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41241B1 - 쌀눈 쌀을 홍마늘 기름으로 코팅한 즉석 팩밥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쌀눈 쌀을 홍마늘 기름으로 코팅한 즉석 팩밥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41241B1
KR102141241B1 KR1020200001119A KR20200001119A KR102141241B1 KR 102141241 B1 KR102141241 B1 KR 102141241B1 KR 1020200001119 A KR1020200001119 A KR 1020200001119A KR 20200001119 A KR20200001119 A KR 20200001119A KR 102141241 B1 KR102141241 B1 KR 1021412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ce
coated
instant
oil
red garl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011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명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산내드에프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산내드에프에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산내드에프에스
Priority to KR10202000011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124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12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1241B1/ko
Priority to CN202011335064.9A priority patent/CN112471400A/zh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7/00Cereal-derived products; Malt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10Cereal-derived products
    • A23L7/196Products in which the original granular shape is maintained, e.g. parboiled rice
    • A23L7/1963Products in which the original granular shape is maintained, e.g. parboiled rice coated with a layer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7/00Cereal-derived products; Malt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10Cereal-derived products
    • A23L7/152Cereal germ produ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DEDIBLE OILS OR FATS, e.g. MARGARINES, SHORTENINGS, COOKING OILS
    • A23D9/00Other edible oils or fats, e.g. shortenings, cooking oil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7/00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Artificial sweetening agents; Table salts; Dietetic salt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7/10Natural 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Extra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0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 A23L3/4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by drying or kilning; Subsequent reconstitution
    • A23L3/54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by drying or kilning; Subsequent reconstitution using irradiation or electrical treatment, e.g. ultrasonic wa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5/00Preparation or treatment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Food or foodstuffs obtained thereby; Materials therefor
    • A23L5/10General methods of cooking foods, e.g. by roasting or frying
    • A23L5/13General methods of cooking foods, e.g. by roasting or frying using water or steam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5/00Preparation or treatment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Food or foodstuffs obtained thereby; Materials therefor
    • A23L5/30Physical treatment, e.g. electrical or magnetic means, wave energy or irradiation
    • A23L5/32Physical treatment, e.g. electrical or magnetic means, wave energy or irradiation using phonon wave energy, e.g. sound or ultrasonic wa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7/00Cereal-derived products; Malt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10Cereal-derived products
    • A23L7/115Cereal fibre products, e.g. bran, husk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Toxicolog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ereal-Derived Produc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비자 기호도와 편리성을 고려한 쌀 눈쌀 함유 즉석 팩밥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히는 소비자 기호도와 편리성에 맞게 즉석 팩밥을 제조 시 탈수된 쌀에 홍마늘 기름을 코팅과 간접 가열 취반 시 천연 탄소 섬유를 이용하여 취반 함으로써, 최종 쌀 눈쌀 함유 즉석 팩밥은 고(高)품질과 소비자 기호도가 향상된 즉석 팩밥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쌀눈 쌀을 홍마늘 기름으로 코팅한 즉석 팩밥 및 그 제조 방법{Slug powder with reduced odor and improved quality and manufacturing method}
본 발명은 홍마늘 추출 기름이 코팅된 쌀 눈쌀 함유 즉석 팩밥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히는 소비자 기호도와 편리성에 맞게 즉석 팩밥을 조 시 탈수된 쌀에 홍마늘 기름을 코팅하였고, 본 특허 기술의 핵심중하나인 간접 가열 취반 시 천연 탄소 섬유를 이용하여 취반함으로써, 쌀 눈쌀 함유 즉석 팩밥은 고(高)품질과 소비자 기호도가 향상된 즉석 팩밥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홍마늘 추출 기름이 코팅된 쌀 눈쌀 함유 즉석 팩밥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히는 소비자 기호도와 편리성에 맞게 최종 쌀 눈쌀 함유 즉석 팩밥을 제조하여 고(高)품질과 소비자 기호도가 향상된 쌀을 이용한 민족의 주식인 첨단 쌀 가공품 개발이 요원한 실정이다.
쌀은 민족의 주식으로써 고대의 동남아시아와 중국 남부지방에서 처음 재배된 것으로 전해지고 있으며 현재 세계 쌀 주요 생산지는 중국, 미국, 일본, 한국, 태국 등이다. 쌀은 식품학적으로는 콜레스테롤이 전혀 없는 식품이며, 주로 전분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그 외 단백질, 지질, 무기질 및 비타민도 다소 함유되어 있다. 주식으로 밥 외 주요 가공으로는 양조, 과자, 된장, 식혜, 엿 등 다양한 가공품이 제조되고 있다.
마늘은 채소류 중 경·인경채류로써 중앙아시아가 원산지로 한국, 중국 등 극동지방에서 대부분 재배되고 있다. 식품학적으로는 당질, 단백질, 지질, 무기질, 비타민류 등이 함유되어 있고 주요 기능성 성분인 자극 성분은 알리신(alliicin)이 함유되어 있고 효능으로는 피로회복, 소화 촉진, 항암 작용, 피부 미용 효과, 살균 작용, 정력 증강, 신경통과 근육통에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으며 그 이용으로는 주로 조미 향신료와 발효 가공품등이 있다.
홍마늘은 생마늘을 이용하여 친환경 가공 방식인 온도와 습도 조절로 숙성 및 발효 시켜서 흑마늘 제조 전(前)과정으로 생마늘에 비하여 영양 및 기능성 성분에 있어서 폴리페놀 성분이 7배, 플라보노이드 성분이 16배이상 높으며 수용성 유황 화합믈이 생성되어 체내 영양 물질의 흡수를 도와주는 에스-아릴시스테인과 에스-아릴머캅토시스테인이 함유되어 있고 이들로 하여금 성인병 원인중 하나인 활성 산소 제거등으로 각종 성인병 예방에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
한편, 마늘 기름은 마늘 인경을 마쇄 후 수증기 증류로 얻는 것으로 정유 주요 성분은 디설피드류(disulfides), 디알릴디설피드(dially disulfide),트리설피드류(trisulfides)이며 효능으로는 혈전 용해성, 혈소판응집 저해 작용등이 알려져 있으며 주로 소시지, 어육햄, 고기 소스등에 사용된다.
인삼은 오가피과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으로 재배지는 러시아, 일본, 한국 등이며 주요 성분은 사포닌 배당체로 파나키놀, 파낙스사포게놀, 파낙신등이 함유되어 있으며 그 효능으로는 주로 소화기 계통질환, 순환기계통, 피부 질환, 정력 감퇴, 허약 체질 등에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
황기는 콩과에 속하는 여러해살이풀이며 주요 재배지는 한국, 몽고, 일본, 시베리아, 중앙 아시아 등이다. 효능으로는 허약체질, 강장제, 치아 질환, 탈항, 신장염, 치질, 심장병, 이뇨 작용에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
대추는 홍조(紅棗)라고도 하며 갈매나무과 대추나무의 열매이며 원산지는 인도이며 우리나라에서도 일상생활에 다양하게 사용되며 한약 보조제로 한방에서는 소화제, 진통제, 해열제, 이뇨제 등으로 사용되며 대추씨는 불면증 치료에 도움이 된다고 한다. 밤은 생약명은 율자(栗子)이며 참나무과에 속하며 주요 성분은 녹말, 포도당, 자당, 리파제(lipase)이며 약용은 신체 허약증, 설사, 혈변, 구역질, 건위 소화등에 사용한다고 알려져 있다. 식물성 탄소 섬유는 원적외선 방출, 전자파 차단, 탈취와 항균효과, 음이온 발생등의 특성을 가진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는 일반적으로 부직포의 형태로 되어 있는데 원단 두께가 약 2~4mm, 유공 면적은 일반 목탄의 4~5배 정도이다. 이를 제조하기 위하여 숯을 이용하여 진공 상태에서 소성하여 탄화시킨 고온의 열에 충분히 견디는 섬유이다.
쌀을 이용한 즉석 및 포장밥 특허 기술로는 등록번호 “101918943호” “기름이 코팅된 레토르트 즉석법의 제조 방법”, 등록번호 “101812100호” “식물성 기름이 코팅된 쌀의 제조 방법, 죽의 제조 방법 및 레토르트 죽의 제조 방법”, 등록 번호 “101916957호” “즉석밥의 제조방법 및 제조 장치”, 등록 번호 “100874327호” “장기 보관이 가능한 무균화 포장 검정콩밥의 제조 방법”, 등록번호 “101658993호” “레토르트 파우치 포장밥의 제조 방법”, 출원 번호 “10-20140193406호” “즉석 현미밥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한 즉석 현미밥”, 출원 번호 “10-2013-0051349호” “즉석밥 완전 요리팩”, 출원 번호 “10-2009-0089791호” “저단백미 무균포장 즉석밥의 제조 방법”, 출원 번호 “10-2013-0135791호” “특수미 쌀눈 쌀을 이용한 무균 포장밥의 제조 방법”, 출원 번호 “10-2007-0123724호” “쌀눈 쌀을 이용한 무균 포장밥의 제조 방법”, 출원 번호 “해양 심층수를 이용한 무균 포장밥 및 이의 제조 방법”, 등이 있으며, 홍마늘에 관한 특허 기술로는 등록번호 “101964878호” “홍마늘 추출물과 홍양파 추출물을 포함한 스파우트파우치 제조 방법”, 등록번호 “102026873호” “탱자 추출물이 함유된 홍마늘 음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등록 번호 “101685198호” “홍마늘 맥주 및 그 제조 방법”, 등록번호 “101685199호” “홍마늘 와인 및 그 제조 방법”, 등록번호 “1011785921호” “숙성 홍마늘 제조 방법” 등이 있으며, 천연 탄소 섬유에 관한 특허 기술로는 등록번호 “100781524호” “해양 심층수와 식물성 탄소섬유 부직포를 이용한 천연송이버섯 술 제조 방법”, 등록번호 “101747674호” “대나무 탄소섬유와 키토산 섬유를 포함하는 중금속을 흡착하는 마스크 팩”, 등록번호 “100785999호” “곡류 품질 향상을 위한 그린 음악 처리와 식물성 탄소섬유 부직포가 구성된 곡류 저장고 및 그 방법” 등과 같이 출원 및 등록되어있다.
하지만 상기한 종래 기술들은 소비자 기호도와 편리성에 맞게 즉석 팩밥을 제조 시 탈수된 쌀에 홍마늘 기름을 코팅과 간접 가열 취반 시 천연 탄소 섬유를 이용하여 취반하는 방법 등에 대한 기재 및 언급이 전혀 없고, 쌀눈 쌀 함유 즉석 팩밥은 고(高)품질과 소비자 기호도가 향상된 즉석 팩밥 제조 방법에 관한 기술과 그 사용이 지금까지 보고 된 바가 없었다.
민족의 주식인 쌀을 현대인의 식생활과 편리성에 맞추어서 식품학적 품질, 소비자 기호도 향상 및 편리성이 고려된 고(高)품질 즉석 기능성 팩밥을 제조하려고 하는데 있다.
특히 현대인은 1인 가구 및 맞벌이 부부가 증가하면서 식생활의 변화로 가정간편식(HMR:Home Meal Replacement)등의 성장과 더불어 편리성이 더해진 즉석 기능성 팩밥의 개발 및 생산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최종 쌀 눈쌀 함유 즉석 팩밥의 제조를 소비자 기호도와 편리성에 맞춘 고(高)품질과 소비자 기호도가 향상된 즉석 팩밥 제조 방법을 개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제 1단계는 쌀눈이 90%함유된 쌀눈 쌀을 준비하는 단계, 제 2단계는 상기 쌀눈 쌀을 정제수로 3회 세척하는 단계, 제 3단계는 탈수하는 단계이고, 제 4단계는 탈수된 쌀눈 쌀 1kg에 홍마늘 추출 기름 0.3~0.5 중량%를 첨가하여 혼합기로 5~10분 혼합 후 고압 증기솥을 이용하여 121℃, 1.5기압, 10~20분 처리하는 기름 코팅하는 단계이고, 제 5단계는 상기 기름 코팅된 쌀눈 쌀 : 인삼 8~10g, 황기 1~3g, 대추 5~6g, 밤 1~2g, 해양 심층수 10~12 리터를 혼합하여 추출한 추출액을 6~9.5 : 0.5~4(w/w)로 혼합하는 단계이고, 제 6단계는 간접 가열 취반하는 단계, 제 7단계는 탈기하는 단계, 제 8단계는 냉각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상기 탈수하는 단계는, 쌀눈 쌀을 건식 초음파기기로 28 KHz로 30분 초음파 처리 후, 2~3시간 자연 건조하여 수분 함량이 40~50 중량%으로 탈수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상기 조미된 추출액은, 인삼 8~10g, 황기 1~3g, 대추 5~6g, 밤 1~2g, 해양 심층수 10~12 리터를 혼합하여 121℃, 1.5기압, 5~8시간 추출 후, 종이 필터로 여과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간접 가열 취반하는 단계, 상기 혼합단계에서 혼합된 혼합물을 200g을 1~1.5시간 간접 가열 취반하되, 온도 조절이 가능한 스텐 용기에 증류수를 3리터 채운 뒤 간접 취반을 위해 혼합물을 넣고, 상기 용기의 내부에 증류수가 순환시키면서 온도를 100~105℃로 조절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간접 가열 취반 시, 상기 혼합물을 포함한 용기를 전체적으로 삽입할 수 있도록 간접 취반용 이중 스텐을 사용하되, 상기 이중 스텐은 그 사이 간극이 1㎝이며, 상기 간극의 공간에 천연 탄소 섬유를 1~3장을 끼워서 취반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쌀눈 쌀을 홍마늘 기름으로 코팅한 즉석 팩밥 및 그 제조 방법에 의하면, 탈수된 쌀에 홍마늘 기름을 코팅하고, 간접 가열 취반 시 천연 탄소 섬유를 이용하여 취반함으로써, 쌀 눈쌀 함유 즉석 팩밥은 고(高)품질과 기능적 효과를 지닌 쌀눈 살 즉석 팩밥은 현대인의 건강에 도움이 되고 경제적 유익을 제공할 수 있는 발명이라 하겠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내는 공정도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하, 도 1은 홍마늘 기름과 천연 탄소 섬유를 이용한 쌀눈 쌀 함유 즉석 팩밥 제조 공정도로써, 본 발명의 제 1단계는 쌀눈 쌀 준비하는 단계, 제 2단계는 세미하는 단계이고, 제 3단계는 탈수하는 단계이고, 제 4단계는 기름 코팅하는 단계이고, 제 5단계는 혼합하는 단계이고, 제 6단계는 간접 가열 취반하는 단계, 제 7단계는 탈기하는 단계, 제 8단계는 냉각하는 단계로 그의 구성 및 작용을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따라서 쌀눈 쌀 함유 즉석 팩밥 제조 시 탈수된 쌀에 홍마늘 기름을 코팅하고, 본 발명의 핵심 중 하나인 간접 가열 취반 시 천연 탄소 섬유를 이용하여 쌀눈 쌀 함유 즉석 팩밥을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1) 원료인 쌀눈 쌀을 준비하는 단계
원료인 쌀눈 쌀은 경기도 여주산 현미를 구입하여 도정이 조절되는 가정용 도정기(미강나라, k-234, 한국)를 이용하여 쌀눈이 90%정도 함유한 쌀눈 쌀을 최종 시료로 사용하였다.
(2) 세미하는 단계
본 단계는 (1)에서 준비된 쌀눈 쌀 10kg을 쌀 세척기(한일, K-25, 한국)를 이용하여 정제수에 3회 세척 하여 사용하였다.
(3) 탈수하는 단계
본 단계는 (2)에서 세척된 쌀눈 쌀을 탈수하는 단계로, 먼저 쌀눈 쌀을 건식 초음파 기기 초음파기기(스텐 통 : 가로×세로×높이=28㎝×30㎝×18㎝, 한일사, 한국)를 이용하여 28KHz로, 30분 초음파 처리 후, 2~3시간 자연 건조하여 세척 쌀의 수분 함량이 40~50중량%까지 탈수하여 사용하였다.
(4) 기름 코팅하는 단계
본 단계는 (3)에서 탈수된 쌀눈 쌀 1kg에 홍마늘 추출 기름 0.3~0.5 중량%을 혼합하여 혼합기(대일, DA-132,한국)로 5~10분 충분히 혼합 후, 고압 증기솥을 이용하여 121℃, 1.5기압, 10~20분 처리하여 최종 홍마늘 기름을 코팅하였다. 이때, 상기 홍마늘 기름은 초임계 이산화탄소 추출기(삼일,RH-400, 한국)을 이용하여 추출하였다.
(5) 혼합하는 단계
(4)에서 코팅된 쌀눈 쌀과 조미된 추출액을 혼합하는 단계로, 코팅 쌀눈 쌀 : 인삼 8~10g, 황기 1~3g, 대추 5~6g, 밤 1~2g, 해양 심층수 10~12 리터를 혼합하여 추출한 추출액을 6~9.5 : 0.5~4 (w/w)로 혼합하여 사용하였다. 이때, 추출액은, 121℃, 1.5가압, 5~8시간 추출 후, 종이 필터(Whatman No.2)로 여과하여 사용하였다.
(6) 간접 가열 취반하는 단계
(5)에서 혼합된 혼합물을 간접 가열 취반하는 단계이다.
혼합물 200g을 레토르토 파우치에 충진하여 간접 가열 취반장치에서 1~1.5시간 취반하였다. 이때, 간접 가열 취반은, 온도 조절이 가능한 스텐 용기(지름×높이=30㎝×20㎝)에 증류수를 3리터 채운 뒤 간접 취반을 위해 혼합물이 담긴 팩밥 레토르토 파우치(가로×세로=14㎝×22㎝) 3~5개를 동시에 스텐 스탠드에 세로로 세워서 용기 내 증류수를 순환시키면서, 온도를 100~105℃로 조절하면서 간접 취반 하였다. 또한, 간접 취반을 위해 사용된 상기 스텐 용기는, 혼합물을 포함한 스탠 용기를 전체적으로 삽입할 수 있는 간접 취반용 이중 스텐(이중 자켓)을 사용하며, 상기 이중 스텐은 스텐과 스텐사이의 간극이 약 1㎝로 상기 간극의 공간에는 천연 탄소 섬유를 1~3장을 끼워서 취반을 실시하였다
(7) 탈기 단계
(6)에서 제조된 간접 가열 취반 팩밥을 무균 상자 내에서 탈기 기기(한일, 탈기 밥, SA-432, 한국)을 이용하여 내용물을 탈기하였다.
(8) 냉각 단계
(7)에서 탈기된 내용물을 흐르는 수돗물을 이용하여 냉각 하였다.
(9) 홍마늘 기름 코팅된 쌀눈 쌀 즉석 팩밥 제조 및 제품화 하는 단계
(8)에서 냉각 단계를 거친 것을 최종 홍마늘 기름 코팅된 쌀눈 쌀 즉석 팩밥으로 제조 및 제품화 하는 단계이다.
이하,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는 다음과 같다.
(1) 홍마늘 기름 농도별 코팅된 쌀눈 쌀 즉석 팩밥 관능 검사
본 발명은 홍마늘 기름 농도별 코팅된 쌀눈 쌀 즉석 팩밥 관능 검사 측정은 표 1과 같이 나타났다.
Figure 112020000861146-pat00001
① 관능검사
표 1을 참고하면 관능검사는 잘 훈련된 10명의 패널 요원에 의하여 색상, 맛, 점성, 씹힘성, 전반적인 기호도등을 5점 강도법(아주 약하다:1점, 약하다:2점, 보통이다:3점, 강하다:4점, 아주 강하다:5점)으로 평점하여 처리하였다.
② 홍마늘 기름 농도별 코팅된 쌀눈 쌀 즉석 팩밥 관능검사 결과
표 1에서 보듯이 색상, 맛, 점성, 씹힘성, 전반적인 기호도에서 홍마늘 기름 농도는 0.5 중량% 처리구가 가장 좋았다.
(2) 홍마늘 기름 농도별 코팅된 쌀눈 쌀 즉석 팩밥 항산화 효과
본 발명은 홍마늘 기름 농도별 코팅된 쌀눈 쌀 즉석 팩밥 항산화 효과 측정은 표 2와 같이 나타났다.
Figure 112020000861146-pat00002
① 항산화 효과 측정
(a) 총 폴리페놀 함량
총 페놀함량은 Folin-Ciocalteu법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시료 10g에 메탄올 20 ml를 가한 후 실온에서 24시간 후 원심분리 하여 상징액 5 ml을 얻어 감압 농축시킨 후 메탄올 3 ml을 녹여 폴리페놀 함량 측정에 사용하였다. 96 웰-프레이트에 추출물 50 μl에 2% Na2CO3용액 1 ml를 가하고 3분 방치한 후 50% Folin-Ciocalteu 시약 50 μl를 가하였다. 30분후 반응 액의 흡광도 값을 750 nm에서 측정하였고 표준물질로 0.1% gallic acid를 사용하였다. 측정기기로는 ELISA reader(Infinite F50, Tecan, Switzerland를 사용하였다.
(b) DPPH 라디컬 소거능
DPPH(1,1-diphenyl-2-picrylhydrazyl)라디컬 소거활성은 브로이스의 방법을 변형하여 측정하였으며, DPPH 용액은 0.1%의 농도로 사용하였고 다음과 같이 측정하였다. DPPH와 메탄올1:1(C), 메탄올(Co), DPPH와 시료1:1(S), 시료와 메탄올 1:1(So)로 30분간 반응 시킨 후 517 nm에서 ELISA reader(Sunrise basic, Tecan, Austria)를 사용하여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각 실험을 3회 반복하여 평균을 낸 다음 대조구에 대한 흡광도의 감소정도를 다음 식에 의하여 계산하였다.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1-(S-So)/(C-Co)]x100
② 홍마늘 기름 농도별 코팅된 쌀눈 쌀 즉석 팩밥 항산화 효과 결과
표 2를 참고하면 항산화 효과는 DPPH 라디컬 소거능은 홍마늘 기름 농도별 코팅된 쌀눈 쌀 즉석 팩밥 항산화 효과는 홍마늘 기름 농도 1~3 중량% 처리구가 가장 좋았다.
(3) 홍마늘 기름 농도별 코팅된 쌀 눈쌀 즉석 팩밥 색상
본 발명은 홍마늘 기름 농도별 코팅된 쌀 눈쌀 즉석 팩밥 색상 측정은 표 3과 같이 나타났다.
Figure 112020000861146-pat00003
① 색도 측정 : 일정량의 홍마늘 기름 코팅된 쌀 눈쌀 즉석 팩밥 시료를 취한 다음 색도색차계(Minolta CR 300, Japan)를 이용하여 L(명도) a(적색도), b(황색도)값 측정하였다.
② 홍마늘 기름 농도별 코팅된 쌀 눈쌀 즉석 팩밥 색상 측정 결과
표 3을 참고하면 L(명도)값은 홍마늘 기름 농도 0 중량% 처리구, a(적색도)와 b(황색도)값은 홍마늘 기름 농도 3 중량% 처리구가 가장 높은 값을 나타냈다.
(4) 홍마늘 기름 코팅 쌀눈 쌀과 조미된 추출액 혼합비에 의한 쌀눈 쌀 즉석 팩밥 관능 검사
본 발명은 홍마늘 기름 코팅 쌀눈 쌀과 조미된 추출액 혼합비에 의한 쌀눈 쌀 즉석 팩밥 관능검사 측정은 표 4와 같이 나타났다.
Figure 112020000861146-pat00004
① 관능검사
표 4를 참고하면 관능검사는 잘 훈련된 10명의 패널 요원에 의하여 색상, 맛, 점성, 씹힘성, 전반적인 기호도등을 5점 강도법(아주 약하다:1점, 약하다:2점, 보통이다:3점, 강하다:4점, 아주 강하다:5점)으로 평점하여 처리하였다.
② 홍마늘 기름 코팅 쌀눈 쌀과 조미된 추출액 혼합비에 의한 쌀눈 쌀 즉석 팩밥 관능검사 결과
표 4에서 보듯이 색상, 맛, 점성, 씹힘성, 전반적인 기호도에서 홍마늘 코팅 쌀눈 쌀 :추출액의 혼합비 8 : 2(w/w) 처리구가 가장 좋았다.
(5) 홍마늘 기름 코팅 쌀눈 쌀과 조미된 추출액 혼합비에 의한 쌀눈 쌀 즉석 팩밥 항산화 효과
본 발명은 홍마늘 기름 코팅 쌀눈 쌀과 조미된 추출액 혼합비에 의한 쌀눈 쌀 즉석 팩밥 항산화 효과 측정은 표 5와 같이 나타났다.
Figure 112020000861146-pat00005
① 항산화 효과 측정
(a) 총 폴리페놀 함량
총 페놀함량은 Folin-Ciocalteu법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시료 10 g에 메탄올 20 ml를 가한 후 실온에서 24시간 후 원심분리 하여 상징액 5 ml을 얻어 감압 농축시킨 후 메탄올 3 ml을 녹여 폴리페놀 함량 측정에 사용하였다. 96 웰-프레이트에 추출물 50 μl에 2% Na2CO3용액 1 ml를 가하고 3분 방치한 후 50% Folin-Ciocalteu 시약 50 μl를 가하였다. 30분후 반응 액의 흡광도 값을 750 nm에서 측정하였고 표준물질로 0.1% gallic acid를 사용하였다. 측정기기로는 ELISA reader(Infinite F50, Tecan, Switzerland를 사용하였다.
(b) DPPH 라디컬 소거능
DPPH(1,1-diphenyl-2-picrylhydrazyl)라디컬 소거활성은 브로이스의 방법을 변형하여 측정하였으며, DPPH 용액은 0.1%의 농도로 사용하였고 다음과 같이 측정하였다. DPPH와 메탄올1:1(C), 메탄올(Co), DPPH와 시료1:1(S), 시료와 메탄올 1:1(So)로 30분간 반응 시킨 후 517 nm에서 ELISA reader(Sunrise basic, Tecan, Austria)를 사용하여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각 실험을 3회 반복하여 평균을 낸 다음 대조구에 대한 흡광도의 감소정도를 다음 식에 의하여 계산하였다.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1-(S-So)/(C-Co)]x100
② 홍마늘 기름 코팅 쌀눈 쌀과 조미된 추출액 혼합비에 의한 쌀눈 쌀 즉석 팩밥 항산화 효과 결과
표 5를 참고하면 항산화 효과는 DPPH 라디컬 소거능과 총 폴리페놀 함량은 홍마늘 기름 코팅 쌀눈 쌀과 조미된 추출액 혼합비가 9.5 : 0.5와 9 : 1 (w/w) 처리구에서 가장 높은 값을 나타냈다.
(6) 쌀눈 쌀 간접 가열 취반 시 천연탄소 섬유가 즉석 팩밥의 관능 검사에 미치는 영향
본 발명은 쌀눈 쌀 간접 가열 취반 시 천연탄소 섬유가 즉석 팩밥의 관능 검사에 미치는 영향을 측정한 결과 표 6과 같이 나타났다.
Figure 112020000861146-pat00006
① 관능검사
표 6을 참고하면 관능검사는 잘 훈련된 10명의 패널 요원에 의하여 색상, 향기, 짠맛, 단맛, 감칠 맛, 전체적인 기호도 등을 5점 강도법(아주 약하다:1점, 약하다:2점, 보통이다:3점, 강하다:4점, 아주 강하다:5점)으로 평점하여 처리하였다.
② 쌀눈 쌀 간접 가열 취반 시 천연탄소 섬유가 즉석 팩밥의 관능 검사에 미치는 영향 측정 결과
표 6에서 보듯이 색상, 맛, 점성, 씹힘성, 전반적인 기호도에서 간접 취반 통내에 천연 섬유 삽입 개수(개)가 2개 처리구에서 가장 높은 값을 나타냈다.

Claims (6)

  1. 제 1단계는 쌀눈이 90%함유된 쌀눈 쌀을 준비하는 단계,
    제 2단계는 상기 쌀눈 쌀을 정제수로 3회 세척하는 단계,
    제 3단계는 탈수하는 단계이고,
    제 4단계는 탈수된 쌀눈 쌀 1kg에 홍마늘 추출 기름 0.3~0.5 중량%를 첨가하여 혼합기로 5~10분 혼합 후 고압 증기솥을 이용하여 121℃, 1.5기압, 10~20분 처리하는 기름 코팅하는 단계이고,
    제 5단계는 상기 기름 코팅된 쌀눈 쌀 : 인삼 8~10g, 황기 1~3g, 대추 5~6g, 밤 1~2g, 해양 심층수 10~12 리터를 혼합하여 추출한 추출액을 6~9.5 : 0.5~4(w/w)로 혼합하는 단계이고,
    제 6단계는 간접 가열 취반하는 단계,
    제 7단계는 탈기하는 단계,
    제 8단계는 냉각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쌀눈 쌀을 홍마늘 기름으로 코팅한 즉석 팩밥 제조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탈수하는 단계는,
    쌀눈 쌀을 건식 초음파기기로 28 KHz로 30분 초음파 처리 후, 2~3시간 자연 건조하여 수분 함량이 40~50 중량%으로 탈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쌀눈 쌀을 홍마늘 기름으로 코팅한 즉석 팩밥 제조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액은,
    121℃, 1.5기압, 5~8시간 추출 후, 종이 필터로 여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쌀눈 쌀을 홍마늘 기름으로 코팅한 즉석 팩밥 제조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간접 가열 취반하는 단계는,
    상기 혼합단계에서 혼합된 혼합물을 200g을 1~1.5시간 간접 가열 취반하되, 온도 조절이 가능한 스텐 용기에 증류수를 3리터 채운 뒤 간접 취반을 위해 혼합물을 넣고, 상기 용기의 내부에 증류수가 순환시키면서 온도를 100~105℃로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쌀눈 쌀을 홍마늘 기름으로 코팅한 즉석 팩밥 제조 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간접 가열 취반 시,
    상기 혼합물을 포함한 용기를 전체적으로 삽입할 수 있도록 간접 취반용 이중 스텐을 사용하되,
    상기 이중 스텐은 그 사이 간극이 1㎝이며, 상기 간극의 공간에 천연 탄소 섬유를 1~3장을 끼워서 취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쌀눈 쌀을 홍마늘 기름으로 코팅한 즉석 팩밥 제조 방법.
  6. 제 1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하나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쌀눈 쌀을 홍마늘 기름으로 코팅한 즉석 팩밥.









KR1020200001119A 2020-01-06 2020-01-06 쌀눈 쌀을 홍마늘 기름으로 코팅한 즉석 팩밥 및 그 제조 방법 KR1021412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1119A KR102141241B1 (ko) 2020-01-06 2020-01-06 쌀눈 쌀을 홍마늘 기름으로 코팅한 즉석 팩밥 및 그 제조 방법
CN202011335064.9A CN112471400A (zh) 2020-01-06 2020-11-25 涂覆有红蒜油的胚芽米的即食米饭及其制作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1119A KR102141241B1 (ko) 2020-01-06 2020-01-06 쌀눈 쌀을 홍마늘 기름으로 코팅한 즉석 팩밥 및 그 제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41241B1 true KR102141241B1 (ko) 2020-08-04

Family

ID=720486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01119A KR102141241B1 (ko) 2020-01-06 2020-01-06 쌀눈 쌀을 홍마늘 기름으로 코팅한 즉석 팩밥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141241B1 (ko)
CN (1) CN112471400A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6894B1 (ko) * 2006-12-20 2008-05-06 이민호 마늘성분을 함유하는 쌀의 제조방법
KR20110001319A (ko) * 2009-06-30 2011-01-06 경남도립남해대학 산학협력단 흑마늘 액으로 코팅된 쌀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70103195A (ko) * 2016-03-03 2017-09-13 이부활 영양강화 쌀눈식품의 제조방법
KR101812100B1 (ko) * 2017-06-12 2017-12-26 허시은 식물성 기름이 코팅된 쌀의 제조방법, 죽의 제조방법 및 레토르트 죽의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80249A (ja) * 1994-09-13 1996-03-26 Toyo Tanso Kk な べ
JP2000254000A (ja) * 1999-03-08 2000-09-19 Osaka Gas Co Ltd 炭素繊維強化アルミニウム合金の伝熱体及び該伝熱体を用いた調理器具の製造方法と調理器具
HU223329B1 (hu) * 1999-05-25 2004-06-28 INWEST Élelmiszer, Gyógynövény Termeltető és Feldolgozó Kft. Felületükön ízesített és természetes élelmi komponensekkel kiegészített és színezett nyersrizskészítmény és eljárás előállítására
KR101445276B1 (ko) * 2013-03-20 2014-09-26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잣나무 정유를 함유한 김의 제조방법 및 이의 용도
KR101918943B1 (ko) * 2018-09-13 2018-11-15 (주)동우에프엔씨 기름이 코팅된 레토르트 즉석밥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6894B1 (ko) * 2006-12-20 2008-05-06 이민호 마늘성분을 함유하는 쌀의 제조방법
KR20110001319A (ko) * 2009-06-30 2011-01-06 경남도립남해대학 산학협력단 흑마늘 액으로 코팅된 쌀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70103195A (ko) * 2016-03-03 2017-09-13 이부활 영양강화 쌀눈식품의 제조방법
KR101812100B1 (ko) * 2017-06-12 2017-12-26 허시은 식물성 기름이 코팅된 쌀의 제조방법, 죽의 제조방법 및 레토르트 죽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2471400A (zh) 2021-03-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82455B1 (ko) 보이차 추출물을 이용한 된장 및 간장과 그 제조방법
KR20190035330A (ko) 산양삼 삼계탕 제조 방법
CN104106776A (zh) 一种百合茶香保健锅巴及其加工方法
KR101145894B1 (ko) 인삼발효 홍삼 청국장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홍삼 청국장
KR102141241B1 (ko) 쌀눈 쌀을 홍마늘 기름으로 코팅한 즉석 팩밥 및 그 제조 방법
CN104705653A (zh) 一种具有多重保健功能的白糯米粽子及其加工方法
RU2416283C1 (ru) Способ производства компота из винограда
CN103931977A (zh) 一种腊味蓝莓糕点及其制备方法
KR102316705B1 (ko) 무, 당근, 우엉, 무청 및 표고 버섯 추출물을 포함하는 건강 음료 조성물 및 물을 실질적으로 첨가하지 않는 그 제조 방법
KR20210088065A (ko) 보이차 추출물을 이용한 즉석 쌀눈쌀 팩밥 및 그 제조 방법
KR102395362B1 (ko) 수분 손실을 최소화하는 훈제 닭가슴살 제조방법
RU2417019C1 (ru) Способ выработки компота из яблок
RU2381709C1 (ru)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компота из черной смородины
RU2381700C1 (ru)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компота из алычи
KR20240039382A (ko) 천연물질을 이용한 오리탕 및 그 제조방법
CN104783073A (zh) 一种具有多重保健功能的红糯米粽子及其加工方法
KR20230007677A (ko) 연자육 및 연근 추출물이 함유된 천연 조미료 및 그 제조방법
KR20230174566A (ko) 컬러깨
CN105029264A (zh) 一种清香型竹荪秋葵及其制备方法
RU2385078C1 (ru)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компота из алычи
RU2385082C1 (ru)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компота из кизила
RU2384214C1 (ru)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компота из кизила
KR20220012601A (ko) 발효기법을 활용한 육류 조리용 양념소스 및 그 제조방법
RU2411815C1 (ru) Способ производства компота из кизила
RU2410971C1 (ru) Способ производства компота из абрикосов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