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27318B1 - 자세보조기구 - Google Patents

자세보조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27318B1
KR101427318B1 KR1020130049251A KR20130049251A KR101427318B1 KR 101427318 B1 KR101427318 B1 KR 101427318B1 KR 1020130049251 A KR1020130049251 A KR 1020130049251A KR 20130049251 A KR20130049251 A KR 20130049251A KR 101427318 B1 KR101427318 B1 KR 1014273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am
resin
shape
seat
backre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492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승호
Original Assignee
(주)힐닉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힐닉스 filed Critical (주)힐닉스
Priority to KR10201300492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2731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273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273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00Chair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Chairs or stools with rotatable or vertically-adjustable seats
    • A47C3/16Chair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Chairs or stools with rotatable or vertically-adjustable seats of legless type, e.g. with seat directly resting on the floor; Hassocks; Pouff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9/00Stools for specified purposes
    • A47C9/002Stools for specified purposes with exercising means or having special therapeutic or ergonomic effec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rsing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attresses And Other Support Structures For Chairs And Be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착석자세에서 좌석부와 등받이가 사용자의 둔부와 허리면에 맞춤형으로 형성되는 자세보조기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주로 하반신이 마비되어 거동이 불편한 장애자 또는 노화로 인한 노약자 등이 착석하여 사용되는 의자, 휠체어 또는 전동기기에 설치하여 사용자의 신체형태에 맞게 형상화하여, 착석시 안락감을 주면서 신체의 특정부위의 하중을 분산시켜 혈액순환장애를 방지하는 쿠션기능을 부여하도록 제공되는 자세보조기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자세보조기구{Apparatus for correction of position}
본 발명은 착석자세에서 좌석부와 등받이가 사용자의 둔부와 허리면에 맞춤형으로 형성되는 자세보조기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주로 하반신이 마비되어 거동이 불편한 장애자 또는 노화로 인한 노약자 등이 착석하여 사용되는 의자, 휠체어 또는 전동기기에 설치하여 사용자의 신체형태에 맞게 형상화하여, 착석시 안락감을 주면서 신체의 특정부위의 하중을 분산시켜 혈액순환장애를 방지하는 쿠션기능을 부여하도록 제공되는 자세보조기구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지체 장애인들의 신체의 동작이 부자연스러워 자신의 의지에 상관없이 요동이 심하게 이루어지는데, 이를 치료 및 교육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인원이 옆에서 신체를 잡아야 되는 번거로움이 있었고, 항상 부자연스러운 자세를 취하기 때문에 식사 및 작업을 올바르게 수행 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으며, 거동불편환자나 장애인이 사용하는 전동휠체어를 포함한 모든 휠체어의 의자는 외피가 솜이나 스폰지와 같은 쿠션을 감싸는 형태로 되어 있어 휠체어 자체의 형상에 사용자가 의지해 불안전한 자세를 장시간 착석하게 되어 있어 자세교정에 문제점이 있다.
이에 “욕창매트용 접착시트 고무 조성물 및 욕창매트”(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211687호)와 같은 시트의 조성물을 특징화한 욕창방지시트를 휠체어의 방석으로 사용하거나 공기 주입식의 방석을 휠체어에 사용하여 사용자의 욕창방지를 목적으로 구성되어 있어 허리 또는 둔부가 변형된 환자의 특성에 맞는 자세교정을 위한 맞춤형 보조기구를 제공할 수 없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고려한 것으로, 사용자의 착석자세의 형상 즉, 둔부형상과 허리면 형상과 동일한 좌석부와 등받이의 형상을 구성하여 사용자가 바른 자세를 구현하도록 한 좌석부와 등받이를 제공하며, 상기 좌석부와 등받이가 다수의 적층구조를 가져 사용자의 착석시 체온에 따른 변형을 방지하기 위한 열변형 방지와 구조적인 변형방지는 물론 완충역할을 목적으로 자세보조기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구성에 있어 등 부분을 받쳐주는 등받이와 대퇴를 비롯한 둔부를 받쳐주는 좌석부로 분리되며, 상기 좌석부와 등받이를 수용하여 외부를 커버하는 외피재로 이루어지는 자세보조기구에 있어서,
상기 좌석부와 등받이는 각각 하부에 사용자의 착석자세와 동일한 형상으로 성형된 형상부와,
상기 형상부와 동일한 형상으로 형상부 상부에 적층되며, 열전도도가 0.3~4.5W/m-K를 가지는 제1완충부와,
상기 형상부와 동일한 형상으로 제1완충부의 상부에 적층되는 제2완충부로 구성되는 자세보조기구를 제공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하반신이 마비되어 거동이 불편한 장애자 또는 노화로 인한 노약자 등이 착석하는 사용자의 착석자세에 맞게 좌석부와 등받이의 형상을 형상화하여 다수의 층으로 적층된 각각의 좌석부와 등받이를 구성하고, 특히 마비환자가 장시간 착석시 좌석부와 등받이의 변형이 방지되는 동시에 완충기능을 가져 사용자가 바른 자세를 구현하도록 하는 효과를 가지고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세보조기구의 구조도.
도 2는 도 1의 본 발명에 따른 자세보조기구의 좌석부 조립구조도.
도 3은 도 1의 본 발명에 따른 자세보조기구의 등받이 조립구조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자세보조기구의 좌석부에 지지편이 설치되는 구조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자세보조기구의 좌석부에 지지편이 설치된 단면도.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하기와 같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을 통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구성에 있어 도 1에서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구성에 있어 등 부분을 받쳐주는 등받이(110b)와 대퇴를 비롯한 둔부를 받쳐주는 좌석부(110a)로 분리되며, 상기 좌석부(110a)와 등받이(110b)를 수용하여 외부를 커버하는 외피재(160)로 이루어지는 자세보조기구(100)에 있어서, 상기 좌석부(110a)와 등받이(110b)는 각각 하부에 사용자의 착석자세와 동일한 형상으로 성형된 형상부(120)와, 상기 형상부(120)와 동일한 형상으로 형상부(120) 상부에 적층되며, 열전도도가 0.3~4.5W/m-K를 가지는 제1완충부(130)와, 상기 형상부(120)와 동일한 형상으로 제1완충부(130)의 상부에 적층되는 제2완충부(140)로 구성되는 자세보조기구(100)를 제공한다.
사용자의 등과 둔부를 각각 형상화하는 성형작업을 하게 되며, 이때 성형작업은 다음과 같은 방법에 의해 제작된다.
두 겹의 시트로 이루어져 그 사이에 경질의 폴리우레탄이 충전된 후면 시트를 사용자의 등과 둔부 측에 밀착시켜 사용자의 등과 둔부를 직접 본뜬 예비 성형물을 제작하는 방법이거나 2차원 촬영 또는 3차원 촬영을 통해 사용자의 신체 외형을 측정하고, 이렇게 얻어진 사용자의 체형데이터를 형상데이터로 획득하여 기계적 가공처리, 즉, 절삭, 사출, 프레스 등의 다양한 제조방법을 통해 제작되며, 일예로, 합성수지, 목재 등의 모재를 CNC 등의 절삭공구를 이용하여 상기 형상데이터에 의해 절삭가공할 수 있으며, 금형에 상기 형상데이터에 근거한 사출면을 형성시켜 합성수지로 사출 가공하거나, 금속판재를 상기 형상데이터에 근거한 금형면을 통해 프레스 가공하는 등 다양한 기계적 가공처리를 통해 좌석부(110a)와 등받이(110b)의 예비 성형물을 제조할 수 있다.
필요시, 상기와 같이 합성수지, 금속, 목재 등으로 제조된 지지판의 표면에 쿠션재를 부착하여 쿠션감을 부여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렇게 예비 성형물이 제작되면, 상기 예비 성형물 위로 발포수지. 연질 또는 경질의 합성수지를 채워 경화 또는 프레스(또는 사출) 가공하여 형상부와, 제1, 2완충부를 제작하게 된다.
한편, 상기 발포수지는 경도와 밀도 조절이 용이한 연질의 폴리우레탄에 발포제가 첨가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형상부(120)의 형상과 동일한 형상으로 형상부(120) 상부에 적층되는 상기 제1완충부(130)에 있어, 상기 제1완충부(130)의 상부에 적층된 제2완충부(140)에 사용자가 착석함으로서 사용자에 의해 체온이 전달되어 형상부(120)의 변형이 이루어지게 되는데, 이러한 형상부(120)의 변형을 방지하기 위해 제1완충부(130)는 열전도도가 0.3~4.5W/m-K를 가지도록 함으로서 형상부(120)로 전달되는 열을 막게 된다.
이를 위해 제1완충부(130)는 수지 조성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폴리에스테르 수지, 에폭시 수지, 폴리올레핀 수지, 폴리우레탄 수지, 불소수지, 페놀 수지, 아크릴 수지 및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로 구성되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최소 일종 이상의 주제 수지: 멜라민계 경화제가 10:2-7중량비로 배합된 수지 조성물 10-60중량부, 평균입자 직경이 30~100㎛이며 열전도도가 0.1W/m/K인 세라믹 구형 중공체분말(hollow ceramic microspheres) 1~10중량부, 평균입자 직경이 10~30nm인 무기질 미세안료 1~10중량부 및 입자크기가 소포제 1~10 중량부 및 잔부 용매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수지 조성물을 예비 성형물에 주입하여 경화시키거나 프레스(또는 사출) 가공하여 제1완충부(130)를 제작하게 하게 된다.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에 사용될 수 있는 주제 수지로는, 이로써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예를들어, 폴리에스테르 수지, 에폭시 수지, 폴리올레핀 수지, 폴리우레탄 수지, 불소수지, 페놀 수지, 아크릴 수지 및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주제수지는 일종 혹은 2종 이상의 혼합물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세라믹 구형 중공체 분말은 입자 사이즈가 30 내지 100㎛이고, 열전도도가 0.1W/m/K인 알루미늄 실리케이트(Alumino silicate)를 주성분으로한 미세한 세라믹 구형 중공체 분말을 첨가하게 되며, 상기 세라믹 구형 중공체 분말이 내부에 중공을 이루어 열을 흡수하여 외부로 전달되는 것을 막는 열흡수역할을 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1완충부(130)는 베이스 수지 자체에 다공성을 형성하도록 하는 발포폼을 제작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발포폼은 베이스 수지에 적어도 발포제가 포함된 발포성 수지로부터 제조되며, 상기 발포성 수지에는 인계, 할로겐계 등의 난연제, 색상안료, 충전제로서의 무기물 그리고 분산제 등으로부터 선택된 기타의 첨가제가 필요에 따라 첨가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 수지는 열경화성 및 열가소성을 포함하며, 예를 들어 멜라민 수지, 페놀수지, 아크릴 수지, 폴리염화비닐, 폴리프로필렌, 폴리우레탄, 폴리우레아, 폴리에틸렌, 폴리스티렌, 폴리비닐아세테이트, 및 이들의 유도체, 그리고 고무 등으로부터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이다.
상기 발포제는, 위와 같은 베이스 수지를 발포시켜 내부 기공을 형성시킬 수 있는 것이면 어떠한 것이든 사용 가능하며, 예를 들어, p,p'-옥시비스(벤젠술포닐하이드라지드), 벤젠술포닐하이드라지드, 톨루엔술포닐하이드라지드 등의 술포닐하이드라지드, 아조디카르본아미드(ADCA), 아조비스이소프틸로니트릴 등의 아조화합물, N,N'-디니트로소펜타메틸렌테트라민, N,N'-디메틸-N,N'-디니트로소테레프탈아미드 등의 니트로소화합물 등과 같은 유기 발포제 중탄산나트륨, 중탄산암모늄 등과 같은 무기 발포제 그리고 물, 이산화탄소, 불황성 가스(질소, 공기, 헬륨, 네온 등)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발포 폼은 베이스 수지가 발포제에 의해 내부 기공이 형성되도록 발포 제조된 것으로서, 이는 멜라민 발포 폼, 페놀 발포 폼, 아크릴 발포 폼, 폴리염화비닐 발포 폼, 폴리프로필렌 발포 폼, 폴리우레탄 발포 폼, 폴리우레아 발포 폼, 폴리에틸렌 발포 폼, 폴리스티렌 발포 폼, 폴리비닐아세테이트 발포폼 및 이들의 혼합수지 발포 폼 등으로부터 선택된다.
이렇게 발포 내부에 다수의 기공이 분포되어 제2완충부(140)로부터 전달되는 열을 포집하여 열을 흡수하게 되는 동시에 열의 온도를 감소시켜 제1완충부(130) 하부에 위치한 형상부(120)의 변형을 방지하게 된다.
한편, 도 4와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좌석부(110a)의 형상부(120) 하면에 형성된 공간부(121)에 지지편(150)을 구비하여 형상부(120) 저면이 수평을 유지하도록 함으로서 사용자가 착석시 하중에 의해 형상부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한편,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적층된 좌석부(110a)와 등받이(110b)를 외피재로 커버하여 일체의 자세보조기구(100)를 제공하며, 상기 외피재(160)가 비닐, 직물 등과 같은 재질로 이루어져 상기 좌석부(110a)와 등받이(110b) 사이를 포개어 이동시 간편하게 휴대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상기 등받이(110b)를 감산 외피재(160)의 양측에 각각 지지밴드(170)가 구비되고, 상기 좌석부(110a)를 감싼 외피재(160)의 전측에 지지밴드(170)를 연결하여 상기 외피재(160)에 연결된 지지밴드(170)를 서로 연결하여 사용자를 자세보조기구(100)에 고정하게 된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기술되었지만 당업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남이 없이 많은 다양하고 자명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명백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주는 이러한 많은 변형예들을 포함하도록 기술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해석돼야 한다.
자세보조기구 : 100, 좌석부 : 110a, 등받이 : 110b, 형상부 : 120, 공간부 : 121, 제1완충부 : 130, 제2완충부 : 140, 지지편 : 150, 외피재 : 160

Claims (4)

  1. 등 부분을 받쳐주는 등받이(110b)와 대퇴를 비롯한 둔부를 받쳐주는 좌석부(110a)로 분리되며, 상기 좌석부(110a)와 등받이(110b)를 수용하여 외부를 커버하는 외피재(160)로 이루어지는 자세보조기구(100)에 있어서,
    상기 좌석부(110a)와 등받이(110b)는 각각 하부에 사용자의 착석자세와 동일한 형상으로 성형된 형상부(120)와,
    상기 형상부(120)와 동일한 형상으로 형상부(120) 상부에 적층되며, 열전도도가 0.3~4.5W/m-K를 가지는 제1완충부(130) 및,
    상기 형상부(120)와 동일한 형상으로 제1완충부(130)의 상부에 적층되는 제2완충부(14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세보조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좌석부(110a)의 형상부(120) 하면에 형성된 공간부(121)에 지지편(150)이 구비하여 형상부(120) 저면이 수평을 유지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세보조기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완충부(130)는 수지 조성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폴리에스테르 수지, 에폭시 수지, 폴리올레핀 수지, 폴리우레탄 수지, 불소수지, 페놀 수지, 아크릴 수지 및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로 구성되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최소 일종 이상의 주제 수지: 멜라민계 경화제가 10:2-7중량비로 배합된 수지 조성물 10-60중량부, 평균입자 직경이 30~100㎛이며 열전도도가 0.1W/m/K인 세라믹 구형 중공체분말(hollow ceramic microspheres) 1~10중량부, 평균입자 직경이 10~30nm인 무기질 미세안료 1~10중량부 및 입자크기가 소포제 1~10 중량부 및 잔부 용매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세보조기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완충부(130)는 멜라민 발포 폼, 페놀 발포 폼, 아크릴 발포 폼, 폴리염화비닐 발포 폼, 폴리프로필렌 발포 폼, 폴리우레탄 발포 폼, 폴리우레아 발포 폼, 폴리에틸렌 발포 폼, 폴리스티렌 발포 폼, 폴리비닐아세테이트 발포폼 및 이들의 혼합수지 발포 폼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세보조기구.
KR1020130049251A 2013-05-02 2013-05-02 자세보조기구 KR1014273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9251A KR101427318B1 (ko) 2013-05-02 2013-05-02 자세보조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9251A KR101427318B1 (ko) 2013-05-02 2013-05-02 자세보조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27318B1 true KR101427318B1 (ko) 2014-08-06

Family

ID=517497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49251A KR101427318B1 (ko) 2013-05-02 2013-05-02 자세보조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2731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4170B1 (ko) 2014-12-18 2016-02-16 주식회사 포트 자세 보조 기능을 가지는 휠체어용 시트백 구조
KR101823943B1 (ko) 2017-10-31 2018-01-31 (주) 닛신 양석고 몰드제작장치
KR102146894B1 (ko) 2020-01-21 2020-08-21 경기도재활공학서비스연구지원센터 친환경 diy 좌식용 착석 보조기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18197A (ko) * 2009-04-28 2010-11-05 김종암 완충구조물이 형성된 다용도 폼매트
KR101225455B1 (ko) 2011-10-25 2013-01-23 (주)힐닉스 자세 교정용 방석
KR20130029539A (ko) * 2011-09-15 2013-03-25 김현희 유아 침구용 쿠션매트
KR101253440B1 (ko) 2011-11-09 2013-04-11 홍승호 맞춤식 자세 보조기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18197A (ko) * 2009-04-28 2010-11-05 김종암 완충구조물이 형성된 다용도 폼매트
KR20130029539A (ko) * 2011-09-15 2013-03-25 김현희 유아 침구용 쿠션매트
KR101225455B1 (ko) 2011-10-25 2013-01-23 (주)힐닉스 자세 교정용 방석
KR101253440B1 (ko) 2011-11-09 2013-04-11 홍승호 맞춤식 자세 보조기구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4170B1 (ko) 2014-12-18 2016-02-16 주식회사 포트 자세 보조 기능을 가지는 휠체어용 시트백 구조
KR101823943B1 (ko) 2017-10-31 2018-01-31 (주) 닛신 양석고 몰드제작장치
KR102146894B1 (ko) 2020-01-21 2020-08-21 경기도재활공학서비스연구지원센터 친환경 diy 좌식용 착석 보조기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46421B2 (en) Breathable cushion
US20090091166A1 (en) Seating system using closed cell materials
WO1998002289A1 (fr) Siege multicouche presentant des zones de differentes duretes et pourvu d'une peau, et son procede de fabrication
KR101427318B1 (ko) 자세보조기구
JPH0252607A (ja) シートクッション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3284620A (ja) 姿勢矯正具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姿勢矯正具を備えた椅子
JP6286245B2 (ja) 車いす用クッション
CA2981432A1 (en) Seat cushion
KR101170041B1 (ko) 에어볼을 이용한 매트리스
KR101992471B1 (ko) 워셔블 베개
KR102260087B1 (ko) 체중분산과 냉각 및 통기성 기능을 갖는 메모리폼 방석
JP2016043062A (ja) シートクッション
JP7051217B2 (ja) シートクッション
KR20200008487A (ko) 쿠션강도가 다른 언밸런스 쿠션 매트
KR101706338B1 (ko) 유아용 힙시트의 보형물 구조체
JPH1118867A (ja) 椅子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6042985A (ja) シートパッド及びシート
TWM560833U (zh) 防水坐墊結構
JPH1014718A (ja) エアークッション
KR200460471Y1 (ko) 의자용 좌판
TWM624031U (zh) 座墊之結構改良
JPH11506377A (ja) 注文成形クッションおよびその方法
JP2023122651A (ja) 椅子用クッション
JP2017202285A (ja) クッションセット
KR200310530Y1 (ko) 쿠션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17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