팩트한 디자인을 원하는 유저들에게 만족할 만한 쇼파 제품을 선보일 수 있게 되는데, 상기 쇼파의 좌석 프레임이 슬림한 높낮이를 형성하는 제품의 제조가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좌석 시트(35)는 수직 판넬(10)과 상부 보강 목재(21) 상단에 형성되는 상부 단차부(25)의 단차 구조에 의해 좌석 시트의(35)의 가장 자리 보다 가운데가 오목하게 착석되면서 사용자의 착석 안락감이 종래보다 개선되는 것이다.
뿐만 아니라, 상기 상부 보강 목재(21)의 상부 단차부(25)는 전방(A)에서 후방(B)으로 갈수록 높낮이가 점점 더 낮아지도록 경사를 이루게 형성하면서 좌석 시트(35)가 전방 보다 후방의 높낮이가 낮게 위치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로 인해 사용자가 쇼파의 자석 시트(35)에 착석할 때 전방 보다 후방(엉덩이 위치)의 높낮이가 낮게 형성되어 등받이에 자연스럽게 기대게 되면서 사용자의 착석 안락감이 더 안정적으로 개선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좌석 프레임의 외측 테두리를 따라 수직 설치되는 수직 판넬의 내측 상부에 결합되는 보강 목재가 수지 판넬과 단차를 이루도록 결합되는 구조 개선으로 좌석 프레임 상부에 안착 설치되는 좌석 시트의 하중을 수직 판넬과 보강 목재가 분산 지지하여 종래 보다 상기 수직 판넬의 높낮이를 줄일 수 있어 좌석 프레임의 두께를 최소 높낮이로 하는 컴팩트 모델의 쇼파가 제조 가능하고, 또한 상기 좌석 시트는 수직 판넬과 보강 목재의 단차 구조에 의해 좌석 시트의 가장 자리 보다 가운데가 오목하게 착석되고, 특히 좌석 프레임의 전방 보다 후방으로 경사를 이루는 것에 의해 등받이에 자연스럽게 기대는 자세를 유도하면서 착석 안정감이 종래 보다 더욱 개선되게 되는 것이다.
10: 수직 판넬
21,22: 상,하부 보강 목재
25: 상부 단차부
30: 탄성 지지 밴드
35: 좌석 시트

Claims (2)

  1. 사각의 외측 테두리를 따라 수직 설치되는 수직 판넬(10)과, 상기 수직 판넬의 내측 상,하부에 결합되는 보강 목재(21)(22) 및, 상기 상부 보강 목재(21) 상단에 가로 및 세로 방향으로 교차 설치되는 탄성 지지 밴드(30)로 구성하되,
    상기 상부 보강 목재(21)는 수직 판넬(10)의 상단 보다 아래 위치로 단차 결합되어 상부 단차부(25)를 형성하면서 상기 수직 판넬(10)과 상부 보강 목재(21) 상부로 안착 설치되는 좌석 시트의 하중을 분산 지지하여 수직 판넬의 높낮이(t)를 최소화할 수 있고 좌석 시트의 가장 자리 보다 가운데가 오목하게 착석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쇼파 좌석의 두께 절감형 목재 프레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보강 목재(21)의 상부 단차부(25)는 전방(A)에서 후방(B)으로 갈수록 높낮이가 점점 낮아지도록 경사를 이루어 좌석 시트가 전방 보다 후방의 높낮이가 낮게 위치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쇼파 좌석의 두께 절감형 목재 프레임.
KR1020160173326A 2016-12-19 2016-12-19 쇼파 좌석의 두께 절감형 목재 프레임 KR2018007084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3326A KR20180070846A (ko) 2016-12-19 2016-12-19 쇼파 좌석의 두께 절감형 목재 프레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3326A KR20180070846A (ko) 2016-12-19 2016-12-19 쇼파 좌석의 두께 절감형 목재 프레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0846A true KR20180070846A (ko) 2018-06-27

Family

ID=627898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73326A KR20180070846A (ko) 2016-12-19 2016-12-19 쇼파 좌석의 두께 절감형 목재 프레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70846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2727B1 (ko) 2020-07-13 2020-12-17 주식회사 샤인디자인 소파 안착부 프레임 구조
KR102384798B1 (ko) 2022-01-28 2022-04-08 이성용 견고한 결합구조 갖는 모듈형 소파프레임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5803Y1 (ko) 2006-06-01 2006-09-08 김양선 시트쿠션체가 슬라이딩되는 쇼파
KR200463114Y1 (ko) 2012-03-05 2012-10-17 이성우 발포 폴리에틸렌 시트를 이용한 쿠션 쇼파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5803Y1 (ko) 2006-06-01 2006-09-08 김양선 시트쿠션체가 슬라이딩되는 쇼파
KR200463114Y1 (ko) 2012-03-05 2012-10-17 이성우 발포 폴리에틸렌 시트를 이용한 쿠션 쇼파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2727B1 (ko) 2020-07-13 2020-12-17 주식회사 샤인디자인 소파 안착부 프레임 구조
KR102384798B1 (ko) 2022-01-28 2022-04-08 이성용 견고한 결합구조 갖는 모듈형 소파프레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10266847A1 (en) Stackable chair with flexible back
US3501197A (en) Seat support
US20060152061A1 (en) Structure of a seat of a chair
KR20180070846A (ko) 쇼파 좌석의 두께 절감형 목재 프레임
KR20090053341A (ko) 프레임 의자
KR200425803Y1 (ko) 시트쿠션체가 슬라이딩되는 쇼파
KR101405302B1 (ko) 착탈식 의자 등받이
JP3189545U (ja) 椅子及び椅子セット
JP3188287U (ja) 椅子
CN205285671U (zh) 一种靠背椅
KR200395763Y1 (ko) 등받이 분할형 의자
KR102177974B1 (ko) 틸팅 및 슬라이딩 장치가 구비된 의자
KR100414831B1 (ko) 의자용 좌판 및 이를 이용한 학생용 의자
JP2013036245A (ja) 床段差部を利用した背もたれ構造
KR20170001591U (ko) 소파
KR101066241B1 (ko) 접이식 좌의자
JP2016059577A (ja) 座具及び椅子
KR20170097314A (ko) 의자
KR200314743Y1 (ko) 의자용 좌판 및 이를 이용한 학생용 의자
KR200299212Y1 (ko) 조립식 소파
CN215077022U (zh) 一种新型椅子坐垫
KR200405813Y1 (ko) 좌식의자
KR101305038B1 (ko) 의자
KR102082226B1 (ko) 낚시의자용 쿠션방석
JP3170023U (ja) 椅子の座面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