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44754B1 - 자동차용 룸램프 브래킷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룸램프 브래킷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44754B1
KR102144754B1 KR1020190035696A KR20190035696A KR102144754B1 KR 102144754 B1 KR102144754 B1 KR 102144754B1 KR 1020190035696 A KR1020190035696 A KR 1020190035696A KR 20190035696 A KR20190035696 A KR 20190035696A KR 102144754 B1 KR102144754 B1 KR 1021447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om lamp
buffer pad
bracket
vehicle
bracket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356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충호
이방원
Original Assignee
(주)대한솔루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대한솔루션 filed Critical (주)대한솔루션
Priority to KR10201900356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475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47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47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3/0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 B60Q3/50Mounting arrangements
    • B60Q3/51Mounting arrangements for mounting lighting devices onto vehicle interior, e.g. onto ceiling or flo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3/00Elements for body-finishing, identifying, or decorating; 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advertising purposes
    • B60R13/02Internal Trim mouldings ; Internal Ledges; Wall liners for passenger compartments; Roof liners
    • B60R13/0212Roof or head liners
    • B60R13/0218Roof or head liners supported by adhesion with the roof pane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02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 F16F15/04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using elastic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03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inside the vehicle
    • B60R2011/0028Ceiling, e.g. roof r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7Facilitating assembling or moun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Arrangements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Mounting And Supporting Thereof, Circuits Therefo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룸램프 브래킷을 구성하는 브래킷 보디의 가장자리에 자리를 돌출 형성하고, 이 자리에 완충 패드를 장착할 수 있게 구성하므로, 완충 패드의 장착 위치를 쉽게 확인하여 정해진 위치에 신속하고 정확하게 설치할 수 있어 조립효율과 더불어 품질을 높일 수 있게 한 자동차용 룸램프 브래킷을 제공한다. 특히, 자리에 리브를 돌출 형성하고, 이 리브가 자리 위에 설치하는 완충 패드의 가장자리를 둘러싸게 구성하므로, 완충 패드이 장착 위치를 더욱 신속하고 정확하게 알 수 있게 한 자동차용 룸램프 브래킷을 제공한다. 또한, 브래킷 보디의 각 변에 하나씩 자리를 형성하므로, 브래킷 보디 주변에 여러 개의 완충 패드를 안정적으로 부착할 수 있어 룸램프를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게 한 자동차용 룸램프 브래킷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자동차용 룸램프 브래킷{ROOM LAMP BRACKET FOR VEHICLE}
본 발명은 자동차용 룸램프 브래킷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실내에 룸램프를 장착할 수 있도록 헤드 라이너에 미리 장착하는 룸램프 브래킷에 완충 패드를 설치할 수 있는 자리를 구성하므로, 정해진 위치에 정확하고 신속하게 완충 패드를 부착하여 조립 효율을 높이면서도 품질을 향상할 수 있게 한 것이다. 특히, 상기 자리에는 리브를 돌출 형성하여 완충 패드의 장착 위치를 표시할 수 있게 구성하므로, 정해진 위치에 더욱 신속하고 정확하게 작업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헤드 라이너에는 야간에 실내를 밝힐 수 있도록 룸램프를 장착한다. 이때, 룸램프는 운전자가 이용할 수 있게 장착하기도 하고 뒷좌석 탑승자가 이용할 수 있게 적어도 두 개를 장착한다. 이러한 룸램프는, 아래의 (특허문헌 1) 내지 (특허문헌 3)과 같이, 다양한 형태와 기능을 갖게 제작한다.
(특허문헌 1) 한국등록특허 제0405347호
루프 패널과 톱 실링의 간격이 다른 차종에도 적용할 수 있도록 스페이서를 구비한 차량용 룸램프 구조가 개시된다. 종래에 루프 패널과 톱 실링의 간격이 넓은 경우에는 브래킷 및 룸램프 하우징을 다시 제작하는 등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루프패널의 하측에 위치된 브래킷에 스크루로써 장착되는 룸램프 하우징과, 상기 룸램프 하우징에 렌즈가 결합이 되어 실내 측에 조명을 행하는 차량용 룸램프에서, 상기 룸램프 하우징에는 스페이서가 스크루에 의해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룸램프 구조가 제공된다. 따라서, 루프 패널과 톱 실링의 간격이 각각 다른 차종에도 스페이서를 사용하여 범용으로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여 비용이 현저하게 절감되며, 조립시 스페이서에 의해 톱 실링 및 브래킷의 변형이 방지된다.
(특허문헌 2) 한국등록특허 제1281300호
제조 비용의 절감과 생산성의 향상에 기여할 수 있는 자동차용 룸 램프의 장착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 제1 고정부를 갖는 외부 하우징, 램프 개구부를 갖는 천장, 외부 하우징의 제1 고정부에 고정되는 제1고정 대향부 및 제2 고정부를 갖는 내부 하우징 및 내부 하우징의 제2 고정부 상에 고정되는 제2고정 대향부를 갖는 보강 부재를 포함하도록 제공되고, 천장은 천장 내의 램프 개구부를 통해 외부 하우징의 제1 고정부에 내부 하우징의 제1고정 대향부를 고정함으로써, 외부 하우징과 내부 하우징 사이에 고정되고, 내부 하우징의 바깥 둘레를 따라 제공되는 브래킷부는 천장의 상부 측의 형상을 따라 형성된다.
(특허문헌 3) 한국공개특허 제10-2016-0095669호
루프패널과 마주보는 헤드 라이닝 면에 서브 와이어링을 끼워서 고정할 수 있게 가이드를 더 구성함으로써, 부분품과 연결하는 서브 와이어링의 장착 위치를 정확하게 고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부분품에 연결하는 순서에 알맞게 서브 와이어링을 배치 고정하여 편안하고 정확하게 사용할 수 있게 한 자동차용 헤드 라이닝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특히, 이러한 가이드를 자동차의 룸램프를 장착하기 위한 램프 브래킷과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가이드를 별도로 제작하거나 장착하지 않고서도 쉽고 편리하게 가이드에 서브 와이어링을 끼워서 고정하여 사용할 수 있게 한 자동차용 헤드 라이닝을 제공하는 데 다른 목적이 있다. 그리고 가이드에 "C"자 형상으로 삽입 홈을 형성하고, 이 삽입 홈 안으로 서브 와이어링을 강제로 끼워서 조립하거나 빼낼 수 있게 구성함으로써, 누구든지 쉽고 신속하게 와이어링을 가이드에 고정하여 조립할 수 있게 한 자동차용 헤드 라이닝을 제공하는 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한편, 이러한 룸램프는 헤드 라이너에 직접 고정하거나 헤드 라이너에 장착한 룸램프 브래킷에 설치하여 사용한다. 이에, 운전자나 탑승자가 룸램프를 사용함에 따라 다음과 같은 불편함이 발생한다.
(1) 룸램프를 켜거나 끌 때는 룸램프에 힘이 가해지므로, 헤드 라이너와 루프패널 사이에 틈새가 있으면 헤드 룸램프를 작동할 때 헤드 라이너가 루프패널 방향으로 함께 눌려 자동차 실내의 미감을 해칠 수 있다.
(2) 이에, 헤드 라이너에는 루프패널과 마주하는 면에 이 룸램프 브래킷 주변을 따라 완충 패드를 부착하고, 룸램프를 사용하려고 손으로 버튼을 누르더라도 헤드 라이너가 눌리지 않게 한다. 하지만, 이처럼 장착하는 완충 패드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다.
(3)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룸램프 브래킷 주변에 장착하므로, 작업자에 따라 완충 패드의 장착 위치가 조금씩 달라질 수 있다. 이 같은 차이는 완충 패드가 어느 한쪽으로 쏠리게 헤드 라이너에 장착하거나 적어도 하나의 완충 패드를 부착하지 않았을 때 룸램프를 사용하려고 누르면 헤드 라이너가 눌려 미감을 해칠 수 있다.
(4) 이처럼, 이처럼 완충 패드를 정해진 위치에서 벗어나게 부착하거나 부착할 위치에 부착하지 않음에 따라 헤드 라이너와 루프패널 사이에 틈새가 생겨 품질이 떨어지게 된다.
한국등록특허 제0405347호 (등록일 : 2003.11.01) 한국등록특허 제1281300호 (등록일 : 2013.06.26) 한국공개특허 제10-2016-0095669호 (공개일 : 2016.08.12)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고려한 것으로, 룸램프 브래킷을 구성하는 브래킷 보디의 가장자리에 자리를 돌출 형성하고, 이 자리에 완충 패드를 장착할 수 있게 구성하므로, 완충 패드의 장착 위치를 쉽게 확인하여 정해진 위치에 신속하고 정확하게 설치할 수 있어 조립효율과 더불어 품질을 높일 수 있게 한 자동차용 룸램프 브래킷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상기 자리에 리브를 돌출 형성하고, 이 리브가 자리 위에 설치하는 완충 패드의 가장자리를 둘러싸게 구성하므로, 완충 패드이 장착 위치를 더욱 신속하고 정확하게 알 수 있게 한 자동차용 룸램프 브래킷을 제공하는 데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브래킷 보디의 각 변에 하나씩 자리를 형성하므로, 브래킷 보디 주변에 여러 개의 완충 패드를 안정적으로 부착할 수 있어 룸램프를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게 한 자동차용 룸램프 브래킷을 제공하는 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룸램프 브래킷은, 헤드 라이너(H)에 룸램프를 설치하려고 관통 형성한 개구부(O)에 설치하는 브래킷 보디(100)를 포함하는 자동차용 룸램프 브래킷에서, 상기 브래킷 보디(100)에는, 가장자리에서 바깥쪽으로 연장하여 헤드 라이너(H)에 밀착하여 설치하되, 완충 패드(P)를 설치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의 자리(110)를 돌출 연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상기 브래킷 보디(100)는 모 따기 한 사각의 격자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격자의 각 변에는 각각 자리(110)를 돌출 연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완충 패드(P)는, 폴리에틸렌(PE)으로 제작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마지막으로, 상기 자리(110)에는, 완충 패드(P)와 맞닿는 완충 패드(P)의 가장자리 중에서 적어도 일부를 감싸는 형태가 되게 리브(111)를 돌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룸램프 브래킷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1) 룸램프 브래킷의 가장자리를 밖으로 돌출하여 완충 패드를 장착할 자리를 마련하므로, 완충 패드를 설치할 위치를 정확하게 알 수 있어 완충 패드를 잘못 장착하는 것을 방지하여 조립 효율과 더불어 고객 만족도를 높일 수 있다.
(2) 특히, 상기 자리에는 완충 패드와 맞닿는 면에 이 완충 패드의 가장자리를 감싸도록 리브를 돌출 형성하므로, 완충 패드를 이 리브로 둘러싸인 내부에 장착할 수 있게 구성하여 누구든지 정해진 위치에 완충 패드를 장착할 수 있어 작업 효율과 정확도를 높일 수 있다.
(3) 이에, 룸램프를 작동하려고 누를 때 헤드 라이너가 루프패널 쪽으로 눌리는 조립 불량 등이 생기지 않아 고객만족도와 더불어 품질을 높일 수 있게 된다.
(4) 한편, 상기 자리는 룸램프의 형상이나 차종에 따라 장착 위치가 달라짐에 따라 완충 패드의 장착 위치가 달라지더라도 이에 대응하여 이 자리의 형성 위치를 바꿈에 따라 간단한 설계 변경을 통해 고객만족도를 한층 더 높일 수 있다.
(5) 또한, 룸램프의 넓이에 따라 적당한 위치에서 완충 패드가 지지할 수 있게 자리 위치를 설정하므로, 차종이나 룸램프의 크기 등에 상관이 없이 룸램프 사용에 가해지는 압력을 분산하여 고객 만족도를 높일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룸램프 브래킷을 장착한 헤드 라이너를 루프패널과 함께 설치하기 전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룸램프 브래킷을 헤드 라이너에 분리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룸램프 브래킷의 예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최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따라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한가지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례가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구성]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룸램프 브래킷은, [도 1] 내지 [도 3]과 같이, 헤드 라이너(H)에 룸램프를 장착하려고 관통 형성한 개구부(O)의 가장자리 면에 설치하는 브래킷 보디(100)를 포함한다.
특히, 상기 브래킷 보디(100)에는 가장자리에서 바깥으로 돌출하여 헤드 라이너(H)에 장착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의 자리(110)를 마련하고, 이 자리(110)에 완충 패드(P)를 장착할 수 있게 구성하므로, 누구든지 완충 패드(P)를 정해진 위치에 쉽고 신속하게 장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정해진 위치에서의 완충작용을 통해 고객만족도를 높일 수 있게 한 것이다.
특히, 상기 자리(110)에는 완충 패드(P)가 맞닿는 면에 이 완충 패드(P)의 가장자리의 적어도 일부를 따라서 리브(111)를 돌출 형성하므로, 완충 패드(P)를 장착할 때는 이 리브(111)를 기준으로 장착위치에 장착하게 하여 장착 위치에서 벗어나지 않고 정해진 위치에 정확하게 완충 패드(P)를 장착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이하, 이러한 구성에 관해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도면부호 "H"는 루프패널과 마주하도록 자동차 실내의 천장에 장착하여 소음성능과 마감 기능을 하는 통상의 기술로 제작한 헤드 라이너를, "O"는 헤드 라이너에서 룸램프를 장착할 수 있도록 관통 형성한 개구부를, "R"은 루프패널을 각각 나타낸다.
가. 브래킷 보디
브래킷 보디(100)는, [도 1] 내지 [도 3]과 같이, 헤드 라이너(H)에 형성한 개구부(O)의 가장자리 면에 밀착하게 설치한다. 이때, 브래킷 보디(100)는 루프패널과 마주하는 면에 장착한다.
이에, 상기 브래킷 보디(100)는, [도 1] 내지 [도 3]과 같이, 개구부(O)의 형상과 같거나 유사한 형태로 제작한다. 도면에서는 모서리를 모따기 한 사각형 태로 개구부(O)를 형성함에 따라 브래킷 보디(100)도 모따기한 사각형 격자 형상으로 제작한 예를 보여준다.
한편, 상기 브래킷 보디(100)에는, [도 3]과 같이, 가장자리에 적어도 하나의 자리(110)를 돌출 연장하여 형성한다. 여기서, 자리(110)는 완충 패드(P)를 장착하기 위한 것으로, 브래킷 보디(100) 주변에 장착하는 완충 패드(P)의 개수와 장착 위치에 맞게 각 완충 패드(P)를 지지할 수 있는 위치에 각각 돌출 형성한다.
즉, 상기 완충 패드(P)는, [도 3]과 같이, 브래킷 보디(100) 주변에 위치하도록 헤드 라이너(H)에 장착하여, 자동차 실내에서 헤드 라이너(H)가 루프패널 방향으로 눌리더라도 이 헤드 라이너(H)가 눌리지 않고 그 형태를 그대로 유지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상기 완충 패드(P)는 헤드 라이너(H)가 루프패널(R) 쪽으로 움직이더라도 이들 사이의 충격 흡수를 통해 쾌적한 실내 환경을 조성하게 한다.
이에, 상기 완충 패드(P)는 브래킷 보디(100) 주변에서 적절한 위치에 적절한 개수만큼 적절한 간격을 두고 배치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이처럼 완충 패드(P)가 헤드 라이너(H)에 직접 장착함에 따라 적절한 장착 위치에서 벗어날 우려가 있으므로, 브래킷 보디(100)의 가장자리에서 연장하여 이들 완충 패드(P)를 안정적으로 지지 고정할 수 있게 돌출 형성하는 것이다.
[도 3]에서, 상기 완충 패드(P)는 브래킷 보디(100) 주변에 4개를 설치한 예를 보여주고 있으며, 각 완충 패드(P)는 사각형 형태로 이루어진 브래킷 보디(100)의 각 변에 각각 하나씩 위치하므로, 이에 대응하는 위치에 오도록 브래킷 보디(100)에도 4개의 자리(110)를 돌출 형성한 예를 보여준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자리(110)는, [도 3]과 같이, 각 완충 패드(P)마다 하나씩 여러 개를 구성한 예를 보여주고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즉, 상기 자리(110)는 하나로 이루어지되, 클로버 형태처럼 하나로 이루어지게 하여 각 꽃잎 부분마다 하나의 완충 패드(P)를 장착하게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자리(110)에는, [도 3]과 같이, 완충 패드(P)를 장착하는 면에 리브(111)를 돌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리브(111)는 완충 패드(P)를 자리(110) 위에 올려놓았을 때 정해진 위치를 결정할 수 있도록 자리(110) 위에 올려놓은 완충 패드(P)의 가장자리 일부를 감싸는 형태가 되게 형성한다. 물론, 가장 바람직하게는 완충 패드(P)의 하부를 안착하여 정해진 위치에 정확하게 고정할 수 있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완충 패드(P)는 헤드 라이너(H)와 루프패널(R) 사이에서 완충 작용과 소음 방지 효과를 낼 수 있는 재질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완충 패드(P)의 재질로는 예시적으로 폴리에틸렌(PE)을 사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브래킷 보디에 자리를 추가하여 구성하고, 이 자리에 완충 패드를 장착할 수 있게 구성하므로, 완충 패드를 정해진 위치에 정확하게 장착할 수 있게 된다.
100 : 브래킷 보디
110 : 자리
111 : 리브

Claims (4)

  1. 삭제
  2. 헤드 라이너(H)에 룸램프를 설치하려고 관통 형성한 개구부(O)에 설치하는 브래킷 보디(100)를 포함하는 자동차용 룸램프 브래킷에서,
    상기 브래킷 보디(100)에는,
    가장자리에서 바깥쪽으로 연장하여 헤드 라이너(H)에 밀착하여 설치하되, 완충 패드(P)를 설치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의 자리(110)를 돌출 연장하고,
    상기 브래킷 보디(100)는 모 따기 한 사각의 격자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격자의 각 변에는 각각 자리(110)를 돌출 연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룸램프 브래킷.
  3. 삭제
  4. 제2항에서,
    상기 자리(110)에는,
    완충 패드(P)와 맞닿는 완충 패드(P)의 가장자리 중에서 적어도 일부를 감싸는 형태가 되게 리브(111)를 돌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룸램프 브래킷.
KR1020190035696A 2019-03-28 2019-03-28 자동차용 룸램프 브래킷 KR1021447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5696A KR102144754B1 (ko) 2019-03-28 2019-03-28 자동차용 룸램프 브래킷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5696A KR102144754B1 (ko) 2019-03-28 2019-03-28 자동차용 룸램프 브래킷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44754B1 true KR102144754B1 (ko) 2020-08-18

Family

ID=722918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35696A KR102144754B1 (ko) 2019-03-28 2019-03-28 자동차용 룸램프 브래킷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44754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67036A (ko) 2020-11-17 2022-05-24 (주)대한솔루션 자동차용 룸램프 장착 브래킷
KR20220067035A (ko) 2020-11-17 2022-05-24 (주)대한솔루션 자동차용 룸램프 장착용 플레이트
KR20220122071A (ko) 2021-02-26 2022-09-02 (주)대한솔루션 손전등 기능을 갖춘 자동차용 룸램프
KR20220158940A (ko) 2021-05-25 2022-12-02 (주)대한솔루션 조립이 쉬운 자동차용 램프 브래킷
KR20230029202A (ko) 2021-08-24 2023-03-03 (주)대한솔루션 자동차용 룸램프 플레이트
KR20230075560A (ko) 2021-11-23 2023-05-31 (주)대한솔루션 이탈 방지 기능이 강화된 자동차용 룸램프 클립
KR20230116188A (ko) 2022-01-28 2023-08-04 (주)대한솔루션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고 룸램프를 장착할 수 있는 자동차용 헤드 라이너의 제조방법 및 그 자동차용 헤드 라이너
KR20240001853A (ko) 2022-06-28 2024-01-04 (주)대한솔루션 자동차용 룸램프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5347B1 (ko) 2000-12-18 2003-11-12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룸램프 구조
KR101281300B1 (ko) 2008-12-04 2013-07-03 야자키 소교 가부시키가이샤 자동차용 룸 램프의 장착 구조물
KR101477926B1 (ko) * 2013-10-31 2014-12-30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자동차의 헤드라이닝 고정용 지지 플랜지
KR20160095669A (ko) 2015-02-03 2016-08-12 (주)대한솔루션 자동차용 헤드 라이닝
KR20190000946A (ko) * 2017-06-23 2019-01-04 (주)대한솔루션 자동차의 선루프용 오프닝 브래킷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5347B1 (ko) 2000-12-18 2003-11-12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룸램프 구조
KR101281300B1 (ko) 2008-12-04 2013-07-03 야자키 소교 가부시키가이샤 자동차용 룸 램프의 장착 구조물
KR101477926B1 (ko) * 2013-10-31 2014-12-30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자동차의 헤드라이닝 고정용 지지 플랜지
KR20160095669A (ko) 2015-02-03 2016-08-12 (주)대한솔루션 자동차용 헤드 라이닝
KR20190000946A (ko) * 2017-06-23 2019-01-04 (주)대한솔루션 자동차의 선루프용 오프닝 브래킷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67036A (ko) 2020-11-17 2022-05-24 (주)대한솔루션 자동차용 룸램프 장착 브래킷
KR20220067035A (ko) 2020-11-17 2022-05-24 (주)대한솔루션 자동차용 룸램프 장착용 플레이트
KR20220122071A (ko) 2021-02-26 2022-09-02 (주)대한솔루션 손전등 기능을 갖춘 자동차용 룸램프
KR20220158940A (ko) 2021-05-25 2022-12-02 (주)대한솔루션 조립이 쉬운 자동차용 램프 브래킷
KR20230029202A (ko) 2021-08-24 2023-03-03 (주)대한솔루션 자동차용 룸램프 플레이트
KR20230075560A (ko) 2021-11-23 2023-05-31 (주)대한솔루션 이탈 방지 기능이 강화된 자동차용 룸램프 클립
KR20230116188A (ko) 2022-01-28 2023-08-04 (주)대한솔루션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고 룸램프를 장착할 수 있는 자동차용 헤드 라이너의 제조방법 및 그 자동차용 헤드 라이너
KR20240001853A (ko) 2022-06-28 2024-01-04 (주)대한솔루션 자동차용 룸램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44754B1 (ko) 자동차용 룸램프 브래킷
US4249232A (en) Headlamp, particularly for motor vehicles
JP5186866B2 (ja) ラジエターグリルへの車載カメラ取付方法及びラジエターグリルへの車載カメラ取付構造
KR101531072B1 (ko) 아웃사이드 미러 유닛용 장착 구조
JP4816486B2 (ja) 車両用外装部品
JP6414769B2 (ja) 内装部品
KR102040646B1 (ko) 자동차의 헤드 라이너용 램프 브래킷
CN103359177A (zh) 车辆顶篷组件和车顶组件
CN213237386U (zh) 配光组件
JP2010526723A (ja) 自動車のドアの取り付け部材
US5329429A (en) Vehicle light
JP2021079777A (ja) 車両用カウルトップガーニッシュの構造
KR102130293B1 (ko) 자동차용 ohc 브래킷
CN219749691U (zh) 固定架组件及具有其的车辆
KR102562340B1 (ko) 자동차용 일체형 선루프 오프닝 브래킷
CN220447658U (zh) 仪表板结构和具有其的车辆
CN219339370U (zh) 用于车辆的顶棚结构和具有其的车辆
KR20220158940A (ko) 조립이 쉬운 자동차용 램프 브래킷
JPH04143133A (ja) 車体組込型補助ストップランプ
JPH0113639Y2 (ko)
JP4468561B2 (ja) ルーフライニングとピラーガーニッシュの取付構造
KR200173420Y1 (ko) 자동차의 미러조립체
KR0123280Y1 (ko) 자동차용 콘솔 박스 조립 구조
KR20200127066A (ko) 이음을 개선할 수 있도록 헤드 라이너에 장착한 자동차용 램프
KR20230060700A (ko) 자동차용 필러 플레이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