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41414B1 - 인쇄 데이터를 수신 및 처리하는 인쇄 제어 장치, 인쇄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한 저장 매체 - Google Patents

인쇄 데이터를 수신 및 처리하는 인쇄 제어 장치, 인쇄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한 저장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41414B1
KR102141414B1 KR1020160174418A KR20160174418A KR102141414B1 KR 102141414 B1 KR102141414 B1 KR 102141414B1 KR 1020160174418 A KR1020160174418 A KR 1020160174418A KR 20160174418 A KR20160174418 A KR 20160174418A KR 102141414 B1 KR102141414 B1 KR 1021414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cessing
print data
image
post
pri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744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74197A (ko
Inventor
다케시 가네다
Original Assignee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700741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741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14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14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681Detecting the presence, position or size of a sheet or correcting its position before scanning
    • H04N1/00684Object of the detection
    • H04N1/00721Orient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78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adopt a particular infrastructure
    • G06F3/1285Remote printer device, e.g. being remote from client or server
    • G06F3/1288Remote printer device, e.g. being remote from client or server in client-server-printer device configur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02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achieve a particular effect
    • G06F3/1203Improving or facilitating administration, e.g. print management
    • G06F3/1208Improving or facilitating administration, e.g. print management resulting in improved quality of the output result, e.g. print layout, colours, workflows, print preview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23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use a particular technique
    • G06F3/1224Client or server resources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23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use a particular technique
    • G06F3/1237Print job management
    • G06F3/125Page layout or assigning input pages onto output media, e.g. imposi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23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use a particular technique
    • G06F3/1237Print job management
    • G06F3/126Job scheduling, e.g. queuing, determine appropriate device
    • G06F3/1264Job scheduling, e.g. queuing, determine appropriate device by assigning post-processing resour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78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adopt a particular infrastructure
    • G06F3/1285Remote printer device, e.g. being remote from client or server
    • G06F3/1287Remote printer device, e.g. being remote from client or server via interne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35User-machine interface; Control console
    • H04N1/00405Output means
    • H04N1/00408Display of information to the user, e.g. menus
    • H04N1/0044Display of information to the user, e.g. menus for image preview or review, e.g. to help the user position a shee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35User-machine interface; Control console
    • H04N1/00405Output means
    • H04N1/00408Display of information to the user, e.g. menus
    • H04N1/00466Display of information to the user, e.g. menus displaying finishing information, e.g. position of punch holes or staple or orientation referen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567Handling of original or reproduction media, e.g. cutting, separating, stacking
    • H04N1/00639Binding, stapling, folding or perforating, e.g. punch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077Types of the still picture apparatus
    • H04N2201/0094Multifunctional device, i.e. a device capable of all of reading, reproducing, copying, facsimile transception, file transcep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Accessory Devices And Overall Control Thereof (AREA)
  • Facsimiles In General (AREA)
  • Record Information Processing For Printing (AREA)

Abstract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MFP는 이동 단말 또는 PC와 같은 정보 처리 장치로부터 인쇄 데이터를 수신하고, 인쇄 데이터에서 지정되는 정보에 기초하여 이미지의 배향을 결정하며, 이러한 정보는 인쇄 데이터에 기초하여 이미지가 인쇄된 시트 상에 수행될 후처리의 위치를 표시한다.

Description

인쇄 데이터를 수신 및 처리하는 인쇄 제어 장치, 인쇄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한 저장 매체{PRINT CONTROL APPARATUS FOR RECEIVING AND PROCESSING PRINT DATA, PRINT CONTROL METHOD,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본 발명은 인쇄 데이터를 수신 및 처리하는 인쇄 제어 장치, 인쇄 제어 방법, 및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네트워크와 접속되고, 네트워크를 통해서 정보 처리 장치로부터 인쇄 데이터를 수신하고 인쇄를 수행할 수 있는 종래의 인쇄 장치들이 알려져 있다. 또한, 개개의 인쇄 장치들을 사용하도록 설계된 프린터 드라이버(또는 인쇄 애플리케이션)을 사용하여 인쇄 장치에 송신될 인쇄 데이터를 생성하는 기술이 또한 종래에 알려져 있다.
최근 들어, 개개의 인쇄 장치들을 사용하도록 설계된 프린터 드라이버(또는 인쇄 애플리케이션)을 사용하지 않고 인쇄 데이터를 생성하는 기술이 알려져 왔다. 예를 들어, 정보 처리 장치의 OS(operating system)의 기능으로서 제공되는 범용 인쇄 서비스에 의해 또는 클라우드 상의 인쇄 서버가 제공하는 범용 인쇄 서비스에 의해 인쇄 데이터를 생성하고, 이를 인쇄 장치에 송신하는 기술들이 알려져 있다. 이러한 범용 인쇄 서비스들에는 인쇄 장치로 하여금 인쇄를 수행하게 하는 네트워크 프로토콜이 제공된다. 범용 인쇄 서비스들은 인쇄를 달성하기 위해 이러한 프로토콜을 따라 인쇄 장치와 통신한다.
범용 인쇄 서비스들을 제공하는 인쇄 서버들 및 정보 처리 장치들은, 여러 종류의 인쇄 장치들을 지원할 것이 요구된다. 이러한 관점에서, 인쇄 장치들 사이에 변하는 기능들 및 사양들을 지원하기 위해서, 범용 인쇄 서비스는 인쇄 장치들의 구성 정보를 관리할 수 있다는 점이 알려져 있다. 예를 들어, 일본 특허 출원 공보 제2013-187571호에 논의되는 기술에서, 인쇄 서버는, 관리하고 있는 인쇄 장치의 구성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인쇄시에 인쇄 속성들을 설정하게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생성하고, 인쇄가 완료될 때까지 인쇄 작업을 추적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또한, 인쇄 장치가 시트들에 대하여 후처리를 수행할 때, 인쇄 장치가 사용자에 의해 지정되는 위치에 제본 처리 및 천공을 수행할 수 있다는 점이 알려져 있다.
범용 인쇄 서비스에 의해 인쇄 데이터를 생성할 때, 인쇄 데이터는 인쇄 장치의 구성 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각각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벤더가 인쇄 장치를 제공하는 디바이스 벤더가 상이할 때, 인쇄 장치에 대해 요구되는 인쇄 속성들 모두가 정확하게 설명되는 인쇄 데이터가 생성되지 않을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생성된 인쇄 데이터는, 예를 들어, 이미지의 배향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인쇄 데이터에서의 이미지의 배향의 결정을 요구하는 처리(예를 들어, 인쇄 데이터 미리보기)를 수행할 때, 미리보기 이미지가 사용자에 의해 의도된 것과 상이한 배향으로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인쇄 데이터에 포함되지 않은 이미지 속성을 적합하게 결정할 수 있는 인쇄 제어 장치, 인쇄 제어 방법, 및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본 개시내용의 양태에 따르면, 인쇄 제어 장치는, 정보 처리 장치로부터 송신되는 인쇄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수신 유닛, 및 인쇄 데이터에서 지정되는 정보 - 이러한 정보는 인쇄 데이터에 기초하여 이미지가 인쇄된 시트 상에 수행될 후처리의 위치를 나타냄 - 에 기초하여 인쇄 데이터에서의 이미지의 배향을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결정 유닛을 포함한다.
추가의 특징들은 첨부 도면들을 참조하여 이하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의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인쇄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MFP(multifunction peripheral)의 하드웨어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MFP와 정보 처리 장치 사이의 통신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MFP로부터 정보 처리 장치로 송신되는 구성 정보의 예를 도시한다.
도 5a 및 5b는 일 실시예에 따른 MFP에 의해 수신되는 인쇄 데이터의 예들을 도시한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시트 처리 유닛의 단면도이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조작 유닛 상에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8a, 8b, 8c, 및 8d는 일 실시예에 따른 조작 유닛 상에 디스플레이되는 화면들의 예들을 도시하는 도면들이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제본 처리 설정들에 기초하는 이미지 배향의 결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0은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인쇄 제어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11은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인쇄 제어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12는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인쇄 제어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13은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조건 테이블이다.
도 1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제본 처리 설정들에 기초하는 제본 에지의 결정 및 이미지 배향의 결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제본 처리 설정들에 기초하는 천공 위치의 결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6은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인쇄 제어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17은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인쇄 제어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18a 및 18b는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조건 테이블들이다.
이하 첨부 도면들을 참조하여 예시적인 실시예들이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예시적인 실시들이 설명되었지만, 첨부된 청구항들의 범위가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은 아니라는 점이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설명되는 특징들의 모든 조합들이 본 개시내용에 제시되는 해제본들에 필수적인 것은 아니다.
도 1은 제1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인쇄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MFP(multifunction peripheral)(101) 및 AP(access point)(102)는 서로 통신할 수 있도록 LAN(local area network)(100)에 접속된다. MFP(101)는 이하 본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인쇄 장치의 예로서 설명될 것이다. 이동 단말들(103, 104) 및 PC(personal computer)(105)는 이하 정보 처리 장치들의 예로서 설명될 것이다. 이동 단말들(103, 104) 및 PC(105)와 같은 정보 처리 장치들은 AP(102)를 통해 네트워크(LAN(100)) 상의 MFP(101)와 통신할 수 있다. PC(105)는 LAN 케이블을 통해 LAN(100)에 접속될 수 있다. 본 예시적인 실시예에서는, 위에 설명된 구성이 인쇄 시스템의 구성의 예로서 이하 설명한다. 그러나, 인쇄 시스템의 구성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적어도 하나의 정보 처리 장치 및 인쇄 장치는 서로 통신할 수 있는 방식으로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될 필요가 있다.
먼저, MFP(101)가 이하 설명될 것이다. MFP(101)는 원본 문서 상의 이미지를 판독하는 판독 기능 및 시트 상에 이미지를 인쇄하는 인쇄 기능을 갖는다. MFP(101)는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되는 인쇄 데이터에 기초하여 인쇄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도 2는 MFP(101)의 하드웨어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MFP(101)는 원본 문서 상의 이미지를 판독하는 판독 기능 및 시트 상에 이미지를 인쇄하는 인쇄 기능을 갖는다. 또한, MFP(101)는 이미지를 외부의 정보 처리 장치에 송신하는 파일 송신 기능을 갖는다.
본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MFP(101)는 인쇄 장치의 예로서 설명된다. 그러나, 인쇄 장치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인쇄 장치는 판독 기능이 없는 SFP(Single Function Peripheral)일 수 있다.
CPU(central processing unit)(111)를 포함하는 제어 유닛(110)은 MFP(101)의 전체 동작들을 제어한다. CPU(111)는 ROM(read only memory)(112) 또는 스토리지(114)에 저장되는 제어 프로그램을 판독하고, 인쇄 제어 및 판독 제어와 같은 다양한 제어들을 수행한다. ROM(112)은 CPU(111)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제어 프로그램들을 저장한다. RAM(random access memory)(113)은 CPU(111)의 메인 메모리이고, 다양한 제어 프로그램들을 로딩하기 위한 작업 영역 또는 임시 스토리지 영역으로서 사용된다. 스토리지(114)는 인쇄 데이터, 이미지 데이터, 다양한 프로그램들, 및 다양한 설정 정보를 저장한다. 본 예시적인 실시예에서는, HDD(hard disk drive)와 같은 보조 스토리지 유닛이 스토리지(114)로서 사용된다. 그러나, SDD(solid state drive)와 같은 불휘발성 메모리가 HDD 대신에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MFP(101)에서, 하나의 CPU(111)는 하나의 메모리(RAM(113))를 사용하여 이하 설명되는 흐름도들에 도시되는 처리를 구현한다. 그러나, 다른 구성들이 또한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하 설명되는 흐름도들에 도시되는 처리는, 복수의 CPU들, RAM들, ROM들, 및 스토리지들을 협력적으로 동작시키는 것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또는 FPGA(Field-Programmable Gate Array)와 같은 하드웨어 회로를 사용하여 처리의 일부가 구현될 수 있다.
조작 유닛 I/F(interface)(115)는 조작 유닛(116)과 제어 유닛(110)을 접속시킨다. 조작 유닛(116)에는 터치 패널 기능을 갖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유닛, 및 다양한 하드웨어 키들이 제공된다. 조작 유닛(116)은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유닛 및 사용자 명령어들을 수신하는 수신 유닛으로서 기능한다.
판독 유닛 I/F(117)는 판독 유닛(118)과 제어 유닛(110)을 접속시킨다. 판독 유닛(118)은 원본 문서를 판독하고, 판독 이미지를 생성한다. 생성된 판독 이미지는 스토리지(114) 또는 RAM(113)에 저장된다. 판독 유닛(118)에 의해 생성되는 판독 이미지는 정보 처리 장치에 송신되거나 또는 시트 상의 이미지 인쇄를 위해 사용된다.
인쇄 유닛 I/F(119)는 인쇄 유닛(120)과 제어 유닛(110)을 접속시킨다. 인쇄 데이터를 분석하는 것에 의해 생성되는 인쇄 이미지는 인쇄 유닛 I/F(119)를 통해 제어 유닛(110)으로부터 인쇄 유닛(120)에 송신된다. 인쇄 유닛(120)은 제어 유닛(110)을 통해 제어 명령 및 인쇄 대상 이미지를 수신하고, 이러한 이미지에 기초하여, 시트 공급 카세트(도시되지 않음)로부터 공급되는 시트 상에 이미지를 인쇄한다. 인쇄 유닛(120)의 인쇄 방법은 전자사진 방법 또는 잉크젯 방법일 수 있다. 열 전사 방법과 같은 다른 인쇄 방법들 또한 적용될 수 있다.
제어 유닛(110)은 통신 유닛 I/F(123)를 통해 LAN(100)에 접속된다. 통신 유닛 I/F(123)는 이미지 및 정보를 LAN(100) 상의 정보 처리 장치에 송신하고, 인쇄 데이터 및 정보를 LAN(100) 상의 정보 처리 장치로부터 수신한다.
본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정보 처리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인쇄 데이터는 일단 스토리지(114)에 예약될 수 있다. 사용자는 MFP(101)의 조작 유닛(116)을 조작하는 것에 의해 이러한 예약된 인쇄 데이터를 선택할 수 있고, 선택된 인쇄 데이터에 기초하여 인쇄가 수행될 수 있다(이하, 예약 인쇄라 함).
이미지 처리 유닛(124)은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되는 인쇄 데이터를 래스터화하고 인쇄를 위해 사용될 이미지를 생성하는 RIP(raster image processor) 기능을 갖는다. 이미지 처리 유닛(124)은 인쇄 데이터를 래스터화하는 것에 의해 취득되는 이미지에 대하여 해상도 변환 및 보정 처리를 또한 수행할 수 있다. 본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이미지 처리 유닛(124)은 (ASIC 및 FPGA와 같은) 하드웨어 회로에 의해 구현된다. 그러나, 이미지 처리 유닛(124)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MFP(101)는 이미지 처리용 프로세서를 더 포함하고, 이미지 처리 및 인쇄 데이터 래스터화 처리는 이미지 처리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이러한 이미지 처리용 프로세서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이미지 처리용 프로세서와 CPU(111)는 이하에 설명하는 흐름도들에 도시되는 처리를 구현하도록 협력적으로 동작한다. 또한, CPU(111)는 이미지 처리를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것에 의해 이미지 처리 및 인쇄 데이터 래스터화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이미지 처리는 위에 설명된 구성들의 조합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시트 처리 유닛 I/F(121)는 시트 처리 유닛(122)과 제어 유닛(110)을 접속시킨다. 시트 처리 유닛(122)은 CPU(111)로부터 제어 명령을 수신하고, 제어 명령에 따라서, 인쇄 유닛(120)에 의해 인쇄되는 시트들 상에 후처리를 수행한다. 예를 들어, 시트 처리 유닛(122)은, 복수의 시트들을 정렬하는 것, 각각의 시트에 천공 홀들을 개통하는 것, 및 복수의 시트들을 제본하는 것과 같은, 후처리를 수행한다. 시트 처리 유닛(122)에 의해 제공되는 후처리 기능들 및 능력들은 시트 처리 유닛 I/F(121)를 통해 미리(예를 들어, MFP(101)의 활성화시에) 제어 유닛(110)에 통지되고, 스토리지(114) 또는 RAM(113)에 저장된다.
정보 처리 장치와 MFP(101) 사이의 정보 교환이 도 3을 참조하여 이하 설명될 것이다. 도 3은 MFP(101)가 정보 처리 장치로부터 인쇄 데이터를 수신할 때 수행되는 일련의 시퀀스들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단계 301에서, 이동 단말들(103, 104) 및 PC(105)와 같은 정보 처리 장치는 LAN(100) 상의 프린터를 검색하기 위한 패킷들을 방송한다. 인쇄 장치를 검색하기 위한 패킷을 수신하면, 단계 302에서, MFP(101)는, MFP(101)에 포함되는 구성 정보(디바이스 정보라고도 함)를, 이러한 패킷을 송신한 정보 처리 장치에 리턴한다. 이러한 구성 정보는, 예를 들어, 텍스트 데이터로 서술된다. 구성 정보에서의 텍스트 데이터는 각각의 인쇄 장치의 능력들을 나타내는 키워드를 미리 정의한다. 구체적인 구성 정보로서는, 지원되는 용지 크기들, 양면 인쇄 기능의 존재 여부, Nup 기능의 존재 여부, 수행될 수 있는 후처리 기능들의 실행가능한 타입들, 및 후처리 위치들이 수행될 수 있는 위치들과 같은, MFP(101)에 의해 지원되는 기능들의 리스트들이 서술된다. 단계 303에서, 정보 처리 장치는 지원되는 용지 크기들, 양면 인쇄의 유무, Nup 기능의 유무, 실행 가능한 후처리 기능들 등에 관한 MFP의 디바이스 정보를 수신되는 텍스트 데이터에서 설명되는 키워드를 사용하여 등록한다. 도 4는 MFP(101)로부터 정보 처리 장치로 리턴되는 구성 정보의 일부, 즉 후처리에 관한 구성 정보의 추출을 도시한다. MFP(101)는 후처리를 수행하지 않고("3:없음(3:none)") 인쇄된 시트들을 출력하고, 인쇄된 시트들을 제본한 후에 출력하며, 시트 상에 천공 홀들을 형성하는 능력들을 정보 처리 장치에, 텍스트 데이터의 형태로, 통지한다. MFP(101)는 각각의 후처리 기능의 상세한 설정을 정보 처리 장치에, 텍스트 데이터 형태로, 또한 통지한다.
도 4에 도시되는 라인들 4 및 5에 설명되는 바와 같이 후처리가 수행될 시트들 상의 위치의 명시적 지정이 없는 후처리의 인쇄 속성들은 "위치 지정이 없는 제본 처리 설정들"로서 참조된다. 도 4에 도시된 라인들 20 내지 31 및 74 내지 81에 설명되는 바와 같이 후처리가 수행될 시트들 상의 위치의 명시적 지정이 있는 후처리의 인쇄 속성들은 "위치 지정이 있는 제본 처리 설정들"로서 참조된다.
본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MFP(101)의 시트 처리 유닛(122)은 인쇄된 시트들의 한 면 상의 한쪽 코너 위치 또는 2개 위치들에서 인쇄된 시트들을 제본할 수 있다고 가정된다. 따라서, MFP(101)는 도 4에 도시된 적어도 라인들 20 내지 23 및 라인들 28 내지 31을 실행가능한 제본 처리의 정보로서 정보 처리 장치에 통지한다. 시트 처리 유닛(122)은 인쇄된 시트의 한 면 상에 2개 또는 3개의 천공 홀들을 형성할 수 있다고 가정된다. 따라서, MFP(101)는 적어도 도 4에 도시된 라인들 5 및 74 내지 81을 정보 처리 장치에 실행가능한 천공으로서 통지한다.
사용자는 단계들 301 내지 303에서 사전 등록 처리에 등록된 인쇄 장치를 요청할 수 있다. 사용자 조작을 통해 인쇄를 위해 사용될 인쇄 장치의 지정을 수신하면, 정보 처리 장치에 의해 제공되는 인쇄 서비스는 사용자에 의해 지정된 인쇄 장치에 대응하는 디바이스 정보를 참조한다. 단계 304에서, 정보 처리 장치는 참조된 디바이스 정보에 기초하여 인쇄 속성들을 설정하기 위한 설정 화면을 정보 처리 장치의 조작 유닛(도시되지 않음) 상에 디스플레이한다. 사용자는 설정 화면을 통해 인쇄 속성들을 설정한다. 단계 305에서, 설정 화면을 통해 인쇄를 시작하라는 지시를 수신하면, 정보 처리 장치는 인쇄 데이터를 생성한다. 단계 306에서, 정보 처리 장치는 생성된 인쇄 데이터를 MFP(101)에 송신한다.
이하, 정보 처리 장치에서의 인쇄 속성들의 설정 및 인쇄 데이터의 생성에 대하여 도 5a 및 5b를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 5a는 인쇄 속성들을 설정하기 위한 설정 화면의 예를 도시한다. 사용자는 도 5a에 도시되는 항목(501)을 선택하는 것에 의해 인쇄를 위해 사용될 시트 크기를 설정할 수 있다. 사용자는 세로 방향 버튼(502a) 또는 가로 방향 버튼(502b)을 선택하는 것에 의해 시트 상에 인쇄 대상 이미지의 배향을 또한 설정할 수 있다.
사용자는 도 5a에 도시되는 항목(511)을 선택하는 것에 의해 인쇄된 시트들을 제본하기 위한 설정을 또한 행할 수 있다. 항목(511)이 선택되면, 드롭 다운 리스트로부터 사용자가 "1-위치 제본", "2-위치 제본", 또는 "없음"을 선택하게 하는 드롭 다운 리스트(도시되지 않음)가 디스플레이된다. "1-위치 제본" 항목이 선택되면, 시트들은 4개 코너들(상부 좌측, 하부 좌측, 상부 우측, 및 하부 우측) 중 하나에서 제본될 것이다. 항목 "2-위치 제본"이 선택되면, 그 한 면 상의 2개 위치들에서 시트들이 제본될 것이다. MFP(101)의 능력들에 따라, 사용자는 그 한 면상의 3개 위치들에서 시트들을 제본하기 위한 설정을 선택할 수 있다. 사용자는 도 5a에 도시되는 천공 체크 박스(512)를 선택하는 것에 의해 인쇄된 시트들에 천공을 수행할지 설정할 수 있다.
한편, 시트 처리 유닛(122)을 통해 적합한 위치에서 후처리를 수행하기 위해, MFP(101)는 시트 이송의 배향 및 이미지 인쇄의 배향을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지정된 위치에서 후처리를 수행한다. 이러한 처리는 도 6을 참조하여 이하 설명될 것이다.
도 6은 시트 처리 유닛(122)를 위에서 본 단면도이다. 제본 처리 및 천공이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천공을 수행하는 천공기(603)는 시트가 출력 트레이(607)로 이송되는 동안, 인쇄 유닛(120)에 의해 이미지가 인쇄된 시트 상에 천공을 수행할 수 있다. 본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천공기(603)는 이송되는 시트의 후단 면 상에 천공을 수행한다. 따라서, 이미지 배향을 수직으로 반전한 후(180도 회전), 천공기(603)는 이송 방향과 직교하는 면 상의 2개 위치들에서 천공을 수행할 수 있다. 인쇄에 사용되는 시트의 이송 배향과 이미지 회전의 조합은 시트의 상부, 하부, 좌측 또는 우측에 천공 홀들을 형성할 수 있게 한다. 시트의 이송 배향은 시트가 이송되는 LEF(Long Edge Feed) 또는 SEF(Short Edge Feed) 배향을 지칭한다. 제본 처리를 수행하는 제본 유닛(614)은 중간 트레이(600)에 유지되는 복수의 시트들을 제본할 수 있다. 복수의 시트들을 유지할 수 있게 하기 위해, 중간 트레이(600)는, 시트 배출 방향에서의 하류 측(도 6에서의 좌측)을 수직 방향에서 위쪽으로 위치시키고, 시트 배출 방향에서의 상류 측(도 6에서의 우측)을 수직 방향에서 아래쪽으로 위치시키는 것에 의해 기울어진다.
제본 유닛(614)은 도 6에 도시되는 화살표(601)에 의해 표시되는 바와 같이 모터(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슬라이드하도록 구성된다. CPU(111)는 모터(도시하지 않음)를 구동하여 제본 유닛(614)을 시트 이송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시트 이송 방향에서의 후단 측 상의 코너에서 또는 후단 측 상의 2개 위치들에서 시트 번들을 제본한다. 따라서, 제본 유닛(614)을 이동시키고 이미지 배향을 수직으로 반전시킨 후(180도 회전), 시트 번들은 시트 이송 방향에 직교하는 측 상의 2개 위치들에서 제본될 수 있다. 유사하게, 인쇄된 시트들은 4개의 코너들(상부 좌측, 상부 우측, 하부 우측, 및 하부 좌측) 중 임의의 하나에서 제본될 수 있다. 시트 처리 유닛(122)에 의해 필요에 따라 천공 및 제본 처리된 시트들은 출력 트레이(607) 상에 출력된다.
이하, 정보 처리 장치에 의해 제공되는 범용 인쇄 서비스에 의해 생성되는 인쇄 데이터가 설명될 것이다. 범용 인쇄 서비스에 의해 생성되는 인쇄 데이터의 인쇄 속성들이 인쇄 장치에 대해 처리하기가 반드시 용이한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인쇄 장치에 필요한 모든 인쇄 속성들이 정확하게 설명되는 인쇄 데이터가 생성되지 않을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인쇄 데이터에서의 이미지의 어느 방향이 상향으로서 고려되어야 하는지(즉, 어느 방향이 인쇄물의 상부로서 고려되어야 하는지)에 관한 (이하 이미지 배향으로서 참조되는) 속성 및 원본 문서를 여는 방식(제본하는 방식)에 관한 속성.
이하, 구체적인 예가 도 5b를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인쇄 데이터 샘플 1은, 설정 화면을 통해, 설정(이하, 인쇄 설정 샘플 1이라고 함)이 행해질 때 생성되는 인쇄 데이터의 예이며, A4 시트들에 세로 방향의 이미지를 인쇄하고, 인쇄된 시트들을 그 상의 일 위치에서 제본하기 위한 것이다. 도 5a에 도시되는 화면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본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범용 인쇄 서비스는 1-위치 제본의 지정을 수신하지만, 제본 처리가 수행될 제본 위치를 명시적으로 수신하지 않는다. 그러나, 인쇄 데이터를 생성할 때, 제본 처리가 수행될 제본 위치는 도 5b에 도시되는 각각의 인쇄 데이터 샘플에 의해 표시되는 바와 같이 설정된다. 실제로, 1-위치 제본이 지정될 때, 복수의 제본 위치 후보들이 존재한다(상부 좌측, 상부 우측, 하부 좌측, 및 하부 우측). 이러한 경우에, 본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범용 인쇄 서비스는, 이미지의 상부가 위쪽으로 배치될 때 상부 좌측 코너에서 시트가 제본되어야 한다는 가정하에 인쇄 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으로 고려된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에, A4 크기(210 × 297) 시트들 상에 인쇄하고 시트들의 상부 좌측 코너에서 제본하는 것이 인쇄 데이터의 인쇄 속성들로서 설정된다. 한편, 인쇄 데이터 생성시 이미지 배향이 상실되었다.
인쇄 데이터 샘플 2는, 설정 화면을 통해 설정(이하, 인쇄 설정 샘플 2이라고 함)이 행해질 때 생성되는 인쇄 데이터의 예이며, A4 크기(210 × 297) 시트들 상에 가로 방향의 이미지를 인쇄하고, 인쇄된 시트들을 그 상의 일 위치에서 제본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경우에, A4 크기(210 × 297) 시트들 상에 인쇄하고 시트들의 하부 우측 코너를 제본하는 것이 인쇄 데이터의 인쇄 속성들로서 설정된다. 이러한 경우에, 1-위치 제본이 수신될 때, 이미지의 상부가 위쪽으로 배치될 때 시트들은 상부 좌측 코너에서 제본되어야 한다고 가정하에, A4 크기(210 × 297) 시트들 상에 가로 방향의 이미지를 인쇄하는 설정에 기초하여 시트 기준의 제본 속성들이 설정되는 것으로 고려된다. 따라서, 시트 기준의 제본 위치로서 하부 좌측 코너에서 제본하는 속성이 설정된다. 한편, 인쇄 데이터 샘플 1과 유사하게, 인쇄 데이터 생성시 이미지 배향이 상실되었다.
이미지 배향 속성이 인쇄 데이터에 설정되지 않을 때 문제점이 발생한다. 위에 설명된 바와 같이, 본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MFP(101)는 예약 인쇄를 수행할 수 있다. 도 7은 CPU(111)에 의해 조작 유닛(116) 상에 디스플레이되는 조작 화면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러한 조작 화면은 예약 인쇄 데이터에 대해 수행될 처리를 설정하는데 사용된다. 도 7에 도시되는 화면을 참조하면, 라인(701)에서의 데이터 B가 선택된다. 데이터 B는 정보 처리 장치로부터 수신되어 스토리지(114)에서 예약되는 인쇄 데이터이다. 데이터 B는 도 5b에 도시되는 인쇄 데이터 샘플 2에 상당한다. 도 7에 도시되는 화면을 통해, 사용자는 스토리지(114)에서 예약된 인쇄 데이터를 선택하고 그 인쇄 데이터에 대해 수행될 처리를 선택할 수 있다.
미리보기 기능을 사용하기 위해 미리보기 버튼(702)이 선택된다. 미리보기 기능은 인쇄 데이터에 기초하여 조작 유닛(116) 상에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여 사용자가 확인하게 하는 기능이다. 인쇄 설정 변경 버튼(703)은 인쇄 데이터 설정들을 변경하는데 사용된다. 본 예시적인 실시예는, 인쇄 설정 변경 버튼(703)에 의해 변경될 수 있는 인쇄 설정들의 예로서, 제본 처리가 수행될 위치를 변경하는 프로세스, 및 인쇄 일자 및 스탬프를 인쇄 데이터와 조합하여 이미지를 인쇄하는 프로세스를 중심으로 이하 설명될 것이다.
인쇄 시작 버튼(704)은 도 7에 도시되는 화면을 통해 선택되는 인쇄 데이터에 기초하여 인쇄를 시작하는데 사용된다.
이러한 경우에, 이미지 배향 속성 설정이 없는 인쇄 데이터 또는 정확한 이미지 배향 속성 설정이 없는 인쇄 데이터가 예약되면, 사용자의 편리성이 저하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서, 위에 설명된 미리보기 기능이 이하 설명될 것이다. 도 8a, 8b, 8c, 및 8d는 CPU(111)에 의해 조작 유닛(116) 상에 디스플레이되는 조작 화면들의 예들을 도시하는 도면들이다. 도 8a는 미리보기 기능에 의해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의 예, 즉 이미지 배향 속성 설정이 없는 인쇄 데이터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되는 종래의 미리보기 화면의 예를 도시한다. 이러한 경우에, 도 8a는 스토리지(114)에서 예약되는 데이터 B(즉, 인쇄 데이터 샘플 2)에 기초하는 미리보기 화면의 예를 도시한다.
사용자가 인쇄 데이터를 미리보기할 때, 이미지의 상부가 위쪽으로 배치되도록 이미지가 디스플레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도 5b에 도시되는 인쇄 설정 샘플 2에 기초하여 인쇄되는 이미지를 미리보기할 때, 도 8c에 도시되는 미리보기 이미지 (811)에서와 같이 이미지의 상부가 위쪽으로 배치되도록 이미지가 디스플레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미리보기 기능은 인쇄 데이터에 포함되는 배향 속성에 따라 미리보기 화면에 디스플레이될 미리보기 이미지를 이미지의 상부가 위쪽으로 배치되도록 회전시킨다.
그러나, 도 5b에 도시되는 인쇄 데이터 샘플 2에서와 같이 이미지 배향 속성 설정이 없는 인쇄 데이터의 경우에는, 이미지 배향이 알려지지 않는다. 이러한 경우에, 미리보기 기능은, 이미지 배향이 디폴트 배향이라는 가정하에(보다 구체적으로, 인쇄 데이터에 포함되는 이미지의 더 위쪽이 이미지의 상부임), 미리보기 이미지(도 8a에 도시되는 미리보기 이미지 (801))를 생성한다. 이러한 경우에는, 이미지의 상부가 위쪽으로 배치되지 않기 때문에 미리보기 이미지가 보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미지 배향은 인쇄 설정들을 변경할 때도 중요하게 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후처리 설정들이 변경되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도 8b는, 이후의 인쇄 설정들을 변경하는 화면의 예, 즉, 제본 처리가 수행될 인쇄물 상의 위치를 변경하는 화면의 예를 도시한다. 이러한 경우에, 사용자가 후처리 설정들을 변경할 때, 사용자가 이미지의 상부를 참조하여 후처리를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도 5b에 도시되는 인쇄 설정 샘플 2에 기초하여 인쇄 데이터 제본 설정들을 변경할 때, 사용자가 도 8d에 도시되는 버튼(812)에 의해 표시되는 바와 같이 이미지의 상부를 참조하여 제본 위치를 설정 및 변경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미리보기 기능은 인쇄 데이터에 저장되는 시트 기준의 제본 위치를 이미지의 상부에 기초하는 위치로 변환하여, 후처리가 수행될 위치를 사용자가 변경하게 한다.
그러나, 도 5b에 도시되는 인쇄 데이터 샘플 2에서와 같이 이미지 배향 속성이 설정되지 않는 경우, 배향이 알려지지 않는다. 이러한 경우에, 사용자는 이미지 배향이 디폴트 배향이라는 가정하에(보다 구체적으로, 인쇄 데이터에 포함되는 이미지의 더 위쪽이 이미지의 상부임), 제본 처리 위치를 설정할 것이다. 따라서, 인쇄 데이터 샘플 2를 입력한 사용자는 이미지의 상부에 기초하여 후처리를 설정할 수 없고, 따라서 불편한 상황을 발견할 것이다.
또한, 인쇄의 일자, "SECRET" 및 "CONFIDENTIAL"과 같은 문자열이나 패턴을 인쇄 데이터와 조합하여 이미지를 인쇄할 때, 대상 문자열 또는 패턴을 이미지 배향에 따라서 조합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실제 이미지 배향이 인쇄 데이터 샘플 2에서와 같이 알려지지 않으면, 미리보기 기능은 이미지 배향이 디폴트 배향이라는 가정하에(보다 구체적으로, 인쇄 데이터에 포함되는 이미지의 더 위쪽이 이미지의 상부임), 문자열 또는 패턴을 인쇄 데이터와 조합할 것이다. 따라서 이후에 공급되는 문자열 또는 패턴의 배향은 인쇄 대상 이미지의 배향과 상이하고, 사용자에 의해 의도되지 않은 인쇄물을 초래할 수 있다.
위에 설명된 바와 같이, 이미지 배향 속성이 설정되지 않으면, MFP(101)가 사용자에게 기능을 제공할 때 사용자의 편의성이 방해받을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고려하여, 본 예시적인 실시예는 인쇄 데이터가 시트 기준의 위치 지정이 있는 후처리 설정들을 포함할 때 위치 지정이 있는 후처리 설정에 기초하여 이미지 배향을 결정하는 프로세스를 중심으로 설명될 것이다.
도 9는 이미지 배향을 결정하는 처리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위치 지정이 있는 후처리 설정의 예로서 위치 지정이 있는 제본 처리의 인쇄 속성들에 기초하여 이미지 배향을 결정하는 프로세스의 설명들이 행해질 것이다.
먼저, 다음은 시트들의 어느 한 코너에서의 제본이 제본 처리의 인쇄 속성 으로서 지정될 때(그룹 9010) 이미지 배향을 결정하는 프로세스를 설명한다.
설정 9011에 의해 표시되는 바와 같이, 시트들의 상부 좌측 코너에서의 제본이 지정될 때, CPU(111)는 이미지의 상부가 설정 9021에 의해 표시되는 바와 같이 위쪽으로 배치된다고 결정한다. 시트들의 하부 좌측 코너에서의 제본이 설정 9012에 의해 표시되는 바와 같이 지정되면, CPU(111)는 설정 9022에 의해 표시되는 바와 같이 이미지의 상부가 좌측으로 배치된다고 결정한다.
도 5b를 참조하여 가정되는 범용 인쇄 서비스에 의한 인쇄 데이터에서는, 세로 방향의 이미지는 이미지의 상부가 위쪽으로 배치되도록 배열되고, 가로 방향의 이미지는 이미지의 상부가 좌측으로 배치되도록 배열된다. 따라서, 위에 설명된 가정에서는, 제본 설정들에 설정 9013 또는 9014 어느 것도 지정되지 않는다. 그러나, 이미지의 상부가 아래쪽으로 배치되도록 세로 방향의 이미지를 배열하고 이미지의 상부가 우측으로 배치되도록 가로 방향의 이미지를 배열하는 인쇄 데이터가 생성될 수 있다. 이러한 배향들로 이미지를 배열하는 인쇄 데이터를 가정하면, 시트들의 상부 우측 또는 하부 우측 코너에서의 제본이 지정될 때, CPU(111)는 이미지 배향을 다음과 같이 결정할 것이다.
이러한 경우에, 설정 9013에 의해 표시되는 바와 같이 시트들의 하부 우측 코너에서의 제본이 지정될 때, CPU(111)는 이미지의 상부가 설정 9023에 의해 표시되는 바와 같이 아래쪽으로 배치된다고 결정한다. 설정 9014에 의해 표시되는 바와 같이 시트들의 상부 우측 코너에서의 제본이 지정될 때, CPU(111)는 설정 9024에 의해 표시되는 바와 같이 이미지의 상부가 우측으로 배치된다고 결정한다.
다음은 시트들의 한 면 상의 2개 위치들에서의 제본이 제본 처리의 인쇄 속성으로서 지정될 때(그룹 9060) 이미지 배향을 결정하는 프로세스를 설명한다. 시트들의 좌측 상의 2개 위치들에서의 제본이 설정 9061에 의해 표시되는 바와 같이 지정될 때, CPU(111)는 이미지의 상부가 설정 9071에 의해 표시되는 바와 같이 위쪽으로 배치된다고 결정한다. 시트들의 하부 측 상의 2개 위치들에서의 제본이 설정 9064에 의해 표시되는 바와 같이 지정되면, CPU(111)는 설정 9074에 의해 표시되는 바와 같이 이미지의 상부가 좌측으로 배치된다고 결정한다.
도 5b를 참조하여 가정되는 범용 인쇄 서비스에 의한 인쇄 데이터에서는, 제본 설정에 설정 9062 또는 9063 설정 어느 것도 지정되지 않는다. 그러나, 이미지의 상부가 아래쪽으로 배치되도록 세로 방향의 이미지를 배열하고 이미지의 상부가 우측으로 배치되도록 가로 방향의 이미지를 배열하는 인쇄 데이터가 생성될 수 있다. 이러한 배향들로 이미지를 배치하는 인쇄 데이터를 가정하면, 시트들의 상부 또는 우측 상의 2개 위치들에서의 제본이 지정될 때, CPU(111)는 이미지 배향을 다음과 같이 결정한다. 이러한 경우에, 설정 9062에 의해 표시되는 바와 같이 시트들의 상부 측 상의 2개 위치들에서의 제본이 지정될 때, CPU(111)는 설정 9072에 의해 표시되는 바와 같이 이미지의 상부가 우측으로 배치된다고 결정한다. 설정 9063에 의해 표시되는 바와 같이 시트들의 우측 상의 2개 위치들에서의 제본이 지정될 때, CPU(111)는 설정 9073에 의해 표시되는 바와 같이 이미지의 상부가 아래로 배치된다고 결정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시트들 상의 2개 위치들에서의 제본을 위한 후처리가 지정될 때, CPU(111)는 이미지의 상부가 위쪽으로 배치될 때 좌측 에지(이미지의 좌측)에서의 제본의 관점에 기초하여 제본 위치들이 지정된다고 가정하여 인쇄 데이터에 포함되는 이미지 배향을 결정한다.
인쇄 데이터가 도 9에 도시되는 이미지 배향을 결정하는 관점에 기초하는 시트 기준의 위치 지정이 있는 후처리 설정들을 포함할 때, CPU(111)는 시트 기준의 위치 지정이 있는 후처리 설정들에 기초하여 이미지 배향을 결정할 수 있다.
다음은, MFP(101)가 인쇄 데이터를 수신하여, 결정되는 이미지 배향을 인쇄 데이터에 적용할 때 이미지 배향을 결정하는 프로세스를 도 10 내지 12에 도시되는 흐름도들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0 내지 12에 도시되는 흐름도들에 도시되는 각각의 동작(단계)은 MFP(101)의 CPU(111)가 ROM(112) 또는 스토리지(114)에 저장되는 제어 프로그램을 실행할 때 구현된다.
본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PC 및 모바일 단말과 같은 정보 처리 장치는 LAN(100)을 통해 MFP(101)에 인쇄 데이터를 송신한다. 정보 처리 장치가 MFP(101)에 인쇄 데이터를 송신할 때, 정보 처리 장치는 IPP(Internet Printing Protocol) 및 LPR(Line Printer Daemon protocol)과 같은 다양한 인쇄 프로토콜들을 사용한다.
IPP가 인쇄 프로토콜로서 사용될 때 그리고 인쇄 데이터 포맷이 PWG-RASTER일 때, 본 예시적인 실시예는 이미지 배향 속성이 인쇄 데이터에 포함되지 않을 수 있거나 또는 거기에 포함되는 이미지 배향이 정확하지 않을 수 있다고 가정한다. LPR이 인쇄 프로토콜로서 사용될 때, 본 예시적인 실시예는 이미지 배향 속성이 정확하게 설정될 가능성이 매우 높다고 또한 가정한다.
단계 S1001에서, CPU(111)는 정보 처리 장치로부터 인쇄 데이터를 수신한다. 단계 S1002에서, CPU(111)는 단계 S1001에서 수신되는 인쇄 데이터의 생성 소스가 미리 결정된 타입의 인쇄 서비스인지 결정한다. 이하, 구체적인 제어 처리가 도 11에 도시되는 흐름도를 참조하여 설명된다.
단계 S1101에서, CPU(111)는 인쇄 데이터를 수신하는데 사용되는 인쇄 프로토콜이 IPP인지 결정한다. CPU(111)는, 예를 들어, 수신 포트 번호에 기초하여 인쇄 프로토콜을 결정한다. 수신되는 인쇄 데이터에 대한 인쇄 프로토콜이 IPP일 때(단계 S1101에서 예), 처리는 단계 S1102로 진행한다. 반면에, 수신되는 인쇄 데이터에 대한 인쇄 프로토콜이 IPP가 아닐 때(단계 S1101에서 아니오), 처리는 단계 S1104로 진행한다.
단계 S1102에서, CPU(111)는 수신되는 인쇄 데이터의 포맷이 PWG-RASTER인지 결정한다. CPU(111)는, 예를 들어, 인쇄 데이터에 포함되는 헤더 정보를 분석하는 것에 의해 포맷을 결정한다. CPU(111)가 인쇄 데이터 포맷이 PWG-RASTER라고 결정할 때(단계 S1102에서 예), 처리는 단계 S1103으로 진행한다. 반면에, CPU(111)가 인쇄 데이터 포맷이 PWG-RASTER가 아니라고 결정할 때(단계 S1102에서 아니오), 처리는 단계 S1104로 진행한다. 단계 S1103에서, CPU(111)는 송신 소스 인쇄 서비스가 미리 결정된 타입의 인쇄 서비스라고 결정한다.
단계 S1104에서, CPU(111)는 송신 소스 인쇄 서비스가 미리 결정된 타입의 인쇄 서비스가 아니라고 결정한다.
본 예시적인 실시예에서는, 인쇄 데이터 생성 소스가 미리 결정된 타입의 인쇄 서비스인지 결정하는데 포맷 정보 및 인쇄 프로토콜 타입이 사용되지만, 결정 방법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CPU(111)는 정보 처리 장치가 MFP(101)에 인쇄 데이터를 송신할 때, HTTP 요청에 포함되는 사용자 에이전트 정보에 기초하여 인쇄 데이터 생성 소스가 미리 결정된 타입의 인쇄 서비스인지 결정할 수 있다. 또한, CPU(111)는 인쇄 데이터 생성 소스가 사용자 에이전트 정보에 기초하는 구체적인 버전의 구체적인 인쇄 서비스일 때 인쇄 데이터 생성 소스가 미리 결정된 타입의 인쇄 서비스라고 결정할 수 있다.
도 10의 설명으로 돌아가서, 단계 S1002에서의 결정의 결과로서, 인쇄 데이터 생성 소스가 미리 결정된 타입의 인쇄 서비스라고 CPU(111)가 결정할 때(단계 S1003에서 YES), 처리는 단계 S1004로 진행한다. 반면에, CPU(111)가 인쇄 데이터 생성 소스가 미리 결정된 타입의 인쇄 서비스가 아니라고 결정할 때(단계 S1003에서 아니오), 처리는 단계 S1005로 진행한다.
단계 S1004에서, CPU(111)는 이미지 배향을 결정한다. 이하, 구체적인 제어 처리가 도 12에 도시되는 흐름도를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단계 S1201에서, CPU(111)는 위치 지정이 있는 후처리가 설정되는지 결정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인쇄 데이터가 도 4에 도시되는 라인들 20 내지 23 및 28 내지 31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제본 위치 지정이 있는 제본 처리 설정들을 포함할 때, CPU(111)는 위치 지정이 있는 후처리가 설정된다고 결정하고(단계 S1201에서 예), 처리는 단계 S1002로 진행한다. 반면에, 인쇄 데이터가 위치 지정이 없는 제본 처리 설정들을 포함할 때 또는 인쇄 데이터가 제본 처리 설정들을 포함하지 않을 때, CPU(111)는 이미지 배향을 결정하지 않고(단계 S1201에서 아니오), 처리는 단계 S1005로 진행한다. CPU(111)가 이미지 배향을 결정하지 않을 때, CPU(111)는 이미지 배향이 디폴트 배향이라고(예를 들어, 이미지의 더 위쪽이 이미지의 상부임) 가정하여 인쇄 처리를 수행할 것이다.
단계 S1202에서, CPU(111)는 후처리 설정들에 기초하여 이미지 배향을 결정한다. 먼저, CPU(111)는 인쇄 데이터에 포함되는 후처리 설정 값들을 취득한다. 다음으로, CPU(111)는 취득한 후처리 설정들을 이미지 배향을 결정하는 검색 조건으로서 사용하여 스토리지(114)에 저장되는 조건 테이블들에서의 검색을 수행한다. 도 13은 스토리지(114)에 저장되는 조건 테이블의 예이며, 이는 이미지 배향을 결정하는데 사용된다. 본 예시적인 실시예에서는, 이미지 배향이 조건 테이블들을 사용하여 위치 지정이 있는 후처리 설정 값들에 기초하여 되지만, 결정 방법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CPU(111)는 도 8a, 8b, 8c, 및 8d를 참조하여 위에 설명된 이미지 배향을 결정하기 위한 조건부 분기들을 설명하는 결정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것에 의해 이미지 배향을 결정할 수 있다.
단계 S1203에서, CPU(111)는 단계 S1202에서 결정되는 이미지 배향을 인쇄 데이터에 적용하고, 처리는 단계 S1005로 진행한다.
도 10의 설명으로 돌아가서, 단계 S1005에서, CPU(111)는 인쇄 데이터가 예약될지 결정한다. 이러한 경우에, 인쇄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조작 설정들로서 수신되는 인쇄 데이터의 예약이 MFP(101)에서 설정될 때 또는 예약 인쇄가 인쇄 데이터 속성으로서 설정될 때, CPU(111)는 인쇄 데이터가 예약될 것이라고 결정하고(단계 S1005에서 "예"), 처리는 단계 S1007로 진행한다. 반면에, 수신되는 인쇄 데이터의 예약이 OFF로 설정되고 인쇄 데이터 속성으로서 예약 인쇄가 설정되지 않을 때, CPU(111)는 인쇄 데이터가 예약되지 않을 것이라고 결정하고(단계 S1005에서 아니오), 처리는 단계 S1006으로 진행한다.
단계 S1007에서, CPU(111)는 예약 인쇄용 인쇄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데이터 영역에 인쇄 데이터를 저장한다. 단계 S1004의 일련의 처리를 통해 CPU(111)가 이미지 배향을 결정할 때, 이미지의 배향이 반영되는 인쇄 데이터가 예약될 것이다.
단계 S1006에서, CPU(111)는 인쇄 데이터에 기초하여 시트 상에 이미지를 인쇄한다. CPU(111)는 인쇄에 사용되는 시트의 이송 배향과 이미지의 회전을 조합하는 것에 의해 시트 상에 이미지를 인쇄한다. 단계 S1008에서, CPU(111)는 시트 처리 유닛(122)과 협동하여 인쇄된 시트에 대한 후처리를 수행한다. 인쇄 처리가 완료되면, CPU(111)는 일련의 처리를 종료한다.
본 예시적인 실시예에서는, 위치 지정이 있는 제본 처리의 예로서 시트들 상에 명시적 위치 지정이 있는 후처리가 설명되지만, 후처리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본 예시적인 실시예는, 시트 상의 천공 위치 지정이 있는 천공 설정들 또는 시트 상의 폴딩 위치 지정이 있는 폴딩 처리 설정들에 기초하여 이미지 배향을 결정하는 경우에 또한 적용될 수 있다.
본 예시적인 실시예에서는, 인쇄 제어 장치의 예로서 인쇄 유닛(120)을 갖는 MFP(101)가 설명되지만, 인쇄 제어 장치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예시적인 실시예는, 예를 들어, 인쇄 장치에 인쇄 데이터를 송신하는 인쇄 서버에 또한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인쇄 서버는 정보 처리 장치로부터 인쇄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되는 인쇄 데이터에 대해 단계 S1001 내지 S1004에서의 처리를 수행한다. 단계 S1005 및 후속 단계들에서의 처리 대신에, CPU(111)는 단계 S1004에서 획득되는 인쇄 데이터를 인쇄 장치에 송신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경우에, 정보 처리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인쇄 데이터는 이미지 배향 설정이 있는 인쇄 데이터로 변환되고 나서 인쇄 서버에 의해 송신될 것이다.
본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MFP(101)가 이미지 배향 지정이 없는 인쇄 데이터 또는 잘못된 이미지 배향 지정이 있는 인쇄 데이터를 수신하더라도, CPU(111)는 위치 지정이 있는 후처리 설정들에 기초하여 이미지 배향 정보를 결정하고, 인쇄 데이터에 이러한 정보를 반영할 수 있다. 따라서, 도 7, 8a, 8b, 8c, 및 8d 도시되는 예약 인쇄 데이터를 미리보기할 때, 또는 인쇄 데이터를 설정하거나 또는 변경할 때, 사용자에 의해 의도되지 않은 이미지 배향에 기초하여 인쇄 설정들이 변경되는 것이 방지되거나 미리보기될 수 있다. 이것은 사용자의 편리성을 향상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CPU(111)는 인쇄 데이터 생성 소스가 이미지 배향을 포함하지 않는 인쇄 데이터 또는 부정확한 이미지 배향을 포함하는 인쇄 데이터를 생성하는 미리 결정된 타입의 인쇄 서비스일 때만 이미지 배향을 결정할 수 있다. 따라서, 각각의 개별 인쇄 장치를 사용하도록 설계되는 프린터 드라이버로부터 입력되는 인쇄 데이터의 경우에, CPU(111)는 인쇄 데이터에 포함되는 이미지 배향을 변경하지 않고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제1 예시적인 실시예에서는, 위치 지정이 있는 제본 처리 설정들에 기초하여 이미지 배향을 결정하는 프로세스가 설명되었다. 제2 예시적인 실시예에서는, 제1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스에 추가하여, 위치 지정이 있는 후처리 설정들에 기초하여 후처리를 수행할 때 제본 에지를 결정하는 프로세스가 설명될 것이다. 또한, 제2 예시적인 실시예에서는, 제1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스에 추가하여, 위치 지정이 있는 제본 처리 설정들에 기초하여 위치 지정이 없는 후처리가 수행될 위치를 결정하는 프로세스가 설명될 것이다.
제2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장치의 하드웨어 구성은 제1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것과 유사하다. 제1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것과 유사한 구성에 대해, 그 상세한 설명들은 생략될 것이다.
먼저, 정보 처리 장치에 의해 제공되는 범용 인쇄 서비스에 의해 생성되는 인쇄 데이터가 이하 설명될 것이다. 제1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범용 인쇄 서비스에 의해 생성되는 인쇄 데이터의 인쇄 속성들이 반드시 인쇄 장치에 대해 처리하기 용이한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인쇄 장치에 요구되는 모든 인쇄 속성들이 정확하게 설명되는 인쇄 데이터가 생성되지 않을 수 있다. 디바이스 벤더 측에서는, 후처리의 위치 또는 방향이 고유하게 결정될 수 없는 인쇄 속성 설정들을 포함하는 인쇄 데이터가 생성될 수 있다. 종래에, 인쇄 장치가 이러한 인쇄 데이터에 기초하여 인쇄를 수행하면, 인쇄 장치는 사용자에 의해 의도되지 않은 위치에서 후처리가 수행되는 시트를 출력할 가능성이 있거나 또는 인쇄 데이터에 기초하여 인쇄 처리를 비정상적으로 종료할 가능성이 있다.
이하, 구체적인 예가 도 5b를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인쇄 데이터 샘플 3은, 설정 화면을 통해, A4 크기(210 × 297) 시트들 상에 가로 방향의 이미지를 인쇄하고, 각각의 인쇄되는 시트 상에 천공 홀들을 형성하며, 인쇄되는 시트들을 그 상의 한 위치에서 제본하는 설정(이하, 인쇄 설정 샘플 3이라고 함)이 행해질 때, 생성되는 인쇄 데이터의 예이다. 이러한 경우에, A4 크기(210 × 297) 시트들 상에 인쇄하고 시트 기준의 제본 위치로서 하부 우측 코너에서 제본하는 것이 인쇄 데이터에서의 인쇄 속성으로서 설정된다. 또한, 시트 상에 천공 홀들을 형성하는 것 또한 지정된다. 그러나, 천공이 수행될 위치 또는 천공 홀들의 수 어느 것도 명시적으로 지정되지 않는다. 인쇄 데이터 샘플 3에 의해 표시되는 바와 같이 천공을 턴 온(ON)하는 지정이 설정 화면을 통해 수신될 때, 천공 지정만이 있는 인쇄 속성이 설정된다.
이러한 인쇄 데이터가 수신될 때, MFP(101) 측에서 천공 위치를 설정할 필요가 있다.
시트 기준의 제본 처리가 수행될 위치가 지정되지만, 제본 에지(제본 방향이라고도 함)는 인쇄 데이터 샘플 1 내지 3 중 어느 것에서도 명시적으로 설정되지 않는다.
인쇄물을 제본하는 방법들은 좌측 제본, 우측 제본, 상부 제본, 및 하부 제본을 포함한다. 좌측 제본은 이미지의 상부가 위쪽으로 배치될 때 좌측에서 제본하는 것을 지칭한다. 좌측 제본을 수행할 때, MFP(101)는 페이지가 우측으로부터 좌측으로 넘어가도록 인쇄를 수행할 필요가 있다. 우측 제본은 이미지의 상부가 위쪽으로 배치될 때 우측에서 제본하는 것을 지칭한다. 우측 제본을 수행할 때, MFP(101)는 페이지가 좌측으로부터 우측으로 넘어가도록 인쇄를 수행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좌측 또는 우측 제본을 수행하기 위해, MFP(101)는 전면의 상부가 인쇄물의 후면의 상부와 동일하도록 인쇄를 수행할 필요가 있다. 상부 제본은 이미지의 상부가 위쪽으로 배치될 때 상부 측에서 제본하는 것을 지칭한다. 상부 제본을 수행할 때, MFP(101)는 페이지가 하부로부터 위로 넘어가도록 인쇄를 수행할 필요가 있다. 하부 제본은 이미지의 상부가 위쪽으로 배치될 때 하부 측에서 제본하는 것을 지칭한다. 하부 제본을 수행할 때, MFP(101)는 페이지가 상부로부터 아래로 넘어가도록 인쇄를 수행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상부 또는 우측 제본을 수행할 때, MFP(101)는 인쇄물의 전면과 후면 상의 인쇄 사이에서 배향을 180도 회전시킬 필요가 있다.
따라서, 인쇄 데이터에 기초하여 양면 인쇄를 수행할 때, 이미지 배향에 관한 정보뿐만 아니라 제본 에지에 관한 정보 또한 알려져야 된다.
본 예시적인 실시예는 제본 처리가 수행될 위치에 기초하여 제본 에지를 적합하게 결정하는 프로세스를 중심으로 이하에서 설명될 것이다. 이하의 예는 표지로부터 인쇄물을 볼 때 좌측 제본이 수행되어야 한다는 가정하에 인쇄 데이터에서 제본 처리가 수행될 제본 위치를 범용 인쇄 서비스가 설정한다는 전제에 기초한다.
도 14는 제본 에지를 결정하는 처리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4는 위치 지정이 있는 후처리 설정의 예로서 위치 지정이 있는 제본 처리의 인쇄 속성들에 기초하여 이미지의 제본 에지를 결정하는 프로세스를 도시한다.
이미지 배향을 결정하는 방법은 제1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것과 유사하고,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될 것이다. 이미지 배향을 참조하여 제본 에지를 좌측에 설정하는 것은 좌측 제본을 위한 제본 에지를 결정할 수 있게 한다.
다음은 제본 처리의 인쇄 속성으로서 시트들의 임의의 한 코너에서의 제본이 지정되는 경우(그룹 9010)에 제본 에지를 결정하는 프로세스를 설명한다. 설정 1411의 제본 위치(시트들의 상부 좌측 코너)가 지정될 때, CPU(111)는 설정 1421에 의해 표시되는 바와 같이 시트들의 좌측이 제본 에지라고 결정할 필요가 있다. 설정 1412의 제본 위치(시트들의 하부 좌측 코너)가 지정될 때, CPU(111)는 설정 1422에 의해 표시되는 바와 같이, 시트들의 하부 측이 제본 에지라고 결정할 필요가 있다. 설정 1413의 제본 위치(시트들의 하부 우측 코너)가 지정될 때, CPU(111)는 설정 1423에 의해 표시되는 바와 같이 시트들의 우측이 제본 에지라고 결정할 필요가 있다. 설정 1414의 제본 위치(시트들의 상부 우측 코너)가 지정될 때, CPU(111)는 설정 1424에 의해 표시되는 바와 같이 시트들의 상부 측이 제본 에지라고 결정할 필요가 있다.
다음은 시트들의 한 면상의 2개 위치들에서의 제본이 제본 처리의 인쇄 속성 으로서 지정되는 경우(그룹 1460)에 제본 에지를 결정하는 프로세스를 설명한다. 설정 1461의 제본 위치(좌측에서의 2개 위치들)가 지정될 때, CPU(111)는 설정 1471에 의해 표시되는 바와 같이 시트들의 좌측이 제본 에지라고 결정할 필요가 있다. 설정 1462의 제본 위치(상부에서의 2개 위치들)가 지정될 때, CPU(111)는 설정 1472에 의해 표시되는 바와 같이, 시트들의 상부 측이 제본 에지라고 결정할 필요가 있다. 설정 1463의 제본 위치(우측에서의 2개 위치들)가 지정될 때, CPU(111)는 설정 1423에 의해 표시되는 바와 같이 시트들의 우측이 제본 에지라고 결정할 필요가 있다. 설정 1464의 제본 위치(하부에서의 2개 위치들)가 지정될 때, CPU(111)는 설정 1474에 의해 표시되는 바와 같이 시트들의 하부 측이 제본 에지라고 결정할 필요가 있다.
다음은 위치 지정이 없는 후처리가 수행될 위치를 결정하는 프로세스가 도 15를 참조하여 이하 설명될 것이다. 도 15는, 후처리가 수행될 위치의 지정이 없는, 천공이 수행될 위치를 결정하는 방법을 도시하는 도면이며, 이러한 결정은 도 14를 참조하여 결정되는 제본 에지에 대신 기초한다. 천공의 디폴트 설정은 3-홀 천공이다.
도 14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MFP(101)는 제본 시트들에 대한 제본 처리가 수행될 위치에 기초하여 제본 에지를 결정한다. 다음은 제본 처리 위치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제본 에지에 기초하여, 천공이 수행될 위치를 추가로 결정하는 프로세스를 설명한다.
제본 에지가 시트들의 좌측 상에 설정될 때(설정 1511), CPU(111)는 각각의 시트의 좌측 상에 또한 천공을 수행할 것을 결정한다. 제본 에지가 시트들의 하부 측 상에 설정될 때(설정 1512), CPU(111)는 각각의 시트의 하부 측에 또한 천공을 수행할 것을 결정한다. 제본 에지가 시트들의 우측 상에 설정될 때(설정 1513), CPU(111)는 각각의 시트의 우측 상에 또한 천공을 수행할 것을 결정한다. 제본 에지가 시트들의 상부 측에 설정될 때(설정 1514), CPU(111)는 각각의 시트의 상부 측에 또한 천공을 수행할 것을 결정한다. 천공 홀들 수의 디폴트 설정은 MFP(101)에서 설정된다(예를 들어, 도 14에 도시되는 바와 같은 3개의 홀들). 천공에 대한 디폴트 설정들은 관리자 또는 사용자에 의해 변경될 수 있다.
도 14 및 도 15에 도시되는 처리는 위치 지정이 있는 후처리 설정들에 기초하여 후처리를 수행할 때 제본 에지를 결정할 수 있게 한다. 도 14 및 도 15에 도시되는 처리는, 후처리가 수행될, 위치의 명시적 지정이 없는 후처리가 수행될 위치를 또한 결정할 수 있게 한다.
MFP(101)가 인쇄 데이터를 수신할 때, MFP(101)는 위치 지정이 있는 후처리를 위한 제본 위치에 따라 제본 에지 및 천공 위치를 결정하고 나서, 인쇄 데이터에 제본 에지 및 천공 위치를 적용한다. 이러한 프로세스는 도 16 및 도 17에 도시되는 흐름도를 참조하여 이하 설명될 것이다.
도 16 및 도 17에 도시되는 흐름도들에 도시되는 각각의 동작(단계)은 MFP(101)의 CPU(111)가 ROM(112) 또는 스토리지(114)에 저장되는 제어 프로그램을 실행할 때 구현된다. 도 16은 제1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도 10에 도시되는 흐름도 대신에 실행될 동작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CPU(111)는 제1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단계 S1004에서의 처리 대신에 단계 S1604에서의 처리를 실행한다. 단계 S1601 내지 S1603에서의 처리는 제1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단계 S1001 내지 S1003에서의 처리와 유사하고, 그 설명들은 생략될 것이다. 단계 S1605 내지 S1608에서의 처리는 제1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단계 S1005 내지 S1008에서의 처리와 유사하고, 그 설명들은 생략될 것이다.
제2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수신되는 인쇄 데이터의 생성 소스가 미리 결정된 타입의 인쇄 서비스라고 CPU(111)가 결정할 때(단계 S1603에서 예), 처리는 단계 S1604로 진행한다.
단계 S1604에서, CPU(111)는 이미지 배향을 결정하는 처리 및 제본 에지 및 천공 위치를 결정하는 처리를 수행한다. 단계 1604에 대한 구체적인 제어 처리의 한 예가 도 17에 도시되는 흐름도를 참조하여 이하 설명될 것이다. 단계 S1701에서, CPU(111)는 위치 지정이 있는 후처리가 설정되는지 결정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인쇄 데이터가 도 4에 도시되는 라인들 20 내지 23 및 28 내지 31에 설명되는 바와 같은 제본 위치 지정이 있는 제본 처리 설정들을 포함할 때, CPU(111)는 위치 지정이 있는 후처리가 설정된다고 결정하고(단계 S1701에서 예), 처리는 단계 S1702로 진행한다. 반면에, 인쇄 데이터가 위치 지정이 없는 제본 처리 설정들을 포함하거나 또는 인쇄 처리 데이터가 제본 처리 설정들을 포함하지 않을 때, CPU(111)는 이미지 배향을 결정하지 않고(단계 S1701에서 아니오), 처리는 단계 S1605로 진행한다. CPU(111)가 이미지 배향을 결정하지 않을 때, CPU(111)는 이미지 배향이 디폴트 배향인 것(보다 구체적으로, 인쇄 데이터에 포함되는 이미지의 더 위쪽이 이미지의 상부임)으로 가정하여 인쇄 처리를 수행할 것이다. CPU(111)가 이미지 배향을 결정하지 않을 때, CPU(111)는 후처리를 위한 디폴트 설정들에 기초하여 위치 지정이 없는 후처리를 수행할 것이다. 후처리를 위한 디폴트 설정들은 조작 유닛(116)을 통해 사용자 또는 관리자에 의해 미리 설정된 것으로 가정된다.
단계 S1702에서, CPU(111)는 후처리 설정들에 기초하여 이미지 배향 및 제본 에지를 결정한다. 먼저, CPU(111)는 인쇄 데이터에 포함되는 후처리 설정 값들을 취득한다. CPU(111)는 취득되는 후처리 설정들을 이미지 배향 및 제본 에지를 결정하는 검색 조건으로서 사용하여 스토리지(114)에 저장되는 조건 테이블에서의 검색을 또한 수행한다. 도 18a 및 도 18b는 스토리지(114)에 저장되는 조건 테이블들의 예들이다. 도 18a는 이미지 배향 및 제본 에지를 결정하기 위한 조건 테이블이다. 본 예시적인 실시예에서는, 조건 테이블들 사용하는 것에 의해 위치 지정이 없는 후처리 설정 값들에 기초하여 이미지 배향 및 제본 에지가 결정되지만, 결정 방법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CPU(111)는 도 14를 참조하여 위에 설명된 이미지 배향 및 제본 에지를 결정하기 위한 조건 분기들을 서술하는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것에 의해 이미지 배향 및 제본 에지를 결정할 수 있다.
단계 S1703에서, CPU(111)는 단계 S1702에서 결정되는 이미지 배향 및 제본 에지를 인쇄 데이터에 적용하고, 처리는 단계 S1704로 진행한다.
단계 S1704에서, CPU(111)는 위치 지정이 없는 후처리가 설정되는지 결정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천공이 도 4에 도시되는 라인 5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명시적 천공 위치 지정이 없이 설정될 때, CPU(111)는 위치 지정이 없는 후처리가 설정된다고 결정하고(단계 S1704에서 예), 처리는 단계 S1705로 진행한다. 반면에, CPU(111)가 위치 지정이 없는 후처리가 설정되지 않는다고 결정할 때(단계 S1704에서 아니오), 처리는 단계 S1605로 진행한다.
단계 S1705에서, CPU(111)는 위치 지정이 없는 후처리가 제본 에지에 기초하여 수행될 위치를 결정한다. CPU(111)는 단계 S1702에서 결정되는 제본 에지 설정을 취득한다. CPU(111)는 MFP(101)의 스토리지(114)에 저장되는 천공 홀들의 디폴트 수에 관한 설정 값을 또한 취득한다. 다음으로, CPU(111)는 취득되는 설정 값들을 천공 위치를 결정하는 검색 조건으로서 사용하여 스토리지(114)에 저장되는 제2 조건 테이블에서의 검색을 수행한다. 이러한 경우에, CPU(111)는 천공에 형성될 홀의 수를 또한 결정한다.
도 18b는 천공 위치 및 천공 홀들의 수를 결정하기 위한 제2 조건 테이블이다. 본 예시적인 실시예에서는, 천공 위치 및 천공 홀들의 수가 조건 테이블을 사용하는 것에 의해 결정되지만, 결정 방법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CPU(111)는 도 14를 참조하여 위에 설명된 천공 위치 및 천공 홀들의 수를 결정하기 위한 조건 분기들을 서술하는 결정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것에 의해 천공 위치 및 천공 홀들의 수를 결정할 수 있다.
단계 S1706에서, CPU(111)는 후처리가 수행될 위치 및 단계 S1705에서 결정되는 천공 홀들의 수를 인쇄 데이터에 적용하고, 단계 1604의 제어 처리는 종료하고, 처리는 단계 S1605로 진행한다.
인쇄 제어 장치의 예로서 인쇄 유닛(120)을 포함하는 MFP(101)를 취하여 본 예시적인 실시예가 설명되지만, 본 예시적인 실시예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예시적인 실시예는, 예를 들어, 인쇄 장치에 인쇄 데이터를 송신하는 인쇄 서버에 또한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인쇄 서버는 외부 장치로부터 인쇄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되는 인쇄 데이터에 대해 단계 S1601 내지 S1604에서의 처리를 수행한다. 단계 S1605에서의 처리 대신에, CPU(111)는 단계 S1604에서 획득되는 후처리 설정들에 기초하는 변경이 적용되는 인쇄 데이터를 인쇄 장치에 송신할 필요가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외부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인쇄 데이터는 인쇄 장치에 편리한 인쇄 속성들로 적합하게 변환되어 인쇄 서버에 의해 송신될 것이다.
본 예시적인 실시예에서는, 명시적 제본 위치 지정이 있는 제본 처리가 위치 지정이 있는 후처리로서 설명되고, 명시적 천공 위치 지정이 없는 천공이 위치 지정이 없는 후처리로서 설명되지만, 후처리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제본 에지는 적어도 명시적 위치 지정이 있는 제1 후처리에 기초하여 결정될 필요가 있다. 명시적 위치 지정이 있는 제1 후처리 및 명시적 위치 지정이 없는 제2 후처리 양자 모두를 포함하는 인쇄 데이터에 대해, CPU(111)는 제1 후처리의 위치에 기초하여 제2 후처리가 수행될 위치를 결정할 필요가 있다.
위에 설명된 바와 같이, 본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명시적 제본 위치 지정이 있는 제1 후처리의 위치에 기초하여 후처리시 사용될 제본 에지가 결정될 수 있다. 따라서, 양면 인쇄가 지정될 때, 제본 처리는 인쇄 데이터를 생성할 때 가정되었을 제본 에지에 기초하여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명시적 위치 지정이 없는 제2 후처리가 수행될 위치는 명시적 위치 지정이 있는 제1 후처리의 위치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따라서, 제2 후처리는 인쇄 설정시 사용자에 의해 가정되었을 위치에서 수행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들
본 발명의 실시예(들)는 위에 설명된 실시예(들)의 하나 이상의 기능들을 수행하기 위해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스토리지 매체'로서 보다 완전히 지칭될 수도 있는) 스토리지 매체 상에 기록되는 컴퓨터 실행 가능한 명령어들(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들)을 판독하고 실행하고, 및/또는 위에 설명된 실시예(들)의 하나 이상의 기능들을 수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회로들(예를 들어,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를 포함하는 시스템 또는 장치의 컴퓨터에 의해서, 그리고, 예를 들어, 위에 설명된 실시예(들)의 하나 이상의 기능들을 수행하기 위해 스토리지 매체로부터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어들을 판독하고 실행하고, 및/또는 위에 설명된 실시예(들)의 하나 이상의 기능들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회로들을 제어하는 것에 의해, 시스템 또는 장치의 컴퓨터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에 의해서 또한 실현될 수 있다. 컴퓨터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예로, CPU(central processing unit), MPU(micro processing unit))을 포함할 수 있고, 또한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어들을 판독하고 실행하기 위한 별개의 컴퓨터들 또는 별개의 프로세서들의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실행 가능 명령어들은, 예를 들어, 네트워크 또는 스토리지 매체로부터 컴퓨터에 제공될 수 있다. 스토리지 매체는, 예를 들어, 하드 디스크, RAM(random-access memory), ROM(read only memory), 분산 컴퓨팅 시스템들의 스토리지, (CD(compact disc), DVD(digital versatile disc), 또는 BD™(Blu-ray Disc)와 같은) 광학 디스크, 플래시 메모리 디바이스, 메모리 카드 등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기타의 실시예)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형태의 1개 이상의 기능을 실현하는 프로그램을, 네트워크 또는 스토리지 매체를 개입하여 시스템 혹은 장치에 공급하고, 그 시스템 혹은 장치의 컴퓨터에 있어서 1개 이상의 프로세서가 프로그램을 읽어 실행하는 처리에서도 실현가능하다.
또한, 1개 이상의 기능을 실현하는 회로(예를 들어,ASIC)에 의해서도 실행가능하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인쇄 데이터에 포함되지 않는 이미지 속성을 적합하게 결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이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이 개시된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라는 점이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청구항들 범위는 모든 이러한 수정들 및 등가 구조들 및 기능들을 포괄하도록 가장 넓은 해석에 따라야 한다.

Claims (14)

  1. 인쇄 제어 장치이며,
    정보 처리 장치로부터 송신되는 인쇄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수신 유닛;
    수신된 상기 인쇄 데이터를 생성하는 인쇄 서비스가 사용자로부터 후처리의 위치가 수신되지 않은 미리 결정된 인쇄 서비스인 경우, 상기 인쇄 데이터에서 지정되는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인쇄 데이터 내의 이미지의 배향을 결정하도록 구성된 결정 유닛 - 상기 정보는 상기 인쇄 데이터에 기초하여 이미지가 인쇄된 시트 상에 수행될 후처리의 위치를 나타냄 - ;
    상기 결정 유닛에 의해 결정된 상기 배향에 기초하여 이미지를 회전시키도록 구성된 이미지 처리 유닛; 및
    상기 이미지 처리 유닛에 의해 회전된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도록 구성된 디스플레이 유닛을 포함하는, 인쇄 제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 유닛은, 수행될 상기 후처리의 위치를 나타내는 상기 정보에 의해 지정되는 상기 후처리의 위치와 상이한 미리 결정된 위치에, 상기 후처리의 위치가 위치되도록, 상기 인쇄 데이터 내의 이미지의 배향을 결정하는, 인쇄 제어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 유닛은 결정된 상기 이미지의 배향에 기초하여 상기 이미지를 시트 상에 인쇄할 때 설정될 제본 에지를 추가로 결정하는, 인쇄 제어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가 인쇄된 상기 시트 상에 수행될 제1 후처리 및 제2 후처리가 수신된 상기 인쇄 데이터에 설정되고, 상기 인쇄 데이터에 상기 제1 후처리의 위치가 지정되고 상기 제2 후처리의 위치가 지정되지 않는 조건에서, 상기 결정 유닛은 결정된 상기 이미지의 배향에 기초하여 상기 제2 후처리가 수행될 상기 제2 후처리의 위치를 추가로 결정하는, 인쇄 제어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후처리는 시트들을 제본하기 위한 제본 처리이고, 상기 제2 후처리는 시트 상에 천공 홀들을 형성하기 위한 천공 처리인, 인쇄 제어 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시트 상에 이미지를 인쇄하도록 구성된 인쇄 유닛;
    상기 인쇄 유닛에 의해 상기 이미지가 인쇄된 상기 시트 상에 적어도 상기 제1 후처리 및 상기 제2 후처리를 수행하도록 구성된 시트 처리 유닛; 및
    상기 인쇄 데이터에 상기 제1 후처리 및 상기 제2 후처리가 설정되는 조건에서, 상기 인쇄 데이터에 기초하여 출력되는 인쇄물에 상기 결정 유닛에 의해 결정되는 위치에서 상기 제2 후처리가 수행되도록, 상기 인쇄 유닛에 의한 인쇄 및 상기 시트 처리 유닛에 의한 후처리를 제어하도록 구성된 제어 유닛
    을 더 포함하는, 인쇄 제어 장치.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 데이터가 IPP(Internet Printing Protocol)를 사용하여 송신되고, 상기 인쇄 데이터의 포맷이 PWG-RASTER 포맷인 조건에서, 상기 결정 유닛은, 상기 수신된 인쇄 데이터를 생성하는 인쇄 서비스가 상기 미리 결정된 인쇄 서비스인 것으로 결정하는, 인쇄 제어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결정된 상기 배향에 기초하는 속성을 포함하는 인쇄 데이터를 외부 인쇄 장치에 송신하도록 구성된 송신 유닛을 더 포함하는, 인쇄 제어 장치.
  10. 인쇄 제어 방법이며,
    인쇄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수신된 상기 인쇄 데이터를 생성하는 인쇄 서비스가 사용자로부터 후처리의 위치가 수신되지 않은 미리 결정된 인쇄 서비스인 경우, 상기 인쇄 데이터에서 지정되는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인쇄 데이터 내의 이미지의 배향을 결정하는 단계 - 상기 정보는 상기 인쇄 데이터에 기초하여 이미지가 인쇄된 시트 상에 수행될 후처리의 위치를 나타냄 - ;
    결정된 상기 배향에 기초하여 이미지를 회전시키는 단계; 및
    회전된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인쇄 제어 방법.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KR1020160174418A 2015-12-21 2016-12-20 인쇄 데이터를 수신 및 처리하는 인쇄 제어 장치, 인쇄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한 저장 매체 KR10214141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5-249068 2015-12-21
JP2015249068A JP6723739B2 (ja) 2015-12-21 2015-12-21 印刷制御装置、印刷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74197A KR20170074197A (ko) 2017-06-29
KR102141414B1 true KR102141414B1 (ko) 2020-08-05

Family

ID=589946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74418A KR102141414B1 (ko) 2015-12-21 2016-12-20 인쇄 데이터를 수신 및 처리하는 인쇄 제어 장치, 인쇄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한 저장 매체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170180576A1 (ko)
JP (1) JP6723739B2 (ko)
KR (1) KR102141414B1 (ko)
DE (1) DE10201612477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9151049A (ja) * 2018-03-05 2019-09-12 キヤノン株式会社 印刷装置、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7181701B2 (ja) * 2018-04-13 2022-12-01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と、印刷装置と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7229680B2 (ja) * 2018-06-29 2023-02-28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7207896B2 (ja) 2018-08-10 2023-01-18 キヤノン株式会社 印刷装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EP3686730B1 (en) 2019-01-23 2024-05-01 Canon Kabushiki Kaisha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control method thereof, and storage medium
JP7172800B2 (ja) 2019-03-28 2022-11-16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サポートプログラム、情報処理装置、および印刷方法
JP7282576B2 (ja) 2019-04-09 2023-05-29 キヤノン株式会社 印刷システム、印刷装置と情報処理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043283A1 (en) * 2006-08-21 2008-02-21 Kenichi Takeda Image forming apparatus, image forming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US20110157642A1 (en) * 2009-12-26 2011-06-30 Canon Kabushiki Kaisha Printing apparatus, method for controlling printing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US20120287463A1 (en) * 2011-05-12 2012-11-15 Ricoh Company, Lt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storing print job generating program, print job generating device, and print system
US20150293729A1 (en) * 2014-04-15 2015-10-15 Canon Kabushiki Kaisha Printing apparatus capable of counting the number of times of printing, method for controlling printing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21432A (ja) * 2001-04-26 2002-11-05 Canon Inc 情報処理装置、印刷制御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および記憶媒体、およびその制御プログラム
JP4790363B2 (ja) * 2005-10-04 2011-10-12 京セラミタ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JP4509016B2 (ja) * 2005-12-13 2010-07-21 シャープ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画像形成装置、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JP4959435B2 (ja) * 2007-06-14 2012-06-20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処理装置、画像形成装置、出力様式設定方法および出力様式設定プログラム
JP4656215B2 (ja) * 2008-08-31 2011-03-23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印刷システム、この印刷システムを構成する印刷装置及び端末装置
US8305593B2 (en) * 2008-12-03 2012-11-06 Xerox Corporation Predictive user interface mimics for finishing
JP5601070B2 (ja) * 2010-07-27 2014-10-08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Gui実装プログラム、gui実装装置およびgui実装方法
JP6122245B2 (ja) 2012-03-05 2017-04-26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システム、制御方法、及び画像処理装置
JP6057565B2 (ja) * 2012-07-04 2017-01-11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6142675B2 (ja) * 2013-05-30 2017-06-07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の制御装置、画像形成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画像形成装置の制御プログラム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043283A1 (en) * 2006-08-21 2008-02-21 Kenichi Takeda Image forming apparatus, image forming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US20110157642A1 (en) * 2009-12-26 2011-06-30 Canon Kabushiki Kaisha Printing apparatus, method for controlling printing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US20120287463A1 (en) * 2011-05-12 2012-11-15 Ricoh Company, Lt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storing print job generating program, print job generating device, and print system
US20150293729A1 (en) * 2014-04-15 2015-10-15 Canon Kabushiki Kaisha Printing apparatus capable of counting the number of times of printing, method for controlling printing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7113904A (ja) 2017-06-29
US20170180576A1 (en) 2017-06-22
KR20170074197A (ko) 2017-06-29
DE102016124776A1 (de) 2017-06-22
JP6723739B2 (ja) 2020-07-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41414B1 (ko) 인쇄 데이터를 수신 및 처리하는 인쇄 제어 장치, 인쇄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한 저장 매체
JP4630751B2 (ja) 印刷システム、印刷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
JP5675269B2 (ja) 印刷処理装置、印刷システム、印刷処理装置の制御方法、印刷システム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9154655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preview image, and server and method for providing preview image
US10846032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with display control for displaying print setting screens as data become available
KR102517097B1 (ko) 인쇄 시스템, 인쇄 장치와 그 제어 방법, 및 기억 매체
US8693046B2 (en) Printing apparatus that prints with changed print settings, control method for printing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KR20230141685A (ko) 인쇄 장치, 제어 방법, 및 저장 매체
KR20200115263A (ko) 화상 처리 장치, 그 제어 방법 및 저장 매체
US20130077110A1 (en) Printing system and printing method
US10298786B2 (en) Method for performing job by using widget, and image forming apparatus for performing the same
JP2020194205A (ja) アプリケーションプログラム
JP7205564B2 (ja) プログラム、および携帯端末
JP2017007171A (ja) 画像形成装置及び画像形成システム
US9817619B2 (en) Printing to a paper-like device
US10915283B2 (en) Communication device, control method,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for print job with post-processing
US20150146260A1 (en) Image forming apparatus, method for controlling image forming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JP6221543B2 (ja) プログラム、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及び画像処理システム
US10602005B2 (en) Image forming system, printer driver, and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for processing electronic file
US11983447B2 (en) Control method of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US9310746B2 (en) Printing apparatus, control method for printing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US20240028278A1 (en) System,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printing apparatus, control method,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US20230202791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method for controlling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JP2017170656A (ja) 制御装置、画像形成ジョブ管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613794B2 (ja) 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