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30262B1 - 가압코펠 - Google Patents

가압코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30262B1
KR102130262B1 KR1020200025048A KR20200025048A KR102130262B1 KR 102130262 B1 KR102130262 B1 KR 102130262B1 KR 1020200025048 A KR1020200025048 A KR 1020200025048A KR 20200025048 A KR20200025048 A KR 20200025048A KR 102130262 B1 KR102130262 B1 KR 1021302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oking vessel
plate spring
lid
pressure
coo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250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완수
Original Assignee
김완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완수 filed Critical 김완수
Priority to KR10202000250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3026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02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02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5/00Devices for fastening or gripping kitchen utensils or crockery
    • A47J45/06Handles for hollow-ware articles
    • A47J45/063Knobs, e.g. for lid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8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47J27/0804Locking devices
    • A47J27/0815Locking devices where vessel and lid have adapted shapes to provide for the locking ac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06Lids or covers for cooking-vess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압코펠에 관한 것으로서, 더 자세하게는 냄비의 형태로 형성되며 측면에 손잡이 장착부가 구비되는 조리용기; 상기 손잡이 장착부에 체결되어 상기 조리용기에 탈부착되도록 형성되는 손잡이부; 및 조리용기 뚜껑을 가압하도록 형성되는 판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판스프링은, 일면에 가압부가 형성되어 상기 조리용기 뚜껑을 가압하여 상기 조리용기의 내부압력을 견디도록 하여 내부압력을 조절할 수 있다.

Description

가압코펠{Portable cooker with internal pressure control}
본 발명은 가압코펠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조리용기를 이용하여 조리 시 조리용기 뚜껑을 가압하여 조리용기 내부의 압력을 증가하도록 하며, 조리용기에 형성되는 판스프링의 가압부에 의해 조리용기 뚜껑이 가압되어 조리용기 내부의 압력이 일정 수준 이상으로 증가하게 되면, 조리용기 뚜껑이 일부 개방되어 조리용기 내부의 압력이 일정수준이 유지되도록 하는 가압코펠에 관한 것이다.
캠핑, 등산 등의 야외활동이 증가하면서, 야외에서의 취사 활동을 위한 다양한 조리도구들이 사용되고 있으며, 그 중에서도 일반적으로 냄비 형태의 코펠을 이용하여 취사가 이루어지고 있다. 코펠은 등산과 같은 야외활동에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가볍고, 또한 보관이 용이하게 단순한 구조로 제작되어, 주로 등산, 캠핑과 같은 야외활동에 적합하게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코펠과 같은 조리용기는 주로 야외에서 사용되는 특성상 밥을 짓기에 적합한 내부 압력을 유지하지 못하게 되며, 특히 등산하게 되는 경우에는 기압이 낮기 때문에 밥이 설익거나, 취사 시간이 길어지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야외활동에서도 압력 밥솥의 사용이 늘어나고 있으며, 가정에서 사용하는 밥솥을 이용하기도 하지만, 이러한 압력 밥솥 또는 가정에서 사용하는 밥솥은 형태나 무게 등 야외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야외에서 다루기가 쉽지 않다.
이러한, 조리용기의 내부압력 조절이 되지 않아 취사가 제대로 되지 않는 문제를 개선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러한 조리용기의 예로써 한국등록특허 제10-2011-0098872호 '발열체를 이용한 즉석 조리용 취사도구 및 이에 사용되는 발열용기의 제조방법'에서는 물과 반응하여 발열작용을 하는 발열체를 발열용기에 넣어서 음식물이 내입된 식품용기를 가열하는 취사도구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용기는 발열체를 이용한 내부 온도를 상승시키는 구성이 개시되어 있을 뿐, 취사 시 내부압력을 높이기 위한 다른 어떠한 수단도 구비되지 않았다.
또한, 제20-0238404호 '가스와 버너의 수납기능을 갖는 코펠'에서는 가스와 버너를 동시에 코펠내부에 수납함으로서 수납이 편리하도록 하는 취사도구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제20-0238404호의 조리용기도 가스와 버너가 일체형으로 수납되도록 하는 수단만 구비되어 있을 뿐, 조리용기 내부의 압력을 높일 수 있는 다른 어떤 수단도 구비되지 않았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들을 개선하는 것이 시급하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야외 취사가 가능한 조리용기에 탄성력을 가지는 판스프링이 형성되고 조리용기 뚜껑을 가압하는 가압부가 판스프링에 구비되어 조리용기를 이용한 조리 시 조리용기 뚜껑을 가압하여 조리용기 내부의 압력이 증가하도록 하고, 일정 수준 이상으로 압력이 증가하게 되면 판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조리용기 뚜껑이 일부 개방되어 조리용기의 내부압력이 조절되도록 하는 가압코펠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압코펠은, 냄비의 형태로 형성되며 측면에 손잡이 장착부가 구비되는 조리용기; 상기 손잡이 장착부에 체결되어 상기 조리용기에 탈부착되도록 형성되는 손잡이부; 및 조리용기 뚜껑을 가압하도록 형성되는 판스프링;을 포함하고, 상기 판스프링은, 일면에 가압부가 형성되어 상기 조리용기 뚜껑을 가압하여 상기 조리용기의 내부압력을 견디도록 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압코펠은, 상기 손잡이 장착부의 일단에 한개 이상으로 형성되는 제1고정홀; 상기 손잡이부의 일단에 한개 이상으로 형성되는 제2고정홀; 및 상기 제1고정홀과 상기 제2고정홀에 삽입되도록 형성되는 고정핀;을 포함하고, 상기 손잡이부는, 상기 제1고정홀과 상기 제2고정홀에 상기 고정핀이 관통하도록 삽입하여 상기 조리용기에 고정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손잡이부는, 상기 판스프링이 고정되도록 형성되는 지지프레임;을 더 포함하고, 상기 지지프레임은, 나선 형태의 홀이 형성되어 상기 판스프링이 체결되도록 형성되는 제1체결홀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판스프링은, 상기 제1체결홀과 동일한 형상으로 일측면에 형성되는 제2체결홀; 및 상기 제1체결홀 및 상기 제2체결홀을 관통하여 상기 판스프링이 상기 지지프레임에 고정되도록 구비되는 체결나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온도에 따라 형상이 변화되며, 상기 판스프링의 상단에 구비되는 형상기억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형상기억부는, 상기 지지프레임에 고정될 수 있도록 제3체결홀을 형성하며, 상기 판스프링의 상단에 포개어지도록 구비되어 온도에 따라 형상이 변화되어 상기 판스프링이 상기 조리용기 뚜껑을 가압하는 힘이 조절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손잡이부는, 상기 지지프레임과 상기 판스프링의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판스프링의 움직임을 제어하도록 형성되는 보조지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손잡이부는, 상기 보조지지부 또는 상기 형상기억부가 상기 판스프링과 겹쳐지도록 상기 지지프레임에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압코펠의 조리용기 뚜껑은, 상기 조리용기의 내부압력이 측정되도록 형성되는 압력측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압력측정부는, 상기 조리용기의 뚜껑 하단에 형성되는 압력감지부; 상기 압력감지부에 감지되는 압력이 눈금으로 표시되도록 상기 조리용기 뚜껑의 상단에 형성되는 압력표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압코펠은, 야외 취사가 가능한 조리용기에 탄성력을 가지는 판스프링이 형성되고 조리용기 뚜껑을 가압하는 가압부가 판스프링에 구비되어 조리용기를 이용한 조리 시 조리용기 뚜껑을 가압하여 조리용기 내부의 압력이 증가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조리용기 내부의 압력이 일정 수준 이상으로 증가하게 되면, 판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조리용기 뚜껑이 일부 개방되어 조리용기의 내부 압력이 조절되도록 하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조리용기의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조리용기 및 조리용기 뚜껑의 모습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3는 도 3의 손잡이부가 조리용기에 손잡이로 결합되는 모습(a)와 조리용기를 가압하도록 결합되는 모습(b)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손잡이부에 판스프링이 구비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5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조리용기의 손잡이부에 형상기억부가 구비되는 모습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보조지지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보조지지부에 판스프링이 구비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조리용기 뚜껑에 압력측정부가 구비되는 모습의 상단의 정면(a)과 하단의 정면(b)을 나타내는 사시도와 측면(c)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9는 도 8의 압력측정부에 타이머가 구비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한 본 발명의 설명은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다. 도한, 이하에서 설명하는 내용은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제 1, 제 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되는 용어로서, 그 자체에 의미가 한정되지 아니하며,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사용되는 동일한 참조번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이하에서 기재되는 "포함하다", "구비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압코펠을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조리용기의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조리용기 및 조리용기 뚜껑의 모습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3는 도 3의 손잡이부가 조리용기에 손잡이로 결합되는 모습(a)와 조리용기를 가압하도록 결합되는 모습(b)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손잡이부에 판스프링이 구비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5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조리용기의 손잡이부에 형상기억부가 구비되는 모습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보조지지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의 보조지지부에 판스프링이 구비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조리용기 뚜껑에 압력측정부가 구비되는 모습의 상단의 정면(a)과 하단의 정면(b)을 나타내는 사시도와 측면(c)을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9는 도 8의 압력측정부에 타이머가 구비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압코펠(1)은 조리용기 몸체(100), 손잡이 장착부(110), 손잡이부(300), 조리용기 뚜껑(200), 판스프링(400) 및 가압부(410)을 포함할 수 있다.
가압코펠(1)은 조리용기 몸체(100) 및 조리용기 뚜껑(200)으로 구성되어 음식물을 조리하거나 취사를 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열전도성이 우수한 소재를 이용하여 원형의 냄비형태로 구비될 수 있으며, 원형의 형태로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조리용기 몸체(100) 및 조리용기 뚜껑(200)는 알루미늄, 스테인레스 스틸 또는 티타늄 중 하나의 소재가 사용될 수 있으나, 가압코펠(1)을 형성하는 소재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가볍고 열전도성이 우수한 다양한 소재를 이용하여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조리용기 몸체(100) 및 조리용기 뚜껑(200)의 표면에 코팅처리하여 반복적인 가열을 포함하는 사용 시 표면에 부식이 발생하지 않도록 코팅을 할 수 있으며, 표면을 보호하기 위한 코팅방식은 코팅 강도에 따라서 연질 피막 코팅 또는 경질 피막 코팅으로 적용하여 가공하는 것이 가능하고, 은나노와 같은 기능성 소재를 코팅에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압코펠(1)은 조리용기 몸체(100)의 측면에 손잡이 장착부(110)가 'ㄷ'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손잡이부(300)에는 손잡이 장착부(110)의 내측으로 겹쳐지도록 'ㄷ'형상의 장착프레임(320)이 형성되어 조리용기 몸체(100)에 탈부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압코펠(1)은 손잡이 장착부(110)의 일단에 한 개 이상으로 형성되는 제1고정홀(111)과 손잡이부(300)의 장착프레임(320)의 일단에 한 개 이상으로 형성되는 제2고정홀(321)이 형성될 수 있으며, 제1고정홀(111)과 제2고정홀(321)은 동일한 크기의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손잡이부(300)의 장착프레임(320)이 손잡이 장착부(110)의 내측으로 겹쳐지도록 형성되며, 제2고정홀(321)이 제1고정홀(111)의 위치에 형성되도록 하여 제1, 2고정홀(111, 321)에 삽입이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고정핀(120)에 의해 손잡이부(300)가 조리용기 몸체(100)에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조리용기 몸체(100)에 부착되는 손잡이부(300)는 부착되는 방향에 따라서 다양한 용도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컨대, 손잡이부(300)의 손잡이(310)가 조리용기 몸체(100)의 측면으로 형성되도록 하여 장착프레임(320)이 체결되게 되면 손잡이로 사용될 수 있으며, 손잡이부(300)의 손잡이(310)가 조리용기 뚜껑(200)의 상단으로 형성되도록 위치하여 장착프레임(320)이 체결되게 되면, 판스프링(400)이 조리용기 뚜껑(200)을 가압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압코펠(1)의 판스프링(400)은 조리용기 뚜껑(200)을 가압하도록 가압부(410)가 형성되어 가압코펠(1)을 이용한 조리 시 발생하는 증기압이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예컨대, 손잡이부(300)의 손잡이가 조리용기 뚜껑(200)의 상단으로 위치하도록 체결되는 경우, 손잡이부(300)에 구비되는 판스프링(400)이 조리용기 뚜껑(200)을 가압하도록 형성되어 취사 시에 증가하는 내부압력에 의해 조리용기 뚜껑(200)이 밀려 개방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손잡이부(300)는 판스프링(400)이 부착될 수 있도록 지지프레임(330) 및 제1체결홀(331)을 포함할 수 있고, 판스프링(400)은 제1체결홀(331)과 동일한 형상으로 구비되는 제2체결홀(420)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제1, 2체결홀(331, 420)에 삽입하도록 형성되는 체결나사(430)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프레임(330)은 손잡이부(300)의 손잡이(310) 일단에 판스프링(400)을 지지할 수 있도록 형성되며, 판스프링(400)이 체결될 수 있도록 지지프레임(330)의 일단에 제1체결홀(331)이 원형의 나사홀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지지프레임(330)의 중앙에 제1체결홀(331)이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판스프링(400)의 일단에는 제2체결홀(420)이 제1체결홀(331)과 동일한 형상의 나사홀이 형성되며, 제1체결홀(331)과 제2체결홀(420)이 겹쳐지도록 하여 체결나사(430)에 의해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후술하겠지만, 지지프레임(330)에 구비되는 판스프링(400), 형상기억부(440), 또는 보조지지부(450)는 동일한 형상의 체결홀이 형성되어 하나의 체결나사(430)를 이용하여 체결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5내지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압코펠(1)은 손잡이부(300)에 형상기억부(440) 또는 보조지지부(450) 중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형상기억부(440)는 온도에 따라서 형상이 변화하도록 두 가지 이상의 금속을 이용하여 형상기억합금의 형태로 구비될 수 있으며, 일단에는 지지프레임(330)에 체결이 가능하도록 제3체결홀(441)이 제1체결홀(331)과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체결나사(430)에 의해 지지프레임(330)에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체결나사(430)에 의해 구비되는 형상기억부(440)는 지지프레임(330)의 일면에 체결되는 판스프링(400)의 상단으로 겹쳐지도록 하여 하나의 체결나사(430)를 이용하여 체결되도록 할 수 있다.
형상기억부(440)는 저온과 고온에서의 형상을 기억하도록 하여, 가압코펠(1)을 이용하여 불을 이용한 가열 시 가압코펠(1)의 온도가 일정 온도 이상으로 상승하게 되면, 형상기억부(440)의 형상이 변화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형상기억부(440)는 저온에서는 판스프링(400) 밀착하도록 형성되어 판스프링(400)이 보유하고 있는 탄성력에 의한 움직임을 제어하도록 구비되어 조리용기의 내부압력에 의해 판스프링(400)이 상부로 밀리는 현상을 방지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조리용기 뚜껑(200)을 지속적으로 가압할 시 내부압력이 일정 수준 이상으로 증가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형상기억부(440)가 고온에서 상부로 휘어지도록 하여 판스프링(400)으로부터 이격되도록 할 수 있다.
예컨대, 저온에서의 형상기억부(440)는 판스프링(400)과 밀착하는 형상으로 유지되도록 하여, 취사를 하지 않을 판스프링(400)이 가지고 있는 탄성력을 제어하도록 할 수 있으며, 고온에서 형상기억부(440)는 판스프링(400)이 위치하는 반대 방향으로 휘어지도록 하여 취사를 하지 않을 때에 판스프링(400)에 밀착되었던 형상기억부(440)가 고온에서는 판스프링(400)으로부터 이격되어 판스프링(400)의 탄성력에 의한 운동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즉, 조리용기 몸체(100)가 열에 의해 가열되게 되면, 판스프링(400)에 의해 일정 압력까지 조리용기 뚜껑(200)이 가압되어 조리용기 몸체(100)의 내부 압력이 외부로 배출되지 않도록 할 수 있으며, 일정 온도 이상으로 가열되어 형상기억부(440)가 판스프링(400)으로부터 이격되면, 조리용기 몸체(100) 내부의 압력에 의해 조리용기 뚜껑(200)이 일부 개방되어 조리용기 내부의 압력이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6 내지 도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보조지지부(450)는 받침판(451)과 롤러부(452)를 포함할 수 있으며, 받침판(451)의 상단으로 롤러부(452)가 구비되며, 판스프링(400)이 받침판(451)과 롤러부(452)의 중간으로 끼워지는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보조지지부(450)의 받침판(451)은 판스프링(400)의 크기 내에서 형성될 수 있으며, 받침판(451)의 양측면에는 슬라이딩홈(451a)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롤러부(452)는 판스프링(400)을 가압하도록 형성되며 양측면에는 롤러연결부(452a)가 구비되어 받침판(451)의 양측면에 형성되는 슬라이딩홈(451a)에 결합되어 롤러부(452)가 슬라이딩홈(451a)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즉, 롤러부(452)는 판스프링(400)의 상단에 위치하여 슬라이딩홈(451a)을 따라 이동하면서 판스프링(400)을 가압하는 위치를 설정할 수 있으며, 판스프링(400)이 가지는 탄성력에 의한 움직임을 제어하도록 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압코펠(1)은 조리용기 뚜껑(200)에 압력측정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
조리용기 몸체(100)의 형상에 따라 형성되는 조리 용기 뚜껑(200)은 상단 중앙에 사용자가 조리용기 뚜껑(200)을 파지할 수 있도록 손잡이(310)가 구비될 수 있으며, 압력측정부(220)는 조리용기 뚜껑(200)의 손잡이(310) 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압력측정부(220)는 압력표시부(222)와 압력감지부(221)를 포함할 수 있으며, 압력표시부(222)는 가압코펠(1)을 이용한 조리 시 조리용기 내부의 압력이 눈금으로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압력표시부(222)는 조리용기 뚜껑(200) 상단 손잡이(310)에 형성될 수 있으며, 조리 시 내부압력을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압력감지부(221)은 조리용기 뚜껑(200)의 하단에 위치하여, 조리용기 뚜껑(200)이 취사를 하기 위해 조리용기 몸체(100)의 상단에 위치하게 되면, 내부의 압력을 측정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도 9를 참조하면, 압력감지부(221)는 일단에 취사타이머(230)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설정하는 시간에 맞춰 알람이 울리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취사타이머(230)는 압력측정부(220)의 일단에 태엽(미도시)이 형성되며, 압력측정부(220)의 외측으로 형성되는 취사타이머(230)를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하여 상기 태엽(미도시)이 원운동을 하여, 설정된 시간에 알람이 울리도록 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취사를 위해 가열을 시작한 후, 취사를 완료하고자 하는 목표시간 또는 뜸을 들이고자 하는 목표시간에 맞춰 취사타이머(230)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취사타이머(230)와 연결되어 있는 태엽이 감기면서 원운동을 하게 되고, 취사타이머(230)가 태엽에 의해 원위치로 돌아오게 되면, 알람이 울리도록 하여 사용자가 취사를 완료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 가압코펠
100: 조리용기 몸체
110: 손잡이 장착부
111: 제1고정홀
120: 고정핀
200: 조리용기 뚜껑 
210: 판스프링 지지부
220: 압력측정부
221: 압력감지부
222: 압력표시부
230: 취사타이머
300: 손잡이부
310: 손잡이
320: 장착프레임
321: 제2고정홀
330: 지지프레임
331: 제1체결홀
400: 판스프링
410: 가압부
420: 제2체결홀
430: 체결나사
440: 형상기억부
441: 제3체결홀
450: 보조지지부
451: 받침판
451a: 슬라이딩홈
452: 롤러부
452: 롤러연결부
453: 제4체결홀

Claims (6)

  1. 냄비의 형태로 형성되며 측면에 손잡이 장착부가 구비되는 조리용기;
    상기 손잡이 장착부에 체결되어 상기 조리용기에 탈부착되도록 형성되는 손잡이부; 및
    상기 손잡이부의 일단에 구비되어 탄성운동을 할 수 있는 판스프링;을 포함하고,
    상기 판스프링은,
    일면에 가압부가 형성되어 상기 조리용기 뚜껑을 가압하여 상기 조리용기의 내부압력을 견디도록 하며,
    상기 손잡이부는,
    상기 판스프링이 고정되도록 형성되는 지지프레임;을 더 포함하고,
    상기 지지프레임은, 나선 형태의 홀이 형성되어 상기 판스프링이 체결되도록 형성되는 제1체결홀을 포함하며,
    상기 판스프링은 상기 제1체결홀과 동일한 형상의 제2체결홀이 일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제1체결홀 및 상기 제2체결홀을 관통하여 상기 판스프링이 상기 지지프레임에 고정되도록 구비되는 체결나사로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압코펠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 장착부의 일단에 한개 이상으로 형성되는 제1고정홀;
    상기 손잡이부의 일단에 한개 이상으로 형성되는 제2고정홀; 및
    상기 제1고정홀과 상기 제2고정홀에 삽입되도록 형성되는 고정핀;을 포함하고,
    상기 손잡이부는,
    상기 제1고정홀과 상기 제2고정홀에 상기 고정핀이 관통하도록 삽입하여 상기 조리용기에 고정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압코펠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온도에 따라 형상이 변화되며, 상기 판스프링의 상단에 구비되는 형상기억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형상기억부는,
    상기 지지프레임에 고정될 수 있도록 제3체결홀을 형성하며, 상기 판스프링의 상단에 포개어지도록 구비되어 온도에 따라 형상이 변화되어 상기 판스프링이 상기 조리용기 뚜껑을 가압하는 힘이 조절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압코펠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는,
    상기 지지프레임과 상기 판스프링의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판스프링의 움직임을 제어하도록 형성되는 보조지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손잡이부는,
    상기 보조지지부 또는 상기 형상기억부가 상기 판스프링과 겹쳐지도록 상기 지지프레임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압코펠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리용기 뚜껑은,
    상기 조리용기의 내부압력이 측정되도록 형성되는 압력측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압력측정부는,
    상기 조리용기의 뚜껑 하단에 형성되는 압력감지부; 및
    상기 압력감지부에 감지되는 압력이 눈금으로 표시되도록 상기 조리용기 뚜껑의 상단에 형성되는 압력표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압코펠

KR1020200025048A 2020-02-28 2020-02-28 가압코펠 KR1021302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5048A KR102130262B1 (ko) 2020-02-28 2020-02-28 가압코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5048A KR102130262B1 (ko) 2020-02-28 2020-02-28 가압코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30262B1 true KR102130262B1 (ko) 2020-07-06

Family

ID=715714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5048A KR102130262B1 (ko) 2020-02-28 2020-02-28 가압코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30262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44013U (ja) * 1991-11-18 1993-06-15 三和鶴工業株式会社 片手鍋
JP2010530261A (ja) * 2007-06-19 2010-09-09 エイエムシー インターナショナル アルファ メタルクラフト コーポレーション アーゲー 調理容器の動作状態を表示する機器
KR20110002413U (ko) * 2009-09-02 2011-03-09 최진홍 개선된 야외용 압력밥솥 손잡이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44013U (ja) * 1991-11-18 1993-06-15 三和鶴工業株式会社 片手鍋
JP2010530261A (ja) * 2007-06-19 2010-09-09 エイエムシー インターナショナル アルファ メタルクラフト コーポレーション アーゲー 調理容器の動作状態を表示する機器
KR20110002413U (ko) * 2009-09-02 2011-03-09 최진홍 개선된 야외용 압력밥솥 손잡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031519A (en) Heat insulating cooking vessel
US9241592B2 (en) Slow cooker with thermometer for indicating a temperature condition of the food in the cooking vessel
US4784052A (en) Cooking appliance
US6263787B1 (en) Thermal cooker
KR102130262B1 (ko) 가압코펠
CN203016633U (zh) 慢炖锅
JP2000041838A (ja) 電気鍋
JP2006204611A (ja) 炊飯器
JP2006346059A (ja) 炊飯器
KR20060045645A (ko) 온도계 내장 조리기구 부착용 손잡이
JP2006346058A (ja) 炊飯器
KR200404674Y1 (ko) 취사량 가변이 가능한 취사용기
KR200344676Y1 (ko) 조리용기의 가열온도 표시장치
JP2768400B2 (ja) 調理器
JP2887309B2 (ja) 調理器
CN220529776U (zh) 烹饪器具
JP3119361U (ja) 電磁誘導加熱調理器用保温容器
JP4036265B2 (ja) 加熱調理器
JP2022134928A (ja) 保温調理器
CN215811332U (zh) 感温组件及具有其的烹饪器具
CN216293815U (zh) 一种烹饪器具
JP4209812B2 (ja) 七輪
JPH09140593A (ja) 調理用具
JP3138519U (ja) 高圧釜
JP4555907B2 (ja) エコ高圧力炊飯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